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이게 생물학적으로 맞긴함 고도로 전략적이고 생존의 최적화된 행동임 근데 이를 능가 하는게 바로 팃포탯이라고 있드라
@S.s02162 жыл бұрын
"순순히 금을 내놓는다면 유혈사태는 일어나지 않을겁니다"
@누판-r3n2 жыл бұрын
오블리비언의 경우 특히 npc간의 대화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해 npc들이 서로 동문서답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오죽하면 앞뒤가 맞지 않는 대화 영상에 오블리비언 배경음악과 UI등을 합성한 'Oblivion npc meme'이라는 밈까지 있을 정도죠.
@brilliant__marine2 жыл бұрын
Have you heard of the High elves?
@최인영-e8k2 жыл бұрын
윗답글들 처럼?
@Daeiwg2 жыл бұрын
@@최인영-e8k 두번째 댓은 오블리비언 npc 대사들중 하나임 ㅋㅋㅋㅋ
@KURO-up9ky2 жыл бұрын
뚠↑뚠↓ 뚜루룬↑ 뚠↑뚠↓ 뚠뚠뚠뚠뚠뚠
@Myuro982 жыл бұрын
4:53 예전에 어디서 들었던 이야기인데, 에일리언아이솔레이션의 AI도 난이도 조절을 위해 에일리언의 AI를 두개로 나누었다는 이야기를 들어봤어요 AI 1은 플레이어의 위치를 항상 정확하게 추적하는 AI고, AI 2는 AI 1 이 주는 힌트를 통해 플레이어를 추적하는 AI로 만들어서 에일리언이 쫒도록 만들었데요 참 잘만든 게임인듯
@pangparae2 жыл бұрын
그겜 AI 학습도 하지 않던가? 암튼 몇년전겜인데 지금보다 더 쩔음 ㅇㅇ
@kkrb2142 жыл бұрын
@@mr-nn1cy 플레이어의 행동 패턴을 바탕으로 예측 경로 힌트를 AI 2가 1에게 전달함. 1는 이 예측 경로 힌트를 바탕으로 플레이어를 추격하기 때문에 비슷한 도주 패턴을 반복하면 잡혀버림.
@kkrb2142 жыл бұрын
@@mr-nn1cy 또한 소음 발생기같은 어그로용 아이템을 에일리언의 시야 안에서 던지면 처음에는 거기에 어그로가 끌리지만, 또 시야 안에서 던지면 이를 학습해서 어그로를 무시하고 어그로용 아이템을 던진 방향으로 달려옴.
@user-99hgcx457hg2 жыл бұрын
@@kkrb214 허미..
@Myuro982 жыл бұрын
@@kkrb214허미;;
@덧없는명예2 жыл бұрын
디비전 2 서비스 초기때가 생각나네요... 애들 데미지도 높은데 AI도 똑똑해서 소총병과 중화기병이 제압사격 쏘고 돌격병이 샷건들고 우회하고 거기에 척탄병이 수류탄까지 던져대는 끔찍한 난이도였죠... 물론 거기에 AI가 엄폐를 마구 바꾸면서 머리를 흔들어서 헤드샷을 피하는 등 거지같은 버그까지 더해져서 환장의 콜라보였지만;;;
@thy20392 жыл бұрын
거기에 난이도가 올라가면 불릿스폰지까지 되서 튼튼하기까지 한데 저새끼들이 쏘면 난 한방에 기어다니는...
@따라딴-r5r2 жыл бұрын
@@이름-q5o 오우...!
@LandmineSoldier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 사이버사이코를 떠오르게하는 무빙
@피르-p8d2 жыл бұрын
와 재미있겠다.. 하이퍼 리얼이네.. 전략행동까지 ㄷㄷㄷ
@전민배-g6j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적 체력하고 데미지 뻥튀기시키는 것보다 이렇게 난이도 올리는 게 더 마음에 드는데 ㅋㅋㅋㅋ
@gmr.98632 жыл бұрын
진짜 볼때마다 흥미로운 주제만 들고오셔서 늘 색다르고 재밌는 것 같아요ㅋㅋㅋ 오늘도 영상 감사드려요!
