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2023 고시원 르포, 7제곱미터의 삶 | 추적60분 1331회 KBS 230804 방송

  Рет қаралды 1,931,187

KBS 추적60분

KBS 추적60분

10 ай бұрын

방송일시 : 2023년 8월 4일 금요일 밤 10시
붕어빵에는 붕어가 없고 고시원에는 고시생이 없다는 말을 들어봤는가? 국가고시가 사라지고 공무원의 직업적 인기가 사그라지면서 고시생은 고시원을 떠났다. 이제 각자의 이유로 고시원에 모여든 사람들이 그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고시원에 사는 인구는 대략 15만 명. 이들의 인생 첫걸음을 위한 디딤돌이기도, 재도약의 발판이기도, 마지막 숨을 내쉬는 곳이기도 한, 3평 남짓 작은 방. 불 지필 곳은 없어도 마음이 더운 사람들이 모여 있는 곳. 도시 생활에 지친 몸 뉠 수 있는 유일한 공간. 《추적 60분》이 이런 도시의 방에 문을 두드려 봤다.
■ 27년 전, 불혹의 고시생...아직도 고시원에 살아요
“96년도에 왔으니까 27년. 벌써 그렇게 되네요. 엊그제 같은데”
30여 년 전, 신림동(행정명: 대학동)은 합격을 꿈꾸는 고시생들이 모인 고시촌이었다. 중장년이 되어도 여전히 신림동에 있는 사람들. 추적 60분은 20년 전 인터뷰했던 불혹의 고시생을 수소문해서 만났다. 27년이 지난 지금, 그는 신림동을 떠나지 못하고 있었다. 시험에 낙방한 후, 그는 경비 일과 막노동을 전전했다. 사는 것이 고역이었다고 말하는 그는 여전히 작은 고시원 방에 몸을 누이고 있었다. 그와 같이 녹록지 않은 삶을 산 이들이 신림동으로 떠밀려 왔다.
신림동 고시촌 담당 사제인 이영우 신부는 이들이 신림동에서 벗어나는 것은 매우 힘들다고 말한다. 그의 말에 따르면 신림동 고시원 거주자들은 일할 수 있는 건강이 받쳐주지 않기 때문에 일자리를 갖기 어렵다. 마치 투명 인간처럼, 힘들다는 목소리조차 들리지 않는 자들이 모인 곳. 《추적 60분》이 그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봤다.
■ 인생의 첫 방...다 살아지더라고요
신촌 고시원에는 케이팝을 사랑하는 브라질 소녀 헤나타가 살고 있다. 신촌의 한 고시원은 마치 외국 대학교의 기숙사를 방불케 한다. 외국인 유학생과 대학생이 신촌 고시원을 인생의 첫 번째 방으로 삼고 있었다. 한편 강남에는 서울로 기회를 잡으러 온 청년들이 머물고 있다. 우리가 만난 고시원 거주자 김종백 씨. 강남으로 출퇴근하는 그의 고향은 전라북도 전주다. 그는 고시원이 디딤돌 같은 곳이라고 말한다. 서울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는 유일한 거주지였다고. 그들에게 고시원은 희망의 또 다른 이름이 아닐까?
“처음에는 고시원이 굉장히 살기 힘들다고 생각했었는데
막상 살아보니까 질만 하더라고요”
-고시원 거주 다섯 달 차, 김종백 씨
■ 오르막길이 있으면 내리막길도 있으니깐요
가족의 해체와 사업의 실패. 예측할 수 없는 인생의 궤적으로 고시원에 다다른 사람들. 그들 역시 한때 한 가정의 가장이었고, 사업체의 대표였고, 방송에 나올만한 대가였다. 그들은 고시원에 살면서도 여전히 희망을 안고 있었다. 용산구의 고시원에 사는 최권표 씨. 그는 기초수급자가 되었지만, 여전히 자신을 도와주는 이들에게 정중히 감사함을 표하고 자신보다 어려운 이들을 돕고 싶다고 말한다. 차를 광택내는 기술에 권위자였던 정삼선씨도 현재 가족과 떨어져 혼자 살고 있지만 목표와 꿈이 있어 버틸 수 있다고 말한다.
■ 인생의 마지막 방...안녕을 물어주세요
고독사의 11%는 고시원에서 일어난다. 고시텔 주인 박영숙 씨는 자신을 고시원 거주자들의 엄마라고 말한다. 모텔 청소부터 시작한 서울 생활. 지금은 고시원 주인이 되었지만, 고생스럽던 시절을 잊지는 않았다. 영숙 씨는 고시원을 운영하며 3명의 죽음을 지켜보았다. 그녀는 막걸리를 부어 명복을 빌어주는 것으로 세상을 떠난 이들에게 예를 갖추었다. 암 환자인 고시원 거주자와 병원에 동행하기도 하고 복날에는 닭죽을 끓여 거주자들에게 식사를 대접하기도 한다. 매일 고시원 거주자들의 안녕을 묻는 영숙 씨의 고시원을 《추적 60분》이 찾아가 봤다.
“여기서 힘든 노인들을
부모처럼 생각하고 도와주고 싶어”
- 박영숙, 청량리에서 고시원 운영 중
《2023 고시원 르포, 7제곱미터의 삶》은 2023년 8월 4일 밤 10시에 KBS1TV에서 방송된다.
Since 1983, 대한민국 최초의 탐사 프로그램
상식의 눈으로 진실을 추적한다
매주 금요일 밤 10시 KBS1 《추적60분》
✔ 제보 : 010-4828-0203 / 추적60분 홈페이지 / betterkbs@gmail.com
▶홈페이지 : program.kbs.co.kr/2tv/culture...
▶카카오톡 채널: pf.kakao.com/_fxgiyxj
▶페이스북 : / kbs60min
▶인스타그램 : / kbs60min
▶트위터 : / kbs1548553

Пікірлер: 2 200
@user-yv2qq2mq5e
@user-yv2qq2mq5e 10 ай бұрын
아침부터 눈물 났어요.ㅠㅠㅠ 마지막 고시원 아주머니. 정말 존경스럽습니다. 대단하시고. 이런, 분들이야말로 귀감이 되고 귀한 분들이지요. 정치꾼들과는 정말 비교할 수도 없네요. 감사합니다. 아주머니....
@songichun5230
@songichun5230 10 ай бұрын
너무 잘 만든 영상이네요. 감명많이받았습니다. 오늘도 묵묵히 하루를 살아가시는 분들 모두들 행복하시고 곧 좋은일생기시길 기도힙니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0 ай бұрын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3백충 , 임대충 , 개근거지(해외여행 못가고 학교만 나오는 가난한 애)" 라고 놀리는 나라. 최근 5년간 가족간 칼부림 50% 증가!!!!! 부모는 자식이 부모 뜻대로 안따라 준다고 , 자식은 부모가 남들처럼 지원 안해준다고 칼부림 급증!!!!!! 힘들어 지면 핏줄을 한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동반 자살)가 매우 흔한 나라. !!!!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 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된 나라.
@user-cm8ls7mc9e
@user-cm8ls7mc9e 10 ай бұрын
저도 눈물을 흘렸어요..감동입니다ㅠ
@user-il8rw7fn5z
@user-il8rw7fn5z 10 ай бұрын
저도 왜 아침에 봐가지구ㅜㅜㅜ 아침부터 펑펑 울었네요ㅜㅜ
@user-vj3qz4ez9v
@user-vj3qz4ez9v 9 ай бұрын
이게 다 서울만 급속도로 발전 시킨 박정희 덕분
@blueguy3237
@blueguy3237 10 ай бұрын
저 마지막 고시원 원장 아주머님은 진심이 느껴져서 맘이 찡합니다. 원장 아주머님도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user-et7uy1rs3l
@user-et7uy1rs3l 10 ай бұрын
돈에 미친 아줌마인데 뭐가 고시원은 공짜로받아야지
@user-sn1yt4vp2t
@user-sn1yt4vp2t 10 ай бұрын
@@user-et7uy1rs3l 당신이 하시면 되겠네 😂
@narikami7780
@narikami7780 10 ай бұрын
​​@@user-et7uy1rs3l그러면 니가 고시원 전체의 전기세하고 식비하고 수도세하고 각종 세금들 내줄래 그러면 그 아주마도 공짜로 전환 할 수 있겠지~ 전라도 놈이랑 민주당 놈들은 공짜 너무 좋아해
@user-cq9in7ml8i
@user-cq9in7ml8i 10 ай бұрын
​@@user-et7uy1rs3l좋은 생각 좋은 말
@tey3314
@tey3314 10 ай бұрын
@@user-et7uy1rs3l인생이 많이 힘드신가봐요
@user-yv4lm8bo9j
@user-yv4lm8bo9j 9 ай бұрын
슈퍼맨이간다 같이 연예인 잘 사는거 보다 우리사회의 어두운 부분울 보여주는 이런 프로그램이 많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오랜만에 수신료의 가치 잘 봤습니다
@carrotlover1121
@carrotlover1121 10 ай бұрын
딱 저 동네에 사는 고시생(행시생)입니다. 다들 힘든 여건에서도 정말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내는 것 같아요.. 모두의 앞날에 행운만 가득하길 마음속으로나마 묵묵히 응원합니다.
