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날 간첩으로 몰려 어머니를 두고 남한으로 도망친 부부┃그리운 고향 아오지를 생각하며 지은 북한식 집┃건축탐구 집┃

  Рет қаралды 349,933

EBS Documentary

EBS Documentary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189
@crimson-t9
@crimson-t9 Жыл бұрын
집이 아니라 그리움.어머니 라는 말이 잘 어울리네요ㅠ 저도 눈물이 주르륵. 탈북민들 한이 얼마나 많을까요? 마음이 아파요.
@Kmetod
@Kmetod Жыл бұрын
머나먼 추운 함경도에서 오신 분들이 그곳 어머니가 계신 고향의 집을 지으신 모습이 왠지 눈물이 나네요... 북한은 왜 그렇게 인간다운 삶을 못하게 막는지 ....남한에서 행복하게 사시기 바랍니다 ...
@ozmagic223101
@ozmagic223101 Жыл бұрын
펑펑 울면서 봤네요ㅠㅠ 집이 굉장히 신기하네요. 크기는 조그마한 창고같은데, 어느 집보다도 정서적 울림이 크네요.
@bona5610
@bona5610 Жыл бұрын
가족과의 추억을 지으셨네요 ㅠㅠ 찡합니다..ㅠㅠ 이산의 아픔을 누가 다 알겠어요.. ㅠㅠ
@keehuz7599
@keehuz7599 Жыл бұрын
슬픔을 건강하게 이겨내는 부부군요. 멋집니다. ㅎㅎ
@기우경-e7u
@기우경-e7u Жыл бұрын
아오지 지명만 들어도 고생스런 오지동네 그곳도 고향이니 그리운분들이 계시네요 자유왕래라도 가능했음 싶네요
@대한민국-m1h
@대한민국-m1h Жыл бұрын
얼마나 고향집이 그리우면 똑같이 많드셨을까~ 우리도 옛날 아르묵에 둘러 앉아 동셍들과 놀던생각이 나네요~
@총총이-k1h
@총총이-k1h Жыл бұрын
집을 짓는다는게 단순히 육체적 노동이 아니라 건축 기술이 따라줘야 하는데 참 대단하시고 아내분 드살머리가 갑이시네요! 두분 행복하세요 ~~
@낙화유수-s4x
@낙화유수-s4x Жыл бұрын
드살머리가 남한말로 기가세다 생활력이 강하다 이런뜻같네요
@ghijkabcdef6887
@ghijkabcdef6887 Жыл бұрын
태풍 불면 날아갈것 같은데
@총총이-k1h
@총총이-k1h Жыл бұрын
@@ghijkabcdef6887 주변에 나무가 빼곡해서 괜찮을것같애요😄
@Sk7285
@Sk7285 Жыл бұрын
​ 남성미 적인 성격 가진 여자 에게 쓰는 말로써 기가 세다기보다는 좀 힘이 세고 성질 이 세다 쪽이 더 가까울 것 같애요. 기 가센 사람이라고 하면 북에선 좀 안 좋은 말 인데 저 여자 기가 세서 들어온 남자들 배겨 못 난다 이럴 때 쓴거 같아요 . 드살 세다는 대체로 여자 에게 쓰는 말 이기도 합니다. 무슨 여자가 드살이 이렇게 세냐. 그 여자 드살이 세다.
@총총이-k1h
@총총이-k1h Жыл бұрын
@@Sk7285 정확하게 표현해주셨네요👍 그쵸~ 북한에서 기세단 말은 그런뜻으로 해석되는데 까맣게 잊고있었네요 😄
@라온하루-k5p
@라온하루-k5p Жыл бұрын
70년대 초 중반 어려서 실컷 뛰어 놀다가 시골 초가집 굴뚝에서 일제히 연기가 피어 오르면 , 집의 부모님들이 밥 먹으라고 부르면 놀이를 마치고 제각기 집으로 가던 기억이 나네요.
