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의 성원에 힙입어 가 최초로 책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미처 하지 못했던 얘기들, 함께 얘기 나눴지만 좀 더 설명하고 싶었던 주제들과 뒷이야기 그리고 구독자분들의 다양한 질문들을 모아 열심히 책을 준비했습니다🔥🔥 책 의 예약판매를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진행하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에서 구매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0870284 🔵예스24 : www.yes24.com/Product/Goods/123258602 🟣알라딘 :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27870262
@_Jake703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 두 교수님 말씀하실 때 경청하면서 끄덕끄덕 리액션 해주시는거 너무 멋있어보임..
@강화의신-t4v Жыл бұрын
그냥 1천도 이상정도 되는 쇳물 녹인거에 시험해보면 되지 않나요? ㅜ
@노심초사 Жыл бұрын
@@_Jake703 ㅇㅈ 이분들은 존중, 경청, 겸허, 겸손 없는 미덕을 찾기가 더 힘든거 같아요 너무 멋짐
@콘파냐-y9t Жыл бұрын
제임스웹 때문에 우주나이를 비롯해서 설명되지 않거나 기존에 추측했던것들이 깨지고 있다고 하는데 궁금합니다
@루크-e8r Жыл бұрын
@@_Jake703ㅛㅕㅕㅕ
@마블듀스 Жыл бұрын
댓글 잘 안쓰는데 진행자가 질문을 적절히 잘해줘서 너무 좋네요..다른 전문가 분들도 주제에서 벗어나지 않고 돌려서 말하지도 않고 자기 주장도 뚜렷하며 그 근거도 명확히 설명하면 시청자가 알아듣기 쉽게 설명하고 생각하게 만들어서 좋구요..
@lucio-l1c11 күн бұрын
근데 대체 선글라스는 왜 쓰는거에요?
@영어연구소-n2z Жыл бұрын
죄송한데 앞에 치킨피자는 언제드시나요?
@managementkia3470 Жыл бұрын
소품임
@co78 Жыл бұрын
촬영 후 스태프들이 맛있게 먹었습니다
@managementkia3470 Жыл бұрын
@@co78 안먹었답니다
@peaceful_world5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음식물 쓰레기가 지구 기후위기에 큰 영향을 끼치던데요. 가급적 남기지 마시고 혹 연출때문에 세팅 하신거라면 앞으로는 굳이 음식을 세팅 하지않는 쪽으로 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SEJUANY Жыл бұрын
@@peaceful_world5어우 불편한것도 많다
@hn4939 Жыл бұрын
정영진님이 정말 여기 진행자로서 적합한 것 같아요. 기본 상식도 많으시면서 교양도 있고 거기에 비과학자로서 일반인들이 생각할 법한 그런것들도 가미해서 대화를 이끌어 나가는게 정말 탁월하신것 같아요. 거기에 유머러스함까지...
@illuster5591 Жыл бұрын
인정!
@spin2902 Жыл бұрын
완벽에 가까운 진행방식이죠..
@히스-q2c Жыл бұрын
첨 뵙는분인데 인정. 진짜 일반인들이 생각할법한걸 질문하고 세련되게 잘이끌어감 탁월하심
@Yoon_Jin_tto Жыл бұрын
@@illuster5591 수준이 조금만 낮아도 유치하다고 욕 먹고 또 수준이 높으면 지루하기 마련이라 그 일반인의 평균 수준을 맞춘 질문을 하는게 되게 어려운데 그 부분을 진짜 잘 하시는듯
@hn4939 Жыл бұрын
@stillalive6742 얘 어디 좀 모자란듯.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poptop5927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순간순간마다 뭔가를 계산해낸다는 게 정말 멋있네요.
@삼시즌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의 인구감소부분에 대한 의견에 격한 공감을 합니다. 또한 예전에 댓글로 달았던 말하는 스피드부분을 잘받아주셔서 더감사하네요 ^^
@jasmin-fn8xu Жыл бұрын
서박사님 설명들을땐 진짜 신경 곤두세우고 들어야함 일반사람에겐 어디서 웃어야할지 모를 개그유머가 상정없이 들어와서 설명들이랑 구별해서 들어야함ㅋㅋㅋㅋ
@moneysmith6681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연세대 성균관대 두명이 매번 고정인데는 이유가 있는 듯😅 재미만 있으면 건대출신이나 과기대 출신도 환영
@니킹-e9c Жыл бұрын
네 분 조합 너무 좋아요 영상 길이가 길어도 지루하지 않게 다 보게 돼요 ㅠㅠ 다들 너무 재치있고 .. 또 보면서 유익하고 교양도 챙기고.. 오래오래 더 많이 해주세요 ....... 이미 다 봐서 볼 영상 없단말이에요 ....
@DIDATOBezchlibnyk19 күн бұрын
◀👦
@PaulAnka999 Жыл бұрын
서균렬 교수님 얼마전에 후쿠시마 원전 관련 뉴스 나오셨는데 여기서 또 보니 반갑네요! ”그렇게 되면 제 이름처럼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죠“웃겼습니다 ㅋㅋ
@하나둘셋-r4e Жыл бұрын
오래오래 이런 영상볼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ㅠㅠ 교수님들 모두 건강하십시오!
