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들건들]103. 대물 저격총계의 스타 바렛 M107 vs 저격수 잡는 저격총 샤이텍 M200 인터벤션

  Рет қаралды 261,917

건들건들

건들건들

Күн бұрын

미군도 제식으로 사용하고있는 50구경 대물저격총 바렛 M107과
영화와 드라마에서 자주 등장하는 저격수 잡는 저격총 샤이텍 M200 인터벤션의 한판대결!
댓글로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우승자를 적어주세요!
#건들건들 #환장 #펜더 #저격총
[건들건들 인스타그램계정]
/ uraworks_creative
[자막참여하기]
www.youtube.com...
[건들건들 채널 멤버쉽가입]
/ @military_history
항상 풀오토 연사로 임하겠습니다.
가입버튼이 보이지 않는다면 아래의 링크로~
/ @military_history

Пікірлер: 872
@handrakeh4442
@handrakeh4442 2 жыл бұрын
바렛이요. 상황에 따라 사용 가능한 다양한 탄종, 아직도 온 전장을 누비고 있다는점. 분명 샤이텍이 처음 나왔을떄 굉장하다고 말이 나왔지만 20여년이 지난 지금 전장에서 더 많이 쓰이는건 바렛이죠. 최강의 저격총에서 최강에 정밀도 포함 병기로서의 의미도 있는 이상 바렛 승이라고 봅니다.
@박희수-t8d
@박희수-t8d 2 жыл бұрын
아무래도 탄두가 크다보니까 이런저런 흉악한 업그레이드해서 전용탄을 만들어 쓸 수 있는 확장석이란 장점은 못 말리죠.
@김민철-t8v9p
@김민철-t8v9p 2 жыл бұрын
변화무쌍한 전장과 실무에서는 다재가능하고 확장성 넓은 바렛이 더 선호 될 수 있죠
@dj_3371
@dj_3371 2 жыл бұрын
근데 인터벤션도 대물사격이 가능함
@vakbanhouse2077
@vakbanhouse2077 2 жыл бұрын
@@dj_3371 50구경이나 338 라푸아라든가 실질적인 살상력과 위력은 솔까 차이가 상대적으로 많이 안남
@dongkulisaacyu648
@dongkulisaacyu648 Жыл бұрын
@@vakbanhouse2077 어짜피 둘다 맞으면 죽기때문 ㅋㅋㅋㅋㅋ
@m200is
@m200is 2 жыл бұрын
바렛은 전과목 5위내의 학생아라면은 M200은 특정과목 전국권이라는건데.. 참 결정하기 어렵네요. 군용으로는 범용성이 좋은 바렛이 좋겠지만요
@김용환-x7m
@김용환-x7m 2 жыл бұрын
비유 잘하시네
@dalbongpark2830
@dalbongpark2830 2 жыл бұрын
실전에선 바렛이 1,2위를 다투죠. 여기서도 나왔지만 반자동 연사가 가능하고, 탄종에따라 장애물 뚫고, 학살이 가능함. 또 실제로 미해병대 소총수도 그냥 간단한 교육 받고 분대화기처럼 건물에 숨은 적을 벽째로 날라버리는 경우가 많았음. 체이텍 같은 경우 아프간이나 이라크 전쟁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쓰일 뿐이고, 실제로 체이텍이 하는 역할이상을 바렛으로 대체 가능하다는게, 크죠. 체이텍이야 나라별 손에 꼽을 1위에서5위권애들 손에 쥐어줘야 가능할 정도로 손타는 물건이니.
@m200is
@m200is 2 жыл бұрын
@@dalbongpark2830 저도 글쓰고 바렛을 너무 낮게 잡았다는 생걱이 들었습니다. 확실히 바렛이 전체적인 면에서 확실한 우위로 두어야할것 같네요
@xeno-99
@xeno-99 2 жыл бұрын
게다가 50구경 안에서 나오는 확장성까지 생각하면 바렛의 범용성은 정말좋죠 뭐 유도 50구경탄은 강선이 있으면 안되지만 ㅋㅋㅋ
@kadeharakadehara753
@kadeharakadehara753 2 жыл бұрын
무기는 항상 상황과 목적에 따라 장비하는것이 진리 입니다.
@셀바-r7t
@셀바-r7t 2 жыл бұрын
실전 경험도 많고 펀치력도 센 바렛에 한표 던집니다. 아무래도 탄종이 다양하니 별의별 상황이 다 터지는 전장 상황에 능숙히 대처할 수 있고 샤이텍의 전용탄보다 탄도계수가 높은 슈퍼울트라 매치그레이드 탄도 나왔으니 고득점을 안 줄래야 안 줄수가 없네요.
@7mmalltheway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반자동이라 총이 많이 흔들리긴 하죠.
@xkdlzhsrkfjtmrmq
@xkdlzhsrkfjtmrmq 2 жыл бұрын
바렛에 한표 드립니다. 군용이라는 특성상 특정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부분에서 점수를 더 높게 주고 싶네요.
@liillilllilliili
@liillilllilliili 2 жыл бұрын
@좃같으면야리는 개 넹 읽는법 자료마다 다르더라요
@gohkhohgobovk9083
@gohkhohgobovk9083 2 жыл бұрын
@좃같으면야리는 개 옙 체이탁 샤이택 발음 차이입니다 뭐가 맞는지는 기억이 안나네요
@carbohydra
@carbohydra 2 жыл бұрын
사실 샤이택이 제조사에서도 인정한 발음이니 샤이택이 맞겠네요
@스파르탄-l6d
@스파르탄-l6d 2 жыл бұрын
@@gohkhohgobovk9083 아마 샤이텍이 맞을겁니다. 저도 체이탁으로 7년동안 알고있었는데 나중에 찾아보니 제조사에서 샤이텍이라더군요
@7mmalltheway
@7mmalltheway Жыл бұрын
Cheytac의 정확한 발음은 셰이택 입니다.
