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깃줄의 참새와 저항의 병렬회로에 대한 이해 | 참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367,083

전병칠

전병칠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다산에듀 전병칠원장입니다.
전깃줄에 앉아있는 참새는 감전되지 않고 멀쩡합니다. 이를 옴의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옴의법칙과 저항의 병렬접속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여러분과 함께 알아봅니다.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소중한 시간이길 바랍니다.
전병칠 드림.

Пікірлер: 357
@kidongkim8602
@kidongkim8602 Жыл бұрын
아주 이해가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lg7qg4wj6x
@user-lg7qg4wj6x Жыл бұрын
최고의 설명 감사합니다.
@user-wk8qy9el4p
@user-wk8qy9el4p 3 жыл бұрын
정말. 이해하기 쉽네요. 감사.
@user-ys8rq7xi1b
@user-ys8rq7xi1b 2 жыл бұрын
쉬운 설명 갑사합니다.
@user-le1mt2jl4h
@user-le1mt2jl4h 4 жыл бұрын
아침 영상보면서 출근 합니다. 감사드립니다
@환타가조아
@환타가조아 2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 합니다.
@user-jw1hi9gd2x
@user-jw1hi9gd2x 3 жыл бұрын
참으로 유익한 정보 잘 배웠습니다. 고맙습니다.
@user-zu2fe3ij5c
@user-zu2fe3ij5c 2 жыл бұрын
내 귀에 쏙쏙 들어오는 좋은 강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watabae792
@watabae792 2 жыл бұрын
평소 궁금하던 내용이 해결됬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cosmos4592
@cosmos4592 3 жыл бұрын
직관적이고 간결하고 쉽네요.
@user-zo7ht9fq9u
@user-zo7ht9fq9u 2 жыл бұрын
설명 감사합니다 잘때 볼게요
@samuelgwon4268
@samuelgwon4268 2 жыл бұрын
설명 알아듣기너무좋아요 더많은 시간을 활애 해주세요 감사합니다.
@victory4807
@victory4807 Жыл бұрын
굳 넘 잘 가르쳐 주셔 감사합니다
@moonkyungpaik5311
@moonkyungpaik5311 2 жыл бұрын
강의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너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zf8li3qh9l
@user-zf8li3qh9l 3 жыл бұрын
이해가 잘 됬습니다. 감사합니다.
@procam123
@procam123 3 жыл бұрын
좋은정보, 알찬 지식 감사합니다~
@user-vs2ye6yq4y
@user-vs2ye6yq4y Жыл бұрын
늘 궁금했는데 이제 쉽게 이해가 되네요! 재밌고....... 감사합니다
@user-og8uj2ms3e
@user-og8uj2ms3e 4 жыл бұрын
잼있게 잘보고갑니다
@user-it3hp8oc6s
@user-it3hp8oc6s 3 жыл бұрын
좋고 유익한 강의 너무 감사 드립니다
@user-yr5fw3br5l
@user-yr5fw3br5l 2 жыл бұрын
목소리좋아요^^ 감사합니다
@gistek9353
@gistek9353 2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너무 감사합니다
@elec7
@elec7 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user-ne9ih2xu5r
@user-ne9ih2xu5r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하나 배우고 갑니다.
@daegun9346
@daegun9346 2 жыл бұрын
전기 문외한이 이해 하기 쉽도록 정연하게 설명 해 주신 점 감사 드립니다
@brianlee7537
@brianlee7537 2 жыл бұрын
와우 일상생활속의 전기에 대하여 좋은강의네요 감사합니다
@user-pi2iw2ty7m
@user-pi2iw2ty7m 3 жыл бұрын
이거참 재미있네요. 감동했습니다. 접지의 원리를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user-ch8bm4kw4m
@user-ch8bm4kw4m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아주아주 흥미있었습니다. 유익했었습니다. 그리고 설명이 이해하기 아주 쉽게 잘 해 주셨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user-vx3fx6vt4z
@user-vx3fx6vt4z 3 жыл бұрын
설명이 아주 이해가 잘됩니다 ^^
@awesome-mz2lj
@awesome-mz2lj Жыл бұрын
매우 유익했습니다. 땡큐. 😊
@elec7
@elec7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user-rj6jw5wz9v
@user-rj6jw5wz9v 10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원장님
@user-mv2wj9rt2j
@user-mv2wj9rt2j 3 жыл бұрын
머리에 쏙쏙 들어오네요..감사합니다..