@여니들
@여니들 Жыл бұрын
굴뚝의 추억... 뭉클합니다...향수가 가득한 아름다운 집이네요. 아름다운 분들이시구요. 행복하세요❤
@토닥토닥-t9u
@토닥토닥-t9u Жыл бұрын
아이고 아오지서 그고생하고 뭐가 그리워 좋은집살지 똑같은집을 지을까했는데 지금은 사는집은 따로있고 휴식공간으로 추억의 집이라면 괜찮겠네요 고향생각 날때마다 들려서 쉬시다가시는것도 휠링되죠
@TJN-ec9iw
@TJN-ec9iw Жыл бұрын
북에 계신 부모님 꼭 한국에 모셔오길 바랍니다
@복자김-y2d
@복자김-y2d Жыл бұрын
너무마음이아파서 눈물이흐르네요~~~ 부디건강하시고좋은날들만있으시길요
@alicepak8847
@alicepak8847 Жыл бұрын
부뚜막 보니까 나도 우리 오마니 아바지 생각이 너무 나네요. 해마다 굴뚝 부뚜막 고쳤는데 그때가 너무 그립습니다. 죽기 전에는 가볼수 있겠는지……
@서선희-o8z
@서선희-o8z Жыл бұрын
😢
@현정노-f6x
@현정노-f6x Жыл бұрын
눈물이 터졌어요.ㅠㅠ
@유진하-x2k
@유진하-x2k Жыл бұрын
​@@god_minam공감 능력이 전혀 없네 ㅉㅉ
@ikao1000
@ikao1000 Жыл бұрын
​@@god_minam왜 사냐?
@freetbet
@freetbet Жыл бұрын
​@@god_minam 싸패냐?
@박병관-k4h
@박병관-k4h Жыл бұрын
힘드셨겠네요. 그래도 가족이 같이 지내니 위안 삼으세요. 😢
@rooney4260
@rooney4260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에서 행복하시길.. 저희 아버지 고향도 이북입니다. 고향은 항상 그립죠.
@노성호-f9c
@노성호-f9c Жыл бұрын
눈물흘리며 봤습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으 날만 있기를... 행복이 항상 같이 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김찰리-o9e
@김찰리-o9e 10 ай бұрын
영원히 행복하세요 선생님
@이진미-l4p
@이진미-l4p Жыл бұрын
이 부부 탈북민 속에서도 참 평이좋고...누군가 힘들다고하면 선뜻 도와줘요 흥하세요 🎉🎉🎉
@김민수-s8r7z
@김민수-s8r7z Жыл бұрын
이번 편이 가장 감동적입니다. 코끝이 찡한 채 시청했습니다.
@대한민국만세장희
@대한민국만세장희 Жыл бұрын
김수진씨 대단한 인물 입니다 슈퍼 해서 크게 성공 하시고 배나에서 님 방송에 많이 봤습니다 앞으로도 더크게 성공 하세요
@박체리-o5z
@박체리-o5z 11 ай бұрын
저도 수진씨한테 정말 감동했었습니다ㆍ 저번에 사업차인지 외국에 계신다들었는데 또 어떤 놀라운 일을 하고 계신지 소식 궁금하네요~♡♡
@삼다-v9h
@삼다-v9h Жыл бұрын
아오지 사람들 똑똑하고 정이 많지 아이메 응원합니다
@김재섭-z9x
@김재섭-z9x Жыл бұрын
행복하세요, 언젠간 만나실 수 있기를 기원합니다.
@김동섭-q8x
@김동섭-q8x Жыл бұрын
집벽을 보니 옛날집 벽이 생각나네요... 대나무를 얼기설기 역어서 지지대로 만들고 진흙과 볍짚넣고 치대 벽을 체웠죠... 그후 진흙으로 곱개 미장하고....지붕 볍집속에 굼뱅이가 꿀틀꿈뜰....
@뮤지션-z3q
@뮤지션-z3q Жыл бұрын
집보고 깜짝놀랐어요.... 어렸을적 통학길에 화교들이 살았는데 내부는 못봐서 모르겠는데 외부가 너무 똑같은 겁니다 ... 특히지붕은 이영을 역어서 세끼로 묶어서 덮은것이 아니고 짚을 그냥 올린것도 똑같고.... 그리움을 지었네요 .....
