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는 증가, 부실공사는 급증? 한국 재건축을 살릴 마지막 해결책 3가지

  Рет қаралды 462,234

셜록현준

셜록현준

Күн бұрын

Пікірлер: 862
@hspecial2u176
@hspecial2u176 21 күн бұрын
이렇게 재건축에 대해 대안까지 생각해주는 사람들 잘 없는데 좋은 영상이였습니다.
@ejplanners9381
@ejplanners9381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모듈러공법으로 단독주택을 짓는 회사에 근무중입니다 본영상이 저에게 많은 공감을 주었습니다. 기회가 된다면 공장에 초대하고 싶습니다 국내 모듈러 축조기술의 현재는 어떻고, 앞으로 풀어가야할 일이 얼마나 있고 교수님의 생각도 함께 듣고싶어요 단독주택 특히 목구조 현장에서 젊은 또래의 친구들을 찾아보기 힘든데, 저희 공장의 연령대가 대부분 20대 중~후반입니다 앞으로 건설업계의 미래를 책임지는 젊은 인력이 어떻게 일을하고 기술력을 쌓아가고 있는지 직접보시면 재밋는 결과물이 나올 수 있을것같아요
@user-number248
@user-number248 Ай бұрын
생산적 선순환의 가능성을 제안하는 댓글이네요
@Phoenix2un
@Phoenix2un 27 күн бұрын
오, 회사명 궁금해요
@반드시-l8g
@반드시-l8g 20 күн бұрын
이거 영상으로 나오면 꼭 보고 싶네요
@j1c267
@j1c267 17 күн бұрын
기대하는 한사람입니다
@sel5908
@sel5908 4 күн бұрын
주인의식이 뛰어난 분이시네요. 사장님이 인재를 잘 뽑았네요.
@조홍감
@조홍감 Ай бұрын
현장마다 다르겠지만 20년전에도 FM대로 감리했다가, 감리 직원이 물리적인 폭행을 당하는 일도 잦았습니다. 아버지가 그 일로 회사 관두고 자영업차리셨습니다. 인부들이 악마라는게 아니라 당시에도 적정한 임금을 주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였겠죠. 건설현장에 베테랑이 사라졌다... 자본금 100%융자받아 사업하는 건설사들이 시공사를 쥐어 짜서 생긴 악순환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뭐 그래서 현대 건설도 태국 가서 망한적도 사실 있고 90년대에 지어진 용인시 처인구 풍덕천동에 있는 건물도 사실 순살 이었죠 기업도 돈 주는 만큼만 하니요... 지금은 외국인들도 어느 나라든 다 그러지만 당연히 노동법도 강화되서 더 무서운 집단 행동이나 이미 노조 가입도 많이 해요
@모라가고
@모라가고 26 күн бұрын
그건 모르겠고 전 이민갈 돈 모으고 있습니다. 한 3년만 더 빠싹 모으면 이제 이 망해가고 있는 휴전국 떠날수 있습니다. 일본이 좋을거 같은데 이민이나 귀하가 은근 까다롭네요. 응원해주세요!ㅎㅎ
@l9금-온팬-온아
@l9금-온팬-온아 23 күн бұрын
↸🎷
@댕댕이-x3b
@댕댕이-x3b Ай бұрын
진짜 궁금했던건데 부실건축, 부실공사 계속되는데 국토부랑 국회의원들 이악물고 외면하는거 보면 뇌물 받았다고 합리적 의심해도 되는거죠? 이대로 가다간 분명 제2의 삼풍백화점 사건 일어날텐데
@user-nu6rl5mo3n
@user-nu6rl5mo3n Ай бұрын
정치인들이 집값띄우고 재건축할때 시행사에 투자해서 해먹으려면 원가는 최대한 낮춰야죠 싹다 한통속입니다
@2g4vksiw5wgdu
@2g4vksiw5wgdu Ай бұрын
그들도 해결못합니다. 노조랑 외부요인으로 공사비가 급증하고, 수익구조 자체가 건설사 시행사 다 망하게 중국이 만들어놨는데. 지금 건설쪽만 이런것도 아님
@beta_silon
@beta_silon Ай бұрын
최근에 입찰 감리 설계 쪽 크게 비리가 터져서 그러더라고요 국회의원보다 그 밑에 관리직들이 짜고 뒷돈빼서 그래서... 그위까지 안가도...에휴
@김진철-i6l
@김진철-i6l Ай бұрын
부실시공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이유는 여러가지 상황이 맞물렸습니다... 어떻게 손쓰기 어려운거죠.... 1. 용적율을 높이기 위해 각종 이행약속을 걸고 시작하는데 그게 뜻대로 안되니 건설비는 줄이기 쉽지만 약속한것 기부채납, 공원, 학교, 등에서 줄이기는 쉽지 않기때문이죠... 2. 기술자들이 부족합니다... 2천세대 아파트면 최대 800~900명이 동시 출근하는데 그중 200~400명 정도만 한국사람이고 나머지는 외노자 입니다... 기술이 필요한 일에서 의사소통이 안됩니다... 도면을 보고 설명을 하면 10~30프로만 알아듣고 나머지는 이해를 못합니다. 3. 인건비가 높다고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높지가 않습니다... 구지 위험한 일을 안하려고 합니다... 4. 분양가 상한제가 문제가 많습니다... 선분양제가 완전히 폐지되어야 합니다...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Ай бұрын
