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가 전망한 2075년 세계 경제 상위 국가 Top 10

  Рет қаралды 1,225,865

지식스쿨

지식스쿨

Күн бұрын

2075년 세계 주요 34개국의 경제규모는 어떠할까?
자료출처
Glodman Sachs - The path to 2075
Ermell - wikimedia.org/wiki/File:Peking_Strasse-20131231-RM-112243.jpg
Shaunak Modi - wikimedia.org/wiki/File:SBML9878-140422-BackBay_skyline.jpg
Elgabarty2002 - wikimedia.org/wiki/File:Nigeria_Sellers.jpg
Hadassah Photostorie group - wikimedia.org/wiki/File:Nigeria_Highways_01.jpg
Zouzou Wizman - wikimedia.org/wiki/File:2005_market_Lagos_Nigeria_12129001.jpg
Vyacheslav Argenberg - wikimedia.org/wiki/File:Cairo,_Shopping_street,_Egypt.jpg
Vyacheslav Argenberg -
wikimedia.org/wiki/File:The_Courtyard_of_Al-Azhar_Mosque,_Cairo,_Egypt.jpg
Nina R - wikimedia.org/wiki/File:Cairo,_Egypt_(46172404894).jpg
Abuzar Ilyas Pakistan -
wikimedia.org/wiki/File:Northern_Pakistan_12_Balakot_town.jpg
Anthony Maw, Vancouver, Canada -
wikimedia.org/wiki/File:Sost_Pakistan_Customs_and_Chinese_Trucks_IMG_7494_China_Pakistan_Karakoram_Highway_KKH.jpg

Пікірлер: 1 900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지식스쿨입니다. 본 영상은 해외 주요금융회사가 미래를 어떻게 보는지 알고자 제작됐습니다. 예측이라는 것 자체가 말 그대로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는 것이기에 본 영상은 "미래에 우리가 어떨 것이다". "못사는 국가가 잘 사는 게 이상하다"가 핵심이라기보다는 미래를 예측하는데 있어 "해외주요기관들이 바라보는 시각을 우리도 알면 좋지 않을까"라는 게 주 목적이었습니다. 우리가 국내에서 "이건 맞다" "이건 틀리다"라고 얘기해도 해외주요기관들은 앞으로도 자신들의 기준으로 각국을 계속 평가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제작자 입장에서도 당연히 우리나라가 잘 되는 걸 바라는 입장이라 여러분과 동일한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추위 조심하시고 건강 잘 챙기세요~ 감사합니다. 지식스쿨 드림.
@디스커버리-q8k
@디스커버리-q8k 2 жыл бұрын
현재국가의 순위와 2075예상 순위랑 함께 비교해줘야하는게 기본아님?ㅋㅋㅋㅋ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수포자의철학놀이4 무슨 말씀인지 충분히 이해하고 있습니다. 본 영상도 잘 사는 국가인 부국을 논한 게 아니라 골드만삭스가 보고한 규모 자체만을 언급했습니다. 그래서 GDP 규모가 큰 국가가 전체적인 경제규모가 크니 대국으로 본 것입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영상은 국가가 잘 살고 못 살고를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이이민혁-j2k
@이이민혁-j2k 2 жыл бұрын
@@수포자의철학놀이4 그러니깐 당신이 말하는건 아마도 1인당 GDP를 애기하는거 같군요. 1인당 GDP로 치면 솔직히 제일 잘사는 나라는 룩셈부르크 이지!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2 жыл бұрын
@@수포자의철학놀이4 하나는 알고 하나는 모르네 니가 생각하는 경제대국은 도대체 뭐임? GDP 상위 국가가 무조건 잘사는 나라는 아니겠지만 전체적인 경제력이 높으므로 경제대국이 맞는데? 니 논리면 룩셈부르크가 미국을 추월하는 세계 최고의 경제대국인데요?ㅋㅋ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中華民國萬歲_韓國人 2 жыл бұрын
@@수포자의철학놀이4 아니 규모가 큰 경제를 경제대국이라고 부릅니다ㅋㅋ 대신 규모는 작으면서도 국민 개개인들이 잘살면 선진국이나 부유국이라고 부르지요????
@kevinhuxley9252
@kevinhuxley9252 5 ай бұрын
담당부서의 게으른 시간때우기용 프로젝트임. 정치, 교육수준, 사회구조, 기후변화 등 복합적인 요소들을 개무시한 수치임. 또한, 앞으로 전개될 age reversal, AI, 로봇공학, fusion, 나노기술 등 과학의 발전도 예측을 더욱 어렵게 함.
@kimalonzo280
@kimalonzo280 2 жыл бұрын
골드만 삭스라.. 내일 주가시장전망도 항상 반대로 예측하는 회사가 2075년을 예측한다라..ㅋㅋㅋ
@산토끼-s9w
@산토끼-s9w 2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이 경제를 둔화시키네요. 역시 인구수가 경제성장과 연관이 있는군요.오늘도 잘보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출산율 심각하죠.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위 조심하세요~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 2 жыл бұрын
교육수준이 좀 떨어져도 차라리 인구수많은게 더 유리할듯
@cyank5205
@cyank5205 2 жыл бұрын
그렇지 않음. 인구보다는 땅임. 즉 땅에서 나오는 자원이 중요함. 인구가 많으면 경제규모는 커지겠지만, 1인에게 돌아오는 혜택은 많다고 장담할 수 없음. 잘 사는 나라는 인구밀도가 낮은 나라임. 그래야 1인이 가져가는 혜택이 많기 때문임. 즉 국가의 경제규모와 국민의 삶의 질은 절대 비례하는 것이 아님. 궁극적으로 중요한 것은 사람들이 얼마나 잘 사느냐이므로 인구는 적고 자원이 많은 것이 최고임. 자원이 없다면 교육, 기술력, 금융자본 등을 키워야 함. 어쨌든 인구는 적을수록 잘 사는 부분에서 유리함.
@user-tp2sx5it3i
@user-tp2sx5it3i 2 жыл бұрын
징병제를 하니까 저출산이 생기지. 나도 내 아이 군대 안 보내려고 결혼도 안하고 개기는 중이다.
@akremember9398
@akremember9398 2 жыл бұрын
@@cyank5205 개인이냐 집단이냐의 관점에따라 다름 근데 도시국가생각해보면 무슨 큰 사업이나 국가적으로 기술개발사업을할때 인구가 적은건 가시적으론 보이지 않지 사실 암묵적으로 큰 문제임 싱가폴홍콩등에 대기업이 왜 없는지 생각하면 편할듯 예를들면 인공지능회사가 있다고치면 도시국가내에선 인재를 영입하기도 어렵고 부지나 부차적 기술 등 늘 타국의 힘을 빌려야함 그래서 인재들이 대부분 미국이나 독일같은나라로 다 떠나죠 한마디로 특정이상의 영향력이나 크기에 한계가 명확함
@hckim8670
@hckim8670 Жыл бұрын
이런건 믿을게 못됨..
@Honeybidy
@Honeybidy 2 жыл бұрын
인구가 힘이구나
@all-272
@all-272 8 ай бұрын
지금 중국이 미국 다음으로 국가 gdp가 2위일지라도 개인 gdp는 만불 정도로 한참 밑에 있는 것이므로 중요한 것은 1인당 gdp! 수십 개의 국가를 합친 인구인데 그래서 전체 gdp 높은 게 잘 산다는 건 아니지
@강동식이
@강동식이 5 ай бұрын
@@all-272 전체gdp가 국력임..아무리 잘사는 북유럽국가들이 국제적인 힘이 없는건 전체gdp 즉 시장이 작아서임., 중국을 G2라 하는것도 GDP가 커서임,, 대한민국인구감소는 엄청 암울한 미래임..
@두두-m1u
@두두-m1u Жыл бұрын
영상 감사합니다
@이기식-w4q
@이기식-w4q 2 жыл бұрын
골드만삭스의 예측치는 최근 대부분이 오차가 크고 실제치와 달랐다고 지적되고 있지요
@user-ib3ms6xh3u
@user-ib3ms6xh3u 9 ай бұрын
말도 안돼는 통계라고 봅니다 골드만삭스 ㅎ
@glue900
@glue900 8 ай бұрын
이악물고 부정하는거 개웃기네 ㅋㅋ
@yoonkim3051
@yoonkim3051 8 ай бұрын
골드만삭스는 미국을 싫어하는 사업체로 알려져있죠. 일부러 이런걸 발표하는겁니다.
@tedkim5499
@tedkim5499 8 ай бұрын
골드만삭스는 미국의 대표적 좌파기업이죠. 자기들이 바라는 순위의 열거같네요.