@김매화-t2k
@김매화-t2k Жыл бұрын
미남 미녀 부부 행복하세요 응원합니다
@신우승-t6h
@신우승-t6h Жыл бұрын
두분 응원합니다. 늘 행복하세용♡♡
@동철호-e4e
@동철호-e4e Жыл бұрын
이분들 탈북자들 중에 손가락안에 속하는 정말 대단한 사업가들 입니다 존경했던 사람들
@리차드김-l8h
@리차드김-l8h Жыл бұрын
가슴이 먹먹합니다. 행복하세요^^
@박순종-q5k
@박순종-q5k Жыл бұрын
부부가 고향 이야기할때 눈물이 나네요
@김희숙-t2s8n
@김희숙-t2s8n Жыл бұрын
초가지붕을 볏집으로 나래 엮어서 지붕을 올렸죠!하고 묶은 나래 걷어서 땔감을 썼어요 그 세월이 추억으로 남았죠
@madnessape87
@madnessape87 Жыл бұрын
간첩으로 몰려서 소중한것들을 모두 이북땅에 놓고 오셨구나... 더 나은 세상에서 산다지만은 그리움을 충족 시키기엔 없으니만 못한것일테지....
@녀정채연
@녀정채연 Жыл бұрын
70년대 내고향부뚜막과 똑같네요 틈이생겨 허물어지면 우리아버지가 진흙파다가 치대서 발랐던 기억이납니다
@최영수-y3c
@최영수-y3c Жыл бұрын
행복한 날만 있으면 합니다
@현정노-f6x
@현정노-f6x Жыл бұрын
탈북민~ 또다른 이산가족으로 이땅에 아픔이 만들어지네요. 대한민국이 너무 안타까워요.
@기파랑-y1x
@기파랑-y1x Жыл бұрын
어릴적 강원도 살적에 나무굴뚝이었어요. 어느 날 군불을 많이 땠더니 굴뚝이 불이 붙어 홀랑 탓더 랫습니다. 하하 ^^ 나무 굴뚝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이엉" 을 방풍나래라고 하는군요. 경상도에서 살적에는 이엉을 기존 초가 지붕을 걷어내지 않고 그 위에 켜켜이 올렸었어요. 시간이 지나면 중앙이 부풀어 둥그스름한 초가지붕이 되었었죠.
@johnpark8759
@johnpark8759 Жыл бұрын
두분 응원합니다. 고향이 있어도 명절때 가지도 못하시고.. ㅠㅠ
@왕보수-q3h
@왕보수-q3h Жыл бұрын
사람사는 맛이 나는것 같습니다 두분 행복하세용😂
@user-korea-n6c
@user-korea-n6c Жыл бұрын
나무 굴뚝은 우리시골에도 있었는데 함경도분셨나 보네 황토를 붙여 놓으면 어릴땐 잘 모르니까 다 떼 버리고 그랬는데 장독대는 우리도 신줏단지 처럼 모신건 기억이남 할머니까 맨날 닦았는데 부뚜막 솥도 매일 닦고 광이 번쩍 번쩍 났는데 부억을 정재라고 했는데
@보통사람기름쟁이
@보통사람기름쟁이 Жыл бұрын
잘 오셨오!
@최용철-f9v
@최용철-f9v Жыл бұрын
오랜만에 부뚜막을보니 시골고향집이 생각나네요 ^^ 힐링하고 갑니다~ ^^
@hyeon8046
@hyeon8046 Жыл бұрын
북한에서 북한식대로 살던게 익숙하신가봐요. 남한에 와서도 북한식으로 사는 거 보니...고향이 그립긴 할 거예요. 저도 해외에 있을때 향수병 걸려서 이해합니다.
@antenna..
