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에 공기를 넣고 돌려봤습니다(재미로 봐주세요)

  Рет қаралды 23,050

에어컨설치굳뉴스

에어컨설치굳뉴스

Жыл бұрын

에어컨에 공기를 넣고 돌려봤습니다.
MV데이타 스크린샷한 블로그 링크 blog.naver.com/silverwisdom/2...
"너무 짧은시간 운전을 해서 그런가?"
라고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간 현장에서 보고 들은 바로는
도무지 이해가 가지않을정도로 공기가 들어가도 별 차이가 없어서 놀랐습니다.
영상을 보고 조언해주실 분들은 댓글에 자세하게 적어주시고
댓글로 조언이 힘들것 같다면 연락주셔도 좋습니다.
촬영해주고 함께해준 이창수 사장님 고생많으셨습니다.

Пікірлер: 125
@user-eu4mw3gg3x
@user-eu4mw3gg3x Жыл бұрын
1:50 비교 실험 1.압력 2. 토출온도 3. 운전전류 2:10 비교 실험 : 1.공기 유입이 없는 정상 상태. 2.공기가 배관과 증발기에 있었을 때의 상태. 3.공기가 한번더 주입 되게 하였을 때의 상태. 5:06 정상적인 에어콘 상태로서 실험 시작 초기 상태 운전전류 : 3.65A 냉매압력 : 135psi 실내온도 21°C 에어콘 가동 1분20초후 실내기 토출온도 10.3°C 8:10 공기주입을 하고 실험 8:35 실외기 까지 배관의 길이 벽걸이5m+스탠드3m 정도 11:36 에어콘에 공기 유입후 가동 초기상태 운전전류 3.7A 냉매압력 133psi 실내온도 19°C 에어콘 가동 1분05초후 실내기 토출온도 8.8°C 16:03 공기를 두번째 넣고 실험. 에어콘에 2번째 공기 유입후 가동 초기상태 운전전류 3.61A 냉매압력 131psi 실내온도 19°C 에어콘 가동 1분 27초후 실내기 토출온도 8.4°C 20:24 냉매 튜브에 공기가 어느정도 들어가도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다. 매우 중요한 실험을 하신 내용입니다. 감사드립니다.
@user-wt5fc8sv8o
@user-wt5fc8sv8o Жыл бұрын
지금까지 굳뉴스사장님동영상중에서 최고로 감동을 준 동영상입니다 에어컨설치에 관한 동영상에서 이렇게 흥분되기는 또처음이네요 댓글을 이렇게 3번달기는 ㅋㅋ 새벽 1시가되였는데 너무흥분되여서 잠이 안오네요 하하하
@user-wt5fc8sv8o
@user-wt5fc8sv8o Жыл бұрын
두분수고하셨습니다 에어컨설치하면서 최고좋은 교육을 받았습니다 삼성시스템설치자격증과도 맞바꿀것같은 좋은 경헙입니다 진심 ㅎㅎ 십수년동안에 감히 생각지도못한 고정관념을 여지없이 바꿔버렸습니다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궁금한점은 압축기토출온도의 변화까지 체크해주시고 최고 30분이상까지 운전했을때의 데이터까지확보하신다면 감히 장담하건데 에어컨업계의 혁신이 일어날것같습니다 용감하고 진취적인 굳뉴스사장님 격하게 응원합니다 ~~!!
@user-to7fn1xt1m
@user-to7fn1xt1m Жыл бұрын
참신하고 기발한 발상으로 늘 감동을 주시네요~~^^
@user-bo4bl3zw8r
@user-bo4bl3zw8r Жыл бұрын
호기심 천국이네요 이런걸 해보실 생각을 하시다니 ㅎㅎ 진정한 엔지니어 십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에어컨에 공기를 넣고 돌려봤습니다. MV데이타 스크린샷한 블로그 링크 blog.naver.com/silverwisdom/223111953315 "너무 짧은시간 운전을 해서 그런가?" 라고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그간 현장에서 보고 들은 바로는 도무지 이해가 가지않을정도로 공기가 들어가도 별 차이가 없어서 놀랐습니다. 영상을 보고 조언해주실 분들은 댓글에 자세하게 적어주시고 댓글로 조언이 힘들것 같다면 연락주셔도 좋습니다. 촬영해주고 함께해준 이창수 사장님 고생많으셨습니다. 2023년6월9일 일부러 히터를 틀어놓고 3시간가량 운전하면서 찍은 결과영상링크 kzbin.infoFEnaHrGDtRM?feature=share 이후 조건을 달리해서 한번더 테스트예정(히터를꺼놓고 3시간가량 운전)
@user-oj5zz4jc7i
@user-oj5zz4jc7i Жыл бұрын
참 무지한 행위, 선동입니다. 업으로 하는 사람이 정말로 몰라서 그런가... 황당하고 마음이 아픕니다. 근시안적, 잘못된 지식으로 모험을 다른 이에게 조장을 해서 되겠습니까. (일반인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사하게 따라하다 사고, 손실 감당을 누구에게 책임을...)
@onklim3132
@onklim3132 Жыл бұрын
@@user-oj5zz4jc7i 실험에 문제는 없어 보였고 결과도 투명하게 오픈되어있는데 선동이라뇨? 본인이야말로 기술적인 반박조차 못하면서 무지하다 선동이다 라고 폄하하지 마세요
@user-bn9fs8tb5i
@user-bn9fs8tb5i Жыл бұрын
모두가 고정관념에 같혀있죠 처음 배울때 이케해야한다하면 그대로가 정답이죠 다른방법은 시도도 안해보죠 집접보여주고 했는데도 선동? 기가막힙니다 누가 그렇게 하랬대요 궁금해던거 실험을통해서 보여주신것도 정말대단하다 생각되는데 이런결과를 어디서 들어라도보셨는지? 정석을지키시되 고정관념에 사로잡혀있지 않으셨음 삽니다
@freemind7733
@freemind7733 Жыл бұрын
굳뉴스님 배관에 공기가 들어가 있으면 에바에서 기화되는 타이밍이 더 늦어져서 에바 윗부분이 더 차가울거라고 예상해봅니다 저는 초본데 영상보며 항상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DDLsoso
@DDLsoso Жыл бұрын
오호^^ 아주 좋은 영상 이예요 앞으로 공기추가 생각좀 해봐야겠어요^^
@user-qh5bl2pw8m
@user-qh5bl2pw8m Жыл бұрын
굳뉴스님 이번영상 정말 잘보았습니다 3회모두 전류및 압력과 토출온도 큰변화가없네요 중고설치후 가끔 아나로그게이지 오르락~내리락 ㅎ 몇년이지났는데 지금도 잘사용하고계시네요 ~ 실험영상 잘보았습니다~~~^^
@user-fb1kv5ig2j
@user-fb1kv5ig2j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kennykangyoonlee3784
@kennykangyoonlee3784 11 ай бұрын
냉매는 1~1.5 Kg 정도 펌프다운 되었다고 치고요 공기는 대기압상태로 들어갔으니 배관과 증발기 다합쳐서 3리터라고 치면 공기밀도 1.29g/리터 하면 4g 들어가서 1%도 안섞였을꺼 같습니다. 그래서 성능에 별 차이가 없었을 듯 합니다. 유익한 실험 감사합니다!