@user-ip3cn8id3g
@user-ip3cn8id3g 3 ай бұрын
누가 물어봤나요? 상식이 없으시네요... 아다인가...
@dddk236
@dddk236 3 ай бұрын
​@@user-ip3cn8id3g 상식이 없는건 너 같다 좋아요 168 대 1이 그걸 증명한다
@user-us1lz5wi8u
@user-us1lz5wi8u 3 ай бұрын
모두다 열심히 살고 살다보면 좋은 일도 있습니다. 젊다는건 아무리 돈이 많은 사람도 살수없는 시간입니다 😊
@smithadam7209
@smithadam7209 10 ай бұрын
채팅이나 댓글에 조롱하는 글이 있는데, 인생을 살아보고 느낀 것 중 하나가, 인생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것입니다. 죽을 때까지 승승장구하는 것은 없습니다. 잘되고 돈자랑하던 친구가 한순간에 그지되는 것도 보았고, 쉽게 장애를 가진 것도 보았습니다. 남 조롱하기 전에, 자신을 먼저 돌아보길 바랍니다. 왜냐하면, 당신의 미래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남을 욕한만큼 똑같이 닮아가고 벌을 받기 마련이거든요.
@Jeju-island.
@Jeju-island. 9 ай бұрын
맞아요 제가 만 23세에 희귀병이 생길거라곤 꿈에도 생각 못하고 살았습니다
@user-rj8sk3qm3k
@user-rj8sk3qm3k 2 ай бұрын
네~아주좋은말씀이십니다
@stevielee7631
@stevielee7631 Ай бұрын
매우 공감합니다. 살다보면 힘든시기도 있는데 조롱하는건 아닌것 같네요. 좋은것이든 나쁜것이든 모든 것은 자기에게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니까요.
@user-er3ow5nh8o
@user-er3ow5nh8o Ай бұрын
천년만년살것같고 6:26 자신은죽지않을줄아는인간들은참병신!사람일은어떻게됄지아무도모르기때문에!늘겸허하게살아야하는이유!특히돈자랑,건물자랑많이하는연예인들은한마디로꼴값이요!팔불출!
@Cowm935
@Cowm935 26 күн бұрын
이미 본인의 인생이 암울해서 남을 조롱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풀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user-hh8sc8gf3b
@user-hh8sc8gf3b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원장님 하시는일 잘 되시고 건강하십쇼.
@user-wj3mw4rr6x
@user-wj3mw4rr6x 10 ай бұрын
내 조센족인데 기레 내레 남조선피 쪽쪽 뽀라먹으면서 참 맛깔나게 살고있수다
@user-bg8fn8nh5i
@user-bg8fn8nh5i 10 ай бұрын
저분 지금 현대차에서 운영하는 복지재단에서 복지관 설립해주셔서 복지관장하고 고시원하고 같이 겸하고 계시다네요 … 갓현대차
@user-bq4pm1nj4f
@user-bq4pm1nj4f 10 ай бұрын
​@@user-bg8fn8nh5i34:2023😅😮난 34:33🎉😮ㅡ😅😮아 😮아 😮ㄷ😢알겠습니🎉😮 😮 34:45 ㅡ ㄷ😢난ㅅ😢😮ㅍ😮ㅅ😢😮ㅅ😮ㅅ😮😅😅블 😢😅 37:07 😅루이스는 😢ㆍㅇ😅알겠습니다 😅난ㅅ😮😅 37:03 37:03 퇴근 ㅆ 37:04쓰ㅅㅇ😅?ㅅ😮😢쓰 😮😮😮😮ㅎ 씨😢ㆍㅅ😢ㅅㅅ.ㄷ혀ㆍ😅😮😢😅😮😮아 😮😮😮 36:35ㅡ😮ㅡ😢아 ㅡㅡㄷ😮
@gucci9089
@gucci9089 10 ай бұрын
@@user-bg8fn8nh5i욕할때 욕하더라도 현대차 그룹 좋은일 해줘서 고마운 기업🥰
@user-yr2qg6jo7x
@user-yr2qg6jo7x 10 ай бұрын
​@@user-bg8fn8nh5i❤❤❤❤❤❤❤❤❤
@user-rq8kf6kx6e
@user-rq8kf6kx6e 10 ай бұрын
아버지가 딸한테 부담이 갈까봐 고시원에 살고있단 말도 안하고 힘든 와중에 딸이랑 전화할때 순수한 행복한 표정이 나오는게 "가장" 인게 느껴집니다.. 희망 잃지 않고 다시 일어서시길 바래봅니다
@user-uc7ow3tu3n
@user-uc7ow3tu3n 9 ай бұрын
@@user-doej9sbebx2db그동창은 어머니집에도 한번 안간건가 진짜 이해안가네 어휴
@user-cu9bl5ej7x
@user-cu9bl5ej7x 9 ай бұрын
​@@user-doej9sbebx2db 마음은 알겠지만.. 그 사연 정말로 좋은 부모라고 할 수 있을까요..?
@user-kr6ec3ne6m
@user-kr6ec3ne6m 9 ай бұрын
​@@user-doej9sbebx2db그게 좋은 부모라고???
@user-ny2ul8os9b
@user-ny2ul8os9b 10 ай бұрын
서울로 취업하면서 보증금 낼 형편이 안되니 회사와 가까운 고시원에 1년 6개월 지내다가 최근에 전세대출을 받아 나오게 되었습니다. 고시원에서 지내시는 분들 화이팅입니다!
@lifelove4544
@lifelove4544 10 ай бұрын
와 이 프로 어제 봤는데 너무 감동적이었어요 암울한 얘기만 나오겠구나 했는데 너무나 성실히 사시는 분들도 많고 그런분들 다 잘 되셨으면 합니다. 고시원 운영하시는 분 존경합니다 대단하세요 사람을 진심으로 대하시는 분 세상에는 좋으신 분도 많은데.. 다들 힘내세요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 10 ай бұрын
이번에 정말 신경 써서 제작했단 후문이 있더라구요 ㅜ ㅜ
@user-cm8ls7mc9e
@user-cm8ls7mc9e 10 ай бұрын
저도 감동받았습니다. 묵묵히 살아사시는분들 그자체로 감동이예요 그리고 그들을 응원하는분들도 감동입니다
@chocoy22
@chocoy22 10 ай бұрын
65만원에 2평짜리는 외국인한테 사기친거아니냐 미쳤네 ㅋㅋ
@user-kr7tv5vu3n
@user-kr7tv5vu3n 10 ай бұрын
왜 고양이도 짠해보이노 ㅠ. 그래도 열씸히 사세요 포기마시구요
@user-kk3xy2ov5g
@user-kk3xy2ov5g 10 ай бұрын
@user-ft8so2ww1b
@user-ft8so2ww1b 10 ай бұрын
갑질이 만무한세상에 고시원입주민들을 가족같이 챙겨주시는 원장님 참감사하네요.. 솔직히 내용자체가 다아는 신파분위기인거 같아서 볼까말까 망설였는데 보고나니 가슴따뜻하고 더나은 희망을꿈꿀수있어서 감동이였습니다ㅠㅜ 예상치못했던 팬데믹으로인한 어려움도.. 어려운환경속에서도 열씸히 헤쳐나가시려는 분들의 모습에 고시원이라는 공간이주는 의미는 너무특별하지요..영상속모든분들 앞으로 더좋은일가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JungStockholm
@JungStockholm 9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이 선진국 ? 대한민국전체 수입이 올라쓸뿐 빈곤한사람들에게는 다른 선진국처럼 사회보장제제도 혜택이 없습니다. 선진국들은 세금을 거두어서 빈곤층에 나뉘어줍니다. 그냥 돈을 주는것이 아니라 그들에게 (빈곤층) 스스로 일을 얻을때까지 월세를 지원해주고 생활비 정도, 의료 지원도 이정도 되여야 선진국입니다. 우리나라의 인국감소도 다른선진국처럼 싱글부모애대한 지원도 없기에 불행히도 아이들을 고아원 아니면 베비박스에 버리고 갑니다. 우리나라 정치인들의 말말 현실에 맞는 복지정책이 필요합니다.