@UltraLowSpecPC2 жыл бұрын
전에 게임속 적들을 현실 처럼 은폐 엄폐하면서 압박하는식으로 ai짰더니 너무쌔서 게임을 못할 지경이어서 결국 현실처럼은 안하게 했다 라는 글이 생각나네요
@riafox3506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피자 배달부가 사용하는 길 찾기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A*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최초의 A* 알고리즘 논문은 1968년에 나왔으며, 상대적으로 코드도 간단한 편이라 다양한 게임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 일반적으로 정해진 스크립트 패스를 따라가는 스토리 NPC들과 달리 피자 배달부와 같이 어떤 아이템을 캐릭터 바로 앞까지 전달해주는 역할의 NPC가 피자 배달부밖에 없었으니 해당 NPC만 해당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여요. 고도의 AI라고 하기에는 생각보다 간단한 코드를 사용하고 있어 오해의 소지가 있을 것 같아 달아 둡니다.
@郭信範곽신범4 ай бұрын
피터 파커는 그 알고리즘 안썼음
@wavikle44952 жыл бұрын
그냥 피자 배달부를 순간이동으로 등장시켜서 줘도 되었을텐데 ㅋㅋㅋ 수상할 정도로 길을 잘 찾는 피자배달부네요 ㅋㅋㅋ
@Mr-rl9cs2 жыл бұрын
베데스다 AI는 진짜ㅋㅋㅋㅋㅋ 수준만 보면 그냥 전원이 플레이어급이라 혼돈파괴 그자체였던거잖아ㅋㅋㅋㅋㅋㅋㅋ
@뜨거운율무차 Жыл бұрын
NPC의 대화에 쳇GPT를 연결시켜서 선택지 대화가 아니라 ㄹㅇ 대화가 가능한 겜도 나왔다고 들었는대, 첫 번째 저거처럼 자유행동 가능하게 풀어놓고 각잡고 AI개발기간만 잡아서 치밀하게 벨런스조절 하면 재밌어지겠다.. 유저없이 봇만으로도 멀티겜처럼 가능할지도
@bromineguy Жыл бұрын
컴퓨터 여기에 죽다
@김립-u2r2 жыл бұрын
8:20 당시 최첨단 웨이파인더(길찾기) 시스템을 사용한 게임이 스타크래프트였고, 전설의 동맥경화, 니조랄, 골리앗의 동선을 보면 저게 얼마나 미친 결과물인지 체감하실 수 있습니다
@황나그2 жыл бұрын
이야 골리앗이란 리시빙 말하닌까 얼마나 정신 나간건지 설명이 바로 되는게ㅋㅋㅋㅋ
@onelight57202 жыл бұрын
AI가 잘만들어진거로 가장 유명한 게임은 아마 에일리언 아이솔레이션이 아닐까싶네요. AI를 정보를 제공하는 AI와 추적하는 AI로 따로 만들어서 쫒기는 느낌과 적당한 밸런싱을 제대로 만들었죠.
@InvisibleDragon2 жыл бұрын
시야가 좁은게 맹점이라 이게 왜 살지했던적 많네요 ㅋㅋㅋ
@황나그2 жыл бұрын
@@InvisibleDragon 안경이라도 쓰지ㅋㅋㅋㅋ
@InvisibleDragon2 жыл бұрын
@@labri898 멀리있는건 잘봐서 시력은 좋아요 단지 시야가 좁고 야맹증에 걸려서
@anb00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눈도 없는 녀석들인데 인지하는것만으로도 대단한거긴 해요 ㅋㅋ
@onelight57202 жыл бұрын
제노모프의 AI가 장난이 아닌지라 시야까지 좋으면 그건 게임을 클리어할수없는 지경이기때문에 게임 밸런스를 위한 조치인거 같습니다.물론 설정도 설정이겠지만
@석진악개2 жыл бұрын
피자는 제때 배달하겠다는 개발진의 진심;;
@yulianhankim2 жыл бұрын
3:06 오늘도 엘더스크롤 세계는 평화롭습니다. 팝콘 뜯어먹으며 패싸움 구경중인 플레이어 ㅋㅋㅋㅋ
@AA-qu7rw2 жыл бұрын
트오세에서 유저가 보스 머리 밟고 딜하는걸 막기 위해 보스 머리 밟으면 힐 되게 만들었더니 보스가 일부러 밟히려 했다는게 생각나네요
@도감도감2 жыл бұрын
똑똑한 Ai와 게으른 개발진들의 환장할 콜라보
@김하늘-e9j6d2 жыл бұрын
3:22 컴퓨터이기에 모든 정보를 갖고 있고 그중에 빈 것을 찾는 방식은 매우 쉬움... 확률 계산도 매우매우 쉽고 그래서 일부러 난수를 발생시켜 모든 정보에서 일부 정보를 제거하거나, 확률 계산이 틀리게 만들어 변수를 만듬.
