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작 10살이었던 정조에게 아버지, 사도세자 죽음의 배후를 알려준 인물이 다름 아닌 영조?! 사랑하는 아버지를 향한 정조의 지극한 효심 |

  Рет қаралды 1,404,016

사피엔스 스튜디오

사피엔스 스튜디오

Күн бұрын

본격 우리 역사 스토리텔링쇼
#벌거벗은한국사
00:00 즉위 첫 날, 충격발언을 한 정조
03:21 아버지의 복수를 시작한 정조
05:41 정조를 위협하는 견제 세력
07:14 왕권 강화를 위해 측근 세력을 키운 기관
10:47 짜여진 각본대로 상소를 보고 눈물을 흘린 정조
15:13 수원으로 아버지를 모시기 위해 재개발 추진?!
17:14 아버지 사도세자를 위한 끝없는 효심
21:20 아들 순조를 통해 사도세자를 추숭시키려는 계획

Пікірлер: 786
@freewill4123
@freewill4123 10 ай бұрын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한테 한것도 그렇고 정말 효심이 지극한 사람인것 같아요 첫사랑을 향한 순정도 그렇고 사람이 정말 결이 고운사람 같아요
@freedomgibbum4744
@freedomgibbum4744 Жыл бұрын
"난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정조의 자신감 매력있죠
@user-qc2sj1xv4k
@user-qc2sj1xv4k Жыл бұрын
사도의 아들인데 뒷말이 있답니다 큰보복은 않겠다고 했다는데 실제로 귀양 등 보낸것은 정조의 큰 실책입니다 물론 어린 나이에 아버지 죽는 모습을 보았으니 드라으마세 시달리 겠지만 그래도 정조다운 대인배였다면 보븍은 안되죠 이것이 정조의 최악의 실책입니다
@donwookjo5330
@donwookjo5330 Жыл бұрын
사실이 아닌데 정조는 그 발언을 한적이 없습니다....
@Six939
@Six939 5 ай бұрын
​@@user-qc2sj1xv4k등신이노 이새킨
@user-jj7pv9ck4g
@user-jj7pv9ck4g Жыл бұрын
지극한 정조대왕의 효심 가슴이 뭉클하다. 복수를 하되 죽이지는 않았다. 자신이 마음이 아파보니 그것만은 하지 않았네, 성인 군주다.
@user-xl4uv2tx1i
@user-xl4uv2tx1i 8 ай бұрын
정조는디지기직전까지 명홧제제살지내던만동묘 제례를주관하며. 중국에대한충성을보여죠
@kaan1035
@kaan1035 7 ай бұрын
​@@user-xl4uv2tx1i매국노 친일짓거리보단 낫다 21세기 윤완용
@judiesuh6858
@judiesuh6858 4 ай бұрын
​@@user-xl4uv2tx1i 말을 참 험악하게 하시는군요👎🤯🤬
@joyful994
@joyful994 Жыл бұрын
왕도 되었겠다 아버지 죽음에 대한 복수를 해야겠다라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그러지 않고 정사도 잘 돌본건 진짜 대단하다
@user-op1ky5jy9c
@user-op1ky5jy9c Жыл бұрын
외갓집식구들은요?제가 알기론 엄마도 사도세자랑 묻히길 싫어하는데 같이 묻어드리고 환갑때도 가기싫은 사도세자묘에 정조가 엄마 모시고 간것 아녀요?
@user-se7qd2sk5e
@user-se7qd2sk5e Жыл бұрын
엄마와 그아버지와 동생 모두 사도세자의 반대파이었지요 영조까지도. 사도세자만 소론이었어요 영조는 어차피 노론에 의해 왕이 되었으니 ...
@user-fc3wp9xe4v
@user-fc3wp9xe4v 11 ай бұрын
​@@user-se7qd2sk5eㄴ ㄷㄴㅌ6ㄹㄷ😊6ㄹㄷㄴㅌㄴㅊㄴㄷㅈㄴㅈㄴㅈㄴㅈㄴㄷㅈ.ㄴㅈㄷㄴㅉㄴㅊㄷㅊㄴㅈㄴㅈㄴㅈㄴㅉㄷㅊ.ㄴㄷㅊ9ㅈ9.ㄴ.ㄷ.ㅈㄹㅈ.ㅈㄴ.ㅅㅈㄷ,ㄴ.ㄴㄷㄴ?ㅈㄴㅈ,ㄷ.ㅈㄷ,9ㅉㄷㄹㅉㄷㅊㄴㄷㄴㅈㄷㅉㄷㅈㄷㅊㄷㅉㅌㅊㄷㅊㄷㅈㅌㅉㄴㅈㄴㅈ9ㅌㄴ
@ccs7905
@ccs7905 11 ай бұрын
정말로 가슴이 아픈역사. 입니다. 해설도 참잘 합니다 잼있게. 해네요. 몇번을 봐도 잼 있습니다
@user-eg8dr2dl1c
@user-eg8dr2dl1c 10 ай бұрын
즈 엄마 잡았다고 열내다간 연산군을 알기에?
@cikhan1
@cikhan1 Жыл бұрын
눈물없이 들을 수 없는 정조의 효심 ㅠㅠ 마음아프네요 더 오래 사셔서 마지막 숙원도 이루셨더라면 ㅠ
@user-yi6lk3sf8d
@user-yi6lk3sf8d Жыл бұрын
뭐냐 위에 또라이들은
@ekma80
@ekma80 Жыл бұрын
정조가 독살당하지않고 오래살았더라면우리가 식민지도 겪지않았을지도요
@user-dl7ik4kw7z
@user-dl7ik4kw7z Жыл бұрын
마져요! 10년만 더사셨 으면 우리나라는 선진국대열에 핵도 만들었을텐데~
@kbs4769
@kbs4769 Жыл бұрын
뭔소리임 영조때 이미 유럽에서 프랑스 혁명 일어날 시기임 좋은 대왕은 맞지만 국뽕에 젖진 마시길
@user-yi6lk3sf8d
@user-yi6lk3sf8d Жыл бұрын
@@kbs4769 확실히 세계흐름을 못따라가긴 했죠...
