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만 바꿔도 서울대 의대 가능한 과목별 공부법 (의대생, 국어 공부법, 영어 공부법, 올바른 학습법) [스튜디오S]

  Рет қаралды 205,094

HCN 핫콘뉴스

HCN 핫콘뉴스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203
@김규민-x9p
@김규민-x9p 4 жыл бұрын
오늘은 "공부의 정도"에 관한 내용이 올라왔군요 :) 공부의 정도는 계단식 단계이기 때문에, 전 단계를 온전히 밟지 않은 채로 다음 단계로 뛰어넘으려 하면 정말 힘듭니다. 마치 제자리높이뛰기로 벽을 뛰어넘으려는 것과 같지요. 그러니 공부의 정도를 차분히 한 단계씩 온전히 밟으며 걸어가시면 참 좋겠습니다ㅎㅎ 4단계 정확한 방법은 학문의 본질에 대해 파고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문의 본질에 대해 파고든다는 말은 다음의 세 질문에 답을 내리는 것을 의미하지요. "나는 이 학문을 왜 학습하는가?" "이 학문이 나에게 요구하는 능력은 무엇인가?" "그 능력의 향상을 위해 어떤 훈련을 해야 하는가?" 이 세 가지 질문에 대해 답을 내리는 과정에서 가장 필요한 것이 바로 "허물기 학습"입니다. 성급하게 안다고 착각하고 답을 내리시지 마시고, 끝없이 자신의 "선이해"를 부정하고 허물어뜨리는 노력의 연속이 곧 학문의 본질로 나아가는 발걸음이고, 바로 그 과정에서 성장하는 것이며 진정한 "학습의 즐거움"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다음 주 화요일에는 이제 수학에 관한 영상이 올라올 것 같군요! 제 말씀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다니 참 다행이고 감사합니다😁 혹시 추가로 개인적으로 물어보고 싶으신 것이 있으시다면 인스타그램 drawing_the_dawn 으로 디엠 주세요:) 제가 요즘 계속 바빠서 지금 쌓인 디엠이 스무 개가 넘기는 하지만 그래도 아무리 늦어도 1~2주 내에는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해보겠습니다🏋️‍♂️ 학습의 축제 속을 걸어가시는 여러분 모두를 큰 애정을 가지고 응원하고 있습니다. 항상 행복한 학습을 만끽하실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user-cg5sk2jg2i
@user-cg5sk2jg2i 4 жыл бұрын
형믿고 중1인데 설의대가겠습니다!!
@take5311
@take5311 4 жыл бұрын
중등 학부모에요. 오늘 이야기 들으며. 소름 돋앗어요. 어떤 공부든 한가지로 관통한다는 말 정말 동감합니다. 저희 아이도 깨달앗으면 좋겟네요. 너무나 훌룡한 내용 고맙고. 다음편 정말 기대됩니다! 공부법강의 하시면 좋겟어요^^ 놀랍네요~
@sarangkim6373
@sarangkim6373 4 жыл бұрын
blog.naver.com/mentalistic/222035724463 이책이요!! 강추!!!!!!!!
@알맹이-c7b
@알맹이-c7b 4 жыл бұрын
혹시 문학은 어떤 마음가짐이나 체계로 공부하셨는지 알 수 있을까요?
@항상즐겁게-l7g
@항상즐겁게-l7g 4 жыл бұрын
0
@smartsupporter153
@smartsupporter153 4 жыл бұрын
왜 공부를 하고 있는가? 내가 제대로 알고 있는가? 공부하며 이 두 질문을 끊임없이 하신 것 같네요. 공부 경험 상세히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부하시는 모든 학생분들 응원합니다!!
@냥냥-l3u2k
@냥냥-l3u2k 4 жыл бұрын
공부를 되게.. 깊게 하시는 것 같아요. 정말 시험만을 위해 점수만 잘 받으려고 하는게 아닌 공부를 위한 공부를 하시는 것 같네요. 많이 참고하고 갑니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닷!👍
@윤소현-l6k
@윤소현-l6k 4 жыл бұрын
저는 어제 영상이랑 이번영상도 사회자분이 정말 알기쉽게 얘기해주시고 잘 요약해주신다고 생각했어요 !! 저는 더 이해도 잘하고 분위기도 좋아서 너무 재밌게 봤습니당 😊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영상 알차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앞으로도 달려볼게요~!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ㅎㅎ감사해요 더 열심히 하겠습니당😁
@eungmikim3867
@eungmikim3867 2 жыл бұрын
공부를 마음으로 하시네요. 참 공부. 인간을 더 인간답고 행복하게 하는 삶을 위한 공부학습법. 보통 이상의 깨달음의 공부네요. 앞으로도 공부를 어려워 하는 많은 어린아이들 , 또 공부를 못해서, 다시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쉽고 정확하고 재미있게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영상부탁드려요. 감사해요. 응원합니다. 공부를 하는 이유는 두분의 대화를 들으면서 삶의 통찰력 , 결국엔 명확한 깨달음이네요. 항시 공부할때마다, 안개가 끼듯이, 보이지 않는 어두운 터널처럼 답답하고 싫었는데요. 현실에 깨어있는 공부법 머리가 맑아지는 것 같네요.
