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10수년전부터 아쿠아리움을 시작해서 돌산, 지하 동굴산, 고목과 산닒등을 연출한 대형 수조들을 집안에 5대 정도 가지고 있었죠. 120cm, 150cm, 200cm 등등... 수질과 라이트의 밝기와 점등 시간만 잘 조절하면 이끼도 안생기고 깨끗한 상태로 유지가 됩니다. 그럴려면 수질 공부도 조금 필요하죠. PH(페하)라는것도 의식을 하게 되고요. 제가 사는 일본에는 아쿠아리움, 테라리움 메니어들이 많고 관련 샾과 인터넷에서도 손쉽게 구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지금은 집안에는 큰 수조 두개만 있고 정원에 비단잉어를 키우죠. 잉어는 작은 물고기를 괴롭히지 않는 평화의 상징인 물고기 입니다. 대형 여과기를 만드는것이 꽤 힘들었는데 DIY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그런거 만들때가 가장 즐겁죠.
@mzd2breath7352 жыл бұрын
허허 거의 머 준전문가신데
@sunmono50404 жыл бұрын
아쿠아 스케이퍼 극한 직업 맞아요ㅋㅋ 이 영상에는 소규모로 하는 분으로 나오신거지, 본격적으로 하는 곳 보면 메인 스케이퍼는 도면 및 작화까지 그린 다음에 각도,원근감,볼륨 구상 및 수백가지 수초 조율, 수초간 생태,발색(색조화) 계산 수백가지 열대어,새우 조율(ph,온도,경도,색조화,크기,먹이사슬 기타 등등) 여과시스템 설계하고, 면적,높이,투입 생물,준비기간,유지기간,컨셉,공간 분위기 계산해서 조명 색비율, 밝기,시간,제품 생각하고 수초 종류,색상,비료,조명,이탄,온도 등 포괄적으로 유추해서 트리밍 계산하고 현장 작업시 보조 스케이퍼들은 어항,다이,여과시스템 옮기고, 차에 실었다가 내리고, 몇십키로짜리 바닥재,비료 포대 들고다니면서 뿌리고 고르기, 경사 작업하고 , 몇십 몇백키로 하는 유목,바위 밀고 당기면서 땀 질질 흘리고, 물 넣고.. 함마드릴로 돌깨서 조각하고 유목 톱질해서 본드로 성형하고 끓이고 빨고 스티로폼 조각해서 실리콘질하고. 끝내고 매장 돌아오면 물갈이 해야지, 열대어,수초 관리 해야지 기업에서 들어오면 다 퇴근한 밤에 가서 아침까지 작업하지 보조할때는 노가다 힘든 공종급 체력에 메인 되려면 수학 능력, 생물에 대한 이해, 일반인이 보면 와할 정도의 풍경화는 재미삼아 그릴 수 있는 미술 이해도 있어야 합니다. 대충 비교하면 메인은 , 자기 사업해서 발로 뛰는 건축가 , 서브는 현장 육체파 공종 기공이라고 보면 됩니다. 실제로 탑급은 건설사나 인테리어 기업이랑 협업 프로젝트도 하고 메인(대부분 수족관 사장)은 기본적인 수도,위생 배관 설계, 가구 설계,전기 작업,도면설계 정도는 교양으로 할줄 알아요. 사업자 누구나 해야 되는 것들은 당연하고 비용,당장 필요한 크기 등의 문제도 있어서 가능한 열대어,수초는 직접 축양해야지, 제품 및 생물 수입, 축양장,양식장,현지 채집 회사,수초농장 등 문어발 거래처 신경써야지, 특정 열대어 번식 시즌에 시장 가격 변동 봐야지 , 특정 시즌에만 수입되는 한정된 야생 열대어 들여오려면 전세계 수족관이랑 경쟁해야지, 힘들고 뽑아와도 야생에서 살던 생물인데다 트럭,비행기 타고와서 초반에 원채 민감하니 조금 실수하면 수백만원 ~ 억대 한순간에 증발하고 수족관 신뢰도 떨어지지.. 퀄 높은 품종 개량 개체 뽑아내는 개인들 하고 다리 놓아야지 ADA 같은 곳은 스케이퍼 신입으로 들어가려면 업무 능력은 당연하고 기획 및 설명 ,영어는 기본 소양입니다. - 이 분야에서 세계 톱이 일본의 ADA 인데, 찾아보시면 보조 스케이퍼들이 피똥싸는 영상도 찾아보실 수 있을 거에요. 미국에서 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그뉵몬 입니다 ㅋㅋ 미국 사람들이 뭐든지 큰걸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무거운걸 많이 드는지.
@Yakibunz4 жыл бұрын
육지보다 민감한 수중생태계를 축소시키는 작업이다보니..
