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김지윤 박사님 인터뷰 보면... 아 이걸 방송사에서가 아니고 유튜브 채널에서 본다는게 너무 놀라워요! 게다가 유튜브라 재방 언제든지 할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이륭-f9b Жыл бұрын
오늘 소개한 책 Democracy's Discontent 는 사실 2012년에 번역서가 나왔었는데, 미국의 정치사에 대해서 잘 모르는 한국인들이 읽기에는 매우 어려운 학술서여서 그런지는 몰라도 절판되었는데, 이번에 새로운 번역판이 나온 것을 이번 영상을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보통 많은 사람들이 샌델의 대표적인 저서를 '정의란 무엇인가'로 알지만, 이는 샌델의 정의 강의록을 정리한 책이고, 진짜 샌델의 정치 철학의 핵심을 알기 위해서는 샌델의 박사논문인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 그리고 오늘 소개한 '민주주의의 불만'을 읽어봐야 합니다. 전자는 자유주의를 어떻게 철학적으로 비판했는지 보다 메타윤리학적인 시선에서 다룬 저서이고, 민주주의의 불만은 미국의 정치사를 통해서 샌델이 어떻게 자신의 시민적 공화주의에 대한 논지를 도출했는지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습니다. 샌델이 우리나라에서 저명한 철학자이다 보니 다른 번역서들도 많은데, 오늘 교수님 영상에서 샌델의 인터뷰를 통해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이나 '공정하다는 착각' 등의 보다 좁은 주제를 다룬 저서들이 어떻게 샌델의 정치철학과 연관을 지니는지를 아주 간략하고 명료하게 설명을 들을 수 있어서 매우 유익했던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영상들 자주 만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늘 이 채널에서 좋은 인사이트를 얻고 갑니다 ^^
@Kjy_Play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책이 샌델 교수님 책 중 가장 재미있었습니다. 지금까지의 저서를 하나로 묶는, 마이클 샌델의 철학을 펼쳤다고 할까요.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viakim5203 Жыл бұрын
마이클 샌델 교수님의 책을 보면 언제나 상호간의 존중의 자세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대화를 통한 합의를 이끌어내는 방법이 민주주의의 근간이 아닌가 생각이 들어요. 정치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매일 마주하는 인간관계에서도 지켜져야할 중요한 방법이지만, 그 과정에서 소모되는 감정에너지와 시간을 기꺼이 감내하는 수고가 피곤하게 여겨져 회피한 제 자신도 반성하게 되네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
@everym0rn1ng66 Жыл бұрын
@@서울경기서울경기 원래 민주주의는 한 개인이 결론을 도출하는 걸 지양해야 하긴 함 논의와 협의가 곧 민주적 가치를 실현하는 핵심적인 행위니까
@박건준-n2w Жыл бұрын
영상의 내용만큼이나 지혜로운 글이네요😊
@하루1분명언 Жыл бұрын
@@서울경기서울경기 샌델을 무슨 신으로 생각하시나요? 이 시대를 살고 있는 한 사람일 뿐입니다. 인생에서의 정답은 각자 다릅니다. 누구도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없어요.
@justiceleague206 Жыл бұрын
근데 애초에 센델이 좌파인데 자유에 대해 묻는다? 개그하냐.
@user-ge7hx6bt1t Жыл бұрын
@@justiceleague206 센델이 좌파? ㅋㅋㅋㅋㅋㅋㅋㅋ 공화주의가 좌파였냐
@Hmmm965 Жыл бұрын
내용도 너무 흥미로운데요, 박사님이 너무 재미있어하신게 표정에 잘 보여서 기분이 좋아지는 영상이었네요! 얘기 나누시면서 아이처럼 빵끗빵끗 웃으시는게 보면서 같이 웃게만드는..
@Kjy_Play Жыл бұрын
티가 너무 나죠? ㅎㅎㅎ 너무 즐거운 대화였어요. 하도 이야기해서 막판에 샌델 교수님 목소리 갈라지시고… ㅋ
@채효진-c2v Жыл бұрын
원래도 이 채널을 좋아하지만 이렇게 저명한 분들과 인터뷰하는 컨텐츠는 정말 좋아요! 그분들의 지식을 요약본으로나마 알게 되는 느낌? 그걸 바탕으로 책을 읽으면 도움이 되더라구요 늘 감사합니다!
@ksjang4872 Жыл бұрын
아침에 출근해서 사무실에서 바로 보고싶었는데, 퇴근하고 보니 더욱 집중해서 보게 되네요.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마이클 샌델 교수님이 말씀하시는 것중에 '나와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의 말도 경청하는 법'을 배우라는 것이.. 제일 가슴에 와 닿네요. 글로 보거나 읽으면 제일 쉬운 것 같으면서도, 제일 어려운 것인데.. 나이를 먹어가면서 제일 힘든 것 중에 하나 인것 같습니다. 다시한번 좋은 영상 너무 감사드립니다.😃
@김지운-p1r Жыл бұрын
음.. 정말 지금 우리나라에서 필요한 논제인거 같아요. 대학 졸업한 지 수십년이 지났는데.. 간만에 강의실에 앉아서 좋은 외국 교수님의 멋진 강의를 교수님을 통해서 듣게 되니 너무 좋네요. 감사합니다. 그리고 매번 놀라지만, 교수님의 깊이를 알 수 없는 식견.. 감동입니다. ㅎ
@carlyounsh Жыл бұрын
샌델 교수님의 말씀은 늘 사람들이 원하는 쉽고 편한 해석에서 눈을 돌려 사건의 근본을 보게 만드는 힘이 있는 것 같습니다. 책을 구입해서 읽고 난 뒤에 이 동영상을 다시 보러 와야 할 것 같습니다.
