대승불교 유식학(총15강): 세친의 유식30송 - 제1강 유식의 의미와 독아론

  Рет қаралды 12,669

김성철.교수의.체계불학

김성철.교수의.체계불학

Жыл бұрын

코로나19로 비대면, 원격 강의하던 2020년 2학기 경주 동국대 불교학부에서 담당했던 유식학 강의 영상입니다. 유식학은 중관학과 함께 대승불교 교학을 받치는 두 기둥 중 하나입니다. 본 강의에서는 유식의 의미와 유식학 문헌에 대해 개관한 후 세친의 유식30송 게송을 하나하나 읽고 해석하면서 그 의미를 풀이합니다. 아래의 링크를 클릭하면 강의 자료 전체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drive.google.com/file/d/139Vl...
제1강의 강의 자료는 이 가운데 [유식학 개관]과 [구사론의 수행론 - 삼계와 사향사과], [삼계 - 생명체가 사는 현장]입니다.

Пікірлер: 21
@user-tm8hr9qf9t
@user-tm8hr9qf9t 5 ай бұрын
참 스승이시네요 동시대를 잠시 같이 계셔주신 것 감사합니다
@user-ue5pd8qd8y
@user-ue5pd8qd8y 5 ай бұрын
다시는들을수없는 강의ᆢ어디서다시그음성 들을수있을까요 이제ㆍ귀하고귀한자료가되었습니다 () ()()
@user-dq8md2uc7i
@user-dq8md2uc7i Жыл бұрын
사십년간 배운 불교지식이 파편처럼 흩어져있는데 김성철교수님의 강의를 들으니 파편들이 질서정연하게 모여서 이해됩니다 깨달은 김교수님을 만난것은 큰축복입니다 감사합니다
@hoseonheo9210
@hoseonheo9210 Жыл бұрын
김성철 보살님....소중한 감로의 말씀을 들으니 너무나 행복합니다.
@user-bu8eu5ck5b
@user-bu8eu5ck5b 10 ай бұрын
불필요한 사설이 없어서 듣는데 거부감이 없어요 . 감사합니다 . ❤
@user-hz9rz2gn7w
@user-hz9rz2gn7w Жыл бұрын
처음 올렸던 영상이 배경 소음이 심하여, 편집하여 다시 올립니다.
@user-ih8kp1xl9l
@user-ih8kp1xl9l 10 ай бұрын
서울대 모교수님의 아드님으로 태어나셔 불자로 사시면서 불교를 잘 설명하주시는 고마우신 교수님 그리고 다음세대교육 출가허지 않고도 어려운 불교철학 공부 할수있게 해주십니다
@user-dc8xl6of6m
@user-dc8xl6of6m 3 ай бұрын
고맙습니다
@Rev011
@Rev011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wj6fz8lp6g
@user-wj6fz8lp6g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ht1xi2sp7h
@user-ht1xi2sp7h 5 ай бұрын
석가모니 부처님 관세음보살님 김성철 교수님
@user-ng2ve7id9s
@user-ng2ve7id9s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고맙고 또 고맙습니다. 딱히 이 말씀밖에 없으니 안타깝습니다. 사진을 보니 부처님이십니다.
@user-lt5wt5hf1q
@user-lt5wt5hf1q 5 ай бұрын
🎉🎉🎉🎉🎉🎉🎉❤
@user-xm8qw4fq3r
@user-xm8qw4fq3r 4 ай бұрын
사두 사두 사두 () () ()
@user-eo8uu8ot5s
@user-eo8uu8ot5s 5 ай бұрын
유식학은 인간인식의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준것으로 신비화할 이유는 없는거아닌가?
@user-kc3uo1eg4e
@user-kc3uo1eg4e 2 ай бұрын
여러 번에 걸쳐 질문자의 말을 중간에 끊으시고, 질문자의 의문점과 반드시 촛점이 일치하는지 의심스러운 종교론, 아트만론 일반에 관한 장광설의 납변을 하고 계신데, 전문가의 대응방식이 아닙니다. 유식학은 선생의 전문분야는 아니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6사를 포함, 외도들의 사상이 대단한 것이었다고 하신 점은 훌륭합니다. 저도 그런 생각을 갖고 있었습니다. 사리불, 목건련도 붓다에게 귀의하기 전에는 6사의 한 사람인 산쟈야의 제자였을 정도이니까요. 불교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면 불교를 둘러싼 여러 학문, 사상을 불교 그 자체만큼이나 연구해야 한다는 것은 이미 세계학계의 상식인데, 우리는 아직도 불교외의 인도의 제학문과 사상에 무지하고 몽매한 상태에서, 인도불교 자체에 대한 이해도 얉기 그지없으니 통탄스럽습니다. 중국의 송대 이전에 성립하고 유행한 불교와 도교의 사상에 대한 이해가 없이 송대 성리학에 대한 연구가 불가능하듯, 인도불교도 불교 이외의 인도 사상에 대한 깊은 이해없이는 정밀한 탐색은 불가능할 것입니다. 이제 극락세계에서 미륵,무착, 세친등 위대한 유식학의 보살들에게서 직접 유식학을 공부하셔서 학문세계를 더욱 넓히시길 빕니다.
@user-sd3ni4fi9x
@user-sd3ni4fi9x Ай бұрын
공을 설파라는 불교에 무슨 극락이 있을까? 이런 오류부터 정리해야 불교가 설득력을 갖게 될 겁니자.
@user-kc3uo1eg4e
@user-kc3uo1eg4e Ай бұрын
@@user-sd3ni4fi9x 공은 무자성을 말하는 것이지, 무존재를 말하는 개념이 아닙니나. 모든 사물의 실체화를 거부하는 공에는, 한편으로는 역설적이게도 모든 사물을 성립시키는 측면이 있습니나. 그것은 "공"이 바로 "연기"의 다른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견지에서 본다면, 극락은 자성을 가진 실체로서는 존재하지 않으나, 연기에 의해 성립한 현상으로시는 존재할 수 있는 것이 되는 것이죠.
대승불교 유식학(총15강): 세친의 유식30송 - 제2강 유식학의 소의경론
1:03:31
김성철.교수의.체계불학
Рет қаралды 4,9 М.
십이연기설1 - 불교에서 가르치는 윤회의 원리
47:37
김성철.교수의.체계불학
Рет қаралды 10 М.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Eccentric clown jack #short #angel #clown
00:33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100❤️ #shorts #construction #mizumayuuki
00:18
MY💝No War🤝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청소년을 위한 중관학4 - 중관학의 실천
51:48
김성철.교수의.체계불학
Рет қаралды 4,9 М.
[홍익학당] 만법유식, 하나의 마음·하나의 세계_A983
1:03:03
뇌과학으로 본 자아와 무아 1부 / 김성철
42:18
BBS 불교방송
Рет қаралды 75 М.
윤홍식의 인문학 강의 - 법구경 1강
47:56
홍익학당
Рет қаралды 116 М.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