@김나은-u9g
@김나은-u9g 4 жыл бұрын
영상과는 무관한 얘기지만 너무 궁금해서 댓글 남겨요! 지수가 자연수가 아닌 경우는 사전적 의미로 이해가 되지 않아서 네이버든 구글이든 쌤들한테든 부모님한테든 다 찾아보고 여쭤봤는데 '지수법칙이 성립하므로 만들어진 약속'이라는 마냥 명쾌하진 않은 결론이 나오더라구요 저 진짜 궁금했거든요ㅜㅜ 혹시 아시는 분 여기 계시면 설명해주세요 부탁드립니다유ㅠ 그리고 영상 정말 잘 봤어요! 도움되는 알짜배기 영상인 것 같아요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앗😭
@al_songg
@al_songg 4 жыл бұрын
공부의 정도(바른길) 1. ‘꿈’ 만일 의사가 되고 싶은게 꿈이라면, 나는 ‘어떤’ 의사가 되고 싶은지 생각해 보는 것 - 생각만 해도 막 가슴 벅찬 그런… 꿈 2. ‘주체성’ 학습은 스스로가 해야 하는 것이다 (운전대를 잡아라) 조수석에 타지 말고… 자신이 운전대에 앉아서, 자기가 우회전을 할 건지, 좌회전을 할 건지, 엑셀을 밟을 건지, 브레이크를 밟을 건지, 스스로가 결정을 하라. 3. ‘절실함’ 다른데 에서도 절실함을 느껴본 사람들은 공부에도 절실함을 적용시키기 쉽다. e.g) 절실함을 죽어도 못 느끼겠다 하는 사람은: 잠자기 전 500ml 페트병 물을 다 마시고, 다음날 일어나서, 화장실을 가고 싶어도 계속 참는다. 그리고 그 다음날 바로 화장실로 달려가는 그 기분 - 이게 절실함이다. 이때 누가 부른다고 해서 그 말이 들리지 않듯이, 이정도 절실함으로 공부에 임해야 한다. 4. 공부를 올바를 학습법으로 공부하는 것 ‘허물기 학습’ 1. 쌓기 학습 - 이전에 몰랐던 걸 더 알고, 더 지식을 넓혀 나가는 것 2. 허물기 학습 - 내가 기존에 갖고 있던 지식 틀(선 이해)를 허물어 뜨리는 것. 난 이거를 사실 잘 몰라.. 라는 식으로. 내가 모르는 것을 찾아서 개념을 무너뜨리고 계속 적용하는 것(난 이거 잘 몰라…를 계속해서 반복한다) 저도 오늘 밤에 500ml짜리 생수를 들이켜봐야겠네요 ㅎㅎ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우와...! 요약 감사합니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절실함..! 꼭찾기 바래요😭
@son6716
@son6716 4 жыл бұрын
방광 터질듯
@냥냥이-v4s
@냥냥이-v4s 3 жыл бұрын
1. 꿈을 갖기(어떤 의사가 될것이냐) 2. 주체성 갖기(스스로) 3. 절실함 갖기 4. 올바른 학습법으로 공부하기 - 허물기학습. 지식쌓기후 그걸 더깊게 파고들어서 모르는게나올때까지 파보기(그래서 그게뭔데?) 국어 : 의사소통을 잘하기위해 출제자의도방향에 맞는 질문을 하도록 반응회로만들기 영어 : 단어암기 하루 정해놓고
@Co-p6q
@Co-p6q 4 жыл бұрын
장현우님 너무 잘생기셨다..착해보이고 잘생기겼어....하 짱이에요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ㅎㅎㅎㅎ !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ㅎㅎ감사해요🥰
@서울대모람모람공부법
@서울대모람모람공부법 4 жыл бұрын
대화한다고 생각하면서 공부하는건 진짜 생각도 못해봤는데.. 아직 실행해보기 전인데도 진짜 유용한 방법 같아요..!!ㅋㅋㅋ "아니, 형!" 하시는거 완전 웃겼습니다ㅋㅋㅋ 꿀팁 감사해요!!
@찡긋-x6j
@찡긋-x6j 4 жыл бұрын
지식인들 끼리는 통하는게 있나보다.. 두분 다 멋져요!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닷!
@듕절듕절
@듕절듕절 4 жыл бұрын
이거 진짜 맞는 공부법임 저도 중2이지만 많은 공부법을 찾아봤지만 질문하는거 진짜 중요
@kkkkk2962
@kkkkk2962 4 жыл бұрын
10:16 헉..🤭 어떡해요 나 어떻게해요 가 맞는 표현입니당
@j-f3i
@j-f3i 3 жыл бұрын
참 도움되는 말씀이고 감사한데 옆에 진행하시는 분이 너무 불필요하게 강박적으로 추임새를 넣는 느낌이 있습니다. '나는 MC니까 멘트를 쉬면 안돼' 또는 '아 나도 그거 아는 거니까 안다고 표현해야지' 이런 느낌이 너무 강해요. 이 영상 보러 온 사람들은 저 게스트의 말을 들으러 온 거니까 그냥 게스트가 길게 좀 말하도록 놔두고 꼭 필요할 때만 진행멘트 하시면 더 좋을 것 같아요. 밑에 댓글에 답글 다신 거 보면 국어에 적용하는 말씀 하신 걸 지적한 걸로 오해하시는 거 같아서 덧붙이자면, 그런 건 필요한 설명이었다고 생각해요. 게스트가 국어에 적용하는 말까지 하지 않을 것 같아 보였으니까요. 그냥 단순히 말을 적게 하라는 의미가 아니라, 게스트가 한 말이 시청자가 이해하기 좀 어려운 부분인 것 같고 게스트도 더 이상 부연설명없이 말을 끝낼 것 같으면 거기에서 대해서 좀 더 설명을 하도록 이끌어내거나 아니면 MC가 아는 부분이면 직접 부연설명을 해주는 정도가 좋은 것 같아요. 그런데 이 영상에서 MC는 의욕이 과한 건지 다른 이유가 있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두가지가 있어' 이러면 바로 이어서 '두가지?' 이러고, '쌓기와 허물기' 이러면 바로 '음~ 느낌만 들어서는..' 이러면서 뭔가 게스트가 먼저 말해버릴까봐 경쟁하듯이 먼저 말해버리고 '와~ 하나 맞췄다' 이렇게 필요없는 말을 자꾸 하죠. 이런 상황에서는 분위기상 가만히 놔두면 게스트가 그 두가지가 뭔지, 쌓기와 허물기가 뭔지 바로 이어서 설명을 할 거라 예상이 되는데도 말이죠. 그리고 '허물기'는 어려운 용어도 아니라서 누구나 다 알고 있을 법한 용어인데도, '그 허물기라는 게...'이러면서 설명을 붙이고, 가만히 놔두면 설명을 할 건데 굳이 흐름을 끊으면서 '허물기 학습? 자세하게 설명을 해줘' 이런 것들이 불필요하다는 말이었습니다. 10:00 에 보면 게스트가 '쪼끔만 더 얘기하면..' 이렇게 말을 시작하잖아요. 말이 끊겼다는 겁니다. 본인이 말하고 싶은 주제가 나왔더라도 자제하고 게스트가 충분히 말을 다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게 MC의 역할이라고 생각해요.
