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중 90%는 수학을 단 한 번도 공부한 적이 없습니다“ 우리 아이 수능 수학 1등급을 꿈꾸는 학부모님들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ㅣ정승제ㅣ부모클래스ㅣ

  Рет қаралды 207,861

EBSi

EBSi

2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1타 강사! EBS 수학 대표강사 정승제가 들려주는 수학 1등급 받는 방법
#부모클래스 #정승제 #수학1등급 #입시설명회
#수능대비 #공부방법 #공부자극 #생선님
EBSi 국가대표 고교 강의 ▶ www.ebsi.co.kr

Пікірлер: 226
@user-md2ot8nh9m
@user-md2ot8nh9m 13 күн бұрын
본의 아니게 제가 저 방법으로 되서 수능 수학 만점이었던거 같아요.. 고1까지 진짜 학교도 잘 안하고 개차반으로 살다가 고2부터 공부해야겠다 싶어서 그때부터 정석으로 개념을 싹 훓었는데 나이가 차서 그런지 이해가 싹 되도라고요. 그리고 고3때는 진짜 하루 5문제를 풀 지언정 스스로 혼자 낑낑대며 풀었던거 같아요.. 답지 안보고.. 그러다보니 어느순간 그 개념들이 머리에 구조화되는 느낌이었어요
@user-um5tc2el2n
@user-um5tc2el2n 2 күн бұрын
님은 머리가 좋은겁니다.
@mjj3524
@mjj3524 2 ай бұрын
선행이 잘못된게 아니라 선행하면 안되는 애가 선행하는게 문제지...다른 자식들이랑 비교하면서, 능력되는 애는 선행이아니라 그 학생 수준에 맞는거임..
@user-tr9ro5dn2u
@user-tr9ro5dn2u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모든 시험의 문제점. 시간이 너무 부족함. 문제 보자마자 기계적으로 풀지 않으면 다 풀지 못하게 시간을 줌. 문제 내는 지들도 그렇게 못하면서. 제가 본 자격 시험은 시험지 받자마자 풀 문제, 포기할 문제 정하는 것이 룰입니다. 일부 기사 시험도 그렇고요. 대학시절 가끔 겪었던 무제한 시험 외에는 생각하면서 풀 수 있는 시험은 경험해 본 적이 없습니다.
@jihyeaher6357
@jihyeaher6357 2 ай бұрын
다필요없어요. 본인 의지,욕심 있어야 되요. 그런 아이들중 이런 훌륭한스승 만남. . 대박인거죠.ㅋ
@user-yv5nf3kw1v
@user-yv5nf3kw1v Ай бұрын
유전 7 환경 3. 보고 듣고 자란게 달라서 그럽니다. 엄마 아빠가 퇴근하자 마자 폰켜서 게임하는 주제에 내 자식은 공부 잘하기를 바라는 부모들이 많죠 ㅋㅋ
@hamburger_Pattymeat
@hamburger_Pattymeat Ай бұрын
아이입니다. 원하는 거 하고 취미 생활하면서 제 인생에 처음 종이책도 내보고 수필도 냈어요. 지금은 고3이 되어서 대학 욕심이 나더니 스스로 공부합니다~ 학원 다니고 막 선행 억지로 시켰다면 지금 편하긴 했겠지만 공부의 즐거움과 성취감을 느끼진 못했을 것 같네요
@user-ox8gb9zk9h
@user-ox8gb9zk9h Ай бұрын
​@@user-yv5nf3kw1v부모가 그렇더라도 자기 길 가는 아이도 있긴 있어요^^
@user-yv5nf3kw1v
@user-yv5nf3kw1v Ай бұрын
@@user-ox8gb9zk9h 8대 2 정도 되는듯요
@user-xw1gh3pp6l
@user-xw1gh3pp6l 21 күн бұрын
맞아용
@pkwhitelove2012
@pkwhitelove2012 2 ай бұрын
수학=생각하는 훈련... 수학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학 문제 수를 줄이고 기존 기출문제와 전혀 다른 유형의 문제를 제시하고 충분한 시간을 주어 논리적으로 답을 찾아가는 시험으로 바꿔야 한다.
@KOR87MATH
@KOR87MATH 24 күн бұрын
그게 수능이에요.
@user-hx3hr2pd6b
@user-hx3hr2pd6b 19 күн бұрын
진짜 수능 수학 공부했으면 "논리적으로 답을 찾아가는 시험으로 바꿔야 한다."라는 말을 할수가 없을텐데..
@pkwhitelove2012
@pkwhitelove2012 19 күн бұрын
@@user-hx3hr2pd6b 뭔소리?
@KOR87MATH
@KOR87MATH 19 күн бұрын
@@pkwhitelove2012 논리적으로 답을 찾아가는 시험이 수능인데 그렇게 바꿔야한다는 말 자체가 우스움.
@pkwhitelove2012
@pkwhitelove2012 19 күн бұрын
@@KOR87MATH 에고..지금의 입시 수능 수학은 그렇지 않다는 걸 지적하는 것임..기출문제와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짧은 시간에 풀어내야하니..깊은 사고 보단 빨리 답을 맞추는 스킬을 학습하게 되는게 문제..참고로 난 수능과 대학 본고사를 동시에 경험한 아제임 ㅎ
@user-ht3io9sy6x
@user-ht3io9sy6x 2 ай бұрын
학원 안보내고 있는 엄마입니다. 아이가 집에서 하고 있고 선행 절대 안하고 있습니다. 선생님 같은 분만 계신다면 정말 좋겠네여.. 아이들이 안스럽기도 하고 왜이리 다들 학원으로 기계적으로 선행을 하는지.. 불안감도 있지만 맘을 내려놓고 있습니다. 선생님 정말 항상 좋은 강의 힘이 됩니다.
@0224CHS
@0224CHS Ай бұрын
중학생이면 현행 꼼꼼히 하면서 선행 꼭 하세요....
@davidmath1929
@davidmath1929 Ай бұрын
@@0224CHS 선행은 필요한 사람만 선택적으로 하면 됩니다. 상위 20% 안에 못드는 학생들은 선행해봤자 그냥 이런내용 배웠다 이 수준이지 개념이나 이유를 물어보면 제대로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이런 학생들에게 선행은 그냥 보여주기식 공부 밖에 안됩니다. 상위 20% 이내에 드는 학생도 선행은 필수가 아니라 선택입니다. 그 선행은 고1 끝날 때쯤에 해도 늦지 않습니다.
