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과정31] 4.단열공사_얇은 아이소핑크 딸랑 한 장.. 이건 왜 붙일까?

  Рет қаралды 321,821

우리건설 이야기

우리건설 이야기

Жыл бұрын

열교현상을 방지하는 아이소핑크 한 장
단열재는 어떻게 붙여야 완벽시공이 가능할까?

Пікірлер: 277
@xerX2
@xerX2 Жыл бұрын
건축이라는 것이 정말 치밀한 과학이고 사람의 경험과 시행착오가 쌓인 지식의 누적임을 매번 배웁니다.
@aegis-
@aegis- 11 ай бұрын
초보자도 단번에 이해 될수 있게 설명해주시는 소장님 영상 감사합니다
@user-lg7ch5ic1t
@user-lg7ch5ic1t 2 ай бұрын
몰랐던 사실을 알게되는 기쁨이 있네요. 살면서 워낙 결로로 고생을 많이 해서 쏙쏙 들어 옵니다 건강하세요
@user-qo3bj8wf7d
@user-qo3bj8wf7d Жыл бұрын
기본에 충실하자라는 말이 생각납니다 간결명료 핵심포인트 강의 감사합니다 !
@user-wg6ix4wx9y
@user-wg6ix4wx9y Жыл бұрын
처음 알았습니다. 도시가스 일하는 사람인데 신축 아파트에서 보일러 실에서 주방으로 배관이 갈때 노출 배관이 갈수 없으니 천정 매설로 가는데 고정을 위해 플레시플 배관을 새들이나 브라켓으로 고정하는데 저 분홍색 스티로폼이 뭔가 했더니 그런용도 였군요. 저곳을 타공을해서 고정을 했는데 해서는 안되는 거군요. 도시가스 감독관들이 벽을 따라 배관을 따라 가라는 지침이 있는데 배란다 쪽은 분명 커튼박스가 있어 천정에 고정을 해야 하는데 저부분에 타공을 할수 밖에 없었는데. 이제는 해서는 안된다고 우겨야 하겠군요.
@insanek5542
@insanek5542 9 ай бұрын
안될수가없겠죠. 대신 타공한부위를 폼을쏴주던지해야하는데 다 건너뛰는거죠뭐.
@user-sm8qq1fp9w
@user-sm8qq1fp9w 8 ай бұрын
실제사례를 바탕으로 너무 알기쉽게 잘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저는 구조엔지니어인데, 시공이나 건축설계적인 부분은 약했는데 좋은공부가 되었습니다.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5 ай бұрын
외벽을 겸할수 있는 디자인에 강도를 갖춘 단열재 이면서도 불연성인 단열재가 나오면 정말 좋을텐데 말입니다 현실은 강도가 있으면 열전도율이 높고 단열재는 대부분 기포성이라 강도가 낮아 외벽에 부착시 철판이나 목재 또는 기타소재로한번더 보호해주거나 덧씌워 줘야 하고 스티로품이나 화학제품 계열은 화재에 취약한 난연성 제품이 많고
@siyoungcho4616
@siyoungcho4616 Жыл бұрын
현장에서 인테리어하면서 항상 궁금했었는데. 이제 알게되네요. 감사합니다 ^^
@letitbe250
@letitbe250 5 ай бұрын
빈틈없이! 감사합니다! 뼈져리게 또 배웠습니다! ❤❤❤
@user-eb6uc3mo7v
@user-eb6uc3mo7v Жыл бұрын
저 얇은 두꼐와 450mm가 마법 같은 숫자라고 패시브하우스협회 영상에서 말하더라고요. 저걸로 완벽하게 단열이 되는 게 아니고 난방열이 벽체를 데우면서 외부로 열이 새어나가는 것은 맞지만 대신 벽에 물방울이 맺히지 않아서 곰팡이는 안 생기게 하는...... 난방비가 증가와 곰팡이 방지의 중간 타협지점을 찾은 두께와 폭이라고 하더군요.
@Kristen_.
@Kristen_. Жыл бұрын
보충을 하자면 결로의 발생/차단을 하는 콘크리트 벽체 자체의 열전도율(열관류율) 즉, 열교(Thermal bridge)의 차단, 커버가 되는 기점이 400~450mm 열교(Thermal bridge)입니다.