@Yea-e9b Жыл бұрын
교수님들 조합 보니까 딱 생각난게 영화 '테넷'의 배경에 대한 것과 그 세상이 실현될 수 있을지에 대한 토크가 너무 궁금합니다 !! 반물질 , 일어날 일은 어차피 일어난다 등등 이 주제로 세분이서 토크 하시는 걸 꼭 너무 보고 싶어요 !!!
@nochannel1657 Жыл бұрын
인구가 줄다보면 결국 취업이 쉬워지면서 다시 인구가 늘어남. 그냥 자연에 맞기면 됨
@jenaschon8769 Жыл бұрын
@@nochannel1657 맡
@jhcduck01 Жыл бұрын
나오시는 과학자 세 분이 다들 캐릭터가 있으신 것도 재미를 주는 요인인 것 같습니다. 특히 김범준 교수님 얘기 듣다가 어느새 계산해 보시는 거 ㅎㅎㅎㅎ
@Happpy.happpy21 күн бұрын
너무 재밌다 오늘도 재밌는 영상 덕분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봤네요 + 우주먼지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인구 수가 줄면 주는대로 이 현상을 어떻게 잘 받아들일 것인지를 고민하는 것이 현재로선 최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어떤 상태의 사회가 좋다면 그 사회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 보수 하면서 굳이 인구수를 더 늘리려 노력하기보단 지금 또는 그 시점의 사회 시스템을 조금씩 그 당시의 인구수에 맞게 수정해나가는 방안도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해요.
@제이티-u9q Жыл бұрын
김범준교수님 리액션이 너무 좋다 ㅋㅋㅋ 처음에 우주먼지님이 달 착시 이야기하실때 너무 반응이 좋으심
@김동규-r7d Жыл бұрын
한의사검사
@Re_tire0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본인 분야가 아닌것에 대해서 호기심이 많으셔서 그런듯 넘 기여우심ㅋㅋㅋㅋ
@제이티-u9q Жыл бұрын
@@Re_tire02 그리고 자꾸 몰래 계산하시는거도 웃기심ㅋㅋㅋ
@daegu74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교수님이 새로운 걸 들어볼 기회가 얼마나 있으시겠엌ㅋㅋㅋㅋㅋㅋㅋㅋ
@히스-q2c Жыл бұрын
이과오브 이과신거 같음 ㅋㅋ
@룰루12lullu Жыл бұрын
Mc분 진짜 스무스하게 진행 잘하신다, 각 패널분들도 어렵지않게 쉽게 설명해주셔서 시간가는지 모르고 본..
@마룡-s6y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자는 우주먼지님의 견해에 백번 동감합니다 서균렬교수님의 주요 배출국으로서의 한국의 책임이 막중하단 말씀도 지당하십니다
@Acoustic_Guitar. Жыл бұрын
결론을 따지자면 우리가 나쁜놈으로 보는 타노스나 에렌이 결국 우리보다 더 착한 애들이였고 더 옳은일을 했을뿐 결국은 인간들이 자기중심적 사고만 가지고 있는거네요. 본인이 원하는것만 생각하게 되니깐 결국 본인을 죽이는 부메랑으로 되돌아올수밖에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 😅😅
@지구-o6j Жыл бұрын
문제는 지구전체인구가 골고루 감소 하면 좋은데 급격히 줄어드는 나라와 오히려느는 나라의 차이가 있다는거죠 지금은 뭐 환경이 중요하니 머니 해도 우크라이나 사태만봐도 국가힘이 약해지면 자기말고는 누구도 안도와준다는거죠 아직까지야 우리나라가 잘사니 문제 없지만 경제가 발살나고 국력이 떨어지면 환경이 문제가 아니라 생존의 위험이 피부로 더 올껍니다
@100613s Жыл бұрын
인도 인구 노답
@벨바그누 Жыл бұрын
표류하는 배 위에 선원들이 서로를 잡아먹고 죽이는 것은 너무나 당연스러운 현상이다. 인간이기에 그 이상의 대안은 생각해 낼 수가 없는 것. 인구 감축을 위해 덜 고통스럽고 평화로운 방법을 찾아낼 수 있길
@buttle-il2ee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이 인간문제로 보면 긍정적으로 그럴 수 있지만 나라입장으로 봤을 때 강대국 사이에 있는 우리나라가 다시 예전처럼 세력이 약해지고 심지어 가만히 북한이나 중국이 따로 세력을 가하지 않아도 스스로 멸망해버릴 확률이 있기 때문에 그런듯
@yohannako2121 Жыл бұрын
다들 지성이 느껴지는 대화입니다. 특히 물리학교수님 정말 예리하시네요..ㄷㄷ.. 물리학뿐만 아니라 두루두루 학식도 풍부하십니다
@김호빈-m6d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설명하시는걸 보면 좋은대학에 좋은교수가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 부럽네요…
@frejiop Жыл бұрын
완전 재밌어요! 과학에 대한 일반인 몰입 교육 받는 거 같아요. 과학적 사고가 어떤건지도 체득하게 되는 것 같아 넘넘 유익해요. 네 분 모두 딕션 깔끔하고 듣기 편하고 이해도 잘 됩니다. 시간 순삭입니다👍👍⭐️⭐️