@MinSua
@MinSua Жыл бұрын
눈물겹다 진짜.. 복수하고 저렇게 정성스럽게 효심을 다 하면서도 성정까지 펼쳤다니 ㅠㅠ
@zzang-mathis
@zzang-mathis Жыл бұрын
거꾸로 보는게 맞을 것 같습니다. 정조가 오히려 아버지 신원에 대해서 조금만 더 집착하지 않았다면 오히려 더 오래 살 수 있었고 더 선정을 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물론 심정은 백번 이해가 됩니다 아버지 죽음의 원인 중 대표적인 것 하나가 본인에게 있었으니 얼마나 죄송했을지
@user-gw8iv3uz4y
@user-gw8iv3uz4y Жыл бұрын
@@zzang-mathis 이 친구 말이 맞어.. 이 아저씨가 조금 더 설명해 줄께.. 정조가 행한 김상로, 문성국 두 말 종의 처벌은 사도세자의 정신병 유발 원인 점에 있어.. 미쳐버린 아들을 어쩔 수 없이 처리해야만 했던 영조 할배도 울분이 터졌을 거야.. 여기서 우리가 초점을 맞출 점이 [정신병 유발] 인데.. [이간질] 이 대표적인 부분이야.. [이간질] 의 무서움에 대해 알려 줄께.. 한 쪽의 말이 다르고, 양 쪽의 말이 엇갈리는 문제를 떠나서.. 중간에서 양측의 생각과 말을 엇갈리게 만들어서 오해를 하게 만드는 거다. 예를 들어 의로운 친구 사이에 이간질에 도가 튼 인간(남자,여자)이 중간에 끼어 들어갔다고 생각해봐... 어느 한쪽 오해의 골이 깊어지게 되면.. 서로 바로 대면 하려고 하지 않게 돼 그런 상황을 고려해서 중심의 이간질을 하는 자들은 말을 전하는 데 있어서 더 큰 웅덩이를 만들게 된다. 이게 굉장히 무서운 점이야.. 저주가 현실이 되는 거지.. 오해의 웅덩이를 메우려고, 양자대면을 하게 됐을 때에도.. 어리고, 정해진 인생의 신념이 없어서.. 심지가 굳지 않은 한쪽(양쪽 다 해당할 수도 있음)은 그 얼굴을 마주하고 말을 나누는 대면에서 엄청난 오해의 골짜기를 만들게 된다. 상대가 진심 믿었던 사람이라면.. 그 상대가 말하는 것이 나를 갈수록 위태롭게 만드는 것이라면.. 결국 마음 약한 쪽이 골짜기의 낭떠러지로 떨어지게 되는 거지롱.. 그래서 정신이 무너지는 거야.. 너희들 중에 꼭 말해야 할 상황에 꼭 알려야 할 내용을 "콕 집어서 물어보지 않았으니까" 하는 생각으로 말하지 않는 것.. 그게 모든 오해의 시작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해.. 전달해야 할 때 전달하는 사람의 기본을 망각 하는 것 자체가 [거짓말]이 될 수 있다는 거야.. [거짓말] 은 모든 [이간질] 로 진화 된다. 영조할배는 뒤늦게 깨닫고, 사도세자를 제 손으로 처리 하면서도 이를 갈았을 거다. 자식의 죽음 이후에 원인을 찾아낸 거지.. 저기 가서 말이 다르고, 저기 가서 말이 다른 것도 마찬 가지야.. 사는 사람에게는 "지금 안 사면 너는 엿 된다!" 파는 사람에게는 "지금 안 팔면 너는 엿 된다!" 자신의 이득을 위해 상황에 따라 이점만 말하고, 결국은 자신의 이익만 바라는 중국 마인드가 바로 [이간질] 의 시초가 되는 거야.. 그러니까 우리가 보험 영업 사원을 TM전화를 싫어하는 거야.. 그래서 보험은 아는 사람에게 가입하는 데.. 결국은 그 사람도 보험 영업 사원이었다는 건 함정이지.. (깨끗하고, 정직하게 일하는 영업 직원은 제외) 대 놓고 까고, 대 놓고 솔직하다고 욕을 먹을지언정 [이간질] 하면서 그리 살지는 말자..
@Phd-gp1kw
@Phd-gp1kw Жыл бұрын
사도세자는 희대의 살인마로 동정은 금물
@Phd-gp1kw
@Phd-gp1kw Жыл бұрын
조선 최고의 효자는 정조가 아니라 연산군일수도
@gomsutang
@gomsutang Жыл бұрын
@@zzang-mathis 투게더강구 신청현황입니다 대상자(추천인) 신한범(신진희) 이규만(이영화) 김복연(권경희) 설덕수(김용순) 이해남(김현옥) 김숙희(문영숙) 강인준(윤영선) 김순덕(윤영선) 정정숙(김용순) 김남중(권경희) 10인 신청 완료입니다 추후 물품 수령일 공지예정이니 추천위원께서는 대상자에게 수령안내 필히 부탁드립니다
@user-wq5bp4vf9g
@user-wq5bp4vf9g Жыл бұрын
정조 진짜 성군의 표본이다 넘 멋있음
@mkj6084
@mkj6084 10 ай бұрын
홧병으로 일찍 간 것이 조선의 불행이었습니다.
@user-lt3ul6rv8d
@user-lt3ul6rv8d Жыл бұрын
정조가 사도 사도세자 의 죽음에 앞징섰던 인물의 무담앞을 지나지 않고 먼길로 돌아 갔다니 얼마나 뼈에 사무치는 한을 품었을까 생각된다
@ladyinbay943
@ladyinbay943 Жыл бұрын
정조의 지식과 인격은 어느 곳을 보나, 넓고도 지극하네요. 오늘날 계셨어도 멋진 분이셨을거에요. 첫사랑에 대한 사랑이 끝까지 가는것만봐도 그렇구요.
@user-hf6rc6qw2q
@user-hf6rc6qw2q 9 ай бұрын
성덕임씨 ㅎ
@user-uk2xm6wd8q
@user-uk2xm6wd8q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님은 타고난 천재쪽이라면 정조대왕님은 참 사려가깊고 생각이 깊으신면이 많으시네요 한마디로 너무 심성이곱고 착하십니다 ㅜㅜ 사도세자- 괴롭고 마음아펐던 자신의 아버지 어떤심정이었을까요 정조대왕 한 10살무렵에 사도세자가 죽었을까요ㅜㅜ 그런아버지를 평생 그리워하고 죄송해한 정조대왕 너무 선하고 착하셔요ㅜㅜ
@dlsldptmxk50
@dlsldptmxk50 Жыл бұрын
정조는 한마디로 노론의 끊임없는 암살 위협 때문에 밤에 잠을 못자고 새벽닭이 울 때까지 공부를 했다고 합니다 한마디로 살려고 공부를 한 케이스로 환경이 만든 후천적 천재에 가깝죠 ㅋ
@user-fv1ur1kr3b
@user-fv1ur1kr3b Жыл бұрын
저도 왕 중에 동서양 통털어 정조대왕님이 제일 좋아요 세종대왕도 훌륭하시지만 태종이 보호해줘서 편하게 살앗지만 정조대왕님은 그런 극한의 상황에서도 남한테 화풀이 안하고 남에게 사랑을베풀고 도와주고 노비해방까지 추진한 너무 너무 착하고 능력도 잇고 단지 아쉬운점은 건강관리 잘하셔서 장수하셧어야 하는데 술도 많이 드시고 과로에 시달리셧다고 어릴때 부터 곀은 고난 고통 트라우마 홧병 등으로 그랫겟지만 참 안타까워요
@user-uk2xm6wd8q
@user-uk2xm6wd8q Жыл бұрын
@@user-fv1ur1kr3b 그런것까진 몰랐는데 술도많이드시고 과로 스트레스 홧병 등에 시달리셨군요 ㅜㅜ 자신의 상처로 님께서 말하신대로 남에게 화풀이안하고 지혜롭게 나라는 잘이끌었겠지만 어린시절 홧병으로 본인은 얼마나 괴롭움을 감내하셨을지 ㅜ
@user-fv1ur1kr3b
@user-fv1ur1kr3b Жыл бұрын
@@user-uk2xm6wd8q 과로 술 많이 드신건 사실이고 홧병 스트레스는 제 추측에 그랫을거 같다는 거랍니다 그런 상황에서 그런 훌륭한 정치를 하고 그런 착한 마음을 가졋다는게 존경스럽고 감동이에요
@user-uk2xm6wd8q
@user-uk2xm6wd8q Жыл бұрын
@@user-fv1ur1kr3b 술과 과로는 기록에 있는거고 홧병 스트레스는 누구나 추측이 되는바죠 어린시절 큰상처가있으니 말이죠 말하신대로 환경이 그랬는데도 비뚤어지지? 않으시고 심성을 곱게하고 훌륭한정치하신것 정말 대단하신분입니다
@user_offline_3v
@user_offline_3v Жыл бұрын
마음이 미어진다... 이게 실화라니.. 이렇게 애절한 부자사랑이 실화라니.... 이렇게 비극적인 가족사가 실화라니..