@UED_DuGalle
@UED_DuGalle 9 ай бұрын
​@@JungStockholm소득 3만5천불이 안되는 나라이니 가난한 사람들 아직 많은건 어쩔수 없음. 가난을 퇴치하려면? 좌빨들이 잡아먹고 싶어하는 삼성같은 대기업 5개만 있으면 국민소득 5만불 근접하는건 시간문제임. 소득 자체가 높아야 뭐 세금 거둬서 복지를 할게 아님????? 성장, 개발을 무시하고 주구장창 분배만 주장하니까 민주당이 5년만에 정권교체 된거임.
@UED_DuGalle
@UED_DuGalle 9 ай бұрын
​​@@JungStockholm세금을 누구한테 거둡니까? 월 200백 300백 겨우 벌어먹고 사는 자영업자들한테 거둘건가요? 부자들이요? 소득 상위 5프로가 이미 우리나라 전체 세금 절반 이상을 감당하고 있어요. 무조건 부자 때려잡으면 뭐 다 행복해지나요? 그러다가 북한이나 베네수엘라 꼴 나는거에요. 아니 이미 났죠. 문재인땜에.
@Patrick-tn3ll
@Patrick-tn3ll 5 ай бұрын
@@JungStockholm 우리나라 정부 및 정치인들에게 아직까지 약간의 기대라도 있으시네요. 기대할 걸 기대하세요. 국민당이든, 민주당이든...
@nope7215
@nope7215 3 ай бұрын
갑질이 만무한 세상이면 좋겠네요
@user-wj5pn1ih5g
@user-wj5pn1ih5g 10 ай бұрын
30대후반에 가까운 지인에게 사기 맞아서 빚이 수억원 ㅜ 정말이지 죽고만 싶었었는데..어린딸 보며 진짜 이악물며 남에게 나쁜짓 안하고 간절하게 열심히 살다보니 운이좋은건지 노력 덕분인지 여튼 지금은 46인데 돈 걱정 안하면서 잘 살고 있습니다 . 이런글을 쓰는건 최악의 순간순간들을 잘 견뎌내며 열심히 살다보면 분명 최고의 순간들이 온 다는 얘길 해드리고 싶어서욘 마음 깊숙이 진심으로 응원하겠습니다
@iamhappy7777
@iamhappy7777 10 күн бұрын
유투브나 뉴스보면 요새 너무너무 보기 싫고 세상이 싫었는데 이 편은 너무 눈물이 나오고 다들 너무 아름답다 ... 어려운 상황속에서도 너무 열심히들 사시는데 너무 못되고 나쁜사람들이 잘먹고 잘사는거만 나와서 내 속이 상했었나보다 다 잘되셨으면 좋겠다 꽃보다 아름다운 분들
@soo2200
@soo2200 10 ай бұрын
연예인들 일상의 배부른 영상보다 이런 가슴 뭉클한 영상이 훨씬 낫다. 등장인물 모두 건강하고 행복 하시길 바랍니다!
@user-up6wt6fv8n
@user-up6wt6fv8n 8 ай бұрын
연예인들 기브줌해라 나와서 노가리까구한달몇천만원벌구말이야
@democracy7171
@democracy7171 8 ай бұрын
@@user-up6wt6fv8n 옳소.
@bjhkkk
@bjhkkk 7 ай бұрын
맞아이게진짜우리네리얼인생
@Joy-ml5wk
@Joy-ml5wk 5 ай бұрын
@@user-up6wt6fv8n자기들이 열심히 해서 번 돈인데 이래라 저래라 할 순 없지
@dryu252
@dryu252 5 ай бұрын
@@user-up6wt6fv8n 거진가 ㅋㅋㅋ 기부를 하라 마라고 ㅋㅋㅋ 구걸을 해라 아예
@user-so6cx8cw6r
@user-so6cx8cw6r 10 ай бұрын
현재 대치동 재수학원 다니느라 고시원 살고있는 학생입니다 지방에 살아서 통학은 힘들고, 집안 형편 상 원룸은 부담스러운 제게 고시원은 아늑한 보금자리가 되었답니다 올해는 꼭 좋은 결과를 받아서 부모님과 같이 살 수 있었으면 좋겠어요 저같은 재수생분들이 있다면 오늘도 힘내세요!!!!
@user-gc5id4rf3g
@user-gc5id4rf3g 10 ай бұрын
우리 청년들이 고생이 많네요.. 힘내고 차근차근 하나씩 이뤄가길 바랍니다.
@mosqava
@mosqava 10 ай бұрын
좋은결과있길 기원해요
@user-sr7yq4ci9t
@user-sr7yq4ci9t 10 ай бұрын
토닥토닥 힘내시구요 올해는 원하는 대학 꼭 합격하기를 바랄께요 홧팅
@user-zx2wf3nh4j
@user-zx2wf3nh4j 10 ай бұрын
좋은 결과 있길 기원합니다.
@timy0905
@timy0905 10 ай бұрын
힘내시고 반드시 좋은 결과 있으시길 바래요!!!!!!
@white-nine8726
@white-nine8726 10 ай бұрын
와 마지막 분은 진짜 ... 할말이 없다. 저게 저렇게 할 수가 없는건데... 존경을 넘어서서 신비하기까지. 더군다나 종교도 없으신데. 그리고 사족이지만 일단 건강한 신체를 타고 나신거 같아요! 외견상으로 봐도! 아프지 마시고 건강하세요~~
@Bangtang_Aje
@Bangtang_Aje 9 ай бұрын
저도 98년에 제대하고 고시원 생활하다 정말 운 좋게 미국에 이민와서 지금은 공무원 생활하며 자리잡고 잘 살고 있는데 이 영상을 보니 옛날 생각에 눈물이 나네요. 살아 있는 한 희망은 있읍니다.. 다들 힘내세요
@hskyu010260
@hskyu010260 10 ай бұрын
울것도 아닌데 아침부터 눈물나네요. 다들 사는 모습에 존경을 표합니다. 행복하세요!!
@user-cm8ls7mc9e
@user-cm8ls7mc9e 10 ай бұрын
저도 눈물흘렸어요.. 너무 귀감이 되네요
@user-ur9ef1cy2u
@user-ur9ef1cy2u 8 ай бұрын
ㅜㅜ
@IPV-ue3hx
@IPV-ue3hx 8 ай бұрын
노망 ㅠ
@seung-jaelee884
@seung-jaelee884 10 ай бұрын
과거 아주 짧은 기간이지만 고시원, 반지하에 살아 봤는데... 참 정신이 피폐해집니다. 저기서 살면서 자신의 일을 묵묵히 하시는 분들. 정말 대단한 겁니다. 건강 잘 챙기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두 평화를 빕니다.
@pattisoul1
@pattisoul1 10 ай бұрын
거기아니면 먹고잘때가 없으니 묵묵할수밖에 더있나 아니면 노숙인데
@jobs1111111
@jobs1111111 10 ай бұрын
@@pattisoul1누가 그거 모르고 글을 썼을까요... 뭐 대단한 거 아는 것마냥 비아냥 거리는데... 진짜 그거밖에 안되나요? 마음이 그렇게 좁나요? 주변에 이런 사람 있을까봐 겁나네요
@user-uc7ow3tu3n
@user-uc7ow3tu3n 9 ай бұрын
⁠@@jobs1111111감성팔이 그만 쳐 좀!!마음넓으면 기부을 쳐하자 글하나 달랑쓰면서 아~난 마음넓어 이러지말고. 이러면 또 쥐꼬리만한 기부 이상한곳에 하면서 난 기부도해 빼애애액 이러겠지 어휴
@ohhoho5876
@ohhoho5876 8 ай бұрын
​@@user-uc7ow3tu3n와...피해망상 오지네...
@user-oe3gn8jp9i
@user-oe3gn8jp9i 4 ай бұрын
저도 일주일 정도 잠깐 있어봤는디 사람 살곳 못됨.. 저기서 진짜 공부해서 타이틀 들고 나가시는분들은 겁나독종임
@albertkim7803
@albertkim7803 10 ай бұрын
저도 꽤 오래 이 생활을 했습니다... 다행히 약대 합격해서 지금은 애들 셋 키우며 살아가고 있지만, 한 번도 이 생활을 잊은적 없습니다.. 그냥 내 삶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며 끝까지 잘 봤습니다. 누구나 이 삶을 살아갈수도 또는 도약할 수도 있다는 것.... 힘내시고 화이팅!
@LeeLee-qk9xh
@LeeLee-qk9xh 4 ай бұрын
건강하게 아이들과 행복하게 사세요
@JinsungKim-bc4dh
@JinsungKim-bc4dh 10 ай бұрын
사회의 구석구석 보이지 않는 곳에서 힘들지만 희망을 가지고 살아가는 모든 분들께 박수를 보냅니다.