@user-ur5hc8rl7o
@user-ur5hc8rl7o Жыл бұрын
역시 굳뉴스님 진공잡으면 좋지만 부득이하게 여건이 안좋으면 본인판단에 맞게 작업하면 좋겠습니다
@minserpark8407
@minserpark8407 10 ай бұрын
펌프다운하고 밸브 열었을때 공기가 어느 정도 들어갔을까요? 펌프다운시 대기압이하로 들어가자마자 멈췄다면, 게이지가 맨 끝에 있으므로 저 멀리 코일 쪽과는 압력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리커버리할때 배관끝이 마이너스 들어가도 5-10분 잠궈 놔두면 10psi까지는 올라가는 것처럼요. 그래서 공기가 기존 냉매를 어느정도 밀어냈을까가 궁금하네요. 담에 기회가 되신다면 질소로 퍼지하고 해보면 어떻게 다를까 궁금합니다.
@user-ct8nl1mn9p
@user-ct8nl1mn9p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요즘 자주보고 있습니다. 설명도 잘 해주시니 이해도 잘 되네요 한가지만 여춥겠습니다. 기존에 스텐드만 쓰다가 추가로 벽걸이를 설치 한다면 가스를 보충 해 야 할까요?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기본배관 내 설치라면 보충없이 그냥 쓰셔도 됩니다만 시원하지 않거나 덜시원하면 보충해야합니다.
@user-nk1wg2if3h
@user-nk1wg2if3h Жыл бұрын
재밌습니다. 아주 좋아요, 많이 배웁니다.
@onklim3132
@onklim3132 Жыл бұрын
생각을 좀 해봤는데 실외기측에 모인 냉매량에 비해 진공을 잡지 않은 상태의 배관내에 잔존하는 공기의 중량은 채 몇%조차 되지 않을테죠. 결국 순수 냉매만 들어갔을때에 비해 몇%만큼의 성능 하락이 있을수 있겠지만 그정도로는 체감이 어렵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과도한 수분이 들어가거나 해서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수 있으니 왠만하면 배관내 수분을 제거해주는게 좋겠지만요
@cararesjsj
@cararesjsj Жыл бұрын
ㅋㅋㅋ 재미있고 유익한 컨텐츠네요. 배관이 짧아서 그럴까요?
@onklim3132
@onklim3132 Жыл бұрын
좋은 실험 잘 보고 갑니다. 진공을 잡으면 내구성 유지면에선 좋지만 안잡아도 별 관계는 없는거네요.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결과만 놓고보면 뭐라 할말이 없네요~.~
@user-de5qn8no3i
@user-de5qn8no3i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멋진 실험입니다
@user-bf7xo5zw9v
@user-bf7xo5zw9v 11 ай бұрын
멋쩌부러요❤
@user-jc9id8dr9y
@user-jc9id8dr9y Жыл бұрын
영상 실험 감사 드립니다 참신한 실험 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작업후 정속형 모델 찜찜함이 있습니다만 안도감이 듭니다 ㅋㅋ
@minnesota-boston9620
@minnesota-boston9620 Жыл бұрын
온도 측정하실 때, 실내온도/유입구(공기들어가는 곳) 온도/토출 온도 이렇게 구분하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abejeong4556
@abejeong4556 19 күн бұрын
참 흥미로운 실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처음 KZbin를 통해 올리신 영상들을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오늘 아침부터 하루 종일 보고 있습니다. 저는 북미에서 HVAC기사로 일하며 학교도 다니는 사람입니다. 진공을 하지 않아도 별로 차이가 없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었는데, 오늘 영상을 보면서 그 이야기가 사실인 것을 알게 되었네요..^^ 학교랑 기술자들로 부터 알게 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진공을 하는 이유는... 1) 공기는 non-condensable(압축이 되지 않음) - 그래서 psi 압력이 높게나오고, compressor(압축기)에 과부하를 줄수 있음 2) R22가 미네럴 오일(공기중 수분을 많이 흡수 하지 않음)이 사용되는 반면, R410A는 POE 오일(오일 성격상 공기중 수분을 "아주" 잘 흡수 함)을 사용하기 때문에 진공이 아주 중요함. R22도 진공을 해야 하지만, 옛날에는 진공을 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었고, R410만큼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진 않는 다고 함 => 수분(공기중의)이 시스템에 들어가게 되면 EEV가 냉매를 뿌려서 기체화 시킬때 얼게 되어 막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 수분(POE오일과 섞인)이 들어간 compressor(압축기)의 부품에 녹이 슬게 되어(이렇게 되기까지 오랜 기간이 걸림) 수명이 단축 됨 이러한 이유로 반드시 진공은 해야 한다고 하네요... 고객의 입장에서는 진공을 해도 안해도 처음에는 전혀 알 수 없지만.. 나중에 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공기가 들어 간다고 터지는 정도는 아니라고 합니다. 의도적으로 공기를 고압력으로 넣는 경우가 아니라면.. 정말 설명을 잘 해 주시네요. 다시 한번 감사 드리며, 좋은 영상들 많이 보면서 가끔 답글도 올릴께요..