@fdkoldwfj8010
@fdkoldwfj8010 Ай бұрын
선행안하면 ㅈ됨 그게 현실인데
@Anthony_Davis
@Anthony_Davis Ай бұрын
상위 20%아니면 선행과 학원 굳이 필요 없습니다. 그냥 자존감을 키우고 다양한 분야 경험을 쌓는데 주력하면 좋을것 같습니다. 남들 공부할때 내가 안했으면 그 시간에 어떤 딴 좋은것으로 채울까를 고민해야겠지요
@viridian327
@viridian327 Ай бұрын
@@fdkoldwfj8010 선행하려면 현행 심화도 만점 수준이어야 한다고 합니다. 최상위권 제외하고는 선행 속도전은 애나 경제적 지원하는 부모만 고생할 뿐입니다.
@user-fb8kz5qz4v
@user-fb8kz5qz4v 2 ай бұрын
왜?라고 서로 물으며 속도는 느리지만 함께 열심히 집공부하는 아이와 엄마에게 흔들릴때마다 너무나 힘이되는 정승제 선생님❤
@user-bq4oh2us8n
@user-bq4oh2us8n Ай бұрын
뼈 때리는 말씀 ❤
@user-gz9nf7zc4p
@user-gz9nf7zc4p 2 ай бұрын
정말 감사합니다. 선생님 ~♡
@user-iy2le8bd9x
@user-iy2le8bd9x Ай бұрын
진정한 선생님이십니다.
@user-vc6xo9ry9q
@user-vc6xo9ry9q 2 ай бұрын
상담실장님 연기하는 부분에서 빵 터짐 😂
@jeongeunlee8033
@jeongeunlee8033 2 ай бұрын
생선님 최고입니다
@user-fu8ql5sj3o
@user-fu8ql5sj3o 27 күн бұрын
정승제 선생님..! 늘 감사합니다.
@user-bi9ku5fz8j
@user-bi9ku5fz8j Ай бұрын
참말로 옮은 말씀입니다. 왜 제가 배울때는 이런 쌤이 없었을까요?
@user-qt2lr5ff5d
@user-qt2lr5ff5d 26 күн бұрын
선생님께서 알려주신 방향성으로 실천해 보겠습니다.^^ 열정강의 감사합니다^^
@user-kr9nc2tq3d
@user-kr9nc2tq3d 2 ай бұрын
열정적인 생선님❤
@user-os9oo4xo6l
@user-os9oo4xo6l 2 ай бұрын
어떤 공부든 설명을 할 줄 알아야 점수를 많이 받는 것은 일맥상통하죠~^^ 설명을 할때 그때 비로소 완벽하게 자기것이 되었기때문인 것 같아요~^^
@user-uy4cn8fs9z
@user-uy4cn8fs9z 2 ай бұрын
선생님 쓰러지실거 같아요 살살 너무 선생님 좋은데 쉬엄쉬엄 하셔요
@user-rl1tv2ps9k
@user-rl1tv2ps9k Ай бұрын
쌤~~~영상을 집중해서 보고있자니 숨이 차요 ㅋㅋㅋ 열정적으로 강의 하시니 어휴 느무 감사하네요 대한민국에 이런 강사가 계시다니. 오래오래 건강하세요
@user-yz9mx4ol1i
@user-yz9mx4ol1i 2 ай бұрын
선생님 덕분에 내 아이의 수학 미래는 반드시 밝아진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하고 사랑합니다~~
@dream-gq1hg
@dream-gq1hg Ай бұрын
멋지다!!!
@MrJames5953
@MrJames5953 2 ай бұрын
명강의입니다 반복해서 듣고 또 들어 볼게요
@user-wg2sr1mn5d
@user-wg2sr1mn5d 2 ай бұрын
쌤 넘 좋아요 상담실장연기 넘 잼나요😂 16:15 제가 암기로 수학했다 망해본 케이스라 넘 공감가고, 제 아이는 호기심과 생각하는 수학을 하도록 유도하고있어요. 재밌게 공부할 수 있는 수학을 내가 왜그렇게 싫어하게됐을까 생각하면서요.
@Sunshine-dc5oi
@Sunshine-dc5oi 2 ай бұрын
생선님 말씀이 백번 옳습니다😊
@user-vx6yc9hb6l
@user-vx6yc9hb6l 2 ай бұрын
선생님 팬이에요~ 너무 소중한 말씀 감사합니다
@user-bj6wq7hw2o
@user-bj6wq7hw2o 2 ай бұрын
이해시키겠다고 온몸을 던져 말씀하시는 선생님. 건강이 참으로 걱정되는.. ㅎㅎ 내용을 안듣고. 머리안아프시나.. 걱정되는...ㅎ
@young2839
@young2839 2 ай бұрын
참스승이십니다 아이도 친구들은 다 학원다니는데 나도 다닐까 초5인데 초6 진도 배운대 하네요 선행보단 현행에 중점을 두고 개념 이해부터 시작해봐야겠습니다 ^^
@freesia7672
@freesia7672 2 ай бұрын
고1 아들둔 엄마입니다. 정말 정승제 생선님 말씀 들어보면 제가 학생때 했던 공부가 공부한게 아니였어요..생각해보면 방법도 틀렸고 그냥 하는척 한거 같아요..지금 제 아들에게는 정승제 생선님 말씀대로 제대로된 공부법을 알려줘야겠어요~감사합니다~^^
@user-bi2oo7lc9c
@user-bi2oo7lc9c 2 ай бұрын
현재 5학년 아이인데 집에서 혼자 현행으로 나가다가 이제 조금씩 진도가 앞서간 상황입니다. 혼자 ebs보고 공부하고 쎈풀고 디딤돌 최상위 심화까지 푸는데.. 최상위 극심화 레벨쪽은 첨엔 몇개 못 맞다가 다시 천천히 풀라고 하면 결국에는 해냅니다. 잘가고 있다 생각하다가 어제 지인의 말을 듣고 초등학교는 그냥 쎈정도로 빨리 진도 빼는게 좋데서 ㅋㅋ 그래야하나 고민했는데 오늘 이영상을 보고 다시 마음을 잡습니다. 강의 너무 감사했습니다^^
@user-gt4zt6yo6c
@user-gt4zt6yo6c 2 ай бұрын
네^^잘 알겠습니다. 울아이들 다시한번 점검해봐야겠어요~~정승제 선생님 말씀은 현행 개념과 원리를 정확히 공부한 후에는 아이가 스스로 상위 학년 문제를 풀고싶어한다는(풀수있다는) 말씀이겠죠~~
@heaven-vo2zc
@heaven-vo2zc 2 ай бұрын
상담실장 연기 너무 웃기셔요 ㅎㅎ
@user-tl5km7sq8n
@user-tl5km7sq8n 2 ай бұрын
좋은 말씀 허나 현실에서 적용하기 힘던.... ㅜ 우리 정선생님도 인강이 아닌 오프만 하신다면 .... 딜레만에 빠지실지도...
