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eigners react to Korean legend song | Seotaiji and boys' "Come Back Home" (EN, TH, PH, IDN sub)

  Рет қаралды 161,460

KOREAN BROS

KOREAN BROS

Күн бұрын

#서태지와아이들 #reaction #comebackhome
Hello! We're KOREANBROS
All-time legend is a program looking at all the legends in Korea!
It's time to talk about music, culture, and various topics
Today, We listened to Seotaiji and boys' "Come Back Home" and reviewed it!
Please look forward to it!
00:19 INTRO
01:58 PLAY SONG
03:18 REVIEW
04:54 PLAY LIVE
07:14 CLOSING
Please turn on notifications, like, and subscribe.

Пікірлер: 377
@KOREANBROS
@KOREANBROS 4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코리안브로스입니다. 우선 우리나라에 정말 많은 레전드분들이 분야별로, 시기별로 계시는데 저희가 전달하는 방식에 있어서 조금 더 세심하게 우리 레전드 분들과 그 역사들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정보를 전달하지 못하며 배려하지 못했던 부분, 또 단순화하고 생략하는 방식으로 전달했던 구성에 송구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립니다. 그간 올타임레전드의 댓글들을 보며 저희가 몰랐던 정보들에 대해서 말씀해주시는 댓글 하나 하나에 진심으로 감사했고, 기뻤고, 저희가 부족했던 부분에 대해서는 또 많이 아쉽고 죄송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특히 이번 편에서 알려주신 내용들에서 많은 부분을 배웠고, 앞으로 준비하는 올타임레전드에서는 더 제대로, 의미있는 콘텐츠들을 구성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그럼에도 부족한 부분이 또 있다면 언제나 말씀해주시면 계속 보완하고 반영하며 성장하겠습니다. 처음에는 다소 주관적인 주제들일 수도 있다보니, 우려와 함께 시작했지만 외국 친구들에게 의미있는 우리나라의 레전드들을 소개함에 많이 공감해주시고, 의견들을 주시는 등의 진심어린 격려와 응원해주시는 마음에 정말 감사함을 느끼며 계속 제작해보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격려와 질타 부탁드립니다.(많이 알려주세요 레전드 구독자님들) 저희도 더 나은 코리안브로스가 되겠습니다. 다음 촬영은 커뮤니티의 투표를 통해, 레전드 분들을 정하고 만나뵐까 합니다. 여러분과 앞으로도 함께하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즐거운 한가위 연휴, 건강하고 평안하게 마무리하세요. 코리안브로스 올림
@Songsponge7
@Songsponge7 3 ай бұрын
예 감사합니다 다음부터는 정보를 더 찾아보시고 영상을 찍으면 더 유익한 영상이 될 수 있을 것 같네요^^!
@쉐이디
@쉐이디 11 күн бұрын
저분들중에 힙잘알이 없어서 다행이지.. 나도 서태지 팬이긴한대 대장 옛날노래들은 표절이 워낙 많아서... 특히 컴백홈은.. 댄스 랩스타일 음악 표절 안한게 없음 (서태지 전투 etp 다 다녔던 사람이고 솔로 전집 다있는 팬임)
@Bangdari
@Bangdari 4 ай бұрын
한국음악산업의 질과 규모가 이토록 좋아지고 커질수있었던 이유는 서태지의 등장이라 봄.
@User-Rurik
@User-Rurik 3 ай бұрын
지금 어린애들이 잘 모르겠지만 너네들이 덕심에 팬질하는 아이돌들이 대우받으면서 활동할수있는 시대를 서태지형님이 열어줌 특히 저작권료 문제 아티스트의 수익 배분문제등 민감 사항들을 스스로 투쟁해서 이겨냄. (과거에는 음반사 = 엔터 회사들이 다 쥐고있어서 아무리 좋은 노래 만들고 히트해도 해당회사의 불공정 계약으로 인해 저작권도 회사로 많이 넘어갔었음... 그래도 가수들이 불공정 계약을 한 이유는 안하면 음반 발매를 못하니까 그걸 첫 반기들고 나선게 서태지형님... 진짜 문화대통령말고도 가요계에 불공정한 일들을 진짜 많이 개선시킴) 만약 그 시절에 이렇게 싸우는 사람 없었다면....지금 가요계? ㅋㅋㅋ 초토화임..
@칭기즈칸-s1p
@칭기즈칸-s1p 4 ай бұрын
서태지를 시작으로 가요계의 빅뱅이 시작됨 이후 모든 장르가 쏟아져 나오고 최고의 전성기를 가짐
@rnfkekd
@rnfkekd 4 ай бұрын
@@코노맨 밀리 바닐리? 희대의 립싱크 사기꾼? 나중엔 표절 고소까지 당한 양아치들이죠.살짝 비슷한 부분은 있지만 완전 다른곡 입니다.원곡자조차 아무말 안하고 전문가들도 표절 아니라고 하는데 님이 뭔데 표절이라고 확정지어서 헛소릴 하세요?
@음악평론가
@음악평론가 4 ай бұрын
@@코노맨 서태지야말로 자신이 만들어온 음악문법과 세계적 트랜드 유행을 자연스럽게 맞물릴 수 있는 곡을 만들고 나아가 독창성까지 끼워 넣는 데 성공한 뮤지션임. 일반인들의 특징이 표절곡/원곡 유튜브 주소만 올려놔도, 표절 맞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음 님도 그중에 한명. 표절여부는 아마추어도 쉽게 할수있는 일이지만, 귀로 듣고 느낌 비슷하네 표절인가 이게아님. 난 알아요는 am-dm(or F)-g-e 밀리 바닐리는 am-dm(or F)-g-g. 그런데 알아둬야 할것은, 이러한 코드 진행은 워낙에 통속적인 진행이기에 시비거리가 못됨. 흔히 말하는 머니코드의 일종 (c-g-am-F(or D)도 한 예). 문제는 여기 위에 나오는 멜로디의 일치성임. 사실 밀리바닐리 코러스 부분의 "girl you know it's true"이부분과 난알아요의 "오 그대여" 이 부분은 일치 그 외에는 일치성 없음. 이부분도 두마디는 아니므로 표절기준에는 미달 두소절이상 멜로디나 화성진행이 동일하다고 판단이 서야 실질적 제재효과가 없는 표절 판정을 내립니다. 실제로 NME 롤링스톤지 섹션에 보면 난알아요와 컴백홈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 그곳에서는 밀리바닐라, 사이프레스힐을 연상시킨다라고 적혀있지만 그렇게 적혀있는 이유는 말그대로 유사, 연상만이 사실이고, 표절에 대해서는 어떠한 사실도 없기 때문입니다. 요즘 전세계에서 가장 잘나가는 "아프로비트" 장르의 음악을 들어보시죠 전부다 같은 비트를 쓰고 유사한 악기도 많이 나옵니다. 다른색을 띄기도 하고 가지각색이 색깔도 있으나 유사한 느낌은 분명히 납니다. 음악의 정형성이 확보되지 않으면 생소함 때문에 금방 피로감을 느끼며 그런 창작자의 의도와 노력을 쉽게 폄하하는 사람들이 정작 자기들이 쉽게 감상할수 있는 단순한 음악들을 '표절'로서 몰아세우고 있는 것임.
