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가 기본파를 포함한 여자전류인데 전압을 올리면 자속밀도 증가로 철심이 포화되어 3고조파가 성분이 많아집니다.
@dckang81375 жыл бұрын
변압기는 철심 포화의 초입점에서 운전이 되도록 설계되는데, 정격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 운전하면 자속에 비례하여 여자전류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더 크게 증가하며, 그에 따른 3고조파 전류도 증가한다는 것, 철심이 포화가 되어도 자속은 정현파를 유지하나, 여자전류는 왜곡되어 3고조파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단상TR에서... 감사합니다~
@kwangeo11 ай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브라운-c2n4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로이드-q6q5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ㅠㅠ
@백수-k5l2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제주조반장5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십시요!!
@나라라-b2x5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mt28100215 жыл бұрын
이거다음 강의는 없는건가요? 기술사님? 듣다보니깐 중독되서 약열흘만에 자기학,회로,전력,변압기 다들어버렸네요 노트정리까지 하면서요 약88강 정도 되는것같네요 기본기 옵션을 주셔서 너무 감사드립니다
@이익열-p3t5 жыл бұрын
혼자 공부해서 알기어려운것을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실다이-u5g3 ай бұрын
🥰😍🤩😊
@다행운103 жыл бұрын
굿입니다요
@김토토리3 жыл бұрын
아 이해가 되네요...감사합니다
@최주현-i9n8 ай бұрын
여자전류가 영상전류이면 지락사고시 흐르는 영상전류와 같은것인가요
@롱롱-l7e5 жыл бұрын
여자 전류가 크게 증가하였을 때 강의에서 언급한 논문에서는 전압이 30퍼센트 증가시 2~4배가 된다고 나왔는데, 그게 실제로 부하에 많은 영향을 주나요? 아니면 변압기 자체의 수명단축과 연관이 더 있나요?
@타마마-m3z5 жыл бұрын
기술사님 그러면 변압기 여자전류가 3고조파를 포함한 왜형파가 되는 이유는 변압기 철심의 포화 때문이라고 이해하면될까요?
@skm15603 жыл бұрын
포화때문에 여자전류가 크게 증가하지만 여자전류가 3고조파를 포함하는 이유는 포화에서 비롯되는 비선형성 때문이라고 하는게 강의의 핵심인듯 합니다
@ksun-215 жыл бұрын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힘의 논리로 설명하셨는데, 그간 자속과 전류는 동상이고 서로 선형관계 동심 동체로 이해해와서,,,, 자속이 정현파를 유지하는 성향이 강하면 전류또한 정현파 유지성향이 강할거라 이해했습니다. 전류는 자속을 나은 어머니 입장이니 자식과 어머니가 다를 수 없다는 생각에 말이죠. 근데 힘의 논리로 이해하려니 이해가 쉽게 안되는 부분도 있네요.또 다른 궁금한 점은 철심의 자속밀도 선정관련인데요. 실제 그래프를 보면 비선형 구간으로 넘어가는 과도구간이 그리 길지 않은거 같은데 왜 선형구간의 최대값으로 테슬라값을 선정하지 않고, 굳이 그 좁은 비선형 과도구간에 테슬라값을 선정하는지 의문입니다. 물론 철심의 자속을 최대한 사용하기 위함이라 하지만, 비선형구간의 단점에 비하면 그걸 감안하고 자속을 좀 더 쓰는쪽으로 결정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감사합니다.
@dg-xg1sf2 жыл бұрын
외부에서 일정V값을 걸어주면 무조건 그거에 맞는 역기전력을 만드는게 최우선이라고 생각하면 될듯합니다 그렇게 만들어야하니까요 그리고 여자전류는 상대적으로 작기때문에 그런게 아닐까싶네요 확실한건 그렇게사용하는게 경제적일거기때문이라는거겠죠 ㅋㅋ 항상 그러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