@Moongqibada3 жыл бұрын
이걸 다 읽었네...하핫...
@mzd2breath7352 жыл бұрын
그건 극수소의 작업입니다만 ㅋㅋ 너무 가신듯..해외영상이나 국내에 사업으로 하시는분들 보신듯
@lee_jgy2 жыл бұрын
@@mzd2breath735꽤 많이 있는 분야입니다
@sunmono5040 Жыл бұрын
@@mzd2breath735보기도 했고 저도 물생활 20년 했고 해당 분야에서 3년 일했었습니다ㅎㅎ 매일이 그렇지는 않죠.
@NUHAHA803 ай бұрын
먹으로 점 찍는거보다 이게 더 예술이지
@키토산토키-k2e4 жыл бұрын
극한직업이든 아니든 내눈에는 보기가 아주~~좋다 이말이야.
@EJ-kb2wr2 жыл бұрын
완전 예술이네요. 이런게 집에 있다면 굳이 아쿠아리움 안가도 되겠어요. 저런거 집에 하나 두고싶네요
@hobbybox89654 жыл бұрын
레이아웃공식 = 수조는 클수록 이쁘다 , 멋진 가지유목이거의 8할차지 , 수초는 비싼애들 (나나, 부세 등등 ) 넣어주면 느낌이훨씬잘삼 결론은 수조는크고 가지유목 이쁜거 찾아서 비싼수초넣고 그럴싸하게 꾸며서 비싼 메탈 조명 달아주고 외부 여과기 (입,출수구 유리나 스테인) 으로된걸로 교체서해서 쓰면 겁나이쁜어항만들수있음 물이흐르는 테라리움 정확하겐 팔루다리움은 내가 정말많이해봐서알지만 설계할때 수류모터 빼기쉽게안하면 한 2주만물돌려도 폭포에 물이안나와서 결국 다빼야함 ㅋㅋ 그 수류모터 청소하기 쉽게 만드는게 관건인데 포맥스로 작업하면 커팅도구없이는 손이겁나아픔으로 우드락으로 작업하는게 훨씬나음 우드락은 칼로도 재단이 쉽고 글루건으로도 상당히 고정력이좋음 그리고 실리콘 작업과 돌부치기 등등은 상당한 시간과 스트레스 작업시 집이 더러워지는걸 각오하고 해야하는점 명시하셔요
@돈까스꿀맛띠3 жыл бұрын
멋지네유
@후두둑-y9x4 жыл бұрын
대박~♡♡♡♡♡♡♡♡♡♡♡♡♡♡♡♡♡♡♡♡♡집에들이고싶네요~너무이쁘고아름다워요
@hanniballecter48744 жыл бұрын
저 부세가 다 얼마냐 ㅎㄷㄷ
@콩라인-s5o2 жыл бұрын
멋있다 진짜
@불만폭주3 жыл бұрын
저도 물생활 합니다만, 그리고 수초를 매우 좋아하죠. 수초를 키우기 위해 어항을 두고 수초때문에 관상어가 덤이죠. 저거 무지 힘들어요. 저도 한번 작업하면 12시간에서 15시간씩 걸리기도 합니다. 그런데 힘드냐구요? 온 몸이 알이 베기고 힘들지만, 정신적으로 극한이라고 할 만큼 힘들지 않아요. 좋아서 하면 아무리 힘들어도 즐겁거든요.
@먼지냄새4 жыл бұрын
ㅎㅎㅎ 수초 사이에 엉뚱하게 자란 모쓰 솎아내기. 눈이 다 아프지요.
@good58734 жыл бұрын
물고기는 정성 보다는 돈으로 키운다는게 조금 더 맞는듯..ㅋㅋㅋㅋ
@멧밭쥐-c4z4 жыл бұрын
ㅆㅇㅈ 일단 재료나 장비가 있어야 도전을 하는디... 그게 다 돈임ㅋㅋ 집에 어항 쪼만한거 하나 만들라고 장비 재료 사다보문 집도 난장판, 돈은 돈대로 들고 등짝은 엄마나 와이프한테 사라짐ㅋㅋ
@그것이알고싶다-f7p3 жыл бұрын
원래 생명체를 기르면 돈이 들죠..사람, 동물, 식물...
@Desi-Jesi3 жыл бұрын
Onn
@necrokth4 жыл бұрын
저거 관리하려면 어디 여행도 제대로 못 갈텐데 진짜 장인들이다 ㄷㄷㄷ
@auqeal21424 жыл бұрын
그냥 모든 직업이 극한직업이지..
@hahaha13054 жыл бұрын
요즘 관심이 많이 가는거.. 나도 한번 수초 키워볼까
@user-zh9gi2wv4h3 жыл бұрын
4:27 이 빨간 물고기 이름이 뭔가요?
