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마지막에 ' 그는 자신의 죽음이 종 전체의 소멸을 뜻한다는 걸 알았을까요? 알았다면, 그도 궁금해했을겁니다. 왜 그들이 아니라, 우리가 남았을까요 ' 짧은 글 긴여운을 남기네요.. 감동적입니다.
@긋긋긋-s6y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뭔개소리야 이딴거에 감동받을거면 왜사냐
@시푸-h1d4 жыл бұрын
@@긋긋긋-s6y 영상은 보기는 했니? 아니면 댓글달려고 들어왔니
@aaaa-gm1no4 жыл бұрын
긋긋긋 노답
@jasonwoo68564 жыл бұрын
ㅐㅐㅐ
@pentatonic15334 жыл бұрын
루시 : "신체의 3분의 1이 발견되었다. 몸체는 전형적인 원숭이의 것이지만 무릎관절은 사람과 닮았다는 이유로 원숭이-인간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금 대표적인 인류학자들은 루시를 전형적인 원숭이로 분류한다. 스톡스태드는 지에서 루시의 무릎관절에 주목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증거들은 루시가 주먹으로 걸었던 모습을 보여준다." (E. Stokstad, Hominid Ancestors May Have Knuckle Walked, Science, 2000)라고 말했으며, 리치몬드와 스트래이트는 지에서 조금은 비웃는 듯한 표현을 쓰며 비난하기도 했다. "캐비닛으로 걸어가서 문을 열었다. 아뿔싸! 그녀(루시)는 전형적인 주먹으로 걷는 모습이었다." (Richmond andstrait, Evidence that Humans Evolved from Knuckle-Walking Ancestor, Nature, 2000) 결론적으로 루시가 네발로 걷는 원숭이인 것이다. 더군다나 루시의 몸체와 무릎 관절은 같이 발견된 것이 아니라 3km 떨어진 곳에서 따로따로 발견되었다. 그밖에 네안데르탈인이나 탄자니아에서 발견된 레톨리 발자국 등도 있으나 나중에는 전형적인 인간의 것으로 결론이 났다. (본문내용) I walked over to the cabinet, pulled out Lucy, and--shazam!--she had the morphology that was classic for knuckle walkers." Lucy herself wasn't a knuckle walker, notes Richmond; rather, these wrist traits are a leftover from her knuckle-walking ancestors. 나는 캐비닛으로 걸어가서 루시를 꺼내어, 그리고--샤잠!--그녀는 너클 워커들에게 고전적인 형태학을 가지고 있었어." 루시 자신은 너클 워커가 아니었다고 리치몬드는 지적한다; 오히려 이러한 손목의 특징은 그녀의 너클 워킹을 하는 조상들이 남긴 것이라고.
@nijy57095 жыл бұрын
과연 우리의 현생이 마지막일까? 이 이후에 멸종은 정말 없는것일까? 정말 궁금하다.. 그리고 정말 새롭다..이런 류의 다큐 너무 좋음 ㅜ 재밌고 신비롭고.... 허허..
@세연154 жыл бұрын
ㅇㅈ... 나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가만히 멍 때리면 이 세계가 왜 존재하는지 왜 있는지 궁금해요..
@ccc88215 жыл бұрын
42:02 뭔얘기를 했길래 셋이 동시에 빵터지냐
@민수-j7j4 жыл бұрын
와진짜사람같다
@뇽뇽뇽뇽-g6d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ㅎㅎㅎㅎ 무슨 얘길 해서 동시에 낄낄대 사람들 같네 ㅎㅎㅎ
@pentatonic15334 жыл бұрын
루시 : "신체의 3분의 1이 발견되었다. 몸체는 전형적인 원숭이의 것이지만 무릎관절은 사람과 닮았다는 이유로 원숭이-인간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금 대표적인 인류학자들은 루시를 전형적인 원숭이로 분류한다. 스톡스태드는 지에서 루시의 무릎관절에 주목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증거들은 루시가 주먹으로 걸었던 모습을 보여준다." (E. Stokstad, Hominid Ancestors May Have Knuckle Walked, Science, 2000)라고 말했으며, 리치몬드와 스트래이트는 지에서 조금은 비웃는 듯한 표현을 쓰며 비난하기도 했다. "캐비닛으로 걸어가서 문을 열었다. 아뿔싸! 그녀(루시)는 전형적인 주먹으로 걷는 모습이었다." (Richmond andstrait, Evidence that Humans Evolved from Knuckle-Walking Ancestor, Nature, 2000) 결론적으로 루시가 네발로 걷는 원숭이인 것이다. 더군다나 루시의 몸체와 무릎 관절은 같이 발견된 것이 아니라 3km 떨어진 곳에서 따로따로 발견되었다. 그밖에 네안데르탈인이나 탄자니아에서 발견된 레톨리 발자국 등도 있으나 나중에는 전형적인 인간의 것으로 결론이 났다. (본문내용) I walked over to the cabinet, pulled out Lucy, and--shazam!--she had the morphology that was classic for knuckle walkers." Lucy herself wasn't a knuckle walker, notes Richmond; rather, these wrist traits are a leftover from her knuckle-walking ancestors. 나는 캐비닛으로 걸어가서 루시를 꺼내어, 그리고--샤잠!--그녀는 너클 워커들에게 고전적인 형태학을 가지고 있었어." 루시 자신은 너클 워커가 아니었다고 리치몬드는 지적한다; 오히려 이러한 손목의 특징은 그녀의 너클 워킹을 하는 조상들이 남긴 것이라고.