@고수민-q3p2 жыл бұрын
워해머 토탈워 시리즈의 경우, ai가 난이도에 따라 컨트롤이 달라져서. 유저가 마법을 쓰거나 아틸러리를 아용해서 포격할때 ai가 유닛을 회피기동을 하거나, 공격할때 기병이 반드시 유저 진형의 측후방을 잡는등, 능력치 버프+컨트롤버프 를 같이 가지고있어서 상대하기 애먹었던 적이 생각나네요 ㅎㅎ
@Killer__cat2 жыл бұрын
앗 토붕이 유저가 있으셨군요 반갑습니다, 저도 제 머리에 한계가 있어서 난이도 보통으로 하네요ㅠ
@섬혁2 жыл бұрын
에피소드 1은 SF 장르 작품들에서 나오는 '너무나도 자율적이라 문제를 일으키는 AI' 클리셰가 생각나는 사건이네요.ㄷㄷ 7:49 수상할 정도로 유능한 피자 배달부...
@nananabananazzz2 жыл бұрын
이 분도 자율적인 A.I가 아닌지 의심된다
@황나그2 жыл бұрын
@@nananabananazzz 어...?
@JuingYeoni2 жыл бұрын
첫번째AI 얘기는.. 퀘스트NPC가 죽어버리거나 해서 짜증날수도 있었겠지만 회차별 플레이마다 새로운 상황이 생겨서 한편으로는 새로운재미는 있었겠네요 ..
엘더스크롤의 경우 원래 ai를 사용하려고 했는데 굶주린 시민이 쿠데타를 일으켜서 자꾸 주요 npc(주로 왕)을 습격해서 결국 죽이게 되고 게임진행 불가가 되니깐 npc에게 불멸(왕관 npc,) 을 주었는데 죽이지 못하고 기절만 하니깐 왕이 가지고 있던 중요 아이템을 자꾸 스틸해서 결국 ai를 너프시켰다죠..
@황나그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Killer__cat2 жыл бұрын
아 그래서 스카이림때 그런 기능은 없던거였군요
@zokioki5152 жыл бұрын
오히려 인공지능을 대폭상승시키고 사회기반시스템을 좀더 보강해주고 자동퀘스트생성기같은거 만들면 개꿀잼 될거같은데
@jimz102 жыл бұрын
그러면 저렙의 플레이어에게 퀘스트를 안주고, 고렙의 경비병 같은 NPC에게 의뢰를 맡기지 않을까요? ㅋㅋㅋ
@이용진-z5v Жыл бұрын
@@jimz10 경비병이 일이 많아지면 플레이어에게 일을 던지겠죠. 준법 정신이 낮은 경비병이면 뇌물을 받고 일하고.
@요양원파이크궁정리제2 жыл бұрын
워존 2.0 인공지능은 진짜 미쳤습니다. 눈만 마주쳐도 초탄 다 박고 주변 동료까지 부르니 중무장에 3인큐로 가도 탈탈 털려요. 방탄판 착용하면 3초만에 다 깨지고 끝도없이 오니까 쉴틈도 없이 개털립니다. 그리고 적 중에 방탄복 착용하고 플레이어랑 비슷한 수준의 무장을 한 엘리트도 있어서 진짜 정신병 걸릴것 같아요...
@김현석-v8e2 жыл бұрын
그럼 그걸 어케 깨요?ㅋㅋㅋ 3인큐끼리 티밍해서 나눠갖나?ㅋㅋㅋ
@carefree5404 Жыл бұрын
AI는 게임의 시스템 그 자체니까… 내가 AI를 이겼다는건 사실 AI가 나에게 져줬다는걸 의미함 어느 게임이든😂
@태움2 жыл бұрын
저 AI를 개발한 인간 개발자는 대체 누구일까 ㅎㄷㄷ;;;
@unemployed-n1e2 жыл бұрын
물파스 장인이요
@또박힌2 жыл бұрын
게임의 신 토드 하워드
@just_appeared74202 жыл бұрын
@@또박힌 아 그 벌레박이 토도키 하와도씨요?