@user-vk7kx8cq6r
@user-vk7kx8cq6r 5 ай бұрын
@@glue900 오차 컸던게 팩트임. 그리고 미국이 인도중국한테 밀린다는거부터 신빙성 떨어지는데 ㅋㅋㅋ
@혜니갓생
@혜니갓생 2 жыл бұрын
우리 국민들이 느끼고 생활 수준을 결정하는 것은 국가 전체 GDP규모 보다는 인당 GDP라는 생각이 드네요 국가 전체의 GDP규모는 여러 핵심 인자 중에서도 인구수가 주요 핵심 인자로 연동 되기 때문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하지만 급격한 인구 감소로 인한 미래의 대한민국 경제는 우려스럽다고 생각되네요 대한민국 정부와 정치권은 인구 절벽에 따른 노동력 감소에 대한 시급하고도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 하여야 한다는 생각이 드네요
@Bryan_hajoon
@Bryan_hajoon 4 ай бұрын
한국은 1인당 gdp 3만4천불 × 0.5억명 = 1.7조 달러.. 중국은 인당 gdp 1만 2천불 × 14억명 = 15조 달러.. 15조 달러로.. 첨단 무기 개발하고,첨단 산업기술 개발하고 세계 최고 인재 끌어 모으고..우주 로켓 올리고.. 해외 부동산 매입하고..알짜기업 인수하고.... 우린 겨우 1.7조 달러.. 이게 기울어진 운동장임..😅
@콜라비-q7t
@콜라비-q7t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감사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위 조심하세요~
@kr_zzzz
@kr_zzzz 7 сағат бұрын
저게 얼마나 말도 안되는거냐면 우리가 75년도에 이재용 보다 돈 많이 벌 수 있다는 소리만큼 말도안되는 소리임 돈은 돈을 낳음 이건 개인에게 뿐만 아니라 국가에게도 적용되는 소리
@박은실-k5q
@박은실-k5q Жыл бұрын
지금 중국을 봐서는 말도안된다에 1표
@퀀텀점프-z7t
@퀀텀점프-z7t 3 ай бұрын
50년전에 인도보다 못살던 중국이 세계 GDP2위가 될꺼라 생각했던 일반인도 거의 없었을듯요.
@timcook9783
@timcook9783 3 ай бұрын
저도요
@김환타-y9f
@김환타-y9f 28 күн бұрын
중국은 옛날부터 원래 세계1위 경제대국 이었음 잠시 다른나라들한테 추월당한것 뿐이고
@sirokuro23
@sirokuro23 Жыл бұрын
이건 지금의 경제시스템을 기준으로 매긴것 같은데? Ai와 로봇의 발달속도를 본다면 인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많이 낮아질듯 극단적으로 인간 한명이 공장 한개를 돌릴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한다면 공산품 생산비는 극단적으로 낮아지고 더이상 개도국의 생산국으로서의 경쟁력이 상실될수 있음. 그러면 많은인구를 가진 국가는 절대다수가 절대적 빈곤을 첨단기술이 발전한 국가는 적은인구가 절대적 부를 누리는 형태가 될거라 생각함
@양씨형
@양씨형 2 жыл бұрын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위 조심하세요~
@tony8620
@tony8620 2 жыл бұрын
중국은 1등이 아닐겁니다. 저나라는 적어도 4-5개의 나라로 분리 독립 될겁니다.
@sky-iv2xv
@sky-iv2xv 2 жыл бұрын
나쁜 마음
@skylark736
@skylark736 2 жыл бұрын
@@sky-iv2xv sky는 중공인이네. 중공인이 아니라면 너와 너의 후손은 이땅 위에서 살면 안돼. 중국이 우리를 능욕한 역사를 조금이라도 학교에서 읽어 본 인간이라면 절대 이런 망언을 하질 않지.
@꿍낑꿍낑
@꿍낑꿍낑 2 жыл бұрын
골드만삭스보다 대단하신 유튜브 댓글러분이 계시네요 ㄷㄷ
@이상호-y9t
@이상호-y9t 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이사벨하크
@이사벨하크 2 жыл бұрын
한국은 지금이라도 정책적으로 전환을 해야하는게 맞음 저출산 해결에 대한 투자와 기술쪽에 더 많은 투자를 해야함 그거에 맞게 교육 시스템도 바꿔야함 특별한 지하자원이라던지 그런게 없는 나라들은 기술력에 투자 많이함 한국은 고급 인력들에 대한 처우가 인식이 개차반인게 문제임 그러니까 그런 인력들이 해외로 자꾸 빠져나가는거임
@alpha-oe5gi
@alpha-oe5gi 2 жыл бұрын
​@Ban 한국 외국인 거주비율은 4퍼센트입니다.
@alpha-oe5gi
@alpha-oe5gi 2 жыл бұрын
@Ban 헬조선 민도가 위정척사파 척화비나 다를게 없어요
@hwarang1904
@hwarang1904 2 жыл бұрын
저출산 해결이 시급한 건 알지만 사실 이건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닙니다. 저는 40대 초반이고 아들 하나 둔 아빠 입니다. 가임기 세대지만 저출산의 시작점 세대이기도 하니 툭 까놓고 말해보죠. 지금의 저출산이 주머니 사정 문제인가요? 한반도 역사상 2030세대가 이렇게 경제적으로 여유로웠던 적이 없었죠. 역사적으로 2030은 지금이 제일 먹고 살기 좋은 시절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포를 한다? 그 3포가 취업 결혼 집장만이죠? 솔까 그게 포기 입니까? 그냥 그거 말고 다른 데다 돈 쓰고 놀고 싶은 거잖아요. 저는 3포중 집장만만 포기 했습니다. 포기라기 보단 그 딴 데 돈 모으느니 차라리 현재를 즐기자 쪽을 택한 거죠. 취업을 포기한 사람들은 부모 잘 만나 편히 살면서 허영심에 눈만 높아 앵간한 곳엔 취업을 하기 싫은 거고, 결혼을 포기한 사람들은 나 자신 외에도 책임이 따르는 가정과 육아가 싫어서 돈과 시간을 나만을 위해 쓰는 거죠. 세월의 흐름에 따라 가치가 변하면서 추구하는 삶의 목적이 달라져서 그런 건데 그걸 자꾸 국가 정책으로 해결하려 한다? 그냥 정치꾼들 표몰이에 현혹 되는 겁니다.
@누렁이-k6i
@누렁이-k6i 2 жыл бұрын
그걸 이제 알았어요?ㅋㅋㅋ
@hwarang1904
@hwarang1904 2 жыл бұрын
@앤디 취업이 왜 안 되나요. 톡 까놓고 말해보자구요. 취업은 안 되는 게 아니라 안 하고 있는 거죠. 눈이 너무 높아서가 우선 요인이고... 대한민국 역사상 지금처럼 청년 세대의 소득이 높아던 적이 없습니다. 스스로의 능력으로 집을 살 순 없지만 그 외 여가생활로 쓰고 있는 금액 역시 역사상 최고 비중이죠. 소득과 소비의 패러다임이 변한 것을 국가가 정책으로 해결하긴 어렵다고 봅니다.
@duty-
@duty-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저출산 문제는 진짜 해결하기 어려운 거 같아요. 남자는 딴짓 안하고 대학교 졸업하고 군대 갔다 오면 25세, 바로 취업한다해도 26세쯤 취업하는데, 보통 해외에서 26세면 이미 사회에서 활동중인데다가 애까지 있습니다. 대학교가 기본값이 되고 취업 준비를 하다가 군대에 시간을 쓰다보면 자연스레 결혼 생각이 잊혀지고 나이도 많이 먹어있죠. 경제적인 면에선 원룸 하나 구해서 결혼하면 된다고 하지만 누가 그러고 싶습니까? 그리고 원하는 직장 다니고 싶은건 모든 사람 공통점 아닙니까? 원하는 직장 구하면 30세 넘어가는건 당연하고, 가치관이 형성되는 나이엔 공부+취업준비 등으로 결혼은 생각도 안납니다. 평생 사회 경험 없이 공부만 해온 요새 젊은 사람들이 애 키울 생각이 나겠냐구요 ㅋㅋ 집 값도 내려가고 있다지만 가격은 여전히 구름 넘어 하늘 높은 곳에 형성되어 있고, 우리나라 평균 노동 시간은 줄었어도 여전히 깁니다. 기술력으로 먹고 사는 나라이기에 긴 거 이해하지만 노동 시간이 한 몫 하는 것도 부정 할 수 없죠.
@salcazoid
@salcazoid 2 жыл бұрын
해외에선 26세면 벌써 아저씨, 아줌마에여. 딱 그렇게 보입니다. 한국 26세랑 완전 딴판이죠. 심지어 한국에서 사람들이 돈있다하면 다 해외로 떠나던데, 한국은 미래가 거의 없다고 봅니다.
@후아베베
@후아베베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는 너무 사람을 쥐어짜고 그 산물들을 대기업들에게 몰아줘서 재의 분배도 불균형 하고, 여유 생활도 시간도 없죠. 재의 분배는 논외로 치더라도 근무 시간만 줄여줘도 출산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듯
@salcazoid
@salcazoid 2 жыл бұрын
@@후아베베 한국회사 다녔을땐, 개인의 삶도 간섭받아서 너무 싫었어요. 뭐랄까? 프라이버시가 없는삶? 주말에 뭐하냐 계획있냐 일일히 간섭하고... 그게 너무 싫었어요.
