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누리 “尹 놓고... 엘리트들 궤변 허언 곡학아세... 전교 1등이 파시스트, 계엄보다 더 충격적”

  Рет қаралды 213,520

CBS 김현정의 뉴스쇼

CBS 김현정의 뉴스쇼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941
@samgisa
@samgisa 10 күн бұрын
“지금의 학교에서 12년을 배우고 나면 민주시민이 될 것인가? 잠재적 파시스트가 될 것인가?” 아프고 무거운 질문 감사합니다 ㅠㅠ
@유부장이다
@유부장이다 5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존경합니다. 국회에 교사들이 들어갈수 있게 하는것 부터가 교육 개혁의 시작입니다.
@김아뮤아비
@김아뮤아비 3 күн бұрын
어쩌면 그 잠재적 파시스트도 한국사회의 피해자네요
@SeeU인격의중요성-d8t
@SeeU인격의중요성-d8t 2 күн бұрын
극우(쭝스럽) + 친일파가 되겠져 역사왜곡 선생들 교수들 교서들 기관들 ~ 길가다 문득 밟고있는 땅을 보다가 대한민국 이란 네글자가 매치가 안되더라 선진국.. 이란 단어에도 물음표가 생긴다
@유니스-v6g
@유니스-v6g 10 күн бұрын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말대로, 지금 서울대를 지방으로 분산(해체)해야 함. 대한민국 미래를 위해서 꼭 필요함. 골든타임이 지나가고 있음. 교육이 변해야함. 우리가 받았던 교육은 빈민국에서 개발도상국, 아날로그 시절에 필요했던 교육임. 다음 챕터로 넘어가고 싶으면 이 교육으로는 절대 안된다.
@jang7996
@jang7996 6 күн бұрын
이창용은 최상목과 함께 수사를 받아야 한다던데…어디까지 개입된 것인지??
@동안대디
@동안대디 5 күн бұрын
육사 폐교, 서울대 폐교, 경찰대 폐교
@쿨가이-k6r
@쿨가이-k6r 10 күн бұрын
현직 교사로써 이건 감동일 정도의 인싸이트다 ㅠㅠ
@뫼산-i5z
@뫼산-i5z 10 күн бұрын
정말로 중요하고 옳은 말씀입니다. 이런 말씀을 전국민이 접할 수 있으면 좋겠네요..
@jiyoungchoung7658
@jiyoungchoung7658 10 күн бұрын
교육계는 김누리 교수님 이야기에 귀기울여야 합니다. 지금의 한국 교육상황은,,, 학부모로서 참혹하다 느낍니다.
@dongjunson5758
@dongjunson5758 10 күн бұрын
대박 인터뷰네요. 이런 지식인이 있다는 것에 희망을 느낌니다.
@별아이-m3k
@별아이-m3k 10 күн бұрын
교육이 역시 중요합니다. 우리 나라도 경쟁교육을 없애야합니다.
@행국-d2s
@행국-d2s 9 күн бұрын
누가? 어떻게? 죄송하지만 혁신일까요 허상일까요. 저도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될 수 없는 것을 알면서도 그렇게 될 수 있는것 처럼 이야기 하는것에 이용당하는 것은 아닐까요?
@송키아밸리
@송키아밸리 8 күн бұрын
재매애힘정권에선 가능한니다 .공짜로 돈주고 집주고 직장을 주니 교육으로 경쟁할 필요가 없다. 아무것도 안해도 펑펑 쓰고 생활할 수 있는 정권교육! 재매이햄이 만들어갑니다
@2duseo
@2duseo 8 күн бұрын
없애다니요. 저쪽 극단이 문제라고 이쪽 극단으로 가는 것도 문제입니다. 경쟁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되 90년대처럼 중산층이 70% 비중을 차지할 수 있는 경제체제 구축이 우선입니다. 그러면서도 국제 경쟁력은 잃지 않아야 되는데 현재의 무한경쟁 자본주의에서는 불가능 합니다. 비슷한 문제를 공유하는 국제사회간에 제한경쟁 체제를 최우선으로 구축할 수 있어야 가능할 겁니다.
@zjahukf
@zjahukf 7 күн бұрын
​@@행국-d2s 해당 방송을 다시 한번 잘 좀 돌려보시기 바랍니다. 독일은 그게 가능했으므로 이미 세계강국 반열에 올라 있는 것입니다.
@고양이행복한-m3g
@고양이행복한-m3g 5 күн бұрын
​​@@2duseo90년대는 고사하고, 도대체 언제 우리나라가 중산층이 70%가 된 적이 있었나요? 존재해 본 적도 없는 "중산층 70%"운운 하며,마치 90년대가 우리나라의 이상향 이었던 시기처럼 말씀하시는 건, 전혀 사실과 다릅니다. 90년대는,우리나라가 겨우 군부독재를 청산하고,아직까지 노태우,김영삼등의 문민독재와 싸우고 있던,민주화를 향한 걸음마를 시작하고 있었고, 경제적으로도 겨우 노동자의 권리향상 을 위한 투쟁과 성과가 쌓이기 시작한 시기였고, 문화적으로도 겨우 정치의 억압을 뚫어내면서 다양성이 분출하기 시작한 때였을 뿐, 전혀 이상적인 시기가 아니었지요.
@mj-vc1rh
@mj-vc1rh 10 күн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정치인들이 교육을 좀 받았으면 좋겠어요.
@coolrain0919
@coolrain0919 10 күн бұрын
정치인들 중에서도 꼭 들어야 할 국힘당쪽 정치인들은 절대 안 듣고 안 받아들일 것 같습니다.ㅠ 그들이 만들어놓은 기득권의 혜택을 너무 잘 누리고 있으니.....