@antenna.. Жыл бұрын
쇠가 군수품으로 다 들오가니 나무로 굴뚝을 만들었겠죠 ㅋ 나무로 뗄감으로 밥하고 물 뎁히고 하니까 산이 민둥산이고요... 나무굴뚝은 연변에도 보이더라구요
@가을강-i6h
@가을강-i6h Жыл бұрын
ㅉㅉ 얼마나 고향과 부모님들이 그리웠으면!? 참 슬프네요 하루 속히 통일이 돼서 저 분들 고향갈 수 있는 날이 왔으면 좋겠어요 우리의 소원은 통일~~
@서혜정-l1w
@서혜정-l1w Жыл бұрын
제나이61세인데.어렸을때.가마솥에.불지펴서.밥해먹은기억이나네요.반찬은.곤로불에.해먹었는데.
@om_WHAT
@om_WHAT 11 ай бұрын
눈물 나네요~앞으로 더욱 행복한 나날이 되시길 기원합니다.
@박종호-p1x
@박종호-p1x Жыл бұрын
집이 멋지네요
@서연화-g6z
@서연화-g6z 11 ай бұрын
공감이예요. 불쑥 고향생각 났어요. 행복하세요.🎉❤🎉
@jihojio2118
@jihojio2118 Жыл бұрын
그래도 황해도 사람들은 남쪽을 바라보며 다 선전용 집이라고 생각 했네오. 굴뚝에서 연기가 안 나니까...... 탈북하신분들의 가난한 기억이지만 그리워하시는 모습이 한편 부럽기도 하네요.
@미미모-o6o
@미미모-o6o Жыл бұрын
부엌은 어디있나요~부뚜막만 보이는데,두분다 인상이 너무 좋으세요.남편분은 법없이도 사실분이네요
@hyunwoohan9517
@hyunwoohan9517 Жыл бұрын
김수진씨 잖아. 이분 한국에서 성장했다면 아마 중견 기업이상 CEO 했을 것이다. 북한도 이런 인재를 몰라본 후회가 막급할 것이다
@기둥뿌리
@기둥뿌리 Жыл бұрын
저분...똑똑한 머리로 대박사업가 김수진씨 아닌가요?...저분 스토리듣고 너무감동받았었죠
@칼라밤나락
@칼라밤나락 Жыл бұрын
아름다우면서도 안타까움도 있습니다. 이산가족들과 탈북새터민들이 가족들을 만나고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그럴 수 없는 현실이 참 안타깝습니다...
@낚시본능
@낚시본능 Жыл бұрын
그리운 고향 아오지... 그곳은 대체...
@남성박병상
@남성박병상 Жыл бұрын
그래요. 이젠 남한 땅에서 그저 행복하게만 살아갑시다. 어떤 누구도 이 부부의 자유를 구속하지 못합니다. 그런 일도 더는 없겠지만, 혹 그런 일이 만일 생기거든 내게 연락하세요. 함께 싸워줄 테니!
@백관희-o6p
@백관희-o6p 11 ай бұрын
부부가 같이 나와서 다행이네요
@life4058
@life4058 Жыл бұрын
옛날 강원도 저희집도 나무굴뚝이였어요 ㅎ 갑자기 생각남
@김택관-m6c
@김택관-m6c Жыл бұрын
다, 모두 다 잊고 그저 이곳에서 행복하게 지내시기 바랍니다!
@쏘머즈-z2j
@쏘머즈-z2j Жыл бұрын
부디 행복하세요
@yral4284
@yral4284 11 ай бұрын
너무 멋지네요 추억의 그리움 집..
@이런말세로다
@이런말세로다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열심히 살다보면 좋은날 올겁니다 힘내시고 행복 하시기 바랍니다
@sunset6157
@sunset6157 Жыл бұрын
너무잘오시고멋진집이네요 시간되면 집들이가고싶네요
@kyzer8525
@kyzer8525 10 ай бұрын
집 시리즈를 보면서 화려한집 참으로 많이 봤지만 본중에 가장 따듯한 집이네요
@normal77079
@normal77079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편견에 시달렸을텐데 고생많으셨네요~
@diquasoldiquasol8807
@diquasoldiquasol8807 Жыл бұрын
집이 운치있고 좋네요
@72land63
@72land63 Жыл бұрын
저 집은 향수병을 달래는 위안인거네요...
@daekwon82
@daekwon82 Жыл бұрын
이비에스....사랑한다 다큐졸라다양하게 잘만들어....
