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량 철골주택에서 살아보지도 않은 인간들이 조립식이라면 80년대 기둥도 없이 지은 집인줄 알고 학을띠지! 사람이 살수없는 구조물인데 어떻게 건축설계가 되겠으며. 건축허가. 준공 허가가 날까요? 머리가 없어서 상식이 통하지 않는 인간들이 많이 있습니다. 나도 토담집에서도 살아봤고 목조에서도 살아봤소. 시골에서 경량철골 주택짓고 6년째 살고있지만 무척이나 만족하고 삽니다. 조립식에 살아보니. 집 썪어서 벌레 나올일없고. 쥐선생들 천정에 드나들일 없고. 따뜻하고 시원하고 더 중요한것은 집 고칠일이 없다는 것이요. 그러면 집이라는 목적은 다 이룬것 아닙니까?
@denis-kp5sc3 жыл бұрын
적극 동의합니다. 예전엔 전열교환기가 없을때 공기순환때문에 겨울이면 내부에 이슬이 맺혔는데... 요즘엔 넘 편리해지고 단열또한 very good!!!
@루키-f1d2 жыл бұрын
@@erowon2 뭐냐 이 머저리
@독도대한-n3l2 жыл бұрын
쥐선생들 벽안에 들어가 삽니다 판넬도 뚫고 뚫고 옵니다
@서천규2 жыл бұрын
.
@지리산촌놈-b3c Жыл бұрын
@@독도대한-n3l 쥐가 판넬 안에 구멍내서 들어와 산다구요? 그냥 한번웃을께요 만약 쥐가 판넬 사이에 들어왓다면 그건 시공 하신분들 이 애초에 판넬 하부 시작점에 유바나 아이언 앵글 등등을 시공하지 않아서 하부 스티로폼을 파고 든거지 판넬 철판은 뚫지 못합니다.어디서 주워 들으신건지 아니면 초창기 조립식 경량철골집을 생각하신건지는 모르겟으나 엉뚱한소리 댓글을 삼가하세요
@jamesyu87923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으로 할때 많은 주의가 필요 합니다. 수축팽창이 다른골조보다심해서 조심하셔야 합니다. International Residential Code 에 보면 경량철골에 대한것이 상세히 나와있습니다. 모든골조가 수축팽창 합니다. 철콘, 목조 또 Steel 모든 골조가 수축팽창하는데 그 중에 경량철골이 수축팽창이 더합니다. 그래서 북미쪽에선 경량철골을 많이 볼수가 없습니다. 목조주택의 경우 모든것이 목재여서수축팽창의 변화가 서로 잘이루어지는 반면에 나무합판에 steel studs이 만나서 하나로 몸체를 이루는데 서로가 다른 성질의 수축팽창 때문에 crack이 목조보단 많이 일어 납니다. 반면에 목재는 마르면서 뒤틀리는 현상이 있습니다. 수축팽창을 잘이해하는 시공사를 잘 선택해야 됩니다. 모든 골조는 서로 장단점이 있습니다. 철콘도 수축팽창으로 인해 crack이 날수있어 조심해야 됩니다. 어떤골조간에 시공사는 성심을 다해 집을 지어야 합니다.
@곽소장의주택이야기3 жыл бұрын
구조와 단열은 별개입니다 목구조라서 RC라서 또는 철골조라서 춥다 덥다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각각 장단점이 있고 중요한 거는 그거를 어떻게 보완하느냐 어떻게 극복하느냐의 문제입니다 벽체자체가 단열이 되는 ALC나 경량철골조는 분명 단열 면에서는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어설프면 최악이 됩니다 또 하나 경량주택은 단열면에서 최고가 될 수는 있지만 방음 문제에서는 취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저도 그라스울판넬을 보완하는 방법ㆍ 칸막이벽을 ALC로 하는 방법 등을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반칙왕김판사3 жыл бұрын
저도 소장님 영상 보면서 많이 배우고 잇습니다. 최근엔 각치기로 인한 공수늘어짐을 아이디어로 극복하시고.. 다양한 시도를하고 계시더군요... 멋집니다.^^
@0948one3 жыл бұрын
역 쉬 최고 입니다 늘 존경 하는 마음 으로 보고 있습니다
@dksmsrjsl3 жыл бұрын
역시 뭐든 시공이 제일 중요한것 같습니다. 아무리 좋은 자재를 사용해도..시공하는 사람이 싸구려면..집이 싸구려가 되는 것 같아요. 경량철골로 저렴하면서 따듯한집 부럽네요~^^
@페인트-c8t3 жыл бұрын
갈수록 전원주택에 대한 경험이나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경량철골에 대한 인식이나 수요도 늘어나고 있는 듯 합니다. 솔직히 건축시장 십수년 들락거리면서 당연한 결과일거라 생각했습니다. 여기는 열대우림과 시베리아의 건조함이 공존하며, 지구상에서 철강과 판넬을 가장 잘 만들고 다루는 대한민국이니깐요..10년 후면 고급주택시장은 스틸하우스, 중저가 시장은 경량철골 판넬집으로 시장이 상당부분 양분화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저같은 도장업자들은 목조, 철콘집들이 늘어나야 꾸준한 보수공사 수요가 있고 철골조는 한번 지어지면 멸실때까지 거의 들어갈 일이 없지만 지인들에게는 경량철골조를 많이 추천합니다. 단열재야 모든 집에 다 들어가는 것이기에 몇십년 후 골조를 100%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진정한 친환경이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임채홍-d4t2 жыл бұрын
번창하세요!!!!!!!