@console.writeline9465
@console.writeline9465 Жыл бұрын
해외 어디가요ㅋㅋㅋㅋㅋ 개도국아니면 평균 결혼 연령 26세 이하인 국가 없습니다. 수많은 민족이 모여사는 미국만봐도 30세정도죠.
@console.writeline9465
@console.writeline9465 Жыл бұрын
주변에 26세에 이미 애까지 있는 사람이 많으시면 저개발국가에 살고 계시거나 주변 인물들의 학력 및 소득수준이 높지 않다는 뜻입니다.
@청송자아
@청송자아 2 жыл бұрын
걱정....그래도 국회는 정쟁만 할 것인가.... 자료, 감사합니다...
@concon996
@concon996 2 жыл бұрын
구케보다 지금은 댓똥이 더.. 그게 안보이나?
@임희태-e8b
@임희태-e8b 9 ай бұрын
정쟁해야 발전!!미국민주당은 좌파이고 바이든도 좌파다ㅡㅡ이걸 아는 한국인은 2% 이내다ㅡㅜ ㅡ서울대 50년 지속 50억 카르텔의 힘!? 이다ㅜㅜ 우민 화 괴멜스서울대문과다ㅜ??ㅜ서울대주류와 내시궁녀들= 조선시대 노론양반들을 흉내내는 선민파시즘이다ㅜㅜㅜㅜ소패비율은(상중하등급이 있어 중 이하는 부하 때는 위험하지 않음,,,출세 후 돌변ㅡㅜㅡ)지구 어느 사회나 존재하는 비율이 같음(자연현상임ㅡㅡ전쟁땐 도움된다). 이들이 상류층에 있는 비율 문제다ㅜㅜ 성자유하면 걸러진다. 이런 소패유형은 타락에서 못나옴ㅎ 아시아는 유혹을 제거하니 소패들이 암기공부를 잘한다ㅡㅡ소패는 출세를 위한 금욕과 노력에서는 탁월!ㅜㅜ♧♧♧서울대주류파아류파시즘!!ㅡㅡ한동훈은 빙산의 일각이다ㅡㅡ서울대는 이과만남기고 대학원으로 하는 헌법개정뿐이다ㅜ 대법원/헌재등 국가기관의 위원회는 (세금지원 포함) 대학별로 1명씩만 배당해야 재발방지다!ㅡㅡㅡ동훈이 같은 서울대판검사수백명이 대기중이다ㅜㅜ 50년지속50억전과예우 카르텔 ( 각 기 수 별 로 5 명 씩 선 발 하고 있다..... 선배들이 선발/서울대80%, 경상도 50% , 성균관대는 쪼금 뽑아주는데 그 용도는 매벌이+ 총 알 받이 중 ) .각 기수 리더는 100억 전과예우다.......😂김앤장이 서울대 소굴이란건 유언비어!!_???ㅎ 이래서 ㅡㅡ자판기 영장발부중이다!???ㅡ유언비어다ㅡㅋㅡㅡ 10년 후 전관예우50~100억 전관예우에 더하여 차차기??? ㅎㅎ여기까진 제 소설 초고이니 믿지마세요!!
@김효신-l3y
@김효신-l3y 4 ай бұрын
국회가 일을 할 수 없는 상황인 것 안 보이나봐요?
@스카벨
@스카벨 9 ай бұрын
세계는 끊임없이 변해왔다
@김대광-e2h
@김대광-e2h 2 жыл бұрын
역사는 예측대로만 흘러가지 않고, 영원히 패권을 쥐는 나라는 없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도 통일이 된다면 인구가 늘고, 국토도 넓어지고, 자원도 어느 정도 뒷받침이 될거니까 아무리 똑똑한 이들이 예측을 해도 딱 맞지는 않을 것이라는 희망을 가져봅니다. 영상 보면서 정말 유익했습니다.
@Murararide
@Murararide 2 жыл бұрын
그와 함께 북남의 심각한 경제 수준 차이 또한 동반되겠죠 옛날이면 모를까 지금 통일은 도박입니다 한강의 기적을 두 번이나 일으킬 수 있을지 아닐지 말이죠
@그냥인간-p9k
@그냥인간-p9k 2 жыл бұрын
통일이 도박이라도 기대해봅니다
@옥타비아누스-g6r
@옥타비아누스-g6r 2 жыл бұрын
@@Murararide 통일이 도박이라뇨?? 통일은 대박입니다...우리나라의 통일 부작용은 소위 얼치기 전문가들에 의해 부풀려진 측면이 많습니다...통일은 얼마 안남았읍니다...
@United_Soviet_Sociallism
@United_Soviet_Sociallism 2 жыл бұрын
독일이 통일하고 20년동안 허덕였는데 경제 규모가 20배 차이나는 우리는 더 심해 나라가 파산할 지도 모릅니다만 북한은 자원이 많기에 도박입니다
@Loveteeth
@Loveteeth 2 жыл бұрын
자유,민주 통일이 아니면 파국이지요.
@마음깨어있기
@마음깨어있기 2 жыл бұрын
미국이나 유럽이 지배하는 사회가 아닌 다원적인 사회가 되는 것 같습니다. 경제규모는 특히 인구가 중요함. 인도나 인도네시아 같은 국가가 그렇네요.
@도재학-b3l
@도재학-b3l 2 жыл бұрын
어느 정도 예상은 됬지만 흥미롭네요 손자 걱정이 되지만 잘 살다 갑니다. 감사합니다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위가 심하니 건강 유의하세요~
@기차타고여행
@기차타고여행 10 ай бұрын
한국은 판사ㆍ검사ㆍ변호사ㆍ경찰ㆍ출신 정치인들이ᆢ나라 꼬라지를ᆢ미래가 없는 ᆢ😢특히 5.18 유족가산점 법조인들이 ᆢ
@sangp-j2t
@sangp-j2t 5 ай бұрын
으이구 정치병자 어린이야...
@sunhokim303
@sunhokim303 3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cj-ws9gg
@cj-ws9gg 2 ай бұрын
좌빠리들이 나라 어지럽히고 망치고 있죠~
@그림그리는볼러
@그림그리는볼러 2 жыл бұрын
경제 성장률이 문제가 아니라 급격한 인구감소로 나라의 존폐가 위태한게 제일 심각한 문제
@동현김-k3y
@동현김-k3y 2 жыл бұрын
개돼지들 ㅂㅅ이라서 그런거 모름 근데 이미 조때씀 20년후에 한국이라는 나라가 없다는게 답
@K.Zombie
@K.Zombie 2 жыл бұрын
그러게 잘했어야지 돈있고 힘있는놈들만 살아남는 세상이니 평민들이 머하러 애남? 미쳤음?? 정치하는것들 꼬라지봐 지배불리느라 바쁘지 노예를 왜생산해줘
@빈-c8m
@빈-c8m Жыл бұрын
@@K.Zombie 맞죠 돈많은 사람들이 10명식 놓으면 다해결됨 ㅋㅋㅋㅋㅋㅋ
@sonnylee5482
@sonnylee5482 5 ай бұрын
그게 포인트네 부부사이도 개떡이라 폭망각
@yein5231-os8nr
@yein5231-os8nr 3 ай бұрын
완전 엉터리... 젊은 인구가 많다고 다 잘 살면... 다 출산 국가가 제일 잘 사는 나라가 되겠네... 이건 뭐 연구도 하지 않은 것이네... 개연구 결과네...????
@hendel2002
@hendel2002 5 ай бұрын
역시 인구수가 중요함^^
@user-byuljeonnam
@user-byuljeonnam 2 жыл бұрын
한국의 성장률이 심히 걱정스럽네요.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부디 잘 해결되길... 잘 봤습니다.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고령화도 고령화지만 저출산이 상당히 심각한 상황이네요. 갈수록 떨어지고 있으니 안타깝습니다.
@sypark6300
@sypark6300 2 жыл бұрын
저출산 고령화보다 더 문제가 뭔지 아시나요? 바로 100신입니다. 그 100을 접하면 어떻게 되는지 아십니까? 정자수가 줄어들고 1291가지의 질병에 걸립니다.
@Sienna-ok8lt
@Sienna-ok8lt 2 жыл бұрын
저출산 고령화 보다, 반이민 외국인 혐오가 다큰 문제. 이민자 유입 또는 남북통일이 없이는 대한민국은 필리핀 베트남 보다도 작은 경제국가로 추락할 예정
@kdcer7670
@kdcer7670 2 жыл бұрын
통일 할수밖에없음
@hong-cine5385
@hong-cine5385 2 жыл бұрын
이미 나락
@오빠야-l4r
@오빠야-l4r 2 жыл бұрын
2075년에 뭔 일이 있을줄 알고.. 분명한건 그 때 나는 없다
@johnpark9547
@johnpark9547 7 ай бұрын
그래도 여기 글쓴 사람들이 다 바보는 아니구만...