@marshalllee2452 жыл бұрын
롤 초창기에 ai 모드가 너무 쉬워서 개편했었는데 AI는 시간만 지나도 골드랑 경험치가 추가적으로 오르게 바뀌고 엄청난 단합력이 생겨 위험한(과감한) 행동으로 인해 CC기하나라도 잘못 걸리면 죽기 십상이고 헬퍼급 무빙을 가져서 논타겟 스킬은 90퍼 이상 안맞아서 도망가면 킬따기 힘들고 견제로 반피만 나가도 집으로 귀환하는데 시간만 지나도 템나오고 렙업을 하니 성장차이로 이기기도 힘들었음 진짜 롤 거의 처음 하는 초보들이랑 같이하게되면 종종 지기도 했음
@채_정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쉬운거군요 지금도 종종지기도하지만
@채_정2 жыл бұрын
@@Singimyo 그런거임? 개편했다가 너프했다는건줄 알았는데 아니였네
@disabled-1112 жыл бұрын
@@Singimyo AI가 너무 쉬웠다 -> 그래서 개편했는데 너무 어려웠었다 니까 예전엔 AI가 어려웠었다 아님?
@MondayGone2 жыл бұрын
잘 짜여진 AI와 단순 힘찍누(에임핵, 오토가드, 순간기억력), 불합리한 정보 입력(AI한테만 맵핵)이 섞여서 표현되고 있네요 1번 같은건 따로 모드 형태로 풀면 재밌을듯 ㅋㅋ
@yae_joa Жыл бұрын
베네스다는 도대체 뭐하는 회사이길래 A.i로 진짜 중세시대를 만들어 버림..?
@또박힌 Жыл бұрын
지금은 모르겠지만 그당시 만큼은 가상세계 구축에 혈안이된 회사였음
@GrumyYang2 жыл бұрын
게임이랑 상관없이 실제로 ai를 둘을 개발해서 서로 대화하도록 시스탬을 프로그래밍했더니 나중가선 자기들만의 언어를 만들어서 중도포기하고 꺼버렸다는 이야기가 있죠. Ai를 멍청하게 만드는게 훨씬더 고도의 기술이란거죠
@IM_Pyeong_beom2 жыл бұрын
팀전게임에서 ai는 든든한 적이자 위협적인 아군이다
@xpfks07262 жыл бұрын
늘 생각하는건데 이 채널은 썸넬을 넘 잘뽑음ㅋㅋㅋ
@renard4162 жыл бұрын
인간에게는 업그레이드가 필요하지만, AI에게는 다운그레이드가 필요하다. 인간 졌네.
@nehomo14842 жыл бұрын
제한을 건 베데스다 ai 말고 원래 베데스다 ai로 플레이어가 왕 혹은 신 과 같은 입장에서 작게는 마을 크게는 국가 같은 것을 운영하는 시뮬 같은 것이 있어도 재미가 있을 듯하네요.
@Kimchi_season_leader2 жыл бұрын
오블리비언은 목숨이 얼마나 소중한지 폭력으로 불구가되고 말고 욕설을했을때 사망한다는 인지를하고 사망이라는게 얼마나 거부되야할 반응인지 자각하는등 실제 사람들과 달리 목숨을 초개같이 여기고 자유만있으니 일반게임유저들같이 저런행동을하는거죠
@세세-j5n2 жыл бұрын
"수렵이 가장 유리한 단계의 지능입니다"
@kimchi01322 жыл бұрын
타르코프의 AI도 여러의미로 대단함ㅋㅋㅋ 심심하면 벅샷으로 뚝배기를 뚫어버리는 대단한 놈들임.
@pangparae2 жыл бұрын
head, eye (mp133 7mm buckshot)
@InvisibleDragon2 жыл бұрын
머리만 내밀고있으면 헤드샷당하는 그 스캐브들...
@C4621Karas Жыл бұрын
게임 AI가 제작될때 쉬움을 기준으로 강화하는 구조는 제작하기에는 필요이상에 리소스가 필요해지고, 강화하는 구조는 코드상 추가적 기능의 모듈을 난이도에 따라 로드해 구동해야하는데 이 모듈들이 기존 쉬움난이도의 코드 혹은 다른 다른 기능 코드와 서로 충돌을 일으킬 수도 있고, 만약 중간에 서로 같은 조건에서 중복된 쉬움에선 철칼을 주는걸 어려움에선 나무막대기를 줌에서의 무기 종류의 지정이 서로 오류를 일으킬 수도 있어서 최고 난이도를 먼저 만들어 이미 가진걸 못쓰게 하는게 안정적이고 만들기도 쉬움
@티모시-p6p2 жыл бұрын
NPC가 자유로운 플레이가 나왔다면 게임은 개판이 되지만, 그만큼 현실성이 있는... 그건 흥미롭네요... 근데 NPC얘들이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게임 해봤었을때, 퀘스트 해야할때 NPC찾아서 삼만리 하는건 너무 힘들더라...