@김성빈-d6t
@김성빈-d6t 2 жыл бұрын
대충 비유하자면 바렛: 터프한 오함마/빠루 샤이텍: 의사용 메스 같은 느낌인데 애초에 총기 특성과 교리가 제각각 다르니 어느 한쪽이 더 낫다 보다는 각각 장단점이 존재하는 좋은총이라고 보고 임우와 보급, 작전 지역에 따라 유도리 있게 사용하는게 저격수 입장에선 정답일것 같네요
@PRIMITIAE_030
@PRIMITIAE_030 2 жыл бұрын
약간 배그에서 하나씩 들고 다니면 가슴이 웅장해질 조합인거죠... 장거리 유탄발사기랑 초장거리 정밀 스나를 어케 참아!!!!!ㅎㅎㅎ
@PRIMITIAE_030
@PRIMITIAE_030 2 жыл бұрын
@@user-yjbc5e7f9b74 ㅋㅋㅋㅎㅋㅎㅋㅋㅎㅎㅋㅎㅋㅋㅎㅋㅋㅋ
@user-ri2vp7qt7f
@user-ri2vp7qt7f 2 жыл бұрын
글쎄요. 비렛이 메고 샤이텍이 침이면 좀 더 정확하지 않겠나.. 합니다만..
@As_human
@As_human 2 жыл бұрын
역시 최고의 저격총은 레이저 타겟팅 포드죠
@빨간혁명가
@빨간혁명가 2 жыл бұрын
반박 불가능한 최강의 위력
@xeno-99
@xeno-99 2 жыл бұрын
따끈한 핵무기까지 쏠수 있는 최강의 총이죠 ㅋㅋ
@NeonBeakBird
@NeonBeakBird Жыл бұрын
Nuclear launch detected.
@akssyd724
@akssyd724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최고다 ㄷㄷ
@Doodock
@Doodock Жыл бұрын
아니ㅠㅠ 그게 아니 ㅠㅠ아닌데
@NJ-ce7yt
@NJ-ce7yt 2 жыл бұрын
"저격총"으로만 사용했을때라면 샤이텍이 충분한 경쟁력이 있고 어떤 면에서는 바렛보다 낫다고 볼 수도 있지만 범용적으로 총 그 자체를 봤을 때에는 바렛을 따라오기 힘들다 생각합니다.
@rabyrins
@rabyrins 2 жыл бұрын
선택과 집중의 차이겠네요. 적과의 전투가 목적이라면 바렛을 들고 가고, 대태러나 인질구출용이라면 샤이텍.
@김민철-t8v9p
@김민철-t8v9p 2 жыл бұрын
정비,유지,운용의 편의를 생각한 볼트액션식과 대인저격에 특화 된 목적이 뚜렷하며 완벽한 저격을 위한 도구까지 갖췄을 뿐더러 갠적으로 보기에 매우 맘에들고 가지고 싶은 샤이택에 한표 던집니다.
@luka7058
@luka7058 2 жыл бұрын
젓가락....
@toughcookie218
@toughcookie218 Жыл бұрын
M200이 m107보다 무거운데요
@김민철-t8v9p
@김민철-t8v9p Жыл бұрын
​@@toughcookie218 영상 다시 봤는데 그렇네요...ㅎ
@hayun-g7x
@hayun-g7x 2 жыл бұрын
바렛 한표입니다 아무래도 50개국에서 사용한다는경우 범용성이높고 반자동이라해도 저격전에서의 거리를생각한다면 바렛이 이길가능성이 크다 생각합니다
@uju9900
@uju9900 2 жыл бұрын
현역으로서 지금꺼지 만난 저격수들은 하나같이 꼭 쏴보고 싶은 총으로 샤이택을 골랐습니다 바렛은 초정밀 사격이 아닌이상 일반 보병이 일정기간 훈련받을경우 운용가능하지만 샤이택의 경우는 고도로 훈련받고 여러 실전경험을 가진 저격수들이 선호하는 편입니다 바렛의 경우 반자동이라 정밀한 사격을 요할경우 장전할때 나오는 미세한 진동꺼지 저격의 방해요인으로 적용되지만 샤이택의 경우 아주 정밀한 컨트롤까지 할 수 있기에 저격수로써는 샤이택을 선호합니다
@시고르자브송
@시고르자브송 2 жыл бұрын
기왕 대결식으로 하는 거 다음에 이 시리즈 또 하실 때는 진 사람이 L85 찬양 영상 찍는다던가 하는 벌칙도 내걸고 하면 재밌겠습니다.
@jih199846
@jih199846 2 жыл бұрын
친구랑 술 한 잔 먹고 들었습니다 완전 대구경 끼리의 저격총에 대결이니깐 뎌욱 무언가 더욱 박진김이 있군요.(딸꾹) 그래도 현대의 건들건들님 저격총 간의 대결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Mrs.P_3629
@Mrs.P_3629 2 жыл бұрын
샤이택이 2km이상의 장거리 저격전에 확실한 강점이 있는 건 알겠지만, 범용성 높고 저격전에서도 준수한 바렛에게 한 표 주고 싶네요.