@azure2444 жыл бұрын
@@pentatonic1533 원숭이와 유인원의 차이부터 먼저 공부하셔야 할듯...
@heejinkim39786 жыл бұрын
굿굿굿 ... 사라진 인류... 정말 최고의 작품..
@jihwanpark95844 жыл бұрын
EBS다큐 꿀잼이야.가끔 ㅈㄴ게 땡긴단 말이지. 특히 자기전
@G_seektree5 жыл бұрын
인류가 살아가고 지나가는건 한 순간인거 같네요 ㅜㅜ
@희희-w9f4 жыл бұрын
아니.. 구성이랑 재연이랑 영상자료도 다 좋은데.. 비쥄 너무 선택 잘하는 거 아닙니까 EBS 다큐팀!! 진짜 너무 흥미진진ㅋㅋㅋㅋ
@jinyounggo84375 жыл бұрын
EBS다큐 만드시는 분들은 정말 연봉 2배로 올려주세요. 그만한 값어치를 하시는 분들입니다.
@sungtaejung-c5v4 жыл бұрын
이거 BBC나 해외다큐 사와서 방영하는건뎈ㅋㅋㅋㅋㅋㅋㅋㅋ
@고든프리맨-e1r4 жыл бұрын
응 해외 다큐야 ㅋㅋ
@송이양-w9n6 жыл бұрын
유튜브에서 통으로 볼수있어서 넘좋다 ㅠㅠ 잠잘라고 틀었는데 재미있어서 다봤넹 ㅠ
@jdigev6 жыл бұрын
송이양 ㅋㅋㅋㅋ귀엽
@GJ-rp8ik6 жыл бұрын
어엇 나두 그랬는뎅
@koreapredator17156 жыл бұрын
취향 참
@mozartist20065 жыл бұрын
마블영화보다 훨씬 재미있고 유익하기까지하네요
@한녀충장5 жыл бұрын
잘려고 막 선택했는데 그러면 안디는디
@mavelyaromi4 жыл бұрын
썸네일 몸이 좋아서 나도모르게 눌렀다..
@jennylovemexico4 жыл бұрын
12:47 극한 직업 배우들.. 13:52 15:52 17:32 32:33 13:09 70년전 존잘 14:24 34:18 40:32 웃으면 안되는데 .. 으아 으아 으아 대사가 너무 웃김 ㅜㅜㅋㅋㅋㅋㄲ 너무 재밌다... 개인적으로 재밌는 장면이 너무 많음... 33:05 평생을 쉬지않고 달려온 인생.. 36:53 RUN!!! 38:16 손시리고 힘들거 같다.. 이때 태어나면 너무 혹독한 인생..
@DAE_DO_JEOK5 жыл бұрын
49:05 광고가 사라지는 마법 00:01 다큐멘터리 : 새로운 시작
@ksy85714 жыл бұрын
시부레 이걸지금 봣네
@인경-r3b4 жыл бұрын
49:04
@handol99324 жыл бұрын
👍 최고
@doom93446 жыл бұрын
멋진 다큐 유튜브 공개 너무 감사합니다!
@dice76335 жыл бұрын
유익하고 재미있는 다큐 잘 보고 갑니다~
@rida41325 жыл бұрын
몇 번을 보아도 계속 새롭게 해석되는 다큐 입니다. 감사합니다. :)
@joonwon14 жыл бұрын
광고가 4분에 2개식 뜬다... 돈도 좋지만 너무한거 아니냐 진짜로
@성이름-d7h3f4 жыл бұрын
꼬우면 보질마
@user-xe1xu1eh7w4 жыл бұрын
49:05 이거 누르고 봐
@aaa-f1e4 жыл бұрын
유튜브 프리미엄~
@k.2w814 жыл бұрын
에드블록 쳐깔아 징징대지말고
@하나둘셋-t4m4 жыл бұрын
@@user-xe1xu1eh7w zz good
@wonderrabbitlee63435 жыл бұрын
원래 나쁜 독종이 항상 살아 남음
@jihwanpark95844 жыл бұрын
ㅇㅈ
@0031-r1t4 жыл бұрын
우리가 나쁜 독종임???? ㅠㅠ
@cjfflgkr4 жыл бұрын
강한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한 것이다 그들이 왜 멸종했는지 모르겠지만 우리가 가장 강했다 그렇기에 살아남지 않았을까?
@cidjwo55474 жыл бұрын
호모 사피엔스는 사이코패스적 기질이 강해서 살아남음
@emiyamulzomdao16444 жыл бұрын
@@ljh6463 조선족은 빼야지 조선족은 독립운동보다 한반도에서 일제강점기 사단 나니까 도망친사람이 많았는데
@yunguso5 жыл бұрын
보이세이 넘나 귀엽다 ㅋㅋㅋㅋ
@user-fk4fe4lk8t4 жыл бұрын
ㅇㅈ 약간 나무늘보 느낌
@Lululaa004 жыл бұрын
ㅋㅋ
@gukkijjada5 жыл бұрын
잠자려고 봤는데 잠이 깼습니다 젠장
@eyon445 жыл бұрын
자려면 우주의 끝을 찾아서를 봐야죠.