@therebe9063 Жыл бұрын
나도 우주먼지님이랑 똑같은 생각인게, 인구가 감소하는건 사실 해결해야 할 문제이기 보단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는 게 정확한 판단이고 또 더 나은 시각임 한 국가나 사회 단위로 본다면 인구가 줄어든다는 건 당장 여러가지 문제들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해결해야 한다고 벌벌 떠는 사회문제지만 이미 교육수준이 올라가고 해결되지 않는 다른 수많은 사회문제를 겪어온 사람들에게 더 이상 번식을 하지 않겠다는 결정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임 그건 정책 몇 가지 갖고는 어떻게 풀어낼 수가 없음 너무 많은 문제들이 얽혀있기 때문에.. 그래서 국가도 결국 어떻게 하면 출산율을 늘릴 수 있나 고민할 게 아니라 줄어드는 인구수를 인정하고 이 상황을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에 주목해야됨 우리나라도 결국은 외국인들 이민정책을 적극적으로 장려해서 받아들이는 게 현재로선 가장 가능성있는 방법일듯
@호소소한일상8 ай бұрын
@qbz8293 잘사는 사람들도 애 안 낳음.. 그럼 반대로 1970년대 우리나라 그렇게 못살고.. 단칸방에서 사는 사람들은 왜 아이를 그렇게 많이 낳았으며.. 왜 인도같은 나라는 환경이 좋지 않은데도 불가하고 그렇게 인구가 폭팔함..?? 말이 안됨 유럽, 일본 보통 잘 사는 나라들이 출산율이 줄어듦.. 이건 팩트임... 실제 싱가폴은 아이 낳으면 국가에서 집을 99년간 임대 해줌... 그래도 1이하로 떨어짐.. 대만... 애완견수가 아기숫자보다 늘어남... 잘 사는 부유층... 좋은 직장 맞벌이들도.. 아이 안낳음.. 조만간 우리나라의 최저출산율을 앞지를 것이라고 예상되는 나라임.. 환경하곤 큰 관계없음... 그 세대는 맨날 환경 탓... ㅉㅉ 그냥 사회 환경만 문제.. 나는 희생양이라고 생각함..
@kwonjames66518 ай бұрын
인구 제발 줄어
@yeongl8215 Жыл бұрын
진짜 이 코너는 조합이 너무 좋아요 각자의 얘기에 다 몰입이 됨
@user-gg7pk3hs6s Жыл бұрын
각 분야에 전문가님들이 출연하셔서 일상생활에서 궁금할 만한 내용들을 잘 알려주셔서 감사한 프로그램네요
@JH-xc3bh Жыл бұрын
어릴 때 (1) 쓰레기를 화산에 버리는 것과 (2) 사막에 바닷물 부어주는 것 생각했었는데 (1)에 대한 답을 오늘 얻었네요. 넘 재미있고, 유익해요. 바로 구독합니다🥹
@choialex3503 Жыл бұрын
진짜 유익한 채널이다....좀더 심도 있게 들어가도 될거 같아요 우주상수 미세 조정 하나만으로도 한달 이야기 할 수 있을거 같은데
@OneLit Жыл бұрын
환경오염 주제를 이렇게 매체에서 다룰 때마다 마냥 고마운 마음이 듦
@2214-h8s Жыл бұрын
걱정 되는게 우주먼지님 발언이 어찌 보면 가장 이성적이고 맞는 발언인 거 같은데 출산률 문제로 고민하는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좀 불편할만한 발언이라... 걱정되네요
@ksijssiw6 ай бұрын
@@2214-h8s이거 보는 시청자층은 각자의 이유로 애 안낳는 젊은이들이라 ㄱㅊ
@Pizzerias Жыл бұрын
요즘 과학을 보다 보는 재미에 살고있습니다 조합도 너무 훌륭하고 컨텐츠도 너무 재밌게 잘 보고있습니다!!
@skh1043 Жыл бұрын
대화 도중 자세를 바르게 바꾸는것은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고 경청하겠다는 의사표시이기도 합니다.
@ygl117720 күн бұрын
유익한데 재미있어요 진행과 내용도 좋지만 편집이 참 좋은 듯 항상 지루하지 않는 박자감이 느껴집니다
@서정-t9g4 ай бұрын
영상 너무 잘 봤어요 알차고 흥미로운데 어렵지 않아서 좋았어요
@투명드래곤-g2m Жыл бұрын
사물궁이에서도 나왔었는데 생활용품 중에서 화산에 안녹는 물건도 있기도 하고 유해물질이 공기중에 그대로 전파되고 또 쓰레기를 화산으로 운반하는 비용 자체도 문제라서 안하는 것보다 못하죠.
엠씨분의 질문들은 저희의 눈높이에 잘 맞는 흥미진진한 것들인데..또 대화하는것을 들어보면 정말 똑똑하신것 같아요..교수님들과는 또 다른 똑똑함~~
@leenk0513 Жыл бұрын
다양한 시각으로 여러가지 문제를 생각하니 흥미롭고 많이 배워갑니다. 너무 재밌어요
@whitekey77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의 궤변과 선동을 듣고보다가 과학자분들의 현상을 바라보는시각에 많은 깨달음을 얻습니다. 이렇게 시각을 넓여주는 프로그램이 있다는게 정말 좋은것같습니다~
@김성민-k5u Жыл бұрын
나이가 들면서 공부의 중요성을 알고, 공부를 잘하시는 분들을 보면 정말 존경스럽다. 나도 교수님처럼 나이들고 싶다. 배우다가 이세상을 가고 싶다. 대학은 입학문과 등록금을 대폭 낮추고, 졸업을 어렵게 만들어 다오.