@동안대디
@동안대디 5 күн бұрын
근데, 윤 서결과 친한 김한길이 김누리 교수 형 이라는거...ㅉㅉ
@순이-f9g
@순이-f9g 10 күн бұрын
자기성찰없는 세상..너무 무섭습니다
@diegochoi
@diegochoi 7 күн бұрын
진심으로 동의합니다. 학교에서 인문학적 교육, 사회적으로는 다양성 존중과, 준법정신 을 강화 시켜야함.
@solitude3555
@solitude3555 5 күн бұрын
그러다보니 자기 객관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쵸...
@가을-k2o
@가을-k2o 10 күн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교육부장관이 되셔서 대한민국의 교육을 바꿔주시면 얼마나 좋은까요
@6tkyou
@6tkyou 10 күн бұрын
보수당인 민주당이 집권하면 충분히 가능. 수구당으로 전락한 국짐당 정권도 가능은 할지 모르겠으나 김문수같은 노인이 지지율 1위라니 답 없슴.
@조항주-q3p
@조항주-q3p 9 күн бұрын
일반인일때는 모두 정상이다가 정계만 들어가면 모두 돌변하는걸ㅠㅠ
@조심스레
@조심스레 3 күн бұрын
​@@6tkyou시댁조카 26인데 김문수 지지자라고 하는소리듣고 경악을 금치못했습니다. 꽤나 배운 친군데...자신이 일한만큼 번돈을 세금으로 내고싶지않다고하고 생산직 노동자를 경시하는 사고를 가지고있더라구요. 배운것들은 다 저런가싶어 착잡했습니다.
@일용1024
@일용1024 10 күн бұрын
파시스트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고개가 끄덕여지네요!! 역쉬~ 교육이 답이다
@김주선-i5i
@김주선-i5i 10 күн бұрын
저도 59년생인데 김교수님 정말 가슴에와닿음 백번천번
@hwbyun3766
@hwbyun3766 10 күн бұрын
요즘 제가 느끼고 있는것이 교수님 말씀 그대로네요. 내제적인 파시스트 ㅠㅠ
@Currentaffairs.History.J-k8r
@Currentaffairs.History.J-k8r 10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도 교육과정 안에 "선동가 판별교육" 반드시 넣었으면 하네요.
@hjh93050341
@hjh93050341 8 күн бұрын
선동가 판별교육이 결국 또 다름 전체주의임. 오히려 비판적 사고능력과 기능의 훈련이 절실히 필요함. 지금 교육과정에도 실려 있으나, 사실상 공염불임.
@임무비-y2f
@임무비-y2f 6 күн бұрын
선동가 판별교육도 만들면 어떤기준이냐에 따라 또 문제가 발생할거라생각합니다
@파랑새-j6u
@파랑새-j6u 10 күн бұрын
서울대가우월하다고 모든 분야에 지배하는게 문제라고본다.
@무실무허
@무실무허 10 күн бұрын
이번 계엄사태를 겪으면서 스트레스를 너무 심하게 받았는데 윤석열 때문만이 아니다. 멀쩡한 인간들이 자유민주주의를 훼손한 윤석열을 두둔하는 그 자체에 놀라버렸다.
@봄여름-m6z
@봄여름-m6z 10 күн бұрын
조국 사태부터 시작되었죠. 그 이후로 계속 반복입니다. 진영 둘 다 미쳐버렸다
@user-gg5qc3jr7xhh
@user-gg5qc3jr7xhh 10 күн бұрын
​@@봄여름-m6z그 이전부터임
@천사와소녀
@천사와소녀 9 күн бұрын
전 그날 새벽 깨어있으면서 생중계를 보았는데 너무 무섭고 나라가 무너지는구나라는 절망을 느꼈어요.ㅜ
@이도-o8t
@이도-o8t 6 күн бұрын
저두염
@김현정-c3w5i
@김현정-c3w5i 10 күн бұрын
제가 최근들은강연 중 가장 가슴뜨겁게 해주는 연설이네요
@이정우-j4b7s
@이정우-j4b7s 6 күн бұрын
저분 십수년 동안 저런 내용의 강의를 해오셨습니다. 씨알도 안먹힙니다. 수십년안에 아르헨티나나 필리핀처럼 되지 않으면 다행이라 봅니다.
@지피지기-k8t
@지피지기-k8t 10 күн бұрын
20년차 초등교사입니다. 지금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경쟁은 제도적으로 없어졌습니다. 시험, 등수 사실상 없어졌어요. 그렇지만 교수님 말씀대로 정치에 대한 개인적 발언을 하면 엄청난 금기어를 발설한 대역죄인이 됩니다. 교사가 정치참여는 커녕 교육부조차 교사의 목소리를 전혀 반영하지 않아요. 정치참여까지는 바라지도 않아요. 교육의 주체인 교사의 의견이 교육정책에라도 반영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1523ksk
@1523ksk 9 күн бұрын
중고등학교는 어떤가요? 아직도 등수 매기나요?
@지피지기-k8t
@지피지기-k8t 9 күн бұрын
@1523ksk 죄송하지만 제가 초등교사라서 중고등 상황은 잘 모르겠습니다. 저희 애들도 아직 유치원생이라 중고등 상황은 확실히 모르겠네요.
@이동혁-m4e
@이동혁-m4e 9 күн бұрын
선생님 아이들을 가르칠땐 정치색없이 가르쳐야되는게 정상입니다
@Cherry-h7b
@Cherry-h7b 9 күн бұрын
​@@1523ksk중학교는 등수 없고, a b c d 이렇게 주고 40%상이 a등급입니다. 고등학교는 등수가 있어야죠. 대입 내신이 들어가는 거니까요.