@dongy7029
@dongy7029 Жыл бұрын
놓칠수 있는 부분이었는데 영상 넘 잘봤습니다. 혼자 셀프를 진행 하고 있어서 단계별로 영상을 찾아보고있어요^^ 감사합니다
@user-yd6zp2qt1e
@user-yd6zp2qt1e Жыл бұрын
입주 기다리는 아파트가 있어 검색하다 알게된 채널인데 너무 잘보고있습니다. 너무 재미있어요. 감사합니다. 머리하신것도 잘 어울리시네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Жыл бұрын
네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happyhappyhealing
@happyhappyhealing Жыл бұрын
와 ~ 시공 꼼꼼하네요.
@computerblue1915
@computerblue1915 8 ай бұрын
직접 집을 건축하려 계획중인 사람한텐 정말 최고의 채널이네요. 근데 중요한 건 일반 소비자들이 아무리 이런 정보들을 알고 있더라도 시공 업체가 제대로 시공해주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는 거죠. 최근 굴지의 브랜드 아파트들이 부실 시공으로 큰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걸 감안하면 이런 정보들을 알수록 소비자는 걱정거리만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군요. 그렇다고 제대로 시공하나 cctv를 달거나 공사기간 내내 현장에서 감시하고 있을 수도 없는 노릇이니 참 답답하네요.
@kscosi
@kscosi Жыл бұрын
오래전에 세종시 ××건설사에서 시공분양한 아파트의거의 전체동 결로현상 보수공사를 했어요. 모든 창틀주위에 결로때문에 손을 대면 주르르 흘러내리더군요. 소장님께 많은 것을 배웁니다. 감사드립니다
@user-pg3dw1qp2y
@user-pg3dw1qp2y 10 ай бұрын
제가 세종시 타설 많이했는데 결로방지제 부서지는건 태반일듯
@user-fb1kv5ig2j
@user-fb1kv5ig2j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영상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user-je1ig2le5c
@user-je1ig2le5c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의 모든 건축현장에 이분 같은 현장소장이 완벽 관리하면, 집에서 생기는 스트레스는 거의 없을 거 같아요. 우리나라는 집을 잘 만나거나, 이웃을 잘 만나거나, 펜트하우스에서 살거나 하는 거 외에는 거주 스트레스가 장난 아니죠. 근데, 외단열 시공하는 공동주택은 없나요? 해외도요?
@user-og8fe1ss2p
@user-og8fe1ss2p Жыл бұрын
국내에도 외단열 주상복합 사례는 가끔 있습니다 다만 흉내내는 정도라고 합니다 외단열로 하더라도 마감이 한 번에 끝나는 그런 방식에만 건설사들이 매진하고 있기에 생각의 전환이 근본부터 없다면 어쩌면 불가능한 얘기입니다
@nintendo0983
@nintendo0983 Жыл бұрын
해외 외단열 많이 합니다. 아파트 같은 건물도요~
@Exynos3
@Exynos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2010년대 중반 이후에는 5층 이하만 외단열이고 그 이상은 외벽 화재 사고 때문에 이상한 규제가 생겨서 다 내단열만 합니다. 외단열이 제일 효율이 좋은건 맞는데 비용에 특히 가연성 단열재가 문제가 많았어요...
@seo820526
@seo820526 Жыл бұрын
현실적으로 사계절.뚜렷하고 여름 겨울 일교차가 큰 한국 날씨 특성상 고층건물에 외단열은 유지보수 문제도 그렇고.시공하기 까다롭지 않을까요?