@메디-q5t Жыл бұрын
아니 섭외력 무슨 일인가요 정말🥺🥺🥺 마이클샌댈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 정의란 무엇인가 등 다 정말 인상깊게 봤는데 이번 책도 무척 기대가 됩니다!!!
@Kjy_Play Жыл бұрын
저는 개인적으로 이번 책이 제일 재미있었어요. 광고라 그런게 아니고 ㅋㅋㅋ 미국 역사와 정치철학 전통 이야기가 녹아 나오니까 진짜 재밌더라고요^^
@메디-q5t Жыл бұрын
오오 그렇게 추천해주시니 꼭 읽어봐야겠네요^^ 추천 감사드립니다!
@yehdarmpark7347 Жыл бұрын
방송국도 아닌 유튜브 채널에 이 섭외력 실화입니까... 👍🏼
@name-bf3ek Жыл бұрын
3번 반복해서 들었어요.❤ 저도 개인적으로 요즘 노력하고 있는게 Be kind를 실천하는 것이거든요. 관대와 친절,그리고 선함이 필요한 시기인것 같아서요. 감동적으로 너무 잘 봤습니다. 이런 컨텐츠 쌉가능 박사님께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조현주-i4k Жыл бұрын
우연히 훌륭한 콘텐츠를 접하게되었네요. 지윤님께서 저자 마이클 교수이 전하고자 하는 바를 깊게 이해 공감해 주셨고 이를 통해 통찰력있는 질문하시는게 너무 대단하십니다.. 저자가 대답시면서도 감동하고 고마워하고 즐겁게 인터뷰하시는 모습이 느껴져요. 그동안 자본주위국가에서 자유주위를 물질만능주의로 착각하고 지내는 사람들도 많지 안을까.. 라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taewoolee4909 Жыл бұрын
최근 보름에 걸쳐서 책을 다 마쳤는데, 이번에는 영상을 통해 샌델 교수님의 생각을 들을 수 있다니, 기대되네요! 멋진 인터뷰 준비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잘 시청하겠습니다!😄
@hiroquet36 Жыл бұрын
공정하다는 착각을 읽고 떠올린 말이죠. 승자에게는 교만을, 패자에게는 굴욕감을. 이것이 극단적인(!) 사태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죠.
@경교새 Жыл бұрын
지난 일요일에 사회과교육론2에서 문답법을 배우며 영상으로 마이클 샌델 교수님 영상 봤었는데 이렇게 유튜브에서도 뵙고 새로운 지식을 전달받으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ㅎㅎ
@blessing0826 Жыл бұрын
진짜미친것 같습니다. 대단합니다. 이 유튜버가 겨우 72만이라니...대단합니다.
@Kjy_Play Жыл бұрын
72만이나 되는 구독자 분들께 감사하죠. 저희 처음 시작할때 소원이 실버버튼이었는데요 ㅎㅎ 응원 감사합니다^^
@augustinyang9708 Жыл бұрын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anan6699 Жыл бұрын
김박사님의 김박사님 다운 인터뷰 영상! 늘 고맙습니다^^
@eileenkim3010 ай бұрын
마이클 샌델의 책은 언제나 만족스럽습니다. 이 책도 정말 재미있게 읽었고 기본적으로 그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이렇게 인터뷰까지 볼 수 있게 되어 기쁘네요. 김지윤 박사님과 샌델 교수님 두 분 모두 감사합니다~!
@장대양봉-g3q Жыл бұрын
영어로 인터뷰 정말 멋져요🎉 샌델 교수님 이렇게 뵙다니 넘 영광❤
@리아-h9e Жыл бұрын
“Hello, Professor. Sandel, thank you for joining us tonight. I read your book ‘Justice’ a few years ago and it inspired me. Your work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pursuing the common good in our lives. Thank you for today’s interview and congratulations on the republished book.”
@이준희-r5x Жыл бұрын
책을 구입 반정도 읽던 중 교수님의 강의를 접했습니다. 책의 내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현실을 빗대어 보면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아직은 성숙함이 더 필요한 것 같아 아쉽습니다. 항상 좋은 내용 시청하고 있습니다. 행복한 대한민국을 위해 모두 함께 힘냅시다.^^
@할머니의4씨방교실.마 Жыл бұрын
이런 격식있는 영상을 집에서 보고 있자니 유트브 세상의 진면목을 실감합니다 . 우리에게 무한 행운이자 축복 입니다. 두분께 감사드립니다.