@jhkim395
@jhkim395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ㅎ
@elec7
@elec7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즐거운 전기공부되세요~
@user-qh4du8cl9y
@user-qh4du8cl9y 3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한 명강의입니다. 구독과 좋아요~!
@user-oy5fr5ww9n
@user-oy5fr5ww9n Жыл бұрын
재밋는 사실에 감사드립니다
@pinemarten4371
@pinemarten4371 2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밋게 잘 보고 갑니다!!
@user-kx8xw4ei7i
@user-kx8xw4ei7i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WStrider1458
@WStrider1458 4 жыл бұрын
유익한 강의 재밌게 잘 들었습니다
@user-cc1eg8ze2g
@user-cc1eg8ze2g 3 жыл бұрын
감사함니다
@user-ej3vk1mr9j
@user-ej3vk1mr9j 4 жыл бұрын
전류분배법칙이 현장에서 적용되는 것을 원장님 통해서 알게되었네요 재밌는 영상 감사합니다
@KmH_5204
@KmH_5204 4 жыл бұрын
관련된 정보까지 알려주셔서 너무 좋습니다
@l.11_27
@l.11_27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re4ty1zq4f
@user-re4ty1zq4f 2 жыл бұрын
잘 봤어오. 역시 잘 아는 사람이 잘 설명을 하네요.
@mslee9694
@mslee9694 Жыл бұрын
수십년을 잘못알고 있었던 지식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user-dd8oq1pb6u
@user-dd8oq1pb6u 2 жыл бұрын
정말로 전기학을 과학적으로 설명 하시면서 모든 세상분들이 선명히 모두다 잘 알아들을 수 있겠끔 설명을 아주 잘 하셔 주셨습니다. 더욱이 목소리까지 아주 차분히 친분감 있게 잘 해서 설명하셔 주셔서 대단히 감탄감동 했습니다. 지금까지 이 유튜브에 전기에 관한 설명 중에서 무슨무슨 대학에 교수분들이 수두룩 출연 하셔서 나름대로 열심히 설명 하셨지만 오류적인 설명도 많이 나오기도 하셨는데, 오늘 이 영상에 설명은 과학적이고 교과서적으로 설명 하시면서도 한치의 오차없이 또 모든 세상사람분들이 모두 선명히 잘 알아들을 수 있게끔 설명을 최고로 잘 하셔 주셨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이 유튜브에 출연하신 분 중에서 과학적인 설명이 들어가는 설명에서는 최고로 잘 하신걸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수고 하셨습니다..... 좀 아쉽다면 새의 발에 전기저항이 얼마인지도 알려 주셨으면 더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도 듭니다. 아마 이는 설명하신 분의 전공분야가 아니여서 이런 것으로 압니다. 그래서 저는 추측해 봅니다. 새의 발에는 물이나 습기가 묻었다가 증발해도 그 찬기가 발속으로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즉 새발속에 열이 발피부를 통하여서는 밖으로 나오지 아니하는 구조로 발피부의 단백질이 구성되어 있어서 전기저항이 높은 것으로 추정 되어 집니다. 아뭏은 수고 하셨습니다.