@최우정-x8b
@최우정-x8b 5 ай бұрын
나도.
@라오-s2y
@라오-s2y Ай бұрын
훌륭한 답변이네.. 굿
@Sofastsnail
@Sofastsnail 2 жыл бұрын
정치가 개판이라서 우리나라가 저렇게 된겁니다 돌아가신 삼성 이건희 회장이 국민은 1류 기업은 2류 정치는 3류 라고 말했던게 딱들어 맞네요😢
@김동찬-d6r
@김동찬-d6r 2 жыл бұрын
인구수로 경제지표가 결정되네요 중요한거 우리나라입니다 많은 국민이 암울한걸 말면서도 정치권에서 이를 바로잡지 못하는건 정치개혁이 얼마나 시급한지 보여주는 사례이고 인구증가에 대한 정부의 대책이 아주 미흡하고 그 예산이 적지않은데도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건 그사이에 도둑넘이 많다는겁니다 기업들은 더많은 투자와 교육은 더많은 인재를 위해 필사적으로 임해야 하며노인층들은 자식세대를 위해 노동의 끈을 놓아서는 안된다 생각합니다 통일은 없습니다 무지개쫓지 말고 우린 우리대로 지난 잃어버렸던 치욕을 거울삼아 전진해야 합니다 다시 뭉치고 단결하면 우린 또 기적을 만들수 있다 생각합니다
@danieljang7797
@danieljang7797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국민성 때문에 정치개혁은 없다고 예측합니다. 이성과 합리적인 판단이 아니라 감성에 휘둘리는 국민성. 무슨 뻘짓을해도 지지해주고 찍어주는 팬덤정치..이걸 누가 만들었는지 아시죠? 그래도 유럽은 인구유입이 계속되고 다문화라서 인구가 유지되지만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으로 폐쇄적이어서 인구유입도 안되죠..진짜 암울합니다. 폐미로 표빨아먹고 팬덤정치하면서 출산율떨어뜨리고 국가분열하는 매국노세력들이 빨리 사라져야 희망이 있습니다
@금거북이-y5y
@금거북이-y5y 2 жыл бұрын
통일은 없습니다. 무지개 쫒지말고
@qqq-c3c
@qqq-c3c 2 жыл бұрын
개혁은진자 힘들어도 해야죠 한국은 법앞에 지위를 너무따집니다 그래서 선진국이 못되요 특히 연예인 특권주의
@헬도사
@헬도사 2 жыл бұрын
정치가 문제가 아니라 국민의식 수준이 문제죠. 수도권 인구부터 정작 지방 인프라 개발 예산 내놓으면 거품물고 수도권 지하철이나 더 만들어라 하죠 그냥 이나라의 서민은 소멸예정입니다
@jollybeeee
@jollybeeee 9 ай бұрын
영국, 프랑스, 독일이 경험했던 상황이죠~ 인구 5천만명이상, 우리나라와 경제규모가 비슷?한 나라와 비교해야죠~ 우리나라 현재와 같이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영국은 인도, 프랑스는 아프리카, 독일은 동독 통일로 해결?됐죠. 우리나라는 놈현이 형이 조선족 델고와서 오염시켰고, 이젠 동남아 사람들 델고와야죠~ 한 해 40만명씩 이민 시키면 2035년 노동 가능 인구가 지금보다 많아지죠~ 단순 노무자가 아닌 의사, 간호사, 엔지니어, 변호사 등 모든 화이트 칼러 부분에 이민 시켜야죠~
@jongwonlee1387
@jongwonlee1387 Жыл бұрын
중국은 GDP는 높지만 대분분의 인민들은 가난하다
@giseokseo9729
@giseokseo9729 2 жыл бұрын
2000년대 골드만삭스는 2050년에 한국이 미국 다음으로 개인당 gdp가 높을 것으로 예상했었죠. 그 이후 10년이상 흐른 것 같은데, 경제상황은 계속 변하는군요.
@키스를날려쓰러뜨리자
@키스를날려쓰러뜨리자 2 жыл бұрын
이 예측도 그냥 다 개소리임 그냥 인구수로 순위 정했네 ㅋㅋㅋㅋ
@쏴방
@쏴방 2 жыл бұрын
그것 저도 봣어요. 2050년은 미국에 이어 2위 된다고
@notasuperiordrag
@notasuperiordrag 2 жыл бұрын
@엉냔 아 페미랑 이게 뭔 상관인지는............
@포세린코팅후기
@포세린코팅후기 2 жыл бұрын
그당시 분위기는 그렇지만 정치가 좌클릭하니 페미득세..
@CuriosPoint-q7l
@CuriosPoint-q7l 2 жыл бұрын
2000년대가 김대중 정부 시절이었다. 이명박 박근혜를 거치며 성장동력이 많이 상실 되었지 게다가 이번 윤석열로 쐐기를 박고 경제후퇴중
@김성식-g9j
@김성식-g9j 2 жыл бұрын
과연.....미국이 저렇게 되게 가만히 놔둘지 모르겠습니다만ㅋ 대한민국이 심각한 저출산 문제로 쪼그라드는건 크게 틀리지 않을 듯! 출산은 고사하고 결혼조차도 할가 말가한게 요즘 젊은세대들인데...
@De_clenav_di_martineli
@De_clenav_di_martineli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경제 전망은 어디까지나 예측으로만 봐야됨. 변수가 워낙 많고, 또 그 변수에 의한 결과 변동 폭도 커서
@darkstar7255
@darkstar7255 Жыл бұрын
경제순위가 아니고 성장률 순위 아닌가요? 두개념은 완전다름
@danla-girilv
@danla-girilv 2 жыл бұрын
34개국이라 그런지 나이지리이 같은 나라들이 있네요. 그런데 193개국을 대상으로 해도 별 차이가 없을 것 같기도..
@호야-j2m6m
@호야-j2m6m 2 жыл бұрын
나이지리아가 5위인데 뒤에 200개 추가해도 5위죠. 인도보다 인구증가율이 훨씬 빠른 나라임.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미래 핵심 34개국이라고 봐도 무방해보입니다.
@user-sef1amw5gtf
@user-sef1amw5gtf 2 жыл бұрын
클났다. 기성세대가 자산과 기회를 독점하고 청년들을 사지로 내몰고 있으니 결혼을 할 수 있나, 아이를 낳을 수 있나.... 인구는 쪼그라들고 국가는 소멸해 가는구나... 거품 터지고 헤쳐모일 필요가 있겠어.
@짱짱이-c9e
@짱짱이-c9e 2 жыл бұрын
미래는 불확실성에 연속이죠. 국제사회가 미국 중심의 질서에서 중국 중심의 질서로 바뀔까봐 심히 우려되네요. 따라서 저 예측대로 되지 않도록 지금의 미국은 계속해서 중국을 찍어 누를 것이며 이로 인한 수많은 변수가 존재하겠죠? 이 예측은 결국에 현재 지금의 미중 패권 전쟁의 상황을 반영하지 않았겠지만 우리의 현실을 직시하고 대비해야 한다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나그네-z8d
@나그네-z8d 2 жыл бұрын
중국이 지금 공산당으로 욕망 억제해서 이정도지.. 중국은 100년 반짝할뿐... 소득재분배 + 버블경제 빠지면 근방 망하는 나라일뿐..
@moonnightbridge5015
@moonnightbridge5015 2 жыл бұрын
중국은 언젠가 정말 한 번 터질것 같아요. 그 징글징글한 인구수 때문에 빈부격차를 절대 감당할수가 없음...
@Xbow_master
@Xbow_master 2 жыл бұрын
중국이 패권잡을일은 없음
@notasuperiordrag
@notasuperiordrag 2 жыл бұрын
GDP상으로 중국은 미국을 분명히 앞지를 거임. 인구 차이가 심하게 나니까. 근데 그렇다고 해도 나머지 부분(소프트파워, 국방....)에서 중국이 미국을 이길 수 있을지는.........
@HO-bk5pg
@HO-bk5pg 2 жыл бұрын
한가지 변수는 보통 경제가 성장하면 통제를 멀리하고 자유를 더 원하는 성향이 있죠. 지금 중국도 그런 길을 걷는 것 같습니다. 지금의 일당독재는 길어도 30년을 넘지는 못할거라고 생각합니다.