@renee_youtube Жыл бұрын
영상 떴을 때 이 책을 읽던 중이어서 일부러 안 보고 있다가 오늘 드디어 완독해서 영상 보려고 합니다. 센델 교수의 책은 웬만해서 다 봤는데 이런 인터뷰 너무 좋아요. 고맙습니다.🩷👍🏻
@whentheygolow_wegohigh7306 Жыл бұрын
경제의 시장논리가 정치, 사회 영역에 개입하는 것이 민주주의에 매우 위험하다는 말 공감되네요.
@dakdito4663 Жыл бұрын
반대로 정치논리 사회주의 논리가 시장논리에 개입하는 것도 매우 위험함. 공산주의 국가와 남미국가들이 그걸 역사적으로 증명했음. 평등주의 사상을 시장경제에 맹목적으로 쑤셔넣었다가 오히려 절대빈곤과 대량학살과 독재만 가져왔지.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현재 미국의 현실은 님 생각 보다 굉장히 암울 합니다. 물론 한국 처럼 시민 단체가 영향력을 끼쳐 영원한 재벌 권력이 정치를 주무르는 지경 까지는 가지 않았지만 백년전 이상 부터 합법적 정경 유착의 원조는 미국 입니다. 요샌 빅테크들과 금융권이 방위 산업을 가볍게 발라 버리고 그들을 대체하여 국가를 주무르려고 했지만 누구보다 그들과 깊게 유착했던 현 정권은 급히 꼬리 자르기에 들어간 싱황 입니다. 재집권을 위해선 그 이미지를 빨리 버려야지요. 샌델 박사님은 정치충들이 난장판을 벌이는걸 의식해서 인지 미국에서 작금에 벌어지는 현실을 정확하지만 은유적으로 표현하는데 저로선 꽤 의외일 정도로 객관적 이시네요.
@skyisthelimit8039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좌편향된 정치논리로 시장의 역동성을 죽여버리려는 매우 위험한 짓을 일삼는 집단이 있습니다 정치논리가 시장을 좌지우지 해서는 안되죠 혁신은 민간과 기업에서 이루어집니다 그 혁신과 다이나믹을 방해하는 정치집단 매우 위험한 자들입니다 그리고 마이클 샌델 저 사람이 과연 정의가 무엇인지 논할 자격이나 되는 사람인가요?? 위선자 아닙니까?
@garam_e309 Жыл бұрын
@samsungelec964개솔ㄷ ㄷ
@오우-i8u Жыл бұрын
니네 위에 동의하는애들 뇌에 우동사리들었냐? 우리나라랑 미국이야 말로 신자유주의적 성향이 정치 사회에 녹아있음을 보여주는데
@narigosakamoto Жыл бұрын
마이클 샌델 교수는 매우 매력적입니다. 그분의 또렷한 발음과 4분의 4박자의 강의에 최적화된 말의 속도가 주는 청중장악력이 있기 때문입니다 🎉
너무나도 좋은 영상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영상에서 마이클 샌델 교수님께서 노동자들이 소외감을 갖게 될거라는 부분에 대해서 말씀하셨는데, 그들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것으로부터, 안전으로부터, 생존으로부터 많은 곳에서 소외되어 있지 않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저 안타까워하고 절망하기보다 우리가 서로 이야기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ddr333334 Жыл бұрын
영어로 가벼운 대화도 아니고 이런 주제로 인터뷰하시는데 너무 멋있습니다. 존경합니다
@yongsangan2434 Жыл бұрын
역시 사람은 자기에 맞는 일이 있는가 봅니다. 고기가 물을 만난 듯 인터뷰 내내 너무 즐거운 얼굴이시네요. 어려운 내용을 잘 이끌어주신 인터뷰 멋집니다.
@KA201Brigade Жыл бұрын
김지윤님의 영상을 보면서 항상 많은 것을 배우고 생각하게 됩니다. 짧은 연설문에도 수십번씩 자유를 외쳐대는 정치인도 자유에 대해 이 정도의 철학적 고민을 하고 있는지가 궁금해지네요. "민주주의"라는 것이 그 자체로 선이라기 보다는 그것을 선하게 이용하기 위한 철학적 토대가 필요한 것 같네요. 우리는 언제쯤 그 정도의 깊이를 갖게 될까요????
@A-YoungKim Жыл бұрын
공동선과 가치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고민 없이 시장 경제의 자유만 내세우는 요즘 한국 정치에서도 진지하게 고려해볼 만한 중요한 이야기네요! 너무 멋진 인터뷰 감사합니다 :)
@ddd-yu5nh Жыл бұрын
반대구만 ㅋㅋㅋ 좌파들이 자꾸 큰정부로 경제 시장을 왜곡시키고 잇는데?