@user-yq7db7wg5d
@user-yq7db7wg5d 4 жыл бұрын
정말 쉽게 가르치세요. 늘 감탄합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격려해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ih5tx2pn1z
@user-ih5tx2pn1z 4 жыл бұрын
♡♡♡
@V-IaRa
@V-IaRa 4 жыл бұрын
정말 궁금했던 내용인데 너무 감사드려요 ㅎㅎ 일전에 학교 교수님께도 여쭤봤던 기억도 나네요 ㅎㅎ 이 영상보니 명쾌히 이해가 됐어요!
@jinlee3290
@jinlee3290 Жыл бұрын
다행이에요 전병칠 선생님이 있어서 아래에 글 잘쓰시는 분들이 표현 잘 해주셨네요. 전병칠 샘 넘 고맙습다! 넘 재밌네요~
@ppp6897
@ppp6897 2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잘 가르치시네요!
@hodori000
@hodori000 11 ай бұрын
봤었는데 잊어 먹어서 다시 들음.ㅋㅋ
@user-ee5cz7tq7r
@user-ee5cz7tq7r 3 жыл бұрын
전 선생님 어쩌면 이렇게 차분히 문외한이 알아들을 수 있게 조리있게 말씀을 잘하시는지 감동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뜻깊은 공부 잘했습니다
@user-bh5ki4sz8t
@user-bh5ki4sz8t 3 жыл бұрын
이래서대한민국이발전하는밑바탕입니다자세한설명고맙습니다
@one-afternon
@one-afternon 2 жыл бұрын
실전에선 말이 빠르신던데..
@Bennysbens
@Bennysbens 4 жыл бұрын
와대박... 전기 실기 준비하는 직장인입니다. 비전공이구요. 다산에듀 실기 패키지 구매하고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이 영상 흥미로워서 보게됐는데요. 전기 재밌다는 생각 한번도 못했는데 이 영상 보고 흥미가 생겼네요;; 역시 근본적 원리를 이해해야 흥미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설명을 깔끔하고 담백하게 잘 하셔서 전달력이 뛰어나신것 같아요. 감사히 봤습니다
@user-dt3ef3wi7b
@user-dt3ef3wi7b 3 жыл бұрын
전기 이론공부를 시작하여 '전병칠 인강'을 만난 것이 하늘의 복이라 여기며 감사하고 있습니다. 교과서를 살 수 없는 만리타향에서 인터넷강의로 전기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떠먹여주는' 전 원장님께 깊이 감사하며, 세월이 허락하는대로 뵙게되기를 기원합니다. 건강하세요. 인도네시아에서 이강락 드림.
@user-gm3gh5zb6z
@user-gm3gh5zb6z 2 жыл бұрын
접지 저항은 낮을 수록 안전한거네요ㅎ 접지 공사하러 갑니다!!
@user-mk1my6kj56
@user-mk1my6kj56 3 жыл бұрын
요런 영상 많이 올려주시요 재미있고 👍
@elec7
@elec7 3 жыл бұрын
네. 부담되지 않는 작은 이야기들도 이어가겠습니다.
@johnbae4775
@johnbae4775 4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에 첫 조회수를 기록합니다~^^
@user-ku8ot5rf5l
@user-ku8ot5rf5l 3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가끔 해외 영상같은거보면 원숭이가 고압선을 잡거나 세때들이 고압선에 올라갔을때는 감전사 하는경우가 있던데 피복문제인가요? 아니면 선을 잘못잡아서인가요?
@ytb-ch
@ytb-ch 7 ай бұрын
강의잘듣고있습니다 질문입니다 첫째 참새가 감전되지 않는다면 사람도 고압선 한줄만 잡으면 즉 RST어느. 한상만 잡는다면 새처럼 안전할수있겠다는생각이들었습니다 그리고 만약 새가 한바로 앉은다면어찌될까요 둘째 접지강의에서. 감전이유가 부하겉면에 흐르는 전류가 접지되어있지 않을때 사람이감전된다고 하셨는데요 보통사람은 신발을신고있어서 땅에서 떨어져있는데 와 감전될까요 두서없지만. 답변주시면감사하겠습니다
@user-ir7pi6py6j
@user-ir7pi6py6j 3 жыл бұрын
문과의 부족분을 채워주셔서 감사합니디
@elec7
@elec7 3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andrewkim2538
@andrewkim2538 2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설명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 하나 드릴께요. 그럼 우리 사람도 특고압/고압 나전선에 매달려도 감전이 되질 않는다는 말씀인가요?? 무척이나 궁금하네요~~~!!