@kitten65242 жыл бұрын
아주 강력하지는 않았지만 절대 허접하지 않은 정말 감탄이 나올정도로 훌룽하다 하고 생각했던 똑똑한 AI는 헤일로1 이었네요. 엘리트 이놈들은 플레이어가 한곳에 엄폐해서 전투하고 있으면 반드시 우회로를 찾아서 접근한 뒤 뒤치기를 시도하고 기둥같은 엄폐물에서 대치시 플레이어랑 사이좋게 술래잡기를 할수도 있던 AI였습니다.ㅋㅋ 기둥 뒤에 숨은걸 잡으려고 움직이면 같이 따라 움직이면서 빙글빙글 ㅋㅋㅋ 멀리서 엘리트 하나를 분명 봤는데 안보인다?? 분명 숨어있으므로 반드시 생체 레이더에 집중하면서 진행하지 않으면 어디선가 튀어나와서 즉사판정인 뒷통수 근접으로 때리곤 플레이어 시체 앞에서 웃는데 너무 똑똑해서 웃음밖에 안나오더라구요. 얄밉고 ㅋㅋㅋ
@playuntilcrazy2 жыл бұрын
워존DMZ... FPS경력 10년차 AI들의 다굴에 벽을 느껴버렸습니다...
@11b11b12 жыл бұрын
10년차 AI ㅋㅋㅋㅋㅋㅋㅋㅋ 말이 웃기네요 ㅋㅋㅋㅌ
@이룩-m9t2 жыл бұрын
와 첫번째 이야기는 그대로 나왔으면 플레이는 힘들겠지만 기억에 많이 남을 정도로 재미있었겠다.
@DBS11122 жыл бұрын
워존 DMZ ai : 저희는 연사를 끊어서 쏩니다. 아 물론 모두 몸샷 아니면 헤드샷이죠
@koabounga2 жыл бұрын
죽여서 빼앗지않고 내놓을때까진 살려주니 이얼마나 친절한 NPC란 말인고
@mirrorspring51122 жыл бұрын
체스나 바둑 등의 인공지능은 몬테카를로 트리 탐색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는 모든 경우의 수를 탐색하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의 경우의 수만 탐색하는 것으로, 난이도 조절을 위해서는 그 탐색하는 경우의 수를 줄이는 것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인간처럼 자연스러운 실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최선의 수를 두다가 어이없는 실수를 하기도 하는데요, 이것이 컴퓨터와 하는 것이 실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이유이지요. 하지만 체스닷컴에서 사용하는 코모도 체스 엔진의 경우 상당히 사람처럼 플레이하는데, 캐릭터마다 플레이 스타일까지 지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김하리-u4z2 жыл бұрын
디비전2 출시 초창기에 ai 적들이 우회 양동공격 등으로 커뮤니티에서 ai 진짜 잘 만들었다는 이야기가 나돌던게 생각나네
@이용진-z5v Жыл бұрын
엘더스크롤 시리즈는 엄청난 AI를 파티원에게 부여했으면 재밌었을거 같긴 하네요.
@taiwon_no.12 жыл бұрын
말도안되는 게임 업적을 주제로 영상만들면 재미있을듯
@EEK_EAK2 жыл бұрын
DMZ ai는 전략적이라기 보다는 장갑병이랑 에임핵이 문제입니다... 능지 자체는 멍청해요
@mbs58282 жыл бұрын
사실 지금 기술이면 똑똑한 AI들 만드는 건 일도 아닙니다. 다만 AI는 보통 적이고, 적이 똑똑하면 게임이 너무 어려워지니까 대충 낮춰놓습니다. 그리고 그런 AI들은 아예 패키지형태로 무료로 제작되어 떠돌게 되었는데, 가끔 개발자가 한두명만 있거나 역량이 부족한 게임사들에선 막무가네로 이것들을 가져다가 쓰다 보니까 심각한 수준의 AI들이 탄생하기도 하는거죠.