@whentheygolow_wegohigh7306 Жыл бұрын
양질의 퀄리티 영상 감사합니다.👍❤
@신찬양 Жыл бұрын
그냥 듣는게 아니라 계속 질문을 하게되서 몇번씩 돌려보게 됩니다ㅋㅋㅋㅋㅋ민주주의의 시민이 된다는것이 쉬운것만은 아닌것 같네요 좋은 인터뷰 감사합니다 이런 분을 섭외하시다니ㅜㅜㅠ 감사합니다
@밍샤-u6n Жыл бұрын
잘 봤어요. 현대 민주주의의 문제점은 자기 위치에서 성싱히 살아가는 사람들의 목소리는 외면되고, 일부 소수의 이익집단, 세력이 소수를 프리미엄으로 내세워, 그들의 목소리만 반영되어 정치, 사회 시스템이 돌아가기 때문이라거 생각해요
@jisungpark8952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선 검사 집단 이죠
@밍샤-u6n Жыл бұрын
@@jisungpark8952 글쎄요. 일부 문제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검사들은 자기 위치에서 자기 할 일 하는 분들이라고 봅니다. 아무런 생산적인 활동 없이 우르르 몰려다니면서 시위하고 떼쓰는 세력들이 더 문제겠지요
@jaesungKim-hb1iu Жыл бұрын
@@밍샤-u6n 생산성이 사람의 가치를 대변해 주지는 않죠. 게다가 "우르르 몰려다니는"사람들도 물론 안 그런 경우도 있겠지만 본업이 있고 하루하루 살아가는 소시민일 테니까요. 그리고 "시위하고 떼쓰는"이라고 하셨는데 그저 소수의 이익집단의 목소리만 반영되는 것이 문제라는 분이 자유롭게 자신의 권리를 외치고 주장을 펼치는 사람들이 문제라고 말하는 것은 앞뒤가 대단히 안맞는데요.
@밍샤-u6n Жыл бұрын
@@jaesungKim-hb1iu 생산성이 사람의 가치를 대변하는 것은 아니지요. 그러나 묵묵히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다수의 사람들보다, 자기 이익만 내세우는 소수의 목소리가 크게 들리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유롭게 자신의 권리와 주장을 외치는 것은 전혀 문제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다만 적법한 절차없이 극단적인 주장을 극단적인 방법으로 밀어뭍이는 집단은 진보/보수를 막론하고 비판할 수 있다고 봅니다.
@jaesungKim-hb1iu Жыл бұрын
@@밍샤-u6n 극단적 소수의 목소리가 과잉대표되고 있다는 선생님의 의견에는 저도 동의합니다. 마트에서 난동을 피우는 극단적 채식주의 운동가들이나 태극기 들고 하느님한테 까불지말라던 목사나 둘다 마땅히 비판받아야할 대상이지요. 제가 다소 공격적이었던 같습니다. 편안한 밤 되십시오.
@호나미-c9t Жыл бұрын
헐 진짜 사는맛이 나네요 인터뷰 영상 넘 고맙습니다♥
@김경섭 Жыл бұрын
지윤님 덕분에 세계적 석학의 통찰을 접할 수 있어서 감사합니당!
@별바라기-t6e Жыл бұрын
어렵지만 샌덜교수님의 인터뷰를 강의듣는 기분으로 잘들었습니다.
@songhexu8201 Жыл бұрын
매번 놀라운 섭외력시네요.덕분에 많을것을 배우고 느끼네요.감사합니다...정치인을 싫어하지만요.
@wonkim8640 Жыл бұрын
마이클 샌들의 생각은 늘 제 생각에 맹점을 잘 지적해주는 것 같아요 정말 깊이 반성해야 할 지점이 많은 것 같아요 책을 읽고 다시 읽게 합니다 😊
@maris0038 Жыл бұрын
와우 영상을 보는 도중에 감탄해서 댓글을 적고있어요 정말 정말 수준높은 인터뷰 영상이네요. 유튜브를 통해서 볼 수 있다는 게 놀랍습니다. 교수님 책을 읽고 공부해봐야 겠다는 마음이 드네요. 요즘의 우리나라에도 매우 중요한 논제인 것 같고 이런 영상을 만들고 사회에 선한 연향력을 끼쳐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wasd8980 Жыл бұрын
자유는 정말 소중하고 귀중한것입니다. 하지만 진정으로 올바른 자유는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고 배려하며 정의와 공정함을 위해서 엄격한 법령이자 질서를 유지하에 올바른 자유를 이루는 것입니다. 하지만, 현대 자유민주주의는 무분별하게 방치하고 방임하기에 끝없는 혼란과 모순들이 생기는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위정자들의 끊임없는 욕망과 탐욕, 부정과 부패를 저지르고 국민들은 사익과 기교에 미쳐서 서로를 불신하고 갈등하여 오만과 편견에 빠지고 사회를 피폐하게 만드는것입니다.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올바른 정의와 공정한 자유민주주의가 아니라면 그것은 자유가 아니라 무질서한 혼란이자 난장판일 뿐일것입니다.
@sep4957 Жыл бұрын
요새 들어서 정말 많이 생각하던 주제인데 이 채널에서 영상이 올라올줄은~ 놀랍네요ㅎㅎ 뭔가 마음이라도 통한걸까요? 그만큼 전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위기를 겪고 있겠다는거겠지요..? 상위 10%가 전체 소득의 대다수를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과연 민주주의라는 것이 정상적으로 작동할수 있는것인가? 라는 의문, 중국 러시아 등 반민주적이고 권의주의적인 국가들의 약진으로 인한 민주주의 시스템, 특히 선거제도에 대한 회의가 커져가는 추세였는데 과연 이 힘든 시기를 민주시민들이 극복해갈수있을까 싶네요. 특히 우리나라처럼 민주주의의 전통이 없고 역사가 짧은 나라에서 민주주의를 지키고 발전해나갈수있을까 의문이 강하게 드는 나날들이였는데 때마침 의문에 정확한 답변이 되는 영상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해요 꼭 읽어볼게요!