@수연김-k5z9 ай бұрын
우와~~가온파. 대표님 진짜 가성비. 최고인집. 소개해주시네요, 건축회사. 소개 부탁드립니다
@kyuseoksim2 жыл бұрын
암만 좋은자제를 쓴다해도 시공자들이 마인드가 내꺼아니니까 대충대충 이런 마인드라면 아무 소용없습니다 작년 경량철골로 상가건물 지었는데 10년은 늙은것 같네요 제발 저기다 폼좀 쏴라 실리콘 쏴달라 사정을해도 네~네~ 대답만 하고 뒤돌아보면 안하고 그냥 덮어버리더군요 쫒아다니면서 쌈도 많이 했는데 결국 내 뜻대로 된건 하나도 없었습니다. 시공사 잘 선택하는게 최 우선이다는걸 뼈저리게 느꼈네요
@iruka72722 жыл бұрын
진짜 지금 몇십년 늙고 있습니다. 너무 쪼아대면 던지고 갈까봐 나긋나긋 말하려니 속이 썩고 있습니다. ㅠㅠ
경량철골조 가정주택 및 카페 제작 설치 도면을 10~13동 정도 작업 해준 기억이 있습니다.. 다 좋은데... 방음은 안좋습니다!
@서종진-t6m26 күн бұрын
저도여름에약12평지으려고합니다 좋은내용감사해요
@소상훈-z5s3 жыл бұрын
기밀시험을 하셨다면 다른분들에게 더 신뢰도 높은 주택이 되었을 것 같네요 ㅎㅎ
@조정일-t7g2 жыл бұрын
유익했습니다
@자유비행기3 жыл бұрын
단열에 몰빵해네요 화장실만 1개 추가하면 굿이데 좋은집이네요
@류은아-f2e2 жыл бұрын
요즘은 건축법이 까다로와서 겨울은 따뜻하고 여름에는 시원합니더~~~~^^
@Dbdb-i5v5 ай бұрын
단열기밀시공은 냉동창고 나 크린룸 개념 이라서 일반 건축시공 하곤 단가차이가 있습니다 일반 시공자 들을 욕하기보단 애초에 계약서에 명시를 하고 적절한 시공단가를 적용해야 입맛에 맞는 단열기밀시공 이 될것입니다 시공자들이 그걸 몰라서 안하는게 아니죠 뭐든지 단가가 합리적 이어야 합니다
@Skfkf1393a3 жыл бұрын
열교환기는 기밀이 잘된 집일수록 필수입니다. 단순한 환기보단 집 내부에서 요리, 호흡, 목욕등으로 발생하는 습기를 효율적으로 배출하여 적정 습도를 유지하고 곰팡이 발생을 예방합니다. 그래서 hvac엔지니어가 계산을 하고 집에 맞는 교환기를 설치 셋업 해줘야 합니다
@rami0609822 жыл бұрын
농지전용부담금 700이면 싼거에요...저는 2000가까이 냈어요 ㅜㅜ 서류 작업은 다 끝내서 골조를 어떤걸로 할까 계속 고민했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최상선-i7d3 жыл бұрын
창호장착시 테두리에 유바사용으로인한 열교현상은 어떻게 처리하나셨나요?