@hanguk. Жыл бұрын
천재분들이 모여 흥미로운 주제를 쉽게 풀어 얘기 나누는 이 시리즈 너무 좋아용 ㅎㅎ 웬만하면 크게 챙겨보는 스타일이 아닌데 이건 챙겨보게 되네요 부디 사랑받고 쭉 오래했으면 좋겠슴니다 ㅎㅎ
@happycat29 Жыл бұрын
ㄹㅈㄷ다
@appi779 Жыл бұрын
연세대, 서울대 명예교수, 성균관대.. 엘리트들이 모여서 서로 개그 주고받으시는것도 재밌네요
@user-qudtlstoRldiwpqkfekrcu Жыл бұрын
유익하고 쉽게 설명해주시니 귀에 쏙쏙 박히네요. 인구 문제 무작정 사회문제로만 보지 않고 자연현상의 하나로 볼 것 다양한 지식을 이렇게 알아갈 수 있어 기쁩니다.
@user-zf2ft1pu9k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개호감이다..ㅋㅋ 볼때마다 이상하게 행복해지네
@jeici4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한 방송!! 아니 채널!! 계속 쭈욱 유지해주시고~ 다양한 과학/우주/세상 이야기 해주세요오오
@airmin3093 Жыл бұрын
M16때부터 느끼는거지만 정영진 진행깔끔하고 개드립도 잘침ㅋㅋ
@정수리-x5d Жыл бұрын
명불허전 정프로ㅋㅋ
@kodavid536 Жыл бұрын
마스크도 괜찮고, 딕션도 좋고, 드립도 잘침.
@hyun8851 Жыл бұрын
m16때 쪼끼쪼끼 드립은 잊을수 없습니다 ㅋㅋ
@posterlim2252 Жыл бұрын
크 m16 남자들 마음에 불을지른 프로였는데 그립습니다..
@잠온다난 Жыл бұрын
영진이형... 잘 하는건 공감하는데 자기가 와서 막 칭찬글 쓰면 쫌 그래...응...
@youtubemonitoring337 Жыл бұрын
22:18 저도 인구가 줄어야 맞다고 생각합니다. 모든 환경 오염은 사람으로부터 나옵니다. 적당한? 인구가 살면 쓰레기도 덜 나오고 식량 확보도 가능할텐데......... 인구가 늘어날수록 경쟁으로 인해 수요가 높아지는게 문제죠. 서로 경쟁이 치열해서 취업도 힘들며, 집값과 물가 폭등에...... 쓰레기도 더 많이 생기죠. 인구가 줄어든다고 0에 수렴하지는 않을테니깐요. 23:38 정부는 세금을 낼 노예가 필요하니깐 인구가 줄면 나라가 없어질수도 있다고 얘기합니다. 정말 없어질지 적정수준의 인구에 도달하면 더 이상 줄지 않고 유지될지는 미래에 알겠죠. 대국민 사기인 국민연금이 문제입니다. 처음에 가입시기에만 이득이고 시간이 갈수록 점점 이득이 없는 시스템인데 이것을 강제하고 부양을 빌미로 인구가 줄어들면 큰일이 나는것처럼 얘기하고 있죠. 인구가 줄어서 쓰레기를 덜 쓰면 지구한데는 좋은거 아닌가요?? 모두가 한번 살다 죽는것인데..... 왜 인구가 늘어야 하는걸까요?? 안태어나면 안태어나는데로......살면 되지 않을까요? 모든 생명체(인간)가 다 태어날수는 없는거잖아요?? 24:17 정부는 노예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것말고는 답이 없어요. 더 많은 소비(=환경오염)를 일으켜서 더 많은 세금을 걷으려는것이죠. 자원은 한정되어 있는데 인구가 무한대로 늘어날수는 없는거 기본 상식 아닌가요??
@bantablack-f7u Жыл бұрын
세분의 조합 너무좋다..자주뵙고.,듣고싶다!!
@Jeong_Yong_Chul Жыл бұрын
과학을 보다 시리즈 진짜 시간가는줄 모르고 보게 됩니다.
@에드박-f6m Жыл бұрын
요즘 보는 컨텐츠중 젤 재밌어요❤
@user-mo3cm6vo1y Жыл бұрын
쓰레기문제와 기후변화는 연결된 문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우리나라경우 인구는 줄어들거라는데 쓰레기양은 늘어나고 있다는게 참 아이러니네요. 생산량전부가 모두 소비로 이어지는건 아닌데다 소비자체로 이어지는 기후변화와 쓰레기문제는 욕심에서 비롯된다 봅니다. 먹지않고 버려지는 음식물쓰레기도 과도한생산(그 과정에서의 환경파괴도 뒤따르고 사막화도 우려되고)에서 찾아볼 수 있을 듯 하고요. 소비행태의 문제는 각자가 되짚어보아야 하지만 생산도 어느정도의 가이드라인을 잘 마련해야 하지않을까 싶네요. 당장엔 분리배출및재활용시설처리부터라도 잘 시행되었으면 좋겠네요. 잘 보고 갑니다.