@고흐tv
@고흐tv 2 ай бұрын
@@코노맨 다른분이 설명 잘해놨는데 레퍼런스랑 표절이랑 달라요 표절이면 언론들이랑 지금 가만히 두겠나요? 제목도 엉뚱한거 가져오셨네 Girl You Know It's True 입니다. 밑에분이 설명하신 노래 말고도 kzbin.info/www/bejne/pIbUnmeGhNBpiNEsi=4PzSaVJFMXd7IJnm 이노래도 들어보세요.. 님 귀에는 밀리바닐리 노래랑 구분이 안갈껄요? 그시절 미국에서 유행하던 랩스타일 입니다. 이 비슷한 랩 곡들 4~5개는 더 찾아줄수있어요.. 어디서 찾았냐구요?? 90년대 한국인이 좋아하던 팝디스코 모음 음반 제목 리스트에서 찾은거에요 ㅋㅋㅋ 그시절 인터넷이 없어서 안걸렸다구요?? 그시절 사람들이 바보인가요 ? 그시절 사람들 귀에는 표절로 안보였으니 표절이 아니지
@고흐tv
@고흐tv 2 ай бұрын
@@khrpml 오 Beside -Change The Beat 는 첨들어봤네요.. 제가 찾은건 [1] S.A.M. Jam - Oo La La La (0:30) [2] Ice MC - SCREAM (1:13) 이거 말고 2~3곡 더 있는데 나중에 다시 찾아봐야겠네요
@DmKim-p8m
@DmKim-p8m 2 ай бұрын
서태지 이전에도 여러 장르가 있었지
@윤영훈-i7t
@윤영훈-i7t 3 ай бұрын
진짜 인기많았습니다 라이벌도 없구 연예인들의 연예인 이었죠😊
@웅치기-y1v
@웅치기-y1v 2 ай бұрын
컴벡홈 듣고 가출 청소년들 집으로 돌아간 사례가 엄청 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jeoncreat
@jeoncreat 4 ай бұрын
고등학교때 서태지 앨범 발매일날 레코드가게로 수십명이 자전거 경주했던 추억이 기억나네요
@kogibum
@kogibum 4 ай бұрын
요즘도 서태지 영상 자주 찾아보지만 내의견은 25주년 기념 콘서트가 최고인듯 해요. BTS와 같이 해서가 아닌 마지막 노래에 나오는 멘트가 25년전에 약속을 지키기위한 스토리와 문화대통령을 BTS에게 이어주는 멋진 무대였음
@이태용-l8b
@이태용-l8b 4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서태지를 보게 되어 너무 기뻐요~~~ 잘 보고 갑니다
@라엘-f4l
@라엘-f4l 2 ай бұрын
컴백홈 가사가 진짜 멋졌다 함축적인데 메세지는 강했다 한국 가요계의 모든걸 바꾸고 이끌던 서태지와 아이들 선구자였고 젊은이들의 외침이고 문화였다.
@firekb4227
@firekb4227 4 ай бұрын
서태지 음악은 컴백홈 필승 시대유감 교실이데아 하여가 이게 찐이죠 본인 색깔을 가장 잘 표현한
@용과같이25
@용과같이25 4 ай бұрын
서태지가 한곡에 미국 음악 다양한 장르 MIX 시도하고 소외됐던 10대 대변자,사회 부조리 저항 정신, 조직적 팬덤,팬을 위한 가사,패션,퍼포먼스 중요성 등등 지금의 KPOP 댄스 음악 스타일 시초 임. 힙합 + 락 + 일렉 + 알앤비 + 국악 등등 장르 MIX는 당시 한국에서 상상 할수도 없었고 세계적으로도 파격적이였음. 이후 이수만, 유영진의 SM, 양현석, 테디의 YG,박진영, 방시혁의 JYP 및 각종 기획사들이 서태지가 만든 스타일 따라하면서 KPOP 아이돌 댄스 장르가 본격 제작 및 음악 발전이 시작되어 지금의 세계적 인기로 성장하게 됐음. 참고로 위 컴백 홈은 싸이프레스 힐의 랩 창법 플로우만 레퍼런스 했고 데뷔곡 난 알아요는 밀리 바닐리 곡에 락 장르를 MIX하는 독창적인 부분도 있지만 레퍼런스를 넘어선 표절로 의심 받기 충분 함. 그 외 서태지의 수백 곡 창작물들이 너무 훌륭하고 한국 대중 문화계에 끼친 엄청난 영향력 등등 대한민국 역사상 최고의 뮤지션 임에 의심의 여지 없음.
@AA-hw6en
@AA-hw6en 4 ай бұрын
그래봐야 미국 음악 카피
@김밥-k2t5e
@김밥-k2t5e 3 ай бұрын
밀리바닐리는 좀 많이 비슷하긴한데 표절은 아니고 컴백홈은 그저 억까일뿐입니다. 사이프러스힐 어쩌고 하는것들 말듣지마시고 직접 찾아서 듣고 평가하세요.하나도 안비슷합니다.