@globeamaranth5371
@globeamaranth5371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원장님 정말 대단하십니다. 건강하세요.
@user-qi7sm3cs9o
@user-qi7sm3cs9o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2년6개월 살아봤습니다 고시원이 무서운게요...처음에는 숨막히고 벗어나고 싶은마음이 굴뚝 같은데 적응을 하니까 어?여기 괜찮은데? 이렇게 사람이 자기 합리화가 되어버립니다 그 구간을 뚫지 못하면 벗어나기 힘든곳이 고시원 입니다
@user-iq2xr1jl2o
@user-iq2xr1jl2o 10 ай бұрын
맞아요.캡슐에 금새 적응되더군요.
@user-ls9pp9zd3h
@user-ls9pp9zd3h 10 ай бұрын
보면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고시원은 고시생들만 사는 곳인 줄 알았던 저에게 새로운 사실을 알게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그 곳엔 정말 다양한 사연과 슬픔을 가지고 계시는 분들이 있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영상 중에서 딸과 전화할 때 함박 미소를 짓는 분을 보고 뭉클해졌고 고시원 주인분이 자신의 부모를 챙겨주고 싶은데 챙겨주지 못 해 여기 계시는 분들을 부모처럼 생각하고 챙겨준다는 말을 듣고 정말 감사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누굴 챙겨준다는 게 정말 쉽지가 않은 일인데 대단하십니다. 어디선가 복이 들어올 것 입니다. 이 영상을 보고 돈을 조금이라도 아낄라고 노력해야 겠다는 다짐과 공부를 더 열심히 해야 겠다는 생각, 또 나보다 힘든 사람들이 나보다 더 열심히 사니까 나도 더 열심히 살아야 겠다는 다짐을 했습니다. 좋은 프로그램인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고시원에 계시는 분들이 행복하시길 바라겠습니다.
@gangminny
@gangminny 10 ай бұрын
후 고시원..총 1년 살아봤는데.. 집이 좁으면 심리적으로 여유가 없어지는게 맞긴한듯.. 그나마 좋은옵션 찾아서 샤워실 안에 있고 작은 창문 하나 있는데로 골랐는데 군대 전역하고 21살에 자취 시작해서 고시원 밥, 라면, 김치 세가지 무료음식으로 아침 저녁 버티고.. 결국 원룸으로 이사가고 또 더큰집으로 이사가고 결혼하고 아파트 샀을때 속으로 눈물삼키고 계속버텼네요. 버티고 버티다보니 이젠 여유도 생겼고, 곧 아이 낳을 준비도 하고 진정한 어른이 되겠죠. 참 돌이켜보면 좋은 거처였지만, 그때는 항상 불안하고 우울하게 되는 힘든 형편의 시절이였어요. 그래도 고시원이 있어서 혼자 자립할수 있었던것 같아요. 전국에 계신 고시원에서 생활하시는 분들 늘 건강 관리 잘하시고 끈질기게 버티다보면 언젠간 빛을 보실겁니다! 힘내세요😊
@transportation1642
@transportation1642 10 ай бұрын
외국 나와서 사업한지 약 15년.. 적성 찾느라 방황하던 20대 후반시절 고시원에서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몸부림치며 눈물 흘렸던 기억이 있네요. 지금은 그때보단 많이 여유로워져 돌아가고 싶진 않은 시절이지만 아련하고 가슴이 시리던 추억이 있는 고시원 영상 잘봤습니다. 모두 희망가득한 하루하루 사시길..
@user-le5pp9dp1j
@user-le5pp9dp1j 10 ай бұрын
인생은 좋은 회사취직이 아니고 순간적인 운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들 화이팅 누구나 기회는 오겠죠 단지 빠름과 느림의 세월 낚시가 아닐까요
@pattisoul1
@pattisoul1 10 ай бұрын
​@@user-le5pp9dp1j순간적인 운만따르며 살면 인생 종치는거임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 10 ай бұрын
늘 건강하시고 행복하십시오 ❤
@user-oy5us4cd9g
@user-oy5us4cd9g 10 ай бұрын
적성은 어떤식으로 찾아야 할까요...?
@user-le5pp9dp1j
@user-le5pp9dp1j 10 ай бұрын
인생은 똑똑 하다고 성공하는게 아니고 서울대 나온다고 잘사는게 아니지 살아보니 그때그때 운빨이다 그걸 제대로 낚는자와 좋은인성 모든게 조화로울때 ~~욕심부린다고 학벌 좋다고 절대 성공하는게 아녀
@4415c
@4415c 10 ай бұрын
어려운 여건에서도 묵묵히 삶을 살아가는 모든 분들 존경하고 응원합니다.
@pattisoul1
@pattisoul1 10 ай бұрын
존경까지는 아니고 살아야하니 어쩔수없는 현실이죠,,응원합니다
@user-ni6xv2tp6y
@user-ni6xv2tp6y 10 ай бұрын
존경할게그리업나...ㅋㅋㅋ
@user-hn7hy7fr1p
@user-hn7hy7fr1p 10 ай бұрын
​@@user-ni6xv2tp6yㅋㅋㅋㅋㅋㅋ
@user-eu9pf8yt9c
@user-eu9pf8yt9c 10 ай бұрын
영상보니까 정삼선?씨는 충분히 존경할만 하네,,
@user-ic1dj5tf7r
@user-ic1dj5tf7r 10 ай бұрын
19년간 자살율 세계 1위 인데도 남이 죽든말든 , 남이 고통 있든말든 매일 국뽕 먹고 "오~ 필승 코리아" 만 외치는 나라!!!!!!! 말 못하는 아기들을 수십년간 해외입양 세계 1위. !!! 초저출산 세계 1위 . 은둔형 외톨이가 61 만명. 한국에 대한 문제점을 말하면 "그렇게 불만이면 너가 이민 가라" "너는 어느 나라 사람이냐?!" "너가 게을러서 그렇다 . 더 노력 해라" "너나 잘 해라".... 전부다 개인탓만 하는 사이코패스적인 사회!!!!!!!! 매년 국적 포기자가 한국은 2만명 정도 , 인구 2.5배 많은 일본은 3천명 정도 . 일본 보다 16배 국적 포기자 많은 한국. 애들이 부모 소득에 따라 "2백충, 3백충 , 임대충 , 개근거지(해외여행 못가고 학교만 나오는 가난한 애)" 라고 놀리는 나라. 최근 5년간 가족간 칼부림 50% 증가!!!!! 부모는 자식이 부모 뜻대로 안따라 준다고 , 자식은 부모가 남들처럼 지원 안해준다고 칼부림 급증!!!!!! 힘들어 지면 핏줄을 한운명체로 보고 가족 살해(동반 자살)가 매우 흔한 나라. !!!! 제사로 핏줄 연결을 끊임 없이 각인 시키는 나라. !!!! 진보 , 보수 할것 없이 핏줄 퍼주기에 혈안이 된 나라.
@lucyissocute
@lucyissocute 9 ай бұрын
참 삶이 라는게... 언제 어느순간에 어떻게 될런지 알 수가 없더라구요 저는 서울역 쪽방촌에서 도시락 봉사를 몇년째 하고 있는데 봉사 첫 날 쪽방촌 환경을 보고 3일 내내 집에 갇혀 눈물을 흘렸어요... 그러면서 같은 인간으로서 인간의 끼니를 위하여 평생 봉사활동을 다짐했는데 박영숙 원장님 보면서 아 ... 정말 너무 감사하고 행복하고... 고생도 많이 하셨는데 얼굴이 맑고 밝은 걸 보니 인생의 참다움은 이런 것이구나 많이 느끼고 배웁니다 건강하시고 많은 분들께 마음을 전해주세요 이 시대의 천사 박영숙님 행복을 기원합니다 😊🍀
@serioud
@serioud 10 ай бұрын
영숙 원장님 어떻게 저렇게 정 많고 마음이 따뜻하신지....요새도 저런 분이 있다는데 마음이 따뜻해지네요.