@계란찜-j8x5 жыл бұрын
@@eyon44 ㅋㅋㅋ
@8888aa5 жыл бұрын
저도요 ㅋㅋ
@hoo80964 жыл бұрын
@@eyon44 그거 보다 잠깨고 넘어왔음
@JungSungMock4 жыл бұрын
그러고보니까 어릴때는 단순하게 오스트랄로 피테쿠스 부터 네안 크로만뇽인 이런 단계식으로 배웠던 기억이나는데 그런 선형적 구조도 아니고 더구나 호모사피엔스란 말이 크로만뇽인 대체된것도 신기하네영
@JungSungMock4 жыл бұрын
더구나 종적으로 보면 우리 멸종 위기종 아님? 우리 한종만 남아있으니? ;;;;;;;
@이뿌이티비5 жыл бұрын
아무리 원시인이지만 난 원시인들이 저렇게 머리를 풀어헤치고 다니지 않았을거라 생각한다. 아마 나무줄기 등으로 깔끔하게 묶고 다녔었는데 머리끈이 썩어 남아 있질 않을 뿐이라고 생각한다
@junisung86075 жыл бұрын
오~뭔가 합리적 추론이라 설득력 있어
@권민성-g1u5 жыл бұрын
ㅇㅈ 그런거까지는 아무도 증명못할듯 오래전일이니까.
@_With_jesus_5 жыл бұрын
오 인정이요 . 생활하다가 머리가 길어서 불편하면 묶었을 것 같아요
@마봉수-o5h5 жыл бұрын
날카로운 물건으로 이발했을지도
@최지호-q1k5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우고 가요 한국인 지적호기심은 최고
@심술쟁이-j6m5 жыл бұрын
8시간 동안 느릿느릿 풀만 먹는 인류 ㅜㅜ 저게 판다지 인류냐 ㅜㅜ 저런 종이 어떻게 100만년을 버텼대 어휴
@fiercehan67914 жыл бұрын
재밌게 잘봤읍니다!!!
@미제드론6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강공주-n7d4 жыл бұрын
왜 다양한 인종이 생기게 됐는지도 궁금해요. 인종마다 피부색도 다르고 얼굴 생김새도 다르고 골격도 다르고, 기후나 환경 때문일것 같긴 한데.ㅜㅜ 궁금하다....
@서용관-e5p4 жыл бұрын
진화 하니까요... 당연한 겁니다. 오히려 인간은 다른 종들에 비하면 다양성이 극도로 적은 편입니다. 당장 개들만 봐도 털색이 아주 다양하죠? 진화란것 자체가 생물 종이 번식을 함으로 인해 다양성이 증가하는 현상이랍니다.
@7273그5 жыл бұрын
외롭긴....피부색 다르다고 다 때려잡는데 종이 다르다그러면 뭔 사단이 났을지..
@고양이와개구리-u9q5 жыл бұрын
나도 이 생각 함
@손건-r2p5 жыл бұрын
진쩌 외로워서 저런멘트를 한게아니잖어요. 주제는 모든동물은 친척이 있는데 왜 우리인류는 단 한종류이냐 해서 저런멘트를 친거죠.
@Anggimori5 жыл бұрын
아마 그래서 우리가 다른인류 멸종시킨거아닐까ㅋㅋㅋ
@로일당-o4v5 жыл бұрын
손건 우리도 친척 있잖아요 개돼지
@yiyi595 жыл бұрын
@@로일당-o4v 이게맞다
@SylphK5 жыл бұрын
현생인류한테도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아주 조금이나마 흐르지 않나요? 서로간에 살육도 했지만 강간도 있었고 혼혈도 생기고 그래서 약간 섞였다고 알고 있습니다.
@Poirot4775 жыл бұрын
유럽인과 아시아인의 유전자를 조사결과 2%정도의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나왔다고 함니다 일부 학계에서는 정글의 피그미족과 평원의 반투족처럼 그저 같은 종이지만 환경적응으로 체형이 다른 종일뿐이라는 설도 나오고 있습니다 또한 호모 사피엔스의 경우 가족이 살았을거라 생각되는 동굴에서 도보로 몇십여일을 걸어야 체취할수 있었던 민들레를 동굴벽에 장식했던 흔적도 나올정도로 당시 인류가 그들나름의 문화도 있었다고 함니다 실제 땐석기를 만드는 과정을 보면 생각보다 재료의 선정,돌의 가공각도등 많은 지식이 필요했으며 뇌용량은 당시영양분의 흡수를 현대와 비교분석하면 현대인류와 지식의 차는 있지만 지능의 차는 크게 없었다고 함니다
@leapk12085 жыл бұрын
유발 하라리의 사피언스 라는 책에서 여러 인간종들이 존재했고 이들은 이미 상당부분 다른 종으로 진화했기에 서로에게 성적호기심을 거의 느끼지 못했다고 합니다. 여러 인간종이 사라진것의 이론은 교배이론과 교체이론이 존재합니다. 서로 섞여서 사라졌다는 이론은 인간게놈을 분석한결과 적은 양만 기여했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유전적으로 완전히서 섞였다고 하기엔 단른종의 유전비율이 낮기 때문입니다. 교체이론은 호모사피엔스가 아프리카에서 퍼져나가며 다른 종들을 학살하고 죽였다는 내용으로 이이론이 거의 정설로 통합니다.
@choko16285 жыл бұрын
네안데르탈인이 수가적었기때문에 호모사피엔스에 흡수되었다고합니다. 현생인류 유전자 조사를 하면 네안데르탈인 유전자가있는 사람의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여성의 염색체만 나온다고합니다. 학자들은 추측하기로 남자인 네안데르탈인은 정복중 죽였거나 유전적인 이유로 번식이 불가했을 것이라는거죠. 확실한건 네안데르탈인이 암컷이고 호모사피엔스가 수컷일 경우에는 번식이 가능했다는거죠. 현생인류의 유전자에 남아있는 네안데르탈인.. 완전한 네안데르탈인은 아니지만 지구에는 아직도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릅니다
@드라군-v1c4 жыл бұрын
@@Poirot477 그런 원시인류들이 저렇게 머리를 산발하고 다녔을리가 없겠네요. 포니테일로 묶고 다녔을듯
@kliy48956 жыл бұрын
좀 인류말고도 다른 고대생물 관련 다큐들 많이 나왔으면ㅋㅋ 공룡이나 고생&신생 대 동물
@jhlee51536 жыл бұрын
찾아보고 말하는거? 찾아보면 셀수없이많은데요...
