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깨비와의 거래로 이야기꾼이 되었다?! 한국문학의 거장, 한승원의 작가로 살 수 있었던 이유는? [자연의 철학자들 KBS 20220805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7,414

KBS 다큐

KBS 다큐

6 ай бұрын

■ 반양반음의 풀들처럼
한국문학의 대표 소설가, 한승원 작가(83)는 그의 고향인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반양반음의 풀들처럼 살고 있다. 작가가 되바라져서 흥행하면 시가 죽는다며 작렬하는 햇볕을 피해 잿빛 안거에 들어선 지 20여 년이 흘렀다.
1968년, 단편소설 ‘목선’으로 신춘문예에 등단한 한승원 작가는 올해로 등단 56년을 맞이했다. 그는 김동리·박목월 선생에게 수학한 몇 안 남은 문하생이자 아시아 최초 맨부커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아버지이기도 하다. 대표작으로는 영화화된 ‘아제아제 바라아제’, 그리고 ‘앞산도 첩첩하고’, ‘해산 가는 길’, ‘해변의 길손’, 최근 출간한 자서전,‘산돌 키우기’ 등 수백 편에 이르는 작품을 집필했다.
한승원 작가가 자신의 문학적 토대인 고향 장흥으로 돌아온 것은 자연으로 귀화하기 위해서였다. 서울살이에 병색이 짙어져 귀향을 결심했지만, 자연 친화적인 삶을 살면서 더 깊은 세상의 이치를 알게 됐다고 한다. 작가의 든든한 후군이자 플러스 알파가 되어준 자연, 그 덕분에 망구(望九)의 작가는 여전히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내 시와 소설의 8할이 바다다
한승원 작가에게 시와 소설의 8할은 바다가 만들어 준 것이다. 초기 작품들 속에서 바다는 치열한 삶의 현장, 휴머니즘의 최극단이었다면 이제 구십을 바라보는 작가에게 바다는 자연으로 돌아가는 회귀의 공간이자 자연 친화적인 삶의 모태다.
20여 년 전, 바다가 그리웠던 한승원 작가가 고향에 돌아와 잠이 들었을 때, 꿈속에 나타난 도깨비가 “도깨비 나라에서 엄청나게 많은 돈을 빌려줄 테니까 득량만 바다라든지 하늘이라든지 다 사버려라.”라고 말했다. 대신 이야기를 열심히 써서 세상에 베풀어야 한다는 조건과 함께 도깨비와의 거래는 성사되었다고 한다.
천생 이야기꾼인 작가가 도깨비와의 거래를 통해 득량만 바다의 주인이 된 것은 더욱 특별한 의미였다. 학창 시절 아버지를 도와 김 양식을 했던 삶의 현장, 자기 문학의 발원지였던 그 대자연속에서 그의 말처럼 살아 있는 한 글을 쓰고, 글을 쓰는 한 살아있는 작가로 살 수 있기 때문이다.
■ 꽃에 씌어 산다
한승원 작가의 집필실은 ‘해산토굴‘ (海山土窟). 한덕산을 병풍삼은 작가의 토굴 마당에 서면 득량만 바다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정원은 자잘한 꽃과 풀들로 무성하다. 나이가 들면서 꽃과 나무, 심지어 풀까지도 가능하면 손대지 않고 있는 그대로 내버려 둔단다. 정원의 자연 또한 작가와 함께 늙어가고 함께 익어가며 함께 사는 것이기 때문이란다.
풀잎 하나, 꽃 한 송이가 우주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이것을 시와 소설로 쓴다는 건 하늘의 뜻과 땅의 질서를 읽는 것과 다름없다는 한승원 작가. 그래서 그의 소설과 시에는 다양한 꽃, 벌레, 새, 구름, 하늘, 달도 ’자연의 이치‘를 전하는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작품 한 편, 한 편 쓰는 것이 꽃 한 송이를 만들어 꽂아놓는 일이라고 말하는 작가는, 각자의 자리에서 열심히 사는 것 또한 꽃 한 송이를 피우는 성스러운 일이라고 세상을 향해 위로를 전한다.
■ 나의 오랜 벗, 이청준 그리고 산돌 키우기
집필실 뜨락에 공룡알처럼 생긴 바위가 눈에 띈다. 한승원 작가가 물 한 바가지를 떠온 뒤, 돌에 정성스레 물을 붓는데… 어린 시절 키우던 산돌 같은 것이라는 한승원 작가.
‘산돌 키우기’란 날마다 돌에 물을 주며, 착한 마음을 가지면 산돌이 큰다는 어린 시절 즐겨하던 놀이다. 돌이 큰다는 건 꿈같은 거짓말이지만 산돌을 키우던 아이들은 모두 실패와 좌절의 경험 속에서도 꿈을 잃지 않는단다. 평생 글만 쓰며 살았지만, 작가의 인생도 수많은 실패와 좌절의 시간들이 지나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매일, 쉬지 않고 자연과 소통하며 글을 쓰는 것은 독자들에게 희망의 씨앗을 심어주고 싶은 작가의 ‘산돌 키우기’다.
내츄럴 휴먼 다큐 자연의 철학자들 - 소설가 한승원, 반양반음의 풀들처럼
#자연의철학자들 #한승원 #소설가