@Ripley-q1g
@Ripley-q1g 2 жыл бұрын
군대에서 정말 중요하게 생각할만한 요소가 빠졌네요, 무기의 가격과 보급의 편의성 같은 요소로 따져보는 것도 의미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물론 위 요소로 비교하자면 샤이텍이 딱히 바렛에 비벼볼만한 구석이 없긴하지만 ㅠㅠ
@junchun2424
@junchun2424 2 жыл бұрын
바렛이 압도적으로 범용적이기에 일반병에겐 바렛을 보급하는게 좋지만 운용사정이 된다면 일부 엘리트 저격수들에겐 볼트액션인 샤이텍을 주는게 더 좋을거 같다고 생각합니다
@lattecream3104
@lattecream3104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둘의 대결은 '대인 저격총 vs 대물 저격총'인지라 미스매치 같음. 물론 대물 저격총을 사람에게 못쏠 이유는 없겠지만, 둘이 추구하는 바가 너무 다름. 개인적으로 최강의 저격총은 Arctic Warfare사의 AW 시리즈 저격총이라 생각함.(일명 에땁)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있고, 그 신뢰성으로 수많은 국가의 특수부대에서 쓰이고 있음. 근데 '최강의 저격총' 이라는 부분은 주력 탄종을 무엇을 쓰느냐, 일반 보병이 쓰느냐, 특스부대가 쓰느냐, 군수.민간 시장에서 어떻게 쓰느냐 등등 항목별로 따지면 각각 최고의 총기가 전부 다를듯 해서.. 기회가 된다면 각각의 분야별 최고는 어떤 저격총인지도 다뤄 줬으면 좋겠습니다.
@Pia-u1d
@Pia-u1d 2 жыл бұрын
이게 맞는듯 단거리 육상선수랑 장거리 마라토너 둘 두고 누가 더 달리기 잘해요 이런급이니까 같은 분야의 총끼리 대결을 붙혔으면 더 흥미진진했을탠데 ..
@7thlegin169
@7thlegin169 2 жыл бұрын
바렛의 50구경탄은 스치기만 해도 팔다리가 날아갈 정도이니 확실히 전쟁에서 적에게 무시무시한 위력을 보여주겠죠 거기에 적의 경장갑 차량이나 헬기에도 위협적이니 순수 전쟁용 저격총으로는 바렛이 좀더 유리한듯
@StorytellerP-c2z
@StorytellerP-c2z 2 жыл бұрын
팔다리는..예.
@whatever-it-takes
@whatever-it-takes 2 жыл бұрын
맞으면 맞은부위가 없어지는 기적같은 탄..
@북극곰-j8x
@북극곰-j8x 2 жыл бұрын
기본적인 운동에너지도 둘 다 1만줄 이상이라 둘 다 맞으면 맞은곳 사라지는건 똑같음ㅋㅋㅋㅋ
@StorytellerP-c2z
@StorytellerP-c2z 2 жыл бұрын
@@북극곰-j8x ㄹㅇㅋㅋ..
@carbohydra
@carbohydra 2 жыл бұрын
자카에프 왼팔 없어지는거 보고 은근 무서웠더니까ㅋㅋㅋ
@바칼스젤
@바칼스젤 2 жыл бұрын
무슨 총이 최고저격총인지는 모르겠지만 바렛이나 m200이가지는 특성 고려해야되고 또 임무나상황에 맞게 무기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항상 최신무기가 답은 아니듯이 상황에 따라 구식무기가 임무나상황에 맞는무기가 될수도있고요 지금 우크라이나전쟁도 연식이 오랫된 수냉식기관총을 사용하듯이 임무에 맞는 무기를 고르면 그게 최고의총이 아닐까요
@고대경-b6d
@고대경-b6d 2 жыл бұрын
상황과 필요에 따라서 볼트액션 방식의 m200 샤이텍 인터베이션이 좋을 수가 있고 반자동 방식의 대물 저격총 m107 바렛이 좋을 수가 있죠. 두 가지를 적절히 잘 사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woosunchoi4713
@woosunchoi4713 2 жыл бұрын
두 가지다 가지고 다닐 수 없어서 문제죠 ㅎㅎ
@고대경-b6d
@고대경-b6d 2 жыл бұрын
@@woosunchoi4713 m200 샤이텍 인터베이션을 운용하는 저격수와 m107 바렛을 운용하는 저격수가 한 팀이 되어서 같이 작전을 해도 좋을 것 같네요.
@MrXkr
@MrXkr 2 жыл бұрын
바렛에 한 표 일단 이미 사용할 탄약이 널려있으니 보급과 지속적인 화력 투사에도 유리할 것이고, 일반적인 저격 목적으로도 충분한 성능을 보여주고, 저련 무지막지한 위력의 탄약을 보면 적의 심리적인 부분도 무너트릴 수 있으니 특별히 모난 부분이 없는 좋은 무기라 생각됩니다.
@백만냥이
@백만냥이 2 жыл бұрын
일반적인 군용 대물 저격총으로는 바렛이 유리할 것 같고, 대테러전에서 쓰일 용도라고 가정한다면 샤이텍이 더 좋겠네요. 하지만, 탄 수급이나 범용성 등을 고려한다면 역시 바렛이 더 좋은 것 같습니다.