@쉐이디
@쉐이디 11 күн бұрын
​@@김밥-k2t5e 막귀임? 나도 서태지 팬인대 인정할건 인정하자 아이들 시절엔 표절 짜집기한곡들로 성공한거 빼박인대 뭔소리임 인정할건 인정해야 서태지가 욕들먹는거임 표절곡 말고도 다른 좋은곡들 많으니 그걸로 위안 삼아야지
@dabret7972
@dabret7972 4 ай бұрын
서태지와 아이들을 보고 이수만이 아이돌 기반을 만들었음 첫 데뷔에 사회비판 곡 내고 후속곡으로 발랄한 댄스곡, 달달한 곡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는게 공식화 됨
@futureworldyi8234
@futureworldyi8234 3 ай бұрын
서태지에 비교한다고? 뉴키즈온더블럭이 아니고? 쫌.... 서태지 팬들은 공감하기 어려울듯. 감히?
@MJ-vp9ox
@MJ-vp9ox 4 ай бұрын
나오자마자 대한민국 전체를 대충격에 빠뜨린 '난 알아요'가 레전드
@andykim1981
@andykim1981 4 ай бұрын
환상속의 그대, 인터넷 전쟁 가사 진짜 죽임.
@ke20491
@ke20491 4 ай бұрын
필승, 교실이데아, 시대유감, 발해를꿈꾸며 추천
@허정행-f5p
@허정행-f5p 4 ай бұрын
와 중2때 데뷔햇엇는대 지금 다시 들으니 옛생각이 많이 나네요 데뷔앨범이 진짜 미쳣어요 ❤
@Cro-cop
@Cro-cop 3 ай бұрын
78 말띠? ㅋㅋ
@대한국인
@대한국인 2 ай бұрын
지금 들어도 전혀 옛날 노래 같지 않고 너무 강렬하고 멋지다.
@환락의퍼플
@환락의퍼플 3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가수들에게 한글로 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줬음 이전까지는 모두 그저 참신한 도전이나 실험으로서만 인식되었음 서태지와 아이들은 한국의 비틀즈같은 존재임
@jungwooklee1034
@jungwooklee1034 4 ай бұрын
서태지 형님으로 인해 대한민국 음악이 바뀐거라는거...
@얌마-s4l
@얌마-s4l 4 ай бұрын
당시 한국의 대중 음악에 발라드와 트로트만 있었던 게 아닙니다. 락도 있었고 헤비메탈도 있었고, 댄스음악도 굉장히 인기가 많았구요. 다양한 장르가 시도되고, 힙합과 랩이 대중적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시기였죠.
@TJR-j2l
@TJR-j2l 4 ай бұрын
죽음의 늪 아니다 8집까지는 넘사벽이죠 거를노래가 없음...
@Maraku-e6r
@Maraku-e6r 4 ай бұрын
슬픈아픔, 테이크 원. 진짜 명곡입니다. 꼭 들어보세요!!
@in-alaase5499
@in-alaase5499 Ай бұрын
Such a lovely collection of reactions ❤ I’m Korean and born abroad. I grew up with this band when I was 12/13 years old. People had to bring me every new album released, when flying back to Europe. With no offend, I think most of the younger generation has no clue how brilliant and outstanding this band was - also from the outside of Asia! The lead singer is an absolute genius!
@pinkhide223
@pinkhide223 4 ай бұрын
서태지가 음악적으로 다양한 모습을 보여줬다는걸 보여주기 위해 굳이 어렵게 설명할 필요 없이 컴백홈을 보여 준 후 바로 다음으로 같은 앨범에 있는 컴백홈의 후속곡이라면서 을 보여주면 그냥 게임 끝인데 ㅋㅋ
@pinkhide223
@pinkhide223 4 ай бұрын
@@GonZo9072 ㅋㅋ 저기요~~ 나무위키 검색해 보세요 ㅋㅋ 댓글 삭제하고 런하겠네 ㅋㅋ
@Deathfield4
@Deathfield4 4 ай бұрын
@@GonZo9072 필승 컴백홈 둘다 4집인디.. 뭔소리.
@dabret7972
@dabret7972 4 ай бұрын
필승은 요새 사람들은 시끄럽다고 생각함
@Michikinnn
@Michikinnn 4 ай бұрын
컴백홈 이 표절곡을..안챙피함?
@Cs-sr
@Cs-sr 4 ай бұрын
@@Michikinnn 본인이 선동 당해 놓고 너무 당당한데?? 근거는??
@yongl4585
@yongl4585 4 ай бұрын
컴백홈은 ㅇㅈ이지
@funny_mino
@funny_mino 3 ай бұрын
서태지와 아이들곡 모두 뜻과 의미있습니다.😊
@joostory7
@joostory7 4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대중문화는 서태지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서태지 영상 감사해요~!
@주먹쥐고일어서-c2p
@주먹쥐고일어서-c2p 4 ай бұрын
저 빨간머리이던 시절이 뉴 메탈(힙합+락)이 유행하던 시절임. 콘, 림프비즈킷, 린킨파크가 유명 밴드였죠 서태지도 유행장르를 들고 컴백했는데 이 때가 저는 제일 좋았음
@is_ppk
@is_ppk 2 ай бұрын
진짜 그시대 국가권력급이란 표현이 맞죠 삼성 이사회때 서태지가사회에끼치는영향에대해 회의를했었고 정부차원에서도 주시를할정도였으니
@lililiilillllillililililililli
@lililiilillllillililililililli 4 ай бұрын
사회적으로 이런 긍정적인 영향력을 준 노래가 생각보다 많지 않다보니 더 기억에 남는 노래
@hoooooooon1384
@hoooooooon1384 3 ай бұрын
시대유감!!!!
@유느
@유느 4 ай бұрын
서태지 다룰줄이야 고고
@gd2love
@gd2love 3 ай бұрын
지나고 나면 별거 아닌것처럼 느껴지지만 당시의 서태지는 뭐랄까 모든것의 이상이었고 모든것을 뒤집어 놨고 단순한 하나의 가수를 아득히 넘어선 무언가 하나의 현상이었지 혁명이었고
@sinju628
@sinju628 4 ай бұрын
힙합과 락이 섞인? 장르가 뉴메탈이라는 장르였고, 딱 이 시기에 유행이었죠.
