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지나서 다시 보니 docker container에 기동 중인 앱들은 Host OS에서 기동 중인 하나의 process로 확인할 수 있다는 내용이 진짜 중요한 내용이네요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미러디멘션에 따로 뺀 것 같은 느낌이지요. :)
@JK-vj5nn2 жыл бұрын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피드백 감사합니다. 보시다가 의견이나 질문 있으면 언제든 글 올려주세요. ^^
@시간증폭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이해하기 좋게 강의하시네요 ㅋㅋㅋㅋ 꼭 넓고 얕게 배우는 ~ 강의도 다 봐야겠네요 ㅋㅋㅋㅋㅋ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넓고 얕게...시리즈는 꼭 섭렵하시기를 권합니다. ^^
@hanamuk2 жыл бұрын
출퇴근 길에 올려주신 영상들 하나씩 보고있는데 너무 유익한것 같습니다! 안그래도 얼마전에 저희팀 쿠버네티스 인증 이슈가 있어서 공부하다가 썸네일에 끌려서 들어와버렸네요! 항상 좋은지식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ㅎ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현재 실무 운영 업무를 하고 계신 모양입니다. 제가 언급한 내용이 실제 업무와 다른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알려주세요. 그리고 열공하세요~~~! ^^
@kghworks8681 Жыл бұрын
참 설명 쉽고 좋네요.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좋은 평가와 피드백 감사합니다. ^^
@chanwoosong3382 жыл бұрын
고생하셨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좋은 평가 감사합니다. ^^
@yhkwon19872 жыл бұрын
파편적으로 찾아보던 원리들이었는데,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런 양질의 강의를 계속 듣기 위해 좋댓구 말고 뭘 더 해드릴수 있을까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사실 모아서 알고 나면 별거 아닌데 라는 생각이 들긴 하지요. ^^ 영상이 마음에 드셨다면....좋아요와 구독 + 홍보??? 응원 감사합니다. ^^;;;
@bluesalt38132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1번 시청자가 바뀌었군요. 자주 뵙겠습니다. ^^
@chrisshim24882 жыл бұрын
명강의 감사합니다. 도커 없던 시절에 리눅스는 의존성 라이브러리 버전 충돌 때문에 고통 받았던게 생각나네요. sxs지원되는 윈도우랑 달랐죠.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오픈소스나 공개 라이브러리 사용이 많아지면 늘 발생하는 문제죠. 머리도 아프고 관리하기 참 골치아픈...세상 많이 좋아진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
@갈가마구2 жыл бұрын
용어에 대한 이해가 젤 중요하네요. 도커 관심밖이 었는데...개인 입장에선....음...가상화엔 관심이 있었구요 뭐여....강의를 듣고보니 그게 그건데...약간의 차이는 있지만...하하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최근에는 Docker와 더불어 Micro virtual machine 기술도 부상 중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IT는 정말 공부할 꺼리가... 넘쳐 납니다. ^^
@박선규-i8f2 жыл бұрын
출장 갔다가 다시 집에 오신건가봐요?! 항상 좋은 영상과 강의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네, 다음 주에 또 지방 출장이 잡혀있습니다. 할 일이 좀 많네요. ^^;;;
@django38612 жыл бұрын
도커 공부 제대로 하기 1강 시청 완료 / 5월 9일 / 대구 본가집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계속 열공 중이시군요. ^^
@django38612 жыл бұрын
@@nullnull_not_eq_null 네 덕분에 감사합니다. 너무 이해가 잘됩니다.