@leesh342
@leesh342 2 жыл бұрын
대테러전에서 1키로 넘는 장거리 저격이 필요한 경우는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네요. 대테러전은 대부분 도심에서 일어나기 때문이죠. 샤이텍은 딱 요인 암살, 저격수 암살용인데 미군 같은 경우에는 저격수 상대로 저격수를 쓰는 것보다 공중 화력으로 가루로 만들다보니 필요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 같아요
@생각중-w3k
@생각중-w3k 2 жыл бұрын
샤이택의 가장 큰 약점은 가격으로 알고 있습니다. 샤이택 저거 세트로 다 사면 억 단위가 넘는걸로 기억하는데 ( 기억이 가물가물 ) 반면 바렛은 훨씬 싼 가격에 도입이 가능하죠.. 모든 산업은 돈이 좌우하죠... 샤이택이 바랫의 가격에 판매가 됐다면 많은 국가들의 선택이 달라질수 있을지도..
@lucidwing1281
@lucidwing1281 2 жыл бұрын
미군 기록 : 기억해라 니가 쓰는 장비들은 모두 최저가에 낙찰된 물품들이다.
@opuntia4705
@opuntia4705 2 жыл бұрын
"총 대 총"으로 가면 아무래도 바렛이 조금 더 우세하겠지만, "탄환 대 탄환"으로 가면 .408 샤이텍의 압승입니다. 영상에 나온 탄도계수는 7000 × 탄자 무게[grain]/{구경 제곱[inch^2] × (해당 탄자의 항력계수/G7 항력계수)}로 구할 수 있는데, .50 BMG는 .408 샤이텍보다 탄자 무게가 더 무겁고 구경이 더 크기 때문에 공기역학적으로는 .408이 더 잘 디자인된 탄환이라고 볼 수 있지요.
@곽정규-y7k
@곽정규-y7k 2 жыл бұрын
하긴 그나마 전용탄으로 개발된 샤이텍보단 50구경은 좀 오래된 물건이긴 하죠...
@김애용-b7k
@김애용-b7k 2 жыл бұрын
아 ㅋㅋ 누가 50구경을 정밀탄으로 쓰라고 개발했냐고ㅋㅋㅋㅋㅋㅋㅋㅋ 걍 기관총에 넣고 뿌리라고 만든건데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탄도계수 높을수밖에 없는게 탄도계수 낮으면 항공기에 딜이 안박혀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곽정규-y7k
@곽정규-y7k 2 жыл бұрын
@@김애용-b7k 근데 항공기용으로 50구경 주렁주렁 달고 다니는건 좋다 이건데...그걸 초기 아음속 제트기까지 쓴게 좀....
@opuntia4705
@opuntia4705 2 жыл бұрын
@@김애용-b7kㄹㅇ .408 샤이텍같은거 비행기에 쏘면 그냥 푸슝 퍽하고 끝임 가까우면 비행기 관통도 가능할듯ㅋㅋㅋ
@김애용-b7k
@김애용-b7k 2 жыл бұрын
@@opuntia4705 어떤 미친 비행기가 화기있는데 저공비행을 합니꽈
@jufokgun
@jufokgun 2 жыл бұрын
콜옵 모던 2에서 많이 써봤던 인터벤션이 정이 많이 가네요
@goaaes
@goaaes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보는 밀덕님들 질문좀 50구경 탄환 쓰는 슈퍼 매그넘 리볼버도 스피드 로더 있어요?
@낙지티콘
@낙지티콘 2 жыл бұрын
바렛과 샤이텍이라니 가슴이 웅장해진다
@JAE-0509
@JAE-0509 2 жыл бұрын
군용은 바렛이고 대터러부대나 경찰특공대에게는 샤이택이 어울리는것 같네요
@riprus4581
@riprus4581 2 жыл бұрын
건들건들 아조시들 왜 2주째 영상이 없나요ㅠㅠ 몸 괜찮으신거 맞죠?
@roylee8305
@roylee8305 2 жыл бұрын
바렛에 1표요 전용탄을 써야 하는 인터벤션 보단 50.BMG는 비교적 구하기 쉬우니까 운용에 훨씬 많은 이점이 있는거 같아요
@치지직-d9n
@치지직-d9n 2 жыл бұрын
샤이텍이 은근슬쩍 총기 외적인 요소로 점수먹으려는 것 같아서 바렛이요. 게다가 그런 사격통제장치도 블루투스 연결처럼 측정하자 마자 바로 나오는 것도 아니고 일일히 입력해야 된다니...
@broox0304
@broox0304 2 жыл бұрын
바렛. 전장 적응 능력이 월등하게 앞서는거 같네요.. 탄종역시 상황에 맞게 쓸수 있지만 정안되면 50구경 땡겨와서 사용도 가능하니.. 전용탄인 샤이텍보다는 전장에서 유리할거 같네요.
@온사랑-q8f
@온사랑-q8f 2 жыл бұрын
바렛 한 표. 대인 대물 등을 가리지 않고 전장에서 유연하게 대응. 설명은 영상에서 잘 하셔서 넘어 갑니다.
@unnamed000
@unnamed000 2 жыл бұрын
강한놈이 살아 남는게 아니라 / 살아 남은놈이 강하단 말을 생각해보면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적응력입니다 바렛에 투표합니다
@DrugJangSu
@DrugJangSu 2 жыл бұрын
바렛 한표! 현대 전장이 대부분 시가전 위주라는 걸 생각하면 어차피 은신해서 며칠간 대기하는 저격수 특성상 위력 강한 총이 더 좋을듯. 탄종부터가 사람이 직접 맞으면 몸이 반으로 접히는 무지막지한 놈이라서...