@kliy48956 жыл бұрын
@@jhlee5153 있긴한데 최근대 기준으로 말한거에요
@로일당-o4v5 жыл бұрын
JH Lee 셀 수는 있을깔여?
@jae1k2795 жыл бұрын
퀄리티가ㄷㄷ하네요 나레이션도 완벽
@TV-pz7lq5 жыл бұрын
아스달 연대기보다 이게 더 재밌음 ㅇㅇ
@todaynextday5 жыл бұрын
요즘 낙이 이런거 보는거다 왜 쓸데없이 재밌냐
@KoreanBomb5 жыл бұрын
수험생이시군요
@todaynextday5 жыл бұрын
@@KoreanBomb 대학생입니다....
@하영호-t7d5 жыл бұрын
행복얼라이언스 행복기원합니다 ᆢ
@지쩔5 жыл бұрын
와...되게 빨리 끝났다고 생각했는데 한 시간 훅 갔다.
@RottenWater_Immune5 жыл бұрын
호모사피엔스 단 한 종만 있다는 게 어쩌면 사라진 인류들에게는 다행일지도. 인간의 행태를 봤을때 과연 그들을 동등한 인간 대접 해 줬을까. 같은 인류인데도 타인종을 노예나 짐승 쯤으로 여기던 시절도 있었는데. 사라진 다른 인류가 지금도 있다면 공존할 수 있을까? 옛날 고전 영화인데 '신세계'란 영화를 봤다면 내 말이 이해될 것이다. 아마 그들은 영화 속에서처럼 보호구역에 살면서 연구용이나 짐승취급을 받을 것이다. '동물의 왕국' 단골출연이겠지.
@유예지-v9e5 жыл бұрын
여러 있었는데 다 멸종되었죠..
@유예지-v9e5 жыл бұрын
@ᄋᄆᄂ 현 인류의 특징은 자신들과 비슷하게 생긴것들을 혐오하고 무서워 하죠. 그건 인간 사회안에서도 통용됩니다.
@베이비45 жыл бұрын
판타지에서 아인종이 박해받는거 보면 ㄷ
@joyparkyful5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싸그리 다 죽인거임
@MrRanegade15 жыл бұрын
현생인류 유전자에 네안데르탈인 하고 데니소반인 유전자 포함되어 있어요 아프리카 흑인(사하라 이남)들에게는 거의 안나오고 백인 아시아인유전자에 네아데르탈인 유전자가 섞여있고 거기에 데니소반인 유전자가 더 섞인게 남태평양에 주로 거주하는 폴리네시안인들 입니다
@우주-t7m5 жыл бұрын
49분영상에 광고가 몇개야 대체 ㅡ..ㅡ
@RoseMary-td7yh4 жыл бұрын
영상키고 드래그로 끝까지 밀고 다시재생하면 광고사라지잖아 아직도그걸모르니 어랏 9개월전댓글이네
@Ryan022504 жыл бұрын
@@RoseMary-td7yh ㅋㅋ
@mavelyaromi4 жыл бұрын
나레이션이 신하균이라 어쩔수없음ㅋㅋ
@blackapple78154 жыл бұрын
레드튜브혀
@kty1982224 жыл бұрын
컴은 밀고보기 안댄다든뎅
@와치독-s1e5 жыл бұрын
짧은 시간에 압축된 정보전달.. 굿..굿...
@Sjh-jo2-05 жыл бұрын
강한자가 살아남는게 아닌 살아남는자가 강한것이다 라는 말이 맞는듯
@한적한삶6 жыл бұрын
신하균씨 목소린가요? 듣기 좋네요
@사과-x7h5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조분조분 듣기 편안하네요^^
@관종은알림칼차단-p5q4 жыл бұрын
3:00 오른쪽 아래에 내래이션 신하균이라고나오네요
@johnpx45415 жыл бұрын
내 생각엔 네안데르탈인보다 우린 더 똑똑했고 그건 비열함이었겠지.. 최후의 순간엔 머리를 써서 네안데르탈인을 죽이지않았을까...