@kkooru9458 Жыл бұрын
운영체제 이론 듣다가 강의 중에 Process와 Thread의 차이 영상이야기를 하셔서 거기서 밀려서 여기 왔다가 다시 넓고 얕게 배우는 CS로 가서 필요한 부분 다 듣고 지금 다시 돌아와서 이 영상을 다 들었습니다..... 어쩌다 보니 Stack구조로 공부하는 중이네요...ㅋㅋㅋㅋㅋㅋ 본의 아니게 영상에서 말씀하신 뻐팅기는 학생이 되었네요ㅎㅎ Process를 이해하려고 왔는데, Docker라는 새롭게 개발된 개념도 배워가니 정말 재밌네요! 댓글에서 Docker가 VM보다 상대적으로 빠르다고 이야기 하셨는데, 그 이유가 Docker는 Kernel만 '공유'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하지만, VM은 Hardware까지 Kernel에서 구현해 놓고 독립적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느린건가요??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네, 쉽게 생각하면 그렇습니다. 게다가 각 VM마다 운영체제 전체가 로드되므로 효율이 떨어집니다. ^^
@aiboomd2672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
@falconsea73782 жыл бұрын
우선 영상 감사드립니다! 이것저것 정주행중입니다 ㅎㅎ 도커가 속도가 빠른이유가 명쾌하게 이해되지 않는데 자세히 설명 해주실 수 있을까요? 격리를 하기때문에 빠르다는게 이해가 잘 되지않아서요 ㅠㅠ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격리를 하기 때문에 빠른 것이 아닙니다. 별도로 VM을 만드는 방식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것입니다. VMware에서 Window OS VM올려 사용해보셨다면 보안 업데이트라도 하는 날이면 짜증이 날 정도로 느려지는 경험을 하셨을 겁니다. Host는 Host Guest는 Guest 각자 따로 진행하느라 전산자원도 많이 소모하지요. 그러나 도커는 Host 쪽에서 한 번만 해도 나머지에 반영할 수 있지요. '상대적으로' 관리도 쉽고 새로운 머신이 필요할 때 컨테이너 하나만 매우 빠르게 올리는 것으로 끝나니...기존 VM기반 환경에 비해 압도적으로 대응 속도가 빠를 수 밖에 없습니다. 결론,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것입니다. ^^
@falconsea73782 жыл бұрын
@@nullnull_not_eq_null 답변 감사드립니다 핵심은 '상대적' 이라는 단어네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falconsea7378 네, 맞습니다. ^^
@2eastar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이 있습니다! 17:00 JVM이나 .Net Framework기반에서 돌아가는 가상머신도 Docker처럼 하나의 프로세스처럼 동작하나요? 그리고 가상머신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은 가상머신에 의해 자원관리가 일어나는 건가요?
@nullnull_not_eq_null7 ай бұрын
보통 VM은 한 프로세스로 존재합니다. 그리고 VM은 Host OS 수준에서 결정해준 전산자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자체는 VM 내부 OS에서 관리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user-wo5lc7ov8z2 жыл бұрын
전에 올려주신 도커 영상이랑 이 영상을 보니 도커 구조를 완전이 이해할 수 있게 됬네요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둘을 합쳐서 보시면 구조는 어느 정도 감을 잡을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피드백 감사합니다. 열공하세요~~~! ^^
@gaekokdj2 жыл бұрын
근본에 대한 강의를 이렇게 재미있게 들을 수 있다는게 너무 신기하네요. 듣다보니 프로세스와 트랜잭션의 차이가 어떤 것일지 궁금합니다. 트랜잭션이 프로세스보다 더 작은 단위인가요? 만약 트랜잭션이 프로세스보다 더 작은 단위라면 쓰레드와 트랜잭션은 같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하하...좋게 봐주셔서 재미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트랜잭션과 절차적 처리는 개념적으로 유사할 수 있습니다. 다만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는(혹은 적용되는) 어휘입니다. DB 데이터에 변화를 야기하는 처리절차를 하나로 묶은 처리단위 정도가 트랜잭션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보통 그 절차중 하나라도 잘못되면 처리 전으로 되돌리는 (Rollback) 것이 가능하도록 단위화 한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스레드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겠습니다. 쉽게 생각해 당장은 Process에 속한 개별 흐름으로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열공하세요. ^^
@gaekokdj2 жыл бұрын
@@nullnull_not_eq_null 사용(적용)되는 영역이 다르다는 말씀이군요. 빠른 답변 감사합니다. 스레드 강의도 기대되네요! ㅎㅎ
@makiseify11 ай бұрын
트랜젝션-커밋 ㄴ롤백 으로 연계되어서 조금 다른 개념으로 배웠습니다.