@프로필-l5m3 жыл бұрын
엠버테트라네요~
@unreal_engine4 жыл бұрын
아쿠아 가이즈가 좋아할 영상입니다..
@zani4814 жыл бұрын
예쁘다고 생각없이 시작하면 후회함. 물질은 세팅이 힘든게 아니라 관리가 졸라 귀찮고 어려운거임.
저렇게 수조를 만들면 이끼가 끼거나 했을까 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저는 집에있는 어항에 있는 돌들 하나하나 꺼내서 솔로 씻어서 관리하는데 다른방법을 생각 해본적이 없어서..
@ShorTMuCsic4 жыл бұрын
예쁜건 함정, 직접 구매해서 꾸미면 지옥
@mzd2breath7352 жыл бұрын
그건 애정이 없는겁니다. 정말 좋아하고 조금이나마 관심있으면 그 과정도 힐 링이지요.
@mon_ppl12 жыл бұрын
본드로 수초를 붙여주면 본드독성때문에 물고기한테 안좋자나요
@BSreal4 жыл бұрын
오 풍경화 만드는거 같겠당!!!
@돈없는백수-s5z Жыл бұрын
멋있긴 한데,,,저거 관리할려면 ,,난 그냥 화초에 물고기 키움,,,무환수에,무여과,무산소로 10년 이상 수조5개 에 구피,구라미 키우는데,,집이 양어장 수준임,,그나마 물만 보층해주고,먹이만 주면 되니까 쉬움,,,여러분들도,,수초 말고 화초로 키우세요,,10 년동안 물만 보충해주면 되요,
@루인-t6u4 жыл бұрын
아 테라리움 너무이쁘네요 ㅜ메디카 넣고 키우고싶다
@이브이-r3n4 жыл бұрын
관리 방법이 어떨수 궁금하네요! 저는 진지하게는 안하고 돌만 여러개 넣어 두고 다시 씻는데 신기하네용
@K-y8d4 жыл бұрын
와우 이쁘다 열대어 물고기 키워보고싶다
@피스타치오아이스크림4 жыл бұрын
4:23 이거 뭔 물고기임?? 앞에랑 뒤에 물고기가 다른것 같긴한데 뒤에 하얀몸은 홍고도비같고 앞은 뭐지..
@animallo4 жыл бұрын
엠버 테트라네요 ㅎ 다 성장해도 2cm내외로 자라는 초소형 테트라죠 ^^ 수컷이 암컷보다 붉은색이 더 강합니다
@사막여우-i1f2 жыл бұрын
극한직업과 거리가 먼듯
@i.got.this.feeling50014 жыл бұрын
Quais as chances de achar um coreano que fala português (BR) que traduza meu comentário para coreano ou um brasileiro que traduza meu comentário para coreano, nesse vídeo? Talvez daqui uns 5 anos... 0,000001%? Ou nunca? Kkkkk Adorei o vídeo, estou querendo fazer um também, só preciso de dinheiro. Hehe
@ggmind4 жыл бұрын
테라리움은 관리가 편하다고 하는데 오히려 이끼를 키우고 습도가 높게 유지가 되면서 벌레 문제 때문에 골치 아플 것 같은데요. 그냥 실내에서 화분에 식물만 키워도 벌레가 번식하고 자리를 잡기 시작하면 곤란한 경우가 많습니다.
@yourjane0344 жыл бұрын
여기 어디인가요? 가보고싶어요 ㅠ 화성시 수조조경 검색해도 안나와요..
@TV-ee3eu4 жыл бұрын
여기 화성시 아쿠아리스모 라는 수족관이에요!!
@user-funkyfox3 жыл бұрын
사장님 짱친절하시고좋아요
@duduL-e5k2 жыл бұрын
멀어서... ㅠㅠ
@빠삐용-l7s3 жыл бұрын
헐 새 어항 증후군
@Yakibunz4 жыл бұрын
세상엔 참 많은 취미생활이 있는데 특히 물생활은 돈과 시간이 많은사람한테 적합한것같다..비용도 비용인데, 엄청난 정성쏟기를 뒷받침 할 만할 시간이 있어야됌..
@mzd2breath7352 жыл бұрын
글쎄요. 크기를 줄이면 돈과 시간이 줄어듭니다. 더군다나 어찌보면 돈과 시간이 적게드는 취미일수도 있어요.남들 취미를 보면 알수있지요. 이거는 그냥 과정이 번거로울뿐.
@야옹이-p8g4 жыл бұрын
와 저게 몇자 어항이예요?