@jinlee3290
@jinlee3290 Жыл бұрын
사람은 저항이 새보다 작아서 전기가 더 잘 흐를거같아요!!! 절연복 입어도 감전사고가 일어나잔아요 기능사 이제 1강 들은 학생입니다 ㅎㅎ
@haim7512
@haim7512 4 жыл бұрын
전선의 절연만 잘되어있으면 안 죽습니다. 감전이 될려면 접촉부에 전위차 생겨야하고 그 후 인체에 문제가 생길만한 전류가 흘러야 감전 사고가 일어납니다. 이러한 조건을 배제하게되면 활선작업이 가능하게됩니다. 하지만 특고압의 경우에는 공기절연이 파괴되는 코로나현상이 발생 가능하기에 안전사고 가능성이 높다고 보여집니다.
@user-is2ok8yt6b
@user-is2ok8yt6b 2 жыл бұрын
열번은들어야 이해가될듯
@mathy9194
@mathy9194 2 жыл бұрын
Eu não sei o porquê, mas o youtube me recomendou este vídeo, o pássaro da capa parecia um bem-te-vi
@kimsd6269
@kimsd6269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항상 잘 배우고 있습니다. 접지관련 동영상도 부탁 드립니다. 그리고 이번 동영상에서 몇가지 질문이.... 1. 한 발만 접촉이 되었을 경우는 2. 그리고 Leon이 언급한 바와 동일 매락인 다상의 경우 R S에 양 다리를 거쳐서 앉아 있을 경우 및 R 상에만 앉아 있을 경우 그리고 대지에 접촉이 되었을 경우 궁금해서 한 번 질의를 해 봅니다. 감사합니다.
@user-uz8bu2pj3h
@user-uz8bu2pj3h 2 жыл бұрын
전류는 전압차가 있어야 흐르는데 한가닥에 두다리를 올리면 사실상 전압차가 없어지는 수준이 되므로 감전되지 않고 상이 다른 두가닥을 잡거나 하나의 상과 접지, 중성을 잡게되면 감전되겠죠.
@user-eq3hv2hp6v
@user-eq3hv2hp6v Жыл бұрын
@@user-uz8bu2pj3h 새가 움직일때 한쪽발만 잡게 되는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user-jd6sl1ov4s
@user-jd6sl1ov4s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아이들에게 전기 단원을 생생하게 안내하게 되네요.
@user-zg4cs4mb5r
@user-zg4cs4mb5r Жыл бұрын
전기와 아무상관없는 내가 왜 이갈 보고 있지? 근데 넘나 재밌다 ㅋ ❤❤❤
@user-gj9fm4cp3y
@user-gj9fm4cp3y 2 жыл бұрын
정말이지 비전공자도 잘 알수 있도록 설명을 잘해주시네요! 이런 영상은 실생활에 너무 좋은 영상입니다!ㅎㅎ
@tvlife9454
@tvlife9454 4 жыл бұрын
오늘 일등에 들어오지 못했습니다. 참새 그림을 잘 하셨네요. 강의를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nimble9985
@nimble9985 2 жыл бұрын
재수없게 큰 조류가 전기줄 앉아서 날다가 날개 끼리 다른 상 접속해서 쇼트난적 있는데 그런 장면 희귀더라고요
@mallatobuckthecanine1750
@mallatobuckthecanine1750 Жыл бұрын
오래 전의 영상이라서 늦었지만 질문 좀. . . 그럼 (1) 참새가 한쪽 발은 땅에 한쪽 발은 전선에 걸치면 전류가 흘러 감전이 되나요? 참새가 저항이 있지만 땅이 무저항이라 전류가 통할 것 같기도 하고, 참새 자체의 저항에 상관이 없을 것 같기도 해서 모르겠네요. (2) 그리고 만약에 그 상태에서 (위의 참새의 상태) 사람이 전선을 만지면 참새가 접지역할을 해서 사람은 감전이 안되나요? 감사합니다.