@BeeIW
@BeeIW 2 жыл бұрын
저출산 해결이 가장 중요할 듯
@yumu3655
@yumu3655 9 ай бұрын
인구 많은 곳이 옆에있고 통일이라는 것도 있어 저렇게 밀리기는 쉽지 않음
@송성룡-f6r
@송성룡-f6r 2 жыл бұрын
인간을 농사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움. 농사를 열심히 지어서 수확을 해야하는데 인구문제나 각종 중대 정책은 한 세대에서 농사를 시작해서 그 세대가 죽을때까지 끝나지 않아서 결과를 보기 어려움. 지금 대한민국을 주도하고 있는 세력, 집단, 사회적 분위기가 미래가 아닌 오로지 자기 자신의 주머니, 혹은 자기 다음 자식들만 생각하고 남들은 남으로 보거나 심하면 무시하고 멸시하는 세태이기에 올바른 농사를 짓지 못하고 매번 하루살이 풀만 키우는 실정임. 자기간 싼 똥은 자기가 치워야 하는데 죽기전 까지 자기가 싼게 똥인지 된장인지 확인도 못하고 다음세대에게 똥만 잔뜩 주고 감...
@NellKune
@NellKune 2 жыл бұрын
듣고보니 완전 중국 마이너 버젼이네 ㅋㅋㅋㅋ 배려없고 다 지들생각밖에 안함 ㅋㅋㅋㅋ
@kyu5435
@kyu5435 2 жыл бұрын
@@NellKune 쾌락주의에 중독된 탓이죠. 정신과 신체가 온건하고 건전하며 세상이치를 깨우친 현명한자가 군자가 되는것인데. 세상이치는 깨우친사람은 많은데 정신과 신체가 쾌락주의에만 쩔어있으면 정신적인 가치를 등한시 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그런 사람은 정의롭기 힘들죠. 쾌락에 의존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은 정의를 실현할수 없지요
@정보마당-j7l
@정보마당-j7l 2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동감 100배!!
@임천재-b9y
@임천재-b9y 7 ай бұрын
읍이사는애들생각
@jinbackk
@jinbackk 6 ай бұрын
(일반적으로)남의 자식을 자기자식처럼 대하던 시절이 있긴했나요? 예나 지금이나 사람은 자기 주머니랑 자기 자식 밥그릇을 우선시 해왔습니다.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요. 남의 시선 때문에 출산율이 낮다뇨... 그렇다면 옛날에도 똑같이 출산율이 낮아야 합니다. 사견이지만, 출산율이 낮은건 경제적 차원의 문제가 아닙니다. 옛날엔 돈이 많아서 출산율이 높았던게 아니었듯이요. 제가 생각하는 근본적 원인은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평균적인 삶의 기준선" 이 기형적으로 상승했음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남들이 가끔 해외여행도 가고 무슨차도 타고 하던데, 내 소득으로도 그 정도는 가능하니까 나도 그래야겠다" "1년에 여행몇번, 무슨 초고급 식당 몇번, 뭐시기 구매하기..이 정도는 해야 그나마 사람답게 사는거지..." 와 같이 여가에 대한 지출비중이 높아짐으로 인해 가난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평균적인 삶의 모습" 이라는 것은 과대평가 되어 "평균에 못미치는 삶을 살고 있다" 고 느끼는 사람이 많아지니 양육비가 거대하게 느껴지는것이죠. 솔직히 사교육비 : 공부 할 애들은 학교 안보내도 공부합니다. 상당히 의미없는 지출입니다. 식비 : 요즘 세상에 정부 마저 도와주는게 불가능해서 굶어죽는 사람없습니다. 의식주 : (식 은 이미 다루었고) 옷? 욕심만 없으면 옷에 큰돈 쓸일 없습니다. 주? 요즘은 오히려 자녀가 있으면 거주관련 혜택을 받는것으로 압니다. 물론 제 주장의 논지는 "옛날 못살던 시절처럼 살면서 출산해라" 가 아닙니다. "존재"가 아닌 "소유" 자체에 지출을 하다보니 의미없는 낭비적 지출이 필수적 지출처럼 잘못인식되고 그 결과 자신은 그 어느세대보다 가난하게 산다고 착각하게 되니 양육비 때문에 애 못놓겠다 는 말이 나오는것이라 생각합니다. 단순히 소유를 위한 지출만 없애버리면 어지간한 세대보다 훨씬 풍족하게 살수있고 아이도 충분히 키울수도 있는데도 "사회의 탓" 으로 책임을 전가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느끼기에 자신은 가난하고, 이건 다 비정상적인 사회때문이다. 그러니 출산을 안하는게 아니라 정치인들이 무능해서 출산을 못하고 있지!" 이 얼마나 간편한 책임회피입니까? 결론적으로 국가는 경제적 지원보다 "자기 자신의 삶" 을 "자기자신부터" 존중하고 자랑스럽게 여기는 가치관을 형성시켜야 합니다. 이렇게 가치관을 바꾸는, 달성하기 매우 어려운 행위야 말로 "진정한 정치" 라고 생각합니다.
@라울-j8p
@라울-j8p 6 ай бұрын
이미늦음 저출산문제가 생긴지도 10년정도됬는데 해결방안은 없음 표받을려고 싸우는거 보면서 출산지원금이라는 돈뿌리는정책 짐바브웨 보고도 그러는거보면 답없음 멍청한정책을 누가냈는지도 모르겠고 환경을 만들생각을 안한거보면 다 한통속임 비싼수도권 투자해봐야 눈에보이는것도없고 세금만날리는거고 출퇴근지옥철 자차사용시 주차지옥 삶의여유가 없어 출산포기 값싼지방 일자리가없고 유령도시 고령화 청년층없음 출산포기 둘중 하나라도 충족을시키던가 지방분산화를 해야됨 지방분산화 출산증가 인구증가 기업등장 일자리창출 수출량상승 원화가치상승 세금혜택강화 전쟁억제력강화 나무만 보고있는 정치인들 말고 숲을 볼줄알 정치인이 필요함 부자의 세금으로 나라가 돌아가는것은맞지만 본인들의 부를 지키려면 노동자가 필요함 자원하나 없는 나라에 노동력을키울수있는 정책을 시도해야지 나라에 도둑놈이 많아봐야 경제박살 원화가치 개박살나서 욕처먹으면서 십원짜리 도둑놈들이됨 ㅋㅋ
@peterkang9572
@peterkang9572 2 жыл бұрын
아프리카 몇 국가가 랭킹에 있어서 놀랬습니다~^^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저희 채널 내 2100년 미래 인구 전망을 보셨을 거라 생각되지만 정도의 차이일뿐 아프리카의 국제 영향력이 지금보다는 높아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peterkang9572
@peterkang9572 2 жыл бұрын
@@top10contents 아~~~ 국제 경제력으로 높은 국가이군요~~
@peterkang9572
@peterkang9572 2 жыл бұрын
@@수포자의철학놀이4 네... 잘 알겠습니다
@이정호-x5d
@이정호-x5d Жыл бұрын
세계경제가 나날이 발전하여 대부분의 나라가 상향평준화 되면 인구수가 경제성장의 핵심임 좁은 땅덩이+적은 인구로는 당연히 한계가 있을것이고 지금 잘나가는 아시아 국가들(일본.한국.싱가폴.홍콩)은 한계가 명확함 동북아시아 특유의 근면.성실함이 지금의 경제성장을 이뤗지만 사실 제조업기반의 성장은 다른나라들도 다 할수 있는거임 한국의 특성장 세계탑10은 무리더라도 중상국 유지할려면 지금부터라도 출산율에 신경써야함
@박정원-t8k
@박정원-t8k 2 жыл бұрын
어떤 나라든 경제인구 1억명이 있고 없고에서 차이가 많이나고 우리나라는 이미 올해부터 인구감소세와 고령화 시대로 접어든 시점이라 2070년에 인구 3천만도 많이 쳐준것 같네요 단지 변수가 있다면 북쪽과의 통일인대 70년대까지 통일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영상에서 나온것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 될것같고 그전에 통일을 한다면 10위권도 노려볼만 하다고 생각되네요
@동쪽임금
@동쪽임금 2 жыл бұрын
탄허스님 말로는 2041년이전 어느 때 통일이 된다더라고요. 통일비용은 없다고...통일 이후 지축변화(탄허, 조선시대학자들)가 북극에 빙하가 다 녹으면 시작됩니다. 그러면 미국서부침수, 우리나라동남해안100리가 침수되고 일본은 훗카이도70%남고 나머지는 없어지죠. 유럽도 영국도...스위스쪽은 괜찮고, 황해바다융기로 한국영토가 2배확장, 그 이후 요동반도일부(심양포함), 만주의 고구려영역이 한국땅됩니다. 인도예언가도 2050년대 한국 고토수복예언했죠. 이런사실들은 조선시대 선비들도 알고있었어요. 기록도 나와있죠. 그중 예를 들어 조선 허묵이 강원도에 비석남겼는데 몇백년뒤 관동지방산불과 동남해안여진이 일어난다. 그건 그 지역을 탈출하라는 경고 메세지다. 라고되어있죠.
@Hipkiss
@Hipkiss 2 жыл бұрын
1억인구 내수경제를 아직도 믿는 사람이 있네 글로벌 시대에요 정신차리세요
@석가모니-j3j
@석가모니-j3j 2 жыл бұрын
제 생각엔 2070엔 이미 대한민국 25-27백만 인구만 있을 거 같습니다.