@Pja-u3n
@Pja-u3n 9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형수가 조카들 요새는 수우미양가 없다고 하더군요 궁금했었던
@ninzacap
@ninzacap 10 күн бұрын
독일이 20세기 초에 엘리트교육을 실시한 아웃풋이 바로 히틀러임. 대한민국은 윤석열을 배출시킴.
@jjstylin3440
@jjstylin3440 10 күн бұрын
캄보디아 킬링필드 "폴 포트"도 빠질 수 없음. 하물며 자국민 학살 .
@Cherry-h7b
@Cherry-h7b 9 күн бұрын
솔까 윤석열은 속은 엘리트도 아님. 겉은 서울대 사시 합격. 속은 빈 강정.
@hj5620
@hj5620 8 күн бұрын
그래서 독일은 교육 완전 다 바꿈.. 비판적 사고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thepatriarch0314
@thepatriarch0314 8 күн бұрын
그런데 그 교육이 독일로 하여금 노벨상을 받게 한 건 아십니까??
@susemi53
@susemi53 8 күн бұрын
@@thepatriarch0314독일은 모던 교육으로 바뀌어도 노벨 수상자 계속 배출했는데요? 님의논리는 히틀러 범죄자가 나와도 노벨수상자가 나오면 괜찮다는거죠?
@이종필-e7m
@이종필-e7m 11 күн бұрын
역시 누리 교수님 최고 입니다.
@함수옥-l7n
@함수옥-l7n 10 күн бұрын
곳곳에 윤석열 꽂아놓은 인간들 선동질 먹히는것도 너무 어처구니 없다 서울대 먹칠 인성 부터 배워라
@bs1951kr
@bs1951kr 10 күн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께서는 교육부장관이 되셔서 교육개혁하셔서 앞으로자라는학생들을위해. 일해주셔야됩니다 기대합니다 응원합니다!!!
@vianca10041
@vianca10041 7 күн бұрын
법원의 판결이 마음에 안 든다고 법원을 테러하면 어떻게 범죄자를 처벌할 것이며, 보통의 사람은 길거리를 편히 다닐 수가 있을까요? 거리를걷다가 폭행을 당했을 때 누가 범인을 처벌합니까?
@dochi72
@dochi72 10 күн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무심코 당연하게 생각했던 많은 부분을 되돌아보게 되는 말씀이네요.
@Ggsnku-c8u
@Ggsnku-c8u 10 күн бұрын
두시간만에 끝났다뇨 계엄은 6시간만에 종료됐지만 국민은 지금도 고통을 겪고 있어요 윤석열이 자기변호하며 한 계엄2시간 주장을 앵커가 그대로 말하다니 정말 어이가없네요
@fantasticBull
@fantasticBull 7 күн бұрын
니가 뭔 고통을 겪고 있는데?ㅋㅋㅋㅋ 개웃기네. 계엄 전후로 니 인생에 바뀐게 뭐가 있는데?
@jslee5432
@jslee5432 7 күн бұрын
네 이놈! 수많은 사람이 고통받고 있어!​@@fantasticBull
@펜덕-u5h
@펜덕-u5h 7 күн бұрын
@@fantasticBull당신처럼 말하는 사람이 많아서 괴로운 것도 꽤 커요.
@fantasticBull
@fantasticBull 6 күн бұрын
@@펜덕-u5h 무슨 고통을 겪었냐는 질문 때문에 고통을 겪는다라ㅋㅋㅋ 진짜 좌파식 대답이네요ㅋㅋㅋㅋ 계엄 개무섭네 정말로
@펜덕-u5h
@펜덕-u5h 6 күн бұрын
@@fantasticBull 그...헌재 재판 영상은 보세요? 고통을 못느끼시는 그쪽 문제인 것 같은데요. 좌파 아니고 중도인데 이참에 좌파로 몰리니 다음 선거 때 어떻게 할지 심히 고민 되네요.
@goodbob3
@goodbob3 10 күн бұрын
윤석렬 때문에 많이 배우긴 한다 이젠 하다하다 파시즘까지 배웠다 다음엔 뭘까?
@정명선-y3o
@정명선-y3o 10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교육관으로 다음 세대 교육이 진행되어야합니다. 다음 정권에 기대하고싶습니다.
@junelim1026
@junelim1026 10 күн бұрын
민주주의 속에 파시즘이 더 위험하다는 말씀 와닿습니다. 부디 탄핵으로 그치지 말고 치우쳐있는 정치 정신과 교육이 제대로 개혁되었으면 합니다.
@youngjeekim8905
@youngjeekim8905 10 күн бұрын
그러게요 ... 무섭네요
@seozero6907
@seozero6907 10 күн бұрын
어떤 정치학자가 현재 우리나라는 민주주의가 아니라고 단언하시더라구요 후기 파시즘국가라 하시는데 참담했습니다. 세계적 추세이긴하나 우리나라가 너무 급격하게 일어나고 있다는분석도 봤는데 충격이었어요.
@김정동-q3j
@김정동-q3j 9 күн бұрын
계엄선포한날 50대 60대가 국회로 뛰어간 이유가 계엄의 공포를 겪었기에 어떻게든 막으려고 간겁니다. 생각하기도 싫지만 성공한 사람은 그 권력을 얼만큼 휘두를 수 있는걸 알고 있고, 50대 60대는 그 공포를 기억하고 몸이 먼저 반응 한겁니다. 지금 20대 30대 40대는 모르지만요. 모른다고 무시하는게 아닙니다. 젊은이들이 겪는게 안타까워서 그렇게 한겁니다. 이제부터는 법원습격이나 이런거 하지말고 정당하게 주장합시다. 법원이 무너지면 민주주의도 없습니다. 진보 보수 지지여부를 말하는게 아닙니다. 다시 냉정한 머리로 돌아와야합니다.