@user-eo1gj9cc4z
@user-eo1gj9cc4z Жыл бұрын
1.참새 한쪽발이 땅에 닿으면 다른 회로가 되는겁니다 쉽게 설명해서 2구 콘센트에 하나 선풍기 돌린다고 다른 하나 전기 안들어오는게 아닌거처럼... 참새 죽어요 2. 사람이 공중에 떠서 만지면 살지만 발이 땅에 닿아있다면 참새와 사람의 저항차가 심하지 않아 둘 다 죽어요
@user-VirginHouse
@user-VirginHouse Жыл бұрын
새발의 피라서
@cho8963
@cho8963 2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습니다 아직 배움이 적어 결론이 나질 않습니다 사람도 고압선에 매달려 있으면 감전이 안되는것 까지는 알겠습니다 그러면 이론상 한손을 떼고 다시 고압선을 잡으면서 이동 할 수 있을까요? 그게 아니라면 한손만 닿았을 경우 선의 역할을 못하고 전류만 통해서 죽을 것 같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그러면 새가 고압선에 설 때 양 다리를 정확히 같은 시간에 착지 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이와 같은 논리로 사람도 감전이 되지 않으려면 같은 시간에 고압선에 양 손을 잡아야 하는건지도 궁금합니다
@h2y1031han
@h2y1031han 4 жыл бұрын
방송내용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질문하나 드릴게요 위 세탁기에 사람이 감전 되는 상황에서 만약에 바닥에 전기가 통하지 않게 나무나 고무판을 깔거나 신발을 전기가 통하지 않는 것을신고 있다면 감전을 막을수있는지요
@slateone12
@slateone12 4 жыл бұрын
바닥에 발이 안닿아있으면 회로구성이 안되서 전기가 흐르지않습니다.
@user-cq8kz3mu2u
@user-cq8kz3mu2u 3 жыл бұрын
저도 궁금하네요.. 설명에 따르면 새(저항)이 전깃줄(저항)보다 높아서 전류가 거의 흐리지 않는다는건데 사람이 전깃줄 잡아도 똑같겠네요..???
@jongpark492
@jongpark492 3 жыл бұрын
사람이 '공중에서' 잡아도 똑같습니다! 다만 사람은 날 수 없기 때문에 발이랑 땅이 붙어 있으면 저 회로랑 다른 형세가 되기 때문에 위험합니다.
@know5436
@know5436 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궁금했던 내용이 싹 다 풀렸습니다~~ 한가지 더 궁금한것이 있습니다~~ 접지공사에서 접지저항값의 기준을 정하는 근거가 있는건지요? 예를들면 1종접지/특별1종접지는 10옴 이하, 3종접지는 100옴 이하 이렇게 딱 수치를 정하는 근거가 뭔지? 시원하게 강의한번 부탁드립니다~~ 무작정 암기만 했지 왜 이렇게 수치가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해결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종별로 나누는 것은 일본으로부터 전해진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별하게 공학적인 이유로 설명하기가 명쾌하지 않습니다. 내년인 2021년부터는 우리나라가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으로 이러한 종별접지가 폐지됩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도 시간이 되면 다루겠습니다.