@GOODNEWSHVAC
@GOODNEWSHVAC 19 күн бұрын
정성어린 댓글 감사합니다.^^
@user-fc7jz7wk4p
@user-fc7jz7wk4p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wansikyeon1553
@wansikyeon1553 Жыл бұрын
굳뉴스님 화이팅 카페 글보고 댓글 남겨요
@fistpunch9799
@fistpunch9799 6 ай бұрын
에어컨 가스는 압축률이 좋고 공기는 압축률이 낮으니 일시적으로 밸브만 연다고 해서 섞이진 않는거 같아요 계속 팽창중.. , 밸브의 압력 차이 (물통에 물을 버릴때 뒷뚜껑을 열면 빠르게 쏟아지는 원리) 도 있는 것 같구요 펌프다운 후 나머지 배관에 공기를 직접 삽입 하거나 실내기 연결부를 완전 오픈후 장시간 방치한 후 재 실험해 보시는 게 확실해 보입니다 누설중 펌프다운중에 폭발 사례(참혹함)도 교육으로 봐 왔던지라 다른 분들은 따라하지 마세요~
@user-qf2wb9ge9i
@user-qf2wb9ge9i Жыл бұрын
잘 배우고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sw5br5th4o
@user-sw5br5th4o 7 ай бұрын
네. 특별한 실험 잘 보았습니다. 에어컨에서는 그리 차이가 없는 것 같이 보이지만 만일에 냉동에서는 익스펜션 밸브의 노즐이 수분으로 얼어 막힐 수 았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에어컨에서는 영하가 아니라 노즐에 막히지 않으니 차이가 없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좀더 장시간 가동시켜 본 후에 결과를 살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그동안 실수로 인하여 찝찝했는데 특별한 좋은 경험 안고 가게되어 감사합니다. 그리고 고맙습니다.
@user-wj8he5zp4c
@user-wj8he5zp4c 8 күн бұрын
저는 이시하고 에어컨 배관 제가 설치해서 진공하지않고 그냥사용했는데요 제가 진공하지않고 설치한 에어컨이 투인원 2대 벽걸이 1대 인데요 아직까지 아무이상없이 잘쓰고있습니다 진공해야 한다는거 굳뉴스님 영상보고 처음알았네요 영상에서 진공해야한다해서 걱정했는데 굳뉴스님 실험영상보고 이제 안심이 되네요 설치한지 4년 된거같은되 가스충전도 하지않고 잘쓰고 있습니다
@user-ch3jt4jx2n
@user-ch3jt4jx2n Жыл бұрын
지하와 지상의온도는 차이가많아서 지상의온도로실험을 해봐야겠네요 옛날에22가스는 가스퍼지로만 설치했잔아요 제생각으로 410가스도 가스제대로몰아졌다면 배관잠긴상태에서 고압열고저압잠긴상태에서 저압연결배관살짝열어놓고 가스퍼지만해서 운전하면 큰문제없을듯 싶은데 설치자분들의 답글을부탁드려도 될까요? 배관의부족한냉매는 조금보충만해주는걸로요 에어컨 설치분들에 건승을 빕니다 단저는22가스는 가스퍼지로만 작업해도별문제는 여태것 없었습니다 진공기그거보기보다 무거워요 유선은.....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진공을 안잡으면 외기에서 물이 많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그리고 외기의 어느부분에서 물이 많이 생기는지도좀 알려주세요
@user-hq2wv8cw9x
@user-hq2wv8cw9x 10 ай бұрын
투엔원에서.스텐 드만하며 어떨까요 벽거리는빼고요 ?답좀부탁드려요.
@feidavi601
@feidavi601 3 ай бұрын
적당한 양의 공기가 들어가도 솔직히 상관이 없습니다. 우리가 냉난방기에서 진공을 잡으라고 하는 이유는 진공을 안잡으면 문제가 생긴다는 것 보다는 1. 누설부위가 있는가 2. 수분 제거 목적 이 두가지입니다. 수분이 들어가면 팽창변에서 빙결이 발생할 수 있고, 로터리/스크롤 부 손상 및 부식 등이 일어날 수 있고 상황에 따라서는 압축기 (컴프) 폭발도 가능합니다. 그런데 이게 펌프다운 때 에어가 많이 들어가는 수준이 아니라면 실질적인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user-gi7uz7jf3z
@user-gi7uz7jf3z Жыл бұрын
2번째 나름의 추측은 에어컨을 애초에 설계할때 순수한 냉매를 기준으로 냉각효과가 최대한 잘 발휘되도록 개발을 했을 것이고 그래서 우리들은 개발자의 의도대로 최대한 배관에 순수한 냉매만이 있도록 진공잡으면서 나름의 절차를 정립해왔을 거 같습니다. 제조사나 개발자도 공기가 섞이면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 테스트 자체를 안 해 봤을거 같습니다. 애초에 그런 예외적인 예시는 관심밖이었을 거같습니다. 그래서 공기가 섞이면 어떻게 되는지를 아무도 모를수 있다는 겁니다. 예시로 종이를 자르는 용도의 가위를 어떤 사람이 제조사에 가위로 고기를 잘라도 되냐고 물어본다면 제조사는 다른 용도로의 사용은 문제가 발생하는 여지가 있으니 용도에 맞게 사용을 하라고 안내를 할듯합니다.
@user-xw8dl7sm1z
@user-xw8dl7sm1z Жыл бұрын
냉매가스에 공기가 유입되어 혼합되면 냉매가스가 오염되어 변질된다고 하던데 그것이 사실인가요? 너무나 궁금해서 댓글적어 봅니다.
@user-vv4mz8ko9i
@user-vv4mz8ko9i Жыл бұрын
냉매 오일 혼유 영상도 부탁드립니다 410.22오일 혼유 됐을때 문제가 된다고하던데 궁금하네요
@user-gi7uz7jf3z
@user-gi7uz7jf3z Жыл бұрын
콤프레샤 쪽에 문제가 생긴다고 알고 있습니다. 문제라는 게 성능이 아닌 나중에 고장이 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user-sv3lv7hq1o
@user-sv3lv7hq1o 11 ай бұрын
공기가 거의 들어가지 않은것 같습니다
@user-gc2qw9yk6k
@user-gc2qw9yk6k 11 ай бұрын
인천지역도 에어컨 수리 하나요?