@user-xm1fl6ot5l
@user-xm1fl6ot5l Жыл бұрын
정조의 아버지께 향하는 효심을 듣고 가슴 속에서 뜨거운 눈물이 흘렀네요! 똑똑한 아들로 사도세자의 한이 풀어졌겠죠!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 얘기 하는 정조!의 얘기에 먹먹함과 뜨거운 감동을 느꼈습니다! 감동입니다! 동현씨의 순발력의 개그와 조나단씨의 영특함과 예원씨의 정확한 발음과 똑똑함이 더해져 감동과 재미를 함께 하고 있답니다^^ 제발 제발 10년 동안 장수 할 수 있었으면 합니다!
@user-sq4vv7ro6h
@user-sq4vv7ro6h Жыл бұрын
대왕이라는 칭호가 세종과 정조에게 붙은것만 봐도 얼마나 훌륭한 군주였는지 알수있음
@user-cb7tn2vm6t
@user-cb7tn2vm6t Жыл бұрын
조선의 모든 왕들은 대왕의 칭호를 가지고 있습니다.따라서 조선왕조실록은 대왕실록입니다. 태조 이성계(강헌지인계운성문신무대왕) (태조고황제 고종이 황제가 됨에 따라 대왕을 황제로 승격) 정종 이방과(정종공정의문장무온인순효대왕) ~ 세종 이도(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 정조 이산(문성무열성인장효왕) 정조대왕은 후대에 '정조선황제'로 승격되며 '정조선황제'이후의 왕들은 모두 황제가 됩니다. 순조=순조숙황제 문조=문조익황제 헌종=헌종성황제 철종=철종장황제 고종=고종태황제 순종=순종효황제
@Book_HI
@Book_HI Жыл бұрын
그 당시 조선 국왕들은 다 대왕이라 불렸음요. 태조대왕 태종대왕 세종대왕 세조대왕 성종대왕 중종대왕 등등... 일제시대 이후로 세종대왕(훈민정음+지폐), 정조대왕(정약용, 순조)로 인해 유명해졌을 뿐.
@Book_HI
@Book_HI Жыл бұрын
후담으로 정종이나 단종은 대왕소리 못 들었습니다. 후대에 한번에 이름 받았거든요. 영조 / 정조 / 순조 같은 경우는 "조" 받은 이유가 후손들이 올려줘서 된 ... 원래라면 태조 외엔 조자 못 받음. 세조 / 인조는 쿠데타로 받음. 중종은 자기가 일으킨 게 아니라 박원종 같은 이가 한 일이기에 못 받음.
@ChallyLee-tc8mq
@ChallyLee-tc8mq Жыл бұрын
맞다 과거시대에대왕이라부른것은그시대 그저형식적인칭호이고지금이시대에진정으로대왕이라부르는분한분이정조대왕이다
@user-ug1cg3rr6n
@user-ug1cg3rr6n Жыл бұрын
성종
@artisticlife380
@artisticlife380 Жыл бұрын
갑갑하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릉을 비껴서 만들었다는 거 진짜 마음이 아린다..
@glegoo550
@glegoo550 Жыл бұрын
눈물이 쏟아지네요 정조의 효심 평생 가슴아팠을 정조 이제야 이사실을 알게되다니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정조를 통해 배우네요 효심을 다하는것 편하게 모시는것 그게 다인거 같습니다
@user-bs4rt9mv2v
@user-bs4rt9mv2v Жыл бұрын
매력적인 왕이였던 정조. 첫등극에서.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이말에서 나이든 신하들이 뒷통수 뻥 때리는 일이엿을거 또 파워있게 나가는 모습 남자다움 과 애절한 마음이 든다고 생각함
@user-tz1xr7po6b
@user-tz1xr7po6b Жыл бұрын
눈물 나는 감동 입니다.. 이러한 역사이야기가 교과서에도 더 많이많이 실리면 좋겠습니다.
@Book_HI
@Book_HI Жыл бұрын
개인적으론 숙종이 더 매력적이라 봄
@user-ez3ii3jf1k
@user-ez3ii3jf1k Жыл бұрын
@@Book_HI 숙종은 조선멸망의 원인제공을 한 군주라 어디가 매력적인 줄은 모르겠음.
@user-nj4so6in5s
@user-nj4so6in5s Жыл бұрын
백성을 사랑하고 최고의 로맨티스트에 사람목숨을 귀하게 여겨 정적도 살려준 성인군자중의 으뜸 정조대왕님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Жыл бұрын
정조는 나쁜 왕입니다. 저는 조선 역사상 최악의 왕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체반정(1791년)으로 모든 서양서적과 청나라 기술서적을 모아서 불태웠는데요. 일본은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1720년 기존 금서 목록에서 과학기술 서적을 제외함으로써 지식인 사회에 서구의 신지식이 유입되는 전기를 마련하는데, 정조는 문체반정을 선언하고 한 달 뒤인 11월 12일 정조는 홍문관과 강화도 외규장각에 보관된 서양 서적을 태워버리라 명했습니다.(1791년 11월 12일 ‘정조실록’) 저는 정조 때문에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고 봅니다. 고려말 신진사대부처럼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는 개화된 지식인 계층의 성장을 막은 것입니다. 조선에서 서양서적을 다시 수입하게 되는건 고종때입니다. 중국 정부의 양무운동(1861-1874)과 재중 서양선교사의 서학지식 보급운동을 배경으로 중국에서 대번역시대 생성되었으며, 이것이 고종때 개항 이후 조선 정부의 개화정책을 배경으로 조선으로 수입됩니다.
@user-nw6yf1jx4o
@user-nw6yf1jx4o Жыл бұрын
수원 화성 건립 과정에 대한 정조의 업적도 강의를 한번 해주셨음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화성 건립 과정에서 거중기에 집중이 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건립에 있어 정조의 정책적면이 더 두각을 나타내야 한다 생각합니다. 그 과정속에서 인부들을 강제로 축출한 것이 아닌 정당한 임금을 주고 겨울에는 방한용품을 제공하는 등 당시 시대상으로는 상상도 못할 복지 정책을 펼쳤죠. 이때문에 기존에 계획했던 완공 시기보다 빠른 3년만에 완공을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화성을 건립하며 인부의 수, 건축자재, 심지어는 돌의 형태까지 세세히 기록을 하였기에 6.25 전쟁을 겪으며 화성의 많은 부분들이 소실되었음에도 그 기록을 토대로 복구를 하였습니다. 더불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기재되는 과정에서도 이 기록이 근거가되어(원래 유네스코는 복구한 문화유산에 대해서는 웬만하면 지정을 해주진 않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정이 될 수 있었다 들었습니다. 짧은 동영상으로 정조의 많은 업적을 소개할려다 보니 그 속까지는 들여다 보긴 힘들겠지만 서두에서도 말씀드린 것 처럼 한번쯤은 화성에 관한 강의를 부탁드립니다. ㅎㅎ
@AA-dk5cw
@AA-dk5cw Жыл бұрын
궁금한게 있는데 수원화성이 왜 업적인거임? 현대시점으로 보면 좋은 관광지가 되는데 그시대 시점으로보면 그냥 국비 낭비한건데 수비에 특화돼있는 성이래지만 정작 오성지는 제 역할을 못할수준이고 인부들은 강제추출한게 맞음 다만 임금을 준다는게 알려지자 지원자들이 모집돼서 빠르게 완공된거지
@UFOOOOO
@UFOOOOO Жыл бұрын
@@AA-dk5cw 조선적이냐??