@윤순옥-j5n
@윤순옥-j5n 9 күн бұрын
정상적인 사람들이 요직에 앉아있어야 하는데 어쩜 인격이 안된 사람들만 일을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대통령에게 충성하는 사람으로 채워눟으니 나라가 이모양이지
@myungsookchae6628
@myungsookchae6628 10 күн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의 간결하고도 너무나 이해가 확~가는 설명 너무 감사 드려요
@마이더스-t7x
@마이더스-t7x 9 күн бұрын
무한경쟁이 문제가 아니라 승자독식의 사회체제가 문제라고 봅니다. 승자가 독식함으로서 협력하지 않게 되고,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상대를 제압하는 정글같은 사회를 개혁해야 합니다.
@마침표-f6q
@마침표-f6q 7 күн бұрын
다 같이 망하는 세상이 된다는 것을 왜 모르는지?...소위 엘리트라는 것들은 지가 늘 승자라고 믿는 듯...그리고 소수의 승자만이 존재해서 세상이 존재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ㅋ
@Fuwawang-u4m
@Fuwawang-u4m 6 күн бұрын
그래서 제가 항상 하는 상상이 있습니다. 만약에 독식하는걸 좋아하는 사람들만 따로 모아놔서 국가를 만들어놓으면 어떻게 될까
@Moodbeige1021
@Moodbeige1021 5 күн бұрын
승자독식의 사회체제는 무한경쟁으로 부터 나옵니다. 본인이 승자나 패자라고 여기지 않는 사회체제를 만드는 게 중요한 거예요. 승자에게 독식하지 말라고 하는 것, 다른 사람과 협력하라고 하는 것으로 끊임없이 이 사회가 시끄러웠잖아요 여태. 그런 게 무용하다는 걸 이젠 알 때가 되지 않았습니까?
@마루마루-o5o
@마루마루-o5o 5 күн бұрын
경제적인측면에서 부자들이 승자에 가깝. 그 승자들은 부자감세까지 받음. 재화는 제로썸. 승자독식 부자에게 돈이 들어갈수록 부의 분배도 제로로 간다. 서민이 재벌들 감세 찬성하는게 아이러니.
@초이-j7g
@초이-j7g 9 күн бұрын
우리 교육은 생각하는 힘 자체를 무력하게 만드는 교육이죠 김누리 교수님 교육의 한 축을 맡아 주셨으면 합니다
@greenchoa
@greenchoa 10 күн бұрын
판사가 개인이 아니라 기관이라는거, 법원을 공격하는게 나라를 부정하는거라는 것을 저 모지리들이 알기나 할까. 그게 얼마나 큰 일인지 알기나 할까. 지들이 법의 테두리 안에서 얼마나 안전하게 살아가는지 알기나 할까.
@가을-k2o
@가을-k2o 10 күн бұрын
너무 공감가는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흐르는강물처럼-w8q
@흐르는강물처럼-w8q 8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탁월한 진단과 근본적인 해결을 지지하고 응원합니다.
@user-ox3oi7fp3s
@user-ox3oi7fp3s 7 күн бұрын
우리 사회의 본질적인 문제를 정확히 꿰뚫고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신 이 시대의 참 스승인 김누리 교수님 정말 존경합니다. 우리 사회가 파시즘이 지배하는 경쟁교육, 경쟁사회에서 벗어나 하루 빨리 사회개혁과 교육개혁의 날이 오길 기원합니다
@youngheo7438
@youngheo7438 10 күн бұрын
김 교수님의 말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을 하나 더 하자면 소수 엘리트들의 비뚤어진 우월의식도 점검해야 합니다. 엘리트들이라면 사회적 책임도 엘리트가 되어야 하는데 한국의 엘리트들은 선민의식이 매우 강해요.. 김대중 노무현 이재명을 인정 못하는 것도 내가 최고의 대학과 최고의 경력 그리고 좋은 집안 배경을 가졌는데 상고 나오고 중학교 중퇴(검정 고시후 대학진학) 한 사람들이 지도자라는 것을 인정 못하죠.
@지운-z1u
@지운-z1u 10 күн бұрын
민주당도 엘리트예요 조국 사태는 '제 삶을 기성의 안온함에 최적화해 설계한 사람이 남들한테는 대중의 편인 양 엘리트를 훈계하던 위선'이 민주당의 인상과 오버랩 되며 파급이 있었던 겁니다.(물론 수사 과정이 온당하다거나, 조국이 대역죄인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솔직히 말해서 유시민 좋아하지만, 외고 없어져야한다고 해놓고는 아들은 세화고 보냈잖아요. 아들의 고등학교 진학시기에 맞춰 강남으로 이주하는 모습이 참 공교롭지요. 그 마음은 이해하지만서도요. 엘리트주의를 타파하려면 민주당은 본인들한테도 칼을 대야해요. 이재명이 대통령이 되고나서 사회적 거대권력은 물론 본인들에게 쏠리는 이권을 떨쳐내야만 가능한 개혁입니다만...현실적으로 과연 그럴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minr6851
@minr6851 10 күн бұрын
완전 동갑입니다.. 이런점이 옛날부터 선진국이였던 나라와 갑자기 경제적으로 잘 살게 된 우리나라의 차이점인것같아요… 사회엘리트들 많이 가진 사람들은 꼭 어려운 분들은 도우고 하는게 거의 의무인 선진국과 한국의 차이.. 저는 호주에 사는데 유복하게도 경제적 여유가 있어 자녀들이 아주 엘리드 학교 다니는데 이 엘리트 학교와 그냥 공립학교의 극명한 차이는 아주 어릴때부터 사회봉사를 너무 당연하게 해야하는 그런 걸로 인식하게 만들어요.. philanthropic education 말이죠.. 덜 가진사람들 착취하고 밣아누르는거 아니라.. 빨리 진정한 부자들 리더들이 나오게 교육부터 바꿔야 해요…
@난호랑이-k8f
@난호랑이-k8f 10 күн бұрын
정말 그러네요. 공감합니다.