@산파람
@산파람 11 ай бұрын
신망리에서 군대 생활을 해서, 연천이라는 곳이 정답게 느껴지네요! 제2의 고향 같은... 언제 한 번 가봐야 되겠는데... 어느 한 때 정말로 문득 문득 생각이 난다
@정희박-u2o
@정희박-u2o Жыл бұрын
우리 시골에서 살때 부엌바닥 파서 아궁이 만들고 아부지가 워낚 대목이시라 나무 잘라다가 반 가르고 끌로 속파서 굴뚝 만들엇는데 이젠 그집 다신볼수 없네요 시골집 배치도도 지금 어제본듯 기억나는데 지금은 가도 볼수 없다는 ᆢ
@yua_couple
@yua_couple Жыл бұрын
힘내세요
@박상진-z6y
@박상진-z6y Жыл бұрын
행복하세요!
@choon-airican9886
@choon-airican9886 Жыл бұрын
최고😊
@집나감개고생
@집나감개고생 Жыл бұрын
어서통일이되야는데
@carastanson1836
@carastanson1836 Жыл бұрын
굼벵이 말로만 들었지 생긴건 처음 봤네요 와 나도 시골에서 집짓고 살날이 와야 하는데..부럽습니다
@dnlee6803
@dnlee6803 Жыл бұрын
딱 십년 지나면 갈수 있겠네요 멀다면 먼 고향
@bf2288
@bf2288 Жыл бұрын
슬프네.....언제 그날이 올레나
@건이백-l4x
@건이백-l4x 11 ай бұрын
무슨 날?
@jesspark7432
@jesspark7432 Жыл бұрын
짓기 힘들고 관리도 어려울지 몰라도 나중에 먼 미래에 저 집이 탈북자 역사, 통일역사에 큰 흔적이 될지도 모르죠.
@soljungkim2656
@soljungkim2656 Жыл бұрын
불이 날 위험성이 몇군데 보이네요.ㅎ 1. 부엌 아궁이 옆에 가벽. 2. 굴뚝이 나무라서 아주 위험. 3. 집뒤(굴뚝뒤) 소나무는 조금의 불티만 날라가도 화재가 발생함. 소나무는 휘발유와 같은 것임. 정말 신경 많이 쓰야 합니다. 참고로 굴뚝은 연기만 나가는게 아닙니다. 가끔 바람부는 날 불티도 함께 날읍니다. 밤에 보면 보임.
@전설의7번아이언
@전설의7번아이언 Жыл бұрын
소방서에 근무하소??
@Sane--Dule
@Sane--Dule Жыл бұрын
나무로 된 굴뚝은 오랫동안 북에서 봐왔으니까 생각보다 안전할 수 있겠죠
@피스-d2b
@피스-d2b Жыл бұрын
그렇네요.화재는 조심한다고 되는게 아니고.사전에 방비를 충분히 해야.글 보시고 주인장께서 보완하시면 좋겠네요
@jakim7272
@jakim7272 Жыл бұрын
화재발생 위험이 있어 염려됩니다 나무뚤뚝은 첨보는듯 ~저도 어릴적 시골에서 대식구로 살아본 60대라 부엌아궁이 불땔때 항상조심많이 되던데요 두분 건강도 챙기시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시길 기원합니다
@이루미-m3m
@이루미-m3m Жыл бұрын
에휴 돌아갈 수도 없는 고향 ㅠ.ㅠ 어찌 간첩으로 몰리는 일이.......... 통일이 어서오길 빕니다
@yongchulee
@yongchulee 11 ай бұрын
남한도 아주 오래전 시골 할머니집은 해마다 부뚜막과 굴뚝을 그리 흙으로 보수하며 살았죠😊
@은혜한-k2k
@은혜한-k2k Жыл бұрын
행복하세요
@oheseduk6888
@oheseduk6888 Жыл бұрын
70년초에 우리 남한도 그랬어요
@injaeoh3733
@injaeoh3733 Жыл бұрын
흙받이할적에는 맨손으로하던지 고무징갑끼던지 면장깁끼면 작업이안되요
@송복영-v9u
@송복영-v9u Жыл бұрын
이엉을 엮어 덮어 놓으면 여름에 시원할텐데요.
