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의 p는 유효전력이 아닌 "%저항강하"입니다. %저항강하는 저항에서 얼마만큼의 전압강하가 발생하였느냐를 %로 나타낸 거에요!
@MoongTang222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전압변동률 잘알고있다고 생각 했는데 은근히 틀려서 짜증났었는데 좋은 영상 덕분에 문신새겼습니다.
@전기뿌수기2 жыл бұрын
저도 예전에 공부할때 전압변동률에 대해서 안일하게 생각을 하였는데, 공부하면서 의미를 알면서 조금 더 쉽게 문제에 접근할 수 있었던거 같습니다. 물론 지금도 한참 부족하지만, 전압변동률에 대한 개념 잘 잡아가시면 아마 문제푸는데 재밌게 푸실 수 있을거에요~!
@joon-gl8je10 ай бұрын
13:30 전압변동률
@namukids2 жыл бұрын
Nam min su….. is he fuckin ‘G.O to the D’?….
@전기뿌수기2 жыл бұрын
무..무슨말이죠 ㅎㅎ?!
@paulodybala.2 жыл бұрын
@@전기뿌수기 신이냐라능?
@전기뿌수기2 жыл бұрын
무료 강의 노트 cafe.naver.com/dasanpass/15390
@dongwoo97022 жыл бұрын
衷心感谢 : 진정으로 감사드립니다 (조선족 아닙니다)
@hoho4227 Жыл бұрын
임피던스 와트 = "임피던스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입력" 에서 임피던스 전압이 I1n ( R + jX ) 인데 왜 I제곱 곱하기 R인지 궁금합니다. 리액턴스를 생략한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임피던스 와트 = 동손 이라고 외워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hoho4227 Жыл бұрын
아 단위가 와트라 유효전력이라서 R만 곱해주면 된다 라고 봐도 되나요?
@전기뿌수기 Жыл бұрын
유도전동기에서 2차입력값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입력값은 유효전력의 값이 됩니다.
@지네팀지단2 жыл бұрын
전뿌님 혹시 이 강의와는 무관한데 자기학에서 영상전하 써야할때랑 그냥 점전하 써야할때 구분 하는 방법 좀 가르쳐주실수 있나요😭😭
@전기뿌수기2 жыл бұрын
영상 전하는 무한평면 또는 평면이 접지가 되었다 라는 조건이 나올거에요
@Teddy-in8zy2 жыл бұрын
전뿌님 영상 6:30 에서 무부하시험시 철손전류와 자화전류를 고려하는데요. 오른쪽 그림에서 전류가 코일에 흐르는 것을 봤을 때 자화전류는 생각할 수 있는데 철손전류는 어디서 발생하는 것인가요? 코일과 철심은 절연되어 있고 철심에는 자속만 흐르는게 아닌가 싶어 질문드렸습니다.
@hoho4227 Жыл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단락용량 공식에서 루트3을 곱하는 이유를 모르겠고 머리속에선 Y결선일 때 선간전압=상전압x루트3이 생각납니다. 단락용량Ps는 선간전압인거고, 상전압으로 표현하기 위해 루트3을 곱한건가요? 왜 루트3을 곱하는지 모르겠습니다. 헷갈립니다. ㅠㅠ
@hoho4227 Жыл бұрын
상전압을 E 선간전압을V로 가정. 루트3xE = V => E = V/루트3 3상일 경우 3E = 3(V/루트3)일 때 선간전압에 분모분자 루트3곱해주면 3E = 루트 3V 따라서 단락용량Ps는 루트3V(선간전압)Is(단락전류)이다. 공칭전압=선간전압이다. 문제에 공칭전압이라고 제시해주나요? 제시해주면 저렇게 풀면 되고, 아니면그냥 단락용량 문제에서 V=공칭전압(선간전압)이라고 전제하고 풀면 될까요? 만약 단상단락용량이면 그냥 3VI 하면 되는건가요? 이문제에선 y결선이라고 가정하고 풀면되는 거죠? 질문이 많아졌습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장경준-x8k2 жыл бұрын
전압변동률과 전압강하율 공식이 비슷한데 물리적 의미가 다른건가요?
@전기뿌수기2 жыл бұрын
전압강하율은 말그대로 송전단에서 수전단 사이 전압강하가 얼마가 되는지를 나타낸 것이고, 전압변동률은 부하를 달지 않았을때 수전전압과 부하를 달았을때의 수전전압을 비교하여 얼마나 변동하는가를 수치적으로 표현한값입니다. 전압 변동률의 포인트는 부하가 있을때와 없을때의 비율값이 됩니다.
@스라크-d1z Жыл бұрын
왜 무료 강의인지 모르겠습니다. 복 많이 받으실겁니다
@신원철-j1f2 жыл бұрын
전뿌님 항상 좋은강의 해주셔서 도움이 많이 됩니다😊 혹시 철손전류 자화전류에서 R-L병렬이니까 벡터적으로 해석할때 L이 뒤지므로 자화전류에서 마이너스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