@yyyyr7504
@yyyyr7504 4 жыл бұрын
공부에 대해 절실함은 미래에 대해 생각해보고 이대로 가다간 답이없다고 생각하면 절실함이 생겨요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
@응그래-c5n
@응그래-c5n 4 жыл бұрын
와 절실함을 느껴본 사람이 공부에 더욱 쏟을수 있다는말 진짜 ㅠㅜㅜㅜ 너무 공감 되네요ㅠㅜ 저도 중학생때 되고 싶은 꿈이 있었는데 ㅠ 영상에 의대생분처럼 저도 신체적인 점이랑 어렸을때부터 약간의 콤플렉스 처럼 생각해오던 것이기도 했고 어린데 완벽해지고 싶은 마음이랑 너무 당장 절실하고 잘하고 싶고 중학생때 인데 마음이 너무 복잡했죠 ㅋㅋㅋ ㅠㅜㅜ 잘하고 싶은 마음은 너무 커서인지 열심히 연습할때 만큼 실전에선 잘 안나오고 ㅠㅜ 결국에 꿈보다는 그냥 취미로 즐기자하고 결국 꿈으로써는 포기하고, 그냥 고닥교 와서 공부 열심히 하려고 노력중인 상태이지만 ㅎㅎ ㅠㅜㅜ 확실히 다른 꿈을 가졌을때 가진 간절함 초조함을 공부에 쏟아 부으니 정말 확실히 더 오기가 생기고 예전에 목표가 없던때보단 참 의지가 생기는게 신기 한것 같아용 책상에 앉기도 힘들어했는데 이제는 독서실 다니면서 ㅠㅜ 최대한 열심히 노력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ㅠㅜ 정말 사람이 귀찮음 그 자체 였는데 완전 엄청난 발전이에요 ㅋ큐ㅜㅜ 좋은영상 잘보고 갑니다 !!
@jm5589
@jm5589 4 жыл бұрын
서울대,,,,,,의대,,,,,,,수석,,,,,,,
@Cherish-b5q
@Cherish-b5q Жыл бұрын
ㄷㄷ.. 수능만점 클라스
@린유니
@린유니 4 жыл бұрын
두분 공부 잘하셨던것 뿐만아니라 뭔가 삶을 대하는 태도 자체가 다르고 멋있는거 같네요^^ 아직 어린아이 엄마인데 ~어쩌다 끝까지 다보고갑니다ㅎ
@모르겠는이름
@모르겠는이름 4 жыл бұрын
역시 의대생...비유가 미쳤음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편집하다가도 놀람...! 😬)
@베니-j4g
@베니-j4g 4 жыл бұрын
중1 학생 학부모입니다. 이 두분의 영상을 모두 보면서 와~ 하는 감탄이 절로 나왔어요. 공부얘기를 하고있지만 공부만의 이야기가 아닌것 같았어요. 사실 '삶에 대한 이야기'. '삶을 대하는 자세' 를 이야기 하고 있는것이라 생각합니다. 어쩜 제가 살아온 시간의 반도 살아오지 않은 분들이 이리 깊은 삶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실 수 있는걸까요. 다만 그 통찰력을 부여한 주제가 "공부" 였을 뿐.... 인생을 살아가면서 공부가 아닌 또다른 난관을 만났을때, 40대가 됬지만 아직 꿈을 찾지 못했을때, 삶이 절실하지 않아 매일이 지칠때, 우리 딸이 힘들어할때..이 젊은 두 깨우친자(!) 분들이 하셨던 얘기들을 듣고 들려주려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고 앞날에 축복 있으시기를 기원할께요!!