@user-sx2wg5qu6l
@user-sx2wg5qu6l 4 ай бұрын
그러기에는 외단열 시공에어려운점이 많을꺼에요 공사기간 공사비용 큰현장일수록 획일화되있고 얼른끝나야하는데 갱폼을쓰지못하고외단열을하게되면 심각할듣요
@J_Hyunn
@J_Hyunn Жыл бұрын
왜 이 채널을 이제 알았을까요.. 현장을 나가지 않아도 어깨너머로 현장을 작게나마 알게되는 소중한 영상이네요. 감사합니다 :) 바로 구독할 수 밖에 없는 채널이네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Жыл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자주 오세요
@BreadNavy
@BreadNavy 8 ай бұрын
몇백명 안됐을때 구독했었는데 1~2편보고 느낌이 빡 왔었습니다. 건축시공 관련없어도 교양차원에서 보게 되더라구요ㅎ
@user-tr6jq3gh3f
@user-tr6jq3gh3f 5 ай бұрын
햐.. 저도 인테리어만 하다 보니 이런 단열관련 지식은 좀 부족한데 덕분에 잘 배웠습니다
@user-xw6ef4wk1z
@user-xw6ef4wk1z Жыл бұрын
네. 빈틈 없는것 중요한 공정들이 몇공정 있죠. 오늘도 잘 시청했습니다.
@jaiseo893
@jaiseo893 2 ай бұрын
공공기관 발주처 공사감독관이어서 별의별 공사감독 다 하는데 제가 토목전공이라 건축부분은 문외한인 부분이 많은데 영상을 통해 공부많이 합니다. 계속 좋은영상 올려주세요.
@yejen1
@yejen1 Жыл бұрын
상세한 설명 감사해요
@user-ns2xh8ol6x
@user-ns2xh8ol6x Жыл бұрын
진짜 모르는 내용이었는데.... 좋은 공부 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thom777
@thom777 Жыл бұрын
그냥 내벽 T되는 부분 전부다 아이소 핑크로 해야겠네요. 인테리어 공사할려고 알아보는중인데 많이 배웁니다
@Lovyz0691
@Lovyz0691 Жыл бұрын
실내인테리어 하고 있습니다. 목수에게 내단열 시공 맏기면.. 별일 다생깁니다.. 알고일하는 사람과 그냥 잘라서 막기만 하면 되는줄 아는 사람들.. 차이가 많이나죠
@user-fc4ys2nk5h
@user-fc4ys2nk5h Жыл бұрын
우와 제가 평소 궁금했고 이러이러해야 되지 않겠나 라고 생각했던 이야기입니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근본적으로 접근하는 사고방식 정말 설명 잘 들었습니다 구독 가치가 있는 방송입니다 구독 좋아요 누르고 가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Жыл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자주 오세요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5 ай бұрын
외벽을 겸할수 있는 디자인에 강도를 갖춘 단열재 이면서도 불연성인 단열재가 나오면 정말 좋을텐데 말입니다 현실은 강도가 있으면 열전도율이 높고 단열재는 대부분 기포성이라 강도가 낮아 외벽에 부착시 철판이나 목재 또는 기타소재로한번더 보호해주거나 덧씌워 줘야 하고 스티로품이나 화학제품 계열은 화재에 취약한 난연성 제품이 많고
@jjrj288
@jjrj288 Жыл бұрын
와우 빈틈없는 단열 굿~!
@user-wv6kp2vp7w
@user-wv6kp2vp7w 6 ай бұрын
유익한 채널, 항상 감사합니다.
@Oops2585
@Oops2585 Жыл бұрын
아파트는 벽식구조는 확실히 단열이나 결로도 그렇고 진동소음에도 취약하고 기둥식이나 무량판구조로 가야 하는게 맞을듯....
@Acejack21c
@Acejack21c 4 ай бұрын
우리집에 결로가 하나도 안생기는게 너무 신기했는데. 저런 과정을 꼼꼼하게 실천해서 그런거구나 싶네요. 요즘 여기저기서 부실시공으로 결로 생겨서 고통받는 아파트 입주민을 뉴스에서 심심찮게 보는데.꼼꼼하게 잘 시공해주신 대림에 감사함을 느낍니다.
@user-ys9nn8vv3j
@user-ys9nn8vv3j 4 ай бұрын
이전 집에서 결로땜에 고생하다가 이사왔는데 사이드집인데도 난방단열 잘됩니다. 기본에 충실한 대림에 무한감사
@chobocrafter285
@chobocrafter285 Жыл бұрын
빈틈없이 끝. 멋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yp1sp5ug9m
@user-yp1sp5ug9m Жыл бұрын
아이소핑크 유익한 공부 하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un1fm2ni7m
@user-un1fm2ni7m Жыл бұрын
건축 궁금한것은 이분이 다 설명해주네...