@Changsub_Kim
@Changsub_Kim 2 жыл бұрын
@@Hipkiss 내수가 얼마나 중요한데요 글로벌 경제위기때마다 우리나라 휘청거리는 이유가 내수가 약해서인데
@mathamour
@mathamour 2 жыл бұрын
골드만 삭스가 한국이 세계2위 될 거라고 예측한 적도 있고. 뒤죽박줄 들쭉날쭉이라 골드만삭스를 믿느니 SOCKS 삭스 양말을 믿으세요.......ㅋㅋㅋㅋㅋㅋㅋㅋㅎ
@sunwoongwoo7867
@sunwoongwoo7867 Жыл бұрын
10년후도 잘 모르는데 거의 50년후를 에측한다? 우리나라가 통일되는 것도 감안하지 않고 제멋대로 에측한 결과. 거의 구라... 신뢰성이 없다.
@henryyang5281
@henryyang5281 2 жыл бұрын
탐관오리들 때문에 동학농민 봉기하고 시발점이 되어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죠. 지금도 조선시대나 다를것은 없어 보입니다. 정치를 똑바로 못하니 2070년대에 한국이 고전하는건 너무 당연해 보이네요. 국민성부터 바꾸고 모든 부분 개혁을 해야 선진국이 되고 미래에도 한국의 '생존'을 기약할 수 있을겁니다
@bsj8352
@bsj8352 2 жыл бұрын
국민성을 바꾸어야됨.
@리아트-s3s
@리아트-s3s Жыл бұрын
범죄자를 옹호하는 좌좀들의 사고방식으로는 앞날이 어둡습니다 정치인만 탓할 게 아니라 봅니다,,,내 편 니편으로만 보고 내 편이면 범죄자도 감싸고 돕니다 또라이들이 너무 많습니다
@도메인-g5i
@도메인-g5i 2 жыл бұрын
어짜피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눈앞의 작은 우물안에 갇혀 하늘만 바라보고 산다. 그곳을 많은 이들이 뛰쳐 나와 진실을 알려야 하지만. 진실을 아는 이들은 저만 잘살고만다. 이게 찐 선진국과 대한민국의 차이.
@청도아재
@청도아재 2 жыл бұрын
저출산이 굉장히 심각한 문제이긴 하네요.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ㅜㅜ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맞는 말씀입니다. ㅜㅠ
@강인하-c5v
@강인하-c5v 2 жыл бұрын
저출생이예요!한남아
@blueocean4231
@blueocean4231 Жыл бұрын
인구가 중요하지만 인구수로 경제규모가 확정되면 과거 50년동안 인도가 10위권내에 있어야했다
@뽀송한인절미
@뽀송한인절미 2 жыл бұрын
인구도 중요하지만 1인당 gdp, 구매력도 중요하죠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네 그렇죠.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군-i1w
@박군-i1w 2 жыл бұрын
그말이 정답입니다ᆢ인구 쪽대가리수로 계산한거로 거의 순위가 매겨지는데 그래봤자 2ㆍ3만불. 밖에 안되는 중진국들인데 그걸 대국이니 잘사는 나라라고 할순없죠ᆢ우린 한참 순위밖이지만 1인당 지디피가 최상급이니 그게 미래의 본모습인거죠ᆢ그리고 그전에 통일이라도 되서 인구수가 급격히늘고 자원이 많이생기면 경제규모가 확늘게 되니 지금예측은 그냥 예측일뿐인거죠ᆢ파키스탄ㆍ방글라ㆍ인니 ㆍ맥시코라ᆢ웃기지도않음ᆢ전부 쪽대가리만 엄청 많으나라ᆢ유럽 인구 수백만인 나라는 그럼 걸배이 나라 되는건가ᆢㅋㅋ
@심창헌-b8p
@심창헌-b8p 5 ай бұрын
보고서의 작성자는 누구인지 모르지만 나 보단 똑똑하겠지요 ㅎㅎ 그런데 많은 오류가 눈에 보입니다
@sang-youngpark954
@sang-youngpark954 2 жыл бұрын
취업할 때 자녀가 있는 사람에게 가산점을 주고 봉급에서 자녀부양수당을 대폭 늘여야 함. 자녀 1인당 봉급의 30%정도 더 주도록 해야 함. 관공서 외에 기업은 이를 감당하지 못하니 국가와 지역자치단체가 세입에서 재원을 대도록 법안을 만들어야 함
@bujalsw
@bujalsw Жыл бұрын
너무 의외라서 신뢰가..
@jykim9934
@jykim9934 2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출산율을 높이는 정책이 혁명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의미로 들리네요
@dksghkddml_dmsgP
@dksghkddml_dmsgP 2 жыл бұрын
진짜 이거 보면 일단 인구가 겁나 중요하다는거임. 우리나라는 ㄹㅇ ㅈ된거임
@zjay9523
@zjay9523 2 жыл бұрын
이민 받는 게 최선임
@시골사람-j3n
@시골사람-j3n 2 жыл бұрын
모두 아시겠지만 저출산 진짜 심각합니다. 지금 서울수도권에도 초등 중 고등까지 12~13년 전에 비해 반토막 1/3까지 줄고 있습니다. 정부나으리 진짜 효과대책 좀 부탁합니다.
@부엉이-w9s
@부엉이-w9s 2 жыл бұрын
남과 북의 통일의 경우를 완전 배제하고 예측한 결과네요
@혁명전사뚱이
@혁명전사뚱이 2 жыл бұрын
솔직히 통일은 힘들거 같아요
@포롱포롱-u9s
@포롱포롱-u9s 7 ай бұрын
통일되어도 남북 지역감정이 호남 영남보다 훨씬 심할거고 사회갈등이 너무 극단저으로 흐를듯해요
@Redrose-gx2tn
@Redrose-gx2tn 6 ай бұрын
남북 통일이 반영이 되어야 하면, 중국의 대만 침공이나 각 나라의 많은 분쟁들까지 다 반영을 해야 되어서 예측이 훨씬 힘듦. 무엇보다 통일은 천문학적인 비용이 들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어쩔지 몰라도 향후 몇 십 년 동안은 엄청난 악재임. 동서 격차가 적었던 독일도 통일 후 경제가 순간 맛탱이가 가고 십 년 단위 이상이 지나서야 그 이점을 살렸는데, 세계 빈민국 중에서도 최정상 거지급인 북한과 아시아에 거의 없는 선진국인 한국이 통일을 하면 솔직히 백 년 이내로도 그 이점 못 살리고 극복하기 힘들다고 봐도 과언이 아님. 무엇보다 독일이나 베트남과 달리 한국은 분단이 너무 오래된 상태임. 경제 차이 뿐만 아니라 문화 차이, 사상 차이 등으로 엄청나게 갈등을 빚을 것이고 여느 부족 국가들처럼 끊임 없는 내전, 독립 시도, 쿠데타 시도 등으로 경제나 정치적인 측면을 뛰어넘어 안보나 일상적인 치안까지 무너져버릴 수 있다는 것도 감안해야 함.
@보리-g2c
@보리-g2c 2 жыл бұрын
인구는 작아지고 개인 소득은 세계 탑10 안쪽이니 사람들의 삶은 훨씬 행복해 진다는 건데 경제 대국과 행복하게 사는 나라 둘중 머를 택할래 하면 당연 후자
@콩사탕이싫어요-w5f
@콩사탕이싫어요-w5f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란 진짜 암울해진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출산율이 참 안타깝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리안나달
@코리안나달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가 상위권 가기는 어렵죠. 통일변수도 고려하면 좋겠습니다. 통일된 한반도는 여러문제를 좀더 완화시켜줄거같습니다.
@NoTrophyChicken
@NoTrophyChicken Жыл бұрын
오히려 더 심화되죠 통일 후에 일어나는 문제는 곧 내전을 불러일으킵니다 북한도 동의 안할거 차라리 포기하고 각자도생하는게 맘편합니다
@unheekim7187
@unheekim7187 2 жыл бұрын
중진국 함정을 고려하지 않고, 현재의 성장률이 계속된다는 가정하에 만들어진 예측 같음. 70년대 태국이 한국보다 1인당 gdp가 높았 는데,, 그때의 성장률이 계속 지속 됐으면 태국이 지금도 한국보다 gdp가 높을것임.
@루피-q6n
@루피-q6n 2 жыл бұрын
인도의 경제성장력은 90년대부터 꾸준히 나오던건데..인도는 부정부패가 엄청 심해서 그거부터 해결해야할거 같은데. 물론 50년이나 남았고 인구가 10억이 넘으니 조금씩만 꾸준히 성장해도 무섭긴할듯.