@user-nh5xq1rr4u
@user-nh5xq1rr4u 10 ай бұрын
너무 훌륭한 프로그램입니다. 고시원 사시는 분들, 열심히 사시는 모습 응원드립니다. 조만간 지금보다 조금 나은 생활이 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user-kn2qp6sh6o
@user-kn2qp6sh6o 10 ай бұрын
바라지만 말고 전투적 기부를 부탁드려요
@man513
@man513 10 ай бұрын
ㅁㅈㅇ 보고 있나 ㄱㅅㄲㄴㅇ
@_ChrisEvans
@_ChrisEvans 10 ай бұрын
​@@user-kn2qp6sh6o이런분들은 말로만얘기합니다! 본인호주머니에서 10원이라도 나가면 바로 발작합니다😂😂😂
@pattisoul1
@pattisoul1 10 ай бұрын
돈없어서 저러고 밑바닥인생 사는 중년은 나아져봤자예요 집한채 못얻고 저러고삽니다
@user-yp3dl6sm8z
@user-yp3dl6sm8z 10 ай бұрын
실패를 안하는 사회가 아니라. 실패해도 다시 재기할수있도록 완충장치가 잘 되어있는 사회가 되도록 우리사회가 다 같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들었습니다. 노력하면 그래도 일어설수있는 건강한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grrace5282
@grrace5282 4 ай бұрын
❤ wow 영상을 보니 눈물이 나네요/ 부모님 사업 실패로 어린시절 고시원 생활을 거쳐 2020년 명문 의과대학에 입학하였습니다 현재는 의대 본과 3학년이 되었습니다 고시원에서 힘들게 사시는 모든분들 꼭 희망가지고 사시기 바랍니다 응원합니다❤
@alaldhqk3131
@alaldhqk3131 4 ай бұрын
나이먹어서 돈 없으면 정말 비참해보인다.. 정신 바짝 차리고 갑니다
@user-pq8mx1yg1h
@user-pq8mx1yg1h 3 ай бұрын
비참한 정도가 아니라 지옥이죠ᆢ 저도 늘 긴장하며 재력 지키고 키우는 중입니다
@user-cg9fk6rd5e
@user-cg9fk6rd5e 10 ай бұрын
예전 17년 전에 고시원에 반년 좀 넘게 살았었는데 창문가지고 고민했던 생각이 나네요. 어디에서 살던 다 자신만 만족하고 행복하면 그게 제일 입니다. 모두 화이팅합시다!!!
@user-sh7ks9om9q
@user-sh7ks9om9q 10 ай бұрын
저도 ㅎㅎ15 년 전에 창문있는방에 살지 말지 냉장고 넣을지말지 ㅎㅎ 고민했네요😅
@user-xi4jg3oq9f
@user-xi4jg3oq9f 10 ай бұрын
최권표님 사연듣고 눈물이 났어요 항상 긍정적으로 열심히 사시는 모습이 정말 멋있습니다 지금은 힘이 들어도 나중에 남을 도와야한다는 말씀에 많이 배웠어요 힘내세요~!!!! 응원합니다 꼭 가족분들 만나셔서 행복한 노후를 보내시길 바래요 마지막에 나오신 원장님도 자신이 힘들어도 주변사람들을 챙기시는 모습에 감동받았어요 팍팍한 삶에 다른사람들에게 한줄기 희망이 되주는 모습이 멋있습니다 팍팍한 인간사회에서 정말 많이 배웁니다 우연찮게 본 추적60분 정말 많은걸 깨닳게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alicer2531
@alicer2531 10 ай бұрын
전 갠적으로 최권표님 사연이 안타까운 반면 이해가 안가네요… 20대 미국 이민가서 30년 동안 미국서 자리잡고 50에 잠깐 한국 나오셨다 일이 꼬이셨다는데 …가족도 미국에 있으신데 그들은 왜 도움을 안주고 있는지…참…답답하네요
@user-xi4jg3oq9f
@user-xi4jg3oq9f 10 ай бұрын
@@alicer2531 저도 똑같은 생각이 들었어요 답답하죠 참
@SilkShoes
@SilkShoes 10 ай бұрын
​@@alicer2531 나이가 50세면 가족에 의존할 나이가 아닙니다. 😅 가족을 이끌어 가야할 왕성한 나이에 한국에 와서 커다란 투자 실패를 한 것 같아요. 🙄 가족에 의존할 나이는 19세 이하와 65세 이상으로 보아야 합니다. 요즘은 65세에도 자식에게 의존하지 않고 사는 사람 많아요. 😊 고시원 원장 처럼 말입니다.
@alicer2531
@alicer2531 10 ай бұрын
@@SilkShoes 님의 말이 옳죠 하지만 저분은 누가 봐도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고 도움을 받고있잖아요? 국가와 사회의 도움 이전 가족의 도움이 우선이라고 생각하구요..그게 안되는 상황이면 어쩔수 없지만요..냉정하게 들리시겠지만요..
@SilkShoes
@SilkShoes 10 ай бұрын
@@alicer2531 시대에 따라 기준이 달라지는 것이지요. 옛날에는 20세까지 부양을 받고 사회로 진출하여 30세 즈음에 자식을 부양하며 60세 부모를 동시 부양하는 것이 전통적 자본주의지요. 🥳 그런데 베이비붐세대가 사회에 진출할 시기에 보통 4~6명의 자식들이 부모를 공동 부양하고 자신들은 2명의 자식만 부양하는 적은 인구인 부모와 적은 인구의 자식을 30세가 넘도록 부양하였어요. 또한 풍부한 노동력으로 경제부흥을 주도하였으며 국민연금 1세대로 자신의 노후까지 스스로 해결하는 세대가 되었지요. 따라서 이들은 부모를 부양하고 자신은 부양 받지 못하는 세대가 현재 은퇴가 시작된 58년생~60년생입니다. 🥺 그럼 이들의 자식인 에코세대는 부모들 인구와 비슷하지만 부모부양도 안하고 미래에 자신들의 자식이 0.7명 뿐이어서 부양을 받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 결국 국민연금과 건강보험료, 그리고 소득세와 소비세(부가세) 납부해줄 외국인을 수입하여 정착시키는 다문화 국가로 갈 수 밖에 없습니다.
@boyold8909
@boyold8909 10 ай бұрын
50대 중,후반 중년입니다만, 이 방송을보고 눈물도 나고, 많이 후회하고, 낮은 자세로 겸손하게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해봅니다. 저는 몇일 전 퇴직 전의 근무 분야 전공을 살려 알바를 갔었는데, 알바근무지에서 제공 해주는 주차장이 근무지와의 거리가 400~500m 정도라, 제가 불평하고 불만스러워 알바 안하겠다고 포기하고 되돌아 왔었는데, 이 방송을 보니 저 자신이 너무 부끄럽고 교만했다고 느껴져, 반성하며 앞으로는 겸손하게 살아야 겠다고 다짐 해봅니다.
@user-kr7tv5vu3n
@user-kr7tv5vu3n 10 ай бұрын
이런자기돌아보는것. 너무좋아요 저도항상 마음나추려고 노력해요
@user-ib6nt8zh9g
@user-ib6nt8zh9g 10 ай бұрын
줄타시는 뇌경색걸렸던 아저씨 꼭 잘되실거에요 응원할게요 죽으면 이 힘듦도 다사라지고 정말 아무것도 남지않게되요 3억 빚을 다 갚으셨다니 정말 한다면한다의 표본이신거같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채무변제하면 다국민들의 빚이되는데요 존경합니다 정말
@user-ik7ft6sg9j
@user-ik7ft6sg9j 6 ай бұрын
못갚았어...갚는중이라는데 뭔소리여
@user-iw9hg8iz5w
@user-iw9hg8iz5w 10 ай бұрын
이런 방송이 진정한 방송입니다 연예인들 은퇴한 운동선수 현역으로 뛰는 자식놈까지 나와서 농담하고 웃으라는 게 방송이 아닙니다 KBS 파이팅입니다
@user-oe5zh4ev5j
@user-oe5zh4ev5j 4 ай бұрын
자기능력대로 사는게인생임 잘사는거시기질투하는것들이 딱저렇게살더라
@eslee0070020
@eslee0070020 4 ай бұрын
​@@user-oe5zh4ev5j저렇게 살다보니 시기질투하는거지
@cdh8208
@cdh8208 4 ай бұрын
아니긴뭐아니야. 딱보니까 불만이 가득하네. 그러니 인생이..ㅉ
@user-jr7he6dr9o
@user-jr7he6dr9o 10 ай бұрын
300평 대저택에 사나 3평 고시원에 사나 모두 똑같이 소중한 인생, 모두다 똑같이 흙으로 돌아갈 인생. 고시원이라는 희망을 보여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작진 여러분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마지막 고시원 원장 아주머님의 마음에 감동합니다.
@user-wz4jn6uf8j
@user-wz4jn6uf8j 10 ай бұрын
밥만 제대로 먹고 운동하시면 어디애 살든 활기있게 살 수 있습니다.
@hiphopbottle
@hiphopbottle 10 ай бұрын
똑같이 소중하지는 않음 미안하지만
@pisapasa
@pisapasa 10 ай бұрын
​@@hiphopbottle넌 왜 그렇게 꼬였니?