@user-tp1kb5uv5s
@user-tp1kb5uv5s 7 ай бұрын
너무 알기쉽게 설명해주셔서 유익했습니다 구독해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7 ай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redgoat27able
@redgoat27able 7 ай бұрын
좋은 정보 너무나 감사합니다.
@89naminsu
@89naminsu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듣고 가요 감사해요!!
@user-yv5zm8en7p
@user-yv5zm8en7p 4 ай бұрын
이런 내용은 돈주고 볼래도 볼 수 없는 내용인데 감사합니다.
@passman11
@passman11 Жыл бұрын
집이 30년된 주택인데 작년에 인테리어 다시 했는데 영상처럼 내벽이라고 단열안했는데 결로가 지붕에 물세나 싶을정도로 삼해서(컴퓨터 열이 그대로 올라가서 더심한듯) 저기나온 아이소 핑크 단열제 1미터 정도 셀프로 했다가 중간에 구멍이 있었는지 구석에 물이 나옴 ;;; 뜯어내고 폼 왕창 아낌없이 쓰면서 다시 단열제 붙이고 빈틈 조금이라도 보이면 실리콘 싹싹 발랐더니 괜찮더라구요 ;;
@Gfdsrtfgydgth
@Gfdsrtfgydgth 3 ай бұрын
한수 배웠으니까 🎉🎉🎉감사합니다...
@user-jg7ov7sc5c
@user-jg7ov7sc5c Жыл бұрын
좋은거 우연히 보게되서 겁나 감사합니다 많이배우내요 감사합니다
@bianhwa4961
@bianhwa4961 8 ай бұрын
시공 이유는 알고 있었는데 이름을 아이소가 아닌 아이스 핑크로 알고 있었네요 영상으로 몰랐었던걸 많이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user-zl8jg8pl5x
@user-zl8jg8pl5x Жыл бұрын
소비자가 알면 뭐해요... 시공시 안해주는데 대충 하고 똥이나 안싸면 다행 오래전 아파트 현장 알바 하다가 진짜 똥 살곳이 없음. 간이 화장실 있으나 도저히 싸지못함 포화상태이고 참다가 점심시간 근처 식당 화장실 이용 소변은 대충 알아서 눈치것 싸고 하는 분위기 시공사 이놈들아 일하는 사람들 생리현상 해결해줘라.
@carpendesign
@carpendesign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TV-hy9pm
@TV-hy9pm 9 ай бұрын
빈틈없이 !!!
@youyou-kd2yj
@youyou-kd2yj 8 ай бұрын
알고있었지만 저렇게잘해주는곳이 있었다니ㅡㅋㅋ 저런 시공사가 많아야
@jeonggeunkim6002
@jeonggeunkim6002 5 ай бұрын
외벽을 겸할수 있는 디자인에 강도를 갖춘 단열재 이면서도 불연성인 단열재가 나오면 정말 좋을텐데 말입니다 현실은 강도가 있으면 열전도율이 높고 단열재는 대부분 기포성이라 강도가 낮아 외벽에 부착시 철판이나 목재 또는 기타소재로한번더 보호해주거나 덧씌워 줘야 하고 스티로품이나 화학제품 계열은 화재에 취약한 난연성 제품이 많고 ..
@user-do4co4gc8b
@user-do4co4gc8b Жыл бұрын
소장님 스타일좋아지셨네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Жыл бұрын
ㅎㅎ 감사합니다
@hobbyholic_LoveLive
@hobbyholic_LoveLive Жыл бұрын
항상 원리를 깨우쳐주셔서 감사합니다.
@user-yi4ch3sw4e
@user-yi4ch3sw4e Жыл бұрын
빈틈없이!! 건물 지을때느느
@user-tt3ti7dz5s
@user-tt3ti7dz5s 9 ай бұрын
대부분 아파트 결로 현상이 말씀하신 부분에서 가장 많이 일어 납니다
@FLASHkor
@FLASHkor 5 ай бұрын
빈틈없이.. 저게 진짜 중요하죠 똥으로 집지어도 저거 잘되면 단열되는거고 콘크리트 500mm로 지어도 바늘구멍 하나 나면 난방비 줄줄 새는거고...