@tnt_ex5104
@tnt_ex5104 2 жыл бұрын
아쉬운점이 휴대성 측면이 안나왔네요 물론 저격수가 부총수와 콤보로 이동한다지만 휴대성도 꽤나 중요한 포인트 같은데 그부분이 빠진건 ㅜㅜ
@IlIDOOMGUYIlI
@IlIDOOMGUYIlI 2 жыл бұрын
둘다 그쪽으로는 영..... 뭐 그렇게 되면 338 라푸아탄 쓰는 총이 휴대성도 어느정도 챙기고 위력과 사거리도 챙겼으니 최강이 될수도 있겠네요 ㅋㅋ 최근 미국에서 PSR 사업할때 선정된 레밍턴사의 MSR 이라던지, 영국의 명품 AW 소총 이라던지
@JUANRATIN
@JUANRATIN 2 жыл бұрын
M107 12kg M200 14kg 라서 둘다 휴대성을 말하기는 좀그람
@tnt_ex5104
@tnt_ex5104 2 жыл бұрын
@@IlIDOOMGUYIlI 둘다 않좋기는 하지만 그래도 비교항목으로 넣었으면 하는 욕심이 생기네요 특히 바렛같은경우 영상에서 나오는 다양한 탄종을 적재적소에 쓸려면 휴대해야할 탄약수가 늘어날텐데 그것도 휴대성에 차이를 낼수있나 궁금한 마음입니다
@IlIDOOMGUYIlI
@IlIDOOMGUYIlI 2 жыл бұрын
그럼...... 50구경의 화력과 볼트액션의 정밀성을 가진 TAC-50이 최강의 저격총 인듯 실전 기록도 확실하고
@Takamiya_Mio
@Takamiya_Mio 2 жыл бұрын
골든-정답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opuntia4705
@opuntia4705 2 жыл бұрын
왜 안나오나 싶었다ㅋㅋㅋ 갓밀란 tac-50
@TheFreeMon
@TheFreeMon 2 жыл бұрын
전장은 특정 상황보다 더 다양한 환경에 적응력을 필요로하는데 바렛이 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바렛이 더 전장에 필요로 하는 저격총이 인것 같습니다. 저격이라는 임무는 단순 보병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주요인물을 제거해야하는 임무이니 바렛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thouxcv
@thouxcv 2 жыл бұрын
바렛, 철갑고폭소이탄은 중기관총에도 사용하니깐 보급에서도 좋고, 초장거리 사격이라면 연발로 면제압을 해서 임무 성공률을 높이면 되니깐
@CursedCat7
@CursedCat7 2 жыл бұрын
저격 용도는 M200.. 50구경의 화약발화는 은밀성을 보장할 수가 없어요.. 다용도로는 좋지만, 제가 저격수라면 살아서 집에 돌아갈 총을 쓸것 같아요
@김범중-s8f
@김범중-s8f 2 жыл бұрын
진짜 갓브라우닝... ㄷㄷ 어디까지 내다보신겁니까...;;;
@Sun6Wind
@Sun6Wind 2 жыл бұрын
형들 다음에 가상 시나리오로 예를 들어 시모 해위해가 만약 바렛 vs 사이텍 둘 중 어떤 걸 잘 이용할지. 과거 전쟁 영웅들이 현대전 무기를 가져간다면 어떤 일이 이루어질지. 그리고 범외로 제일 궁금한 상황 만약 이전 전쟁 참여하신 참전용사분들이 그 시대 총을 사격장에서 쏘는 면서 리뷰하시고 업그레이드된(그당시 없거나 사용기종이 업그레이드 된 총) 현대 총기의 사용 리뷰 엄청 재미있을것 같아요
@Sun6Wind
@Sun6Wind 2 жыл бұрын
범외는 아픈 과거시겠지만 지금 총기의 신뢰성과 명중률로 이제 한국이라는 나라를 지킬수있고 안심하실수 있게 국방력과 기술력을 보여주는 그런 시간이 되는걸 생각합니다.
@마성전설
@마성전설 2 жыл бұрын
십몇년전에 저두총기가 한게임(콜옵모던워페어2)에 나왓지..첨엔 바렛들고 다니다가 샤이텍 썼었슴ㅇㅇ
@채현-t3b
@채현-t3b 2 жыл бұрын
모신 나강vs카라비너98k도 나오면 재밌을거 같다
@PSH_425
@PSH_425 4 ай бұрын
소련 vs 나치독일 ㄷㄷ
@ttanggae2422
@ttanggae2422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총기사용이 가능하고 돈이 여유 있다면 샤이텍이지 저격수 잡는 저격총이라는 말이 너무 매력적이라ㅎㅎㅎㅎ
@방탕중년단-j2g
@방탕중년단-j2g 2 жыл бұрын
결과적으로 말하자면 보급에 범용성에 지속적인 화력 투사 가능등을 생각하면 정작 더 많이 쓰이는 건 바렛이라 나도 바렛에 한표 근데, 샤이텍 M200 보니까.. 영화 더블 타켓 땡기네 ㅎㅎㅎ
@istandwithukraine
@istandwithukraine 2 жыл бұрын
최애총 2가지에 최신 영상.. 못참지
@sjb8178
@sjb8178 2 жыл бұрын
영상 퀄리티 무엇...