@chumlee225 Жыл бұрын
항상 배우고 계몽 할 기회를 얻게 되어 너무 행복합니다. 감사합니다.
@iGoldzone Жыл бұрын
김지윤님 방송 잘보며 많은 것을 느끼게 해주어서 감사드립니다. 오래도록 유익한 방송으로 만날수 있길 기대하며 늘 응원드립니다. ^^
@VintageXO79 Жыл бұрын
마이클 샌델님은 늘 선해 보여서 좋습니다! 누군가의 말을 듣는데, 내용도 내용이지만 그런 게 많이 작용하는 것 같아요. 신뢰가 가고요 ^^
@jamesliu6911 Жыл бұрын
너무 멋저요. 선생님. 발음도 짱. 영어도 짱!
@Kjy_Play Жыл бұрын
아.. 영어는 늘 어려워요 ㅠㅠ
@dansuri5 Жыл бұрын
샌들 교수님 인터뷰라니 이 귀한걸... 선 추천 후 감상합니다.
@chroxt9291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외람되오나 살아 가면서 진심으로 "미쳤어.."이외의 언어로는 불 가능한 찬사를 보내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되네요.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joungderijcklee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귀한 인터뷰를 해주셔서 ,사랑합니다 ❤
@catnapper0302 Жыл бұрын
마이클 샌델교수님의 그간 저서를 관통하는 인터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forestlim6000 Жыл бұрын
간만에 명쾌하고 유익한 컨텐츠였습니다. 광고든 아니든 앞으로도 이런 훌륭한 컨텐츠를 계속 접할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jeeewaiko Жыл бұрын
어디서도 보기힘든 인터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
@LE_SSERAFIM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샌델교수님 정의란 무엇인가가 히트하며 내한했을 때 직접 강연도 들었었던 입장에서 너무나 유익하고 귀중한 영상이네요. 이번 신간도 구입해서 읽어봐야겠습니다.
@gameofthronesss Жыл бұрын
김지윤의 지식Play 구독자인게 정말 큰 기쁨입니다 양질의 인터뷰와 영상 감사합니다
@이규문-g6e Жыл бұрын
박사님~ 영상 고맙습니다^^
@injaesong533 Жыл бұрын
역시....와~~~입니다. 책을 너무 재미있게 읽을수 있을거 같습니다. 최고의 채널이네요...계속 감사드립니다. ^^
@agnes2202 Жыл бұрын
저는 이 채널에서 가장 좋은 소재가 책을 소개하는 거더라고요. 계속 쭉 했으면 좋겠어요
@곽금덕-r2k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좋아요 ❤❤❤
@timeisgold4017 Жыл бұрын
영상이랑 관계 없지만 100분토론 보니 급 글남기고 싶어졌습니다 ㅎ 그때도 그렇고 지금까지도 항상 공정한 자리에서 정확한 정보 전달해 주시는거 감사하게 생각하며 보고 있습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이서율-i3d5 ай бұрын
읽고서 그 방대한 양에 머리가 복잡했는데, 이 영상 덕분에 핵심이 딱 잡힌 것 같아여^^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tdcjiufgb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을 보고서 뭔가 과거로부터 배운다는 것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며 어느 문화든, 국가든 흑역사라는 감추고 싶지만 그것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을 가지고 있지 않을까? 라는 질문을 하며 지금 살아가고 있는 저희들이 영향을 줄 수 있는 한 사람으로서 참여할 수 있다는 것이 이 영상을 보고서 체감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도 좋은 영상, 마이클 샌델 교수님꼐서도 좋은 인터뷰로 더 생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은숙-p9v Жыл бұрын
늘 멋지다고 생각했지만 오늘 더 멋져보입니다~🥰
@hammkers7 Жыл бұрын
정말 잘봤습니다.
@gyeongseokson1007 Жыл бұрын
미국이 부러운 점은 가치에 대한 점으로 정당간에 싸운다는 거다. 우리는 누가 더 부패한가로 싸우는데~
@moonlight_heaven-s3g Жыл бұрын
아니 박사님 이렇게 치트키를 쓰시면.. 너무 감사하죠! 전 벌써 행복해서 비명을 지르고 있습니다! 재밌게 보겠습니다!
