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좋아요:)무더위 여름에딱~안성맞춤 이네요..잘배우고갑니다. 양희경님 최고 👍 💕 😍 감사합니다 ~~~
@김승희-n7h Жыл бұрын
희경아~~* 무지 반갑네 맛있는 요리도 소개해 주고 동창생 얼굴도 보고 너무 좋다
@이춘자-k5f9l Жыл бұрын
영상감사합니다
@망고토끼-p9l Жыл бұрын
희경님 반갑습니당 ~보고싶었어요 ㅎㅎ매번 영상 저장해 따라 해먹고 한답니다.😘감사합니다.늘 맛난음식 가르쳐 주셔요.늘 건강하세요.늘응원합니다 ❤
@건강한자연밥상도전기 Жыл бұрын
아주 좋은데요 잘배웠습니다 👍👍😄😀
@김복순-q9l Жыл бұрын
여름김치 맛나겠어요
@neoqma3772 Жыл бұрын
접근성 좋은 재료 너무 좋아요. 안 그래도 배추겉절이를 할까 생각 중이었는데, 배추 넘 비싸더라구요. 양배추로 해 봐야 겠습니다.
@homecookteacher4746 Жыл бұрын
시원하니 맛나 보여요. 잘 배워갑니다.🧡🧡
@양희윤-x5g5 ай бұрын
배가 고픕니다 ㅎ
@장승희-m6g6 ай бұрын
옛날 할머니가 하여주신 양배추김치가 생각나네요. 한번해 먹어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
@dlkkot74 Жыл бұрын
좋아요~ 꾸욱~~~요~^^ 당장은 아니어도 꼭 해보고 싶은 김치여요~ 가는 것에 약한데... 장비를 구해볼까봐요~☺️
@caseyyoon1783 Жыл бұрын
미국 캘리포니아에 살고 있는 양 선생님 찐팬입니다. 항상 응원하고 있고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김미향-c3c Жыл бұрын
평화나무농장 정보 감사해용~~오늘도 잘보고 가염~♡
@김아띠맘 Жыл бұрын
쉽게 따라서 할 수있게 소개해주셔서 고맙습니다.
@lapopotederic239 Жыл бұрын
Hello. This cabbage cucumber kimchi looks delicious and healthy. I never eat this cabbage kimchi before. I only know the kimchi made from the napa cabbage. Thank you so much for sharing this recipe and explain it in detail. Have a nice weekend. 😊🙏🌹 안녕하세요. 배추 오이 김치가 맛있고 건강해 보이네요. 저는 이 배추김치를 한번도 먹어본 적이 없어요. 배추로 만든 김치만 알고 있어요. 이 레시피를 공유하고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되세요. 😊🙏🌹
@서정진-f2e Жыл бұрын
영상보니 쉽게 따라 해볼수 있겠는걸요 ~ 감사합니다
@박정희-l7k6t Жыл бұрын
진짜 맛있겠어요❤
@산바다-s6i Жыл бұрын
양희경배우님 요즘 영상볼때 느끼는 점은 점점 젊어지시는 것 같아요 건강한 모습으로 오래도록 건강한 음식 소개해 주세요 정말 감사드려요 😊
@chanelh9231 Жыл бұрын
저도아픈곳이너무많은데 양희경님 음식따라해먹으면 건강해질거같아요
@김승희-n7h Жыл бұрын
앞으로열씨미 구독하고 응원할께
@SP-dl2wk Жыл бұрын
잘배웠습니다 한번 만들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mi.3252 Жыл бұрын
❤
@아자아자-l6v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123-u1l1m Жыл бұрын
오늘 이거 하려구 양배추 샀는데 세상에 ㅜㅜ 한통에 칠천원하더라고요 ㅜㅜㅜㅜ 구래도 맛있게 만들어 먹을게요 ❤
@김민재-k2s9c7 ай бұрын
쨩쨩 최고십니다 책 내주세요~♡
@강지연-s1o Жыл бұрын
만들어보겠습니다😂
@오리궁둥이-c4r Жыл бұрын
저는 양배추가 위에 좋다해서 물김치를 담아먹네요
@leeyoung222 Жыл бұрын
펑화나무농장 가입하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
@leekelly6511 Жыл бұрын
오이 얼마나 끓이나 궁금했는데 드글드글 하면 끝 😂😂😂 몇 초 데치나요? -요린이 드림 ❤
@정지원-k3o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여름에 양재추 김치 일품이죠.시원한 국물이랑 후루룩 마시면 좋죠. 저는 한번도 안해봤어요.양배추가 위에 좋다고 들었어여.근대 오이를 왜 뜨거운물에 데치는지요.피클처럼 하나봐요
@mooyook2 Жыл бұрын
오이를 데치면 오이가 익으면서 물러지는 것을 최대한 막으 ㄹ수가 있고요. 오이 껍질 파란부분은 쓴맛이 나잖아요 쓴맛도 없애줍니다. 참고로, 아욱국 할 때 아욱이 질겨서 손으로 박박 으깨는 분들이 ㄱ의 대부분이잖아요. 그러면 안돼됴, 으깨어 버리면 오히려 잎부분은 부서져 없고 질긴 부분만 남거든요. 아욱은 뜨거운 물에 한 번 삶아 내세요. 데치는 것보다 좀 더 삶아서 꺼내어 찬물에 헹구었다가 아욱국을 끓이시면 부드럽고 아욱의 형태가 그대로 살아 있습니다. 조상님들은 야채나 약초등이 많이 자라 독이 있거나 질건 것들은 뜨거운물에 삶거나 익혀서 독성분을 제거해주었죠.
@mooyook2 Жыл бұрын
감자 대신에 고구마로 해도 되지요? 고구마안의 심지가 있는 것 외엔 단 맛도 있고해서 괜찮을듯 싶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