@밀랍마인
@밀랍마인 2 жыл бұрын
Barret M107이 더 좋다고 생각됩니다 샤이택은 바렛에 비해 실전활용도가 낮고 전용탄도 적어서 다방면에서 사용하긴 무리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바렛은 강력한 운동에너지까지 가지고 있으니 샤이택보다 더 우수하다고 저는 생각됩니다 다음 최강의 총기 주제 추천:기관권총
@1998hsh
@1998hsh 9 ай бұрын
뭐든간에 일단 손에 들어온 쪽이 뭔가 하나 터뜨리는건 마찬가지인거 아닌갘ㅋㅋ
@MGKTLGLDLG
@MGKTLGLDLG Жыл бұрын
이만한 채널은 없었기에...계속 기다리겠읍니다...
@gog2654
@gog2654 2 жыл бұрын
선택받지 못 했지만 tac 50이 잠깐이라도 얼굴을 비춰줘서 그저 기쁜 1인...ㅠ
@TV-bb1gz
@TV-bb1gz 2 жыл бұрын
둘의 단점을 제거하고 둘의 장점을 모두 가진 대구경 저격총은 없나요? 그런걸 만들면 될텐데... 지금 총포 제작기술력이 떨어지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지평선-x
@지평선-x 2 жыл бұрын
맥밀란 TAC-50이요...저격특화이면서 바렛과 같은 .50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장거리 저격 기록은 3번이나 경신했다고 하고, 영상에서도 3키로밖 저격에 성공했다고 잠깐 나오네요~~ 다만.. 볼트액션이라는 것과 탄창이 5발들이 라는 것은 연달아 쏘기에 반자동보다 불리한 점은 있긴 하겠죠..
@art1604
@art1604 2 жыл бұрын
Gm6 링스 리뷰 부탁드립니다 같은 50구경안데 바렛을 대체 상위호환 가능한지도 궁금해요
@jhp8457
@jhp8457 2 жыл бұрын
바렛이요. 이라크전때 포위된 미군을 이라크군이 포화를 가하고있었는데 마침 rpk를 배치하려던것을 바렛사수가 발견해서 라포스탄으로 rpk를 거치하던 이라크군과 벽 뒤에 숨은 이라크군을 라포스탄 자탄으로 한발로 두세명을 잡았다고 해요 덤으로 50bmg를 사용하기때문에 보급도 용이할것같고요
@Pia-u1d
@Pia-u1d 2 жыл бұрын
두 총이 쐈을때 포구에서 나오는 불이나 매연 등도 궁금하네요 저격에 치명적이니까요
@inx2853
@inx2853 2 жыл бұрын
파괴력도 중요하지만 휴대성과 은밀성도 중요하죠
@yuinbong
@yuinbong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나오시는 브라우닝옹
@a-fox9705
@a-fox9705 2 жыл бұрын
바렛에 한표요~샤이텍은 상대가 머리를 내밀어야지 죽일수 있다면 바렛은 상대가 그림자만 내밀어도 그위치에 쏴서 벽부수면서 덤으로 상대도 부수는 총이거든요.
@작은바위-c3v
@작은바위-c3v 2 жыл бұрын
바렛 한표, 전장에서는 다용도가 역시 필요하죠. 특수용도는 특수 임무 외에는 활용도가 작을 수 밖에 없죠.
@한국인의두통약게보린
@한국인의두통약게보린 2 жыл бұрын
그놈의 체이탁 체이탁 듣기 싫었는데 샤이택이라고 맞게 부르니 너무 편안하다
@rexgin1339
@rexgin1339 2 жыл бұрын
톰과 제리와 같네요.. 이런거 정말로 좋아합니다. 앞으로 재미있는 무기 리뷰 부탁드립니다.전 바렛에 한표 던집니다.
@서지영-t6g5i
@서지영-t6g5i 2 жыл бұрын
저도 바렛이 최강이라고 생각합니다.빗나가도 차탄을 바로쏠수있고 또 저런 괴물탄약을 쓸수있으니까 말이죠. 하지만 이번 주제는 최강의 '저격총'을 가려라 이므로 샤이텍의 정밀함을 선택하겠습니다 0.3MOA면 말 다했죠. 레이저인가요?ㅋㅋ
@마몬드
@마몬드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봐도 바렛이 좋아... 그 보기만해도 짜릿한데 어케 참누!
@user-to9YroTq8gj
@user-to9YroTq8gj Жыл бұрын
영상에서 나왔다시피 사격장에서 시험사격하는 거랑 실전에서 사용하는 거랑 용도가 다름 환경이 바람없고 최상이면 샤이텍이 좋겠지만 실전의 최악의 상황이면 대구경 바렛이 유리 할수 밖에 없음 특히 엄폐하는 벽등을 엄폐물에서 최소 노출만 할 때 엄폐물을 강력한 한방이 승패를 좌우하기 때문에 이미 바렛이 선택되어 사용 된다고 생각됨 아무래도 샤이텍이 유리한 많을 것임 하지만 환경 안가리고 범용적인게 바렛 대물저격으로 이해한는 게 쉬울듯 장갑차만을 쏘는게 아니라 관통해서 사람까지 맞추는 벽뒤에 숨으면 벽을 관통해서 강풍이 불면 강풍을 뚫고 숲이나 풀숲 장애물들이 있는 표적을 맞추는...유리하지 않을까
@임재우-s5t
@임재우-s5t 2 жыл бұрын
M200,M107 둘다 좋아하는 총이라 결정하기 힘드네요.개인적으로 정밀저격쪽으로는 M200이 장갑 표적은 M107이 좋은거 같습니다.게임속에서 정밀저격을 주로 하는 플레이어라 M200이 좋은거 같네요.