@크래커-d9o
@크래커-d9o 10 күн бұрын
교실에서 차렷,경례 같은것 금지 그리고 회장,부회장도 금지
@willver8128
@willver8128 6 күн бұрын
차렷경례 안하는대요?
@IckeBinBerlinerin
@IckeBinBerlinerin 10 күн бұрын
계엄후 계속 내란성 불면증을 앓고 있는 독일 거주 재외동포입니다. 김누리 교수님의 말씀에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제 아이들은 이곳 독일에서 제가 받았던 교육제도와 아주 다른 교육을 받는것을 보면서 참 다행이라고 느꼈었습니다. 교수님 말씀처럼 교사들이 정치에 참여하면서 본인들의 의견을 학생들에게도 피력하지만 그것이 문제가 되지않는다고 확신합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교사들의 의견 뿐만이 아니라 부모 또는 다른 사회 구성원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접할수 있기때문입니다. 그리고 여기 독일에서는 아무도 당신 어느 대학 나왔느냐고 묻지 않습니다. 요즘 서울대등 명문대를 나오고 나라 세금으로 월급 받는사람들이 도대체 전혀 상식과 도덕이 없는 말과 행동을 하는것을 보면서 우리 교육 시스템에 큰변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itmasspeaker684
@itmasspeaker684 10 күн бұрын
그렇군요. 우리도 그렇게 변해야할텐데......
@Ssu7173
@Ssu7173 10 күн бұрын
모략을 하고 근거없는 말에는 엄한 처벌이 선행되어야 할거같습니다. 우리나라 같으면 아마도 없는 일을 지어내는 사람들이 너무 많을거같습니다
@박정희-c6m
@박정희-c6m 10 күн бұрын
자신도 모르게 민주주의 안에서 파시즘이 되어있다는 말씀을 깊이 새기고 싶습니다
@눈덩이-i6w
@눈덩이-i6w 10 күн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교육감, 교육부장관 하셨음 좋겠어요
@jayyoon1435
@jayyoon1435 10 күн бұрын
제발료ㅜㅠㅜㅜㅠ
@최철희-v9o
@최철희-v9o 10 күн бұрын
양 부모님 아래 형은 김한길, 주관적 정치 철학이 없이 정처없이 떠돌아다닌 철새정치인 과 자기 철학이 뚜렷한 민주주의 교육자로 대비 됩니다.
@user-ss8yf9tq1n
@user-ss8yf9tq1n 10 күн бұрын
경쟁이 없는사회.. 말은쉽죠 하지만 너무 이상적인거 아닌가요? 공산주의처럼.. 모두가평등하게 대우받는 사회꿈꾸다 다같이 망한게 공산주의입니다
@손민수-o4k
@손민수-o4k 9 күн бұрын
유럽을 보셔요 북지국가들 경쟁없습니다 오히려 중국 등 공산국가들도 경쟁 심합니다​@@user-ss8yf9tq1n
@user-ox3oi7fp3s
@user-ox3oi7fp3s 7 күн бұрын
@@user-ss8yf9tq1n 당연히 완벽한건 세상에 없죠. 인간 자체가 불완전한 존재이니까. 하지만 더 나은 사회를 만드는건 충분히 가능합니다. 늘 그래왔고요. 이상주의라서 불가능해 라고 말하기 보단 다 같이 우리가 꿈꾸는 세상에 더 가까운 세상 만드는데 참여해보자 하는게 훨씬 더 건강하고 생산적인 방향이죠
@쑤기-w4o
@쑤기-w4o 10 күн бұрын
어느교수분이 민주교육,역사교육,토론교육 필요하다는 말씀에 동의.
@d.k.lpeter3316
@d.k.lpeter3316 10 күн бұрын
윤 등장으로 대한민국 극우파시즘 세력들 힘얻어
@benmookim
@benmookim 9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통찰과 진단 정말 설득됩니다. 경쟁,우열을 가르는 우리 교육이 엘리트층만을 위한 나라로 만들어 가고 있었네요. 독일식 민주주의 교육제도는 참고할만합니다. 교육제도를 개편하여 민주주의 교육을 실행할 날이 올까요? 이번 비상계험을 계기로 새로운 정부에서는 민주시민을 기르기 위한 교육개혁도 같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sobluebear
@sobluebear 10 күн бұрын
맞습이다 교수님 저도 아이가 학교에서 역사 공부를 해오면 항상 관련 서적을 추천합니다 민주주의가 절대 공짜가 아니며 왜 우리가 일본을 아직 용서 못하는지 독재가 왜 나쁜지 민주주의가 무엇인지 정말 우리나리 교육 문제가 있습니다
@초심으로-c7t
@초심으로-c7t Күн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설명 늘 감사합니다^^ 늘 느끼는 게 많습니다!!!
@jylee3407
@jylee3407 10 күн бұрын
곱씹어봐야할 의미있는 내용인것 같습니다. 100년 대계 교육의 혁신이 ㄹ대적으로 필요한 시점 맞습니다..
