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놀이는 비슷할 수 있는데 된장 먹는 것 보고 놀랐습니다, 우리 나라와 정말 똑 같네요, 진짜 우리와 같은 핏줄인가봐요~!
@삼프만-h9c6 ай бұрын
옛적 생각 난다!
@asdf098735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도 80년초반대까지른 국기 게양식을 했었는데 ᆢ애국심을 계속 길러주는 학교교육이 되었음좋겠어요. 국민체조도하고ᆢ협동심애국심부족한 지금인듯ㅜㅜ
@vvw45277 ай бұрын
저 팽이치기 나무를 깍아 만든팽이 끝에 못을 박아 만든 팽이 내 어릴때 저렇게 놀았는데 하
@라임-u6r6 ай бұрын
울ㆍ민족이네요~~이궁ᆢ
@캘리버남진7 ай бұрын
매년 산골에 라후부족을 만나러 다녔었는데...... 그립네요
@으드득7 ай бұрын
예전에 태국 섬깡촌에 놀러가서 오도방에 병휘발유넣은 기억이 있네요
@요나리5 ай бұрын
어릴때 이거 했는데 신기하네 분명 한국인이다
@Bobobo-t3o3 ай бұрын
글쎄요.. 전혀 동질감안느껴지는데 그냥 태국 소수민족분들이죠.
@tlschs793 ай бұрын
그럼, 일본인들과 중국인들도 한국인.
@i-smr84684 ай бұрын
경쟁없이사니 행복할거같네요
@iiiimoyo7 ай бұрын
혹시 자전거 후원 가능할까요? 쏨마이 뿐만 아니라 다른 친구들도 같이요
@ddjjsjw32986 ай бұрын
후원 한다고 요 22살 에게 이제 자잔거는 필요치 않을텐데요
@Sungha1236 ай бұрын
0:46 개 얼굴에 낙서 해놓은건가 ㅋㅋㅋㅋ 뭐지 🤣😂🤣😂
@하늘-m4y4 ай бұрын
애우는 소리도 같군 ㅎ
@mrlee85275 ай бұрын
비석 치기가 정말 우리 놀이가 맞나요? 정말 몰라서 물어 봅니다 저는 76년생 비석치기 놀이 하면서 자랐습니다
@이리저리-i9o3 ай бұрын
인도에서 몽골계 어족 아오족도 유전자가 한국인과 비슷하다죠..
@pintree1229n6 ай бұрын
아이들이 하는 놀이가 라오스의 라오족과 크무족 아이들도 이 놀이를 하던데...........
@federicolee19456 ай бұрын
정말 고구려 유민의 후예인지, 백제 유민의 후손인지 확인을 해 주지 않으니 알 길이 없어 다소 억지 같지만, 그래도 우리네 어릴 적 놀이 문화와 비슷한 점은 좀 있네요. 다소 초기 형태의 콩 발효 음식도 그렇고. 어느 분의 말마따나 제작진 분들이 출연료 조로 쏨마이에게 자전거를 사 줬을 거라 믿습니다. 아무튼 치열한 입시 경쟁에 시달리는 우리네 아이들에게선 점점 보기 힘들어지는 "순진무구, 천진난만"이라는 표현이 굉장히 잘 어울리는 아이들의 모습이 너무도 흐뭇한 미소를 자아내는군요. 대체 몇 번을 돌려 봤는지 모를 정도로 볼 때마다 마음이 정화되고 위안을 받습니다.
@소크라칸-x3t6 ай бұрын
고구려 후손이 맞아요! 주격조사 래를 써요, 나는 = 내래...북한 말! 형사취수, 서옥제, 유전자 일부... 인절미, 장구(손장구),생황까지! 한국 고유의 것이 그대로 존재함!