@셀렉트-z1t
@셀렉트-z1t 2 жыл бұрын
노인문제가 저출산을 낳고 있는데 해결도 못하면서 수명만 계속 늘리고 있으니 답이 없다 일본을 넘는 세계최고고령사회가 될 듯
@대신관모드오지터대신
@대신관모드오지터대신 2 жыл бұрын
안그래도 징병제인데 더욱 줄듯 한국군은 미군에게 흡수됬다면
@Xbow_master
@Xbow_master 2 жыл бұрын
곧 일본이 우릴 롤모델로 볼 겁니다
@wa_5080
@wa_5080 2 жыл бұрын
@@Xbow_master ? 한국같은 국가소멸 단계에 이미 진입한 국가를 그쪽 정책에서 롤모델로 볼 국가는 존재하지 않을것 같네요
@대신관모드오지터대신
@대신관모드오지터대신 2 жыл бұрын
@@wa_5080 차라리 한국군은 미국에게 흡수 된다면
@석만이-k5e
@석만이-k5e 2 жыл бұрын
@@Xbow_master Magic Archer 전설 중에서는 탑이라고 해도 무방하죠
@마린보이-x2c
@마린보이-x2c 4 ай бұрын
바꿀수 있는건 국민들밖에 없습니다. 더 활력있고 투명한 사회를 만들어야만 기회가 있을것입니다. 가장시급한건 교육의 방향이라고 봅니다.
@user-pt9ix7xd1l
@user-pt9ix7xd1l 2 жыл бұрын
맹목적으로 저출산고령화에다 돈때려박능건 의미가 없음 우리나라는 노동은 풍부함 실업률이 높은편임 기술도 나쁘지않음 부족한건 자본임 무지성으로 적금드는 풍토 많이 좋지않음 우리가 다같이 자본을 소유해서 불로소득을 확충하고 노동을 못하게될 노후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게 중요함 그래야 노년층의 자식인 청년들이 실패해도 다시한번 도전할수있는 환경이 만들어짐 부모가 불로소득을 확충한 상태니깐 그러면 이스라엘처럼 창업이랑 벤처가 활발해질거고 경제적으로 풍요로워져서 아기도 많이 낳을거임 부유한 환경을 물려주고 싶지 지금처럼 팍팍한 지원금 받아먹는환경은 아무도 물려주고싶지않음
@tony20162
@tony20162 5 ай бұрын
아파트 에만 진심인 나라가 후대에 물려주게 될 경제환경 임
@강태웅-d5r
@강태웅-d5r 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는 어떻게 됏든 인구숫자부터 개선 해야됄거같아요
@김영완-d2m
@김영완-d2m 2 жыл бұрын
1위에서 10위 보다가 아...그렇구나 생각하다 울나라 평가보니 걱정이 앞서네요...
@U2HS1D
@U2HS1D Жыл бұрын
🇰🇷한국은 망할듯 하면서도 5000년을 버틴 민족이라 쉽게 망할거 같진 않고, 인구가 2700만명 까지 떨어지지만 대신 AI, 로봇을 만들어서 버텨낼거 같음.
@김세준-h9g
@김세준-h9g 2 жыл бұрын
75년이면 전 아흔살이 넘네요. ㅠㅠ 그때까지 살아있을 수 있을런지 허허허
@personax4509
@personax4509 2 жыл бұрын
저는 여든이 넘겠네요…. 너무 먼 이야기…
@ekchiefify
@ekchiefify 2 жыл бұрын
살아있죠. 100살이 평균나이니!
@From-There
@From-There 2 жыл бұрын
허허허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위가 심하니 건강 유의하세요. 오늘도 파이팅!
@jerryjuntube
@jerryjuntube 2 жыл бұрын
저는 그때 되면 70대...ㅠ
@hwb877
@hwb877 8 ай бұрын
지금 정치라고 하는것들은 국가에 안위를 걱정하지 않는다
@김진용-w9q
@김진용-w9q 2 жыл бұрын
장기적으로 통일과 만주로의 대륙진출이 필요한 이유
@いつも123
@いつも123 Жыл бұрын
문재인처럼 얻어맞지말고
@michaelbyeongjun5140
@michaelbyeongjun5140 8 ай бұрын
2075년 쯤이면 한반도가 다시 하나로 합쳐져 있어야 될텐데 그 실현 여부가 관건이네요
@분당멋쟁이
@분당멋쟁이 2 жыл бұрын
인구랑 자원가지고만 씨부리는거 절대 안맞음. 정치와 교육이 함께 반영돼야 함.
@NaMuNelBo_Sloth
@NaMuNelBo_Sloth 2 жыл бұрын
내말이 농경사회도 아니고...
@포롱포롱-u9s
@포롱포롱-u9s 7 ай бұрын
그렇기때문에 중국 인도는 더더욱 안될듯해요 저랑 같은 생각이시네요
@amgm5515
@amgm5515 2 жыл бұрын
적어도 지금 해결해야할 가장 큰 숙제는 저출산문제의해결이다 아니면 난민이라던지 주변의 이민자를 적극 수용해 어떻게든 자국민 수를 늘려야하는게 현실이다
@davidkim439
@davidkim439 2 жыл бұрын
인류가 그 때까지 번성하고 있을지 자체가 심히 의문이네요. 가속도가 붙은 온난화와 러시아의 침략전쟁을 보고 있자니...
@민주화-u6b
@민주화-u6b 2 жыл бұрын
미래는 아무도 모릅니다 쯧쯧 내일 종말이 올수도... 쯧쯧 감사합니다
@가우디-y4c
@가우디-y4c 2 жыл бұрын
인류는 2050년이 되기 전 대부분 소멸할 것이다에 한표. 인류가 똘똘 뭉쳐 정작 제일 큰 문제인 지구가열화를 해결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도 시원찮을 시기에 각자도생이라니... 이러면 다들 지 생각만 할건데... 만약 신이 있다면 인간을 만든것에 가장 후회하실듯. 확실한건 인간들이 지구상에서 멸종하거나 말거나 시간은 흐른다.
@야후94
@야후94 2 жыл бұрын
그 때까진 당연히 있음. 걍 우리처럼 평온한 기후에서 못 살 뿐이지.. 인류는 한순간에 멸종하지 않음.
@mikikkjhg4768
@mikikkjhg4768 2 жыл бұрын
인구죠. 인구가 뒷받침되면 내수로도 어케든 버티니까. 1.2.3이 다 인구 최대구인잖음
@zusanchoi6239
@zusanchoi6239 5 ай бұрын
아쉬케나지의 공략목표가 정해진 것이네요.
@Jumg87
@Jumg87 Жыл бұрын
너무 쉰~소리다 봐라 미국이 절대로 1위안주지 예칙이라고 해도 어이가없네
@rbs114
@rbs114 2 жыл бұрын
러시아와 중국은 내전으로 분명 갈라집니다.
@김종인-c3m
@김종인-c3m Жыл бұрын
중국인등 동북아들은 타고난 다산체질이라 출산율반등하면 얘기 달라질(솔직히말해서 세계에서 동북아만큼 인구급증없었으니 타 지역들도 똑같이 생기는대로 낳았어도 임신 확률이 상대적낮았다는 뜻말고는 해석불가) AO형녀-BO형남 커플이 가장 다산한다보임
@풀무치-k3q
@풀무치-k3q 2 жыл бұрын
하루앞도 모르는 세상에 50년후를 누가 알겠습니까? 다만 그때 나는 이미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을테니 그것이 쓸쓸하네요.
@이종선-i8b
@이종선-i8b 2 жыл бұрын
건강하게 오래 사십쇼 ^^
@goodday19
@goodday19 2 жыл бұрын
저 정도의 미래라면 통일대한민국을 과소평가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통일한국은 우리생각보다 훨씬 어마어마 해 질수도.
@us6yw2bsi8fjehwjs
@us6yw2bsi8fjehwjs 2 жыл бұрын
통일해서 인구수 늘리고 대륙과 연결하지 않는한 섬나라도 아닌데 섬나라처럼 사는한 경제성장에 한계가 있을듯
@JapanKorea824
@JapanKorea824 2 жыл бұрын
그런 건 중요한 게 아니다 80년대 잠깐 일본이 GDP 세계1위 했는데 본질이 중요하지 조선인 DNA로는
@menssanoincorporesano
@menssanoincorporesano 2 жыл бұрын
@@JapanKorea824 GDP (국가총생산) 에서 세계 1위가 아니라 일본이 한참 호황 때 아주 잠시 미국의 1인당 평균소득(PCI - per capita income) 을 상회했던 적이 있었습니다만 그 후 경제가 계속 저성장이 지속되면서 일본 PCI 는 현재 미국 대비 약 46% 정도입니다. 2022년 현재 미국 $75,180, 일본 $34,358, 한국 $33,593. 대부분이 유산국가나 유럽의 작은 국가들이지만 세계에 PCI 가 미국보다 앞선 국가는 꽤 여럿 됩니다. 최고치였던 1960년 미국 경제는 세계 GDP의 거의 29% 를 차지했었습니다. 70년대 이전에는 미국 소련 독일 순이었는데 70~ 80년대 무렵 일본이 3위였다가 급발전한 80년대를 거치면서 미국 뒤를 이은 2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리하여 1995년 미국 GDP 71%까지 접근했으나 그 후 계속 격차가 벌어지면서 중공에 2위 자리를 내어 줌은 물론 2022 년 현재 미국의 20% 미만으로 집계되었습니다. 미국 25조 달러, 일본 4.3조 달러.