@user-mb4ho7kx1r
@user-mb4ho7kx1r Жыл бұрын
저도 이번에 시골주택 내단열 셀프 도전하려 하는데 내단열로 전체 내부를 두르려고 자재 계산했더니 내벽들이 많아서 표면적이 어마어마 하더군요. 바닥하고 내벽 다 두르고... 빈틈없이 해보겠습니다.
@user-zj2ro6yb1p
@user-zj2ro6yb1p 4 ай бұрын
주택은 외단열로 하시지 내단열 하는 이유라도?
@autofixup
@autofixup 4 ай бұрын
내벽은 단열 필요없습니다.....ㅎㅎ
@user-fw1mo2ds2w
@user-fw1mo2ds2w Жыл бұрын
고퀄 영상! EBS 보는줄!
@user-gb2ww8ii7d
@user-gb2ww8ii7d 5 ай бұрын
단독주택 짓는거 보다가 이 영상 보니 되게 복잡하고 지나다닐때도 조심해야겠다는 생각이드네요.
@user-uz7fn1fj1j
@user-uz7fn1fj1j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네요 👍
@user-by8rn9cq1z
@user-by8rn9cq1z 11 ай бұрын
설명을 알기 쉽게 하셔서 재미있게 보고갑니다!!구독추가완료
@engineer_chat
@engineer_chat 11 ай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HHH-hc8zn
@HHH-hc8zn Жыл бұрын
gs샌트럴 자이 필로티 금간거 좀 다뤄주세요. 사진상으로 보면 진짜 불안할거 같은데 구조적으로 이상없다란 이야기만 ;;;
@junok1321
@junok1321 9 ай бұрын
원래 콘크리트는 외단열이 정석입니다.. 아파트는 외단열을 할수 없으니... 어쩔수 없어서 내단열이라도 하는거죠
@IONIQEVLIFE
@IONIQEVLIFE 9 ай бұрын
철근일 하는데 궁금했던거 싹 해결됬습니다 ㅋㅋ
@user-vp4up4cr9o
@user-vp4up4cr9o Жыл бұрын
아파트는 베란다쪽 잘하면 어차피 공동주택이라위아래 보일러키면열손실이 어는정도 커버되지않을까요
@user-lk1oz4ik3t
@user-lk1oz4ik3t 4 ай бұрын
내용도 이해가 쏙쏙되게 하지만 목소리도 참 친근감이 느껴집니다 질문이 있는데 콘크리트가 들어갈 자리에 아이소핑크가 있어 콘크리트벽체가 앏아져서 안전성에 문제는 되지 않나요?
@engineer_chat
@engineer_chat 3 ай бұрын
양쪽으로 20mm 얇아지는 상황이며, 구조적으로 문제 없는지 사전에 검토하고 진행합니다.
@user-qw7ux7uv9d
@user-qw7ux7uv9d Жыл бұрын
이보드라는것은 아이소핑크 10미리위에 부직포 3미리가 붙어있는것이 아니라 아이소핑크10미리에 PP보드3미리에 (이사박스.단프라박스와 같이 공기층이 있는 PP보드)에 부직포를 붙인것입니다
@user-tq4ow2pf1o
@user-tq4ow2pf1o Жыл бұрын
구조용 열교 차단재가 있는데 그거를 쓰는게 맞겠죠? 회사입장에서 아이소핑크 일체타설이 더 저렴하니까 어쩔수 없겠지요. 소장님 영상 감사합니다
@thecutzz
@thecutzz Ай бұрын
설비 일할 때 저 아이소 핑크 때문에 바닥 스리브 모양대로 따서 시공하느라고 애먹었죠 ㅋㅋㅋㅋ 얇은 것도 있는데 두께도 두꺼운 것도 있고 무엇보다 계통 파악하기 전에는 누락되는 스리브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 입니다. 사진을 보니 다산 신도시 어디쯤 아파트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ㅎㅎ 분배기 앉는 자리 구조물도 공법만 보고 알수는 없지만요.