@정통-c7x
@정통-c7x 3 ай бұрын
서태지는 하여가지~
@sentisin6390
@sentisin6390 4 ай бұрын
서태지 전성기때 국내인기는 방탄이랑 세븐틴 엑소를 합한 느낌. 압도적이었죠. 유아독존이었으니까. 그들이 해체할 때 역시 충격이었음. 최고의 그룹이 그렇게 빨리 해체될 줄 누가 알았겠음.
@타키온-f1c
@타키온-f1c 4 ай бұрын
그당시 정권이 보내버린건지도 모름
@미카엘-e6u
@미카엘-e6u 4 ай бұрын
프리스타일 지금 들어도 세련됨~
@coolenjoynet
@coolenjoynet 4 ай бұрын
1집보다 2집의 하여가가 더 뇌리에 깊게 박힌 나.
@체스터붐
@체스터붐 4 ай бұрын
음악 장르가 없었던게 아니고 주류 음악이 바뀌고 소비층이 10-20대로 급격하게 변화한거지
@밸런스-j9g
@밸런스-j9g 4 ай бұрын
새 노래 들을 때 됐다! 앨범 출시 기대!
@뒤달
@뒤달 3 ай бұрын
컴백홈은 최고의 명곡이다.
@이승한-n2w
@이승한-n2w 2 ай бұрын
필승 추천!!!!!
@피카피카-c6g
@피카피카-c6g 4 ай бұрын
사실 80~90년대는 한국뿐 아니라 세계 팝시장이 폭발하던 시기였습니다. 수 많은 장르의 음악들이 만들어지고 사랑 받던 시기여서 지금 아이돌 음악 일변도인 음악 시장보다 훨씬 다양성이 많았습니다. 그 당시 대학가요제나 강변가요제만 봐도 얼마나 많은 장르의 음악들이 수용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트로트, 포크, 락, 팝, 재즈, 메탈, 프로그레시브 등등 보수적일 것 같은 가요제에서 조차도 다양한 장르를 수용했습니다. 또한 음반 시장이 LP에 더해 CD라는 미디어까지 등장하면서 시장규모는 더 커졌고 LD와 MTV가 탄생하며 보는 음악으로서의 새로운 시장 또한 생겨나게 됩니다. 한국만 국한해보자면 그 당시 종로나 신촌 홍대에는 수 많은 재즈카페와 라이브카페가 생겨났죠. 맥주 한잔이면 꽤 멋진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조용필, 심수봉, 주현미, 남진, 나훈아, 같은 전통가수에 이문세, 신승훈을 필두로한 발라드 가수, 무한궤도, 푸른하늘, 동물원, 다섯손가락 같은 그룹과 백두산, 시나위 부활과 같은 락 그룹들에 더해 아이돌의 시조새격이라 할 수 있는 김완선, 이미연, 강수지, 양수경 같은 여성 솔로까지.. 음악 시장은 음반 판매의 호조에 힘입어 정말 폭발하던 시기였죠.. 지금과 같이 아이돌과 트로트만 돈이 되고 막대한 자본이 들어가야만 살아 남는 시기가 아니었기 때문에 많은 실험이 가능했고 다양한 장르의 음악들이 만들어지고 소비될 수 있었습니다. 동물원의 기타리스트였던 이성우씨의 원맨 밴드로 만들어진 당시의 앨범 '한강'을 보면 정말 그 시대가 아니었다면 그러한 음악이 만들어질 수 있었을까란 생각이 듭니다. 그토록 실험적임 음악이 가능하던 시기였습니다.
@김강동철류헤이
@김강동철류헤이 3 ай бұрын
국내한정으로는 역대최강인기 한국가수 ..
@이이-o4l
@이이-o4l Ай бұрын
이당시 푸른하늘,주주클럽 노래 들었던것 같음. 나는나,센티멘탈 지금도 와
@MARVELAVENGERS2023
@MARVELAVENGERS2023 3 ай бұрын
컴백홈 엄청났지~👍😂
@kyp4897
@kyp4897 4 ай бұрын
80년대에도 댄스음악 락음악이 있었는데....누가 도대체 처음 이말을 한겨... 트로트와 발라드밖에 없었다고....두개의 장르가 더 주류였다 이렇게 말을해야지. 그리고 80년대 댄스음악은 편견이 좀 있었지...다른 장르에 비해 예술성이 떨어진다하는 그런 편견이~~~댄스음악도 당연히 있었는데..가요적인 팝댄스였지 그리고 리듬보다는 멜로디가 중심이된 심플한 댄스....그래서 지금의 K팝과는 거리가 좀 있지 ...들어보면 알지만~~그에 반해 서태지는 랩과 힙합댄스를 대중에게 널리 알린 인물이고 음악적인 면과 음악 외적인 면에서 본인의 사회적 영향력으로 가요계의 시스템을 완전히 바꿔 놓은 인물이지~~ 지금도 가요계는 그 바탕위에 있는거고~~저작권 문제. 사전심의제 폐지. 휴식기 도입. 사전녹화 시스템등등 바꿔놓은게 너무 많지~~ 다른 유명가수들은 인기만 많을뿐 시스템을 바꿔 놓은 뮤지션은 없지 거의~~그래서 문화대통령이라는 칭호가 붙은거고.
@ajlarr
@ajlarr 2 ай бұрын
전설의 시작 태지형~~~~
@sso9913
@sso9913 4 ай бұрын
대장~보고싶어요~!
@영진김-x9q
@영진김-x9q 4 ай бұрын
서태지 진짜좋아
@dndhk20
@dndhk20 4 ай бұрын
지난 음악이라고 지나칠순 있는데 무시하면 혼나요~
@bkkim1593
@bkkim1593 4 ай бұрын
추천곡 버뮤다트라이앵글
@동하김-s7x
@동하김-s7x 4 ай бұрын
발라드,트로트 만 있던건 아니고 락.. 도 있었어요....