@meditationhealing7070
@meditationhealing7070 2 ай бұрын
EBS강의하실 때 춤추는 모습보고 반했습니다❤
@pjh2902ify
@pjh2902ify 2 ай бұрын
선생님 말씀처럼 중2, 초6 공부시키고 있는데 개념이해까지는 아이들이 잘 따라가다가도 그 개념으로 문제를 풀어본 경험 횟수가 많지 않으면 힘들어하는건 마찬가지더라구요 개념을 이해하고 이해한 개념을 잊지 않도록 계속 복습해서 익숙하게 만드는것도 입시수학에서는 필요한부분인거 같아요
@ppakkoo01
@ppakkoo01 Ай бұрын
예전에는 아무리 학생이 개념공부하고 문제풀이 공부하고 하려고 해도 자료가 부족하고 문제집으로는 뭔가 안되는거 같고 해서 학원이 필요했는데 요새는 워낙 자료도 많고 해서 꼭 학원이 필요하지는 않은것 같아요.
@user-kw3asca
@user-kw3asca 2 ай бұрын
정승제 슨생님 말씀들으며 보다보면 말씀이 빠른게 아닌데 제스쳐와 말 높낮이 때문인가ㅋ 왠지 제가 숨이차여ㅋㅋ 스며들어 그런가ㅎㅎ 제가 수학공부하는것도 아니고 초5 수학공부 미래를 위해 순공의 기본적인? 공부접근방법들을 익히고있는데 진짜 승제슨생님 뿐 아니라 ebs선생님들부터 각 유툽운영하는 뭐뭐 학원 원장님들 진심의 말씀까지 듣다보면 빨려들어가지고~~ ㅋㅋㅋ 열정 😊😊😊 빨려들
@love__chaewon
@love__chaewon 2 ай бұрын
ㅋㅋㅋ 공감요 전달하고싶은 맘이,열정이 넘쳐서 급하게 말하셔서 보는사람이 숨차요ㅋ
@SeungEon14
@SeungEon14 2 ай бұрын
그래서 더 빠져들어서 보게되요ㅎㅎ진심이 느껴짐
@user-xs1gq5fk9s
@user-xs1gq5fk9s 2 ай бұрын
정승제 선생님~~ 선생님 같은 분들이 많아지면 좋겠어요. 선행1도 안학고 현행 수학 잘하고 있는데 늘 주변 말씀에 불안을 느끼고 있어요. 시간이 없을거라고 ㅠㅠ
@wysvvej3699
@wysvvej3699 2 ай бұрын
선행 한 번도 안하고 수능 100점이었습니다. 흔들리지 말고 자신있게 자신의 길을 가시면 좋은 결과 있을겁니다~!
@user-xs1gq5fk9s
@user-xs1gq5fk9s 2 ай бұрын
@@wysvvej3699 감사합니다. 불안감이 조금이나마 해소됩니다. 할 수있다 말씀해 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아이의 의지를 더 키워 잘 성장하도록 돕겠습니다 ^^
@user-sm4em3dm5e
@user-sm4em3dm5e 2 ай бұрын
집에 노는 모습이 보기 싫다고 과제 더 많이 달라는 어머니들 많이들 보셨으면 좋겠네요.. 복습이 우선이라 말하는 원칙을 지키는 학원은 너무 힘듭니다😢
@user-tm5go4ez5i
@user-tm5go4ez5i 2 ай бұрын
저는 학부모도 아닌데 유툽에서 어쩌다 정승제 생선님 영상 하나 우연히 보고 여기까지 오게 되었습니다. 52세의 25살(문과), 22살(이과) 대학생 두 아들을 두고 저도 뒤늦게 늦깍이 대학생으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정승제 샘의 수학풀이 과정을 개념과 원리로 풀이를 하는것을 보며 신기하게도 수학이 이런거구나 싶어서 너무 재미 있었습니다. 수학 이라는 과목이 생각의 깊이와 사고력을 키우는 과목인데 학창시절 저도 암기하듯이 수학공부를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아이들에게 진심으로 전달 하시고 싶은 그 마음이 결국 인생도 같은 원리로 이해 해야 하는 거라는걸 이렇게 나이 오십이 넘어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선생님의 온라인 강의, 유툽의 영상들이 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에게 전달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생선님?ㅎ 고맙습니다~
@user-tg4kk9kn2d
@user-tg4kk9kn2d 2 ай бұрын
대학 등록과정 궁금해요?~^^
@user-tm5go4ez5i
@user-tm5go4ez5i 2 ай бұрын
@@user-tg4kk9kn2d아이들 물어 보시는 건가요?