@federicolee19456 ай бұрын
@@소크라칸-x3t 아, 그렇군요. 선생님 덕분에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그런데 백제 유민도 아니고 웬 고구려 유민들이 저렇게나 머나먼 중국 남부나 동남아시아에까지 흘러 들어갔다는 사실이 더욱 놀랍네요. 해상왕국이었던 백제의 담로가 동남아시아 도처에 있고, 백제향이나 백제허 등 백제의 유적이 중국 남부까지 산재해 있는 것으로 봐선 아무래도 백제의 후손이 아닐까 했는데, 선생님 말씀을 들어 보니 부여, 고구려 때의 풍습이 아직도 라후족에 전승돼 온다면 고구려 후손이 맞겠네요. 손장구야, KBS에서 지난 2010년 6월 8일에 방영된 "러브인 아시아" 스리랑카 아이라 씨 편에서 보니 허리에 차는 요고(腰鼓)가 아니라 바닥에 놓고 치는 손장구가 보여, 우리의 장구와 뭔가 비슷한 듯하면서도 사뭇 달라 뭐 그러려니 했는데요. 여기 EBS 태국 라후족 편에서도 백제의 백제금동대향로에서 본 듯한 요고나, 우리의 생황의 원시나 초기 형태인 노라는 악기를 보고 다소 놀라우면서도, 서역부터 중국, 일본에 이르기까지 비슷한 악기가 많아 이것도 뭐 그럴 수도 있겠다란 생각이 들면서도 신기하긴 하더군요. 갑자기 타임머신을 타거나 타임슬립 등을 통해 정말 그 시대로 돌아가 확인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아무튼 소중한 댓글, 정말 고맙습니다 ^^.
@federicolee19455 ай бұрын
@@소크라칸-x3t 이상하게 어제 단 댓글이 갑자기 사라졌네요. 이유를 모르겠지만, 제작진이 삭제했나 봅니다. 어제 글을 그대로 다시 올리겠습니다. 아, 그렇군요. 선생님 덕분에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그런데 백제 유민도 아니고 웬 고구려 유민들이 저렇게나 머나먼 중국 남부나 동남아시아에까지 흘러 들어갔다는 사실이 더욱 놀랍네요. 해상왕국이었던 백제의 담로가 동남아시아 도처에 있고, 백제향이나 백제허 등 백제의 유적이 중국 남부까지 산재해 있는 것으로 봐선 아무래도 백제의 후손이 아닐까 했는데, 선생님 말씀을 들어 보니 부여, 고구려 때의 풍습이 아직도 라후족에 전승돼 온다면 고구려 후손이 맞겠네요. 손장구야, KBS에서 지난 2010년 6월 8일에 방영된 "러브인 아시아" 스리랑카 아이라 씨 편에서 보니 허리에 차는 요고(腰鼓)가 아니라 바닥에 놓고 치는 손장구가 보여, 우리의 장구와 뭔가 비슷한 듯하면서도 사뭇 달라 뭐 그러려니 했는데요. 여기 EBS 태국 라후족 편에서도 백제의 백제금동대향로에서 본 듯한 요고나, 우리의 생황의 원시나 초기 형태인 노라는 악기를 보고 다소 놀라우면서도, 서역부터 중국, 일본에 이르기까지 비슷한 악기가 많아 이것도 뭐 그럴 수도 있겠다란 생각이 들면서도 신기하긴 하더군요. 갑자기 타임머신을 타거나 타임슬립 등을 통해 정말 그 시대로 돌아가 확인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아무튼 소중한 댓글, 정말 고맙습니다 ^^.
@federicolee19455 ай бұрын
@@소크라칸-x3t 이상하게 어제 다시 단 댓글이 또다시 갑자기 사라졌네요. 이유를 도저히 모르겠지만, 제작진이 다시금 삭제했나 봅니다. 지금까지의 글을 조금 수정해 다시 올립니다. 아, 그렇군요. 선생님 덕분에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 그런데 백제 유민도 아니고 웬 고구려 유민들이 저렇게나 머나먼 중국 남부나 동남아시아에까지 흘러 들어갔다는 사실이 더욱 놀랍네요. 해상왕국이었던 백제의 담로가 동남아시아 도처에 있고, 백제향이나 백제허 등 백제의 유적이 중국 남부까지 산재해 있는 것으로 봐선 아무래도 백제의 후손이 아닐까 했는데, 선생님 말씀을 들어 보니 부여, 고구려 때의 풍습이 아직도 라후족에 전승돼 온다면 고구려 후손이 맞겠네요. 손장구야, 모 방송에서 보니 스리랑카에서는 허리에 차는 요고(腰鼓)가 아니라 바닥에 놓고 치는 손장구가 보여, 우리의 장구와 뭔가 비슷한 듯하면서도 사뭇 달라 뭐 그러려니 했는데요. 여기 EBS 태국 라후족 편에서도 백제의 백제금동대향로에서 본 듯한 요고나, 우리 생황의 초기 형태인 노라는 악기를 보고 다소 놀라우면서도, 서역부터 중국, 일본에 이르기까지 비슷한 악기가 많아 이것도 뭐 그럴 수도 있겠다란 생각이 들면서도 신기하긴 하더군요. 갑자기 타임머신을 타거나 타임슬립 등을 통해 정말 그 시대로 돌아가 확인해 보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아무튼 소중한 댓글, 정말 고맙습니다~.