@hvnl
@hvnl 4 жыл бұрын
질문해도 될까요?? 허물기 학습을 할 때 그렇게 본질의 본질로 들어가다 보면 고등학생 과정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지식이 나올 거 같은데 그러면 어찌할까요?? 수학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고 찾아보니 논리학, 계산이론, 불완정성정리까지 발을 딛게 됐는데 대학 수학이 들어가서 이해를 못하겠어요
@김규민-x9p
@김규민-x9p 4 жыл бұрын
많은 학생들은 흔히 “선행”을 “무언가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접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착각하곤 합니다. 그렇지만 지금 경험해보셨다시피, 선행이라고 해서 무언가 새로운 개념을 접하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영상에서 말씀드린 허물기 학습이 아주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너무 자연스럽게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할 수 있게 되고, 너무 자연스레 이후의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내용으로까지 나아갈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중학교 때 배우는 “이차함수”단원에서, “포물선”이라는 용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허물기 학습을 한다는 것을 이를테면 “포물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는 것을 의미하겠습니다. 그리고 이에 대한 답변은 이렇습니다. “한 정직선과 한 정점으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같은 점들의 집합” 그리고 바로 이것이 고등학교 3학년 때 배우는 “기하와 벡터”의 가장 첫 단원, “평면곡선”에서 다루는 내용입니다. 또, 더 파고들어 “직선이란 무엇인가?” “점이란 무엇인가?” 이런 논의로 이어지면 유클리드 기하학의 가장 근본부터 보아야 하는데 이는 대학교에서 다루는 내용이지요. 이처럼 선행 학습은 무언가 따로 개념을 더 쌓는 과정이 아니라, 오히려 더 깊이 있는 학습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실제로 저도 고등학교 때 정말 깊이 있게 혼자 끙끙대다가 만들어낸 공식이 있었는데요, 대학교에 와서 미적분학에 관해 깊이 배우다보니 그 공식이 정말 등장하더군요. 굳이 선행해야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가장 정석적으로 깊이 있는 학습을 한 것인데도 말이죠. 자, 그럼 대학교에서 다루는 내용에까지 도착했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답은 간단합니다. 대학교에서 다룬다고 해서 이해하지 못할 내용인 것은 절대 아닙니다. 분명히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일 겁니다. 그렇지만 표현 방식이나 작성되어있는 글에 어려운 용어가 너무 많아 쉽사리 공감이 잘 되지 않을 수는 있을 겁니다. 바로 그럴 때에 필요한 것이 바로 “학습 도우미”, 즉 “교사”와 같은 교수자입니다. 쉽게 말해, 선생님께 들고 가라는 겁니다. 자고로 학습은 스스로 하는 겁입니다. 그렇지만 스스로의 힘으로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에 찾아가는 곳이 학교이고 학원이며 그 곳에 있는 학습 도우미입니다. 그러니 당연하게도 학습 도우미에게 찾아가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맞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든 끝까지 포기하지 말고, 그 바닥의 바닥까지 꿰뚫는 것입니다. 바로 그 과정에서 수학 학습이 이루어지니 말입니다.
@Iwannachicken
@Iwannachicken 4 жыл бұрын
공부의 정도 1단계 꿈을 갖기(~한 ~가 되고싶다) 2단계 주체성 갖기(스스로 핸들을 컨트롤하기) 3단계 절실함 갖기(반드시 그걸 해야겠다는 감정) 4단계 올바른 학습법으로 공부하기 허물기 학습 뭘 모르는지 뭘 아는지 확실하게 알기 쌓기학습 지식을 쌓아가는 학습 1.국어 대화(의사소통)을 잘하기 위해서 지문을 분석한다가 아니라,서술자와 대화한다고 생각한다. 질문했는데 아닌경우 생각해야 할 점 1.질문이 잘못되었나? 2.영어 영단어 외우기 이건 쌩암기고,지름길이 없다.체화가 되어있다면 건너뛰어도 된다. 나머지는 국어랑 같다 3.수학 이걸끊ㄴ
@이연지-g8t
@이연지-g8t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3.수학 뭐야 ㅋㅋ
@행복한y여사
@행복한y여사 4 жыл бұрын
아 정말...대화하듯 지문읽기는 공감하는 부분이라 넘 반갑네요. 어렴풋이 제가 하고 있던 것을 정말 명쾌하게 설명하는 걸 보니 정말 설대의대생 짱입니다요!!!!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닷~!
@이금철-n7w
@이금철-n7w 4 жыл бұрын
단어는 암기X 느낌으로 Ok? Ex)apple =사과? 강제 암기Nope apple =뻘건색 Ok? kill =죽이다? 강제암기X이해 굳이 Nope kill = 칼 Ok?
@shinshin5320
@shinshin5320 4 жыл бұрын
이해하기 쉽게 참 잘 설명해주시네요~ 가르치는데 소질이 있으신것 같아요~
@린피아노
@린피아노 3 жыл бұрын
와 ,, 정말 공부잘하시는 분들은 ,, 공부법이 역시 뛰어나네요 ,,
@채은-z3v
@채은-z3v 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열심히 보고 갈게요~!!!
@tpwkpk
@tpwkpk 3 жыл бұрын
이걸 보고 처음 생각해보기 시작했어요 나는 꿈도 있고 계획도 있고 목표도 모두 있는데, 그게 뭐든 그걸 당장 할 필요는 없지않나 같은 안일한 생각.. 저는 간절함이 뭔지도 몰랐던 것 같아요 이 영상을 통해 정말 진지하게 저를 되돌아보고 반성하며 배울 수 있었어요 감사합니다
@리호영-b6s
@리호영-b6s 4 жыл бұрын
고2부터 항상 고정적으로 수학선생님이 꿈이였지만 절실함은 전혀없었어요 7월모의고사보고나서 현타오고 3일째 4시간씩자면서 공부하고있습니다 작심3일 아닙니다; 7월 21일 20시-1시 5시간 7월 22일 20시-2시 6시간 7월 23일 20시-2시 6시간 7월 24일 19시-1시 6시간 근황 궁금하면 계속 물어봐주세요 딴짓안하고 공부에만 6시간씩 투자하고있어요
@에스티-g8y
@에스티-g8y 4 жыл бұрын
멋있네요 힘내세요!!!
@리호영-b6s
@리호영-b6s 4 жыл бұрын
@@에스티-g8y 감사합니다
@정회광이과대학화학
@정회광이과대학화학 4 жыл бұрын
4시간씩 자는데 공부는 6시간이면 딴시간에는 뭐하시는지..