@user-sz1en7gj5r
@user-sz1en7gj5r 2 ай бұрын
저도 5학년 중1 아들 둘 선행,학원없이 수업시간 집중하고 집에선 복습위주로 개념을 정확히 알아야한다고 하고 있는 엄마인데 이런 강의를 들으면 힘이납니다 우리나라 학부모님들 많이 용기내세요!!~~
@user-cx7kk4yi8k
@user-cx7kk4yi8k Ай бұрын
본질적인 질문 "왜?"에 대한 중요성을 한결같이 말씀하시는 우리 생선님❤
@sportsibagoo
@sportsibagoo 2 ай бұрын
관리자님 화면이 너무 흔들려요. 글자가 운다고 해야하나요. 눈이 너무 아파요
@user-fm1fv4ql5s
@user-fm1fv4ql5s 2 ай бұрын
제생각과 같습니다. 선행학습으로 오히려 이도저도 아닌게 되는것을 느껴서 저도 선행학습은 불필요하다 생각했습니다. 앞으로 주변에 의식않고 지금처럼 현행학습 차근차근해나가도록 해야겠습니다.감사합니다.🙏
@user-by7rc8ud4m
@user-by7rc8ud4m 4 күн бұрын
정승제 생선님(?)의 말씀에 저도 동의합니다. 저도 대학에서 수학을 전공했는데 단순하게 공식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그 공식이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고 그 개념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접근을 하게 되면 문제 푸는 데 다소 시간이 좀 많이 걸리긴 하지만 문제를 아무리 꼬아서 내더라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공부를 하는 게 겉으로 보기에는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나중에 대학에 가서도 수학을 전공하게 되면 반드시 필요한 공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user-dg8bp9tt9w
@user-dg8bp9tt9w 2 ай бұрын
초6, 초4 아들둘 엄마입니다. 학원을 가기싫어하고 현행으로 집에서 공부합니다. 아이는 아직까지는 혼공이 가능하다고 하면서 힘들면 학원 보내달라고 말할때까지 기다려달라고 합니다. 생선님이 말씀하신데로 아이에게 질문하면 어떻게 풀었는지 잘 설명해주고 여러가지 방법으로 풀어보려고 노력하더라구요. 엄마로써 불안하고 걱정됐는데 강의에 큰 도움이 됐습니다. 감사합니다.^^😊
@human_loves
@human_loves 2 ай бұрын
대단한 아이를 두셨네요 아이가 의지가 있으니 그 의지가 유지되도록만 도와주시면 될거 같네요
@user-jl7ov7nb6t
@user-jl7ov7nb6t Ай бұрын
옛날 제학창시절 수학첫단원 첫장에 공식이 먼저나오고 그밑에 공식대입하면 풀수있는 예문이나오는 교과서였죠...난 그공식이 왜나오는지 왜 그걸대입해야되는지 너무궁금했는데 무조건 대입해서 풀라는거에 반감이있었고 수학잘하던친구에게 매번 왜?그렇게해야되?라고 물으면 친구는 무조건 대입해서 푸는거라고 왜라고 묻는 절이해못하더라구요ㅎㅎ 그땐 인터넷도 없던시대라 제의문을 해결할방법이없어서 수학이 너무싫었던 기억이 나네요ㅎㅎ
@SeungEon14
@SeungEon14 2 ай бұрын
초4 차분하게 현행위주로 혼공하는 아이입니다.....ㅎ 생각하고 고민해서 풀고 심화 하이레벨 경시대회 문제 끝까지 고민해서 풀어내는 기쁨을 느끼고 있어요! 독서는 기본이고 개념이랑 어려운 문제 설명하고 넘어갈수 있게 늘 질문하고 넘어갑니다! 설명할수 없으면 다 아는게 아니라는걸 본인이 더 잘 알고 있어요~ 수학은 지금처럼 꾸준히 가보렵니다! 매일 하다보니 한 학기 이상씩은 진도가 빨라지는데 그럴 경우에는 다시 복습도 하고 학교 수업도 열심히 들어요! 이해 못하는 친구들 설명도 쉽게 해준다고 해요~ 타인을 이해 시키는게 쉬운건 아닌데 자꾸 연습을 하다보니 잘 하더라구요!! 이번에 한능검 공부 하는걸보니 스스로 계획 세우고 인강 들으며 기출 풀고 오답 노트 적고 설명하는거 들으니 마음이 놓이더라구요~ 주변보면 6학년 수학 끝내가는 애들도 있던데 저는 하나도 조급하지가 않아요ㅎㅎ 감사합니다ㅎㅎ
@mkc6575
@mkc6575 2 ай бұрын
저두 매번 유혹을 받지만 아직 초6아이 학원 안보내고 현행과 방학때 심화복습으로 자기주도 하고있어요 6학년쯤되니 주변엔 다 중학과정나가고 그러네요 약간의 불안감은 있지만 이대로 수학좋아하는 아이로 계속 남아주길 바래요 승제쌤 얘기 들으면서 항상 맘을 다잡는답니다^^
@rlagustjs1028
@rlagustjs1028 2 ай бұрын
초등심화풀고 중학과정을 하니 어렵지 않게 풀더라구요. 그리고 6학년 겨울방학에 해도 충분하다는 것을 저희 아이를 통해서 경험했습니다.
@hjk7970
@hjk7970 Ай бұрын
​@@rlagustjs1028덕분에 마음이 편해집니다^^ 초6 예체능만 좋아하는 아이라 그 외 학원은 다녀 본 적이 없는데 학원가 근처 사는지라 제 마음은 늘 불안... 정승제쌤같은 분들 말씀에 귀기울이며 흔들리지 않으려고 해요. 선배맘님 경험담도 너무 소중하구요~^^
@rlagustjs1028
@rlagustjs1028 Ай бұрын
@@hjk7970 화이팅입니다~^^ 학원 도는 아이들은 나쁜 습관이 많이 베여있어서 나중에는 그 습관 고치는데만 몇년 걸리고 더 많은 돈이 들어가니 지금은 독서많이 하고 한 문제를 곰곰히 생가하는 시간을 더 갖는게 훨씬 훌륭한 방법인 거 같습니다~^^
@annestudio9117
@annestudio9117 Ай бұрын
저희 아이 선행없이 집에서 자기주도로 공부했고 중1 되어 현행만 열심히 했어요. 중1 때 수학시험보니 전교에서 5명만 백점이었는데 백점이었어요. 대부분의 선행하는 아이들인데요…수학은 정말 스스로 생각해서 푸는 힘이 중요한 것 같아요.
@user-nw2hq2zl6m
@user-nw2hq2zl6m 2 ай бұрын
고3 아이, 선생님께서 하라고 하신 복습법 적용해서 공부하고 있어요. 이번 3모에서 선생님이 하라는 공부법대로 공부한 것은 다 맞고, 아직 공부하지 않은 못 풀었다면서 희망을 보았다고 해요.
@happinessisfrequency
@happinessisfrequency 2 ай бұрын
오~이런 특강 업로드 감사합니다! 수학은 계통학문이라 꼭 해결이 되어져야하는데 그게 안되는 게 쌓이다보면 막연하게 가요ㅠ절대 그러면 안되는 과목 임에도요.,학교가 공부만 가르 치는 곳이 아니라지만 학원가서 수능,내신을 배워와서 학교에서 는 질문 자체를 하기 어려운 분위 기였던 거같네요 상위권 학생들 을 위한 수업이였던 거같고.,당 연히 학원에서 배워왔을거란..
@jiyeonkang6990
@jiyeonkang6990 2 ай бұрын
선생님같은 선생님 어디서 만나죠? ㅠㅠ
@shinesun2845
@shinesun2845 Ай бұрын
너무 필요하고 중요한 말씀입니다 공교육 현장에서 이런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교육해주신다면 바랄게 없네요… 선행한 학생과 선행안한 학생의 갭으로 공교육이 유명무실해짐을 아이와의 대화에서 전해듣게 되면서 저 역시 우리아이는 어떻게 공부시켜야할지 고민을 많이하게됩니다 괜히 급해지는 마음을 다시 한번 부여잡고 기본기와 본질을 잡도록 저부터 마음먹고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ox8gb9zk9h
@user-ox8gb9zk9h Ай бұрын
공교육에서는 이런게 있다고 알려주고 바로 단원평가 시험 봅니다.. 학원을 보낼수밖에 없게 되지요 ㅠㅠ
@christinej982
@christinej982 7 күн бұрын
@@user-ox8gb9zk9h안 그런 선생님도 있어요..^^ 못 만났을뿐..