@동하김-s7x
@동하김-s7x 4 ай бұрын
댄스곡도 있었네요.... 소방차...김완선 등등
@GonZo9072
@GonZo9072 4 ай бұрын
70년대 락 80년대 메탈밴드들 완전 무시해버림 ㅋ 박남정 소방차 김완선등도 더불어 무시
@야너는
@야너는 4 ай бұрын
많은 장르가 있었지만 방송국이 안보여줌. 주류가 못됨. 근데 서태지와 아이들은 그렇게 할 수가 없었음. 방송국이 싫다 해도 팬들이 좋아하는데 결국 돈을 보면 서태지와 아이들을 ' 한번만 와주세요 ' 할 수 밖에 없었음.
@left9292
@left9292 4 ай бұрын
발라드보다 락이 더 오래됨. 신중현이전부터 였음. 발라드란 장르는 포크음악이 대세를 이룬이후나 정립이 되었는데. ㅊㅊ. 졸지에 김현식 김광석에 뉴에이지 음악이라불린 유재하까지 심져 서태지는 락그룹 시나위 출신인데 ㅠㅠ
@쥬띠메리호이호이호이
@쥬띠메리호이호이호이 4 ай бұрын
그 시대를 살았고 이승철, 임재범, 김종서를 부활과 시나위에서 먼저 봤던 사람이지만.. 락이 확실히 주류는 아니었죠. 락을 무시하는게 아니라 그게 팩트임
@삿사-v8k
@삿사-v8k 2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음악은 서태지이전 이후로 나눈다
@노네임-x5z
@노네임-x5z 3 ай бұрын
노노 투팍이 아니라 사이프레스 힐이지....
@taehunlee9824
@taehunlee9824 25 күн бұрын
BTS가 서태지와 아이들의 컴백홈을 리메이크 했던 게 컴백홈의 주제가 바로 love yourself였음. '날 절망에 빠뜨리는 온갖 사회와 부모의 통제와 압력에 절망했지만 결국 어쨌든 난 나 자신을 사랑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니 무엇보다도 나를 지키기 위해서, 나를 실현하기 위해서 일단 눈물 닦고 집으로 돌아가자'라는 게 가사내용. 결국 날 사랑해주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자는 식의 따뜻한 노래가 아니라 집에 돌아가봤자 통제와 압력은 계속되겠지만 자포자기하지 말고 스스로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겨내야 한다는, 어찌보면 엄청 냉철하고 차가운 노래임.
@Terraformingofgovernment
@Terraformingofgovernment 4 ай бұрын
서태지는 가요계가 서태지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는 말이 가타부타 시시비비의 사안이 아닐정도로 그냥 문화권력의 최 정점에 있었던 사람이죠 문화대통령이라는 말이 당시에 나왔듯 그 누구도 감히 서태지를 강제할수 없는 영향력을 가졌었습니다 지금은 월드 스타들도 생기고 다양한 스타의 권력이 다극화 되어있는 시대이지만 서태지의 활동기엔 그 모든 권력을 서태지가 쥐고 있었다고 할정도로 영향력이 막대 했었습니다. 서태지와 아이들 , 그리고 서태지의 솔로 컴백이 9시 뉴스의 첫번째 헤드 라인 이였으며 서태지와 아이들 해체이후 여성팬들의 자살소동도 사회문제화 되고 뉴스화 됐었죠 서태지와 아이들의 매 컴백마다 문화계와 가요계 , 음반계가 크게 들썩거렸으며 서태지는 연예인들의 연예인이였고 수많은 젊은이들의 우상이였습니다
@코노맨
@코노맨 4 ай бұрын
그렇지만 치명적이게도 서태지를 가장 유명하게만든 난알아요 가 밀리바닐리의 girl you know i want you love를 표절한곡 곡이라서 부끄러운 역사이기도하죠. 인터넷보급후 대중들이 이런사실들을 자각하면서 주홍글씨가 붙어버렸습니다. 아니러니하죠 드렁큰타이거 난널원해도 그렇고 90년대는 표절곡이 워낙범람하던시대라 그 의미가 퇴색되버렸습니다. 문화적 웨이브를 만들어내긴했지만
@Terraformingofgovernment
@Terraformingofgovernment 4 ай бұрын
@@코노맨 역사는 용기있고 올곧게 바라봐야죠 서태지가 만들어낸 패러다임과 당시 끼쳤던 엄청난 영향력을 굳이 폄훼하고 축소할 필요도 없으며 또한 정보화 이전 표절에대한 음악계의 인식이나 표절논란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면 된다 봅니다 대중음악 역사의 빛과 어둠이며 , 과거의 조각들이 현재의 케이팝을 이뤄낸 자양분이기도 하니 말이죠 불편한 진실을 바라볼수 있는 사회가 성숙한 사회며 판단은 역사의 몫이자 당사자들이 감내해야할 몫이라 봅니다
@코노맨
@코노맨 4 ай бұрын
@@Terraformingofgovernment 그래서 90년 음악을 르네상스니 이런 표현을 한다는자체가 우습다는거죠 일본노래표절 거기에 번안곡 팝송표절 등등 참많은 히트곡들이 안타깝게도 대부분입니다 맞습니다 서태지가 한국 대중음악 인더스트리에 많은 영향을 끼친건 사실이나 마치 일본이 한국식민지를 해서 근대국가로 성장할수있는 동력을 얻었다(철도,항구) 라는 식민지 근대화론이 정당화 될수없듯이 서태지또한 음악산업의 패러다임을 만들어낸건 사실이나 그 또한 정당화 될수없고 자양분 또한 심각한 paradox가 됩니다 그리고 뭔가잘못아시나본데 K-pop 단순히 서태지로 태동되어서 다른국가로 흘러나단 음악의 흐름이 아니라 CJ그룹이 90년대말 김대중정부때 문화육성산업을 맡으면서 만들어진 산업입니다
@Terraformingofgovernment
@Terraformingofgovernment 4 ай бұрын
@@코노맨 너무 일단의 관념에 매몰되어서 제 말뜻을 곡해하고 있으신듯 하네요 거시적 관점에서의 입장론일뿐 팩트를 부정하는 취지의 글이 아닙니다. 시각의 차이일뿐 생각이 크게 다른 부분이 없으니 더 말씀드리진 않겠습니다
@코노맨
@코노맨 4 ай бұрын
@@Terraformingofgovernment 저도 너무 단어에 핀트가 꽂혀서 말을 함부로 한거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입장론이니 큰줄기에선 비슷하나 빛과어둠은 늘 존재하는 법이죠 많이 배워갑니다
@조동원-b5j
@조동원-b5j 4 ай бұрын
서태지와 아이들 첫 무대하고 가수 선배들이 평가 하는거 봤는데.. 국악 하는 사람이 힙합 평가하는거 처럼 .. 전혀 다른 장르라 평가가 안되는데 춤 노래 다.. 완전 신세계인데.. 한 인지도 많은 평가 가수가.. 박자 어쩌고 저쩌고 지적 한거 기억나네 ㅋㅋㅋ 서태지와 아이들 아니었으면 .. 지금의 kpop이 안올거라고는 생각 안하는데.. 훨씬 더 느리게 왔었을거 같다 ..