@heony7540
@heony7540 8 күн бұрын
항상 이 나라의 교육을 지적해주시는 소중한 분..아이들이 이 나라의 미래입니다
@yesm49
@yesm49 10 күн бұрын
"당연한 경쟁적 태도"를 "야만하고 천박한것"이라고 봐야한다. 각자 노력할순 있지, 사회가 조장하지 말라는것. 세상이 바뀔때가 왔다 윤석열 큰일 했네. 히틀러가 지금의 독일 교육을 만들었듯 윤석열이 한국을 바꿀것이다
@HIchannng
@HIchannng 10 күн бұрын
교수님 격하게 공감합니다
@cameliacat
@cameliacat 10 күн бұрын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너무 동의가 되서 슬프기조차 하네요. ㅜㅜ 왜냐하면 개혁 중에 가장 어려운 개혁이 교육 개혁인 것같거든요. 가능이나 할 건지 ㅜㅜ 그래도 희망 잃지 말고 목소리 내야겠죠.. 화이팅!
@G-k3c
@G-k3c 3 күн бұрын
아주 중요한 말씀이네요 .. 제가 이번 계엄사태 후 생각했던 문제점하고 정확히 일치합니다.. 무한경쟁에 빠진 공부가 개인들의 사회성 다양성 민주성을 말살시키고 동료들을 경쟁의 대상 이겨야할 상대로 인식하고 서열을 나눠 등급화시키고 급을 나눈다고하죠.. 그래서 어려서부터 사교육으로 공부만한 사람은 커서도 자기들은 엘리트에 급이 다른 사람이라는 생각이 마음속에 깔려있는거죠..결론은 학업 대학 취업 결혼 사회에서의 성공 등 무한경쟁으로 인해 삭막해지는 사회로의 속도가 생각보다 빠르다는거죠.. 물론 한번에 완전히 없어질수는 없고 완전히 독일처럼 될수는 없겠지만 서서히 개선해가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할거 같습니다...
@석심최
@석심최 10 күн бұрын
저도56년생입니다 지금의 이나라의 형국을 보면 정말 참담합니다
@dongjookim7137
@dongjookim7137 10 күн бұрын
고맙습니다
@한고-q1t
@한고-q1t 10 күн бұрын
법원공격은 내란이네요
@holida9908
@holida9908 10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짧은 시간에 하신 말씀 많은 분들이 들으시면 좋겠어요. 우리가 겪고 있는 이 초유의 비현실적인 일들은 절대 우연히 아니니까요.
@SmLee-h1x
@SmLee-h1x 7 күн бұрын
너무 무섭습니다. 내란수괴를 반드시 처벌해주세요.
@eungim2403
@eungim2403 10 күн бұрын
독일은 계엄이 없다고 합니다 전쟁이 나도 국방부에서 전쟁체제로 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없애지 않는다고 하네요 우리나라도 고려해 봤으면 좋겠어요
@Ssu7173
@Ssu7173 10 күн бұрын
없어져야할 악법같아요. 분단을 위해 만들었지만 정권야욕의 수단으로 써먹고있어요
@정숙희-n3s
@정숙희-n3s 10 күн бұрын
ㅇㅏ주 좋은 공부하고 있습니다 감사 합니다~~❤❤. ❤❤❤
@요조-e1t
@요조-e1t 9 күн бұрын
폭동을 일으키게 만든 배후의 인물들도 철저히 조사해야한다.
@mmoon2314
@mmoon2314 6 күн бұрын
저도 65년도에 태어났는데 저도 민주주의자라고 생각했는데 경쟁과 양육강식의 환경속에서 파시즘이 자기도 모르게 체화된다는 말씀 공감합니다. 교육개혁이 장기적으로 가장시급 문제네요.
@kennethlee7672
@kennethlee7672 10 күн бұрын
진짜 명강의를 들은 느낌입니다~
@금융경제공부방
@금융경제공부방 Күн бұрын
서울대 육사출신이 대한민 국을 이끌고 가는 현실에 우려하는 국민들 많습니다
@장태영-f6v
@장태영-f6v 10 күн бұрын
김교수님 계속 존경합니다 꾸뻑
@haha-sr4ev
@haha-sr4ev 9 күн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평소 말씀하신 경쟁하는 교육을 폐지하고 대학입시 폐지하고 등록금 없애고 민주시민 교육 제대로 시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김누리교수님 교육부장관 하셔서 교육시스템 바르게 세워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hunja7174
@chunja7174 7 күн бұрын
성숙한 민주주의가 교실에서 결판난다.. 정말 옳은 방향이네요.
@jinis_u
@jinis_u 10 күн бұрын
처음엔 무슨소리인가 했는데 잘 들어보니 일리있는 말씀이군요 더 듣고싶었어요.
@원영정-y9s
@원영정-y9s 7 күн бұрын
내가 절절히 느꼈던것들을 그대로 정리해주셨습니다 어쩌면 예견된 수순이었던거같습니다 근원을 파고 들면 결국 교육입니다 이 파시즘의 물결이 앞으로 더 커지면 커졌지 없어지는건 어려울거같습니다 이제라도 눈 부릅뜨고 실천하겠습니다
@bomilee2474
@bomilee2474 10 күн бұрын
말씀에 정말 공감하고 인상깊게 들었습니다. 이렇게 사회를 깊이있게 통찰하는 분들 말씀을 계속 듣고 싶어요! 뉴스쇼 감사합니다❤
@201kdr
@201kdr 10 күн бұрын
참 많이 공감하고 생각해 보게 만듭니다.👍🏻👍🏻
@박인근-j3b
@박인근-j3b 11 күн бұрын
본질은 이것이다 이 본질을 깨닫지 못하면 한국 사회를 절대 이해하지 못한다
@jepilo5285
@jepilo5285 10 күн бұрын
교육도 문제인데 역사 교육도 중요한데 우리역사는 쿠테타가 성공적으로 이어졌고 그 쿠테타의 주도자를 역사적으로 좋게 평가한다라는 점과 그런 주도자를 크게 처리 못했다는점은 다음세대에도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는점입니다
@sunpaek7378
@sunpaek7378 10 күн бұрын
정말 훌륭한 지식인이다. 이런 분이 왜 그냥 그렇게 방송에만 나올까? 이런 분의 지식/사상/철학을 이 나라 교육에 100% 반영하면 살아날 구멍이 있다. 민주당이나 조국혁신당은 얼른 이런 분을 모셔서 이 나라 100년 대계를 세우시라!