@jeinkim30
@jeinkim30 Жыл бұрын
@@AA-dk5cw 에휴~~
@jeinkim30
@jeinkim30 Жыл бұрын
전 님의 글을 읽으며 저도 모르게 몸에 소름이 돋았어요. 아~~~ 이런 지도자 지금 우리에게 꼭 필요한데요. 기본적으로 국민을 측은히 여기며 국방이나 외교에도 힘쓰는 그런 지도자 말입니다.ㅜㅜ
@user-xt3uh2bh8k
@user-xt3uh2bh8k Жыл бұрын
@@AA-dk5cw 넌 안되겠다,,한국사 다시 배워라;
@user-pw8bf4de2m
@user-pw8bf4de2m Жыл бұрын
정조는 진짜 멋있어요. 효심도 강하고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도 강하고 머리도 좋고.. 무예도 좋아했다하니 잘했을거같고^^ 한여인을 향한 순정도❤ 지금으로 따지면 완전 백마탄 왕자~~ 👍
@rainblade99
@rainblade99 10 ай бұрын
정조의 삶은 너무 인간답다 삶이 참 멋지다
@user-qc1ij6yq5m
@user-qc1ij6yq5m Жыл бұрын
최태성 선생님 짱 역사를 사랑 하는 한사람 으로써 정말감 사합니다 귀에 쏙쏙 들어와요~~~
@christopherchoi7350
@christopherchoi7350 Жыл бұрын
정조가 가장 감동적인 조선의 왕이었군요.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Жыл бұрын
정조는 나쁜 왕입니다. 저는 조선 역사상 최악의 왕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체반정(1791년)으로 모든 서양서적과 청나라 기술서적을 모아서 불태웠는데요. 일본은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1720년 기존 금서 목록에서 과학기술 서적을 제외함으로써 지식인 사회에 서구의 신지식이 유입되는 전기를 마련하는데, 정조는 문체반정을 선언하고 한 달 뒤인 11월 12일 정조는 홍문관과 강화도 외규장각에 보관된 서양 서적을 태워버리라 명했습니다.(1791년 11월 12일 ‘정조실록’) 저는 정조 때문에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고 봅니다. 고려말 신진사대부처럼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는 개화된 지식인 계층의 성장을 막은 것입니다. 조선에서 서양서적을 다시 수입하게 되는건 고종때입니다. 중국 정부의 양무운동(1861-1874)과 재중 서양선교사의 서학지식 보급운동을 배경으로 중국에서 대번역시대 생성되었으며, 이것이 고종때 개항 이후 조선 정부의 개화정책을 배경으로 조선으로 수입됩니다.
@handsomekang5640
@handsomekang5640 Жыл бұрын
역시 자식을 잘둬야해… 정조대왕님 멋지십니다 ㅠ👍🏻
@user-he9ut5mi7f
@user-he9ut5mi7f Жыл бұрын
효성이 지극한. 정조대왕이. 건립한 수원성! 유서깊은 도시에 살고있는 것이 축복입니다!
@user-xw5pk6gr6u
@user-xw5pk6gr6u 6 ай бұрын
수원에서살고 있는데 이영상보고 진짜 정조대왕님 효심대단합니다 사도세자님도 진심으로 뿌듯하겟다
@user-jh8ip4ni7b
@user-jh8ip4ni7b Жыл бұрын
정조가 저런일을겪어도 어찌 저토록 바르게 자랐는지~? 지금같으면 정신과 도움을 받았을터인데
@panist898
@panist898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공부하면 할수록 세종보다 정조가 대단하죠 세종도 물론 뛰어났지만 태종이 뒤에서 버티고 있으니 아무도 깝치지 못하니 자기가 하고 싶은 거 다하는..
@user-pf3fp7hi3g
@user-pf3fp7hi3g Жыл бұрын
사실상 조선의 마지막 군주다운 군주였음
@SmileDembele
@SmileDembele Жыл бұрын
영조 한편으론 잔인하고 냉정한듯..왕은 AI가 되어야한다는 마인드같네
@user-lj4fe5nc6p
@user-lj4fe5nc6p 4 ай бұрын
영조가 아니었음 정조도 없었습니다.사도세자가 왕위에 올랐음 쿠데타 일어났을겁니다.정조도 없었을테고요.
@user-sm5my2wr5w
@user-sm5my2wr5w Жыл бұрын
매주보면서 역사를 다시 배웁니다 감사합니다
@user-yd6lu4it1f
@user-yd6lu4it1f Жыл бұрын
정조의 효심은 정말 너무 대단하다.어찌 왕위까지 선위하며 아버지께 효도하려 하였을까? 왕이 되기위해 조카를 죽이고 동생을 죽이고 아들을 죽였는데 정조는 그 왕위마저 초개처럼 버리려 하다니... 정조란 왕.멋지다.성덕임과의 로맨스, 암살 앞에서도 당당한 무인, 아버지에대한 지극한 효, 백성을 사랑한 애민정신, 개혁군주, 이런분 한분만 더 조선에 낫으면 조선은 식민지가 되지 않았을텐데 아쉽다.
@ChagalBlack
@ChagalBlack Жыл бұрын
그러기엔 악습이 너무 뿌리깊었음. 수백년 쌓인 폐단은 한두명의 인테리어 업자가 바꿀수 있는게 아님. 철거하고 재건축 들어가야지.
@AA-dk5cw
@AA-dk5cw Жыл бұрын
혼란의 18세기 말 서양국가들은 식민지 만들고 동양국가들은 시장을 발달시켜서 서양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데 조선은 효심때문에 국비를 낭비하면서 성을 짓는게 참 잘하는짓이다
@user-xm9mp1fx6k
@user-xm9mp1fx6k Жыл бұрын
@@ChagalBlack 정조는 나쁜 왕입니다. 저는 조선 역사상 최악의 왕이라고 생각합니다. 문체반정(1791년)으로 모든 서양서적과 청나라 기술서적을 모아서 불태웠는데요. 일본은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1720년 기존 금서 목록에서 과학기술 서적을 제외함으로써 지식인 사회에 서구의 신지식이 유입되는 전기를 마련하는데, 정조는 문체반정을 선언하고 한 달 뒤인 11월 12일 정조는 홍문관과 강화도 외규장각에 보관된 서양 서적을 태워버리라 명했습니다.(1791년 11월 12일 ‘정조실록’) 저는 정조 때문에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다고 봅니다. 고려말 신진사대부처럼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는 개화된 지식인 계층의 성장을 막은 것입니다. 조선에서 서양서적을 다시 수입하게 되는건 고종때입니다. 중국 정부의 양무운동(1861-1874)과 재중 서양선교사의 서학지식 보급운동을 배경으로 중국에서 대번역시대 생성되었으며, 이것이 고종때 개항 이후 조선 정부의 개화정책을 배경으로 조선으로 수입됩니다.