@아멘.Buddha
@아멘.Buddha 2 жыл бұрын
코로나 터지기 전에 미국에 계신 이모부 뵈러 간 김에 샷건사격이랑 바렛저격총 쏴볼 기회가 있었는데 바렛은 진짜 총소리가 아니라 대포소리가 남
@태석-y7y
@태석-y7y 2 жыл бұрын
과도한 화력! 자동 산탄총(풀 오토) 대결 해주세요
@w2342-q7c
@w2342-q7c 2 жыл бұрын
잭해머
@태석-y7y
@태석-y7y 2 жыл бұрын
@@w2342-q7c 그것 말고도 많음 AA12,USAS12,O12,SAIGA12,암쉘 스트라이커 등등
@태석-y7y
@태석-y7y 2 жыл бұрын
@@w2342-q7c 지뢰기능 있는 샷건 맞죠?
@Dylanspace7
@Dylanspace7 11 ай бұрын
콜옵이면 DL Q33 vs Rytec AMR 정도인가?
@핰핰핰핰-m2h
@핰핰핰핰-m2h 11 ай бұрын
콜옵 모바일 ㅇㅇ
@eoikdllao
@eoikdllao 2 жыл бұрын
반자동인 바렛에게 한표 k14 써봤는데 볼트액션은 노리쇠 당기는게 너무 귀찮음 초탄 빗나갔을때 후속 조치가 느림
@JUANRATIN
@JUANRATIN 2 жыл бұрын
다음은 일회용 바주카대결 RPG26VSAT4 어떠신가요
@lolkms762
@lolkms762 2 жыл бұрын
여윽시 최강의 저격총은 감성충만 바렛이 아니겠습니까요 호호호호호
@PRIMITIAE_030
@PRIMITIAE_030 2 жыл бұрын
난 샤이텍 엠200 .... 너무 간지나......ㅠㅠ 저격총의 덕목에 있어선 저격 명중률이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바렛은 그냥 준형 대포인지라 멋이 안나! 샤이텍 사랑해!!!!ㅍ.ㅡ
@Kynov912
@Kynov912 2 жыл бұрын
다음은 기관단총 vs 기관단총 어떻습니까
@Kynov912
@Kynov912 2 жыл бұрын
@@user-yjbc5e7f9b74 이제 HK랑 FN끼리 싸움 붙여놓는 거ㅋㅋㅋㅋ
@shchi_3
@shchi_3 2 жыл бұрын
아니 빵빵터지는 50구경탄을 반자동으로 쏠수있는데 이걸 바렛을 참아? 절대 못참지
@doraedang
@doraedang 2 жыл бұрын
다양한 장타펀치로 괴롭히는 선수와 날카로운 카운터 펀치로 역전의 기회를 노리는 선수라 치고 누가 더 승률이 높을까 라는 문제같네요. 둘 모두의 장점이 섞이면 더 좋겠죠?^^
@85rx61
@85rx61 2 жыл бұрын
대전차 라이플 바렛M107 VS M200. 파워가. 어느쪽이 더세나요?
@starlifter303
@starlifter303 2 жыл бұрын
0:30 쯤부터 나온 총 뭔가요?
@dieterkim8295
@dieterkim8295 2 жыл бұрын
혹시 캐나다의 c14 Timberwolf 저격총은 어떤가요? 338 lapua 탄을 쓰고 아마도 캐나다 특수부대가 세운 세계기록 3,450m에 쓰였던 총이여응꺼예요.
@BT--cd2td
@BT--cd2td 2 жыл бұрын
아니면 두 총을 합치거나 각 장점만을 가져다가 새 저격총을 만들면 되지 않나요?
@이호찬-y9r
@이호찬-y9r 2 жыл бұрын
전면전 저격에서는 바렛 초장거리 암살 저격은 인터벤션 이정도 생각하면 되나요?
@고대경-b6d
@고대경-b6d 2 жыл бұрын
AR-10 계열의 반자동 저격총 중에서 가스직동식의 SR-25, 쇼트스트크로 가스피스톤 방식의 HK417 중에서 어느 것이 더 나은가? 라는 것은 논쟁, 토론의 주제로 적합할까요?
@HypR-Specter
@HypR-Specter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의 기본이 되는 1 대 1 대결이라는 바탕 아래에 같은 실력을 가진 두 저격수가 각각 다른 총을 지니고 싸운다면 장거리에서 적을 저지하는 특성상 m200이 승자 아닐까요?
@lenmobile7741
@lenmobile7741 2 жыл бұрын
단순히 바렛의 총구운동에너지로만 살상능력을 계산할 필요가 없습니다. 영상에서처럼 폭약이 섞인 탄을 운용한다면, 아무리 멀리 쏘더라도 화력이 감소하지 않으니까요. 또한, 빗나가도 치명상을 입힐 수 있다는 것은 명중률에 덜 신경써도 된다는 것이니 큰 이점이라고 봅니다. 바렛만세
@이선재-b6f
@이선재-b6f 2 жыл бұрын
저녁 반찬 잘먹겟습니다~
@1살아단
@1살아단 2 жыл бұрын
바렛에 한표 원래 m200좋아하는 저격총이엿지만 고폭소이철갑탄을 보자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남자라면 저런 뽕맛 못참지 ㅋㅋ
@레이오트
@레이오트 2 жыл бұрын
아시는 분은 매우 잘 아시겠지만 이 바렛이라는 물건이 반세기도 더 이전 베트남에서 있었던 기묘한 저격에 강렬한 인상을 받아 만든 물건이지요.