@sgtno3226
@sgtno3226 10 ай бұрын
실외기 에바 빵구 여기저기 나서 떼우다 포기하고 가스없을 때마다 추가 주입해서 사용. 공기 엄청 들어가 있을 것 같은데 시원은 하더군요. 소음도 큰 차이 없고...실외기 알미늄 에바 퇴출 좀 하자구여.ㅋ
@user-dd9pw6cc6s
@user-dd9pw6cc6s 10 ай бұрын
냉동 시스템에 공기가 들어가면 공기가 응축기에 모이고 공기는 응축이 되지 않으므로 고압이 상승하겠죠. . 압력과 온도는 비례하므로 토출가스 온도가 상승하므로 압축기 오일이 탄화가 됩니다. . 그리고 고입과 저압 차이가 많이 나므로 압축비가 커져 고온이 더 상승합니다. 냉동기 오일이 탄화되면 찌꺼기가 생겨 압축기가 고장납니다.. 응축기 팬도 고압을 낮추기 위해 더 많이 돌므로 전기세가 더 많이 나오겠조. 다음 실험때는 고압과 고온도 체크해주세요. . 저도 이론은 조금 알고 있는데 실제는 어떻게 되는지 정말 궁금했습니다. . 좋은 실험 감사합니다. .
@user-ef4rm4zo8w
@user-ef4rm4zo8w 10 ай бұрын
로터리 타입이나 ,스크롤 타입은 공기가 포함돼도 크게 영향을 안받아요..특히 가정용은 .... 그러나 피스톤타입은 진공작업이 중요함....
@user-nt8zv6xb4p
@user-nt8zv6xb4p 9 ай бұрын
저는 이사 4번 다니면서 한 번도 진공한적 없음더 17년째 고장 없이 잘 나옴더~~ 진공 콤프 거렁거 없음더~ 추워요 추워 캐리어 ~~👍
@user-zh6li5pg7n
@user-zh6li5pg7n 11 ай бұрын
가정용 산업용은 모르겟으나 차량용 에어컨은 공기유입시에도 계산하여 개발을 합니다... 에어컨 라인에 공기가 유입이 되면 응축기 부분에서 고압을 형성시켜 냉방능력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순수한 공기만 돌리면 모르겟으나 에어컨 라인에는 냉매와 공기가 같이 들어있으면 안됩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11 ай бұрын
차량용 에어컨은 공기가 혼입되면 안시원하다는 말씀이시죠? 공기가 들어가는것을 계산해서 개발한다는건 어떻게 알았고 어떤의미인지 좀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그리고 에어컨 라인에 냉매와 공기가 같이 들어있으면 않되는 이유도 좀 적어주세요 잘 모르는 기사님들이 보더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요~ 부탁드립니다.
@user-zh6li5pg7n
@user-zh6li5pg7n 11 ай бұрын
@@GOODNEWSHVAC 공조기 개발시 냉매 관련 여러 테스트를 합니다. 그래서 시스템에 가장 적합한 냉동유와 냉매량이 선정이 되죠..에어컨 라인에 공기가 잔존하게 되면 라인의 막힘과 더불어 냉매의 상변화, 즉 기체에서 액체로 변화시에 방해가 됩니다.. 라인의 냉매 흐름에 문제가 생기니 필요이상의 고압이 형성되고 시스템은 안좋아지죠
@user-fz6vs2ep7s
@user-fz6vs2ep7s Жыл бұрын
수고하셨습니다
@user-nn5tk6my4q
@user-nn5tk6my4q Жыл бұрын
냉난방기는 진공안잡으면 난방때 토출온도차이가 많이 나겠죠?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겨울에 한번 해볼게요
@jamesc2653
@jamesc2653 Жыл бұрын
에어컨 냉매 가스 충전도 예약을 받으시나요? 2in1 에어컨이고, kzbin.info/www/bejne/f4CymmSXpJeVrdU 영상 봣는데 이전 기사들이 에어컨을 가동도 시키지 않고 그냥 가스 충전하는 것을 당해보고, 전문가에게 받아야 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물론 처음 설치시부터 가스가 미세하게 세는지 가스 충전하고 1년 지나면 물이 뚝뚝 떨어져요. 충전하면 괜찮아 지고
@user-jb8tp3si5c
@user-jb8tp3si5c Жыл бұрын
👍👍👍👍👍
@byeonghaklee5407
@byeonghaklee5407 Жыл бұрын
공기는 불응축가스라고합니다.당연히 전혀응축이 안되는것은아니고 주위의 열을 뺏는능력이 낮다로 초보적인 설명을 드립니다.공기도 급격히 팽창을 시키면 주위열을 뺏어갑니다.
@user-qx6cu5gs4o
@user-qx6cu5gs4o 11 ай бұрын
졔가보기에 테스트 영상이 오류가 있지 않나 생각 합니다 펌프다운하고난후 메니폴더를 오푼 한다고 해서 몇분 사이에공기가 배관내로 흡입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외부 공기의 압력과 배관내의 평준화될뿐이지 공기가 아닌 냉매가 존재할 뿐이지 공기가 흡입되지는 않았다고 봅니다 정확한 테스트 비교영상을 만든다면 후레아를 오픈하고 배관안을 에어로 불어내고 테스트를 하여 비교 영상을 만들어 보는것이 좋지 않을까 싶네요 배관 내에 순수한 냉매만 존재 한다면 지금의 테스트 영상은 초보자 분들한테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에어퍼지 안해도 되는구나 하구요 진공 안잡고 어어퍼지 안하면 공기내의 수분으로 인한 모새관 얼었다 녹았다하여 성능에 문제가 있는걸로 알고 있어요
@mikehunter1369
@mikehunter1369 Жыл бұрын
공기가 들어가면 콘덴서 압력이 떨어지게 하고 토출온도가 떨어지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공기가 많이 들어가면 프레온 부족을 초래하고 얼은 것처럼.. 이 실험에서는 프레온을 잃지 않은 상황이라 별로 변동이 없는 것 같습니다. 공기가 더해지면 프레온 밀도가 줄어서 압력이 떨어지는 것 같습니다.