@리호영-b6s
@리호영-b6s 4 жыл бұрын
@@정회광이과대학화학 집에서 아침엔 준비하는데 한시간 그리고 집에서 저녁먹을때 집올때 30분 그리고 어머니가 오시고 저녁할때까지 1시간 대화 자주하는게 멘탈관리에도 좋을거라생각해서 자주해요 그리고 집와서 씻고 잘때까지 운동하고 자기때문에 한시간반정도걸립니다
@리호영-b6s
@리호영-b6s 4 жыл бұрын
@@정회광이과대학화학 나머지 한시간정도는 제가 집중하는시간이 아니라서 뺐어요 30분정도는 졸기도하고 해서 5시간도자봤지만 똑같이 30분정돈 졸더라구요 어차피 졸거 4시간자는게 낫죠
@사랑해-w6d
@사랑해-w6d 3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 2학년... 시작도 늦었고 꿈도 늦었지만 절실합니다 ㅠㅠ 곧 학업을 중단할 수도 있는 상황이 올 수도 있어서 더 소극적이게 되고 절실한 것 같아요 아직도 할 수 있을 거야와 못 할 것 같아가 싸우고 있지만 이 영상 보고 힘이 된 것 같습니다
@이상원-g1c
@이상원-g1c 4 жыл бұрын
저는 지금 중3인데 저도 저 의대생분이랑 똑같이 농구선수되고싶어서 도전했다가 키때문에 포기하게됬습니다. 농구가 너무좋아서 고등학생때도 지금만큼은 아니더라도 하고싶고 공부도 많이해서 서울에있는 대학가고싶은데 둘다하는건 힘든가요? 딴거 다 접고 농구랑 공부만하는것도 가능한데/...
@Kyj0319
@Kyj0319 4 жыл бұрын
와 C... 시험 4일 남았는데 한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해요 알러뷰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시험 찢어버리고 돌아오세요!!!
@김경민-k7k
@김경민-k7k 4 жыл бұрын
진짜 도움이 될꺼같습니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닷!
@goldrora5930
@goldrora5930 3 жыл бұрын
우와 정말 도움이 되었습니다아!! 알려주신 공부법 참고해서 꼭 카이스트 합격하겠습니다!! 중간고사 성적이 안나와서 걱정이 나왔는데 이대로만 하면 평균 100점도 가능할 것 같아요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당!!
@ash-jo7kt
@ash-jo7kt 4 жыл бұрын
절실함 이게 진짜 가장 좋은 말씀이신거 같네요
@행복전사
@행복전사 4 жыл бұрын
저번에 수의예과 재학중이셨던 동천님 한석님 영상 미공개분(생기부, 수의예과 입시 관련, 교내 활동) 올려주시면 안될까요? ㅠㅠ 수의대 지망생으로서 큰 도움이 될듯하네요!! 주변 친구들한테 홍보 많이 하고 있어요 ㅎㅎ 항상 도움 되는 영상 감사합니다😊
@김성현-d3x
@김성현-d3x 4 жыл бұрын
첫번째 단계부터 어려운데...
@user-sl5vr9hj1x
@user-sl5vr9hj1x 4 жыл бұрын
10:16 어떡해요... 10:59 11:00 감금돼서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ㅠㅠㅠ피디님이 혼자 많은 양을 편집하시다 보니 실수가 조금 있으신 거 같아요!! 저희도 앞으로 줄여보도록 노력해볼게요! 지적 감사합니다!
@user-sl5vr9hj1x
@user-sl5vr9hj1x 4 жыл бұрын
@@장현우-y9e 아니에요 덕분에 저에게 맞는 공부법을 하나씩 찾아가고 있어서 감사드려요. 피디님 한분이 편집을 하는지는 몰랐는데 많이 힘드시겠네요!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좋은 지적입니다~! 조금 더 실수 없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영상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꼭...! 봐주세요..
@user-sl5vr9hj1x
@user-sl5vr9hj1x 4 жыл бұрын
@@SKYHCN 녜!
@스껄이다냥
@스껄이다냥 4 жыл бұрын
9:34 귀여우셔 ㅎㅎㅎ 잘 듣고 공부하러 가용 감사합나댜!!!
@pegion8718
@pegion8718 4 жыл бұрын
으아앙아ㅏ아 수학!!!!! 수학 공부법이 필요하다!!!!!! 기다릴 수 없다!!!!!!!!
@엄준식-p1v
@엄준식-p1v 4 жыл бұрын
화요일이 수학셤인데..
@YoungjuCheon-i6u
@YoungjuCheon-i6u 4 жыл бұрын
첫 번째 단계부터가 안됩니다,,,, 꿈이 없어서 지금 방황하고 있는데 어떡하면 좋을까요,,,,,
@왈랄-x3g
@왈랄-x3g 4 жыл бұрын
와진짜 비문학 읽기 방법 너무 좋아요ㅜㅠㅠㅠ그럼 문제 말고 지문을 먼저 읽고 문제푸나요?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넹 당연하죠!!!