@onyoukim7952
@onyoukim7952 10 ай бұрын
알몸으로 왔다 알몸으로 가는 인생입니다
@jerryyoon2633
@jerryyoon2633 10 ай бұрын
@@OI0H7l 죽을 때까지 부모탓만 할거냐?
@user-jf7cg9vg5b
@user-jf7cg9vg5b 2 ай бұрын
은근 공무원 시험이 중독성이 있다. 처음에는 할만하다. 점수를 보고 조금만 더하면 된다. 하지만 그렇게 길어지면 못빠져 나옵니다. 때로는 그만둘 수 있는 용기도 필요합니다. 너무 오래하게되면 다른 직업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듭니다.
@user-oh4cp5cj5f
@user-oh4cp5cj5f 4 ай бұрын
마지막에 나오는 저런 고시원을 후원해야 합니다 저곳은 내가 보니 진짜임 인상이 좋으신 분입니다
@user-cq5je8wz7j
@user-cq5je8wz7j 10 ай бұрын
모든분들 희망을 잃지않고 살아가실길.. 특히 출연하신 권표아져씨.. 어디에서나 행복하시길. 마지막에 고시원 하시는 원장님 정말 존경 합니다.
@asyork
@asyork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원장님.. 많이 배웁니다. 좋은 학교, 좋은 직장에서의 배움보다 이런 배움이 더 소중하게 느껴지네요.
@user-iy4dj4it7b
@user-iy4dj4it7b 10 ай бұрын
좋은 학교 좋은 직장에서 배운적은 있음?
@cloudeditor824
@cloudeditor824 9 ай бұрын
@@user-iy4dj4it7b 비응신
@bbssgg-tx6mi
@bbssgg-tx6mi 8 ай бұрын
@@user-iy4dj4it7b안타깝다 이런 댓글 달으시는 분들 보면..
@user-qp6ic9rs1x
@user-qp6ic9rs1x 8 ай бұрын
어케 아가 베베 꼬였냐 말 꼬라지하곤...
@heellee259
@heellee259 7 ай бұрын
​@@user-iy4dj4it7b왜 사니?
@yro3593
@yro3593 10 ай бұрын
중국동포 원장님 열심히 살아오시면서 자녀들도 잘키우시고 고시원까지 인수하셔서 마지막에 내몰린 사람들을 따뜻하게 보살피시는 모습 존경스럽습니다 고시원도 낡았지만 청소가 잘되어 있어서 아늑해 보입니다 배울기회가 없으셔서 그렇지 배우셨다면 분명 좋은 학벌과 직업을 가지셨을 겁니다 중국동포에 대한 선입견을 미약하게 가졌었는데 많이 반성합니다 건승하세요❤
@user-ji4ew2uk8b
@user-ji4ew2uk8b 9 ай бұрын
항상 건강하세요.
@_kangwriter
@_kangwriter 10 ай бұрын
열심히 살아가는 분들의 모습을 보면서 반성도 하고 위로도 받았습니다. 요즘 여러모로 어렵고 고단한 시기인데 모두 힘내셨으면 좋겠습니다. 부디 건강하세요.
@user-yl6zw2xj5q
@user-yl6zw2xj5q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원장님께서 힘들게 살아오셔서 그런지 사람들의 마음을 잘 헤아리고 챙겨주시네요ᆢ 복 많이 받으시고 더 잘되시길 바라겠습니다~~
@user-kl7ww4jz5t
@user-kl7ww4jz5t 10 ай бұрын
저도 한창 청춘 일때 서울 경기도에서 고시원 생활 했습니다! 어머님이 올라 오셔서 제 모습보고 눈물도 흘리셨는데 지금은 안정적인 삶을 살고 있네요! 고시원에 사시는 여러분들 희망을 가지시고 행복하게 사셨으면 합니다
@handsome352
@handsome352 10 ай бұрын
난 광택사장님 멘탈이 대단하신거같다 자기분야에서 정상급까지 갓으면 그 부유함을 누렷을텐데...그 부유함을 누리다 추락하면 대부분 포기하고 폐인이되던데 다시 일어설려고 하루18시간 이상을 일하시고 대단하시다 건강이 최고고 잘먹고 잘자는게 최고의 보약이라던데 이제 나이가 있으시니 건강챙기시면서 천천히 가시길..아무튼 존경합니다
@user-hc4hq6wl2y
@user-hc4hq6wl2y 10 ай бұрын
고마운 원장님 감사 인사 드립니다. 마음이 무거우면서도 따뜻해지네요. 아울러 좋은 프로그램 감사합니다!
@LifeisshortandthenyouDie
@LifeisshortandthenyouDie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원장님 어머니 같이 챙겨주시고 보살펴주셔서 너무감사합니다~~~~!!^^
@Morpho501
@Morpho501 10 ай бұрын
이해를 못하겠어 미국비자 문제생겼다고하시니 시민권은 아니셨도 영주권이셨다가 문제가 생기신거같은데 ....가족분들이 어떻게 못하나? 성품이 너무 좋으신데 일 잘풀려서 돌아가실수있으셨으면 ...
@jjj5821
@jjj5821 10 ай бұрын
저도 이해가 안가요 단순비자문제가 아닌듯해요 첨부터 불법이민으로 남의 명의를 사용한건지 세금을 안낸건지 비자문제가 아니고 저정도면 뭔가 추방당해서 아예 입국안되는 상황이랑 비슷한거 같은데 궁금하네요
@dkjdjddjjj1462
@dkjdjddjjj1462 9 ай бұрын
저도 궁금해요 가족과 연이 끊어졌다는게… 혹여나 못만나는사이어도 돈은 보내줄수있을텐데..?..
@user-uk7kj7vi2k
@user-uk7kj7vi2k 9 ай бұрын
이해가안되네..다 큰 성인이..
@user-cf1fb1pe6l
@user-cf1fb1pe6l 9 ай бұрын
진짜 님같은 마음가짐 부러워요..... 제 주위에도 있었으면 하는..그런마음.. 지인분들 행복하시겠어요 ........저는 이제 끝자락 이라.... 배운거없어 그냥...숨쉬는거조차 님 같은 분들에게 미안해하고 지내네요.....
@ohhoho5876
@ohhoho5876 8 ай бұрын
보는 내내 마음이 아프네요. 사연은 잘 모르지만 일이 잘 해결되서 비자 문제도 가족과도 다시 만나시길 기도합니다..
@user-pu2sr5we6u
@user-pu2sr5we6u 9 ай бұрын
정말 고시원 얘기라서 암울하기만 할 줄 알았는데 각양각생의 사연도 있고 감동도 있어서 보는 내내 많이 울고 마음도 많이 따뜻해졌습니다. 누군가는 고시원을 막바지 인생이라고 할지 모르지만 실제 그 안에는 삶의 희망을 안고 그 누구보다 떳떳하고 열심히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을 잊지 않겠습니다. 모두 힘내시고 어제보다 더 나은 내일이 되길 바라겠습니다.
@brianmorgan8335
@brianmorgan8335 10 ай бұрын
원장님 너무나 고맙습니다 저도 내년에 한국가면 꼭 찿아뵙고 싶습니다 원장님 같은 분이 있어서 우리가 사는 세상이 좋은것 같습니다
@borabetty7705
@borabetty7705 10 ай бұрын
사람일은 정말 어찌될지 모르니 어떤상황에서도 긍정적이고 겸손한 마음으로 살아가야겠네요 방송에 나오신분들 긍정적이여 보여서 보기좋습니다 화이팅요~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 10 ай бұрын
옳으신 말씀입니다
@user-jo7ek9xo3g
@user-jo7ek9xo3g 10 ай бұрын
사람일 진짜 어찌될지 모르죠..
@minowoo
@minowoo 10 ай бұрын
20년전에 수험생활하던 분을 다시 만났는데 아직도 거기서 헤어나오지못한 걸 보니 기분이 이상하네요 참담한 기분도 들고..처음에 나온 저 분은 대체 그동안 얼마나 힘들었고 지금은 얼마나 허무할까..
@kim_dulli
@kim_dulli 9 ай бұрын
고시원장님 대단하십니다 응원의 박수보내드려요
@hansimon7371
@hansimon7371 10 ай бұрын
이번편은 역대급 기획이였네요. 가슴이 뭉클해지면서 울컥해지네요. 감사합니다
@tattvamasi21
@tattvamasi21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원장님 감사하고 건강하세요. 늘 보이지 않고 소외된 사람들 살피며 살아가겠습니다.
