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xo3469 강대국은 절대 자기들이 전면에 나서지 않음. 중국 본토에서는 대만은 중국의 영토라고 생각하기에 절대 대만을 두고 전쟁하지 않음. 만약 중국이 전쟁을 한다면 북한을 내세울거임. 6.25때 처럼 후방 지원만 하다가 북한이 밀릴거 같으면 중공군 들어오는거임. 언제라도 강대국은 절대 자국 영토에서 전쟁하지 않음. 러시아 우크라 전쟁도 우크라가 러시아를 공격 못하는 이유도 그거고. 우크라가 강대국이라면 수많은 병기 지원 받은걸로 모스크바 때렸을거임. 중동 전쟁 보면 미사일로 바로 대도시 때림. 전면은 상대 병력 못들어오게 막는 용도고 무조건 타 도시 때림. 러시아는 우크라 대도시 엄청 때려도 우크라는 러시아 본토 공격 못하는 이유
@트라이앵글Z Жыл бұрын
@@goxo3469 저기서 전쟁나면 저희 다 죽어요...
@Nella_777 Жыл бұрын
@@트라이앵글Z 죽으면 죽는 거죠. 그게 세상이고 그게 운명인 거임 ㅋㅋ 뭐 개인이 발악 한다고 세상의 흐름을 막을 수 있는 것도 아님
@mandoosong2938 Жыл бұрын
요세 알고리즘 때문에 보고 싶은 것만 봐서 세뇌되다 싶이 해서 다른 생각에 대해 받아들이지 못하는 거임
@sulung1108 Жыл бұрын
확증편향이 심각해진듯
@strikeK75134 ай бұрын
세뇌가 되어 한글을 그 따위로 쓰냐?
@DubabDugi Жыл бұрын
늘 정말 쉽고 재밌게 설명해주셔서 감사해요❤
@mygigavolt4642 Жыл бұрын
세상이 참 시끄럽네요 조금은 지루한 세상에서 살았으면..
@seanmc9114 Жыл бұрын
사람 없는데가 아닌이상…
@jbj8376 Жыл бұрын
산속가서 다끊고혼자살면되는데 굳이여기서왜말함 신문물다쓰면서ㅋㅋ 조용히들어가면됨
@sisella Жыл бұрын
@@waveg475 자연인도 전쟁나면 죽어...
@yoooung_1018 Жыл бұрын
말좀 이쁘게 하면 안되나.. 조용히 살고 싶다고만 해도 욕을 먹네
@jaaj5290 Жыл бұрын
@@waveg475예전엔 이런 사람이 극소수였는데 요즘은
@discipline2727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딱 제 회사 업무에 필요한 내용으로 영상을 만들어주셨는지 ㅎ.ㅎ
@Nosce_te_ipsum0 Жыл бұрын
17:52 슈카형 자학개그 개웃기네ㅋㅋㅋㅋㅋㅋ
@로키-z7f Жыл бұрын
농담하다 밴 당한적 있음? 뭔 농담을 했길래;;
@Nosce_te_ipsum0 Жыл бұрын
@@로키-z7f 그냥 트위치로 발칸반도 역사 얘기하면서 비유 잘못했다가 순식간에 밴 당하심
@로키-z7f Жыл бұрын
@@Nosce_te_ipsum0 방금 보고 왔는데 역시 별것도 아닌걸로 기계적 처리였네; 요즘 하도 방구석 엄근진 ㅉ따들이 설쳐서 생긴 규제가 원인이라 봄 ㅋ
@jbj8376 Жыл бұрын
개웃기네ㅋㅋㅋㅋㅋ
@i9t-f4h Жыл бұрын
@@로키-z7f 꺼무위키 여담 마지막 보면 나와있음ㅋㅋㅋㅋㅋ
@black_antarctica Жыл бұрын
그냥 요즘 세상 보면 모든 게 극단적으로 양극으로 갈라진 듯
@스티라코-n3d Жыл бұрын
모든 거면 다극으로 갈라지는 거겠지...
@doffoffo Жыл бұрын
@@스티라코-n3d 의견이 있으면 그 의견에 극단적으로 찬성하는 쪽이랑 극단적으로 반대하는 쪽 이렇게 양극화 된단소리같은데 중도가 없다고
@Matrix_Architect Жыл бұрын
분열시켜 지배하라. 어디 격언이었는데 출처가 기억이 안 나네요.