@federicolee19455 ай бұрын
대체 제작진은 몇 번이나 제 댓글을 지우는 거죠? 올리는 족족 그 즉시 바로바로 삭제하던데, 그 이유가 뭔가요? 이유나 좀 압시다!
@takeda01237 ай бұрын
한국인들은 화성에서도 형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ddjjsjw32986 ай бұрын
뙤 넘 들 은 우주 끝 에서도 찐핑 이 를 찾겠지 ㅋㅋㅋ 우주만물 짱 ~~~~깨
@소크라칸-x3t6 ай бұрын
움..다음 일본인 ~~
@chungkwangtae6 ай бұрын
아니 저 강아지는 웬 안경을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조본좌-p6p7 ай бұрын
촬영모델값으로 한대 사주었나요?
@father-v9d2 ай бұрын
고구려나 백제 신라. 아니면 고려의 후예들이죠
@CandyKim-re1yr7 ай бұрын
어릴때 하는 놀이가 오래전부터 전승해 오던것, 식문화도 민족 고유하게 전승되어 오는것인데. 어떤 연유로 해서 동남아까지 이주하였나보네요. 대개는 아주 오래전에 나라가 망하거나 전쟁을 피하거나 천재지변을 피해 이주해서서 갔겠죠.
@윤호경-t2o7 ай бұрын
고무줄 놀이는 없는가봐
@Ha1967Yeon6 ай бұрын
태국에만 한국인 빼닮은 민족이 있는줄 아는 모양 인데 러시아 브리야트 민족도 한국인 빼닮아서 서로 마주본다면 분간이 안될 정도인데에
@Sungha1236 ай бұрын
24:18 아이스크림을 태어나서 처음 먹어보다니 ㄷㄷ
@federicolee19456 ай бұрын
불현듯 든 생각이지만, 실패한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의 전철을 밟지 말고, 태국 정부와의 긴밀한 협조로 문자가 없는 라후족이 우리 한글을 채택, 활용해 자신들의 전통 문화를 체계적으로 계승, 발전시켰으면 좋겠습니다.
@그밤-t5z6 ай бұрын
8090년대에 김병호 박사께서 한글을 라후족에게 가르쳤던 시도가 있었습니다.
@federicolee19456 ай бұрын
@@그밤-t5z 아, 그렇군요. 그런데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처럼 뜻대로 잘되진 않았나 보네요. 왠지 안타깝습니다.
@용자정-v3p4 ай бұрын
인니는민족성자체가. 글럿슴
@Sungha1236 ай бұрын
27:57 아까 그 돼지 죽었구나 ㄷㄷ
@กัลยาสายสุวรรณ์6 ай бұрын
ที่นี่ประเทศไทยเหรอค่ะน่ารักมากกก❤❤
@신용식-h5m4 ай бұрын
개 안경 무늬 개웃기네 ㅋㅋ ㅋㅋㅋ
@朝鮮足刺殺4 ай бұрын
팽이치기 초딩때 많이 하덩건디
@김소연-v2r5s6 ай бұрын
저곳에 한국어 가르치는 부서가 생기면
@시민-x5b6 ай бұрын
자전거 하나 사 주시지~~
@Sinsinsin-y3w24 күн бұрын
비슷하긴 뭐가 비슷해
@하늘-m4y4 ай бұрын
좀 닮았는딩
@조본좌-p6p7 ай бұрын
낫선얼굴보니그러네.
@drak12654 ай бұрын
외ㅣ모가 전혀 한국인이 아닌데.. 아주 먼 엣날 한국인중에 소수가 저 멀리까지 가서 정착햇을지언정.. 외모는 전혀 한국인하고 거리가 먼데..