@4D-HUMAN2 жыл бұрын
자유로운 A.I 로봇들이 생긴다면 그들끼리 파괴하고 개난장판을 만듬. 왜냐면 그들이 학습한 것이 인간들의 패턴이니까
@한고래2 жыл бұрын
오버워치엔 이런말이 있죠 같은 캐릭으로 인공지능 고수를 1대1로 이긴다면 브론즈 탈출이 가능하다 그말은 즉 브론즈는 사람으로도 안본다는 겁니다(부등호는 원숭이고)
@Platinum_Please2 жыл бұрын
콜옵 ai들이 개머리판도 없는 총으로 100m이상에서 맞출때마다 어이가 없긴함
@야코시브2 жыл бұрын
에피소드1에서 명성치개념이 없어서 그럼... 눈치를 보게 만들어야지...
@공조기-l6j2 жыл бұрын
너무 완벽하게 구현된 ai가 가장 효율적인게 약탈이라고 결론짓는다면 수만년전의 인류는 지금까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김현석-v8e2 жыл бұрын
각 세기별 인류 최전성기 시절은 누군가를 자신 밑에 두고 식민지화했을때다
@공조기-l6j2 жыл бұрын
@@김현석-v8e ㅇ~ ㅇ... 인류가 뭉쳐서 살게 된 이유가 술 때문임 농사만큼 씹 비효율적인 행동이 없는데 술만들때는 농사가 씹효율인지라 술을 만들기 위해 인류가 뭉처 살기 시작한거임
@ajcyebxi184jcjndnxbnnw2 жыл бұрын
@@공조기-l6j 게이는 역사를 배우지 않고 소설을 배웠노
@공조기-l6j2 жыл бұрын
@@ajcyebxi184jcjndnxbnnw 게이야... 내가 정말 몰라서 저런 댓글을 달았을것 같노...
@youcantata2 жыл бұрын
지금 ChatGPT 등 범용 인공지능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NPU등 인공지능 하드웨어도 급격히 발전하고 있어서 컴퓨터 게임에 진짜 사람처럼 행동하는 AI 가 등장하는 건 시간문제죠. 그러면 또한번 게이밍에 큰 혁신이 일어날 겁니다. 그런 AI 가 실생활에 적용되기 시작하면 사람은 거의 이길 수가 없을 겁니다.
@hollow23172 жыл бұрын
에피소드2의 경우에는 포탈시리즈의 글라도스가 대표적이겠네요. 너무 사이코에 지능이 높아서 지능을 낮추는 코어를 덕지덕지 붙였으니까요
@익명이짱2 жыл бұрын
입대하고 나서 청원이님만 계속 보게 되는듯...
@감자-v8n5x2 жыл бұрын
AI가 똑똑하게 만드는건 현재 기술로는 쉬운데 문제는 게임이 플레이가 불가능한 수준이라 어떤게임은 일부러 멍청하게 만든다고 하기도하죠
@찬란한멋쟁이22 жыл бұрын
오늘도잘보고갑니다
@Chikcoffee2 жыл бұрын
킬존 AI가 제일 똑똑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진짜 사람처럼 뒤로 돌아가 각 벌리면서 뒷치기하는 모습 아직도 생생함...ㄷㄷ
@저글링-q1u2 жыл бұрын
2:40 이거 장르 미스터리 공포 스릴러네
@JIGU-2 жыл бұрын
2:57 이거는 ai풀로 풀어두고 관찰 하는것만 해도 재밌겠네 경영 시뮬이나 신 시뮬 하면 ㅈㄴ재있을듯
@moonoo_25492 жыл бұрын
워존 Dmz의 AI들이 얼마나 악랄하냐면 200m 거리의 연막 속에서 열화상조준경 없이 맨눈으로 절 쏴서 죽이는 정도입니다
@blzero2 жыл бұрын