@채호석-b4m Жыл бұрын
@Simulation Architect "divide and rule" 분할하여 통치하라 : 제국주의 시절 대영제국이 식민지를 통치할때 토착세력을 이간질해 저항세력의 통합을 막고 지배하기 수월하게 만든 전략이죠.
@요단강-g9p Жыл бұрын
화폐를 막찍어내어도 돈되는국가와 종이가되는 국가의 차이인거 같습니다.
@Ultraviolet-Index Жыл бұрын
ㄹㅇ 디폴트 되든 말든 상관 없다 시원한 말이면서도 무책임한 말이네 ㅋㅋㅋㅋ
@alighieri37 Жыл бұрын
트위치 채팅이 하나도 없는게 ㅈㄴ 웃기네 ㅋㅋㅋㅋ
@englishmutton Жыл бұрын
부채협상 타결전에 "미국이 부도가 난다. 디폴트가 날수 있다." 라는 소리를 했던 자칭 '전문가'라는 사람들만 걸러도 여러분들의 투자생활은 많이 평화로우실 거예요.
@UFCccccc Жыл бұрын
ㅇㅈ 미국이 디폴트? ㅋㅋㅋ 저게 국회의원들 끼리 힘겨루기 하는 거지 망하게 안 납두지 그런 것들이 뭔 전문가라고
@joeslin Жыл бұрын
이게 일어날 수가 없다는 걸 알려면, 아니 정확하게는 이게 실제로 일어났다고쳐도 그걸 언론에 말해서 사람들에게 알리는 대재앙은 일어날 수가 없다는 걸 알려면 역사를 공부해야 함 금융의 역사를 반드시 공부해야 하는 이유가 이런 것
@둥둥-l3j Жыл бұрын
그분들은 운좋게 한번만 걸리면 책한권써서 10년 먹고살죠... ..
@Crown2990 Жыл бұрын
ㅇㅈ 그냥 공포 조장시키고 랠리 시작!!
@dohari6853 Жыл бұрын
미국이 진짜 디폴트 직전까지가도 떠버릴 수가 없음 ㅋㅋㅋ
@안녕-g8e Жыл бұрын
도대체 저 돈은 어디에서 빌려오는건지.. 오로지 나라의 신용으로 돈을 찍어내는건데.. 미국이 건재하니 계속 찍어낼 수 있겠지..
@HAM-xu6jp Жыл бұрын
국가부채는 갚는게 아니라 인플레로 가치를 약화시키는 겁니다. 그래서 인플레없는 일본이 국가부채가 높은거고요.
@fieldlinda9105 Жыл бұрын
@@HAM-xu6jp 디플레덕분에 몇십년간 1퍼센트성장..
@jazz0104 Жыл бұрын
진짜 다들 극단으로 가는거 요즘 많이 느낌 ㅋㅋ
@hawks008 Жыл бұрын
미국은 서로 치고 받아도 결론은 손잡고 같은길 간다 한국은 서로 치고 받고 결론은 적이 된다 이게 팩트야
@CryGodHeartOut Жыл бұрын
슈카형 영정당한 이유와 인종비하단어 단어종류와 뜻으로도 영상만들어주겟지?
@박우현-n9r Жыл бұрын
이런 현상을 꼭 어디서 많이 본거같은데 ㅠㅠ 너무 익숙한 건 기분탓인가
@santa_pure Жыл бұрын
보자보자 슈카형 영상 보쟈!!!
@미米인버거 Жыл бұрын
모자 머예요?! 토끼 모자 어디 갔어요?! 오랜만에 들어와서ㅋ
@ysyoon2586 Жыл бұрын
환율과 통화는 아직 까지도 미지의 영역 가상화폐도 맞는지 틀린건지 말할 수 없는 걸 보면 아직도 모름. 기축통화국이 돈을 맘대로 찍어서 그 가치가 무너졌을때 어떤일이 생길지 아무도 확실하지가 않음. 양적완화가 왜 아무런 문제없이 지나갔는지 ... 오히려 위기라고 안전자산이라고 달러가치가 오르는 경험을 하고...