@morphous
@morphous 10 күн бұрын
아마 그들이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는게 우리나라는 전후 가진게 없었고, 흔히 말하는 인적 요소로 세계와 싸워 이겨서 나라를 이렇게 잘 살게 만들었다는 생각이 강해서이지 않을까요? 실제로 그들이 그렇게 경쟁하고 쉬지 않고 일을 해서 세계의 경쟁에서 이겨냈기에 이런 경제적 풍요를 누리는 것을 부정할 순 없으니까요. 그 시대엔 그시대에 맞는 사람이 필요했던 것이고 이제 새로운 시대이니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생각과 사람이어야 할텐데, 그걸 바꾸지 못하니 대통령부터 계엄하던 그 시절에 붙잡혀 살고 있는거 같아서 안타깝습니다. 원시시대엔 사냥잘하고 적과 잘 싸우는 사람이 필요했듯이 그 시대엔 우리나라가 가진게 그것밖에 없었으니 사람을 잔혹하게 경쟁시켜 최고의 경쟁하고 일하는 인간을 길러내고 그런 사람이 필요했을 뿐이라고 봅니다.
@OlaAnna
@OlaAnna 10 күн бұрын
교수님 말씀 중 계엄사태 이후 벌어지는 정치상황과 정치인의 발언 원인 국회의원들=경쟁 중심의 한국 교육을 잘 받은 전교1등이 모인 파시스트 집단이기 때문이라는게 정말 와닿네요…
@gwabalson6665
@gwabalson6665 10 күн бұрын
아무리 진영싸움의 골이 깊다하드라도 반헌법적 계엄(+법원 공격)인데도, 편들기를 지나쳐 무효화시키려고까지(복귀) 하려는 행위를 수용하라는 말인가?
@dqyrajtxrx422
@dqyrajtxrx422 10 күн бұрын
평소에도 김교수님의 말씀에 많이 동감해왔지만.....이번 내란사태를 겪으면서 내가 든 개인적인 생각을 아주 잘 표현해 주시네...입시위주의 극한 경쟁교육이 한국사회에 미친 폐해가 응집 폭발.
@단한사람-h5i
@단한사람-h5i 7 күн бұрын
저도 건강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교육개혁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번사태를 보면서 절실히 느끼고 있구요. 김누리교수님 말씀들으니 더욱 공감과 이해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다음번에 더 길게 모셔주세요~!
@HopeLove-j3c
@HopeLove-j3c 10 күн бұрын
여기 수정된 문장입니다: 저는 독일에서 중고등학교와 대학을 다닌 사람입니다. 독일에서는 경쟁보다는 협력과 평등주의, 성적보다는 개별적인 성장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경쟁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닙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진로 선택에서는 치열한 경쟁이 존재하며, 독일 대학에서도 특정 전공들은 현실적으로 높은 점수를 요구합니다. 대학 공부는 상당히 힘들게 해야 합니다. '과유불급'이라는 말처럼, 우리 교육에서 경쟁이 지나치게 강조되는 것이 문제입니다. 경쟁 자체가 나쁜 것이 아니라, 어느 맥락에서 어떻게 유익하게 활용하느냐가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독일은 확실히 사회주의적 시스템을 따르지만, 자본주의적인 미국과 혼합된 모델을 지향하는 사람들도 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결국, 독일에서도 결국 돈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과거 미국과 경쟁하던 찬란했던 시절에 비해 독일은 점차 가난해지고 있으며, 극우 세력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곳간에서 인심 난다'는 말처럼, 경제 성장이 없다면 사회주의 시스템에는 한계가 보입니다. 현재 독일에서도 파시스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교육을 통한 해결에는 한계가 분명히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혜경-e6q
@이혜경-e6q 8 күн бұрын
그러면 파시스트를 막는 방법은 뭘까요?
@lizpark7604
@lizpark7604 Күн бұрын
네 지금 시대에 독일은 많이 뒤쳐지는 느낌이 듭니다. 독일인의 특성상 제조업이 아닌 시대에 적응하는게 어려운일 아닌가요? 잘은 모릅니다만
@김미숙-q6q7h
@김미숙-q6q7h 10 күн бұрын
지치지 않고ᆢ계속 외쳐주세요ᆢ 언젠가는 때가 오고 이루어질것입니다. 계란으로 바위가 썪을것입니다 교수님 화이팅!!!
@sky89885
@sky89885 10 күн бұрын
이번을 계기로 민주주의는 지켜내기 힘듦을 깨닫습니다. 반면,독재와 파시즘은 쉽게 파고들어 사회를 병들게하고 기득권층은 이들을 이용해서 계속해서 국민위에서 군림하려는것이 핵심입니다. 최상목대행이 추진하는 ai교과서는 이미 선진국에서 실패한건데 추진하려는것은 이권이 개입되어 있기때문일것입니다.