@user-qo4cb6mo9t
@user-qo4cb6mo9t 2 ай бұрын
제가 수학을 다 까먹어서...요즘 수능문제 풀어볼수도 없고...진짜 요즘 수학문제 풀어보고싶네요...99학번인데. 그때 수학이 별로 어렵지 않았는데...선행도 안했었는데...그래도 수학문제 풀기 어렵지 않았었는데...요즘은 99학번 수학이랑 많이 다른가요? 대체 요즘 다들 수학수학해서...제 딸 연산도 못해도 그냥 두는데...ㅋ 때되면 하겠지 싶어서....
@user-bx3jp8jl1r
@user-bx3jp8jl1r Ай бұрын
수학포비아였던 제가 엄마가 되서 다시 초등고학년 아들의 수학을 같이 공부하고 있습니다😂 정승제 선생님 강의 50일수학을 제가 보고있는데 너무 재밌어요 아-! 이래서 이렇게 구했구나 하는 게 수학을 재밌다고 느끼게 되었어요😊 암기도 어려웠던 제가 느꼈던 수학은 해도 안되는거, 포기하자 시험이 무서웠어서 아들에게는 천천히 가더라도 왜 그럴까 생각하는 수학을 스스로 공부하게 하고 있습니다.
@user-bx3jp8jl1r
@user-bx3jp8jl1r Ай бұрын
한학기 예습하다가 고학년이 되어 수학학원 갔더니 문제만 풀고 왔더라고요. 아들이 중학교 수학을 배워보고싶다 해서 처음 학원을 갔고 개념을 배우러 갔는데 학원은 아니었나봐요. 여하튼 다시 집에서 강의들으며 혼공하기로 했습니다~ 건강 잘 챙기세요😊
@cvh928
@cvh928 Ай бұрын
선생님 말씀 다 맞습니다. 수학 사고력은 이공계 직장을 가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저는 현직 대기업 기계공학 연구원 10년차 입니다. 기술회사 실제 현장 문제는 수능 수학 4점 이상, 본고사 난이도 그 이상으로 매우 복잡하고 난해합니다. 따져야할 경우의 수가 너무 많습니다. 고교때 수능 공부해놓은게 평생 인사고과와 성과에 영향을 주는것 같습니다. 삼성 현대 두산 한화 이공계 직장갈거면 수학 실력이 평생 따라 다닙니다. 저는 회사와서 수학공부 물리공부 학교보다 더 했습니다
@user-fs7zr3ml7b
@user-fs7zr3ml7b 16 күн бұрын
고1 처음 올라갔을 때 본 1학기 중간 점수가 70점대였음 중학교가 그렇게 공부 잘하는 애들이 모여있던 학교는 아니었던지라 문제도 어느정도 난이도가 낮아서 매번1등급이었다가 저 점수대를 받고 충격을 받음 학원도 다녔지만 그 때 수학을 공부했을 때도 개념을 배우고 문제에서 어떠한 개념들이 이용되는지, 그리고 왜 그 개념과 공식을 써야하는지를 알아보고 공식을 대입하기 시작하기를 반복하니 문제를 푸는 법을 알게 됨 그러면서 고3 수능때는 모든 과목을 ebs 수능특강 수능완성 여타 ebs교재만 풀고 그 교재의 강의 선생님들의 강의만 들었는데, 수학은 정승제였음 제일 수학에 대한 열정이 넘치시고 설명을 잘해주셨음 그래서 19년도 수능 한국사제외 31212 받음
@user-kl5st2dv8k
@user-kl5st2dv8k Ай бұрын
학교,수능이 바뀌지않는 이상 승제쌤말이 맞아도 바뀌기 쉽지않아요. 애들도 수학 이해력 딸리는 아이들은 개념 백날 같이 풀어도 외우고나서 나중에 천천히 이해하는 애들도 많아요.
@user-tl4oq4nb1f
@user-tl4oq4nb1f 2 ай бұрын
개념이 탄탄하다면 신유형 문제에도 시간적 제약의 어려움이 없을지 의문도 들어요 저희 아이(고1) 항상 이해하고 질문하는 아이였는데 선행없이 고등입학후 학원에서 몰아치며 끌려가는 느낌이 들어 걱정이 많이 되네요 시간 배분에 조금 어려움이 있는 아이인데 이젠 불안해서 결단도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ㅜㅜ
@user-um5tc2el2n
@user-um5tc2el2n 2 күн бұрын
그게 타고난 지능 차이의 갭지요. 머리 좋은 애는 시간이 모자르지 않을 것이고. 그렇지 못한 아이는 시간이 부족해지고.
@hb-yb7bz
@hb-yb7bz Ай бұрын
근데 이건 정말 안타까운게 대부분의 고등학교 수학 내신은 암기가 맞아서 수능 수학이랑 차이가 크다는 거죠… 내신은 한문제당 1분내외로 해결해야해서 가르쳤던 유형 달달 외우는게 가장 효율적이고 자연스럽게 얘들이 수학공부를 그런식으로 하게돼요 막상 수능은 전혀다른데… 많이 아쉽습니다
@gracekang8350
@gracekang8350 Ай бұрын
부모가 달라질게 아니라 내신을 출제하는 학교쌤들이 들어야할 내용 아닐까요. 기계처럼 풀도록 가르치고 그렇게 시간에 쫓겨서 풀게 문제를 내니 그렇게 학원들에서 가르치죠
@user-pd6tt5sf7n
@user-pd6tt5sf7n Ай бұрын
미리 지치게 하고 싶지 않아서.. 공부에 관심이 없어서.. 뒤늦게 공부시작한 중3아이와 집공부 함께하는 엄마에게 힘이 되는 영상입니다.. 정승제생선님 감사합니다~🥰👍🧑‍🏫 EBS50일수학 제작진 분들께도 감사합니다~
@taira222able
@taira222able Ай бұрын
정말 필요한 말씀입니다~강의 감사드립니다^^ 선생님께서 어떤 마음으로 열의를 다해 이런 설명을 하시는지 너무 잘 알 것 같아요❤ 선생님 말씀톤만 조금 바꿔 주시면 더 듣기 편할 것 같아요^^;
@Diva-od5yi
@Diva-od5yi 9 күн бұрын
근데 이 말이 유의미하면서도 다만 공허한 측면도 있는게, 각자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이 시스템 속에서 선생님이 말하는 방식을 충실하게 할 수 있는 사람도 극히 드물어요. 그래서 오히려 결과적으로 90%가 그럴 수 없는 것일수더 있는거고요. 그래도 수학을 어떻게 공부하면 좋다라는 것은 모두가 알 필요가 있고 각자가 할 수 있는 선에선 그쪽으로 가고자 하고 가고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자기 형편에 따라 충실할 수 있으면 그만큼 사고력도 길러지는거고, 그런 형편이 아닌 학생들은 또 그만큼 하는거고. 결과만큼 과정이 중요하다지만, 결과만 보고 빠르게 빠르게 판단하는 것도 인간이 가진 태도 중 하나이고 어느 누구도 거스를 수 없기에, 이 부분을 아예 배제할 수 없다는 것. 진짜 젊음을 유지한 채 무한히 살 수 있다면, 자원도 무한하다면 어느 누구든 그저 자기 속력에 맞춰서 이해될 때까지 하고 그럴텐데... 인간의 유한성 자원의 유한성으로 제약되는 것이라고 봅니다.