@타키온-f1c
@타키온-f1c 4 ай бұрын
그당시 신인가수 평가 하는 프로그램 있엇는데 어느방송사는 오래돼서 가물가물 국내에 유명한 평론가들 나와서 신인가수 평가 하는프로그램 난알아요 그곡으로 데뷰 무대 그방송에서 했는데 평론가들 아주 가관이엿음 평가 그리 좋지 못헸는데 그방송 본 10대 20대 애들 난리 낫던 기억이 맨날 트로트 아님 발라드만 듣다가 서태지와 아이들 난알아요 듣고 신세계
@stanleyyoon4964
@stanleyyoon4964 2 ай бұрын
전설의 고향~ 😳🇰🇷
@카전-j3h
@카전-j3h Ай бұрын
이것이 k-팝이다,,,반갑읍니다,,,,,
@은냐-i8r
@은냐-i8r 3 ай бұрын
전 서대지와아이들 하면 "울트라맨"생각남~~
@담뽀뽀-d2p
@담뽀뽀-d2p 2 ай бұрын
뭐 하나 맞는게 없는데?서태지와 아이들은 4집까지고 제목도 울트라“맨이야”는 6집인데?(본인피셜 솔로 2집이 아니라 6집이라 했음) 그냥 서태지와 아이들하면 일본 특촬 울트라맨. 이 생각나는거임?
@SJOK-p7h
@SJOK-p7h 3 ай бұрын
90년대가 한국 가요의 꽃이었지 싶다....락.힙합.포크.발라드.댄스.......모든장르가 미쳤었지..
@ksh-love21
@ksh-love21 4 ай бұрын
대장은 진짜.. 내 인생에 있어서 정말 의미있는 시간을.보내게.해준 사람. 지금 애들아빠도 만나게 해줬가든요. ㅎㅎ 우리 아들 딸이 있을 수 있게한 사라쭝에 한명~♡
@Orion0403
@Orion0403 3 ай бұрын
2:15 제일 중요한 그걸 안보고 놓치고 ㅋㅋㅋ
@가마니-i6z
@가마니-i6z 4 ай бұрын
제작진이 난 알아요를 안틀어주는 센스..ㅋ
@황갑진-l9w
@황갑진-l9w 2 ай бұрын
@@가마니-i6z 난 알아요도 표절곡이니 안틀어주는거
@이도훈-f7e
@이도훈-f7e 3 ай бұрын
앨범 나오면 집근처 테이프 집에 가서 테이프 사던게 기억나네. 까만줄이 늘어질때까지 주구장창 들었는데
@skylove5071
@skylove5071 4 ай бұрын
90's hit korean music의 뮤비들은 왠지 모르게 노래방 화면에 나오는 영상들 특유의 무서운 느낌이 나는 게 매력적임. * 추천 가수: 듀스, 유승준, 터보 등
@morisoo1
@morisoo1 4 ай бұрын
듀스!!
@파우스트-r4p
@파우스트-r4p 4 ай бұрын
영화 같은 뮤비를 만들어낸 조성모 시리즈 가즈아~~(아시나요 추천)
@godfloyd
@godfloyd 3 ай бұрын
보이런던, 미치코런던 오랜만이네 ㅋㅋ
@dykim80
@dykim80 4 ай бұрын
발라드랑 트로트만 있었다니 ㅋㅋ 락, 댄스, 팝 번안곡들도 많았고 포크송도 있었고 서태지때문에 힙합이 뿌리 내린거지 그전에도 노래 장르는 엄청 많았는데 영상을 만들려면 공부좀 합시다
@silbanus01
@silbanus01 4 ай бұрын
올타임 레전드라....산울림과 신해철이 나올때가 되었군요...ㅎㅎ 혹은 전혀 다른 의미로...ses와 핑클, hot와 잭스키스...나오는 것도...ㅎㅎ
@김민수-l8o4q
@김민수-l8o4q 4 ай бұрын
박남정, 소방차, 김완선...이 분들은 뭐야? 발라드야 트로트야? 부활, 시나위, 들국화, 백두산..이분들은? 발라드? 트로트?
@chulminlee9987
@chulminlee9987 4 ай бұрын
박남정 소방차 김완선은 일본 음악의 그늘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했었고 부활 시나위 들국화 백두산은 롹음악을 표방했지만 한번도 주류가 되지 못한 언더그라운드 음악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저런식으로 말하는거겠죠. 그당시 우리나라 주류 대중음악은 미국에서 일본을 거쳐 한번은 필터링된 흐름을 타고 있었는데 일본을 거치지 않고 바로 미국음악 스타일을 수혈해 주류까지 올라간건 이러니 저러니해도 서태지가 최초긴 했습니다.
@우당탕탕-v7v
@우당탕탕-v7v 4 ай бұрын
@@chulminlee9987 헐 먼 개소리를?ㅋㅋㅋㅋㅋㅋㅋㅋ장황하게....ㅋㅋㅋㅋㅋㅋ
@fingerdancer6829
@fingerdancer6829 4 ай бұрын
@@우당탕탕-v7v 주관이 좀 많이 들어가고 거침없이 이야기 하긴 했지만, 어느정도 맞는 말입니다. SM이 일본의 시스템을 참고해서 초기 아이돌을 만든것도 유명한 이야기고, 이처럼 좋은건 참고하자 주의도 있었지만, 실제 그 시기에는 문화적으로 일본에 종속적인 상황이 될까 두려워 하는 문화계 인물들도 많았습니다. 록음악 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음악이 한번도 주류 흐름을 만들어 낸적없다 생각하고 언젠가 그날이 오기를 꿈꾸고 있었고요. 서태지는 표절 논란도 많았었는데.(한번도 법적으로 문제가 된적은 없는 걸로보아 논란까지 인듯) 그 표절 곡들이 대부분 서구권 노래였습니다.