@COMUSE
@COMUSE Жыл бұрын
너무 재밌어요~ 유익합니다
@user-it6ez4dt8k
@user-it6ez4dt8k Жыл бұрын
역시 우리의 정조대왕님~
@soridaizin79
@soridaizin79 Жыл бұрын
배후는 그냥 영조였고 이건 영조도 알고 정조도 알고 혜경궁도 아는 사실이었죠 다만 이걸 공식화 할 순 없으니 영조는 적당한 희생양을 만들어 “저것들이 세자를 모함했다”는 프레임을 짰던 것이고 그 희생양이 된 인물들이 이미 죽은 김상로나 홍계희 같은 인물들이었죠
@panist898
@panist898 Жыл бұрын
그걸 말리지 않고 이간질 하던 신하들도 뭐...혜경궁은 자식 지키려고 남편을 버릴 수밖에...
@huntersis1655
@huntersis1655 Жыл бұрын
노론도 가담한것은 맞음 그당시 사도세자만 죽은것은 아니고 엄청나게 죽었음 그때 소론대부분 죽었음 소론은 사도세자와 편이고 그래서 사도세자가 완전 미쳐버렸던것 단순 영조 사도세자의 문제가 아님
@soridaizin79
@soridaizin79 Жыл бұрын
@@huntersis1655 사도세자 숨겨진 비행을 폭로해서 노론 공격한게 소론이었습니다 세자가 몰래 관서에 가서 수상쩍은 행적을 하고 왔는데 이걸 노론이 은폐했다는 식으로 공격해서 영조의 분노를 유발했죠
@huntersis1655
@huntersis1655 Жыл бұрын
@@soridaizin79 구체적으로 어떤 사건이죠?
@huntersis1655
@huntersis1655 Жыл бұрын
@@soridaizin79 소설계속 적어봐 왜 멈춰 ㅋㅋ
@jackiekim7246
@jackiekim7246 Жыл бұрын
스토리는 모두 알지만, 강의를 재미나게 하시니까 빠져드네^^
@user-km1cn7vn9o
@user-km1cn7vn9o Жыл бұрын
정말 눈물난다 정조와 사도세자 효성이 지극하기도 하다
@j8663
@j8663 Жыл бұрын
정조 가 낸 시험에서 떨어지면 유배 뿐만 아니라 틀린 문제를 계속 써야 하는 요즘으로 치면 빡빡이숙제도 해야 했다더군요
@Pappicco_JMT
@Pappicco_JMT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귀엽다
@user-lg7ch9ho3y
@user-lg7ch9ho3y Жыл бұрын
@@Pappicco_JMT 대체 뭐가 귀여운지..
@Pappicco_JMT
@Pappicco_JMT Жыл бұрын
@@user-lg7ch9ho3y 너가
@user-ik2xg3nm1n
@user-ik2xg3nm1n Жыл бұрын
@@Pappicco_JMT 고양이는 못참지
@user-se7qd2sk5e
@user-se7qd2sk5e Жыл бұрын
유배? 정조의 따뜻한심성이묻어나는 유머감각. 공부놀이 ~ 학자들이 문제가 틀리면 공부하던곳 앞에 연못이 있는데. 연못 안에 작은섬처럼만든 정자가 있어서 뱃놀이 하면서 그연못안 정자로 뱃놀이 간것임 유배가 아니라 공부놀이를 한것임.
@user-te2ln7gq5l
@user-te2ln7gq5l Жыл бұрын
역사이야기는 역시 최태성쌤이 최고임 👍
@TaxLee
@TaxLee Жыл бұрын
손찬이 설민석님 슬슬 복귀하시던데...ㅋ
@user-hv1pi2zc9z
@user-hv1pi2zc9z Жыл бұрын
사극 드라마 보다 더 흥미진진하게 설명하심~~
@user-kv7ln7wl7p
@user-kv7ln7wl7p Жыл бұрын
사학도tv
@user-ji4vr6uf4g
@user-ji4vr6uf4g Жыл бұрын
임용한박사님 최고임
@user-vh3xb5ue5j
@user-vh3xb5ue5j Жыл бұрын
스토리텔리은 설민석. 최태성 지루해.
@user-ww7qq5gl5d
@user-ww7qq5gl5d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 최고의 효자네요..그리고 영조는 진짜 똑똑하고 교활한듯
@user-on6hj5nt7i
@user-on6hj5nt7i Жыл бұрын
아들도 저리하는사람이니 ㅡ정치인들 똑띠 보라고 ㅡ ㅡ굳이 그런 방법을...ㅠㅠ
@user-ko2kt5jk5z
@user-ko2kt5jk5z Жыл бұрын
정말 효심이깊으셨내요
@yon3666
@yon3666 Жыл бұрын
정조에겐 사도세자의 아들이라는게 오히려 약점이였기때문에 본인이 왕이되고 아버지를 드높여야 본인 전통성이 확고해진다고 생각한듯함 오로지 효심때문이라고 생각하는건 너무 1차원적인 생각이지
@jylfam2028
@jylfam2028 Жыл бұрын
똑소리 나시네요
@jayjo7624
@jayjo762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연산군도 갑자사화를 단순히 폐비윤씨에 대한 효심으로 일으킨 게 아니듯이 최고권력자에게 콤플렉스는 정치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죠.
@user-tn1yw7uo9p
@user-tn1yw7uo9p Жыл бұрын
맞어요 완벽한 정통 후계자가 되야 군소리가 없죠
@user-nj4xc7wf3w
@user-nj4xc7wf3w 4 ай бұрын
매독으로 추정되는 성병으로 돌아가셨죠.
@ninakwon7802
@ninakwon7802 Жыл бұрын
영조가 정조에게 자신의 잘못을 저들에게 넘긴 야비한 왕 영조 사도세자의 직접 죽음에 영조도 면피하긴 어렵다
@koreaskki
@koreaskki Жыл бұрын
정조가 죽임을 당하지 않고 딱 20년만 더 정사를 봤다면 역사가 바뀌었을텐데..
@hannam63
@hannam63 10 ай бұрын
정조를 누가 죽였다는거냐?ㅋㅋㅋ
@user-ik1gh9lr2n
@user-ik1gh9lr2n 9 ай бұрын
@@hannam63 그것도 모르니? ㅋㅋㅋㅋ
@ky7324
@ky7324 9 ай бұрын
20년도 필요없음. 순조도 영특했기에 10년만 더 살았으면 정순왕후 수렴청정 없이 정조시대 그대로 갔었을것임
@jamesk892
@jamesk892 9 ай бұрын
뜬금없이 정조가 죽임 당했다고 하는지
@Dexar215
@Dexar215 8 ай бұрын
그건 모를 일임 순조가 정사에 관심이 없다시피 해서
@user-fu9vk2gk4s
@user-fu9vk2gk4s Жыл бұрын
세종대왕과 함께 조선의 성군이었던 정조대왕! 존경합니다~!!!
@user-ww7qq5gl5d
@user-ww7qq5gl5d Жыл бұрын
최태성쌤 수업듣고 구석기만 알던 제가 98점으로 한능검 통과햇슴다..쌤 최고최고
@user-hp4hl7px2r
@user-hp4hl7px2r Жыл бұрын
저도 십여년전 최태성쌤의 SBS강의를 잘 듣고 국사시험 합격하고 필요한 자격증을 땄습니다...ㅎㅎ 학원선생님들도 강력 추천해 주더군요...