@user-bj2rq5uh2p
@user-bj2rq5uh2p 2 ай бұрын
9:52 10:58
@user-sg9cj2go3e
@user-sg9cj2go3e Ай бұрын
한국고등학교 내신 50분 동안 25문제 문제당 풀이시간 길게 잡아야 2분 풀이를 외우고 문제를 보자마자 뱉어내야 시간안에 풀수있다 내신시험부터 바까야 공부방법도 바끼지 않을까 애들은 그냥 그들의 생존방식을 택한거자나 근데 또 내신과달리 수능은 승제샘 말씀대로 생각안하고 공부하면 폭망
@user-hm6mk3no5r
@user-hm6mk3no5r 21 күн бұрын
고3때 공부에 재미 붙였지만... 너무 늦었었고... 전문대 다니면서 진짜 열심히 했지만.. 암기 위주로 하다보니 정말 하고 싶은 게 쉽게 안되더라고요. 그리고 군대가서 구르고 나오니 리셋!! 그때 벽을 느꼈었습니다.
@user-gv7fs6xn2c
@user-gv7fs6xn2c Ай бұрын
구구단..ㅎㅎㅎ저희 딸 일곱살에 구구단다외워서 제가 5가 4개면 20. 5+5+5+5=20 이걸 쉽게 하기위한게 구구단.구구단을 알면 같은수를 여러번 더하지않고 구구단외운것으로 처리하면 되~~~라고 하니까 딱 정확히 정승제쌤 말처럼 엄마 이건 덧샘이 아니고 구구단이라고ㅋㅋㅋ😂😂😂일곱살이니 뒷목은 안잡았었어요
@EB-du8ze
@EB-du8ze Ай бұрын
어떻게하면 제대로 공부하는걸까요? 그걸 모르니 선행을하고 잘못된 공부를 하고 있는거 아닐까요?
@user-iw8yr8nz4k
@user-iw8yr8nz4k Ай бұрын
상담실장 연기 너무찰떡ㅎㅎㅎㅎㅎ
@dghfbmin3838
@dghfbmin3838 2 ай бұрын
중3수학부터 놓치지않고....해야한다
@user-yb8el5hg4t
@user-yb8el5hg4t Ай бұрын
생선님 😊
@user-ov5mp4lc9q
@user-ov5mp4lc9q Ай бұрын
암기도 중요해요..주위에 선행학습도 하고 열심히 하는 아이들이 점수 잘 받았습니다.
@user-kt8vq3ye2d
@user-kt8vq3ye2d Күн бұрын
ㅜㅜ 선행 1년밖에안해서 ㅜ 😅무섭네요 중3인데요
@user-tg4kk9kn2d
@user-tg4kk9kn2d Ай бұрын
ㅜㅜ 중간고사 코앞에서 학원숙제 문제풀이에 짖눌려 안가네요 내신관련 해달라 했는데 경시대회 문제를 계속 하네요
@user-dq7me7ku6f
@user-dq7me7ku6f Ай бұрын
사실 법과목이 아닌 이상 대부분의 시험 과목은 왜그럴까라는 의문에서 출발해야한다고 생각해요 운동도 마찬가지고 동기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내가 이걸 알고싶어하는 마음이 가장 커야하죠 그에따른 노력도 있어야하구요
@user-cz4nv6uy9l
@user-cz4nv6uy9l 10 күн бұрын
오히려 법과목이 더 왜그럴까라는 의문에서 출발
@yv3081
@yv3081 21 сағат бұрын
법과목도 이 법이 있는 이해를 하고 납득을 해야 논리구조를 알고 절대 안 까먹음.
@user-mn7yj5lr1k
@user-mn7yj5lr1k 13 күн бұрын
맞아요!!! 항상 학원가면 저 소리 들어요. "왜 애를 방치하셨어요. 왜 지금오셨어요. 지금도 늦었어요" 진짜 상처받구 애를 또 조이고.. 다시 되돌아보게 되네요. 아이한테 더 잘해야지😢
@applesj
@applesj Ай бұрын
학원도 문제인게 못하는 아이를 잘하게 해주지 않고 잘하는 아이들만 받아주는 학원가들…초5가 중2-중3은 친구들이 다 했다고 하니 불안도만 증가하는듯해요 승제쌤이 말씀하시는걸 명심하겠습니다
@sejeong-tv
@sejeong-tv Ай бұрын
반에서 선행 안 하는 학생이 거의 없어서 안 하면 상대적으로 뒤처집니다. 현실적으로 쉽게 바꾸기 힘든 문제예요.
@dahun1226
@dahun1226 Ай бұрын
목소리만 들으면 거의 도올 김용옥,,,
@user-xv5vq5xe1g
@user-xv5vq5xe1g 2 ай бұрын
시험이 변해야 티칭도 바뀌고 학습법도 바뀔듯하네요.. 우선은 시험방식의 변화가 우선되어야할듯합니다.