@eltonsong1
@eltonsong1 4 ай бұрын
@@fingerdancer6829 한국에서 가장 표절시비에 자유로운 음악천재가 신해철이라고 합니다. 근데 “그대에게” 조차도 일본 음악과 굉장히 유사해 표절 논란이 있었죠. 서태지로 인해 부활 시나위 같은 락그룹이 재부각 되던 것도 사실이죠. 97학번 제 세대에는 서태지 김종서 때문에 시나위 부활을 알게 된 사람들도 많았고 심지어 잊혀진 그룹이었다가 대학축제에도 초대를 많이 했죠.
@___-et8dr
@___-et8dr 4 ай бұрын
그것두 몰러? 몽땅 트로트지~~~
@문준-h3u
@문준-h3u 3 ай бұрын
야닉! 안녕하세요!!!
@danara8859
@danara8859 3 ай бұрын
지금들어도 촌스럽긴 커녕 더 좋은게 더 충격. 특히 심포니 버전은 웅장 그 자체.
@matroos.marineboy
@matroos.marineboy 2 ай бұрын
남알바님 난 너님 때문에 더 충격적이다ㅋ
@atomic2808
@atomic2808 3 ай бұрын
신세계
@우당탕탕-v7v
@우당탕탕-v7v 4 ай бұрын
서태지의 락을 추구하는 장르와 힙합을 추구하는 양현석과 주노 결국은 정해져있엇던 길......
@김동수-b4p
@김동수-b4p 4 ай бұрын
서태지와 아이들은 난 알아요로 방송데뷔해서 그때 엄청 큰 이슈였던걸로 아는데 컴백홈은 난 알아요에 비빌 곡이 아님요. 서태지와 아이들의 대표곡이자 데뷔곡은 난 알아요~~
@1티어-s7n
@1티어-s7n 4 ай бұрын
그시절 청소년이였더내가 잘아는데 맞는말이긴한데 표절이라..그게좀많이아쉽지 흑인가수2명표절곡..
@뭘해도안되네
@뭘해도안되네 2 ай бұрын
편곡은 대한민국 최고
@harry_CHA
@harry_CHA 2 ай бұрын
서태지를 빼 놓고 대한민국 대중음악의 역사를 말할 수 없긴 하지.
@snowflakes4395
@snowflakes4395 3 ай бұрын
시대를 앞서간x 선도한 위대한 아티스트긴 하지..
@taijitankor
@taijitankor 4 ай бұрын
데뷔영상을 92년당시에 본내가 승자인건가 ㅎ
@lwkgogo
@lwkgogo 3 ай бұрын
서태지를 대상으로 7분짜리 영상은 모욕감을 느끼게 된다. 서태지는 K팝의 시조급인데 ㅠ
@조운자룡-h5g
@조운자룡-h5g 4 ай бұрын
다양한 장르가 있었지만 그당시 발라드 트로트 외에는 인정해주지않던 시절에 댄스곡에 흑인랩 접목시켜서 지금 아이돌이 부르는 장르와 컨셉을 서태지와 아이들이 시작했다고 보면되요 ^^ 그리고 태지형이 더 대단한건 방송국이 갑오브갑이던시절 소속사에서 음반판매를 정산안해줘서 아티스트들이ㅜ돈벌려면 밤무대나 방송출연해야했고 요즘은 아이돌들이 음반내고 활동끝나면 휴식기 가졌는데 그걸 태지형이 처음시도했습니다 그거때문에 방송가와 언론한테ㅜ공격을 엄청당했죠 서태지와아이들 다룰려면 아티스트가아닌 혁명가로 소개 해주시는게 더나을듯
@박수좀쳐주세요
@박수좀쳐주세요 2 ай бұрын
서태지와 아이들을 알린 대뷔곡 난 알아요 부터… 하여가, 발해를 꿈꾸며, 컴백홈은 들으셨으니 패스하구요 ㅋㅋ여기까지 서태지와 아이들 타이틀곡이구요 5집부터는 솔로 앨범인데 락도있고 발라드도있고 시간 되시면 9집까지 쭉 들어보세요 ㅎㅎ 장르가 다 다릅니다~~ 소격동 원곡이 서태지 형님인데 매니아가 아니신분들은 아이유님 곡으로 아시는 분도 있고 네이ver에 소격동 검색하시면 아이유님으로 나오네요 ㅎㅎ;
@pompomkun
@pompomkun 4 ай бұрын
컴백홈 들려주기 전에 먼저 가출청소년을 향해서 한 노래니까 가사에 집중하라고 했어야지 어휴....
@주세발
@주세발 4 ай бұрын
댓글보니 아직 모르는사람이 많은듯한데.. 서태지는 천재라고 생각하고 팬으로 살았던나는 밀리바닐리 노래듣고 아직 그충격을 잊지못한다... ㅠㅠ
@bomnar01
@bomnar01 4 ай бұрын
너 왜 팬코해? 팬으로 무려 살았어? 서태지가 앨범 낼때마다 소개했잖아. 근데 니가 왜 충격을 받아? 사람이 사람 좋아하는게 뭔지도 모르는 주제에 손가락으로 똥을 싸니까 들통날 수밖에 없잖아. 장르 자체를 창조하지 않았다고 충격을 받았다는건데 이거 근거없이 악서루머 유포하는 범죄자들이 30년이 넘게 복사 붙여넣기 하는 거잖아. 니도 똑같이 그러고 있는 주제에, 팬덤 뒤에 숨으면 안심되는 구나?