@人生無常-i6s
@人生無常-i6s Жыл бұрын
삼천리 금수강산 조금한 땅덩이 빨리 통일되어 하루빨리 통일되어 전세계에 한민족의 위대한 배달의 민족.기상을 널리 떨치세~~걸어서 금강산도가고 걸어 백두산도 가세~~
@규란이-d9j
@규란이-d9j Жыл бұрын
꿈을 이루는것은 좋지만 산림을 해치는건 이기적인것 같아요
@Sk7285
@Sk7285 Жыл бұрын
함경도식 집 보다는 황해도 집 비슷 하네. 글구 중 천장이 없어 겨울에 집안 추위가 장난 아니겠네.
@홍영홍-c8z
@홍영홍-c8z Жыл бұрын
❤❤❤❤😊😊😊😊
@J삼포
@J삼포 Жыл бұрын
옛시절 남한에서는 아오지 탄광하면 북에서도 제일 살기힘든곳으로 알고 있었는데 그런곳도 고향이라서 생각나는가 봅니다
@J삼포
@J삼포 Жыл бұрын
건축가 남성분 머리 꼬라지 보니까 집을 설계할때도 꼭 본인 꼬라지로 설계할것 같네요
@kyzer8525
@kyzer8525 10 ай бұрын
@@J삼포 좋은 영상 잘보고 악담을하고가는 꼬라지 보소
@체게바라-r5l
@체게바라-r5l Жыл бұрын
댓글들 참 …! 에효 !
@yral4284
@yral4284 11 ай бұрын
저 장독에는 무엇이 들어 있을까?
@김한성-s4p
@김한성-s4p Жыл бұрын
강원도 고성이...
@들국화-g5l
@들국화-g5l Жыл бұрын
탈북자로써 나의 목표는 돈 많이 벌고 잘살고가 필요없구요. 그냥 내가 살던 함경북도 회령시 유선집 그대로 산속에 지어놓고 사는게 소원입니다.
@쿠리밍-w1j
@쿠리밍-w1j Жыл бұрын
소원 꼭 이루시길^^
@해피-k5o
@해피-k5o Жыл бұрын
그냥북으로 다시가세요
@고양이-v1q
@고양이-v1q Жыл бұрын
같은 탈북민으로써 넘 멋져보여요
@ehj-d6r
@ehj-d6r Жыл бұрын
ㅠㅠ
@이상연-g4n
@이상연-g4n Жыл бұрын
누군 진저리 치는데 누군 그리워하는고향
@경은이-j3v
@경은이-j3v Жыл бұрын
아오지 탄광에 사셨음 완전 애국자 집안이겠네요.선대 어르신이 자유주의,자본주의 지지하다 북한정부로부터 아오지로 추방된 집안이니까요
@imhappy1
@imhappy1 Жыл бұрын
추석 명절때 갈 곳 없으면 가까운 동남아로 여행 가시라우~
@안병호-b6w
@안병호-b6w Жыл бұрын
😅😊
@하동훈-n9n
@하동훈-n9n Жыл бұрын
갑자기 궁금한게 보통 탈북민들은 가족들을 두고 내려오나요? 그게 가능한일인가가 궁금해지네요
@bibittubi2
@bibittubi2 Жыл бұрын
부모가 연로하여 탈북하기 힘든 경우 많거나 고향 떠나기 싫어서, 죽을 수도 있어서 남는 경우도 있대요
Cheerleader Transformation That Left Everyone Speechless! #shorts
00:27
Fabiosa Best Lifehacks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Каха и дочка
00:28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3,4 МЛН
The Best Band 😅 #toshleh #viralshort
00:11
Toshleh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Full] 건축탐구- 집 - 시골집, 나처럼 지으면 망한다
45:10
EBSDocumentary (EBS 다큐)
Рет қаралды 932 М.
Cheerleader Transformation That Left Everyone Speechless! #shorts
00:27
Fabiosa Best Lifehacks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