@David-vb6kn Жыл бұрын
인구수 자연감소는 바람직한 현상인 것에 공감합니다. 다만 인류의 노화, 고령화로 인한 문제 혹은 부담을 어느 세대는 감당해야만 하고 그게 당장 내 일이 돼버렸으니..
@느긋한나그네 Жыл бұрын
지식인들은 확실히 다르네요 말 잘하고, 의미 전달도 잘되고, 분위기도 차분하고 잘 보고 갑니다
@91Rabun Жыл бұрын
7:51 교수님이 이러시니까 의외성땜에 더 웃기네요ㅋㅋㅋ
@onzia5602 Жыл бұрын
와 너무 유익합니다 토론에 퀄리티가 너무 좋아요 !!!
@박상진-r9i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MC분 질문도 너무 좋은 것 같아요 저였으면 그냥 우왕… 하고 있었을 것 같은데ㅋㅋ
@아영이네행복주택 Жыл бұрын
우왕! 재밌고 유익하고 굳굳굳!!!
@kkjjkk-dj8uv Жыл бұрын
사실 유튜브 영상으로 30분가량은 길다고 느끼는편인데 유일하게 이 채널만큼은 시간이 금방 가는것처럼 너무 재밌는거 있죠! ㅎㅎ 네분은 꼭 보다에서 오래오래 봤으면 합니다. 너무 잘 어울리는 조합이에요😊😊
@강혜진-e8o10 ай бұрын
김범준교수님 무슨이야기를하는 매영상마다 아시는게 많으시다 학식이 대단하신듯😮
@NibusMik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주제로 핵폐기물을 화산에, 심해에, 우주에 처분하면 안 되나 가지고 토의 했었던 기억이 나네요.
@LEGO-kj5xz Жыл бұрын
오늘 주제들 유독 좋았습니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네요.
@SsS-n5t Жыл бұрын
과학을 보다 참 재밌네요 ㅎㅎ 오래 오래 볼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张4114 Жыл бұрын
오~~ 무슨 이야기인지 이해가ㅜ안가는 부분이 분명히 있는데도 이해가 되는것 같은 이 느낌적인 느낌은 무엇일까요?! 너무 즐겁게 내용 봤습니다~~~ 또 보여주세용~~~~
@bongkku6474 Жыл бұрын
지구 환경문제를 주제로 토론 하신것에 지구의 한 시민으로서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마땅한 해결책이 없는 것이 안타깝네요. 현 시점에서 이미 익숙해 져 있는 생활습관과 맞 물려 있는 산업의 형태들을 모두 바꾸는 것은 확실히 불가능 합니다. 그러므로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전세계 정부들이 배출되는 오염원들을 수거하고 재처리하는것을 고심하고, 처리비용과 적용기술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켜서 쓰레기 처리문제를 지구전체에 새로운 산업트랜드로 만드는 것입니다. 초기에는 기술이 부족한 상태이기 때문에 처리하는 비용들을 현재보다 10~30배 정도로 늘리고 나면, 차츰 관련 기술들이 생겨나서 차 후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향 후 발생 될 기후변화로 막대한 재산적 경제적 손실과 위험에 비한 다면, 이 문제에 미리 전세계 정부들이 함계 막대한 재정을 투입하는 것이 좋겠지요. 현재 만들어진 국제기구들은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겨우 그 이름만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으로 보입니다.
@Katarinabluee Жыл бұрын
섣불리 불가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건 인식면에서 안좋다고 생각합니다ㅠㅠ
@Laaaiif6 ай бұрын
우주먼지님 의견 제가 늘 생각하던 말씀입니다!! 속이 시원하네요~~ 소신발언 진짜 감사합니다.
@칼리사.Calissa Жыл бұрын
제가 어디 가서 저렇게 교수님들을 만나 뵙고 ,저 교수님들의 얘기를 들을 수있었을까... 너무 재밌네요^^* 최고의 멤버들 같습니다. 더 많은 방송 해주세요~~ 인구감소 문제...문제라고만 생각 했는데 새로운관점으로 보니 그런 생각이...^^
@개배추 Жыл бұрын
좋은지식들 감사합니다 토론주제와 내용이 너무 즐겁고 유익합니다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샤샤-x5x Жыл бұрын
저도 많은 문제들이 인구가 감소하면 해소 될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한정된 자원에 현제 지구엔 인구가 너무 많죠 😅
@user-dongeulkim Жыл бұрын
솔선수범해서 떠나시는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user-dongeulkim Жыл бұрын
@@ppp-q4k 저는 저공해차 타고 분리수거도 잘하는데 봐주시죠~
@다잘될거야-x6w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제일 앞장서서 저출산에 앞장서고 있죠. 우리나라가 지구를 위해 많은 일을 하는듯. 전세계 출산률 꼴찌이므로 인류에 기여하고 있음.
@LYEH-gf7tj Жыл бұрын
대한민국은 남.북 합쳐 3천만이 적당하다.😅
@user-dongeulkim Жыл бұрын
@@lorenzocrisetig2399 근데 개개인의 선택으러 이루어지는 인구감소=자살 아님????