@auh4665
@auh4665 10 ай бұрын
@@OI0H7l불쌍하노 ㅋㅋ
@a26126980
@a26126980 10 ай бұрын
@@OI0H7l사회에서 안마주쳤으면 좋겠는유형 ㅠ
@user-ud2hw8kl4j
@user-ud2hw8kl4j 10 ай бұрын
아무데나 위선 드립 ㅉㅉ
@jobs1111111
@jobs1111111 10 ай бұрын
@@OI0H7l더러운 세상 위선이라도 떨어야지 서로서로가 위로되지 않을까요? 님 멍청하고 무례한 거 제가 직접 말하면 좀 그렇잖아요... 이해돼요? 안될라나...
@user-nx2zz6qn5v
@user-nx2zz6qn5v 10 ай бұрын
저도 첫 사회생활 독립을 고시원에서부터 시작했었는데요 집안이 망해서 당장에 원룸보증금도 없어서 급하게 고시원에들어가서 일자리 알아보고 취직해서 2년동안 빡세게 돈모아서 원룸으로 이사간 기억이 있는데 2평남짓 고시원에 있다가 원룸으로 이사가니 너무 행복했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은 투룸전세로 살고있습니다😂
@user-Griezman
@user-Griezman 10 ай бұрын
십년 후에 당신은 더 넓은 집으로 갈거예요
@user-yz8yj6sq1q
@user-yz8yj6sq1q 10 ай бұрын
전세 못 받습니다 집주인 연락해보시길
@user-xx5rl9dz1n
@user-xx5rl9dz1n 10 ай бұрын
참 성실하시네요 행복하세요
@user-vx1rr9vu8l
@user-vx1rr9vu8l 10 ай бұрын
@@OI0H7l인간아 아프면 입원을해라
@user-ip5nh6mb1l
@user-ip5nh6mb1l 10 ай бұрын
대견하네요
@user-ky6st6yy3y
@user-ky6st6yy3y 9 ай бұрын
마지막 여자원장님 고시원은 어딘가요? 소소한 선물이라도 보내고 싶네요.
@ockhams-razor
@ockhams-razor 10 ай бұрын
좋은 프로그램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고시원 원장님 멘트들으면서, 그리고 ‘묵묵히‘ 이겨내시는 이 시대의 진정한 멋쟁이 어른들의 모습을 보면서 😂 정말 펑펑 울고나니 가슴이 좀 후련하네요. 다들 화이팅입니다
@KPJSA
@KPJSA 10 ай бұрын
수신료의 가치와 보람이 느껴지는 좋은 방송이네요. 잘 봤습니다. 제작진분들 감사합니다.
@user-bc3uf6jw1x
@user-bc3uf6jw1x 10 ай бұрын
응 수신료 폐지 ㅋㅋㅋㅋㅋ
@user-tn8jt4ei9p
@user-tn8jt4ei9p 10 ай бұрын
갈수록 부익부 빈익빈이 심화되는 세상에 부자감세 고집하는 깡통령
@Ddking10023
@Ddking10023 10 ай бұрын
응 좌빨들만 수신료내라.민주당 기관방송이잔냐 월급은 절반만 받고 공영방송의 가치 열심히 지켜라
@user-lz9rw3fd2m
@user-lz9rw3fd2m 10 ай бұрын
​@@user-tn8jt4ei9p부자들 세금이 줄면 저 사람들을 위한 일자리가 더 창출되는건 생각 못 하냐 ㅋㅋ
@ys12636
@ys12636 10 ай бұрын
이런건 kbs가 잘만듬 재미대가리없는 예능 만들지말고 이런거나 만들어라
@user-ducati93
@user-ducati93 10 ай бұрын
지방에서 살다 서울로 직장을 옮겨서 고시원에서 6개월째 머물고 있어요 애들이 중고생들이라 바로 거처를 옮기는게 어려워 고시원 생활을 하고 있네요. 첨에 좁은 환경에서 적응하느라 힘들었지만 곧 가족들과 함께 지내리라는 희망으로 하루 하루 보내고 있습니다.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알 수 있는 좋은 프로그램 너무 감사합니다
@user-ip5nh6mb1l
@user-ip5nh6mb1l 10 ай бұрын
좋은일 많이생기길 바래요
@user-to2sx7kk4e
@user-to2sx7kk4e 9 ай бұрын
힘든 상황에서도 웃고, 포기하지 않고, 내일을 준비하고, 밝게 생활 하시는 분들의 모습들이 감동적이었습니다. 나자신을 돌아보게 돼고, 특히 노인들을 돌보고 가족처럼 여기시는 고시원 원장님은 저분이 하느님이시구나 순간 느꼈습니다. 이런 프로를 만들어 주시는 제작진께도 감사 드리고 싶습니다.
@hilee7390
@hilee7390 10 ай бұрын
2030대들에게는 부모님 집이 수도권(안양, 부천, 광명, 하남, 강북같이 서울근처에 자리잡고 있냐)에 있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특권입니다. 부모님 집이 서울이면 자식들이 편하게 발이라도 뻗으면서 편하게 한량처럼 지낼 수 있죠. 그것도 아닌부류들은 진짜 밑바닥을 전전하면서 살아야 해요. 각종 공과금 납부때문에 쉴 수가 없음.
@user-is6qc2ph9b
@user-is6qc2ph9b 9 ай бұрын
이말 진짜에요 공감합니다 고시원비도 절대 무시 못 합니다
@user-lo3mp7hr9x
@user-lo3mp7hr9x 3 ай бұрын
인정이요 서울까진 바라지도 않고 직행으로 강남갈수있는 버스 지하철 있는 동네면 진짜 반은 먹고들어가는것
@tv-gb1fs
@tv-gb1fs 10 ай бұрын
이영우 신부님과 해피인대표님 감사합니다 지금은 공직생활을 하고 있는데 아직도 그곳이 생각나는 밤이네요
@baboo14
@baboo14 10 ай бұрын
공영방송의 힘이네요!! 좋은 방송 많이 만들어주세여
@Pupu._
@Pupu._ 10 ай бұрын
각자 여러가지 사연들이 있네요 ㅠㅠ 진짜 다들 끝까지 힘내시구 .. 행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tv.5713
@tv.5713 10 ай бұрын
추적60분 다시 시작해서 너무 좋아요. 내용도 알차고, 진행하시는 피디님의 편안한 음성도 너무 좋네요!
@ockrang1816
@ockrang1816 10 ай бұрын
주거환경이 진짜 삶의질에 엄청 중요함.. 서울 3평짜리고시원 3년살다가 같은 가격에 인천 투룸빌라월세왔는데 너무쾌적함.. 출근시간 40분늘어났지만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더 맑아짐
@user-vk9mb7un6j
@user-vk9mb7un6j 10 ай бұрын
다년간 고시원 살아본결과 일단 죽도록 노력해서 탈출해야함 왜냐면 희한하게 일도 꼬이고 갈수록 더깊은 수렁으로 빠지는느낌 그래서 희망을 찾기위해선 일단 고시원을 벗어냐야됨 어떤 기치료사가 했던말중에 방음이 잘안되는 공간에 여러명이 거주하면 타인의 나쁜 기운에 휩쓸린다라는 말을 했어요 제 경험상 왠지 맞는 말 같아요.
@user-ub1dx6fp7g
@user-ub1dx6fp7g 10 ай бұрын
공감
@pattisoul1
@pattisoul1 10 ай бұрын
​@@user-vk9mb7un6j맞음 사람이 밑바닥에 있다보면 안주하게됨
@user-gv7hz3bb3p
@user-gv7hz3bb3p 10 ай бұрын
출퇴근 시간 더 늘어나고 가기 힘들더라도 잠은 넓은데서 자야 함 기본적인 삶의 질이 보장되지 않으면 하루하루 사는게 힘듬
@superyd
@superyd 9 ай бұрын
더 높은 곳에서 서울야경을 볼수있는곳으로 갈수있길 바라겠습니다
@nicechukim5880
@nicechukim5880 10 ай бұрын
평일 아침 7시... 이 영상하나로 많은걸 느끼고 하루 시작합니다..감사합니다
@banpark2545
@banpark2545 9 ай бұрын
요즘 우울증으로 힘들었는데 이 프로그램 보면 다시 한번 삶의 감사함을 느낍니다
@user-vd9uw2dl8c
@user-vd9uw2dl8c 10 ай бұрын
먹먹한 사연들이네요.. 사회의 일원으로서 그간 소외된 사람들에게 너무 무심하게만 살아오지 않았나 반성하게 됩니다. 숭고할만큼 열심히 사시는 분들이 더 많은 기회를 얻고, 방송에도 나왔듯 실패한 사람에게 두번째 세번째 기회를 줄 수 있는 사회가 되면 좋겠습니다..! 힘들고 어려울수록 산책 많이 하시고 쉼도 가지면서 건강 함께 챙기시면 좋겠네요 쉽지 않겠지만요.. 저도 안타까운 시선으로만 보기보다 따뜻한 마음으로 힘든 분들을 대해야겠다고 다짐하게됩니다. 나만 잘산다고 행복한게 절대 아니니까요! 부디 그들이 앞으로 하루씩만이라도 버틸 수 있는 힘과 용기를 사회로부터 얻기를🙏
@user-si7ot9mp2d
@user-si7ot9mp2d 10 ай бұрын
저도 경험해봤기에 끝까지 영상다봤습니다. 힘내시고 포기하지마세요 고시원 아주머니 천사입니다!! 느껴지네요 진심이
@ADNAMS.singlemalt
@ADNAMS.singlemalt 10 ай бұрын
지금은 곤란하고, 힘들더라도, 열심히들 사시는 모습에서 배웁니다. 응원합니다.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mp-ho2bt
@mp-ho2bt 10 ай бұрын
영숙원장님 너무 좋은분이시네요..존경스럽습니다.