@user-be5jh2km7r
@user-be5jh2km7r 9 ай бұрын
공기가 혼합되면 좀 덜시원하겠지요 젬재기 생각였습니다
@user-wt5fc8sv8o
@user-wt5fc8sv8o Жыл бұрын
누구인가는 엄청난위험을 감수하고 실험한결과에 항상감사함을 잊지않고 응원하겠습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작은 호기심에 해본 테스트인데 칭찬이 과하네요 영상봐주셔서 고맙습니다 ~^^
@WaterDector
@WaterDector Жыл бұрын
에어컨 설치 공부중인데 흥미로운 테스트 같습니다. 제 생각으론 당연한 결과가 아닌가하는 생각입니다. 공기중 질소의 비율이 78%가 되니 기존 냉매가 있는 배관에 질소가 들어가서 질소가 냉매로서의 역활을 하게되고 질소의 냉매 특성이 좋기에 질소 함량이 높을 수록 빠르게 냉각이 되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주의할 점은 공기 중 산소가 21% 함유되어있으므로 자칫 압축기 폭발의 위험이 있을 수 있겠네요. 굳 뉴스님 영상들 공부에 많은 도움이 되어서 감사합니다.
@ssj-wh7tn
@ssj-wh7tn Жыл бұрын
아 안그래도 혼란한데 더 혼란스러운 결과네요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너무 혼란스러워 마시고 본인이 맞다고 생각하는대로 일하시면 좋겠습니다. 이런 테스트는 호기심과 재미로 가볍게 봐주시고요^^ 파이팅입니다.
@ss_homcare
@ss_homcare Жыл бұрын
저는 굳뉴스를 보고 항상 공부 많이 하고 많은 지식을 얻게 된 구독자 입니다. 고민이 있어서 말씀드립니다. 저는 현재 에어컨 청소 업을 하고 있는데 완전분해로 에바 분리하고 청소를 진행 하는데 진공 잡을때 잘 안잡혀서 고민입니다. 가정용 스탠드나 2in1을 진공 잡을때 0.5토르 까지 잡히는 곳은 거의 없고 매번 2토르나 3토르, 잘 잡힌다고 치면 1.3토르~1.5토르 정도가 평균 입니다. 중간에 오일을 갈고 진행 해도 거의 비슷하고 청소하러 왔다가 진공만 잡았다 하면 진공작업만 1시간 2시간을 하니 손해가ㅠ 오일값도 만만치 않구요 이럴땐 가정용 스탠드,2in1 기준 어느 정도의 토르가 적당한지.. 진공 잡는 시간은 어느 정도면 되는지..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ㅠㅠ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고진공호스를 사용하시나요? 고진공호스만 사용하셔도 1토르 미만까지는 30~40분에 가능합니다. 사용했던 배관에 진공작업을 하면 오일 때문에 속도가 더딥니다.
@freemind7733
@freemind7733 Жыл бұрын
오일이 진공으로 딸려가다가 배관을 막아서 뚫렸다 막혔다하니까 그런걸로 알고 있습니다ㅎㅎ
@user-ef4rm4zo8w
@user-ef4rm4zo8w 10 ай бұрын
일반 에어컨디셔너의 경우는 수분.불포화가스 제거도 있지만, 그보다 초기 시운전시 LECK에 초점을 두는게 비중이 더 급니다.... 쌍팔년도에 에어컨디셔너 테크니션들이 버귬펌프갖고 일하는 사람드물었죠......원만하면 그냥퍼지작업이 주류.... 버귬은 대형 냉동기쪽에서 작업함.
@yhy4815
@yhy4815 Жыл бұрын
진공 안잡으면 외기에서 물이 많이 생기는 차이는 있어요
@jeongxgong2082
@jeongxgong2082 Жыл бұрын
공기의 양 증과 와 시간 당위 이상 유무 확인 하면 , 무슨 일이 벌어 질 듯 한 느낑이
@tow993
@tow993 Жыл бұрын
선배님. 가스 전부 날리고. 실외기까지 진공 잡고. 냉매 정량 저울 주입 후 결과 값도 한번 해보면 좋을듯 합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해봤는데 결과는 똑같이 나오더라고요 ㅎ
@user-nc5oz9kv1o
@user-nc5oz9kv1o Жыл бұрын
2년전에 교육가서, 이런 얘기를 드린적 있었는데, 말도 안된다는 말씀하셨던 기억이 나네요. kzbin.info/www/bejne/bJPMaWuvjtZ1e8U
@user-hw4lz3iy2d
@user-hw4lz3iy2d Жыл бұрын
실외기가 실내에 있어서 테스트 조건이 안맞을것 같네요
@workslg
@workslg Жыл бұрын
오호 저도 오래전에 해봤습니다 공기중 수분이 모세관에서 얼었다 녹았다가 문제입니다 시원하다 말다 결국은 오래돌리다 보면 막혔다 말다 이렇게 됩니다
@user-dd9pw6cc6s
@user-dd9pw6cc6s 10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론 에어컨은 온도가 마이너스로 안떨어져 드라이어를 안쓰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냉매로 인해 수분으로 모세관에서 막힐 일이 없다고 알고 있는데 아닌가요?
@workslg
@workslg 10 ай бұрын
@@user-dd9pw6cc6s 수분의 정도차이는 있지만 결국은 막혔다 녹았다 합니다
@sgtno3226
@sgtno3226 10 ай бұрын
22용 배관에 410 가스 넣어서 410용 에어컨 가동시 실험하면...에어컨 사망하려나요?
@GOODNEWSHVAC
@GOODNEWSHVAC 10 ай бұрын
그건 별일은 안생깁니다. 그냥 안시원해요 ㅎ
@user-ir6ly8fo8f
@user-ir6ly8fo8f Жыл бұрын
제기억엔 공기 많이 들어간 에어컨의 토출온도는 위아래 중간부분 다 차이가 나더라고요 원래 냉매가 부족하면 스탠드기준 아래가 차갑고 윗부분은 안차가운데 공기들어가면 그런 명확한 기준이 없고 어디는 차갑고 어디는 미지근하고 그렇더라고요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위치를 다르게 하면서 측정해보니 위치별로 약간의 차이가 날때도 있고 안날때도 있었습니다. 온도편차도 약1~2도정도로 아주 크지는 않더라고요 덕분에 한가지 더 테스트해볼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xo1sf2qx6e
@user-xo1sf2qx6e Жыл бұрын
우찌이런일이ㅎㅎ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ㅋㅋ 다음엔 물넣고 돌려보려고요~
@michaelpark835
@michaelpark835 1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상 잘보고 있습니다. 호주에서 냉동기사로 15년정도 일하고 있는 아재입니다. 보통 냉매가 오염됐을시(공기)엔 moisture (수분)포화량에따라 Condensing temperature 가 달라질수 있습니다. Saturation temp&pressure. 응축온도와 압력도 확인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증발기 super heat 도 확인 해보시면 차이가 날거에요. System 안에 공기가 들어갔다고 comp 가 터질일은 없습니다.