@칸의장우산5 жыл бұрын
총균쇠에 따르면 우리가 더 여행 본능이 뛰어나서 그렇다고 함 네안데르탈인들은 그 비좁은 유럽에서 벗어나지를 않았고 우리는 수백만 년 전 살던 호모 에렉투스 이후로는 처음으로 전세계로 퍼진 인종이었음 스타크래프트는 문명으로 따지면 우리가 멀티 엄청나게 깔고 자원 휩쓸어가니 당연히 생존 경쟁에서 이길 수 있게 된 거 반면에 네안데르탈인들은 비좁은 땅 안에서 근친혼만 하다 약해진거고
@123-e4h7n5 жыл бұрын
네안데르탈인이 뇌용량 더 커요. 서로 죽이거나 통수 쳤으면 뼈에 상흔 남구요 손 안쓰고 죽일 지능은 당연히 없고
@marksmithcollins5 жыл бұрын
무슨 외교하는것도 아니고 비열함이 어딨어 그냥 지능이지
@SuperPlayboy2k5 жыл бұрын
두종이 합쳐진게 지금의 백인과 아시안이라고 하던데요 멸종이아니라 호모사피엔스에 흡수
@kty1982224 жыл бұрын
다른 다큐에서는 언어의 발달차이라고 하는걸 봤어요 언어로 공동의 목표와 믿음 단결력을 느끼고 종교의 힘도 컸다고 했어요 털을 골라주고 유대감을 느끼는 침팬지나 그런 동물들은 50명인가 100명과 유대감을 갖는데 같은 종교로는 수천명까지 연대하게되어 그 집단의 힘으로 네안데르탈인을 이겼다는 내용이 있었어요
@정유석-s1g5 жыл бұрын
49:05 광고제거
@simonjeon25274 жыл бұрын
좋은 뉴스를 전해 드립니다. 예수 그리스도 [예슈아 메시아]를 믿고 구원을 받으십시오 ! “주 예수를 믿으라 그리하면 너와 네 집이 구원을 얻으리라” 사도행전 16:31 예수 그리스도를 만나십시오. 어떠한 죄도 용서 받을 수 있습니다. “너희의 죄가 주홍 같을지라도 눈과 같이 희어질 것이요 진홍 같이 붉을지라도 양털 같이 희게 되리라”(이사야 1:18) 우리 인생의 종착역은 죽음입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해진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히브리서 9:27) 가까운 교회에 나가시면 믿음 생활에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당신을 사랑하십니다. [주의] 신천지 위장 교회 인지 반드시 분별하여 출석하십시오.
@TheAntimouse4 жыл бұрын
유발하리리의 사피엔스 읽어보면 좋음
@sunj53874 жыл бұрын
14:26 데드캠프 한 장면인줄 ㄷㄷ
@KSjanghan4 жыл бұрын
저도 멸종이라기보다는 호모사피엔스에 흡수되었다는게 더 그럴듯한 가설인거 같아요.
@백진하-v4r6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보고있습니다 정말 제가 이런거 좋아하는줄 몰랐네요
@심심해-e4u4 жыл бұрын
개꿀잼이당
@sailortime44805 жыл бұрын
일부는 호모사피엔스에 흡수됐을 수도 있을것 같은데?
@강지은-g4e5 жыл бұрын
실제로 흡수됐습니다.아프리까쪽 흑인 빼곤 아시아,유럽사람들 유전자엔 네안데르탈인이 섞여있죠.폴리네시아쪽은 다른 토착 인종이 더섞여있고요
@쮸쀼쮸쀼-h9f4 жыл бұрын
ㅗㅜㅑ 흡수
@bebeee69126 жыл бұрын
오 이거 재밌게 봤는데 감사욤
@지렁이발가락5 жыл бұрын
이거 뭔데 재밌는거쥬....
@사과-x7h5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유익하고 재밌네요😌😔
@jimmysoo12635 жыл бұрын
6피트 같은 단위 나올때 가로치고 한국식 단위 써주면 좋겠다ㅜ
@reefkorea5 жыл бұрын
180cm
@소년보살보조개5 жыл бұрын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6피트는 182.88cm라고 나와용! 반올림하면 183이겠네요.
@isthefirstwhat76495 жыл бұрын
한국식 단위라면... '자'나 '치' 같은 걸 말하는 건가요 ㅋㅋ
@J_wss5 жыл бұрын
가로아니고 괄호가 맞습니다
@손동영-e7u5 жыл бұрын
동영상이 수정되지 않았다면 바로 다음에 180에서 182 센치 라고 말해여. 그래서 따로 안넣지 않았을까요
@경그리거-e3j5 жыл бұрын
스페인어라 참 좋군 스페인에 살면서 봤던건데 한글더빙으로 보니 새롭넹ㅎ
@jimmysoo12635 жыл бұрын
그러네..호모사피엔스만 남았구나
@범죄수사팀6 жыл бұрын
아침마다 신도림역에서 자주보는 얼굴들이네
@코스모스-q2k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미쳣냐고
@anwp5 жыл бұрын
개웃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m9rx8vp2z5 жыл бұрын
신도림역에 유리가 많긴 하죠 ㅎㅎ
@정은아-n7w5 жыл бұрын
그니까요. 남자나 여자나 저얼굴.. 한 핏줄이라...
@jong-ohkim53815 жыл бұрын
@가난한꿈 아아~ 아침마다 세수할라고 거울보고 느낀것은 아니고요?ㅎㅎㅎㅎㅎ
@young-ceo5 жыл бұрын
이런게 레알 교육이지
@파츤츤5 жыл бұрын
조상들이 180대네 슈밤
@tammygoony98156 жыл бұрын
보이세이.. 너무 귀엽네요..ㅎ 역시 짧고 얼굴 크면 비율이 안좋아져서 귀여운듯.
@marcopolo77126 жыл бұрын
님조상일듯ㅎ
@wjdgus7_75 жыл бұрын
쟤네 촬영끝나면 청바지에 맨투맨입고 아이폰들고 페이스북하며 비행기타고 집감ㅇㅇ
@haraldhardrada55804 жыл бұрын
딱봐도 분장인데 이게 리얼리티 프로그램도 아니고
@관운장KOR4 жыл бұрын
아이폰 쓰는거 맞다. 조선반도에 특히 공장 노동자, 고졸, 50세 이상, 아이큐 100미만들이 주로 겔럭시 쓰지. 아이폰이 어렵데 ㅋㅋㅋㅋㅋㅋ 아이큐 존나 궁금
@박대성-i1l4 жыл бұрын
@@관운장KOR 인종 차별하는 쓰레기들만 문제가 아니야 직업 연령 성별 학력 차별하고 조장하는 당신같은 사람들이 이 사회를 좀 먹는 암적인 존재지
@유브-v3j4 жыл бұрын
당연하거아니냐 연기인데ㅋㅋㅋ
@user-uv1xv5hr2s4 жыл бұрын
@@관운장KOR 갤럭시 쓰는 게 지능이 딸리는거야...?