@박살공주 Жыл бұрын
잠 안 와서 보다가 졸려고 봤는데 너무 재미있어서 1편 다 보고 2편도 봅니다..최고
@노심초사 Жыл бұрын
질리지 않습니다.. 매번 새롭고 상식을 배우는것 같이 너무 나도 이로운 영상들 같습니다 여유가 되는 한 4분의 컨텐츠로 많은 영상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겹살삼-k8f Жыл бұрын
이번회차 공감되는 부분도 많고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fafago7842 Жыл бұрын
나도 저분들 처럼 똑똑하고 싶다,,,막 내가 알고 있는 걸 무한으로 저렇게 말할수 있다는 게 진짜 부럽다,,ㅎ,,,
@fafago7842 Жыл бұрын
무한은 아니지만
@유니콘스-h5f Жыл бұрын
지식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내니 정말 재미있네요
@younghunkim7774 Жыл бұрын
서균렬 교수님 MIT 박사출신인데 진짜 설명하시는거는 거의 초등생들한테 알려주는것처럼 하시네..
@you-love-me.10 Жыл бұрын
진짜 천재
@김상훈-c4h Жыл бұрын
똑똑하신분들에겐 학부생들도 초등학생들이랑 동급처럼 보여서 그럴지도 ㅋㅋ
@2214-h8s Жыл бұрын
@@you-love-me.10 진짜 천재는... 저렇게 상세하게 설명 못합니다.. 서울대 다닐 때 통계학과 정모 교수님 수업 들은적이 있는데 이분이 설명 진짜 너무 못하고 가르치는 걸 너무 못하셨는데 그 교수님이 진짜 천재라고 느꼈던게 그 이유가 자기 자신은 당연히 알고 있고 이걸 왜 학생들이 이해 못하는지 이해를 못하셨기 때문입니다.. 서균렬 박사님은 진짜 피나는 노력을 하신 분입니다.. 그런 노력을 천재라는 단어로 퉁치려는 건 조금 아쉽네요
@you-love-me.10 Жыл бұрын
@@2214-h8s 저분의 이력을 어느 정도 알기에 말하는 겁니다. 진짜ㅡ천재는 설명 쉽게 한다는 뜻이기도 하지요.
@happyfreak202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원자핵공학 전공한 사람 보기도 힘들지만 영어는 물론이고 프랑스어 독일어까지 하신다고 들었어요 머리가 엄청 좋으신듯 근데 또 외모는 넘 친근하고 귀여우심 ㅎㅎ
@이지성-t6c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밌게 보고있습니다
@박세환-f3t Жыл бұрын
우주는 산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큰 사람 옆에 있는 사람보다 작은사람 옆에 있는 사람이 더 커보이는것 아닐까요? 따라서 달도 상대적으로 작은 산 옆에 있을때 더 커보이는것 아닐까 추측 해봅니다.
@hn4939 Жыл бұрын
보다님 저런 과학자분들을 모셔놓고 과학관련된 영화에 대해서 논평해보는 시간을 가지는건 어떨까요?? 예를 들면 인터스텔라를 과학자로서 봤을때 어떤 부분은 이렇고 어떤부분은 저렇다. 잘만들었다 말도 안된다 등등 과학자의 관점에서 봤을때 일반인들이랑은 다른 의견들이 많이 나올것 같은데요 그런 부분도 많이 궁금합니다. 인터스텔라, 백투더퓨쳐나 매트릭스, 테넷, 인셉션 등등 그런 과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영화들에 대해 과학자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싶어요. 그리고 시간 좀 늘려주세요. 최소 1시간은 될정도로요. 30분은 너무 짧아요. 조금보다보면 끝난다말이에요
@iieheuskeiiil2120 Жыл бұрын
노잼일듯;;
@희림-m7x Жыл бұрын
재밌겠네요
@cheolminkim700 Жыл бұрын
정영진씨가 매불쇼때와 다르게 에너지가 넘치네요 ㅎㅎㅎ
@hn4939 Жыл бұрын
저도 저 미세조정의 우주?? 같은거 보면 정말 신기합니다. 어떻게 이렇게 우주의 모든 것들이 각자의 일정한 룰? 정해진 원리?? 등으로 이렇게 만들어지고 유지가 되고 ... 그래서 저는 우주란 걸 볼때마다 어떤 아주 뛰어난 절대자가 마치 인간들이 컴퓨터 프로그래밍 하듯이 우주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듭니다.
@고해로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렇게 유익하고 재밌는 유투브가 있어서 다행입니다.
@kol0303 Жыл бұрын
사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우주에서 물리학의 상수가 변하지 못한이유는 모든 물질은 다 서로가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하나가 조금이라도 바뀌면 그 다음 어떤물질은 결국에 존재할수 없게되기 때문에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sarahsong4409 Жыл бұрын
22:18 제생각과 전적으로똑같으신데 어쩜 말을 저리 조리있게 하시는지 ㅋㅋ 내가하면 극단적인 생각이라고 맨날 쳐맞는데 말 정말 잘하시네 하루에 빨대 한개 줄이고 휴지 한칸 줄인다고 뭐 대단하겠나 그냥 덜 태어나는게 제일 효율적임 인간아기들 태어날때부터 일회용 기저귀차는거부터가 환경오염인데 그리고 사실 영상엔 안나오는데 난 그 많은 인구가 죽는거도 환경오염이라고 생각함 그걸 해결하기위해 수장하지 않고 뼛가루로 보관하는 방식으로 바뀌긴했지만 이거도 곧 한계라고 들음(거기에 요즘은 애완견들도 항아리로 안치하니 더함) 나무를 심어서 기리자는 의견도 있던데 이것도 당장은 괜찮을 수 있으나 100년 200년 나무를 심기만하면 그거도 문제임 그냥 죽은 분들은 마음으로만 기리게 방식을 바뀌어야한다고 봄
@-u-0 Жыл бұрын
20:42 면역 개통 아니고 면역 계통이요 ...... 다른 유튜브 채널이면 그냥 넘어갔을텐데, 지적 대화를 표방하는 컨텐츠에서 갑자기 자막에서 어이없는 오타가 나니 조금 당황스럽네요 .....