@kolt5303
@kolt5303 2 жыл бұрын
M2 브라우닝에 스프링필드 소총에 사용하던 유니틀 스코프를 장착해서 단발사격으로 2,500 yard 밖의 움직이는 베트콩을 사살한 전과로 .50 cal 이 장거리 사격용으로 주목을 받기 시작했죠...
@루카치-u3m
@루카치-u3m 2 жыл бұрын
@@kolt5303 혹시 그 저격수가 혹시 카를로스 헤스콕 맞나요?
@kolt5303
@kolt5303 2 жыл бұрын
@@루카치-u3m 네 맞습니다
@작은뱁새-m8s
@작은뱁새-m8s 2 жыл бұрын
M2 중 저격총
@박희수-t8d
@박희수-t8d 2 жыл бұрын
이미 6.25에서 M2달라고 해서 반나절 사격연습후 중공군 장교를 쓰러뜨린 분도 계시죠, 한국군인데 이런 기록 낼 거란 걸 모르고 임시변통한 결과로 에피소드로만 남고 기록으로 인정안되서 그렇지 이미 한 20년 가까이 전에 저격 성공한 케이스가 있긴한데 뭐 잊혀진 전쟁이니 헤스콕이 몰랐을 가능성이 높죠.
@EliDRoh
@EliDRoh 2 жыл бұрын
요새 영상이 안올라오는데 무슨일일까요? 밀리터리 채널들을 좋아해서 이것저것 보지만 건들건들이 가장 재밌게 보는 채널이였는데 영상이 안올라오니 걱정이 됩니다.
@H19H_9R0UND
@H19H_9R0UND 2 жыл бұрын
M2브라우닝을 스스로 기어가면서 운반하며 저격을 했던 카를로스 헤스쿡... 그는 대체...
@asrada7521
@asrada7521 5 ай бұрын
군용으로는 바렛이 좋은거 같다.. 범용으로 확장성도 좋고.. 샤이텍은 기후탐지와 계산기까지 부여된, 저격성능 자체를 극강으로 끌어올린 초전문가용이고.. 하지만 난 샤이텍이 더 좋다.. 너무 아름답고 멋지게 생겼거든..ㅎㅎ
@지평선-x
@지평선-x 2 жыл бұрын
슈퍼울트라매치그레이드 탄을 바렛에 사용한다면 몇 MOA가 나오는지도 궁금하네요~
@갸갹-v4e
@갸갹-v4e 2 жыл бұрын
바렛 실전사격영상 봤는데 탄 크기와 에너지 때문인지 폭발탄인지 맞은사람이 몸이 터져버리더군요 팔이 통채로 어깨채로 날아가버리고 머리가 수박처럼 터지고 대충맞아도 살아남기 힘든 무서운 위력이었음
@김양석-n8i
@김양석-n8i 2 жыл бұрын
전장에서의 활용성 면에서 바렛에 한표 던집니다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가능하고 경 장갑차에 소형 전술차량에까지 사용할수 있다는데 장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AK15ismyfavoritegun
@AK15ismyfavoritegun 2 жыл бұрын
오재전에 NGSW사업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혹시 나중에 러시아의 라뜨니크 시리즈가능할까요? 또, 아주 오래전엔 AK47개발 이야기를 다루어주셨는데 이번에는 성능 및 AK74와 후기형 이야기도 가능할지 여쭈어봅니다.
@캐루룽
@캐루룽 2 жыл бұрын
대인, 대물 저격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바렛이 더 낫지 않을까요...? 제가 전장에 나가 있는 병사라면, 제 등 뒤의 아군 저격수가 바렛을 들고 있는게 더 든든할 것 같아요
@62restroom79
@62restroom79 2 жыл бұрын
일렉기타로 치면 싱싱험 배열 범용 스트라토캐스터와 다운튜닝으로 쓰기 편한 레스폴같은 느낌?
@Travel_over_sea
@Travel_over_sea 2 жыл бұрын
고폭소이탄은 오랫만에 들어 보네요 군시절 봤던 20미리 대공탄이 고폭소이예광탄 이었는데 비슷한 느낌이겠군요
@judosin267
@judosin267 6 ай бұрын
338라푸아 매그넘, 노마 매그넘탄도 다루어 주시져
@Sun6Wind
@Sun6Wind 2 жыл бұрын
세계 최강자들의 싸움 저는 당연빠따 샤이텍이죠 돈도 써본 사람만 할 수 있듯이 최장 거리 저격의 1위 기록 항공기나 다른 거 잡을 바에 그건 저격용 총 아니어도 가능하죠 이미 괴물 탄은 많으니까 열화우라늄탄 이라던가 팰렁스 하지만 저격은 로봇도 못 하고 오직 사람이 합니다. 본질만 보면 이름에 걸맞는건 샤이텍 입니다.
@hyung-yulyoo3373
@hyung-yulyoo3373 2 жыл бұрын
너무 뜸해서 걱정입니다. 빨리 오세요~~~~
She made herself an ear of corn from his marmalade candies🌽🌽🌽
00:38
Valja & Maxim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What is Killchain?
10:37
건들건들
Рет қаралды 194 М.
[통합본] 지도로 보는 한-흉노 전쟁
21:58
이오 IO
Рет қаралды 93 М.
Inside the V3 Nazi Super Gun
19:52
Blue Paw Print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한발로 역사를 바꾸다 "저격수의 모든 것" / 원샷 원킬! [지식스토리]
1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