@김규민-x9p
@김규민-x9p 4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 사실 지문을 제대로 읽었다면 문제는 풀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지문을 다 읽은 그 순간, 어떤 문제를 맞추고 어떤 문제를 틀릴지는 이미 결정났기 때문이지요. 국어에서 지문을 읽는다는 행위는 수학으로 따지자면 풀이과정을 적어내려가는 행위이며, 국어에서 문제를 푼다는 행위는 수학으로 따지자면 답을 선지 중에서 찾아 체크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수학 문제를 풀 때에 먼저 선지 다섯 개를 보고 나서 풀이를 적어내려가지는 않지요. 마찬가지 논리입니다. 국어에서 또한, 당연하게 지문과 먼저 제대로 대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브루스리-t6m
@브루스리-t6m 4 жыл бұрын
혹시 3부는 언제쯤 올라올지 알려주실수있나요? ㅠㅠ 너무궁금해서 리플올려봅니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다음주 화요일 업로드입니다~!(4부)
@최현우-q6f
@최현우-q6f 4 жыл бұрын
와 진짜 학원 설명회 이상의 가치가 있는 영상이네요 고1 고2 예비수험생들 다 봤으면 좋겠는 고3 현역 수험생이었습니다
@illiter23
@illiter23 4 жыл бұрын
리처드 파인만 인터뷰가 생각나네요. 기자에게 끊임없이 이유를 묻던
@inM-r4t
@inM-r4t 4 жыл бұрын
진행... 진짜 잘하신다
@지혜-b7m
@지혜-b7m 4 жыл бұрын
우와ㅠㅜ 입시에서 방황하는 고1수험생 어린양에게 이렇게 유익한 정보를 알려주셔서 진짜 감사합니다😭💙 의대생분께서 하신 말씀 하나하나가 와닿고 옆에 사회자분께서 설명해주시는데 딱딱 이해가 잘 돼서 영상 보는 내내 진짜 감사했어요ㅠㅠㅠㅠㅠ 이런 좋은 영상 올려주시는 hcn도 완전 찐사랑입니다,,,❤️ 매일 행복하세요!!ㅠㅠㅠㅠㅠㅠㅠ
@김규민-x9p
@김규민-x9p 4 жыл бұрын
말솜씨가 많이 부족하지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다니 참 감사합니다ㅎㅎㅎ 늘 마음 한 켠에서 진심으로 응원하고 있겠습니다💐
@김동준-o3z8v
@김동준-o3z8v 4 жыл бұрын
꿈 먼저 알아야 하고 그 다음에 또 많은 중요한 단계들 있다고 생각하는데(너무 너저분하고 길어서 쓰진 못하지만..) 공부법을 계속 되묻고 되물어보신 분이 그 부분을 짚어주시니까 너무 좋다. 평소에 했던 생각들이 더 힘있어지는 것 같아서 좋다. 내가 해본 생각들 중에서 좀 중요한 부분이, 공부하는 실행력이 있으려면 앞서 설정해놓은 꿈에 대한 두근거림, 기대감에 너무 휘둘리지 않는 게 중요하다라는 건데, 이건 설명하자면, 맘에 드는 이성과 잘 되고 싶을 때 너무 혼자 푹 빠지면 안 되고 오히려 더 감정 주체를 잘 해야 된다는 얘기와 같은 맥락일 것이다. 목적에 눈이 멀어서 당장에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해야 할 것에 소홀하면 안 된다 라는 것이다. 이걸 왜 설명했냐면 이런 실행력에 대한 생각을 하면서도, 진짜 진짜 첫 스텝은 궁극적 목표인 꿈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라고 생각한다는 걸 좀 공유하고 싶어서. 난 할 수만 있다면 나만의 주체적이고 개성적인 노력을 하는 것을 통해서 좋은 공부 방법, 좋은 교육 방법, 누구나 꿈을 찾을 수 있는 제도적인 방법을 찾고 그것을 실현시킬 수 있는 정책을 고안해 책으로든 논문으로는 유투브로든 공유함으로써 사회에 기여하겠다는 꿈이 있다. 꿈에 대한 생각을 넘 많이 하다가 꿈 찾게 해주는 게 꿈이 됐다. 나는 근데 아직 어린 애 같아서 이렇게 글 하나도 잘 못 쓴다. 항상 더 노력하는 사람이 될 거다. 뭐 하다 새벽에 이란 얘기를 하게 됐는지. 지우기가 아까워 올려야겠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긴글 잘 읽었습니다!👍
@박소윤-f3f
@박소윤-f3f 3 жыл бұрын
꿈을 갖는 건 정말 중요한 것 같아요 주체성과 절실함도 필요한 것 같구요 일단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것 같네요 잘 모르고 있다고 생각해서 허물기 학습법으로 알고 있는걸 접근하는건 정말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심화공부에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Good-v3m
@Good-v3m 4 жыл бұрын
제가 고등학생때 이런 방법을 알았다면 서울대 의대 갔었을텐데.......아들에게 영상 공유합니다. 멋지네요!!!
@dawoom123
@dawoom123 4 жыл бұрын
방법 안다고 다 되면 좋겠네여
@legofood8173
@legofood8173 3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의대생은 다르긴 하네요. 깊이가 느껴집니다. 대단하네요..
@건건-h9f
@건건-h9f 4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들 감사합니다
@wuh3469
@wuh3469 4 жыл бұрын
그치 그치
@roi1141
@roi1141 4 жыл бұрын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저희가 더 감사합니닷
@아필-y7i
@아필-y7i 4 жыл бұрын
와 오늘 비문학 때문에 멘탈 털렸었는데 저 방법 적용해볼게요!!
@정은성-e8v
@정은성-e8v 4 жыл бұрын
모든사람의 학습능력이 이분들과 같은데 학습방법과 학습량의 차이로 설대의대생과 그렇지 않은사람으로 구분된다면 이분들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지만 학습능력이 천차만별이라는 사실을 안다면 별 의미없는 얘기입니다. 최소한 중고생 절반이상은 들어도 소용없음.