@poohjinping73195 жыл бұрын
저 이거 엑스트라로 개고생하면서 찍었습니다 흐미...
@dandychopper5 жыл бұрын
보이세이 역이었어요?
@계란찜-j8x5 жыл бұрын
이런건 분장안해도 돼서 편하지 않나요?
@bookstoremaster10235 жыл бұрын
헐 보이세이 역이셨나요ㅋㅋㅋ 뭘하셨든 고생하셨습니다
@sarapark35525 жыл бұрын
저도 찍었는데 반갑네요
@teachmomenglish5 жыл бұрын
ㅋㅋ댓글들
@진수정-h8v5 жыл бұрын
잘잤다아
@박광우-n9u5 жыл бұрын
가끔이런거재밌드라
@성이름-m3u5 жыл бұрын
팩트 현생인류는 호모사피엔스 단독이 아닌 네안데르탈 및 데니소바인들과 혼혈되었다.
@성이름-m3u5 жыл бұрын
@ᄋᄆᄂ 팩트 유전자연구에서 네안데르탈 유전자가 발견되지 않는 지역은 사하라 이남이다
@belets97795 жыл бұрын
팩트 데니소바인은 거의 없다
@로일당-o4v5 жыл бұрын
데니소바인은 어케 생겼나여
@유진이-o3x4 жыл бұрын
@@로일당-o4v 파푸아 뉴기니
@namhan59566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자고갑니다
@준호-d7u4 жыл бұрын
참 전쟁 좋아하고 죽이기 좋아하는 사피엔스
@정로건-o5q5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재밋다 ..
@user-fk4fe4lk8t4 жыл бұрын
보이세이 왤캐 귀엽누
@하마-k7q5 жыл бұрын
반듯하게 평평한 지층은 아래부터 위로 생기는게 아니라 옆에서부터 형성된다. 지층이 다르다 해서 시대가 다르지 않다는게 최근 연구결과로 밝혀졌다.
@FireChickenKnight4 жыл бұрын
시험기간인데 존나재밌음
@langsam29314 жыл бұрын
현생인류도 대멸종 사건을 통해 생물학적 다양성이 굉장히 많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최초의 남자라는 책에서 오랜기간동안 가뭄으로 인해 인류의 90% 멸종하는 대멸종 사건이 있었는데 , 살아남기 위해 아프리카를 떠나 유라시아 대륙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고 하네요. 그 때 먹을게 없어 해안가를 따라 이동하며 조개를 주식으로 겨우 버텼다고 해서 인류는 조개한테 고마워 해야한다는 기사도 있었습니다. 만약 그때 대멸종이 없었더라면 훨씬 다양한 생김새, 노래, 문학작품, 건축물들을 볼 수 있었을텐데 아쉽다는 생각도 듭니다.
@강현우-o9e5 жыл бұрын
13:10
@Krusianhenrisehudo5 жыл бұрын
자기전에 그냥 넘기면서 잠깐볼라고 틀었는데 댓글에 하도 극찬들을하길래 끝까지다봤네...정말감사합니다 ㅠㅠ
@allem496 жыл бұрын
광고 많아도 되니 통영상 많이 부탁해요
@무지무지퓨5 жыл бұрын
통영상 아니구 동영상 입니다
@안녕하세요-x8j5 жыл бұрын
자르지말고 통으로 보고싶다 중간중간 짤리니깐 이 얘기를 하려고하신듯
@dy_80845 жыл бұрын
분명히 멸종한 종족들인데 털만 빼면 비슷하게 생긴 사람을 왜 아침마다 거울에서 발견할 수 있을까
@김은비-m9r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
@confused_cat5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은재-g4p4 жыл бұрын
갯벌좌
@piamarine4 жыл бұрын
광고가 본편이고 본편이광고같네 대단하다
@SpecialKnight별시위5 жыл бұрын
뇌의 성장은 무리생활 보다는 신체 감각기관이 얻는 정보로 부터 나오는 겁니다. 인간은 유난히 시각정보에 의존도가 높은거고요. 개미나 벌 같은 곤충도 무리생활은 할줄 압니다. 곤충들이 무리생활을 하는게 뇌 용적이 커져야만 가능한건 아닙니다. 시각정보와 후각과 진동주파수로 청각정보를 전달하는 간단한 행위로도 무리생활은 가능합니다.
@SpecialKnight별시위5 жыл бұрын
사회성도 인지능력의 일종인데, 역시 감각기관으로 얻어내는 겁니다. 소리로 의사를 전달하는건 귀로 들어야 하고, 표정과 몸짓으로 전달하는건 눈으로 봐야 하는겁니다. 인간은 말을 하지않아도 상대의 표정과 행동만 봐도 감정상태를 알수 있습니다. 물론 동물도 마찬가지입니다. 집에서 기르는 애완동물도 인간의 표정을 읽을줄 압니다. 이건 모두 감각기관이 얻는 정보를 통해 가능한 겁니다. 그리고 그게 뇌의 발달에 밀접한 영향을 주는거고요.