@user-rj2ej5wd5c
@user-rj2ej5wd5c Ай бұрын
역시 정승제쌤❤ 저런 쌤이 계셔야하는데 ㅠ
@Diva-od5yi
@Diva-od5yi 9 күн бұрын
대한민국 90%가 중고등학교 때 수학을 제대로 공부한 적 없다해도 세상 잘 돌아가고, 인생 안 망하고, 사는데 지장 없기도 함. 그런 사람들만 행복하게 사는 것도 아니고, 그렇게 살았다고 해서 인생 다 펴지는 것도 아님. 물론 그걸 안 해도 된다 필요없다 이런 얘기도 아님. 또 앞으로 자라나고 공부할 아이들은 그쪽으로 갈 수 있게 도와주기도 해야하고요. 중고등학교 때 그렇게 못 해봤으면 대학교 때부터라도 하면 되는거고, 대학교 때에도 못했으면 그 뒤에라도 해도 됨. 그리고 본인이 느껴보면 되는거구요. 게다가 그런 대상이 꼭 수학이어야 할 이유도 없고. 사회가 계속 발전하고 사람들 의식도 시간에 따라 올라가니, 언젠가는 선생님이 말씀하시는 대로 학생들이 공부하는 날이 올 것이라 생각은 해요. 그게 지금 당장은 아니고 언제 올지 모르지만.
@kdh9251
@kdh9251 2 ай бұрын
내신에선 안통해요. 수시로 갈건가요? 정시로 갈건가요? 정승제는 정시를 얘기하는 거에요. 내신때 저러면 망해요
@human_loves
@human_loves 2 ай бұрын
정승제 샘처럼 되는 학생은 내신은 실수 조심만 하면 될겁니다
@user-ju6ol8zp5b
@user-ju6ol8zp5b 18 күн бұрын
내신은 암기문제만 나오는 줄 아시나보죠? 그러면 다 일등이게요? ^^
@yv3081
@yv3081 20 сағат бұрын
학교 수준이 낮으면 암기만으로도 통하긴함. 근데 강남 쪽 지역 같은 곳은 수능과 관련되서 내기 때문에 정시도 잘 보죠. 어떤 학교에서는 전교 1등인데 수능이 4등급인 학생도 있죠. 애초에 서울대 지원 할 수시 등급인 아이가 최저를 못 맞춘다는건 말이 안됩니다. 그냥 기출 몇번 풀면 최저는 실수해도 나오는게 정상인데 최저떨 비율이 높죠. 암기로 공부하다가 갑자기 처음부터 그 사고 과정을 겪어야 풀리는 문제들을 마주해야 하니 점수가 안 나옵니다. 애매하게 4등급이면 오히려 개념부터 전부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데 대부분의 4등급 학생은 자기가 개념을 마스터 했다고 생각함 그렇게 문제만 많이 풀다가 감으로 문제를 풀어서 수능 때 잘 풀리면 잘 나오고 안 풀리면 안 나오고 그런 식인 경우가 고등학생들 대부분.
@jwk96
@jwk96 Ай бұрын
짧은 시간동안 많은 문제를 풀게 만드는 시험방식이 풀이를 외울수 밖에 없는 현실을 만들죠.
@user-ju6ol8zp5b
@user-ju6ol8zp5b 18 күн бұрын
외어서 풀리는 문제 거의 없음. 개념에 통달해야 문제풀이 속도가 광속이 됨.
@user-wh3dd5uz8p
@user-wh3dd5uz8p 2 ай бұрын
사교육 없이 현행으로만 키운 아들이 초6이 되니까 갑자기 수학에서 빛을 보이더니 중1인 지금은 광속으로 달리고 있습니다. 선행을 하지 않았다는 불안함이 가장 큰 적인거 같습니다. 용기를 가지라는 마지막 말씀 너무 힘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hv8tr6fm9c
@user-hv8tr6fm9c Ай бұрын
근본적인 문제는 수학이 재미가 없기때문에 많은 학생들이 생각하는걸 싫어함 그나마 공식 암기하면 몇 문제 푸니까 암기라도 하는게 현실 😢
@user-kp5dq4me3s
@user-kp5dq4me3s Ай бұрын
수시 걍 없어져야함 모고 국영2 수학4 뜨는 애가 일반고 2점대인데 요번에 중앙대감 솔직히 수학4이면 개념이 안되었다는건데 정시에서 2점초반이 나와야하는데 수시로 갔다는건 말 다했지 애초에 수시 탄생배경도 부모 잘만난 애들 자식들 학교 잘 보낼려고 만든거임 옛날처럼 정시비중을 엄청 늘려야함 학교에서 준 프린트물 달달 외우고 시험보면 과연 대학에서 요구하는 사고력,독해력이 갖춰질까? 대학가서 꺼리낌없이 수업이해하는 애 별로 없을듯
@user-fk2fy9cq1g
@user-fk2fy9cq1g 2 ай бұрын
삼수생 우리아들작년수능 수학문제가 너무좋은문제들이라고 감탄하던데 성적은 만족치못함ㅋㅋ
@user-er4qe1xw4r
@user-er4qe1xw4r Ай бұрын
과외 학원 하나도 안해도 수능 만점대받으신 분ㅡ 스스로 교과서가지고 차근차근했어요
@llll7983
@llll7983 Ай бұрын
근데 진짜 유치원 다니는 애들한테 의대반이니 뭐니 붙히고 초등학교 저학년 애기들이 미적분 푸는거 보고있으면 아이들을 그렇게 만들어놓은 부모부터 관련 인물들 싹 다 아동학대로 집어 쳐넣었음 좋겠음 진짜 스스로가 수학이 좋고 또 원해서 공부한 아이들의 경우는 승제T 말씀대로 정말 수학의 개념에 대해서 다 이해하고 남들한테 말로 표현할수 있게되기 때문에 그런 아이들은 정말 이쁘다고 생각함 근데 저렇게 자기가 좋아서한게 아니라 그저 부모님이 시키니까 혹은 선생님들이 시키니까 한 아이들의 경우는 부모부터 선생들까지 싹 다 징역 때려서 집어 쳐넣어야됨 진심 ㅇㅇ 물론 개인적인 생각이고 욕할 사람도 분명히 있겠지만 평생 공부 안하던 사람이 2년? 아니 1년만 미쳐셔 공부해서 sky간 사례가 생각보다 많다는게 모든걸 증명해준다고 본다
@user-rs9jx3lk9n
@user-rs9jx3lk9n 2 ай бұрын
외국과 비교만해봐도 한국 시험자체가 빠르게 푸는 아이를 원하지 않나요? 승재쌤 말씀이 다 맞긴하지만 수학적 생각을 할 능력을 키워주는 분위기가 아니죠.. 저희 아이도 학원 안다니고 집에서 차곡차곡 스스로 하고 있는데 당장 고1 내신에서 발목잡혔습니다.. 속도에서 안되요.. 집에선 끙끙거리며 혼자 풀어내지만 시험에선 암기를 해서라도 빨리 풀 수 있어야 2~3등급이라도 나오죠.. 이게 보통의 특히 문과 아이들의 현실입니다.