@HandlerOne69 Жыл бұрын
와... 이런 훌륭한 컨텐츠.. 정말 짧은 영상이지만 정말 깊이있고 그러면서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거기다 제가 정말 존경하는 두분의 대화가 저의 멍청한 뇌를 다시 깨워주신듯... FDR 설명 부분이 너무 이해가 잘됬습니다. 왠지 미국 금융위기가 왔던 이유도 그본질적 문제가 약간은 보여지는 것 같았습니다. 정말 좋은 콘텐츠 감사 드립니다. 그리고 샌델교수님~~~ 정말 존경합니다. 여기서 뵐 수 있어서 넘넘 감동이었습니다. (책도 바로 질렀습니다. ㅎㅎ 두고 두고 곱씹어가면서 다시 읽어봐야 할것 같습니다. )
@슈어-o3n Жыл бұрын
사랑합니다 지윤씨 ㅡ
@molm1234 Жыл бұрын
마이클 샌델 교수님 책은 Justice, What Money Can't Buy, The Tyranny of Merit 등 여러 권을 읽었었는데.... 간만에 또 읽고 싶은 책이네요 ㅎㅎ
@davidkim8135 Жыл бұрын
once again, as always, very good youtube video about politics happening these days 미국살면서도 잘 모르는 것들, 김지윤님 영상 보면서 많이 배웁니다.
@Shchii Жыл бұрын
와 일단 좋아요 누르고 시청해요! 대박❤
@경제적자유-w9k Жыл бұрын
이런 내용을 유튜브에서 돈도 안내고 볼수있다는것에 감사합니다 진짜
@jj-oc9fj Жыл бұрын
읽고 싶은 책이 또 생겨 기쁘네요!!
@diorson Жыл бұрын
인터뷰를 보면서 저의 무지함을 느끼게 되는 시간이었네요. 책사서 읽고 또 다시 한번 봐야겠네요 ㅎㅎㅎㅎ
@ploggerjo6315 Жыл бұрын
두 분 대화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습니다.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고 마이클 센델 교수님을 알게 되었는데, 제가 좋아하는 채널의 김지윤님이랑 센델 교수님의 대화를 보면서 가슴 웅장해집니다. 영상 감사드립니다. !
@미드킹린가두 Жыл бұрын
게스트로 모셔오는 분들로 항상 깜짝 놀라게 하시네요 좋은 영상 잘 보겠습니다~
@johnroh566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danij9185 Жыл бұрын
슬쩍 그냥 보려다가 이 영상은 대충볼게 아니라는 생각에 노트에 연필까지 집어들었네요. 오늘도 훌륭한 영상 너무 고맙습니다 :)
@soda4-w5n Жыл бұрын
마이클 센델!! 정말 감동깊게 들은 정의에 대한 강의가 생각난다
@24K태양 Жыл бұрын
노동자를 중심으로 다수의 가치를 외면하고 소수의 권리에 집착한 휠러리가 어이 없게 트럼프에 권력을 넘겨준 사례는 우리 나라 정치 상황에도 큰 교훈을 주네요. 정의당의 몰락이 설명 될 수도 극복할 수도 있었 다는것이 특히 가슴 아픔니다.소수를 배려하지만 다수가치를 절대 소홀이해선 안된다는 교훈 인상적입니다.
@DONGSUNSHIN-di9heАй бұрын
아 좋은 강의를 여기서 듣다니ᆢ 많이 배우고 갑니다❤
@quixoteson3042 Жыл бұрын
센델 교수 같은 지성을 둔 것이 미국의 진정한 힘이란 생각이 드는군요. 60이 낼 모래지만 20대때부터 의문을 가지기만 했던 여러 질문에 대한 대한 센델 교수 혜안을 듣고 보니, 더 젊었을 때 저런 지성을 만났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드는군요. 물질적 풍요는 비약적으로 성장했지만, 한국 사회가 왜 이렇게 더욱 천박해져 가는 것인지에 대한 답 중 하나가 물질 만능주의를 벗어난 국가적, 국민적 철학의 부재라는 생각이들곤 했는데 센델 교수의 지성이 답을 찾아가는 중요한 고찰 지점이 될 것 같습니다.
@e_personal Жыл бұрын
그런 지성을 두고도 관심을 안가지고 감성적으로 인기몰이 하는 사람에게 투표하다 지금 처지가 됐다는게 약점이기는 하지만요. 미국 삽니다.미국의 이상한 점은 누군가가 "지적이다" 라는 인상이 한국에서 만큼 긍정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quixoteson3042 Жыл бұрын
@@e_personal 한국은 학문을 숭상하는 오랜 전통이 지성에 대한 존경과 흠모를 낳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개인적으로, 한류 현상도 이와 무관해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한류의 원천이 정부주도 정책에 의한 것이라는 해외 기사들이 많이 보이던데, 한국에 대한 일천한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 합니다.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미국에서 반지성주의가 시작 되었고 현재는 그렇게 살고 싶은 사람들만 그 시류를 따라가는데 반해 한국은 10선비, 진지충, 꼰대 등의 단어등이 유행하기 시작한 2010년경 부터 스마트폰과 SNS를 통해 반지성주의의 광풍이 몰아쳤고 지금 한창 그것의 부작용을 경험하고 있다고 생각 합니다. 유튜브만 봐도 지성이 있고 바른말 하는 유튜버 일수록 조회수가 잘 나오지 않죠. ㅎㅎ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알쓸신잡 촬영팀이 그리스와 독일에 갔을때 현지인들이 쓸모 없고 잡다한 지식이 세상에 어디 있냐고 겨우뚱 했다는 일화에 한국의 지성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잘 알 수 있었습니다.