@프리퍼-o9l
@프리퍼-o9l 4 жыл бұрын
소크라테스 문답법이 생각나네요ㅋㅋㅋ
@_hong_sa_
@_hong_sa_ 4 жыл бұрын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고 찾아 들어왔는데 이렇게 이해 잘되는 설명 처음 보네요..
@열공-f7w
@열공-f7w 4 жыл бұрын
3:06 자다가 지려서 복날 개패듯이 쳐맞았습니다 손해배상 청구하겠습니다
@forbetterworld_
@forbetterworld_ 4 жыл бұрын
ㅁㅊㅋㅋㅋㅋㅋㅋㅋㅋ
@예지영-f6m
@예지영-f6m 4 жыл бұрын
공부 하고 싶어지게 만드는 영상임 ㄹㅇ
@안녕-p7j9g
@안녕-p7j9g 3 жыл бұрын
내일 또 와야징
@뭐임마-h4k
@뭐임마-h4k 4 жыл бұрын
쌓고 허물기 국어는 대화 -> 수능 기출로 영어는 국어랑 비슷 하지만 단어 외워라
@이선우-c5s
@이선우-c5s 2 жыл бұрын
10:16 어떻해요
@꼬북바라기김건호사랑
@꼬북바라기김건호사랑 4 жыл бұрын
화면이 자꾸 바뀌어서 너무 어지러워요 ㅜㅜ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넵 신경쓰겠습니다:)
@꼬북바라기김건호사랑
@꼬북바라기김건호사랑 4 жыл бұрын
앗앗 감사합니다..😊
@쌉미미
@쌉미미 4 жыл бұрын
아니 꿈 찾기가 제일 어려워..
@이영지사랑해-s6b
@이영지사랑해-s6b 4 жыл бұрын
책 많이 읽으세요
@쌉미미
@쌉미미 4 жыл бұрын
김기명 수능공부해야돼용 ㅜㅜ
@beansjelly5120
@beansjelly5120 4 жыл бұрын
꿈이 없으시면 나중에 꿈이 생겼을 때 그 꿈을 이루고 싶은데 학력이 걸림돌이 될 경우를 생각하면서 공부하세용. 도움이 아예 안되진 않을거에요 ㅎㅎ
@lony6800
@lony6800 4 жыл бұрын
1.25배속 해서 들으세요 ㅋㅋ 진짜 듣기 좋아
@sophiaj9995
@sophiaj9995 4 жыл бұрын
회계학습에 써봐야지 사실 잘 몰라 외치기
@옐-l8u
@옐-l8u 4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능동적으로..공부해야해요. 강인한 의지만 있으면 학원없이 충분히 가능하죠~! 제 채널에 수학 개념과 문제풀이 영상을 찍고 있어요~! 여러분들 수학공부에 도움받으셨음 좋겠어요^^*
@blah_blah_blah7064
@blah_blah_blah7064 3 жыл бұрын
Can you please give me medical syllabus of Korea
@JC-zt2xq
@JC-zt2xq 4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영어내신 주과식 공부법 도 알려주세요 꾸벅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영어 내신 공부법은 준비중에 있습니다!
@purplerose3788
@purplerose3788 4 жыл бұрын
영단어 하루에 50개요? 매일이요? 고3기준인가요?
@illiter23
@illiter23 4 жыл бұрын
작가와 대화하라.
@쥴라이-j8y
@쥴라이-j8y 4 жыл бұрын
4:50 허물기 학습법
@맛자몽-j7s
@맛자몽-j7s 4 жыл бұрын
그 31번 수능때 어떤 학생이 연필을써서 틀린문제도 있었는데
@knowlma
@knowlma 4 жыл бұрын
수학공부법 알려준다는 말 다음에 콴다 광고 떠버리네
@박하연-g5r
@박하연-g5r 4 жыл бұрын
기출분석은 어떤식으로 하셨는지 궁금합니다ㅠ
@1iz1
@1iz1 4 жыл бұрын
오잉 난 사회자 괜찮은 것 같은디..?
@박준희-z9n
@박준희-z9n 4 жыл бұрын
그러게 말입니다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동감!
@quavohuncho2928
@quavohuncho2928 4 жыл бұрын
설대 의대는 어차피 어나더 레벨이고,연대 공대 정도만 갔으면 좋겠다.
@황윤서-l1y
@황윤서-l1y 4 жыл бұрын
아 수학까지 해주고 가요ㅜㅜㅜㅜㅜ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수학은 다음주에..!
@이선우-c5s
@이선우-c5s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3의 루트2승은 어떻게 정의되나
@영상보관하는곳
@영상보관하는곳 4 жыл бұрын
꿈을 모르겠어요...
@코스모스-g3l
@코스모스-g3l 4 жыл бұрын
수학공부법 영상은 언제 볼 수 있을까요?
@SKYHCN
@SKYHCN 4 жыл бұрын
다음주 화요일에 업로드됩니다~! 쪼금 만 기다려 주세용!:)
@korea2130
@korea2130 4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의대 갈려면 3박자를 다 갖춰야죠. 머리, 노력, 운
@kbf7510
@kbf7510 4 жыл бұрын
허물기 학습 = 소크라테스 대화법 소크라테스 : 행복합니까?? ??? : 행복합니다. 소크라테스 : 행복은 무엇입니까?? ??? : 행복은 기쁠때 나오는 것입니다.. 소크라테스 : 그렇다면 기쁨은 무엇입니까?? ??? : 기쁨은... 음... (시발?? 너무 당연한 단어라 생각 안해보고 살았는데??)
@police5751
@police5751 4 жыл бұрын
7:55 그분이 코드설명할때 하시는 제스쳐 아닙니까?????ㅋㅋㅋㅋㅋㅋㅋㅋㄱㅋ
@홍홍홍-m3n1i
@홍홍홍-m3n1i 4 жыл бұрын
두 분들은 국어 풀 때 어떤 순으로 풀었나요?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저는 그냥 앞에서부터 쭈욱 풀었습니다!