@river5185
@river5185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유익합니다. 질문있습니다. 1. 결로방지단열재를 설치하라는 관련 법령이 있나요?아니면 설치안해도 법적으로 무방한 사항인지요? 2. 450mm라고 언급되어있는데 450mm도 법적으로 명기되 있는 사항인가요?
@user-ui4vw9iq4b
@user-ui4vw9iq4b Жыл бұрын
저런건 다 건축시행령에 있는 것들입니다..
@user-jk2sx6wu1u
@user-jk2sx6wu1u 4 ай бұрын
궁금해서 여쭙니다. 영상중 고층아파트는 외단열이 불가능해서 내단열로 한다라고 말씀해주셨는데 왜 불가능한건가요? 시공이 불가능한건지 비용적인 문제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user-ry2bc4pl4l
@user-ry2bc4pl4l 9 ай бұрын
근데 작업이 많이 번거로워보이는데도 저렇게 하는건 외단열을 하지 않는 이유도 있는거겠죠? 단열재 내구도가 낮아서 비오고 얼고 녹고 하면 벽에서 떨어질까봐 그런건가
@ssss-ou4bn
@ssss-ou4bn 4 ай бұрын
어렵네요...다 지어놓고 단열 대충하면 도루아미 타불이군요!! 과연 건축비 많이드는데 얼마나 잘할지..
@byungokjung4460
@byungokjung4460 8 ай бұрын
아아소핑크 취부 방법이 궁금합니다 알폼에 못질도 안될텐데 피스로 박은것 같군요
@user-pm9sr5ms1y
@user-pm9sr5ms1y 9 ай бұрын
이거 예전에 판넬업자한테 이음 부분 철판제거하고 밀착시키려고 엄청 설명했던거와 같은 원리네요. 죽어도 안할라고 하거라고요 ㅜㅜ
@ssuwwa5955
@ssuwwa5955 5 ай бұрын
잘배우고 갑니다
@healingcarpenter
@healingcarpenter Ай бұрын
아파트 잡부 6년경력으로 어깨너머로 배운걸 이분께 확실하게 보충교육 받네용.
@user-sx9sp7it9z
@user-sx9sp7it9z 2 ай бұрын
단열재를 거푸집 시공하면 레미콘 쏟아질때 움직이면서 틈으로 새어나오기도 하는데 그러면 꽝 아닌가요? 절대로 흔들리지 않는다면 좋지만 그게 그런가요?
@greatehan1630
@greatehan1630 Жыл бұрын
아파트 인테리어 할때 과연 저렇게 하는집이 있을까하는생각이 드는영상입니다
@victorychoi4622
@victorychoi4622 Жыл бұрын
울산 대형 건설사에서 시공하는곳에서 천정쪽에는 아이소핑크 시공 봤지만 저렇게 외벽에서 들어오는 티자형 벽면에는 못봤네요....;;;;;
@user-jh7tq9rb7i
@user-jh7tq9rb7i 8 ай бұрын
구독합니다.감사합니다.
@engineer_chat
@engineer_chat 8 ай бұрын
구독 감사합니다.
@user-op3ed5vm1b
@user-op3ed5vm1b 7 ай бұрын
철골구조 에서는 바닥 단열을 어떻게 하나요 건물 시공후 천정에 붙이는 것 같은데 스치로플에 시멘트 입힌것이 무거워서인지 자꾸 천정에서 떨어 지네요 보수 하는 방법도요 가르쳐주세요 총으로 쏴서 다시 붙일 수도 없고요 상판이 철판이잔아요
@user-fz5ls9iu9l
@user-fz5ls9iu9l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중단열 외단열 내단열 장단점 을 설명 해줄수있나요. 지금보니다 콘크리면에 단열되고 중단열 이 맜나요?
@user-rl9ri1hy6b
@user-rl9ri1hy6b Ай бұрын
차후에 천장형 에어컨 단다고 슬라브 타공하면 아이소핑크 뚫리면 단열이 깨졌다고 보나요.
@user-tq4ow2pf1o
@user-tq4ow2pf1o Жыл бұрын
피복이 줄어드는건 어쩔수 없는건가요?