@user-qf2zi8vs5y
@user-qf2zi8vs5y 9 ай бұрын
일타강사 가 괜히 일타강사가 아니지유
@user-ez3ii3jf1k
@user-ez3ii3jf1k Жыл бұрын
실제로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는 말은 뒤에 더있는데 신히들에게 자기 아버지일로 처벌은 안할거라는 의미로 한 말입니다.그걸 영화감독이 앞문장만 따와서 마치 아빠복수할 것 처럼 독자나 관객이 오인하도록 한겁니다.
@user-xu7rd9wz2v
@user-xu7rd9wz2v 6 ай бұрын
이런 분께 한국사를 배우니 정말 쏙쏙 들어오네요😊 감사합니다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 Жыл бұрын
효심이 세상 천지 최고!
@user-gc2zj5ok2x
@user-gc2zj5ok2x Жыл бұрын
영조는 왕으로서의 평가는 성군이였다지만 가장의 아버지 이금의 평가는 최악인 사람이죠. 영조의 배경을 잘 알고보면 자신이 가지는 콤플렉스도 심하고 즉위 전에 고생도 많이 해서 이런 이유가 못난 아버지가 된 이유로 볼 수도 있지만 그렇다 해도 상대방에게 피해를 입히는 게 정당화되는 건 아니니까요...
@user-lj2ue9tu8f
@user-lj2ue9tu8f Жыл бұрын
원래는 왕이 될 수 없는 정통성(숙종의 본처인 인연황후는 자식이 없고 두번째부인의 자식인 장희빈의 아들인 경종대왕의 죽음, 셋째부인인 동이로 알려진 숙빈최씨 천한 무수리의 자식의 대한 문제), 노론과의 뒷거래 등등 컴플렉스 가질 수 밖에요 그리고 대놓고 경종이 살아있을때까지 소론들이 대놓고 영조 왕세제 시절에 대놓고 병세로 악화된 영조를 대리청정시키기를 반대한 여러 요소들때문에 즉위초에는 고생이란 고생은 다했다고 합니다 다만 저는 저런 아버지라면 치를 떨것 같네요
@ilIillz
@ilIillz Жыл бұрын
소시오패스
@Moonmsf
@Moonmsf Жыл бұрын
묻고 치매로 가
@zzang-mathis
@zzang-mathis Жыл бұрын
그런데 영조가 사도 세자에게 했었던 행동들이 요즘 기준으로는 당연하고 당시에도 엄청난 학대라고 할 수 있는 행동들이었지만 영조가 그렇게 모질게 굴었던 자식은 사도 세자 하나 밖에 없었으니 아버지로서 무조건 최악이라고 해야할지는 조금 조심스럽기는 합니다 사도 세자가 그만큼 문제가 많은 성격이기도 했으니 화협옹주도 미움받았다고 했었지만 유독 옹주들에 대해 안좋게 서술했던 한중록에서만 나오는 기록일 뿐 최근에 밝혀지고 있는 자료에서는 나름 애틋한 부녀관계였던 것 같고. 며느리들한테는 그야말로 자상한 시아버지였고 손자 손녀들한테도 사랑 넘치는 할아버지였는데... 물론 사도세자의 서자들한테는 냉랭했지만 그건 어느 왕이라도 그럴 수 밖에 없었으니
@db-go9hj
@db-go9hj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이시지만 사도세자의 행동도 정당화 될 수 없죠... 여러모로 복잡했던...
@user-nl8pi5en4i
@user-nl8pi5en4i Жыл бұрын
매일 매일이 마음이 아팠겠네요 정자각의 위치까지..ㅜㅜ
@user-vj3lu2qj3l
@user-vj3lu2qj3l Жыл бұрын
정조대왕도 얼마나 고통스러워을까😢
@user-ng5jq1dh9q
@user-ng5jq1dh9q Жыл бұрын
추가로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이후의 나온 문구 내용을 살펴보면 자신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라서 적어도 혈연적인 자식으로서의 도리를 해야함과 함께 영조가 나를 효장세자의 양자로 삼아 왕통을 잇게 한 뜻을 받아들여 함부로 사도세자의 추승 이야기를 꺼내면 용서치 않겠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실제로 정조는 이미 죽은 김상로와 문성국 등을 역률에 처한 뒤 사도세자의 억울함과 추승을 주장하는 이덕사, 박상로, 조재한, 이응원 등과 이들과 내통한 내관들을 처형하는 등 사화나 환국 수준의 정치적 칼부림은 하지 않았고 최소한으로 복수를 마무리했고 혈연적인 도리로 아버지를 장헌세자로 높여부르고 무덤도 수은묘에서 영우원으로, 사당도 경모궁이라 붙였다고 합니다. 영조때까지만 해도 왕족이 아닌 무덤을 평민 취급했지만 영조 사후에 왕족으로서의 명예회복을 한 것이지요.
@imgodfield87
@imgodfield87 Жыл бұрын
썸네일 데프콘인줄 알고 들어왔다가 감동받고 갑니다
@user-wd6ok6rt4l
@user-wd6ok6rt4l Жыл бұрын
새롭게 알게 되었습니다 역사는 재밋는거 ~~
@ijl9831
@ijl9831 Жыл бұрын
정조의 효심에 마음이 미어지네요 ㅠ
@mai4912
@mai4912 Жыл бұрын
너무 불쌍한 사도세자..여러 자료들보면 안 미치는게 비정상인 상황이던데 그런 아버지의 마음과 고통을 잘 헤아려준 아들 정조가 있어서 다행이네요 😔 정조의 급사로 조선도 고꾸라지기 시작...정조의 노력이 빛을 바랜거같아서 안타깝다고 생각돼요 ㅡ.ㅡ 진짜 좋은아들, 좋은 임금..
@jjyy1716
@jjyy1716 Жыл бұрын
그게 태종과의 차이.
@user-bi4zh7lc1c
@user-bi4zh7lc1c Жыл бұрын
역사공부를 강화하라
@user-if7df1pv5y
@user-if7df1pv5y 4 ай бұрын
감동입니다
@user-km1lx3mb3o
@user-km1lx3mb3o Жыл бұрын
조선왕조 500년 중 이른 죽음이 가장 안타까운 왕이시지요 영조 만큼만 장수하셨어도 역사는 또 달라졌을 듯
@user-ex2jb7je4d
@user-ex2jb7je4d Жыл бұрын
효심 지리네
@user-qg7pr6xl2t
@user-qg7pr6xl2t Жыл бұрын
정조대왕을 보면 자라온 환경이 어렵네 어쩌네 하는건 다 핑계일듯~~ 요즘처럼 어려운 시국에 더욱더 간절한. 군왕의. 표상입니다
@namkq531
@namkq531 Жыл бұрын
정조의 유일한 흠이 사도세자가 아니였을까? 그래서 사도세자를 다시 복위 시키는걸 하려는것도 있지 않았을까 싶은데..
@user-tc6jn8zf4f
@user-tc6jn8zf4f 5 ай бұрын
정조 효심이 진짜 대단하다❤
@user-nj2df6uy5v
@user-nj2df6uy5v 4 ай бұрын
대왕소리 들을만한 최고의 왕 정조대왕 사랑도 백성을 생각하는 맘이 비단결 👍👌💯
@mysjoo3699
@mysjoo3699 Жыл бұрын
정조..참을성많고,지혜의 덩어리..!!