@Mini-xp1ri Жыл бұрын
돈도없는국가가 돈은 엄청쓰네요 우리나라가 원조 해줘야할듯
@simple8473 Жыл бұрын
미국 세계 최대 수입국 중국 세계 최대 수출국 중국은 이미 미국채를 많이 가지고 있어서 둘이 경제적으로 너무 엮임
@hdw-uv8yb Жыл бұрын
일단 "미국이 부도가난다" = " 오늘도 해가 떴다" 라는 말로 알아들으시면 됩니다
@Apple-ex5sc Жыл бұрын
목청 높이는 사람이 승자가 되는 세상..
@sungirm Жыл бұрын
머스크상 여론을 움직이려고 그 큰 돈을 주고 트위터를 산거구나
@bqp_24 Жыл бұрын
14:57 하원은 공화당이 더 많은거 아닌가요 두당이 바뀌어서 적혀있는거 같은데
@userunknown-zd4be Жыл бұрын
타협을 하자니 배짱싸움으로 가는거고, 배째다 보면 까딱하다간 다 터지는거고...역시 줄다리기 만큼 어려운 스포츠는 없다
@김원경-y9n Жыл бұрын
미국은 갚지도 않을거면서 빚은 왜 세고있을까
@jangleviva9 Жыл бұрын
미국이 달러의 기축통화 위치가 흔들리는 순간 부채 때문에 골로 가버리는거지. 사우디가 이번에 외교승기 잡은 이유기이고 하지.
@hlf6594 Жыл бұрын
만약 미국이 여기저기 어떤명목으로 전쟁을 치루고 지구전체가 미국을 중심으로 민주진영으로 됐다치면 그때가서 미국부채는 누가 받을수 있을까? 미국이 패권으로 세계정복을 하면 각국에서 사들였던 미국부채를 뭘로 받을수 있을까?
@노놉-h8h Жыл бұрын
그럴일 없음
@소금돌이 Жыл бұрын
이야기 잘 듣고 갑니다…!
@handsicknam1659 Жыл бұрын
음... 미국채 발행량에서 사회보장 기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제법 크군요. 국민연금은 얼마나 들고 있으려나
@guraguracipal Жыл бұрын
만약 우크라처럼 중국 대만 전쟁 나면, 머스크는 어떤 취급을 받게 될까......
@kay203 Жыл бұрын
저도 중도로서 참 살기 힘드네요 ㅠㅠ 투표하고 싶어도 양극단중 누가 낫나 생각해야되고 ㅠㅠ
@tour-de-tour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래요… 이번에도 어쩔 수 없이 하..
@SseaTtae Жыл бұрын
중도가 정답임 태극기를 보셈 한쪽으로 치우쳐지는 게 아니라 음양이 서로 조화롭게 있는 모습을
@스티라코-n3d Жыл бұрын
@@SseaTtae 똥을 싸세요.. 중립은 스스로 정답에 다다를 수 없는 패배자들의 정신승리용 대체안이지 뭘
@DC-jt7ye Жыл бұрын
@@SseaTtae조화롭게 변화하지 않고,조화롭게 침략당해 없어진 국가
@VoidX930 Жыл бұрын
최인훈의 광장처럼 “중립국! 중립국!” 외치시면서 고고한 정신을 보존하기 위하여 바다에 투신을 하시던가 ㅋ 세상이 쓰레기통인데 냉정하게 세상에서 살 생각을 안하고 파랑새만 찾누 😂
@zw_k Жыл бұрын
테슬라 요즘 왜 오르나 했는데 저런 이유가있었구나
@아니아니요-o3k Жыл бұрын
근데 맥컬럼이 수비하기 어려운 선수를 뽑으니까 더 재밌네요ㅎ 자기 마크맨 기준으로 뽑은건 아닌가보네요
@jkijljbnj7165 Жыл бұрын
원래 민주주의는 싸우는 거임. 독재국가에서 거주해 보면 저게 얼마나 정상적인 과정인지 뼈저리게 알게 됨
@토마토-s2m Жыл бұрын
서로 귀 닫고 폭언만 쏟아내는게 정상적인 과정인지 회의가 드네요
@leedo4040 Жыл бұрын
@@토마토-s2m 논의 과정조차 없는 국가에 살면 알게 된다니까요..
@coffeeice9941 Жыл бұрын
근데 지금은 편향성이 너무 가중되었다는 느낌임.