@파줏한량2 жыл бұрын
저도 현장에서 일했던 노가다맨으로 실질 일하는 사람의 사명감이중요하다고 봅니다 프로의식이랄가 이럴려면 어는 정도의 보수가 따라야겠죠
@김탁구-z5p3 жыл бұрын
가온파님 항상 좋은 정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곧 건물하자관련 소송을 준비해야할 것같어서 변호사를 선임해야할 것같은데 님의 사건을 수임하셨던 변호사님 연락처 얻을수있을까요
@gaonpa3 жыл бұрын
죄송합니다만 제 소송을 대리한 변호사들 중에 추천 드릴만한 분이 없네요. 댓글로 자세한 이유를 거론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바랍니다.
@덕성임2 жыл бұрын
여름엔 40도겨울엔 -5도 쇳덩이 늘어나는 소리 줄어드는 소리에 잠을 못이룸 참고바람
@날세나여3 жыл бұрын
직영을 하시려면 말로만하는자문이 필요한게아니라 건축시 디테일하고 건축전반적인일을 하실줄알고 전체를 이끌어갈수있는 능력이있는 기술자분의 자문및기술 지원이 있어야만 가능할꺼로 생각됩니다
모든 건물은 불나면 똑같습니다 다만 단열재를 준불연을 쓰도록명시하여 대피시간을 버는 겁니다 지진에는 안전한집이있어도 불에는 안전한집이없어요
@harooman22633 жыл бұрын
공사하신 분 소개를 해주셨음 좋겠네요. 공사를 하신 분도 많이 배우시기도 하셨을 거 같네요.
@gaonpa3 жыл бұрын
여주 좋은건축랩에서 시공을하였습니다. 좋은건축랩이 목조 전문이긴한데 건축주님과 계속 협의하며 완축까지 책임져서 진행을 하였답니다.
@peaceofyou13 жыл бұрын
모든 단열재는 결국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데, 이 단열 성능이 언제까지 유지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황미란-i5p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혹시 기초칠때 스티로폼은 몇티로?아이소핑크로 하셨나요
@seyeul-b6p Жыл бұрын
가능한 이유가, 열교를 막아주면 자체발생하는 열로 충분할 것. 각종 전기,전자 제품이 내뿜는 열이 엄청나다. 하다못해 led등도 열을 발생한다.
@형희강 Жыл бұрын
사실... 시골 시부모님 집이 1990년에 지어진 조립식 주택이라서 뭔가 온전한 집 같지 않고 시골 집에 대한 갬성이 없었습니다. 30년이 넘은 조립식 판넬 주택이라서 어떻게 대수선을 해야 할지 방향을 못잡고 있었는데 가성비로서도 그렇고 나이가 있고 건강에 문제가 있는 저를 위해서도 그나마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경량 철골 판넬 주택이 적절할 거 같다는 생각이 점점 드네요. 그동안 조립식 주택인 시골 시부모님 집에 대해서 불평을 하고 은근 무시했는데 반성합니다.
@sukmanchoun8573 Жыл бұрын
가보고 싶습니다. 어디에요, 저도 강원도에 건축하려고한데 알려주세요
@젬마-g2w2 ай бұрын
집 지으신 건설업체 알려주실수있을까요? 시공을 잘하셨다하니 저도 문의해보고싶어서요
@gaonpa2 ай бұрын
여주에 있는 좋은건축랩에서 시공하였습니다. 01054409528 이쪽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영상 잘보았어요. 22년 3월에 여주 강천면레 건축예정입니다. 혹시 시공업체를 소개해 주실.수 있으신가요?
@gaonpa3 жыл бұрын
여주에 있는 좋은건축랩에서 시공하였습니다.
@김학순-o2j3 жыл бұрын
올봄에 판넬주택지을예정입니다 여긴 경북 팔공산부근인데 안동 곽소장님 연락처좀알수있을까요?
@마음-m2b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로 2층이 가능한가요? 기초 질문 죄송합니다. ㅜㅜ
@맑은우유-e2h5 ай бұрын
가능함
@hotgod42843 жыл бұрын
경량철골이 테라스 있는 복층도 가능한가요?