@SpecialKnight별시위5 жыл бұрын
하이델베르긴시스나 네안데르탈렌시스가 왜 멸종했는지는 학자들이 연구해서 밝혀내야 하는거겠죠. 근데 모든 동물이 다 힘세고 똑똑하다고해서 다 살아남지는 못합니다. 특이 질병으로 멸종하는 종도 있고, 환경문제로 멸종하는 종도 있고, 어지간히 요건이 갖춰져도 번식력이 부족해 멸종하는 종도 있습니다. 야생의 호랑이가 아무리 날쌔고 강해도 그 개체수는 계속 줄어들고, 제대로 날지도 못하는 비둘기가 끊임없이 개체수가 늘어나는 것을 종이 우월하다로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바퀴벌레가 수억년 번식하며 생존하는 것을 영리함과 강인함 만으로 설명할수 없듯, 현생인류가 끝까지 살아남은 것도 결코 우리종이 우월해서 남은것 만은 아니란걸 알아야 합니다.
@달껄룩5 жыл бұрын
어쩌면 종교에서 말한 신의 축복이라는건 생존을 위한 진화가 아닐까 생각이 들기도한다. 여러종이 나뉘어지면서 생존이라는 시험에 들게하고 그 시험을 거쳐 강인하게 진화해온게 인류다. 하느님이 생명을 창조했는지, 생명이 스스로 창조된건지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게 없으며, 그 증거또한 전부 진짜인지 확인할 방법은 아직까진 확실치 않다. 하지만, 스스로 살아남기위해 그리고 인류의 존속과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진화해올 수 있던건 어쩌면 과학으로써 인류가 진화라는 누군가의 축복을 받았다는걸 , 그리고 문명과 역사가 인류의 위대함과 자부심의 정점을 누군가에게 표출하기 위함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나는 천주교인이면서, 인류는 진화를 통해 왔다는걸 믿는 어쩌면 과학신봉자이기도하다. 종교와 신은 인류가 기대고 믿을 수 있었던 집단 생존본능의 집합체라고 보고, 그 본능은 스스로 진화함과 동시에 여러 사회적 동물과 인류가 가질수 있는 우연, 즉 신의 보살핌이라고 생각한다. 이말이 맞을수도 있고 틀릴수도 있다. 하지만 이건 하난 말하고싶다. 종교와 과학은 대립할수도 있지만 서로가 증명할수 없는 문제를 각자의 답으로써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것. 어느 한쪽의 치우치는것이 아닌, 서로의 정점속 화합에서 진정한 인류의 존재 이유를 밝힐 수 있다는것. 종교와 과학은 서로의 빈틈을 메워주며 인류라는 탑을 세우는 벽돌이란걸.
@dhs4975 жыл бұрын
Jin지누 그래서 바티칸 교황청에가면 정원에 과학기술과 종교의 화합을 보여주는 조각물이 인상깊게 자리하고있죠
@깜돌이-t2l4 жыл бұрын
적어도 인류의 조상이 현 인류처럼은 안 생겼음 기독교에서는 현재의 인류 모습이 하나님의 형상이라고 하잖아요.그래서 진화론과 창조론은 화합될 수 없음 일주일만에 창조 했다고 해 놓고선 과학이 발전하니 창조의 하루와 지구의 하루는 다르다고 말하니..
@내얼굴박서준-y1r6 жыл бұрын
49:04
@allaboutfitness44725 жыл бұрын
13:10 원시인은 벤치 몇칠까????
@약탈자-x1n4 жыл бұрын
필요한 근육만 썻을테니 온몸이 근육질인건 에너지 낭비엿음.
@쮸쀼쮸쀼-h9f4 жыл бұрын
@@약탈자-x1n 안녕하세요 원시에서 왔는데 3대 800 기본으로 찍었습니다
@권태호-l7y5 жыл бұрын
34:15초 우는것 맞죠?
@ili1lil1il1l1i5 жыл бұрын
오 재밌겠다 하고 틀었는데 잠듬.......
@emilylee45456 жыл бұрын
Ebs 다큐들은 1080p 지원 안하나요
@Evan92s5 жыл бұрын
번역때문에 많이들 혼동하시는데 종, 아종, 인종은 다릅니다. 종, 아종은 생물학적 구분이지만 인종은 아니에요. species, race로 사용 단어도 다릅니다. 굳이 구분하자면 대충 같은 종 - 같은 아종 - (같은 변종) - 인종이란 카데고리 안에 속해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로일당-o4v5 жыл бұрын
고양이과로 치면 사자 호랑이는 다른 종이고 시베리아 뱅갈호는 아종이런건가
@akim60155 жыл бұрын
우리의 유전자중 4%는 네안데르탈인이라네요 출) "아시아인, 유럽인보다 네안데르탈인에 더 가깝다..현대인 유전자의 최대 4% 멸종한 '네안데르탈 인'"
@전직악플러-c4j5 жыл бұрын
@젤다의전설 꿈꾸는섬 아프리카인들은 순수한 호모사피엔스입니다
@하요-e6u5 жыл бұрын
@젤다의전설 꿈꾸는섬 흑인이 더 진화한 호모사피엔스임
@냉장고-m6b5 жыл бұрын
@@하요-e6u 아니죠. 아프리카인이 오리지날 호모 사피엔스가 맞지만 유전자의 다양성을 생각해본다면 더 진화한 개체는 아니지요. 예를들어 특정질병이 있고 그 질병이 호모사피엔스에겐 치명적이고 네안데르탈인에겐 그 질병의 내성이 있다면 그래서 지금의 시대에 그 병이 퍼진다면 순수아프리카인은 멸종하고 네안데르탈이의 피가 섞인 유전적 다양성을 갖고있는 유럽 아시아인은 많은 사람이 죽겠지만 일부는 살아남아 멸종은 하지 않겠지요. 예를 들었지만 식물을 비교하고 같은 종의 식물이 유전적 다양성을 갖지 못 했을때 그 지역의 식물이 멸종했던 아일랜드 대기근을 생각해 보면 유전적으로 순수한 호모사피엔스인 아프리카인들이 더 진화한 인류는 아닙니다.