@user-hy3br4cr2d
@user-hy3br4cr2d 10 ай бұрын
노력한만큼 보상이 돌아오는 시대가 되었으면 하네요. 다들 끝까지 힘냅시다
@user-cy9el2ji8x
@user-cy9el2ji8x 10 ай бұрын
⁠@@OI0H7l미성숙했던 그 시절이 인생의 끝이 아니잖아요. 시간이 흘러 자신을 돌아보며 다시 열심히 살겠다고 노력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결과가 있길 바란다는 분의 말이 잘못된 말은 아니지 아닐까요?
@user-kn2qp6sh6o
@user-kn2qp6sh6o 10 ай бұрын
이방송이 전하고자하는 메세지는 무엇일까요?
@user-vx1rr9vu8l
@user-vx1rr9vu8l 10 ай бұрын
@@OI0H7l인간아 인간아 돌아다니면서 싸대고 있네 아프면 입원을 해라
@JOK-pj6um
@JOK-pj6um 10 ай бұрын
​@@OI0H7l공부 열심히 한 게 다 지 능력인줄...
@kjinee4464
@kjinee4464 10 ай бұрын
@@OI0H7l 애송이네. ㅋㅋㅋ
@user-vm6mx4fw8f
@user-vm6mx4fw8f 10 ай бұрын
저도 15년전에 고향떠나 기술 배울려고 고시원에서 지냈는데 지금 생각하면 정말 소중한 보금자리로 기억합니다 현실이 힘들고 목표를 위해서 좁은 보금자리지만 건강하게 힘내셨으면 좋겠네요 화이팅!!!
@user-kk6td6qj1t
@user-kk6td6qj1t 9 ай бұрын
고시원 사장님 참 천사같네요~~~
@user-ou1tc4db5i
@user-ou1tc4db5i 10 ай бұрын
많이 울었어요.본방 보면서~~감동도 받고 고양이 키우시던 그분 고시원 여사장님 보면서 세상은 아직 살만한 곳이다 느껴지더군요. 복많이 받으시고 건강하셔서 어려운분들 잘 보살펴주세요.❤
@jinhasin7313
@jinhasin7313 10 ай бұрын
추척 60분 사회에 꼭 필요한 부분를 짚어 주셨네요 ㅠㅠ 😢 힘드신 분들을 위해 응원합니다. 고시원 원장님 정말 감사합니다
@user-py8rf6xs9s
@user-py8rf6xs9s 10 ай бұрын
사람이 산다는거.. 참 어찌보면 인생 그 자체가 드라마인 듯 합니다. 다들 각자의 영역에서 최선을 다하는 모습이 가장 아름답습니다.
@bluelake9459
@bluelake9459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원장님 참 훌륭하시네요..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길..
@user-pf1oz1hn5u
@user-pf1oz1hn5u 10 ай бұрын
고시원여사장님 훌륭하시고 복많이 받으세요 많이배웁니다~
@performer-hyeri
@performer-hyeri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비록 힘들게 살지만 거기서도 꿈꿀 수 있고!!! 반드시 이뤄질 거라 믿습니다 그래야 힘들어도 살아갈 수 있잖아요... 저도 그렇고!!! 다들 힘냅시다!!!^^😊
@user-il7qx5id3f
@user-il7qx5id3f 9 ай бұрын
미국에서 사업하시다가 간경화도 겪으시며 재기 준비하시는분이 본인께서도 도움을 드려야된다며 눈시울이 붉어지시는데 눈물이 핑~ 정말 인품이 훌륭하세요..이런 분들만 있다면 세상이 참 따뜻할 거 같애요. 프로그램의 취지가 너무 좋고 인터뷰가 참 인간적이에요..감사합니다. 모두들 화이팅입니다~~!!
@CK-dz8fo
@CK-dz8fo 6 ай бұрын
이 프로그램 응원합니다. 이런 방송이 있어서 현실의 어두운 면을 봅니다. 가려진 어두움들
@lala_book
@lala_book 10 ай бұрын
마지막 고시원장님은 진짜...와.. 잘 생기고 복많은 사람보고 '전생에 덕을 많이 쌓았나봐'할 때, 그 전생이 저런 삶 아닐까 싶네요. 지금도 앞으로도 쭉 건강하고 행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방송에 나오신 분들 모두다요🙏🙏🙏🙏🙏
@sandj9682
@sandj9682 10 ай бұрын
좋은 프로, 잘 봤습니다. 만드시는데 고생하신 분들 모두 감사드리고. 고시원에서 꿈을 잃지 않고 열심히 사시는 모든 분들, 응원합니다. 👍
@user-ff8nz5ts9d
@user-ff8nz5ts9d 8 ай бұрын
정삼선님 너무 대단하십니다. 꼭 제기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화이팅!!
@odhlove
@odhlove 2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사법고시 없어진건 너무 아쉬움, 모두 잘되시길 바랍니다.
@user-dn5cc3cs6j
@user-dn5cc3cs6j 10 ай бұрын
어렸을때는 이런 다큐나시사 채널들이 없었으면했으나 나이들어보니 이런채널들에 소중함을 알아버렸네요
@sanghyeok-lee
@sanghyeok-lee 10 ай бұрын
현재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시는 분들 모두 응원합니다..
@Auster0225
@Auster0225 10 ай бұрын
좋은 방송 감사합니다. 희망을 함께 만들어 가고 싶어요.
@user-vl1mf1rw5d
@user-vl1mf1rw5d 10 ай бұрын
마음 따뜻한 분들이 많으시네요.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하셨으면 좋겠습니다~~^^
@hnk11295
@hnk11295 10 ай бұрын
좋은 방송이었습니다. 혹시 청량리 고시원을 운영하시는 분 고시원이 어디인지 대충 알 수 있을까요? 물품 후원이라도 해드리고 싶네요.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 10 ай бұрын
정말 대단하세요
@Oscar-Hong
@Oscar-Hong 10 ай бұрын
좋은방송 감사드립니다. 고시원에 일시적으로 거주하면서 본인의 꿈과 계획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걱정할게 없죠. 문제는 이렇지 않고 낭인화되어버린 사람들이 많다는게 문제입니다. 곧 죽어도 서울에서 아등바등 사는게 답이라고 믿고 있는 사람들도 이 낭인화의 연장이라고 봅니다. 생산인구는 줄고 나라에서 챙겨야하는 복지인구는 늘어만가고 대한민국이 병들어가고 있다는게 실감이되네요.
@mchoi007
@mchoi007 10 ай бұрын
고시원 원장님, 당신이 존경스럽소 부디 건강하시고 복받으시오
@Daniel-il2gs
@Daniel-il2gs 10 ай бұрын
한때 고시원 생활했었는데 그땐 너무 힘들었는데 이젠 추억이 되었네 근데 인생 살아보니 어려움은 또 찾아옴
@miraclevictory
@miraclevictory 10 ай бұрын
또 이겨 내자구요 !
@voo6002
@voo6002 10 ай бұрын
서울로 취업해서 고시원 6개월 3평 원룸 4년 살아봤지만 고시원이나 원룸은 정말 하루라도 빨리 벗어나야되는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pattisoul1
@pattisoul1 10 ай бұрын
요즘 원룸도 전세가 1억이 넘어요,,,,,
@changseobkim1362
@changseobkim1362 10 ай бұрын
전부 희망을 잃지 말고 건강관리 잘 하면서 생활하세요. 마지막 원장님 말씀에 눈물이 핑도네요.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10,000 Every Day You Survive In The Wilderness
26:44
MrBeast
Рет қаралды 130 МЛН
🍟Best French Fries Homemade #cooking #shorts
00:42
BANKII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