@Paul-vp2ot Жыл бұрын
위대하신 동지님 말씀이시다!
@JoJo-t4o7v Жыл бұрын
문제는 민주주의가 두 독재자가 싸우는 구도가 되어버린다는 거지..
@유디트-z2g Жыл бұрын
오늘 일요일인줄 착각해서 나만 라이브 기다렸나 ㅠ
@HANOPTCN Жыл бұрын
와 소름…. 저도 😅
@균형감각-r9g Жыл бұрын
ㅋㅋㅋ나도ㅋ
@delphy1567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업로드영상달리는 중
@dhy5343 Жыл бұрын
17:58 농담을 했다가 밴을 당했다던가.....어어?
@boyeongyoon5997 Жыл бұрын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johnkim9306 Жыл бұрын
17:5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성석소 Жыл бұрын
형 트위치가 동시송출 금지때렸음 이제 형은 양자택일 해야함 트위치냐 유튜브냐
@moonsoon-f1m Жыл бұрын
근데 머스크 말 들어보면 틀린소리까진 아닐듯 ㅋㅋ 방산장비를 중국에 맡길정도면 차라리 그게 나을수도 ㅋㅋ
@lefou3416 Жыл бұрын
부채 한도는 빌미고 둘이서 힘겨루기 하는건가
@Ohio9090 Жыл бұрын
모자가 정상적이라 서운합니다.
@이동규-k1h Жыл бұрын
야~~~~ 머스크형 또 슈카형을 도와주나
@불타는감자28 Жыл бұрын
국회의원 월급은 100%찬성한다 모든 정치인들은 거짓말 밖에 안할까?
@dk418 Жыл бұрын
미국의 부채를 볼때는 부채 대 GDP 율을 봐야지 더 정확히 이해합니다, 보통 debt to gdp라고 하는데. 미국의 경우 129%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지만 캐나다, 프랑스, 영국 다 110%정도 하고 완전 유일하게 막가는거는 아니라고 봐서 미국채와 달러가 아직도 강하죠. 참고로 일본의 경우는 230%입니다. 일본의 경우 대다수의 국채가 일본내에서 구매했다고 쳐도, 누적 재정 적자는 일본이 타의추종을 불허함.
@drm818 Жыл бұрын
reinhart(2011)을 보면 debt to GDP 90%가 넘으면 성장률에 문제가 된다고 나옴. 우리나라는 45% 수준이긴함
@이리저리-i4q Жыл бұрын
@@drm818 음... 그럼 우리나라 성장세가 꺾인건 역시 노동인구 감소 때문일까요?
@duck-younglee6573 Жыл бұрын
일본은 30년째 대외순자산 세계 1등국가긴함
@drm818 Жыл бұрын
@@이리저리-i4q 인구는 너무 많은 경제변수에 영향을 미쳐서 인구를 변수로 꼽으면 설명력이 하나도 없음.
@yormarmar3088 Жыл бұрын
@@이리저리-i4q 그게 아니고 중산층이 나락으로 갔잖아. 빈부격차가 심한 나라로 예전부터 지적당해온게 한귝인데 어떻게 어느 언론하나 이걸 지적 못하니 국민들도 개병신같이 자기탓하고 있고.. 재벌들 돈 존나 벌었어요. 빈익빈 부익부 상황인데 이상한곳에서 이유 찾으시네. 지금 미국 인플엥 30프로가 기업의 무지한 가격인상 때문이라고 나와서 미국민등 지금 기업들 조질라고 하는ㄷ0
@sca7531 Жыл бұрын
어차피 달러로 장난하는 경제질서라 부채한도가 안늘어나는 일은 안생김. 생기는걸 상상하는게 더 어려운 일임 미국 디폴트나면 무슨일이 일어날지모르는 거 아닌가. 한낱 내 투자가 잘안되는게문제가아니지 ㄷㄷ
@Grom48 Жыл бұрын
이젠 지금의 민주주의보다 더 나은 방식의 체제가 필요함 지금 방식으로는 발전의 한계가 뚜렷한듯하네요
@Allin7days Жыл бұрын
국가 채무 문제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 트럼프, 제직 기간 3번이나 반대없이 빛 상한선 올린 ㄸㄹ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