@kyj1171 Жыл бұрын
어디서 많이 뵀던 분이라고 생각했는데, 제가 처음으로 프로그래밍 배울때 읽었던책의 저자이셨군요..! 이렇게 유투브에서도 다시 뵙게되어 너무 반갑습니다~~ 영상 너무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아하~~~! 그렇군요. 저도 반갑습니다. 앞으로도 영상 열심히 올리겠습니다. ^^
@최강재-y9c2 жыл бұрын
영상들 다 너무 재밌어요 어려운데 쉽게 이해가 됩니다!! 혹시 램에 대해서 깊게 다룬 영상이 있거나 계획이 있을까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재밌게 보셨다니 기쁘네요. RAM에 대해서만 따로 다룬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포괄적으로 기억장치를 다룬 영상이 있으니 일단 이것부터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kzbin.info/www/bejne/gn7ah4iwf7aGmrc
@최강재-y9c2 жыл бұрын
@@nullnull_not_eq_null 감사합니다 꼭 챙겨보도록 하겠습니다 !!!!!
@makiseify11 ай бұрын
참고로 윈도우 10 기준에서 시스템 모니터랑 툴을 이용해서 프로세스나 쓰레드가 사용하는 자원 시간 및 커널이 점유한 시간 비올이 모니터링 되어서 나옵니다.
@kh-data2 жыл бұрын
매번 감사드립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만약 쿠버네티스를 통해 도커를 관리하게 되면 os 입장에서 메모리를 할당할 때, 쿠버네티스 라는 큰 메모리를 할당하고 쿠버네티스 프로세스의 내부에서 도커 프로세스의 메모리를 할당하는건지 아니면 각자 개별로 메모리를 할당받게 될지 궁금합니다!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쿠버네티스는 관리 체계라고 봐야 하겠습니다. VM은 아니라고 봐야죠. 그러므로 쿠버네티스가 큰 메모리를 확보한 후 도커 프로세스에 메모리를 주는 구조는 아닌 것 같습니다. 컨테이너가 독립 VM처럼 작동하기 위해 별도 커널을 사용하는 것처럼 캡슐화 하고 전산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 자동화 지원을 포함해 관리만 하는 것으로 이해하시는 것이 맞겠습니다. ^^ 즉, 메모리 할당은 호스트 운영체제가 한다고 봐야 겠습니다.
@gksxodnd0072 жыл бұрын
해당 내용은 쿠버네티스의 core component들 (api server, scheduler, kubelet, controller manager 등등)의 역할들을 공부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
@모모-e8b Жыл бұрын
도커가 그럼 가상머신이랑 비슷한건가요? 가상머신이 도커에 포함되는건가?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결과적으로 가상머신과 비슷한 것입니다. 그러나 구조가 Host OS의 커널을 그대로 공유하기 때문에 프로세스 하나를 별도 가상머신으로 분리한 것처럼 작동합니다. 따라서 매우 효율적이라 하겠습니다. 가상머신이 도커에 포함되는 것은 아닙니다.
@모모-e8b Жыл бұрын
@@nullnull_not_eq_null 아 그렇군요 답변감사합니다!
@BruceHan_2 жыл бұрын
취업하면 멤버쉽 가입에 인프런 인강 다 사겠습니다... 좋은 지식 항상 공유해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ㅜㅠㅠ 백엔드 개발자로서 응용도 잘하고 적응도 잘 하는 기본기가 탄탄한 개발자가 되고 싶네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꼭 그렇게 해주세요! 그리고 가급적 교육비를 지원해주는 좋은 직장으로 취업 성공하기를 바랍니다. 건투를 빕니다!
@makiseify11 ай бұрын
시스템 엔지니어링이랑 병행하니 개념이 모호해져서 보고 있는데 진짜 프로그래밍 보다 더 어렵네요.