@jisungpark8952 Жыл бұрын
@@quixoteson3042 한류가 한국정부의 주도로 이뤄 졌다는 주장은 일본 우익 과 중국 공산당측에서 나오는 주장 이죠
@청무피사청무피사 Жыл бұрын
아니 이런 고퀄강의를 유튜브로 그냥 보다니.. 감사합니다
@aligurume Жыл бұрын
Great interview. Thank you for sharing your insights! Delightful!
@LaokoreaENT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구매 링크 클릭해 봅니다,
@치즈피자치즈추가 Жыл бұрын
의견은 충동하는 법이고 요즈음 그 갈등이 겉잡을 수 없이 커지는 느낌인데 예전에도 이런 수준이었는데 현재의 우리가 체감을 못하는 건지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예전에도 이런 수준이었다면 자유주의적이던 공화주의적이던 계속 토론, 토의, 의견교환을 통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을테니까요. ps. 정말로 특별영상으로 김지윤 박사님의 영어교실 해주세요
@GodisLove79 Жыл бұрын
소중한 영상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 🙏
@dosert Жыл бұрын
시민 공화주의적 자유를 회복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아서 걱정이에요. 시장이 거의 모든 걸 결정한 것 같고 그게 옳다고 믿으니까요. 경제권력이 모든 걸 장악한 느낌이네요. 좋은 질문을 던져야 좋은 해결책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아요. 마이클 센델 교수님이 정답은 딱 이거다라고 말한다면 오히려 실망할 것 같아요. 스스로 질문을 던지고 각 사회가 정답을 찾기 위한 과정이 진정한 민주주의의 회복이 아닐까요. 제일 인상적이었던 점은 자유 엘리트주의자들이 트럼프 지지자들을 한심하게 여겼다는 거예요. 그들이 자신들의 노동가치를 인정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반발심이 자유 엘리트주의자들을 거부하고 트럼프를 지지하게 한 건 아닐까요. 이러한 영상은 비단 미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되네요. 누군가에게는 결국 뜬구름 잡는 소리만 한 거 아니냐고 할 지 몰라도 전 여러 번 영상을 반복해서 봐도 좋을 만큼 훌륭한 영상이라고 생각해요. 인터뷰어로서 김지윤 박사님의 특별한 능력이 드러난 영상 같아요. 고맙습니다.
@iiooppooii Жыл бұрын
마치 누군가가 나서서 시장을 다스려야 한다는것처럼 들리네요. 경제적 자유와 개인의 자유 그리고 의사결정의 자유와 작은 정부를 회복하는게 쉬운일이 아닌 것 같아 걱정이네요.
@dosert Жыл бұрын
@@iiooppooii 혹여나 오해가 있을까봐 댓글을 추가해서 쓰기는 했는데, 그렇게 글을 이해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사회의 문제를 한번에 다 해결할 수는 없고 하나의 해결책으로 수십년간 누적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없겠죠. 정부도 시장도 그 누구도 절대적 선이 될 수 없고, 스스로 끊임없이 되묻고 토론하고 경청하면서 차근차근 대책을 찾아봐야 하지 않을까요. 아주 오랜시간이 걸리더라도 말이에요. 민주주의가 위기에 봉착한 것은 사실이니까요. 댓글 달아주셔서 고마워요.
@캭하 Жыл бұрын
사실 한국은 그게 너무나도 잘 이뤄지고 있어서 문제죠. 해당 영상에서 나오는 시민 공화주의적 자유, 즉 권리보다 선이 우선하는 시민들의 공동체적 합의는 그게 너무나도 한국사회를 꽉 죄고 있어서 반대로 문제입니다. 가령 폰허브 금지라든가 사이버 명예훼손 같은 경우 전세계에서 이를 이 정도로 규제하는 국가는 중국과 같은 나라 말고는 잘 없다는 소리를 들어보셨을 겁니다. 한국인들은 어떤 선에 대한 합의가 대체로 너무나도 잘돼 있고 너무나도 체제순응적이라 권리에 대한 투쟁이 잘 안 되는 경향이 있죠. 심지어 자유를 추종하는 사람들조차도 파업 같은 거에 냉소적이고 말입니다. 또 가령 키드모 사건 같은 경우나 블루 아카이브 검열 사건 같은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특히나 성엄숙주의와 결합하여 법제도적인 레벨에서 누군가의 권리를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데에 너무나도 익숙해져 있죠. 근데 그게 본문 영상의 맥락에서 보면 공공선에 대한 합의라고 할 수 있거든요. 달리 말하면 한국인은 만인에 대한 만인의 규제를 너무나도 좋아한다는 거고요. 공공선과 합의를 너무나도 좋아합니다. 경쟁, 투쟁, 권리와 같은 개념에 너무나도 취약하고요. 미국적인 맥락에서는 시민 공화주의적 자유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으나, 한국과 같은 나라에서느 그러한 공공선이 양심의 자유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게 너무나도 자연스러워서(시민의식 레벨에서부터 그렇습니다) 자유주의적 자유의 필요성이 오히려 더 크나큰 실정이죠.
