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문제 2번의 작업과정을 설명한 동영상 으로 주회로 배선작업 과정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채널에 가입하여 혜택을 누려보세요. 가장 쉽고 빠르게 전기기능사 실기를 준비할 수 있습니다. / @yongsumalpt
Пікірлер
@두환전-y8y Жыл бұрын
완전 최고네요. 아무 필요도 쓸모도 없는 기능사 이해도 뭐도 안되어서 버리려다가 쏙 이해가 되네요.
@마동식-j7e Жыл бұрын
쉽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최고 입니다!
@yongsumalpt Жыл бұрын
격려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하성한-c7b4 ай бұрын
원장님의 명품 강의 덕분으로 합격하게 됨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나길-l1n4 ай бұрын
결선하는게 너무 어려웠는데 천천히 설명해주시면서 해주시니까 정말 많은도움이됩니다. 너무 감사드려요. 지금 따라하며 배우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꾸벅
@yongsumalpt4 ай бұрын
아래에 링크한 재생목록에 여러 과제들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youtube.com/@yongsumalpt?si=hQ_Ol3toLYzAhTMK
@nabatalk3716 Жыл бұрын
2번 보았습니다. 언제나 명쾌한 해설 감사드립니다.!!
@조각배-y5n Жыл бұрын
응원합니다.
@chlee31003 ай бұрын
안녕하십니까. 교수님 강의 참고하면서 실기를 준비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특히 배관작업 강의는 저에게 살이되고 피가 되어 시간 단축에 도움이 많이 됩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그런데 강의가 방대해서 제가 못찾은건지 뜬금없는 유튜브영상에 이런 질문을 올리고 또 이미 다른 강의에서 말하셨다면 두 번 말하게해서 죄송합니다. 제어판의 주회로, 보조회로든 단자에 전선 피복을 벗긴 구리선을 연결할때 전선의 구리선이 꼭 단자 끝에 닿아야 하나요? 제가 제어판 연습하면서 구리선이 굳이 단자끝에 안닿으면서 하고 있습니다. 물론 전선피복이 단자에 안물리게 주의하면서 하고 단자에 접점된 전선을 잡아당기면서 전선이 단자에 잘 고정되어 있는지 확인하면서 제어판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마지막 벨테스트가 끝나면 다시 한 번 더 확인하고 그럽니다. 그런데 제 방법이 틀렸나? 이생각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yongsumalpt3 ай бұрын
단자끝까지 밀어 넣으면 그만큼 전선이 빠질 염려가 줄어듭니다. 그렇게 하지 않더라도 단자에 충분히 접속만 되면 괜찮습니다.
@chlee31003 ай бұрын
@@yongsumalpt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sky-kq9wb Жыл бұрын
항상 쉽게 설명해 주셔셔 많은 도움이 되고, 너무나 감사드립니다. 제가 23년도 1회 전기 기능사 실기 시험을 봤는데, 접지선을 FLS 1번과 연결해서 탈락되었습니다. FLS 1번이 아닌 E3 단자대에 연결해야 된다고 하더라구요 시험 치기전에 연결선이 바뀌면 (2.5 와 1.5 SQM) 탈락이라고 고지를 해 주더라구요 무엇이 맞는지 지금도 아리송 합니다...
@yongsumalpt Жыл бұрын
FLS 1번에 연결해서 탈락한 것이 아닐겁니다. 다른 이유가 있겠죠... 공개문제 도면의 7페이지에 '플로트레스 스위치 FLS의 보호도체 (접지) 결선은 제어판 (TB6 또는 FLS 소켓)에서 보호도체 회로 전선으로 실시합니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접지관련 영상 링크입니다. kzbin.info/www/bejne/pprZhaGme96KmJI kzbin.info/www/bejne/gXiaeXerhrp8aNU
@user-tk9mh2pn7q4 ай бұрын
6:19 여기서 PE랑 FLS1 번을 왜 연결하는건가요? 이해가 안됩니다
@yongsumalpt4 ай бұрын
아래의 링크를 보시면 왜 연결해야 하는지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youtube.com/@yongsumalpt?si=hQ_Ol3toLYzAhTMK
@윤불멸5 ай бұрын
작업 전에 나사를 모두 풀어주고 시작하는 것이 빠른지 작업하면서 푸는 것이 빠른지 궁금합니다.
@yongsumalpt5 ай бұрын
모든 나사를 다 풀어 놓는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고, 주회로 작업시에는 필요한 나사를 풀어놓고 작업하면 더 빠를 수 있습니다. 결론은 본인이 편한방법을 선택해서 작업하면 됩니다.
@SoulwAx08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시험때 절연장갑을 꼭 끼고 작업해야되나요? 만약 그렇다면 잠깐이라도 벗어도 안되는건가요?( 마스킹 테잎 사용이 어려워서요..)
@yongsumalpt Жыл бұрын
부상방지 차원에서 착용하는것이므로 언제든지 벗어놓고 작업이 가능합니다.
@밝은미소-q3o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저는 배선작업 하다보면 보조회로를 먼저 결선하고 주회로를 맨나중에 결선하는 것이 좋은데 그래도 되는지요? 대분분의 작업영상이 주회로를 먼저결선해서 꼭 지켜야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yongsumalpt Жыл бұрын
시험에서는 그런규정은 없습니다만 공식적으로 주회로를 아래쪽에 제어회로를 위쪽에 배선합니다. 전기와 관련된 모든작업이 다 그렇 습니다.
@nabatalk3716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안녕하세요? 영상 잘 시청하고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한가지 궁금한게 있어서요, EOCR 7,8,9에서 MC1의 1,2,3번으로 먼저 가지 않고 MC2 1,2,3번으로 먼저 갔다가 MC1 1,2,3번으로 가는 방법으로 순서를 바꾸어서 배선하는 것도 가능한가요? 저는 직각보다 직선부분 배선이 더 힘들고 모양도 안나서 순서를 바꾸어서 하고 싶은데 그래도 상관없을까요?
@yongsumalpt Жыл бұрын
MC2, MC1순서로 배선해도 됩니다.
@nabatalk3716 Жыл бұрын
@@yongsumalpt 네 잘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이형곤-o1w8 ай бұрын
혹시 FLS 접지는 TB6의 E3단자나 FLS 1번 단자에 연결하면 된다고 하셨는데 E3단자, 1번단자 둘다 연결해도 상관은 없는지요
@yongsumalpt8 ай бұрын
제어회로 도면에 둘중에 하나를 연결하면 된다고 표시되어 있는데 굳이 2개를 연결할 필요는 없죠. 둘다 연결해도 안되지는 않지만 단자부족으로 위쪽단자대에 별도로 선을 연결해야 합니다.
@원승열 Жыл бұрын
공개문제 12번 주회로 배선작업은 없나요
@yongsumalpt Жыл бұрын
일반 공개는 없고 회원전용 영상에만 있습니다.
@최하영-o2m Жыл бұрын
2.5MM 각 선을 2바퀴라고 하신말씀을 이해못했습니다 각선이 5M씩 지급됩니다 어떻게ㅡ 두바퀴인가요?
@yongsumalpt Жыл бұрын
4가닥을 한꺼번에 감아서 지급하는데 5바퀴 정도로 감겨져 있습니다. 처음부터 2바퀴를 자르는게 아니고, 한바퀴를 잘라 사용하고 부족하면 필요한 만큼만 더 잘라서 사용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