@min-hyung-ahn_genius
@min-hyung-ahn_genius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선생님 혹시 하나만 여쭤보고 싶어 연락 드립니다 저는 현장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전등을 취부할때 활선상태에서 N상과 핫선을 맨손으로 꼬기도 하는데요 두선이 닿은상태에서 쥐꼬리 접속을 준비 하기위해 선을 맨손으로 살짝꼬으면 당연히 제앞에 등에 불이 들어옵니다 그럴때 마다 느끼는게 거의 한번도 감전된적이 없는것 같은데요 혹시 이게 감전이 안되서 그러는게 아니라 제몸의 저항이 높아 전기가 선으로만 흘러 제몸으로 흐를만큼 전압이 높지 않아 감전이 되지 않는것일까요 ? 즉 전기가 흐르지만 제몸의 저항이 높아 저항이 낮은 전선으로 흐르기때문에 제가 감전되지 않았던것일까요 ? 그럼 더높은 전압에서 작업을 하면 감전되게 되는것일까요 ? 현장에서 일하는데 항상 궁금하던것이었습니다 알려주실수 있을까요 ?
@user-pf2bw4kp1p
@user-pf2bw4kp1p 2 жыл бұрын
안전화나 신발이 절연이 잘 되어 있으면 감전이 안됩니다. 신체 저항이 커서 감전이 안될수도 있구요 군 시절 고참이 손으로 전선을 만져보고 110V, 220V 판단을 하였습니다. 책상이나 의자 위에서는 판단을 할 수 없어서 땅에 서 있는 저의 손을 잡고 확인을 하였습니다.
@user-eo1gj9cc4z
@user-eo1gj9cc4z Жыл бұрын
절연 신발이 아니더라도 신발과 손 피부의 저항이 꽤 높아서 감전이 안되는데 손발이 땀에 젖어있으면 찌릿정도는 느껴지실꺼에요
@user-pn2io9hk8q
@user-pn2io9hk8q 3 жыл бұрын
접지의 중요성 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dz4iq7xx9j
@user-dz4iq7xx9j Жыл бұрын
전류저항의 원리때문이군요 그럼 사람은 왜 감전이 되나요?
@jeongwooko2899
@jeongwooko2899 4 жыл бұрын
야~~~ 나도 나이 55세에 공학을 하지만 이런 설명은 첨 들었다. 고딩때 선생님도 이래 설명안하던데.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user-yt9ku4zc8d
@user-yt9ku4zc8d 4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때배운건데 추천영상에 떠서 다시보게될줄은 ㅋㅋ
@eliyahaverial
@eliyahaverial 4 жыл бұрын
출퇴근 지하철처럼 사람이 꽉꽉 찬 길과 한산한 길이 있다면 한산한 길을 택하는 것처럼, 전자도 그런 듯. ㅋㅋ
@after718
@after718 2 жыл бұрын
저항값은 전류를 밀어내는 값이 되니까 그 밀려나간 값만큼 다른한쪽의 전류에 보태진다고 보면 되는건가 그래서 저항의 분자값을 내쪽이 아닌 다른쪽 값을 갖고 계산하게 되는거고
@user-zl9ug6km8r
@user-zl9ug6km8r 4 жыл бұрын
원장님 감사합니다. 접지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았는데 정확한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 한 가지 질문드리고 싶은게 있는데요! 10:55' 에서 접지를 하게되면 세탁기의 충전전류가 모이지 않고, 접지때문에 계속 대지로 방전되고, 그걸 누전차단기가 잡아주는 건가요?
@mathnfish
@mathnfish 4 жыл бұрын
네. 정확하게 이해 하셨습니다. 키르히호프 1법칙에 의해 누전차단기를 통해 들고 나가는 전류가 일정수치 이상 차이가 나면 트립이 됩니다
@user-zl9ug6km8r
@user-zl9ug6km8r 4 жыл бұрын
@@mathnfish 감사합니다!!!
@feel-254
@feel-254 Жыл бұрын
그럼 새와 마찬가지로 사람이 전선을 잡아도 괜찮은 건가요?