@정기만-o2r Жыл бұрын
진짜 궁금한게 있어요. 영상마다 소개를 친절하게 해주시는데.. ㅋㅋㅋ 찰영은 하루에 한회분만 찰영하는지 궁금해요. 옷차립이 같아서.. ㅋㅋㅋㅋ 🎉🎉
@경교새 Жыл бұрын
ㅋㅋㅋ세 교수님 모두 훌륭하십니다 개그 센스도 있으시고요!
@빽가이버-m2j Жыл бұрын
과학자들 모셔놓고 수다떠는 것 같지만 진짜 궁금할것들을 놓고 지적 바탕에서 수다를 떠는거라 진짜 유익한 컨텐츠라고 생각해요. 정영진님 참 감사합니다^^
@polaris1004 Жыл бұрын
이 시리즈 완전 재밌네요 ㅋㅋㅋㅋ
@chichi91722 Жыл бұрын
이 세 분이랑 생물학 교수님 도란도란 나누시는 과학 이야기 너무 재밌게 시청하고 있어요 뭔 말인지 모를 때도 많은데ㅋㅋㅋㅋㅋㅋ그래도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김투잰 Жыл бұрын
이 코너 진짜 너무재밌다
@Zepetoq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에 대한 우주먼지님의 견해에 격하게 공감합니다. 기술의 발전이 생산성의 증가를 불러올 것이므로 우리가 할일은 적인 인구로 어떻게 잘 사느냐를 고민하는 것이지 외국인 이민을 받는 둥 하는 머릿수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milkjjinbbang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재밌고 유익해요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능아보면점찍음 Жыл бұрын
김범준 교수님 과학얘기할때 어린아이처럼 신나하시는 모습이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duddjehrgo Жыл бұрын
[나를 위한 메모] 3:15 단순히 착시, 즉 '시각적 오류'의 영역에서만 해석하려고 하면 안될 거 같다. 우리의 '시각'은 사실 '본다'라는 단순한 표현으로만 정의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정보를 종합 처리하니까... 눈의 구조만 봐도, 시야의 중심은 '모양과 색의 구별'에 집중해서 발달했지만, 주변부로 가면 '움직임'을 더욱 강하게 인식하도록 분화되어 있다. 그래서 시야 밖의 조그만 움직임에도 우리는 고개를 돌리거나 두리번거리며 그 원인을 찾는데 익숙하다. 이런 면에서 본다면, '땅, 지구, 표면'이라는 '아득한 과거부터 이어져 온 절대적 존재'를 우리의 '시각'이 '공감각적 인식의 기준'으로 삼는 것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그러니까, 그러한 땅에 가깝거나 관련이 지어지면, '공중에 떠'서 개별적으로 보일 때와 다르게 '더 크고, 또는 더 무거운... 어떤... 가까운 땅의 것'이라고 '진화적 시스템'이 돌아가는 것이 아닌가 싶다. 문득 떠오른 유사 정보지만, 나는 PC로 웹툰을 볼 때는 화면을 90도 돌려서 길게 세운 채로 본다. 그런데, 그렇게 모니터 방향을 돌리는 과정에서 화면 내부만을 먼저 90도 돌려서 마우스 조작을 하게 되면... 내 뇌가 모니터의 좌우를 '화면의 위아래'라고 인식을 못해서 결국 내가 목을 옆으로 꺾어야 된다. 그만큼, '위 아래'라는 '환경 인식'은 '시각 외에 엄청난 시스템의 보조를 받는 프로세스'인 것이다. 그러니... 우리가 '땅의 것', '지구와 가까운 것'을 '더 크게' 인식하는 것을 단순한 착시라고 가볍게 평가하거나 분석하려는 시도는 애초에 '격에 맞지 않는 대응'같다. 나는 과학자가 아니고 연구가도 아니니 당장 이걸 깊게 파 볼 마음은 없지만, 이렇게 순간 지나가는 영감이 주는 '사실에 가까운 확신'을 메모해 두고, 나중에라도 되새김질 해보고 싶다. 다시 영상 시청 ㄱㄱ
@_disnxjx9959 Жыл бұрын
각분야 천재들이 모여서 서로 말하는게 신기하네
@to_the_blue-sky Жыл бұрын
뜨고 질 때의 해나 달이 더 커보이는 이유는, 주변에 비교대상이 있냐 없냐의 차이 때문이 아닐까요? 허공에 홀로 덩그러니 떠 있을 때는 너무 막연하니까 크기가 가늠이 안 되지만, 뜨고 질 때는 산이나 바다에 걸쳐 있거나 주변에 가까이 있을 거고, 태양에 걸릴 정도의 바다나 산이라면 수평선이나 먼 산등선 같이 보는 사람으로부터 아주 먼 거리에 존재할 거기에.. 막연했던 공간에서 생활공간으로 들어오면서 그 크기를 실감하고 가늠할 수 있게 돼서 더 커보이는 일종의 착시가 아닐지.. 손바닥으로 달을 반쯤 가리거나 건물 뒤에 걸쳐 있을 때랑은 또 다른 느낌이 드는 것도, 보는 사람이 인지하고 있는 건물까지의 거리와 건물 크기가 수평선이나 산등선까지의 거리나 크기와 상대적으로 차이가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 같고..