콜오브듀티 시리즈중 이번에 나온 모던워페어2 리부트의 AI가 엄청나게 강하게 설정되어 있으니 여러분들도 에이 뭔 AI가 그렇게 어렵다고 생각하시면 큰고 다침니다 장갑병도 있어서 죽이기도 힘든데다 심지어 DMZ모드보다 더 어려운건 싱글플레이 베테랑 난이도인데 멀티 AI를 상향시킴으로서 싱글플레이도 똑같이 인공지능이 올라간 경우가 있습니다 거기에 이번싱글플레이중 장갑병이 무수히 많이 나오는 작입니다 그러니 여려분들도 항상 이게임을 하실때에 조심하시길바람니다
@핏자국2 жыл бұрын
이 사람은 썸네일을 너무 강렬하게 잘 뽑아서 영상이 보이면 클릭하게됨 ㅋㅋㅋㅋ
@이성준-n8f Жыл бұрын
옛날 FPS 게임 AI : 시야각도 있고 무기 종류도 있고 죽인후 시체확인까지 함. 요즘 FPS 게임 AI : 플래이어가 보이지 않는 벽뒤에서 플래이어를 인식하여 벽을 향해 총을 쏘며 벽을 향햐 뛰어가다가 벽이 뚫려서 아래로 내려감
@innokim82302 жыл бұрын
워3 유즈맵 도타 올스타즈 AI 버전이 최고난이도로 하면 진짜 ㄹㅇ 어려웠음 AI가 인보커 풀콤 넣는거 보고 이건 안되겠다 싶었음
@gjrjrjr123452 жыл бұрын
팀파이트 매니저가 이 영상에 제일 부합하는 경우 너무 미친듯이 칼픽밴을 해서 너무 게임이 빡세져서 롤백
@Killer__cat2 жыл бұрын
대표적으로 서양리니지라고 불리던 울티마 온라인이 있었죠,,,(예시로 말하자면 유저들이 주점주인npc를 괴롭혀서 npc가 아르바이트하는 유저에게 랜덤퀘스트로 독약을 만들으라고 하던가, ㅋㅋㅋ더 웃긴건 퀘스트 완료하고 주점npc가 식당에 먹고가는 유저에게 독이든 음식을 주던가 있었다고 하네요ㅋㅋㅋ) 싱글로는 스카이림이 짱인듯 합니다
@SeHyunTheGreat2 жыл бұрын
저기 에피소드 3에 광과민성 발작 경고좀 넣어주실 수 있나요. 모르고 봤다가 빨간 빛이랑 하얀 빛 빠르게 깜빡거릴 때 진짜 어질어질해서 그래요...
@박현종-m1w2 жыл бұрын
이젠 퍼즐적 요소는 인간이 ai를 이길수 없다는게 이미 알파고가 증명했지요. 퍼즐게임에서 여러분이 ai를 이겼다면 ai를 잘못짠게 아니라 의도적으로 여러분이 이기게끔 떠먹여준거란겁니다. 즉 여러분이 이겼다고 좋아하는거 까지 계산된거에요.
@Russet4982 жыл бұрын
저거 에피소드 1Ai 가지고 도시 시뮬레이터 만들면 개꿀잼일듯 ㅋㅋㅋ
@North_Jeollado Жыл бұрын
GTA5 싱글 전문 유튜버 X파의 경우에도, 물론 본인 실력과 입담도 있지만, 컨텐츠 반 이상은 NPC의 인공지능으로 뽑아먹음
@김호드-p5h2 жыл бұрын
디비전 소문듣자하니 터미네이터랑 맞다이가 얼마나 빡센지 세계관 체험가능하다던데 사실인가여
@Hi-Bixbi2 жыл бұрын
법을 어기면 즉결사형이 아니라 감옥에 가두고 며칠형 때리고 ai가 결혼도해서 새로운 아이를 낳고 그 아이는 며칠뒤면 성인이되서 퀘스트를 내주는 그런거라면 진짜 리얼 라이프처럼 개재밋게 할듯 내가 없어도 멋대로 진행되는 게임이라니ㅋㅋㅋㅋ
@be7342 жыл бұрын
단점 : 주요 스토리 npc도 죽어있음
@mulan1004792 жыл бұрын
게임 용량 ㅈ됨 그럼ㅋㅋ
@highjaylev15812 жыл бұрын
현실도 옛날 보다 세계 인구가 늘어 났다는걸 보면 ... 게임에서도 인구수 70억 찍는건 일도 아니게 될지도 모릅니다. (= 컴퓨터 사망)
@epiczombi2 жыл бұрын
AI를 어렵게 만드는 건 쉽고 오히려 쉽게 만드는게 어렵습니다. 억지스럽게 봐주는 느낌이 없으면서 치열하게 싸우다 유저에게 져줄 정도로 짜야 하니까요.