@user-ch1bh6xt6g
@user-ch1bh6xt6g 2 ай бұрын
중1엄마입니다 몰라서 여쭤보아요. 선생님 영상늘 보고있고 다른 수학공부법 영상도 보는데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는 왜그렇게 되는지 알아야 한다는데 그건 어떻게 공부하면 되는건가요? 올바른 방향으로 가게하고 싶은데 방법을 모르겠어요
@ELDERLYCHAN
@ELDERLYCHAN 2 ай бұрын
한 문제를 풀때마다 다양한 방법으로 풀라고 시켜보세요
@ELDERLYCHAN
@ELDERLYCHAN 2 ай бұрын
문제집에만 나오는 풀이 방식말고 본인의 방법으로 풀라고 시켜보세요
@yv3081
@yv3081 20 сағат бұрын
문제를 풀 때 처음 시작 발상이 있는데 왜 그걸 그렇게 풀기 시작했는지 근거가 있어야됨. 그 시작이 개념의 완벽한 이해이기 때문에 개념을 설명 할 정도로 이해하시라는거. 예를 들어 코사인법칙+코사인법칙 쓰는 문제를 연습했으면 잘 푸는데 만약에 수능에 코사인법칙+사인법칙 쓰는걸 내면 절대 못 맞춤. 왜 써야 하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그냥 이런 문제는 코사인법칙+코사인법칙을 쓰는거구나 하고 외우면 바로 비슷한 유형에다가 코사인법칙+코사인법칙 쓰면 풀리니까. 답안지를 보고 이렇게 푸네 하면 그 풀이를 외우는게 아니라 왜 저 풀이를 쓰는거지?가 되야함. 그걸 알려면 사인법칙이 뭐지?를 알아야 하고 그렇게 계속 연결되서 아 이 문제는 이러이러해서 사인법칙을 써야 하는거구나 사인법칙이 이런거니까! 이 과정이 나와야 하는데 그냥 머리속에 음 사인법칙+사인법칙 이거만 있는거임.
@user-zo6zg7bl4w
@user-zo6zg7bl4w Ай бұрын
저는 공대나온 영어 강사입니다. 말씀에 거의 다 동의하지만 개념을 거의 다 이해해야 수능 1등급,, 한국 수능이 너무 어려운거 아닌가요. 영어는 선행 없이 학교 교재 수준만 해 서는 1등급 못갑니다. 수학은 거의 반대군요. 고등까지 우수했던 아이들도 대학입학 후 급락(영어도 떡락, 하기 싫어한다는 말)하는 유일한 국가가 한국 이라는데 , 이건 수능 자체가 아이들에겐 너무 어려운 시험이라 서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기본개념에 충실 하면된다. 이거만 강조하기는 무리가 있다 고 봅니다.
@user-gk8of2dx6f
@user-gk8of2dx6f Ай бұрын
학원 보낼필요는 없죠 엄마아빠가 잘 코치해주면 됩니다
@user-qs3wr5li1g
@user-qs3wr5li1g 2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사고력을 높힐려면 어떻게 하라는거죠????
@kkl-ye2yp
@kkl-ye2yp Ай бұрын
고 1인데 지금부터 이런 습관들이면 수능 잘볼수있나요..?
@jhlee2864
@jhlee2864 22 күн бұрын
수학 내가 잘한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공식 패턴 그렇게 문제를 풀면 쉽겠지. 수학은 왜 그렇게 되는지 이해를 해야함. 그저 문제를 시험을 풀기위해 방식을 익히는 거지. 수학을 익히는 사람은 극히 소수.
@user-tg4kk9kn2d
@user-tg4kk9kn2d 2 ай бұрын
신유형 설명에 소름 제 아이가 그러네요 이건 한적 없다고 이런 문제유형 없었다고 RPM 난이도 상문제라 어려워서 모른다고
@user-nn1rd3kj6m
@user-nn1rd3kj6m 2 ай бұрын
Ebs사랑하시는진정한 선생님
@jeongsunho244
@jeongsunho244 Ай бұрын
제가 대학에서 제일 힘들었던 부분이 저 부분입니다. 증명하라! 원주율을 증명하라! 원주율을 외울줄만알지 왜 그게 나왔는지는 안가르켜주는 우리 교육수준이 발전이 없고 그래서 우리나라만 노벨상이 안나오는 이유임! 이해가 아닌 공식 외우기 랑 문제 외우기!
@yokool6805
@yokool6805 Ай бұрын
초등 6학년2학기 개념에 나오는데..
@yv3081
@yv3081 20 сағат бұрын
나오는데 학교에서 그걸 한 명 한 명 설명해봐 이렇게 할 수도 없고 그냥 이런거야 하고 넘어가고 학원 가서도 이런거야 하고 넘어가니까 문제죠.. 책에는 다 적혀있습니다 증명과정 자체는. 근데 이렇게 다 이해하면서 공부하면 성적이 빠르게 안 올라요. 최소 몇달이 걸립니다. 그마저도 아이가 공부를 하고 싶을 때죠. 나머지 아이는 문제를 1시간 동안 고민해서 이해하는게 아니라 10분만에 외워버리죠. 그렇게 그냥 단순 문제풀이양을 늘려서 시중에 있는 유형을 몽땅 풀어버려서 나오는게 3등급. 잘 나와야 2등급
@20cmusic
@20cmusic 2 ай бұрын
스스로 공부하는 학생은 사실 학원이 필요 없습니다. 과목별로 문제집 두어권만 반복해서 공부하면 상위권 충분. 무슨 노벨상 연구하는것도 아니고 😅
@india5690
@india5690 Ай бұрын
중요한 건 이론을 이해시켜도 중상위권 학생들은 이론 증명 및 이론조차 잊어버립니다. 기본적으로 수학은 암기가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여기 계시는 부모님들은 기본적으로 정석 연습문제 거의 외우지 않으셨나요? 대학교 가도 위상수학 중간고사 문제도 거의 암기기 바탕이 되어야 합니다 이해했어요 라는 말은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user-tj1vi2nm1r
@user-tj1vi2nm1r 28 күн бұрын
어떻게 시켜야하죠? 구체적 방법은 어디에??
КАРМАНЧИК 2 СЕЗОН 5 СЕРИЯ
27:21
Inter Production
Рет қаралды 592 М.
Ну Лилит))) прода в онк: завидные котики
00:51
I Built a Shelter House For myself and Сat🐱📦🏠
00:35
TooTool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대한민국 상위 0.01%만 아는 인생 꿀팁
9:19
[승제튜브] 정승제 공식 유튜브 채널
Рет қаралды 264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