@황지원-k5c3 жыл бұрын
방문하고싶어요 주소좀주세요
@taylor01054 жыл бұрын
저도 수초용본드 저거쓰는데 그냥 점성있는 록타이트 아닌가요?
@이름짓기어렵다-d3b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영ㅋㅋ 뭔가 특별한 본드처럼 얘기하네요
@wtpswldwh4 жыл бұрын
저거 방수되서 수중에서 사용 가능합니다ㅋㅋㅋ 홈다리 초보들ㅋㅋ
@humorousman25594 жыл бұрын
이스타 수초본드입니다
@geonyeong3 жыл бұрын
@@wtpswldwh 돌과 돌을 연결해도 될정도로 점도가 높나요?
@hric56334 жыл бұрын
ㅎㅎ 귀차니즘은 구경만 합시다. 결국, 다 해보고 나중에 수조에 물과 유목에 수조등으로만 유지 중 ^^ 물만 갈아줌.
물론 극한직업이 직업소개소가 된지 오래됬지만 아쿠아 스케이퍼 극한 직업 맞아요ㅋㅋ 이 영상이 작게 하는 분으로 나온거지, 본격적으로 하는 곳 보면, 메인 스케이퍼는 도면 및 작화까지 그린 다음에 각도,원근감,볼륨 구상 및 수백가지 수초 조율, 수초간 생태,발색(색조화) 계산 수백가지 열대어,새우 조율(ph,온도,경도,색조화,크기,먹이사슬 기타 등등) 여과시스템 설계하고, 면적,높이,투입 생물,준비기간,유지기간,컨셉,공간 분위기 계산해서 조명 색비율, 밝기,시간,제품 생각하고 수초 종류,색상,비료,조명,이탄,온도 등 포괄적으로 유추해서 트리밍 계산하고 현장 작업시 보조 스케이퍼들은 어항,다이,여과시스템 옮기고, 차에 실었다가 내리고, 몇십키로짜리 바닥재,비료 포대 들고다니면서 뿌리고 고르기, 경사 작업하고 , 몇십 몇백키로 하는 유목,바위 밀고 당기면서 땀 질질 흘리고, 물 넣고.. 함마드릴로 돌깨서 조각하고 유목 톱질해서 본드로 성형하고 끓이고 빨고 스티로폼 조각해서 실리콘질하고. 끝내고 매장 돌아오면 물갈이 해야지, 열대어,수초 관리 해야지 기업에서 들어오면 다 퇴근한 밤에 가서 아침까지 작업하지 보조할때는 노가다 힘든 공종급 체력에 메인 되려면 수학 능력, 생물에 대한 이해, 일반인이 보면 와할 정도의 풍경화는 재미삼아 그릴 수 있는 미술 이해도 있어야 합니다. 대충 비교하면 메인은 , 자기 사업해서 발로 뛰는 건축가 , 서브는 현장 육체파 공종 기공이라고 보면 됩니다. 실제로 탑급은 건설사나 인테리어 기업이랑 협업 프로젝트도 하고 메인(대부분 수족관 사장)은 기본적인 수도,위생 배관 설계, 가구 설계,전기 작업,도면설계 정도는 교양으로 할줄 알아요. 사업자 누구나 해야 되는 것들은 당연하고 비용,당장 필요한 크기 등의 문제도 있어서 가능한 열대어,수초는 직접 축양해야지, 제품 및 생물 수입, 축양장,양식장,현지 채집 회사,수초농장 등 문어발 거래처 신경써야지, 특정 열대어 번식 시즌에 시장 가격 변동 봐야지 , 특정 시즌에만 수입되는 한정된 야생 열대어 들여오려면 전세계 수족관이랑 경쟁해야지, 힘들고 뽑아와도 야생에서 살던 생물인데다 트럭,비행기 타고와서 초반에 원채 민감하니 조금 실수하면 수백만원 ~ 억대 한순간에 증발하고 수족관 신뢰도 떨어지지.. 퀄 높은 품종 개량 개체 뽑아내는 개인들 하고 다리 놓아야지 ADA 같은 곳은 스케이퍼 신입으로 들어가려면 업무 능력은 당연하고 기획 및 설명 ,영어는 기본 소양입니다. - 이 분야에서 세계 톱이 일본의 ADA 인데, 찾아보시면 보조 스케이퍼들이 피똥싸는 영상도 찾아보실 수 있을 거에요. 미국에서 하시는 분들은 대부분 그뉵몬 입니다 ㅋㅋ 미국 사람들이 뭐든지 큰걸 선호하는 경향이 있어서 무거운걸 많이 드는지.
@우진님등장4 жыл бұрын
@@sunmono5040 오호 그렇군요 직업 폄하하려고 한 말은 아니였어요ㅎㅎ 오해는 말아주세요 덕분에 오늘도 배우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