@user-cg4xr3ov6z
@user-cg4xr3ov6z Жыл бұрын
재미가 아닌데요 대표님. 매우 흥미롭습니다. 전에 벽걸이 에어컨이 안 시원하다고 해서 점검 갔는데 냉매는 정상보다 조금 높더라구요. 그래서 냉매를 살짝 빼고 왔는데, 다시 연락이 와서 가 봤더니 냉매는 정상인 거에요. 토출온도는 높게 나오고요 그래서 냉매를 다 빼고 진공 잡고, 냉매 정량 넣어줬더니 문제가 해결되었습니다. 저는 냉매가 공기와 믹스되어 그렇다고 생각했는데... 맨붕이 오네요..😂 제가 겪은 것은 어떤 원인일까요?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대부분 냉매의양이 맞지않아 문제가 되는경우가 많기에 정량 넣어주면 해결되는 일이 많습니다.
@jone7001
@jone7001 9 ай бұрын
펌프타운해제후 고압배관살짝풀어놓고 잠구는에어퍼지만 해도 되긋네 ㅋㅋ진공까진 ㅋㅋ할필요없을듯
@user-gi7uz7jf3z
@user-gi7uz7jf3z Жыл бұрын
와 이건 반전이네요.. 이때까지 누가 카더라통신만 믿고 그런 줄 알았는데... 이건 에어컨 설계자분이 답변 달아주시길 희망합니다. 나름의 추측은 처음 에어컨에 벌써 불순불이 들어가지 않았나 합니다. 그러니까 이때까지 우리들이 나름 진공잡고 하는 행위를 한다고 하더라도 100% 진공을 잡을수는 없고 다른 불순불 유입을 100% 막을수는 없으니 벌써 완벽한 설치는 불가능하니 기준 에어컨이 오염된거고 공기가 들어간 조건과 정식설치 조건이 기계입장에선 별반 차이가 없는 거 아닌가 합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테스트전 냉매를 다 빼고 진공작업후 새냉매를 넣고. 시작한건데 결과가 너무 의외네요
@user-gi7uz7jf3z
@user-gi7uz7jf3z Жыл бұрын
암튼 이런 순수한 호기심과 실험은 자연과학을 사랑하는 사람으로써 너무 반갑고 추천드릴 수밖에 없는 영상이네요
@user-pp1wi4wz3y
@user-pp1wi4wz3y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진공이나 퍼지나 토출온도 차이점 없다고 단적있습니다. 문제는 재설치에서 벽걸이에서 종종 나옵니다. 스텐드에서는 거진 본적이 없는것 같습니다. 재수없으면 물샙니다. 그리고 하나 더 있긴합니다만 ..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에어컨에 공기가 들어가면 벽걸이 에어컨에서 물이샌다는 이론을 좀 과학적으로다가 설명은 않될까요?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하나 더 있는 것도 좀 알려주세요 궁금합니다.
@user-pp1wi4wz3y
@user-pp1wi4wz3y Жыл бұрын
​@@GOODNEWSHVAC죄송합니다. 과학적으로 설명을 할방법이 제 머리론 좀 부족하네요..가스충전하러 다니면서 과충 가짜압력? 이상현상을 접하다보니 이해를 그리하게 됬습니다.오늘도 한쪽 끝 토출구에서 당황스런 물샘을 보고 스펀지 붙이고 와서 .. 제 머리로는 이해불가적인게 몇번나오네요.
@user-pp1wi4wz3y
@user-pp1wi4wz3y Жыл бұрын
​@@GOODNEWSHVAC물샌다는건 벽걸이 이전설치하면서 느낀거라 과학적으로 접근하기가 저의 머리로는 힘드네요..
@johnlook2734
@johnlook2734 10 ай бұрын
​​@@GOODNEWSHVAC 저는 에어컨 초보인데 나름 벽걸이에서는 이유가 있습니다 공기가 많이 들어가면 실내기 에바가 상부는 차갑고 하부는 차갑지 않습니다 실내기 에바에서 1차로가 갑자기 6차로로 넓어지면서 가벼운 프레온가스는 위로 무거운 공기는 아래로 갑니다 그래서 에바 상부에 맺힌 물방울이 아래로 자연스럽게 타고 내려가야하는데 하부는 물막이 없으므로 에바 사이사리로 바람이 빠르게 흐르고 있어 상부 물기가 에어컨 커버 앞 필터쪽으로 튀어 나옵니다
@user-rk4ne3yq7y
@user-rk4ne3yq7y 8 ай бұрын
재미있는 실험 영상 잘 봤습니다. ㅎ 말도 안 되는 개인적인 추측을 해 보면...ㅎ 공기는 불응축 가스이므로 실외기 응축기 상부로 모이게 될 거고 응축된 냉매 가스만 아래쪽에 액관을 통해서 실내기로 가기 때문에 냉방 능력에는 큰 변화가 없었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실험을 실외기의 온도가 낮은 20'c 이하에서 했기 때문에 과냉 될 수있는 조건에 불응축 가스가 압력 보상 역활을 하여 냉매 순환이 더 잘 되어 온도가 좀 더 빠르게 떨어질 수 있었나라는 생각도 들구요... ^^ 만약 실외기를 여름 30'c 이상의 외부 온도에서 실험을 하였다면 불응축 가스는 응축기 상부에 모이게 될 거고 그만큼 응축기 내부의 냉각 면적이 줄어들어서 고압 상승 할 거같은 생각을 해 봅니다. 잘 아시듯이 다량의 공기가 유입 되었을때 고압은 상승 할거고 장시간 운전을 하게 되면 공기중의 수분으로 해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였습니다. ^^ 궁금해했던 재미있는 실험 영상을 보게 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
@user-ux3xj8mq7n
@user-ux3xj8mq7n Жыл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실외기 환경이 일반적인 상황은 아닌듯합니다 우선은 실내기가 불어주는 바람으로인하여 실외기 응축기를 빠르게 식혀주고있습니다 실내온도가 점점 더 낮이지다보니 조건값이 동일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또한 문제점은 해당 모델은 인버터 모델이여서 강제 운전을 돌려도 현재 최대 운전전류값에 한참 못미치는 용량을 사용하고있습니다(앞에서 지적한 실외기 환경문제로 점점 응축이 잘 되다보니 운전전류값이 낮아지는현상 ) 정확한 값을 구하자고자 한다면 정속형 모델로 실외기위치는 야외에 설치를하여 실험을 하는게 맞다고 보여집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덕분에 지하에 히터를 틀어놓고 3시간 가량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결과는 쇼츠영상으로 올려놨습니다. 운전전류가 상당히 많은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이 온도조건이 상승해서인지 공기때문인지 비교하기위해 히터를끈상태로도 3시간정도 운전해봐야겠습니다. 좋은지적 감사합니다.