@어른보호구역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은 진짜다💯
@lokirari Жыл бұрын
인구감소는 자연현상이 아니라 사회현상 이라고 봅니다. 게다가 그냥 인구감소도 아니고 급격한 인구감소는 절대 자연적이지도 않고 순순히 받아들여서도 안되는 문제입니다. 환경적으로만 바라볼 문제가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게다가 평화랑도 거리가 멉니다. 중국과 일본과 북한의 위협에서 살아남으려면 급격한 인구감소만은 절대로 피해야되는 문제입니다. 지금도 현역으로 입대할 사람이 부족해서 안보에 구멍이 나고 있는데 어디가 평화적이고 자연스러운 일인지 모르겠습니다. 정말 화가나네요. 게다가 지금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구감소가 거론되는 이유는 앞서 말했듯이 이것이 절대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라는데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점진적으로 줄어드는게 아니라 절벽에서 떨어지듯 수직낙하급으로 떨어져서 사회에 커다란 충격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제가 문장력이 부족해서 두서없이 말하고 있지만 이 인구감소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 사회문제인지 피부로 느끼고 있는데 단순 환경문제로 치부하며 자연현상이고 받아들어야 한다는 말은 진짜 아무리 주관적으로 개인적인 생각이라 할지라도 납득하기도 어렵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계신 분들을 위해서라도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dh3181 Жыл бұрын
제가 군대문제는 잘 몰라서 질문드리는데 고위직들이 부족해서 문제가 생기는게 아닌 진짜 말 그대로 숫자가 부족해서 문제가 생기고있는거에요?
@최진규-j6o Жыл бұрын
정영진씨는 교수님 전문가 분들하고 방송 잘 하는거 같음
@bcdabc43282 ай бұрын
좋은 얘기 있네요. 평화적 방법으로 인구가 줄어드는걸 꼭 문제로 봐야할지? 역시 배우신분은 다릅니다.
@saladinspeed198 Жыл бұрын
입자물리연구소 cern에서의 실험들에대해서도 토론해주시면 좋을거 같아요. 미니블랙홀이 만들어질수도있다, 하지만 안전하다 이런 얘기들이 있는데 과연 100% 확정적으로 안전한건지 안전할 가능성이 높은건지에 대해 다뤄주세요
@Warkytocky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지구쓰레기에 이게 답이아님? 제어가능한 미니블랙홀에 쓰레기를 넣으면 어떻게 될까?
@ppppp9657 Жыл бұрын
저도 이 얘기 궁금한데 여기서 다뤄줬으면 좋겠네요
@Castlesteeler Жыл бұрын
순간증발됨
@gongdori_b7194 Жыл бұрын
호킹에 의해서 증명됨. 호킹 복사 이론에 의해서 아주 작은 블랙홀이 만들어지는데, 질량이 매우 작기 때문에 그 즉시 소멸한다.
@Sup_0179 Жыл бұрын
항상 말하지만 진짜 MC 섭외 잘함. 저 MC 없는 이 콘텐츠 진짜 상상도 안감 이제
@ongs5526 Жыл бұрын
10:08 사회자분 진짜 통찰력이 대단하네요. 측정에 대한 철학적 관점 중 하나입니다. 저는 값을 “부여” 한다는 것이 오히려 받아들이기 어려웠던걸로 기억하는데 통찰력이 좋으시넹ㅅ
@GOLD-jb5pw Жыл бұрын
우주먼지님의 의견으로 출산율이라던지 복지라던지 하는 어떤 개인적인 인식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평화적인 방식이 가장 좋은데 사실 평화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출산율이 낮아지는 것은 현재가 어렵기 때문이라 평화적으로 봐야할지 애매하긴하네요. 남보다 나를 위해 도태되지 않도록 각자도생하는데 힘써야겠습니다.
@playTboka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살면서 제일 궁금햇던 궁금증이었는데 같은생각하는사람이 있엇다는거에 한번 놀래고 그 대답을 들을수있다는거에 두번놀랜다
@ysjang20042 ай бұрын
나도 같은 생각을 하고 있는데 어차피 지구 대륙이 접혀 지하로 들어가고 있는 일본 수심 1만미터 난까이 해구 아래 핵폐기물과 기타 지구에서 처리 어려운 쓰레기를 해구 깊숙히 버리면 언젠가 지하 1만미터 아래 지구 깊숙이 들어가게 되므로 지구를 깨끗이 할 수있지 않을까? 지구 내부는 어차피 각종 원소를 포함한 곳 이므로 지구 물질 어떤 것이든 존재해도 문제 없는 구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