@SuperPlayboy2k5 жыл бұрын
흑인은 순수호모사피엔스임 동양인하고 유럽인이 잡종임
@inzabong5 жыл бұрын
@@SuperPlayboy2k 혼종은 강하다
@우주-t7m5 жыл бұрын
보이세이 대역 하신분 누구세요 ? 참 희얀하게 생기겻네여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leehyukkyun29206 жыл бұрын
좋은프로그램이다
@user-ul2rs3tt2r5 жыл бұрын
다양한 종이 있었으면 좋았을텐데.. 이 넓은 행성에 지성을 가진종이 한종만 있으니까 뭔가 외롭고 공허해......
@JReadingKoreanpoetry4 жыл бұрын
네안데르탈인피도 섞였다던데
@dnrlek114 жыл бұрын
보이세이 귀여워
@jine4925 жыл бұрын
요즘은 지구상에 여러인류가 다양한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생겨나서 서로 얽히고섥혔다고 무슨 강물줄기?이론인가가 유력하다던데..
@하또기4 жыл бұрын
13:10 여러분이 원하시는 부분
@Monkeywithhair5 жыл бұрын
근데 구지 여기서 종교랑 진화론이 싸워야됨? 나는 진화론 쪽을 좋아하는데 구지 종교인들이 종교 믿는거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데 각자 자기 믿고 싶은거 믿으면 되지않음???
@stevenrhee83985 жыл бұрын
왜 호모사피엔스만 생존했느냐하면 호모사피엔스는 얍삽하고 독종이었기 때문이다.
@minsookim53455 жыл бұрын
끝까지다큐안본사람들이 좋아요누르나 이런글에
@123-e4h7n5 жыл бұрын
네안데르가 뇌용량이나 기술이 더 정교했음. 근데 사피는 언어를 통해 먹이 변화에 대한 소통이 가능했고 빙하기를 걸치며 일어난 변화에 대해 소통이 가능했던 사피가 잘 대처했다는게 일반적이죠
@123-e4h7n5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는 자료와 근거를 통해 유추하는데 댓글에는 독종이여서 생존을 했다뇨ㅠ
@F4go5 жыл бұрын
개체가 제일 약했기 때문에 조직이 발달했고 그로인해 문명이 형성되어 발전된거 네안데르탈인은 개체가 뛰어나 분업이 필요없기에 의사소통의 한계와 세부적인 요인으로 조직체계가 발전하지 못했기에 환경의 역습에 멸종한거. 인프라 구축으로 환경을 이기고 살아남느냐 못살아남느냐의 차이. 결국 최약체에다 작은 일도 나눠서 해야하는 사피엔스가 분업을 통해 의사소통이 발전했고 일의 분량을 나누었기에 자아가 발달하고 역할을 인식하여 개인의 소유욕이 생기고 니꺼 내꺼라는 인식이 생겨남. 거기서 사유재산과 지키려는 의지가 문명을 탄생시킴. 네안데르탈인은 그런게 없었음....
@음료수땡긴다4 жыл бұрын
성우 신하균인가요?
@anwp5 жыл бұрын
그 와중에 중간에 몸 개좋다 워너비몸이다
@Jackie_loves_Suji5 жыл бұрын
보이세이 너무 귀여워 ㅠㅠ
@AFDKOREA4 жыл бұрын
보이세이 ㅠㅠ
@corntastetrain6 жыл бұрын
현생인류는 외부요인보다 역시 자멸할 확률이 더 높을까요? 종말이 너무 궁금한데 그때쯤 우린 이미 백골이겠죠 개섭섭..
@kliy48956 жыл бұрын
솔까 서로 못잡아 먹어서 안달난 현 모습들 보면 결과적으로 한종밖에 안살아남은 게 다행일지도... -현실판 WOW꼴 났을듯...-
@Ody52306 жыл бұрын
자기 종족의 종말을 보지 못하고 가는 게 섭섭하다니..공감 능력은 어디다 고이 모셔두고 계신건지요. 섭섭해할 여유가 있다면 그 시간을, 어떻게 하면 인류의 고통과 종말의 위기를 예방할 수 있을까에 투자해보세요.
@zema90606 жыл бұрын
그냥 학구적인 호기심때문에 섭섭하다고 표현하신건 아닐까요?
@Poirot4775 жыл бұрын
현 인류는 지구를 지속적으로 착취하기에는 인구수가 너무 높다는것도 문제이죠 현인류를 2%정도만 남기고 전쟁이나 인위적 질병등을 지속적으로 퍼트려 수를 줄이던지 번식을 강제로 제한하여 수를 줄일필요가 있습니다 소도 몸에 벼룩이 이리많다면 죽어버릴테니까요
@jimmysoo12635 жыл бұрын
자멸할듯 뉴스만 틀어도 알수있음..
@신진숙-o5g6 жыл бұрын
왠지 슬프네요~ 종이 사라진다는건~
@rerepo12304 жыл бұрын
모로코 제벨 이르후드에서 30만년전의 현생인류 뼈가 발견되었습니다. 현생인류의 발현은 20만년전이 아닌 30만년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