@user-ux3xj8mq7n
@user-ux3xj8mq7n Жыл бұрын
​@@GOODNEWSHVAC 쇼츠영상까지 ..열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다만 영상에서 3시간 운전했을경우 증발기는 온도를 내릴수있는 임계점까지 도달하여 토출 온도값이 더 많이 내려가는듯합니다 인버터 에어컨 -> 전기세증가(공기로 인한 인버터 역활로 압축횟수 증가) 정속형에어컨 -> 토출 온도값이 낮아짐 (60hz 정삭적인 콤프움직임) 제생각입니다 이렇게까지 실험해주는 굳뉴스대표님 감사드립니다
@yoonkim7111
@yoonkim7111 9 ай бұрын
결론 큰문제 없다????
@jeongxgong2082
@jeongxgong2082 Жыл бұрын
공기를 5백 증가 해시는 것이?
@user-ym4wf9ft3m
@user-ym4wf9ft3m Жыл бұрын
단기간에는 차이가없을듯 ㅋ 1년 이상 가면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요 ㅋ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네 그럴것 같습니다.
@qwerty85620
@qwerty85620 10 ай бұрын
일단 실험은 배관길이도 짧고 기간도 짧아서 더 지켜봐야 할듯
@user-vg8qx8tt6l
@user-vg8qx8tt6l Жыл бұрын
공기가 들어간다고 콤프가 폭발하진않죠 질소가 들어가면 터집니다. 17년전쯤에 사고사례가있었습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질소가 아니라 산소일겁니다
@user-bf7xo5zw9v
@user-bf7xo5zw9v 11 ай бұрын
똘아이들. .. 아열받네.. 울릉공항도 만들어 주지 말아야해 핀리핀이 더하고 좋네 젠장
@user-xz3ys3eg3q
@user-xz3ys3eg3q 10 ай бұрын
그동안 뭔 뻘짓을 한거야..
@minnesota-boston9620
@minnesota-boston9620 Жыл бұрын
공기가 들어가면 효율이 떨어지고 콤프로세 압축압력이 높아져서 콤프 수명이 단축되고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콤프 밸브쪽에 심각한 고장으로 이어집니다. 그리고 어느 정도 상당량의 공기가 들어간 간 상태에서 펌프다운을 하게 되면 폭발 사고로 이어집니다. 저 정도의 결과가 나온다는 것은 들어간 공기의 양이 들어가 있는 냉매에 비해 미미하다는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궁굼해서 한 실험이지만, 전문가 이시기 때문에 믿을만 하지만, 일반인들은 절대로 절대로 따라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영상 잘 보았습니다.
@user-fk3eo8fy1k
@user-fk3eo8fy1k 11 ай бұрын
공기가 들어가면 에어컨 콤프레샤 열이 많이 난다 콤프레샤 수명이 짧아진다 그것은 콤프레샤가 공회전을 많이 하며 돌아간다 결과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jnk6238
@jnk6238 11 ай бұрын
실험은 실험일뿐 진공은 무조건 잡아야죠. 이거보고 진공안잡는 기사님들 생길까봐 무섭네요 ㅎㅎ
@GOODNEWSHVAC
@GOODNEWSHVAC 11 ай бұрын
진공을 안잡아서 에어컨이 시원하지 않다는것은 사실이 아니란걸 알려주고싶었습니다. 진공을 잡지말자는 뜻은 없어요
@k-3030
@k-3030 11 ай бұрын
이런 실험이 무의미 한게 장시간에 걸친 축적된 데이타가 아니라 고작 몇분짜리라는게 문제 입니다. 요즘 에어콘은 인버터 방식의 고효율을 추구하여서 정밀시공은 진공 잡을때도 0.1 토르까지 잡는데 공기 혼입이 괜찮다는 인식은 버려야 하죠. 그것은 마치 병원에서 주사 맞을 때에 의료인이 주사기 안에 공기방울을 섞어서 주사 해도 당장 안 죽으니까 괜찮다 라고 말하는 것이랑 똑같은 것이죠.