@user-wv2dm5bu8u
@user-wv2dm5bu8u Жыл бұрын
옛날옛날에 재미있는 이야기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 Жыл бұрын
정조의 후사가 37세되도록 없어서 사도세자의 묘를 옮겨야한다는 상소가 사실은 정조가 본인에게 올렸다 명분이 필요해서~
@user-ik1gh9lr2n
@user-ik1gh9lr2n Жыл бұрын
최태성 강사님 중학교 학생을 위한 강의 듣고 한국사 3급 합격함. 2018년에 그것도 2주만에....
@user-ik1gh9lr2n
@user-ik1gh9lr2n 9 ай бұрын
저도요. 그것도 중학생을 위한 강의 듣고 합격!!! 그것도 2주만에 합격~~~
@Fubaoong
@Fubaoong 28 күн бұрын
진짜 저런 상황에서도 성군으로 된 정조가 너무 대단함 나 같았음 진심 정신병걸릴듯...
@user-do6wv4yb3o
@user-do6wv4yb3o Жыл бұрын
세종도 존경하지만 정조대왕 제일존경합니다
@amazinggrace2324
@amazinggrace2324 Жыл бұрын
마지막 말씀은 옷소매 붉은 끝동에서 이순재씨의 대사와 같네요
@changmoungkim3035
@changmoungkim3035 Жыл бұрын
조선의정궁 경복궁을 기획하고 상당부분 전,각,문,루의 이름을 붙인이는 삼봉정도전 입니다 그래서 수원성총책임자이자 당대의석학인 다산정약용이 대부분의 이름을 지었을것으로 막연히 짐작했는데 가보니 의외로 정조께서 모두지었더군요
@foreverlove925
@foreverlove925 Жыл бұрын
정조가 10년만 더살았어도 세도정치는 없었을텐데 진짜 아쉽습니다
@user-os4nh7sp9q
@user-os4nh7sp9q Жыл бұрын
먼소리여 세도정치를 정조가 열었는데
@DJ-vg9ex
@DJ-vg9ex Жыл бұрын
세도정치는 김조순 일가에 의해 시작된건데 김조순 일가에게 힘을 실어준건 정조인데요?
@jay_austere
@jay_austere Жыл бұрын
신권을 억압할 목적으로 경연을 폐지하고, 그동안 왕들이 자제했던 독대에 중신들과는 서신을 통한 막후정치로 한없이 절대왕권을 만들었던 장본인이 정조입니다. 그 권력을 어린 순조 대신 그대로 승계한 것이 세도가이구요. 세도정치 없었으려면 정조가 선왕들처럼 신권의 최소한의 견제 및 균형 기능을 보전해주던가 혹은 한 30년은 더 살아서 세자 대리청정까지 다 보고 죽었어야 했죠.
@DJ-vg9ex
@DJ-vg9ex Жыл бұрын
@@jay_austere 그리고 정조가 세도정치의 씨앗을 남기게 된 가장 큰 원인은 친부인 사도세자 때문입니다 사도세자의 비극으로 정조 때 붕당간의 갈등 문제가 심화되었기 때문이죠
@user-bs1lg7nl1u
@user-bs1lg7nl1u Жыл бұрын
암살했을거셔요
@user-kv1zb2ze2t
@user-kv1zb2ze2t 11 ай бұрын
역사는 반복 되네요..지금도..
@bella-gl6bu
@bella-gl6bu Жыл бұрын
재밌다^^
@mmilee3743
@mmilee3743 Жыл бұрын
사도세자를 안됐다는 시선으로보기엔 병이깊어 미치광이가된건 맞음
@user-tp6zx3kf1d
@user-tp6zx3kf1d Жыл бұрын
정말 이를갈고 버티고 기회를 노리면 하늘도 돕는다. 30년을 잘 버텨주었다.
@user-nm7mm8ty5z
@user-nm7mm8ty5z Жыл бұрын
최쌤;; 무슨 말씀을 하시는겁니까 실록 뒤는 다짤라먹고;; 과인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라고 한 게 전부가 아닌데요? 실록에 보면 그러고나서 자기는 사도세자 아들이지만 효장세자 아들로 적이 옮겨졌으니 향후 사도세자를 기린다느니는 하지말고 혜경궁홍씨도 대비예우를 받을 수 없다고했어요;;
@user-dp5lq4pf6p
@user-dp5lq4pf6p Жыл бұрын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허나 영조의 뜻에 따라 효장세자를 계승했으니 자신도 그 뜻을 존중한다고 했습니다 더 나아가 사도세자의 일이나 그를 추숭하는 어떠한 논의에 반대했으며 그런 이야기를 꺼내는 자는 형벌을 내리겠다고 단언합니다 정조 자신이 정치 보복을 할 생각도 할아버지의 뜻을 뒤집을 생각도 없었는데 뒷 얘기는 빼놓고 앞부분만 얘기하는지 모르겠군요::
@kbs4769
@kbs4769 Жыл бұрын
일반인도 요즘 충분히 알만한 사실을 저 교수님이 모를일도 없고 대본인지 뭔지 이런 역사 인문학 강의에 허구헌날 왜곡하고 자빠지고 있음 진실된 사실이 아니라 그냥 재미난 이야기꾼들 대리고 와서 썰만 품
@juliettakkk
@juliettakkk Жыл бұрын
정조가 즉위초에 그렇게 단언한 것은 사실이나, 이제 많이들 아시다시피 저분이 대외적으로 남긴 기록/발언들은 쌩구라핑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죠. 학자들 간에서도 실제로 사도세자를 왕으로 추숭할 생각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서 설이 갈립니다. 순조가 15세가 되는 갑자년에 양위하고 추숭하려고 했다는 갑자년 계획은 한중록에 대놓고 써있었지만 아무도 믿지 않았다가, 영춘옥음기 등 기타 기록들이 발굴되면서 요즘은 이쪽이 다수설인 듯합니다.
@juliettakkk
@juliettakkk Жыл бұрын
정치 보복도, 즉위초엔 그렇게 말했지만, 16년차에 사도세자 추숭 목적으로 남인들이 올린 영남만인소 때에는, 내가 원수 갚을 생각이 없었겠냐만은 다 깊~~~~은 뜻이 있어서 흉악한 놈 몇을 빼고는 다 스스로 죄를 지을때까지 기다렸다가 처벌했다, 라고 말씀하신 적도 있습니다ㅎㅎㅎ 즉위초의 정치 상황과 이미 많이 바뀌었던거죠. 그 뒷내용을 몰라서가 아니라 전체적인 맥락에서는 오히려 혼란만 줄 수 있어서 생략하신 듯합니다.
@youngheelee662
@youngheelee662 6 ай бұрын
가슴시리고 눈물나는 역사이지만 제왕의 자격이 넘치는 군주였습니다.
@mohanungoya
@mohanungoya Жыл бұрын
정말 정조가 몇년만 더 살지
@user-cv7dr1rf2m
@user-cv7dr1rf2m Жыл бұрын
외국인 똑똑하게 공부잘했네요 잘 맞추네요
@user-hg3yl6nz5z
@user-hg3yl6nz5z Жыл бұрын
왕이 된 정조, 왕위계승 정통성과 정당성 확보가 최우선 과제. 죄인 사도세자의 자식이란 굴레를 벗어나야 했죠.