@System.Error.2 жыл бұрын
체스같은 게임도 ai가 너무 세서 봇들은 제한을 걸어 만들죠
@Comet_crusader2 жыл бұрын
근실이 형(이그니스 회장)이 사기적인 성능과 미친 AI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낙법을 못친다는 크나큰 단점이 있죠 어차피 컴퓨터들은 낙법을 안치지만
@chronoexplorers2 жыл бұрын
심각하게 현실적인 AI
@김일-h2d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관련 주제는 아닌데 월탱에는 편의증진모드 라고 핵프로그렘이있는데 그중에 하나가 적이 어딜보는지 적의 포구에서 선을 뽑아내서 사선을 보여주는 프로그렘이 있는데 그거를 핵들이 쓰는걸 알고는 있는데 못없애고 있죠 이유가 '게임사 지들이 써야해서' 튜토리얼 프로그렘이랑 대회에 그 프로그렘을 무조건 써야해서 그냥 핵을 방치하는중입니다.
@도미노한국인2 жыл бұрын
라디언트 AI같은 AI 시스템을 스타듀벨리와 같은 게임에 넣어놓아도 정말 재밌을것같네요
@그냥그렇다고요2 жыл бұрын
청원이님, 진짜 궁금한건데 페페 개구리 짤은 도대체 어디서 그렇게 모으신건가요 저는 찾아봐도 안보이던데 페페 찐 마니아이신듯ㅋㅋ
@urban_nightmare2 жыл бұрын
강력한 AI하면 역시 에일리언 아이솔레이션의 2중 AI가 가장 먼저 떠오르죠.
@LikesDDochi2 жыл бұрын
카스소스 AI 최고난이도로 하면 봇들이 프로급 반응을 가지고 원거리에서도 헤드만 쏘던게 떠오르네요
@musicbox93442 жыл бұрын
1번째는 유리 인간의 진화과정을 보는거 같네...
@neighborbbobbi2 жыл бұрын
bethesda 썰은 진짜 개쩔면서 뻘하게 웃기닼ㅋㅋㅋㅋㅋㅋㅋ
@레느2 жыл бұрын
AI:밥을 얻으려면……..범죄가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휴먼
@Korea_Mosquito10 ай бұрын
DMZ가 어렵다고 생각은 했는데 이정도까진 생각 안해봐서 몰랐네 저격총쓰면 줜나쉬운데
@엔비루2 жыл бұрын
공상과학 소설에서 AI가 인간 지배하는 내용 나오는게 괜히 있는게 아닌듯
@apocalypsex6662 жыл бұрын
첫번째 경우는 보는 것만으로도 재미있겠는데?? 두번째 경우는 말이 짧은게 가장 강하다
@user-fdw8f7ww8eАй бұрын
에피소드4는 ai가 아니라 알고리즘인 것 같네요
@게임빌런-t5f2 жыл бұрын
5:21 부분은 빛에 민감하신분들은 스킵하고 시청하세요.
@yh4765002 жыл бұрын
저 자유로운 AI 가지고 심즈 같은 게임 만들면 재밌겠는뎈ㅋㅋㅋㅋ 뭐 플레이어가 하는 게 누구 시점에서 지켜보기 뿐이겠지만ㅋㅋㅋㅋㅋ
@용가리사천2 жыл бұрын
대표적으로 머리좋은AI는 에일리언아이솔레이션이 있지요
@박준형-d7p2 жыл бұрын
똥나무 보스들이 HP 떨어지면 플레이어를 머리 위에 올려서 HP 회복하던 것도 뛰어난 AI에 해당하려나?
@AsumiKana06092 жыл бұрын
킹오파 보스 AI 하면 이그니스도 문젠데 96 - 게니츠 라거나 / 13 - 미친애쉬 도 아주 극찬이 터지는 두뇌를 가졌음
@강인영-g2u2 жыл бұрын
AI : 인간은 나약하다, AI는 우월하다
@이기연-k1h2 жыл бұрын
킹오파 이근실... 어린시절 97~2003시리즈까지 원코인으로 최종보스까지 깰 수 있었지만 유일하게 2001 이근실은 엄두도 못냈음 이근실은 커녕 그전 보스인 오리지널 제로에서 막혀가지고 이그니스한테 갔을때는 이미 몸과 마음이 누더기상태였음 ㅋㅋㅋㅋㅋㅋㅋㅋ
@kain47212 жыл бұрын
Fps에서 유명한 똑똑한 ai로는 하프라이프, 피어 1이 있었죠
@LikesDDochi2 жыл бұрын
피어 AI 킹정합니다 ㅋㅋㅋ
@꿩소리2 жыл бұрын
롤 봇전을 주로 했었는데 1대1은 이기는데 한타는 거의 져서 어려웠던 기억이 나네요 애들이 cc기 연계랑 무빙은 잘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