Пікірлер: 10
@sgchoi9224
@sgchoi9224 5 ай бұрын
흑산도하늘길. 다산. 초의. 추사로 이어지는 선생님의 역사인물소설들은 저의 인생작품이 되었습니다. 더이상 선생님의 작품들같은 진중한 역사소설들이 나오지않는 세태가 몹시 아쉽기만합니다. 선생님 건강하시고 앞으로도 위대한소설들 계속 써주세요.
@BD-sv5cx
@BD-sv5cx Ай бұрын
아버님 한승원작가님 따님 한강작가님 존경합니다. ❤ 오래오래 건강하세요.
@glovalmgs3228
@glovalmgs3228 2 ай бұрын
@changsungpark460
@changsungpark460 6 ай бұрын
여긴 참 조용 합니다! 정치 유튭은 시끌벅적😅
@user-cy8ur5ld4i
@user-cy8ur5ld4i 6 ай бұрын
도깨비와의 거래.. 할리웃 스타들도 돈, 명예와 영혼을 사탄과 거래하는 것이 많은데 주님께 회개하시고 돌이켜야 합니다... 그래야 지옥 안 가십니다
@user-bi7wk6sz3f
@user-bi7wk6sz3f 6 ай бұрын
천국과 지옥은 인간이 만들어낸 허상입니다. 지금 내가 여기에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것이 지혜로운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user-cy8ur5ld4i
@user-cy8ur5ld4i 6 ай бұрын
@@user-bi7wk6sz3f 천국과 지옥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도 본인의 믿음입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영의세계가 있습니다.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다고 해서 없다고 결론 내릴 수 없습니다. 중요한 실체는 우리눈에 보이지 않습니다. 믿음, 소망, 사랑, 생각, 꿈같은 것들처럼요. 어둠과 악은 존재하며 선을 대적합니다. 천국이 있다는 것을 허상이라고 결론 지으신다면 천국이 없다고 주장하는 것이 망상라고 생각 됩니다.
@user-bi7wk6sz3f
@user-bi7wk6sz3f 6 ай бұрын
@@user-cy8ur5ld4i 천국과 지옥을 산소와 비교하시니 더는 할말이 없네요^^
@user-cy8ur5ld4i
@user-cy8ur5ld4i 6 ай бұрын
@@user-bi7wk6sz3f 바람이 잡히지 않는다고 없다고 할수 없단 말씀입니다. 천국이 없다고 확신하는 것도 결국 본인의 믿음이고 망상이죠. 어차피 믿음 쓰는거 세상을 창조하신 창조주에게 존재를 깨닫게 해달라고 직접 구해보세요 5 나는 여호와라 나 외에 다른 이가 없나니 나 밖에 신이 없느니라 너는 나를 알지 못하였을지라도 나는 네 띠를 동일 것이요 6 해 뜨는 곳에서든지 지는 곳에서든지 나 밖에 다른 이가 없는 줄을 알게 하리라 나는 여호와라 다른 이가 없느니라 7 나는 빛도 짓고 어둠도 창조하며 나는 평안도 짓고 환난도 창조하나니 나는 여호와라 이 모든 일들을 행하는 자니라 하였노라 (사45:5-7)
I wish I could change THIS fast! 🤣
00:33
America's Got Talent
Рет қаралды 74 МЛН
OMG🤪 #tiktok #shorts #potapova_blog
00:50
Potapova_blog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Мы никогда не были так напуганы!
00:15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3,3 МЛН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4,4 МЛН
Can this capsule save my life? 😱
0:50
A4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Щенок Нашёл Маму 🥹❤️
0:31
ДоброShorts
Рет қаралды 4,8 МЛН
37.First Day as a Zombie💀
0:32
Limekey0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