@kijaesuk9555 Жыл бұрын
질문입니다. 도커에 컨테이너 한개만 24시간 게속 운영하고 있는데요ᆢ Vmmemwsl 프로세스가 평소에 메모리 점유율을 2.8기가로 안정적으로 점유하다가 램점유율을 어느순간 1기가나 1기가 밑으로 떨어져서 올라가지 못하고 유지를 하고 있는 현상 때문에 골치를 썩고 있는데요ᆢ 그래서 도커리스타트를 3일에 한번 하고 예기한 Vmmemwsl 프로세서의 램점유율을 2.8기가로 점유한채로 돌리고있습니다. 1기가 밑으로 떨어지면 절대 안되서 그러는데 이를 해결할수 있는 근본적인 원인을 꼭 알고싶습니다. 현재 i5-12세대 노트북 램16기가에서 돌리는데 램64기가 일단 주문을 해놨는데 이게 도움이 될수 있을까요?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저도 정확한 것은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단순 추정으로만 이야기 하자면 Working set size 이슈가 아닐까 짐작해봅니다. 관련 내용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우선 설정을 변경해 메모리 크기를 고정하시기를 권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makiseify11 ай бұрын
프로세스 기준에서 설명 드리자면 디폴트 기준 운영체제 + 프로그램 (2기가 + 2기가)혹은 (1기가 + 3기가) 까지 가능합니다. 64비트는 프로세스 가상 메모리 관리 수준이 다르니 이건 프로그램보단 se입장에서 봐야 알 수 있는 부분입니다.
@kijaesuk955511 ай бұрын
@@makiseify SE가 시니어 엔지니어 사람들을 지칭하는말인가요ᆢ
@makiseify11 ай бұрын
아 뭔지 알겠어요.. 예를 들어서 격리된 프로그램이면 가상화된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가상화된 파일로 격리된 프로그램에게 전송되어 집니다. 이런 개념이군요. 도커라는게
@chrollo-want-hisoka2 жыл бұрын
강의 감사합니다. 도커 컨테이너는 host os에게 프로세스로서 분류되기때문에 도커 컨테이너 안이던 밖이던 논리적으로도 같은 os의 통제를 받는건가요? 아니면 도커 컨테이너 안은 다른 os로서 동작하나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네, 그렇습니다. 다만 같은 OS라도 다른 인스턴스처럼 캡슐화 하고 작동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음...기존 OS의 클론이 만들어진 후 거기서 도커 프로세스가 작동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muonx96492 жыл бұрын
리눅스 namespace 도 같이 공부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thdqudgns Жыл бұрын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 프로세스다. 연속적인 연산을 갖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프로세스가 여러 개 실행되는 것이 멀티 태스킹이다. PID는 프로세스 ID다. OS의 커널은 자원을 관리한다. 프로세스는 자원이 관리되는 단위다. 컴퓨터의 CPU나 메모리 자원을 다른 프로세스들과 함께 사용하는 것은 맞지만, 도커의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컨테이너 내부로 프로세스의 활동반경이 줄어든다. 독립적으로 새로운 OS를 쓰는 것처럼 작동한다. Host OS 입장에서는 다른 프로세스와 동일하게, 그저 자원을 사용하는 프로세스 중 하나일 뿐이다. 프로세스는 OS가 관리하는 연산 단위의 주체다. 메모리가 엉키지 않도록 관리한다. 이때 메모리는 Virtual Memory 체계를 사용한다.
@pm486 Жыл бұрын
선생님 그러면... 그 용어 중에 '격리디스크'사용이 도커와 관련이 있는걸까요..? 보안상으로 격리디스크를 사용하는 이유도 있을까요
@nullnull_not_eq_null Жыл бұрын
격리 디스크에 대해 아는 것이 없어서 뭐라 말하기 어려우나 VM이 사용하는 전용 2차 메모리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성능이나 보안면에서 유리한 것이 사실입니다. 굳이 도커에 한정된 이야기가 아니며 모든 가상환경에서 동일합니다.
@훈가누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혹시 os가상화와 네트워크 기반 클라우드 강의도 올려주실 생각 있으실까요??
@nullnull_not_eq_null2 жыл бұрын
만들면 되긴 하겠지만...가상화를 논하기에 앞서 OS와 네트워크를 잘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가지를 잘 이해하고 있으면 비교적 쉽게 대응이 가능하지요. 해서 현재 계획중인 것은 시스템 프로그래밍과 운영체제 이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