@솔비-b4o5 ай бұрын
말까기
@朝鮮足刺殺4 ай бұрын
초코아이스크림 많이먹지마요
@김형용-h9hАй бұрын
고구려 후예 맞네요! 어쩌다가 이역만리 가게 됐을까나~~ㅉㅉ ^^
@mind69367 ай бұрын
밥상..딱히 우리네 밥상 잘 안떠오르는데..시골밥상으로 엮어도 그닥... 그릇땜에 그런지 몰라도..그냥 동남아 랑 느낌이 비슷?
@job-kk7te6 ай бұрын
찰진밥과 고사리나물 콩으로 만든 된장 비슷한거 오랜 세월동안 많이 변형됐겠죠 아마 오래전에 우리민족이 여러명 건너가 우리직으로 살았던곳 같은 느낌
@청연진6 ай бұрын
동남아는 고대 역사 문헌자료가 없어서, 갈피 잡기가 너무 힘듦. 진짜 막말로 고대에 비자발급 받고 국경선 통과하는것도 아니고 막연히 어느 소수집단이 무리를 지어서 이동해도 전혀 이상할게없는 환경임. 고구리 출신의 백성이 지 가족들 데리고 갔을수도 아닐수도있는거죠 뭐
@yjh13695 ай бұрын
상당히 생활방식이 비슷하네 돼지잡는것도 똑같고.... 떡찧어먹는거까지 똑같냐;;;;;;
@lh7uc3gz-ScrollLock6 ай бұрын
라후족 언어 : 중국티베트어족 라후족 유전자 : 티베트 캄 지역에서 기원한 고대 유목민족인 강족의 후손 유전적으로 한국인과 가장 가까운 민족 : 한국인 => 중국 조선족 => 만주족 => 일본인 순으로 가깝다고 한다 조선족은 한국인이 만주로 이주한지 200년도 안된 사람들이라서 한국인으로 분류하는 게 맞겠구만은 무슨 조선족으로 따로 분류를 하고 있는 건지....
@woohyeonjeong88724 ай бұрын
라오족은 라오스 국가에 널리 분포한 지역민족을 통틀어말합니다. 프랑스가 라오스를 식민통치할때 oo라오족 xx라오족 ㅅㅅ라오족 등이 있는걸 알고 라오's라고 명칭했죠... 인근 국가인 태국에도 그런 이유에서 라오족이 있습니다. 라오족은 그 지역에 오래된 원주민입니다.
@장중만-r5e2 ай бұрын
국뽕 유사역사학 유사 언어학 지겹지도 않나. 고구려 후예 아니라잖아.
@RUSHB-si2rp5 ай бұрын
이런거 보면 중국이 지들이 기원이라고 우기는거 하는짓이 똑같네
@김라비-q6k5 ай бұрын
저들이 왜 고구려 후예죠? 공영방송이 조작방송하나요? 저들은 고구려와 아무런 상관이 없는 사람들인데요.
@user-dvnara5 ай бұрын
개 얼굴 뭐야?ㅋㅋㅋㅋ
@Doit66117 ай бұрын
닮기는 뭐가 닮아 갖다 부치기는
@김조툰6 ай бұрын
전혀 안닮았구만 개소리하네 ㅋㅋ 제목 어그로 오지노 🤣😂🤣😂
@zester12117 ай бұрын
ㄹㅇ개씹억지 어그로
@바솔로뮤바트7 ай бұрын
어그로 오지네 ㅋㅋㅋ 그냥 태국 오지마을
@jameskoo71375 ай бұрын
캄보디아에서 비석치기 하는 아이들 봤다. 비석치기, 자치기, 오징어 놀이 등등 우리 민속놀이는 동남아 유례가 많이 있어.
@hwasukkim4155 ай бұрын
생김도 우리네랑 닮아서요
@drak12654 ай бұрын
동남아 유례가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동남아로 전파돼엇을수도잇지 먼말하냐 멍청한것
@한계-b5c7 ай бұрын
그저 비슷하면 다 동포고 후예라고 해라 그리따지면 조선족도 동포잖냐??ㅋㅋ 귀에걸면 귀걸이 코에걸면 코걸이ㅋ 몽골족도 몽고반점 똑같다고 같은 민족이라 하는데 전부 귀화시켜서 저출산에 힘을보태라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