@아이오닉-i9f3 жыл бұрын
기밀하고 단열은신경써도 바닦이추워요
@명호김-g4f3 жыл бұрын
가온파님 연락처 부탁드려도 될까요 더이상 진행이 안되어 도움좀 받고싶네요~~~
@gaonpa3 жыл бұрын
더보기 설명란과 정보란에 연락처가 공개되어 있으니 문의 내용 보내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풍월당주님-q3u3 жыл бұрын
샌드위치패널을 주택용 자재로 사용할수 있는 나라는 한국과 중국 등입니다. 미국을 비롯해서 유럽 등 선진국들에서는 주택용 자재로 사용이 불가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화재시에 진화가 어렵고 유독가스가 치명적이기 때문입니다. 샌드위치 판넬은 농막이나 창고용 건축자재라고 생각합니다. 돈이 부족하다면 어쩔수 없지만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shs8923 жыл бұрын
판넬 중에 난연만 화재 취약하지 글라스울 같은 불연 소재는 안정적입니다 그리고 외국에서 안 쓰는 건 자국에서 생산하지 않거나 더 저렴한 소재가 있기 때문에 안 쓰는 것일뿐입니다. 각 나라마다 기후 특성이나 자국에서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는 자재 특성 그런 걸 고려했을 때 한국에서는 판넬 소재가 가장 저렴하고 제대로 시공할 수 있는 소재인 건 확실합니다 그라스울 판넬 쓰면 아무 문제 없어요 꼭 싸구려 판넬 써서 화재 치약 하니 이런 소리가 나오지
@user-rw9du8kn8z3 жыл бұрын
@@shs892 글라스울도 불 타던데요..
@나만세-b1z2 жыл бұрын
@@shs892 이제 안되게 법이 바뀌었습니다.
@루키-f1d2 жыл бұрын
유럽선진국들 하고 비교하는데 애초에 기후도 다르고 난방방식도 다른데 어떻게 비교가 되나요?? 그리고 생활수준이 이제 거의 비슷합니다. 선진국 선진국 운운할때가 아니에요.
@크림-s9o Жыл бұрын
미국 목조 주택은 화재 안생기나요?ㅋㅋㅋ 너무 선진국뽕이..
@k-house68953 жыл бұрын
제가 폼충전 결합공법을 만든 사람입니다.
@youngpark31343 жыл бұрын
k house (용접판넬프리랜서)님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승현-c1z5e3 жыл бұрын
헐..친하게 지내죠..ㅋㅋㅋㅋ
@모모-p1n2 жыл бұрын
직영 하셨나요?
@날세나여3 жыл бұрын
좋은집을 지으려면 제대로된정보를 파악하는 안목도 필요한거 같네요 또한 발품도 마니팔아야 할거 같고요. 저두 현재 직영으로 집을짓고 있는데 90프로 정도 진행된 상태 입니다.실제로 혼자서집을짓는다는거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되어서 직영건축할때 도와주실분을 찿아서의뢰하려고 했지만 일정이 맞지않는다고 하여 포기하고있다가 때마침 의뢰하려고 했던기술자분이 주변에서 지으신다고하여 무작정 찾아가서 도와주십사하여 견학및 자문을 해주겠다고 하셔서 직영을 하게되었습니다. 2층주택실평수66평, h빔골조에 100t우레탄판넬지붕 이중판넬적용, 45도 각치기,외부세라믹사이딩적용하여 자문받아가며 하나하나 배워가며 건축해보니 재미나더군요. 실제로 건축기간은 4개월남짓걸려 시간은조금더걸리긴했어도 잘지었다고 자부합니다.
@롱롱-f4y2 жыл бұрын
달남님이 여기 나오실땐느 좀 ..ㅋㅋ
@류은아-f2e2 жыл бұрын
올해 집지으실분 건축비가 마니 올라서 힘들겁니다
@doleeko3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몇몇 분들이 스틸 하우스를 추천하던데 스틸하우스는 검토하신 적이 없나요? 출연하신 분은 혹시 검토했지만 경량철골조로 최종 선택했다면 스틸하우스를 배제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여쭈어봐 주실 수 없나요? 구독과 추천합니다.
@nowwalch3 жыл бұрын
요즘 경량철골이랑 스틸하우스랑 예산이 거의 두배 넘게 차이나요... 힘뺄때 힘쓸때 구분해서 잘 쓰신듯
@doleeko3 жыл бұрын
@@nowwalch 스틸하우스의 재료(스틸 값)는 비싼 반면 다른 재료의 건축에 비하여 공사기간이 1.5 배에서 2 배까지 짧아서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데 따른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서 총 공사비에는 큰 차이가 없다던데 헛소문이었군요. 스틸하우스 소개 영상에는 평당 600~700만원하는 데 인건비에서 5,000 만원 정도 절감되기 때문에 총 공사비는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던데 부정확한 정보였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Skfkf1393a3 жыл бұрын
@@doleeko 국내 스틸하우스 건축법이 좀 이상하던데요? 북미에서 스틸 하우스는 외벽 골조와 바닥 골조만 들어가고 방을 나누는건 목조로 합니다. 스틸의 가장 큰 장점은 목조와 다르게 집 내부에 내력벽이 없어 넓은 연출이 가능하고 추후 구조변경이 용이하다는건데 실내벽도 다 스틸로 처리하는거 같더라고요. 그러면 당연히 건축비가 미친듯이 뛰겠죠
@@user-rw9du8kn8z 네 알겟습니다... 질문도 공격적이지 않게..." 그럼 여름에는 덥지 않을까요? " 라고 질문하시는 분들에게는 친절히 답 하겠습니다~ 원래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도 곱거든요. 즐거운 하루 되세용~
@molaalsuga3 жыл бұрын
배신자들!!! 구옥 리모델링 한다더니
@화이어다2 жыл бұрын
그렇죠 그렇죠 ! 말 버릇 고치야 .