@user-xx7wy6rh5r
@user-xx7wy6rh5r Жыл бұрын
외국엔 높은 아파트도 외단열이던데 우리나라는 왜 이모양으로 짓나요?
@user-uz6od9qs2y
@user-uz6od9qs2y 5 ай бұрын
바닥과 벽만이 아니라 3차원 공간으로 천장까지 진행하는가네요
@user-rm7ds5sl1f
@user-rm7ds5sl1f Жыл бұрын
우리 시골집은 단열자체가 제대로 안 되어 있고 그냥 막 지은 집인데. 그래서 항상 습기와 곰팡이를 달고 있거든요. 그럼 지금이라도 단열이 제대로 되어 있디 않은 벽면에 저런 시공들을 하면 좀 나아질까 궁금하네요. 맘 같아서는 다 부수고 새로 짓고 싶은데.
@engineer_chat
@engineer_chat Жыл бұрын
단열시공은 원칙대로 제대로 하는게 결국 비용측면에서도 이득입니다.
@user-48fk3kkd99
@user-48fk3kkd99 6 ай бұрын
요새 단열재 붙일때 말이 많은게 있어요 1. 폼 뿌린 다음 붙이기 전에 물을 뿌려야 하는가? 2. 폼 뿌린 다음 일정시간 방치 후 붙여야 하는가?
@user-tq5ig2lr8w
@user-tq5ig2lr8w 3 ай бұрын
현장 관리자의 관리감독의 중요성이죠
@user-ph4vp6gq3d
@user-ph4vp6gq3d 3 ай бұрын
꼭대기 층에 살고 있습니다 안방의 T형 벽체 상단모서리를 따라서 결로로 인해 곰팡이가 생기네요 하자보수 기간이 지났습니다 하자보수를 무상으로 받을 수 있나요? 옆집은 물이 줄줄 흐른다네요.... 옆집은 밀착조차 안된거 같고 저희집은 밀착은 어느정도 되엇으나 흡수아이소픽스가 누락된 거겟죠?
@user-jf4ki1dn8t
@user-jf4ki1dn8t 10 күн бұрын
모든 아파트는 다 이렇게 단열하면서 시공하나요? 빼먹는 경우는 없을까요?
@nintendo0983
@nintendo0983 Жыл бұрын
10mm 단열재로 충분한가요? 보통 LH 시방에는 30mm쓴다고 얼핏 들은 기억이 있어서요. 현장에서 직접 설명해주시니 더욱 이해가 편합니다. 감사합니다
@woojinpark8994
@woojinpark8994 Жыл бұрын
지역마다 내외부 지켜야하는 열관유율이 달라요.
@user-qr9fs7wl1w
@user-qr9fs7wl1w Жыл бұрын
30T가 열차단재로서 의미있는 최소두께입니다
@murmusic
@murmusic Жыл бұрын
고층건물도 외단열 가능해요...
@mkrichard330
@mkrichard330 Жыл бұрын
서울역 센트럴자이 관련 영상 부탁드립니다.
@user-db7mt3nc9i
@user-db7mt3nc9i 4 ай бұрын
와 감사합니다
@user-ig7lk2vu7v
@user-ig7lk2vu7v 4 ай бұрын
결로방지 단열재 13미리으로하면 안되는거 아닌가요? 최소30T에 450미리폭으로해야 결로가 안생기는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13T도 문제가 없는건가요?
@user-mw7cy3lx5t
@user-mw7cy3lx5t Жыл бұрын
결로방지 설계 가이드라인 기준으로 결로취약부에 저렇게 시공하게끔 건축도면에 사양까지 다 표기되어있음~~부위별 최종 마감에 따라 표면강화 제품으로 선시공 해야함~시공시 주의사항~타설 전 고정핀 탈락여부와 폼 해체시 파손~가장 중요한 옆판과 턱지거나 수직도 불량 안나게 시공관리 잘해야 함~까딱하면 재시공 또는 보수하는데 돈 엄청 깨짐~ 근데 철근 결속 좀 신경쓰셔야 할 듯~국토관리청 사람들 보면 위험한 사항들이 너무 많이 보여요~~다른 영상들 속에서도😅😂😊
@user-bl6fj3nt5z
@user-bl6fj3nt5z 4 ай бұрын
450mm 까지 말고 내벽도 모두 단열재 얇은거라도 바르게하면 좋을텐데 물론 법개정하고 단열재로 손해본 평수 좀더 보완해주고
@user-wz8zz5rg5r
@user-wz8zz5rg5r 4 ай бұрын
그럼 내부습기가 안빠져서 곰팡이펴요~ 아이소 얼마안하는거 고급아파트에도 그렇게 안하는데는 이유가있음 ㅎ
@boysfishing1502
@boysfishing1502 Жыл бұрын
아이소핑크는 회사제품의 제품명입니다. 압출법 방습판이라고 해야 합니다.