@siri7139
@siri7139 Жыл бұрын
정조는 정말 사기캐네여. 완벽하심. 그러고 보면 사도세자도 얼마나 훌륭하셨을지 좀 상상이 감.
@user-oq2ie8pm9w
@user-oq2ie8pm9w Жыл бұрын
그당시사도는 영조에의한 학대때문에 반항심이 극에달한상태였음ㅋㅋ
@Euebzknjaywzxh2lI
@Euebzknjaywzxh2lI 10 ай бұрын
개멋있다...당당히 사도세자의 아들이라고 공표하는거
@judiesuh6858
@judiesuh6858 4 ай бұрын
한국가면 수원을 꼭 가보고싶어요..정조의 효심❤ 아름답다고 유명한 궁의 도시
@chchmm
@chchmm Жыл бұрын
이래도 지랄~ 저래도 지랄~ 이게 딱 사도세자가 느낀 감정이라생각함
@dream-rp1op
@dream-rp1op Жыл бұрын
조현병 .의대증으로 누가 보던 느낄 수 있었고 수 많은 궁인들 이유 없이 도살. 쌀 뒤주가 과 했을. 뿐. 사약이나 자결 이었으면 백번 지당.
@user-qc2sj1xv4k
@user-qc2sj1xv4k Жыл бұрын
영조 책임도 있지만 궁인 97명을 살인한 연쇄 살인마도 아버지라고...학자들도 각성하라 궁중을 쫓아 내던지 더 빨리 죽였어야 하지 않았나 궁인의 목숨은 죽여도 된다는 것인가 예나 지금이나 목숨이 중요하지 않을때가 있단 말인가
@user-hy9tm9wo2r
@user-hy9tm9wo2r Жыл бұрын
영조가 사도세자를 키운 방식으로 정조를 키웠음 정조도 사도세자랑 다르게 자랐을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user-qc2sj1xv4k
@user-qc2sj1xv4k Жыл бұрын
@@user-hy9tm9wo2r 영조가 사도와 다르게 정조를 사랑한것은 사도의 초기에만 총명했지 갈수록 여자와 사냥 등 학문을 멀리하고 정조와 달 리 비뚤어 졌기 때문입니다 싹이 달랐죠 물론 영조도 출생과 독살에서 열등감으로 지나치게 자식을 성군으로 만들려는 집착이 강해 청정을 십 몇년인가 시킨것은 잘 못이지요 안되는 사람은 빨리 포기했어야 했죠
@user-em9kq9rh3l
@user-em9kq9rh3l Жыл бұрын
요줌 연쇄살인마 부모님 선생님 탓 지탓은없어요 이게 뭐가 달라요 그리고 감옥가면끝 죽은누나가 우리집가장인데 그피해는 패해자 목시니 냉정하게 개세끼죠
@ruk9257
@ruk9257 Жыл бұрын
@@user-qc2sj1xv4k 사도를 이뻐한건 고작 유치원생때가 끝이였음. 초 1도 안됐을 시기부터 영재교육 시키면서 윽박질러대니 애가 공부에 흥미를 붙였겠음? 정조한테는 사도만큼 안갈궜고 사도처럼 대하지도 않았음. 사도가 현대의학관점으로 우울증 두드러지던게 중딩때인데 욕처먹으면서 공부강요당하고 살아봐, 공부가 재밌겠나. 공부 즐기던 애도 흑화쌉가능인데 스트레스 푸는 건 몸쓰고 취미 활동하는게 최고니 당연히 여자와 운동에 빠질 수밖에. 심지어 한창때의 남자였는데. 사도세자 능력치따지면 오히려 그림도 잘그리고 무예도 출중하다던데 방구석 공부만 강요하지말고 무예스탯도 키웠으면 조선판 프리드리히 대왕 육성도 쌉가능이던걸 영조가 틀꼰 교육으로 말아먹은거지. 영조가 세자한테 저지른 거 찾아보면 아들이 아니라 웬수새끼한테도 안할 짓임. 아니, 애초에 인간새끼면 못할 개말종 짓거리나 해대니 자식도 재능충이던게 그꼬라지로 말아먹은거 아냐.
@user-zy9vj2od1e
@user-zy9vj2od1e Жыл бұрын
자식이 그런건 부모잘못임 정말 양육환경이 이래서 중요하다는거임 자식은 내마음대로 될 수 없다
@user-cx3kn9cs3v
@user-cx3kn9cs3v Жыл бұрын
사도세자의 아들이다 다음에 말도 알려줘야지;;
@GH-jw7kh
@GH-jw7kh Жыл бұрын
생거진천 사거용인이라는 말은 사도세자의 무덤에서 유래한 말이 아닐까요
@delay_u_94
@delay_u_94 Жыл бұрын
바지 제품 어디껀가요~??
@jumbojeon9631
@jumbojeon9631 Жыл бұрын
대ㅡ왕님.
@user-ek6qp9ky4g
@user-ek6qp9ky4g Жыл бұрын
나도 저리살것다
@user-tp3rs5ry3o
@user-tp3rs5ry3o Жыл бұрын
정조가 10년만더 있었음 나라를 빼앗기지도 않았을듯
@user-jd9yv3wf7s
@user-jd9yv3wf7s 11 ай бұрын
사도세자의 죽음에 많은 신하들이 연관돼 있었겠지만 전 영조가 제일 밉네요 부모가 자식을 포기하다니...
@choicoin1112
@choicoin1112 8 ай бұрын
감성적으로 보면 아버지를 위한 효라고 볼수 있고, 이성적으로 본다면 자신의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살인자인 아버지 사도의 명예를 회복하려는 것이죠. 결국 왕은 정통성에서 힘이 나오는거라
@18rlawjd18
@18rlawjd18 Жыл бұрын
에이씨 눈물나네
@user-yc6dq2cs6u
@user-yc6dq2cs6u 6 ай бұрын
저도 그리생각합니다 정조가 왕권을 더이어갔으면 많은변화와 발전이 있었으리라 믿습니다 너무 안타깝고 아쉽습니다
@user-qd5sf4eg8j
@user-qd5sf4eg8j Жыл бұрын
저 분은 외국인인데 한국사람 보다 월등하게 우리역사를 잘 알고계십니다
@jihyelee7860
@jihyelee7860 Жыл бұрын
그러개요
@user-xd8ih8px2e
@user-xd8ih8px2e Жыл бұрын
조나단은 학창시절 전부 한국에서 다녔으니 국사를 배워서? ㅎㅎ 그냥 피부색 다른 한국인이에요
@user-ht6ur3tu3s
@user-ht6ur3tu3s Жыл бұрын
조나단씨 한국국적 아니신가요?
@tv-ly2zx
@tv-ly2zx Жыл бұрын
조나단 한국국적 아닌가요?
@user-ht6ur3tu3s
@user-ht6ur3tu3s Жыл бұрын
@@tv-ly2zx 저도 맞는줄 알았는데 찾아보니까 아니네요
@user-ot7up6bg8b
@user-ot7up6bg8b 8 ай бұрын
예원님 아나운서답게 영특 하십니다
@wooooseo
@wooooseo Жыл бұрын
3:16 오타
Они убрались очень быстро!
00:40
Аришнев
Рет қаралды 2,9 МЛН
역사스페셜 - 조선 최대의 의문사, 정조는 독살됐나?
58:15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