@goyashiro5298
@goyashiro5298 4 ай бұрын
샘플링 과 표절도 구별도 못하는 멍청이 표절이었으면 기자가 가만히있니
@falconer8058
@falconer8058 Ай бұрын
서태지 전과 후로 나뉘죠
@조일상-s3w
@조일상-s3w 4 ай бұрын
락과 발라드.트로트 에서 서태지의 등장은 힙합과 대중들.한국 타악기접목등은 심히 가요계. 획을 그은것 맞습니다.
@나차단시암걸릴것
@나차단시암걸릴것 3 ай бұрын
나는 서태지아이들 곡은 필승이랑 교실이데아가 제일 좋드라
@저승호랭이
@저승호랭이 3 ай бұрын
남알바 알바아니다 찌밤...
@eltonsong1
@eltonsong1 4 ай бұрын
서태지가 거의 처음으로 만들어 놓은 한국어랩 전환 노하우가 이제는 너무나도 당연하고도 쉬운 방법이 되어버렸다. 이젠 미국의 랩을 한국어로 전환할 필요 없이 한국 음악인 스스로도 한국어 랩을 만들 수 있는 수준이 된 것이다. 1990년대 이전에는 그 어떤 천재일지라도 한국어 랩 전환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지금의 시각으로 서태지 음악을 이해하려면 하면 그의 음악이 표절 같기도 하고 그 누구라도 할 수 있을 방법 같이 느껴질 수 있다. 그건 당신의 뇌 구조가 이미 90년대에 바뀌었기 때문이거나 이미 과거에 바뀌어버린 문화 속에서 당신이 자라왔기 때문이다. 한국의 가장 위대한 위인, 세종대왕 조차 현재 기준으로 이해하려고 하면 독재자가 되는 것이다. 역사를 이해하려고 한다면 그 당시 상황과 사람들의 의식 속으로 들어가서 이해하거나 과거의 당신으로 돌아가야 한다. 1990년대 이전 까지는 영어로 된 미국 랩의 전체 멜로디를 싹다 그대로 한국어 랩으로 전환하는 것 조차 한국인들의 뇌구조에선 불가능하던 시절이다. 그는 음악 뿐만 아니라 한국인들의 옷을 바꾸었고 법을 바꾸었고 그 세대의 뇌구조까지 바꾸어버렸기에 서태지를 "케이팝의 선구자! 케이팝의 기원!" 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 표절 논란은 이 댓글에 답글로 넣지 말아달라. 표절이 아닌 증거가 차고 넘치는데 굳이 이런 곳에서 까지 그 사람들과 격하게 다투고 논쟁하고 싶지 않다.
@effizzy_kim
@effizzy_kim 4 ай бұрын
한국어랩 전환 노하우가 무슨 의미인지 설명해주실수 있는지 정중히 여쭤봐도 될까요??
@eltonsong1
@eltonsong1 4 ай бұрын
@@effizzy_kim 정중하게 답변드릴께요. 이 이상으로 표현해드리기 힘들어요. "해외의 랩을 우리말 어법과 발음으로 바꿔서 음악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
@bomnar01
@bomnar01 4 ай бұрын
맞아요 표절이 아닌 증거가 차고 넘쳐요. 논문 급으로 많아요. 근거없이 무려 30년이 넘도록 시비만 걸고 있는건 이미지 살인이 목적인 것들이라고 지들 스스로 악쓰는 것과 같다고 생각해요.
@eltonsong1
@eltonsong1 4 ай бұрын
@@khrpml 네~ 심지어 노래 전체를 싹다 베꼈을지라도 그걸 한국어랩으로 바꾸는것 자체가 상상도 못하고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던 시절입니다. 지금 기준으로 생각하면 안되죠. 랩의 특성상 한국어 어순, 운율, 한국식 라임을 하는 것 자체가 완전히 새로운 노래가 되는 시절입니다. 많은 가수와 실험적 뮤지션이 시도하려 했지만 실패하던 시절입니다.
@AttackOnDirectTitan
@AttackOnDirectTitan 4 ай бұрын
샘플링cd, 외국곡 짜집기도 능력인데 인터넷, 유튜브 발달로 그 능력이 빛을 잃어버렸고 새로운 장르는없고 락메탈은 전세계 침체기라 신선한 앨범들은 안보이고 창작은 고통이고 그리하여 앨범 발매 주기는 점점더 늘어만 가는데... zoo : free style, loopzila, quo funk, korn...
@mango-dr4nh
@mango-dr4nh Ай бұрын
시대유감
@hunipark502
@hunipark502 3 ай бұрын
서태지와 아이들? 난 알아요~
@kaomos
@kaomos 3 ай бұрын
신해철 10주기를 맞아 넥스트 "도시인" 리엑션 부탁드려요~^^
@wanggun80
@wanggun80 4 ай бұрын
내 최고의가수 ㅎㅎ 스태지 ㅎㅎㅎ
@blackmoth3238
@blackmoth3238 Ай бұрын
서태지-대경성, 울트라맨이야, 탱크, Orange
@minjunkim9829
@minjunkim9829 2 ай бұрын
Knock off Cypress Hill😂
React to 'Tears' by So Chan-hee who is Legend rocker in Korea
10:05
코리안브로스 | KOREAN BROS
Рет қаралды 555 М.
The Birth of KPOP? Korean Teens React to Seotaiji and Boys FOR THE FIRST TIME
10:30
Try this prank with your friends 😂 @karina-kola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Mom Hack for Cooking Solo with a Little One! 🍳👶
00:15
5-Minute Crafts HOUSE
Рет қаралды 23 МЛН
투애니원 10년6개월만의 콘서트, 미친반응
8:24
불꽃바침
Рет қаралды 147 М.
영국 BBC에서 작정하고 만든 한국 특집 방송
8:15
원더영어 WONDER
Рет қаралды 768 М.
Classical Musicians React: H.O.T. 'I yah!'
16:28
ReacttotheK
Рет қаралды 222 М.
Italian Dad Proudly Shows Off His Trip to Korea
29:07
Mozzarella Girl & Oppa
Рет қаралды 571 М.
[Eng Sub] Pneumonia Patient's Amazing Vocal, Reaction to Korean Singer Sohyang, Voice Coach's Review
38:10
외국인들이 말하는 한국인 특징 "하나 같이 모두 연예인 같아요"
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