@오작교-s9f3 жыл бұрын
건축주가 마음에 든다는데 미안하지만 이걸 좋은 정보라고 공개하는건 잘못된겁니다. 지역별로 특히 농촌은 샌드위치판넬창고 작업자들이 많아서 노하우가 있을겁니다. 하지만 노하우와 시험성적서는 다릅니다. 샌드위치판넬로 주택을 짓는 표준화된 시공방법은 없습니다. 샌드위치판넬로 짓고 외단열에 마감자재를 쓰거나 내벽에 석고작업을 하면 도대체 왜? 단열재로 (구조재는 철골이 했을테니) 샌드위치 판넬을 쓰는지? 그런걸 안하는 창고에는 저렴하고 좋은 자재지만 (불만 안닿으면) 실내는 ? 바닥에서 올라오는 라돈을 막을려고 기초에 100만원짜리 비닐을 깔면서 벽에서 나오는 포름알데히드가스는? 열회수환기장치로? 이제 짓고 6개월도 안된 집으로 보이는데 샌드위치 판넬집의 최대 문제인 장마 습기는 어떻게 하시려고? 환기하고 제습기 돌린다고 스트리폼에 스민 습기가 없어지는게 아닙니다. 철판과 단열재는 수축강도도 달라 여름지나면 틈이 벌어지는게 정상이고. 물론 짓고 오래 사실 생각이시겠지만. 좋은 집을 보는 관점은 살기 좋은것만큼 팔기 좋아야하는겁니다. 농막이라면 모를까. 단독주택을 샌드위치판넬이라니. 분명 말리는 사람이 있었을텐데 안타깝군요. 허가는 뭘로 내셨을지. 과연 샌드위치판넬 경량철골로 허가가 나왔을지.
@장경호-v6y3 жыл бұрын
돈안들이고 패스브 하우스가 됩니다
@dksmsrjsl3 жыл бұрын
아파트는 시멘트 덩어리인데....왜 매년 화재로 사람이 죽는지 모르겟네 ~ 화재에 왜 사람이 목숨을 잃는지 알지도 못하면서..어디서 주워들은건 있으니..앵무세마냥 이런글 적는분들 진짜 많네요 ㅋㅋ 본인집 지으신거 공개좀 해주세요..가온파님한테 인터뷰 요청해서요..ㅋㅋ 기대됩니다^^ (설마 유해물질과 유해가스 범벅인 아파트에 살진 않으시겟죠???) 천연원목 100%로 된 집에 사시고..지역은 제주도나 지리산정도는 살고 계시죠? ㅋㅋ 아니다....나무는 불에 활활타는데...위험해서 집을 지으면 안되려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그건 아시나...구조용 목재나..마감용목재도..벌레나..습기때문에...화학약품에 절여진다는 사실을 ㅋㅋㅋ 싱크대나 서랍장은 본드 범벅인데...집에 다 순수원목으로 시공하셧죠? ㅋ
@이승현-c1z5e3 жыл бұрын
고수님 많으신듯
@seohochoi71013 жыл бұрын
"아는만큼 보인다"고... 아는 만큼 설교했는데, 시대에 뒤떨어진 낡은 사고와 편협한 지식 남발로 무식함의 극치만 드러났군요. 여기 말고 다른 데서는 댓글 달지 마세요. 무식하단 소리 듣습니다.
@HONG_Teacher3 жыл бұрын
이분 집 안지어보신분 ㅎㅎㅎ 허가가 안나오면 건축을 어떻게 합니까 ㅎㅎㅎ
@hhhh-lx3sx3 жыл бұрын
건축 유투브 중에... ㅇㅇㅇ건축수업인가... 경량철골 판넬집은 사람이 절대 살면안되는 집이라 하던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