@LOVE-sg8rc
@LOVE-sg8rc 10 күн бұрын
그래서 프랑스 독일이 시효없는 단죄를 하는거죠
@LOVE-sg8rc
@LOVE-sg8rc 10 күн бұрын
그리고 ai 교과서는 올해는 시행되지 않습니다 대통 잘 뽑아서 5년후로 유보시켜야지요
@무지개-r4x
@무지개-r4x 23 сағат бұрын
파쇼ᆢ무슨 뜻인지 아무리 들어도 어렵네요ᆢ
@인사동불곰
@인사동불곰 5 күн бұрын
전교 1등일 수록 파시스트 가능성이 높은 교육환경
@어-z4e
@어-z4e 6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은 살아있는 지식인이자 참된 교육자이다. 교육은 백년지 대계라는 말이 있듯이 대한민국의 미래 주역들을 올바르게 양성시켜야 하는 것은 국가적 매우 중요한 사항 일임은 그 누구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현행의 잘못된 교육방식은 우리 아이들을 치열한 경쟁구조로 내몰아 병들게 하고 있으며, 역사의식 결핍으로 인해 개인주의 이기주의 기회주의가 팽배하여 사회 폐해를 악순환을 시키고 있다. 차기 교육부 장관으로 임명되셔서, 다시 성장하는 대한민국 다시 더불어 사는 대한민국의 초석을 세우길 간절히 바랍니다.
@이예숙-z2o
@이예숙-z2o 8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께서 우리들의 아이들의 국가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 교육부장관이 되어주시면 얼마나 좋을까요~?
@가가-p4d
@가가-p4d 8 күн бұрын
가정 교육과 학교 교육의 중요성. 경쟁 교육의 문제와 다양성 존중. 김누리 교수님이 예전부터 우려하셨던 일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네요. ㅜ 지금이라도 정신차려야 되는데 경쟁은 더 치열해지고 사회 양극화는 더 심각해지는 것 같아 대한민국의 앞날이 걱정됩니다. 어릴 때부터 학원 뺑뺑이 도는 아이들도 불쌍하고요.
@Wolf-ck8ge
@Wolf-ck8ge 2 күн бұрын
이 양반 독일전도사. 현재 독일의 문제들은 어떻게 해결하나?
@gloria-ws7eu
@gloria-ws7eu 9 күн бұрын
김누리교수님 말씀 100% 공감합니다 자주 방송으로 강연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daq
@sdaq 9 күн бұрын
교수님을 오랫동안 존경한 중대 독문과 졸업생입니다. 교수님 건강 잘 챙기시고 오래 오래 우리 사회를 위해 목소리 내주세요
@suncomestoshine918
@suncomestoshine918 6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차이나는 클라스 다들 꼭 보셔요
@yeshot21
@yeshot21 7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의 말씀, 절절히 다가오네요. 오랫 동안 초등 교실에서 아이들을 가르쳐 왔는데, 민주주의자가 아닌 파시스트가 되는데 일조한 것이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생기네요. 우열과 경쟁 없는 한국 교육이 되게 교육 대개혁이 절실하네요. 감사합니다.
@공수래공수거-u5o
@공수래공수거-u5o 10 күн бұрын
역시 김누리교수님이십니다~~~
@bluehunter2530
@bluehunter2530 10 күн бұрын
정말 계엄이 얼마나 엄청나고 엄중한 일인 건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나라의 시스템을 군이라는 조직으로 운영한다는 건 정말 우리의 일상의 자유가 제한될 수 있는 무서운 일입니다. 지금에 와서 계엄을 실행할 생각이 없었다는 둥 , 계몽을 위한 2시간 짜리 계엄이었다라는 말은 너무나 무책임하고, 절대 동의해서는 안되는 치졸한 변명이라고 생각합니다.
@괴산젊은농부
@괴산젊은농부 6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안녕하세요 ^^ 함박눈오는날 시골 작은 중학교에서 학부모와 학생들 교직원들에게 열정적으로 진심어린 강의를 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 교수님의 강의를. 더 많은 사람들이 듣기를 바랍니다 아이들이 진정 민주시민으로 자라나고 행복한 아이들이 되도록 우리나라 교육에 큰 역할을 해 주시기 바라고 기원합니다 🙏
@julia8676
@julia8676 7 күн бұрын
선동가를 판별하는 교육.... 정말 필요합니다. 분별력을 길러주는 것 필요
@mikyoung1234
@mikyoung1234 5 күн бұрын
의사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처단한다 하 진짜 이런 사람들이 국정을 끌고 갖다니 한심하고 진짜 한심한겁니다 인사라고 하는거 보면 수준이하 인간들만 해데니 오죽하면 탄핵해서 직무를 정지할까요 나 같음 차라리 협치를 하고 말지 자기네들 입맛에 맞는 인간들만 하니 참 어이가 없네요
@박재영-y8i
@박재영-y8i 3 күн бұрын
이런 분이 교육부장관되면 또 보수기득권들이 사람을 밑바닥까지 몰고가겠죠. 노통때도 그랬듯이 시민들이 지켜줄수 있을까에 대해서는...확신을 가질수가 없네요ㅠ
@google사용자-e5i
@google사용자-e5i 10 күн бұрын
김누리 교수님 좀 많이 나와주세요. 우리도 파시즘 초입이다 이런 얘기 많은데.
@maumilbo
@maumilbo 5 күн бұрын
정말 공감됩니다. 완벽한 엘리트코스를 지나온 사람들이 완전한 파쇼스트가 되어있다는 말씀... 너무 공감되어 참담합니다. 엄청난 허언들을 하고도 부끄러운줄 모르는 이 상황에 탄식이 절로 나옵니다.
@sjh3872
@sjh3872 8 күн бұрын
참으로 와닿은 교육지침이라 공감합니다
Cat mode and a glass of water #family #humor #fun
00:22
Kotiki_Z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Une nouvelle voiture pour Noël 🥹
00:28
Nicocapone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VIP ACCESS
00:47
Natan por Aí
Рет қаралды 30 МЛН
DeepSeek, 국내 기업들에도 새로운 가능성 제시 (박정호 교수)
22:03
CBS 김현정의 뉴스쇼
Рет қаралды 39 М.
[뉴스게임] 민주당의 '최상목 딜레마'... 거부권 써도 탄핵 못한다?
45: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