@김규민-x9p
@김규민-x9p 4 жыл бұрын
저도 앞에서부터 쭉 풀었습니다! 시험장에서 가장 중요한 마음가짐은 무엇보다 "시험을 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버리는 것"입니다. 시험이라는 것을 의식하시어 순서를 억지로 바꿔 푸는 것이 아니라, 앞에서부터 천천히 설레는 마음으로 진심을 다해 글쓴이와 대화해 나가시는 것이 본질적인 접근이 되겠습니다:)
@홍홍홍-m3n1i
@홍홍홍-m3n1i 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Pyoiw1773
@Pyoiw1773 4 жыл бұрын
3:36
@이준희-s4v
@이준희-s4v 4 жыл бұрын
나만 영상 첫번째에 스터디그룹 생각했나
@최현우-q6f
@최현우-q6f 4 жыл бұрын
10:18 어떻ㅎ.. 어떡해..
@Suhr-IG
@Suhr-IG 4 жыл бұрын
대화공부법 수학으로 하면 쌍욕을 날리게됩니다. 국어만 하세요.
@clairelee1041
@clairelee1041 4 жыл бұрын
스터디코드와 비슷한 말을 하는 것같아요~
@다히-p6s
@다히-p6s 4 жыл бұрын
비문학에서 코동욱의 냄새가 난다..........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저는 실제로 고3때 김동욱 선생님의 인강을 들었습니당 ㅎㅎ!
@긍정긍정-s2x
@긍정긍정-s2x 3 жыл бұрын
서울대 의대 수석=이익준 교수님?_?
@강선희-z6j
@강선희-z6j 4 жыл бұрын
허물기학습이 결국은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이네요
@우한폐롐
@우한폐롐 4 жыл бұрын
제 구독자 수가 홀수면 시험 올백 맞습니다
@김홍대-i4i
@김홍대-i4i 2 жыл бұрын
@umm253
@umm253 4 жыл бұрын
운동하다가 공부했는데 서울대 의대면 음.. 조심스레 재능충을 외쳐봅니다
@sgl3482
@sgl3482 4 жыл бұрын
김젬마 윤혜정 카운터
@happy-dc9qz
@happy-dc9qz 4 жыл бұрын
사회자가 더 말을 많이 하는듯. 규민씨 이야기를 더 듣고 싶었는데....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느끼셨다면 아쉬우실 수 있겠네요ㅠㅠ제가 이야기를 많이 한 부분이 국어 공부법이라고 생각하는데, 촬영하면서 저랑 규민이가 국어 공부법에 대해 서로 공감을 많이 했어요! 그래서 서로 돌아가며 이야기하려고 했던 것 같아요ㅜㅜ또 저도 제 나름대로 국어 과외도 많이 해봤고, 국어에 대해 자신감이 있기 때문에 저도 이야기를 했답니당 ㅎㅎ 다음 영상에서는 게스트의 말을 많이 이끌어내는 사회자가 되겠습니다!!!
@칸쵸-x5v
@칸쵸-x5v 4 жыл бұрын
장현우 아니요 전 오히려 좋았어요 고등학생이 된 지 얼마 안돼서 그런가 왼쪽 분이 하시는 언어가 좀 이해가 안 됐었는데 사회자 분이 더 세세하고 간단명료하게 정리해 주시는 거 같아 좋았습니다!! 너무너무 잘보고 있고 두 분 다 너무 멋있으셔요
@uticific3472
@uticific3472 4 жыл бұрын
좀 듣자
@장현우-y9e
@장현우-y9e 4 жыл бұрын
@@uticific3472 두 번이나 댓글을 다실 정도면 제 진행이 많이 마음에 안 드셨나 봅니다. 죄송하고, 더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utumn8600
@autumn8600 4 жыл бұрын
@@장현우-y9e 사회자분의 역할 아주 좋았다고 생각해요 듣는 사람의 입장을 대변해서 적절히 동감하면서 감탄사도 넣어주고 간단히 질문도 해주시는게 전 좋았어요 ^^ 그리고 사회자님도 서울대생이시니 나름의 공부법이 있고 규민님과 공감가는 부분에 동의하면서 얘기해주시니 본인의 경험도 아주 큰 도움이 되었어요 친구 두사람이 공부법에 대해서 알콩달콩 대화하는것처럼 보기좋았어요
@SJent.
@SJent. Жыл бұрын
너네들의 맞춤교육영상은 이런게 아니다. 썸네일 덕에 돈만 갖다
Хаги Ваги говорит разными голосами
0:22
Фани Хани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
GIANT Gummy Worm #shorts
0:42
Mr DegrEE
Рет қаралды 152 МЛН
Жездуха 42-серия
29:26
Million Show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순수.영화과] chapter_74. 20살 때 찍었던, 조별과제 단편 [복학생]
5:13
후추 작가감독 PEPPER FILM&AUTHOR.
Рет қаралды 1,1 М.
[타마협] 2025년 타로 시장의 전망은? (부제 :결국 마케팅)
6:39
타로카드 마케팅 협회
Рет қаралды 44
서울대 문과가 다 로스쿨 가는 이유ㅣ스튜디오 샤
17:20
스튜디오 샤
Рет қаралды 79 М.
Marty Lobdell - Study Less Study Smart
59:56
Pierce College District WA
Рет қаралды 24 МЛН
Хаги Ваги говорит разными голосами
0:22
Фани Хани
Рет қаралды 2,2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