@elec7
@elec7 Жыл бұрын
이론상으로 회로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괜찮지만...
@wonjunchoi6577
@wonjunchoi6577 11 ай бұрын
너무 적은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감전이 안되는 거라면, 그러면 혹시 무한대의 암페어가 흐른다고 가정을 했을 경우 새는 감전이 되는거라고 볼 수 있을까요?
@martinfairweather700
@martinfairweather700 3 жыл бұрын
I GUESS that this was about birds living while perching on the live wire. Strange how the Kingfisher was pictured. These birds are normally seen diving into water which never goes well with electricity. ( yes, I know, they’re not grounded). Just saying!
@kkangchicken
@kkangchicken Жыл бұрын
그럼 만약에 공중에 떠 있는 상태로(가정) 저 누전된 세탁기를 만지면 감전이 안 되나요? 접지가 안 되어 있으니까?
@user-pc5wz4yu6i
@user-pc5wz4yu6i 4 жыл бұрын
전선한개는 전위차가 없어서 감전 안당하는걸로 알고 있었으는데 아닌가요? 전선 두개 잡고 있을때 는 직렬이 되서 전류가 일정하게 흐르는건가요? 근데 결국 부하가 있으면 병렬 아닌가요? 전선 두개를 잡을땐 왜 감전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전선 1개에도 전위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 그 사이에 저항이 있다면 말이죠.
@Jun_DaWondaBoi
@Jun_DaWondaBoi 3 жыл бұрын
너무 이상적인 회로만 공부하셨고, 노드와 그라운드 개념이 살짝 부족하신듯...
@user-dc2sx3qs9b
@user-dc2sx3qs9b 15 күн бұрын
만약 새가 직렬연 결이면 감전되나요?
@user-jw1hi9gd2x
@user-jw1hi9gd2x 2 жыл бұрын
설명을 쉽게 해주시어 이해가 쉽습니다. 고맙습니다. 그런데 궁금한 것 하나 질문하겠습니다. 사람이 발에 신발을 신고 있었다면 전류가 차단되나요 안되나요?
@user-ij6yx8vb3r
@user-ij6yx8vb3r 2 жыл бұрын
이것도 저항과관련있죠 신발이 100%절연이 된다면 감전이 안되죠 그래서 현장에서 전공들 절연안전화 하는것이 신발과 지면과의 저항을 주므로서 전기가 몸으로 오는것을 막아주죠
@HooRokku
@HooRokku 2 жыл бұрын
사람도 고압선중에서 한선에만 양팔로잡고서 매달려있다면 괜찮겠네요. 전기는 플러스에서 마이너스로 흐르니 ㅡ> 마이너스만 없애버리면 전기는 흐를대가 없겠네요. 전기고압선을 한쪽선을 잡고서 지면에 신발을 신고있더라도 고압전류는 신발이 고무종류의 부도체라고해도 지면인 도체와 가장 근접해있으니 불완전한 부도체인 고무를 통과하면서 발밑쪽이 터져나가지 않을까요? 번개가 내려칠때 야외에서는 차량속에 있는게 기장 안전하다고하죠. 주변이 거의전부가 절연체이니.. 차의외부 금속을따라서 전류는 모조리 지면으로 흘러가버리니.. 단 번개가 차에 떨어질때 차량 본채와 접촉하고있는 금속물질에 신체가 접촉되있다면 감전정도는 생기지 않을까요? 차량외부가 휼륭한 접지역활을 해준다고해도...
@user-fo1jj1ly5r
@user-fo1jj1ly5r 2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전선위에 서있거나 매달려있어도 감전안되겠네요 乃
@user-qs5mf4cp5p
@user-qs5mf4cp5p Жыл бұрын
정이나 궁금하면 직접해보세요 학실하게 이론상 죽지는 안치만 겁먹고 쇼크사가 올수도 있습니다 즉 놀라서 죽어버림
@cloude4849
@cloude4849 2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만약 새가 한쪽 다리로만 서있어도 감전이 안되는 건가요???