@JapanKorea824
@JapanKorea824 2 жыл бұрын
@@menssanoincorporesano 그건 나도 안다 미국이 야비한거지 경제를 정정당당하게 승부를 봐야지 플라자 합의 아니였으면 일본이 세계 1위다 이제는 중공한테 따라 잡혀도 속수무책 일본사람들 참 교양있고 매너있다
@menssanoincorporesano
@menssanoincorporesano 2 жыл бұрын
@@JapanKorea824 그 교양있고 매너있는 일본인 흉내라도 좀 내시지. 치졸하고 비겁하게 익명 뒤에 숨어서 상대가 누군지도 모르면서 그렇게 몰상식하고 예의 없이 반말로 ***지 말고 말입니다. 옛 성현 말씀이 무릇 사람이 禽獸(금수)와 다른 것은 예의를 안다는 것이라고 하셨는데 상대가 금수와 다를 바 없다면 더 이상 대화를 나눌 가치가 없어 보입니다.
@JapanKorea824
@JapanKorea824 2 жыл бұрын
@@menssanoincorporesano 유교사상을 숭배하는 BS이구만 본질을 안보고 자꾸 개헛소리를 해 그러니까 니 인생이 시궁창인 거야 ㅎㅎ
@epicse5269
@epicse5269 3 ай бұрын
남북통일이 이래서 필요한거다. 국가존속을 위해.
@choiwoojin0722
@choiwoojin0722 3 ай бұрын
사람고쳐쓰는거 아니다 북인민 중국으로 몰아내버리고 한국인들리 영토먹어야지 뭔 통일
@JL-fq1cn
@JL-fq1cn 2 жыл бұрын
중국 인도 파키스탄 이집트 인도네시아......정말 미래는 위험하다..그리고 한국은 에디오피아 방글라데쉬에도 뒤쳐지는구나. 진짜 큰일이다
@Xbow_master
@Xbow_master 2 жыл бұрын
미국 유럽의 붕괴ㅠㅠ
@user-yesandgogo
@user-yesandgogo 2 жыл бұрын
비11
@김성식-g9j
@김성식-g9j 6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수퍼 울트라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서 결국 국가소멸인가... 신이 도와준다면 전쟁없이 평화통일이 되는것이 그나마 살 길이다. 머니머니해도 인구가 답이다.
@Yeonrisi
@Yeonrisi 2 жыл бұрын
그저 인구수 많으면 살아남고 인구수 적으면 폭망한다는 논리인데 코로나 같은 변수가 앞으로도 더 많을건데 그런 변수는 하나도 고려되지 않았네요~
@baltopegginddae
@baltopegginddae 2 жыл бұрын
골드만삭스가 님보다 몰라서 그랬겠어요? 설마...
@Yeonrisi
@Yeonrisi 2 жыл бұрын
@@baltopegginddae 그니까요~ 골드만삭스 정도면 더 그럴싸한 분석 기사를 내는게 맞지 않나요?
@카야-z9e
@카야-z9e 2 жыл бұрын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전쟁을 예상이나 했을까요 변수는 항상 있는법 말 그대로 예측일뿐
@김유진-b9f6q
@김유진-b9f6q 2 жыл бұрын
이런 것들을 정부정책하는 사람들은 전혀 생각하지 못하는가. 장기적 플랜을 세워야 될듯. 정말 집값 내려야된다. 물가를 내리고 애들 많이 나을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야한다.글구 적극적 통일 정책을 통해 인구를 늘려야한다. 새로운 동력을 찾아 나서야하겠지.
@서울의달47년전
@서울의달47년전 2 жыл бұрын
출산문제는 백년이 지나도 절대 해결되지는 않을듯. 혼자사는사람 점점 늘어나고 이대로라면 한국토종인 비율 50% 다민족50% 쯔음되면 결국 혼혈인나라로 변해감. 하지만 이것도 다 경제성장과 연관되어 있어서 익숙해짐. 과거 80 90년대와 지금 현재와 비교만봐도 외국인 얼마나 한국에 정착해서 살고있는지 알수가있음.
@은사랑예
@은사랑예 2 жыл бұрын
나라가 이대로 유지되면 가능하겠지만 글쎄... 그때 그때 어떤 상황이 일어날지 모른다는것.. 소련이나 유고슬로비아가 분열되어서 갈리듯이 중국이나 다른국가들이 분열이 될수도 있음... 또한 독일처럼 통일이 이루어지는 나라도 나올수도 있고..
@화숙조-e4n
@화숙조-e4n 2 жыл бұрын
인구절벽인나라젊은이들을위한시급한대책이필요합니다ᆢ살아갈수있는혜택결혼과가정미래를향해결혼하면무료로아파트와자녀낳음국가지원함누가결혼안할까요ᆢ국개들주는월급연금다없애라서민들의피~입니다
@이런개같은-m6x
@이런개같은-m6x 2 жыл бұрын
1개 빼고 다 맞춤 멕시코 또는 터키가 들어 갈 줄 알았는데.....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CatLover0513
@CatLover0513 9 ай бұрын
75년까지 살아서 결과 보고 싶네요.ㅎㅎ 의학이 계속 발전중이니 어쩌면 ㅎㅎ
@전재일-j6o
@전재일-j6o 2 жыл бұрын
사기순위 인듯~ 무슨 파키스탄 나이지리아 브라질 이집트 인도네시아 ~ 코미디 하냐?
@flocerkim7057
@flocerkim7057 Жыл бұрын
ㄴㄴ, 브라질, 인도네시아는 가능성이 아예 없진않음(인구빨)
@Redrose-gx2tn
@Redrose-gx2tn 6 ай бұрын
1년 전 댓글임을 감안해도 2023년 브라질 GDP는 13위로 14위였던 한국보다 높았고, 인도네시아는 16위로 역시 순위상 엄청난 차이 없음. 무식하면 이딴 댓글이나 다는구나 ㅋㅋ
@푸른마늘
@푸른마늘 5 ай бұрын
인구가 많지만 발전저해요인을 고려하지 않고 인구로만 전망한것같습니다. 중요한건 한국도 인구유입할 수단이 있습니다. 모두 불가능할꺼라는 북한이죠. 4대까지 가면 몇년못가 붕괴될껍니다. 한국은 북한을 투자하고 인력을 충당하며 다시 성장할수 있게 될겁니다. 탈북자들이 의외로 체제세뇌에서 잘 바뀌었다는걸 안다면 부정적으로 볼순 없을겁니다. 다만 중국이 깡패화될게 기정사실이라 이에 대한 대처가 중요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또 ai시대를 맞이해서 생산인력 소비시장인구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jtlim40
@jtlim40 2 жыл бұрын
그냥 웃지요! 인구만 많으면 그냥 경제도 성장한다. 웃지요
@jongmyoungpark1114
@jongmyoungpark1114 5 ай бұрын
목숨이 붙어있느냐가 중요할것 같은데...
@pioneers3224
@pioneers3224 2 жыл бұрын
고령화 걱정은 맨날 하면서 결혼은 안해....애도 안낳아...
@top10contents
@top10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어디서부터 뭘 고쳐야할지가 막막한 상황이네요.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위 조심하세요
@진우안-p3o
@진우안-p3o 2 жыл бұрын
결혼을 안해? 못해!! 애를 안낳아? 못낳아!!
@아이리스-n4s
@아이리스-n4s 2 жыл бұрын
걱정만 한다고 되나요.. 실질적인 문제인 이 나라의 국가구조를 전면 개혁해야 하는데 누구하나 할 사람이 없죠ㅋㅋ
@이수진-v2f8u
@이수진-v2f8u 10 ай бұрын
코로나보다저출산문제와정치못했던 몇몇 대통령들때문에 우리나라가 현실적으로더힘들어지는거같네요
@세석초롱
@세석초롱 2 жыл бұрын
골드만 삭스 개발질은 유명하니 저렇게는 안되겠군요.
IMF가 전망한 2028년 아시아 경제강국 Top 10
8:45
지식스쿨
Рет қаралды 469 М.
Quando eu quero Sushi (sem desperdiçar) 🍣
00:26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When you have a very capricious child 😂😘👍
00:16
Like Asiya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How to treat Acne💉
00:31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108 МЛН
黑天使被操控了#short #angel #clown
00:40
Super Beauty team
Рет қаралды 61 МЛН
What you didn't know about Samsung.
1:35:37
세상의모든지식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최근 잘 나간다는 대만의 약점 Top 7
8:26
지식스쿨
Рет қаралды 104 М.
Quando eu quero Sushi (sem desperdiçar) 🍣
00:26
Los Wagners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