@user-pg3dw1qp2y
@user-pg3dw1qp2y 10 ай бұрын
타설 20년 정도의 타설공입니다 5프로정도는 손상되는듯 원인은 복합적이라 다쓰긴 그렇고 핵심은 도급 빨리빨리
@ulcd1
@ulcd1 7 ай бұрын
우리집이 어떻게 시공되어 있는지 궁금했는데 의문이 플렸네요. 근데 두깨거 1cm라니.. 없는것 보다 낳은데 좀더 쓰지..ㅎ
@mustang0909
@mustang0909 4 ай бұрын
감리가 제대로 일을 하려고 해도 건설사들이 그 감리를 다른 건설사에 연락해서 저 감리 깐깐하게 제대러 하니까 블랙 시키라고 합니다 그래서 감리는 어쩔 수없이 그냥 눈감아 줍니다
@user-cm2ec3ux2o
@user-cm2ec3ux2o Жыл бұрын
우리건설 아파트로 이사가고 싶어요 레알 진심😅
@mkim4122
@mkim4122 Жыл бұрын
외단열일 경우에 외벽에 맞닿는 벽 부분은 내단열까지 해주는 경우가 있던데 그 경우에는 외단열이 이미 되어 있으니 T자로 꺾이는 부분은 신경안써도 되나요?
@sengju118
@sengju118 Жыл бұрын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4 ай бұрын
외단열이 불가능 한게 아니라 추가 장비와 비용이 들기 때문이겠죠. 실제로 고층호텔이나 고층주상복합들에서 외단열 많이 시공합니다.
@user-wz8zz5rg5r
@user-wz8zz5rg5r 4 ай бұрын
고층건물에 외단열을 어떻게시공함? 진짜 외단열 고층호텔 하나만 말해주세요
@user-qx7mf4cn5c
@user-qx7mf4cn5c 4 ай бұрын
​​​@@user-wz8zz5rg5r이번에 인천 호구포역 주변에서 큰 불이난 호텔도 외단열입니다. 주차타워에 있는 차량에서 불이 시작된것으로 추정 되는데 주차타워는 외벽이 복합판넬이라 최상층까지 모두 전소됐고 불길이 엄청났음에도 딱 붙어있던 호텔 본건물은 차량들이 많았던 1층 주차장 말고는 거의 원형보존 됐습니다. 불연재질의 외부판넬과 준불연 이상의 좋은 단열재를 시공했다는 증거죠. 유튜브에도 그 호텔 화재 영상 많이있습니다.
전문가도 알려주지 않았던 방수 이렇게 하는 이유[우리건설]
15:36
"00에 둘러 쌓인 카페" 기술사가 고른 카페(협찬 아님)
7:33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3,6 М.
1🥺🎉 #thankyou
00:29
はじめしゃちょー(hajime)
Рет қаралды 79 МЛН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단열재가 붙어있는 면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
22:30
힐더홈tv
Рет қаралды 253 М.
외벽에 "줄눈” 이거 왜 만들까?
7:16
우리건설 이야기
Рет қаралды 269 М.
기초공사 수천만원 아끼고, 안전하고 건강한 집 짓는 비법! 대 공개~
15:56
곰팡이제거제 와 결로차단 단열공사 과정 다 보여드릴게요
7:12
폴라베어 전실장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СТОИТ ЛИ БРАТЬ IPHONE 13 В 2024?
13:53
DimaViper Live
Рет қаралды 23 М.
Carregando telefone com carregador cortado
1:01
Andcarli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