@GOODNEWSHVAC
@GOODNEWSHVAC 11 ай бұрын
저는 현장에서 아직도 진공작업을 하고 있고 계속 해야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습니다.(공기 혼입이 괜찮다는 의식은 애초에 없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오해없이 들어주세요 이런 실험이 설치기사님이나 서비스 기사님들에게는 큰 의미입니다. 왜냐하면 우리모두 진공을 잡지않고 설치하면 에어컨이 시원하지 않다고 배웠기 때문입니다. 사실이 아닌것을 사실처럼 말할 필요가 없어졌고 정확하게 진공을 잡지않으면 어떠한 문제가 생기는지에 대해 더 알아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인버터 방식의 고효율을 추구한다고요? 그 효율로 얼마의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었나요? 제가 생각하기론 진공작업은 효율과는 별반 상관이 없습니다. 진공작업을 하면 대기로 방출되는 냉매가 없으니 환경에 좋고 진공작업을 하면 시스템 내부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니 제품의 내구성에 좋습니다. 만약 작금의 제조사에서 만들어지는 제품들이 적어도 15년이상만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게된다면 더욱 진공작업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주요부품들이 몇년이면 단종되어 수리가 않되는 요즘 에어컨의 효율과 내구성을 위해 진공을 타이트하게 잡는것은 뭔가 앞뒤가 안맞는건 아닐까요? 이 실험을 전후로 진공작업에 대한 제 생각은 조금 변했습니다. "이웃나라 일본에서처럼 가정용에어컨의 진공작업은 5~10분정도 작업으로 충분하겠구나"라고요 중대형 시스템은 또 어떨까요? 10~15년주기가 되기전에 부품이 없어서 제품을 교체해야하는 대학교 병원 관공서등을 봤습니다. 공식 서비스업체가 관리하는 곳들이였습니다. 물론 거기 서비스업체에서 나오는 서비스 기사님들이 콤프교체등의 중수리를 하고 진공작업을 하는것도 한번도 못봤고요 현장의 상황에 맞게 적절한 작업기준을 만들고 지키는게 더 좋은게 아닐까요? 진공을 안잡으면 에어컨이 시원하지 않다는 사실이 아닌 얘기들로 진공작업을 강요하기 보다는요... 댓글을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덕분에 그동한 하고 싶었던 얘기를 할수 있었네요
@tow993
@tow993 Жыл бұрын
공기좀 넣어야겠어요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ㅋㅋ
@damian6055
@damian6055 Жыл бұрын
가정용 멀티 진공 안잡아도 작동 잘됩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엘지나 삼성이 이 댓글을 싫어할수도 있겠는걸요~
@damian6055
@damian6055 Жыл бұрын
@@GOODNEWSHVAC 콤프 생명은 진공 잡은것보도 짧겟죠.ㅎㅎ
@user-kh1ne3kj6p
@user-kh1ne3kj6p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냉매 슬라이더 사용하실 겁니다. 135 psi = 8.22도 / 133 psi = 7.77도 / 131 psi = 7.32도 이론상 저압을 변환한 이 온도는 증발기 입구 온도와 동일합니다. 하지만 실제는 조금 더 높게 나옵니다. 이제 MV 데이타를 보면 9.65도 / 7.27도 / 6.24도 공기를 넣은 데이타는 이론보다 더 낮게 나옵니다. 순수한 냉매만 들어 있는 경우 이론적으로 불가능한 온도입니다. 순수한 냉매가 아니라 불순물이 들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결과 실내과열도는 점점 커집니다. -0.67도 / 0.69도 / 1.72도 - 추가 - 진공을 안 잡아도 된다는 글이 많아 내용 추가합니다. 실내과열도 = 증발기 출구 온도 - 증발기 입구 온도 이상적인 실내과열도는 0입니다. 입구와 출구의 온도가 같은 상태입니다. 증발기 전체에 골고루 냉매가 흘러 증발해서 냉매가 들어가는 입구도 냉매가 나가는 출구도 동일하게 차가워져서 증발기 전체가 균일한 온도로 골고루 차가운 상태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효율 100%의 상태입니다. 이 값이 커진다는건 증발기 전체가 균일한 온도로 골고루 차가워지지 않는다는 겁니다. 즉, 효율이 떨어진다는 얘깁니다. 각 실험의 실내 공기 온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23.77도 / 20.43도 / 19.78도 20도, 19도 환경에서 효율이 좀 떨어진다고 눈에 바로 보이진 않습니다. 하지만 온도가 30도를 넘고 40도에 가까워졌을 때 몸으로 체감될 정도의 차이가 날 겁니다. 냉방약의 원인이 됩니다. 그 외에도 결로, 냉매 소음 등의 원인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잘못된 실험이라 봅니다. 최소한 실내 공기 온도만이라도 같은 조건이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덧. 참고로 실내과열도가 -가 되는 경우는 대체로 냉매가 많은 경우입니다. 냉매의 증발이 입구쪽보다 출구쪽에서 더 활발하단 뜻이니까요. 하지만 액압축이 일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크게 문제 되지는 않습니다. (시운전은 EEV가 160 고정이지만 냉방 운전 때는 EEV로 조절 할 겁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테스트전 냉매를 다 회수하고 진공작업을 했어요 다시 주입한 냉매는 새것이고요...
@user-kh1ne3kj6p
@user-kh1ne3kj6p Жыл бұрын
@@GOODNEWSHVAC 처음부터 냉매가 잘못되었단 얘기는 아닙니다. 두번째, 세번째는 공기를 넣었기 때문에 냉매 + @. 즉, 공기를 불순물이라 표현한 겁니다. 오래전부터 진공 안 잡아도 실내온도 1, 2도 차이밖에 안난다고 우스갯소리를 합니다. 그런데 정말 더울때는 저 1, 2도도 아쉽습니다. 실내 온도가 26도까지 내려가는 것과 28도까지 내려가는 건 사용자 입장에서 천지차이 입니다.
@GOODNEWSHVAC
@GOODNEWSHVAC Жыл бұрын
온도가 높아지니 운전전류에는 확연한 차이가 보이네요 댓글 고맙습니다.
에어컨 배관이 어는이유
19:34
에어컨설치굳뉴스
Рет қаралды 214 М.
질소를 사용하기위해 알아야할것들
16:37
에어컨설치굳뉴스
Рет қаралды 40 М.
UFC Vegas 93 : Алмабаев VS Джонсон
02:01
Setanta Sports UFC
Рет қаралды 205 М.
Stupid Barry Find Mellstroy in Escape From Prison Challenge
00:29
Garri Creative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PINK STEERING STEERING CAR
00:31
Levsob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에바 청소 방법
9:01
에어컨오일뱅크(acoilbank)
Рет қаралды 3,1 М.
ep270 창문형 에어컨 설치 (내돈내산) | 전동드릴 없이 나무에 피스 박기
16:07
[에어컨설치 굳뉴스]진공빨리잡는법/냉매충전방법
36:27
에어컨설치굳뉴스
Рет қаралды 189 М.
에어컨 가스?!!?  더이상  교체 하지 마세요!!
10:22
아우라모터스
Рет қаралды 948 М.
Ultra Meme Mashaa 😱😱😱 (Animation Meme) #memeanimation
0:10
Crazzy Toon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Cute ❤️🍭🤣💕
0:10
Koray Zeynep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
🐳Can you sound like a whale?! #kidsfun
0:13
J House jr.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Cute ❤️🍭🤣💕
0:10
Koray Zeynep
Рет қаралды 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