@jeonmunga
@jeonmunga 2 жыл бұрын
참새가 전깃줄에 않아도 감전되지 않는다면, 사람이 전깃줄에 메달려도 감전되지 않는 건가요? 설명해주신거 들어보면 감전이 안돼야 할 것 같은데요?
@user-gs1fb4sz5r
@user-gs1fb4sz5r 2 жыл бұрын
매달려 있으면 사람도 안돼죠 ㅎㅎ
@user-ht6lh8ym7m
@user-ht6lh8ym7m 4 жыл бұрын
혹시 1종, 2종, 3종, 특별 제3종 • 접지공사를 각각의 상황에 대해서 종별을 왜 달리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주실 수 있나요?😭
@elec7
@elec7 4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종별로 나누는 것은 일본으로부터 전해진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내년인 2021년부터는 우리나라가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으로 이러한 종별접지가 폐지됩니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도 시간이 되면 다루겠습니다.
@wnsdyd0150
@wnsdyd0150 2 жыл бұрын
저거 봤는데 수백마리 새때 고압선 위에서 한꺼번에 날아 오를때 아크방전 지지직~~
@user-ol8su8nj9l
@user-ol8su8nj9l 3 жыл бұрын
결론은 특특특고압 같은 경우는 감전될 수 있다는 말이네요. 번개치는 땅에 서있는 사람이 감전되어 죽는 원리도 동일할가요? 보폭전압 같은 것 때문에?
@min-hyung-ahn_genius
@min-hyung-ahn_genius 4 жыл бұрын
좋은 아침 이에요 ~ 감사 합니다 ~
@wau9940
@wau9940 3 жыл бұрын
가끔 보면 참새나 다른 새들이 땅에 떨어져 죽은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근데 위를 쳐다보면 어김 없이 고압선같은게 있던데 만약 얘들 죽은게 감전때문이 아니라면 혹시 전깃줄에 메달려 졸다가 떨어져 죽은 걸까요?
@war.and.peace99
@war.and.peace99 2 жыл бұрын
그러네.
@user-he6tz8vi9q
@user-he6tz8vi9q 2 жыл бұрын
전자파 누적요
@war.and.peace99
@war.and.peace99 2 жыл бұрын
@@user-he6tz8vi9q 거 말도 안되는 소리. 현재까지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은 없고요, 전자파는 에너지가 실린 파동이라서 이것 또한 저장이 불가능합니다.
@hasasa4241
@hasasa4241 3 жыл бұрын
사람도 새처럼 전선을 잡고 있으면 감전되지 않는지를 마지막에 말해야 이 강의는 완성되는 건데 그걸 많은 사람들이 질문을 하게 하다니 나 참
@g38jj53qofmt
@g38jj53qofmt 3 жыл бұрын
Ha Sasa 넌 제목안보이냐?
@ynot200
@ynot200 3 жыл бұрын
날카롭습니다
단락이란 무엇인가? 단락과 쇼트!
12:56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237 М.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
THEY WANTED TO TAKE ALL HIS GOODIES 🍫🥤🍟😂
00:17
OKUNJATA
Рет қаралды 2,8 МЛН
MEU IRMÃO FICOU FAMOSO
00:52
Matheus Kriwat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Short circuit and electric shock
18:45
김정곤 TV
Рет қаралды 14 М.
공통(common)선이 무슨뜻이죠?
17:44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691 М.
상전압과 선간전압 개념잡기
14:19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154 М.
22,900V 특고압선을 직접 만지면서 작업하는 사람들
2:43
배선용차단기 제대로알기-[기초편]
14:32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203 М.
인덕터를 설명하다
10:19
공학적인 사고방식
Рет қаралды 445 М.
인덕터, 인덕턴스 쉽게 이해하기
11:34
전병칠
Рет қаралды 191 М.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4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