@캭하 Жыл бұрын
@@dosert 이와 관련된 또 다른 문제는, 한국인은 규제를 너무나도 좋아하고 그만큼 국가 개입을 너무나도 좋아한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중앙집권적이고 수직적이며 체제순응적이라는 것이죠. 이게 공동선과 미덕의 문제에서 오묘하게 조화를 이룹니다. 이 자치의 부재와 개개인의 주변화는 사실 시민 공화주의적 자유와는 다른 지점에 있다고도 볼 수 있는데 한국에서는 그게 역으로 너무나도 잘 어우러져서 선이라는 이름의 공동체적 질서를 너무나도 잘 추구하고 있는 거죠. 그게 법제도로 체제화됨으로써 말입니다.
@캭하 Жыл бұрын
또 해당 영상에서는 시장이 결정하게 두지 말고 무엇이 공정하고 무엇이 윤리적인지 토론해보자고 하는데 이는 (특히 한국과 같은 사회에서는) 자유주의자들에게 매우 교묘한 소리로 들리죠. 한국처럼 합의가 잘 되는 사회에서는 그게 첨예해지면 질수록 결국 금지가 늘어나고 규제가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개개인의 자유는 무시받기 일쑤구요. 각종 가이드라인과 지침들이 그러한 첨예함 속에서 태어난 사회적 불편들에 따라 문화적으로 강제됩니다. 그래서 한국에서는 선보다 권리가 우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거구요. 개개인의 자유를 좀 존중할 줄 알아야 됩니다. 공공선의 한계를 좀 깨우쳐야 할 필요가 있구요.
배우고 배워도 끝이 없습니다. 공화주의적 자유와 자유주의적 자유... 학교교육에서는 안나온 새로운 것을 배우게 됩니다.
@이지용-r4b Жыл бұрын
절말 값진 영상입니다 감사합니다
@leejaejoon80 Жыл бұрын
와우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어요 ㅋㅋ 정의는 무엇인가도 읽기는 했는데 무슨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더라구요 ㅎㅎㅎ 이해하도록 노력해볼께요 ㅎㅎㅇㅎㅎ
@lepolder Жыл бұрын
왜냐면, 지금 우리에게 중요한 얘기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마스크 쓰라면 쓰고 벗으라면 벗고 테레비에서 나오는 얘기는 모두 맞고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90%인 현실에서 저런 얘기가 와 닿으면 그게 이상하지요.
@가가기기-m8y Жыл бұрын
책을 안 읽은 상태에서 내가 이해한 게 맞는지 모르겠지만 결국 먹고 사는 원초적인 문제와 더 발전적인 사회 시스템 사이에 벌어진 '간극' 차이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불협이 현재 민주주의 위협의 원인이지 않나 하네요. 이 '간극'은 내가 먹고 사는 것도 모자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살기 위한 시스템을 이해하고 따라갈 여력이란 게 없다는 것이고, 이런 상황에서 가장 나의 권리를 대변하는 단어가 '자유'라 여기며, 그것이 뭘 의미하는지도 모르고 어떤 철학적 사회적 설명도 없이 그저 명분으로 삼는 상황이지 않나 보고요. 즉 나 잃을 게 없다 내 맘대로 하겠다...이런 상태죠. 최근 sns로 개인의 의사소통이 편협적이고 편중되는 경향까지 더해지면서 더 파괴적이 되기도 하고요. 문제는 이게 과연 해결 할 수 있는...영상의 말씀처럼 논의하고 고민하는 것까지 포함해서 어떤 방법을 동원해서라도...없어질 문제일까? 의심이 된다는 거네요. 오히려 시민 공화주의?는 해결하지 못한 것을 케인스주의 같은 것들이 해결 흉내라도 내면서 지금까지 온 것 같기도 하고요. 쉽게 말해 가장 편한 방법이란 최대한 공평한 척 나눠주는 거죠. 그렇다고 그렇게 땜빵질로만 가면 극단주의만 늘고 있는 것도 현실이고...뭘 해도 안되나 싶네요. 최소한 민주주의란 게 불완전하다는 것과 시민의 자유라는 것도 완벽할 수 없다는 점을 아주 철저한 교육으로 머리에 박아 넣어야 소통이라도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는 생각되고요. 사람들은 자신이 또는 계층이 존중 받고 있다는 느낌을 받으려면 어느 정도까지 원해야 하는 건지 선이라는 걸... 만드는 건 바라지도 않고 그런 게 있다는 인식 정도라도... 알아야 머라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네요. 그게 가능한 건지는 모르겠지만... 특히 우리나라는 민주주의라는 개념이 너무 모호하고 그저 투표와 자유 정도로 설명하는 시민의식?이랄까 그 정도인 게 문제를 키우는 것 같고요. 불완전하고 불안정한 민주주의 아래에서 함께 살아간다는 게 어떤 의미인지 개념적 고민이 전혀 없어 보이는 게 큰 문제이지 싶네요. 예를 들어 난 야당도 싫고 여당도 싫어 그래서 차악을 선택할 수밖에 없어...같은 너무나도 쉽게 자기 합리화하는 시도들이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