도대체 영상 어디를 봐야 이런 결론이 나오는 거냐
@wwj3899
@wwj3899 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 재건축을 살리는 방법 1로봇을 활용한다. 2모듈러 건축 3건식 공법 100% 공감하며 정부 정책에 반영이 되도록 적극 추천합니다.
@배스-k6g
@배스-k6g 5 күн бұрын
현장에서는 중국인이 한국인이 하는일을 다 대체하고 있고, 중국인이 무서워서 소장은 제대로 말은 못하면서, 내국인 하청담당자만 쪼아대는 힘든 상황입니다. 지시대로 일하고 제때에 제대로 일을 받지 못하는 하도구조가 문제이고, 실제 일하는 하청업체의 마진은 거의 없는데 비해, 원청이나 하도회사들이 이익을 너무 많이 가져가는게 제일 문제입니다. 노동의 댓가가 없는데, 내국인 젊은이들이 일을 잘 하지 않는것은 당연하고, 건설노하우가 점점 없어질수 밖에 없죠. 중국처럼 외국인은 단독 대표는 못하게 하고 공동 대표체제로 해서 외노자로부터 내국인 보호도 했으면 좋겠네요. 정부가 대형회사를 규제안하니, 건설업도 조선업처럼 외노자 비중이 커지고, 산업경쟁력이 떨어지네요.
@andykal2947
@andykal2947 Ай бұрын
한국 건설업의 문제가..결국은 PF 부터 분양까지 AtoZ의 자기자본 비율이 현격하게 낮고 끝없는 대출로 지탱하고 있기때문에 금융비용이 어마어마하게 발생하면서 거품을 끝없이 끌어올리는 구조가 큰거같네요. PF단계에서부터 에쿼티 10%도 태우고말까한 현장으로 시작을 하니 빚내서 땅사고.. 빚을 전가해야되니 고분양가 해야되고..고분양가 되니 50년 만기 대출 부터시작해서 영끌오브영끌로 물량 받아줘야되고. 한국인 소득 수준이 올라가서 아파트 가격이 올랐다? 라기에는 중위소득은 코로나전과 현재가 20~25% 정도 올라간 수준입니다. 현재도 대출 쫌만 조이니 바로 입주를 못하네 마네 하는거죠.. 시행 단계에서부터 온갖 빚으로 쌓아올리고 있으니 끝없이 대출을 받아야되는겁니다. 물론 그 과정에서 수수료 장사하는 업체들은 호황기때 돈먹고 돈먹기니 개꿀이다 하고 여기저기 삽푸는거고.. 그러다 한번 고금리 시대 오니 신탁사들, 증권사들 죄다 적자 전환하고 대출 풀어야된다고 언론에 선동기사 내보내는거죠..
@hjlee4721
@hjlee4721 Ай бұрын
100% 공감합니다. 현재 분양가 등 올라가는게 원가상승도 일부 영향이 있겠지만 고질적인 사업구조만 뜯어고쳐도 훨씬 합리적인 구조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자기돈 아닌 돈으로 사업하는 시행사는 돈이 줄줄줄 새도 그냥 그거 분양가에 전가하면 되고 그 사이에 이자장사하는 금융권. 보증서가며 공사 진행하니까 갑질이 가능한 시공사. 그 사이에 결국 그 부담 다 떠안고 호구되는건 분양자들. 그 사이에 떡고물 줏어먹아야하는 정치권. 여야할 것 없이 역린이 되어버린 판교 모처의 사태만 봐도 알 수 있죠. 분양원가의 몇배 수익입니까? 도대체? 사업구조만 정상으로 바뀌어도 지금보다 수익성도 좋아지면서 분양가도 낮출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껍질씨앗
@껍질씨앗 Ай бұрын
그래서 어느순간 집값이 노동소득을 담보로 일으키는 레버리지 수준을 감당못할 수준으로 진입해 버리니까 출산율, 결혼율이 대폭락하게 된 시점이 2018년 그쯤이고 10년간 저리이던 시절에 대규모 공급, 정책실패, 코로나로 양적완화 겹치면서 터져버린게 오늘날 한국 부동산이죠. 결국 다 살릴수는 없고, 누군가는 피를 봐야하는데 무리해서라도(내수경기 심각하죠) 부양하려 발악하는게 여야할꺼 없이 일심동체 부동산이죠.
@gachoi5073
@gachoi5073 Ай бұрын
현장에 일하는 내장목수로서 보자면 아파트에서 일하는 목수는 상가에서 일하는 전문목수가 아니라 대놓고 이야기하면 바깥에서 일이 없는 사람들이 가는 현장입니다. 완성도가 일단 떨어집니다. 안가는 이유는 일당이 적습니다. 아파트는 흔히 말하는 평당 얼마로 일하는데 복잡한데 걸리면 하루종일 아침 6시부터 저녁 6시까지 쉬지않고 일해도 외부(아파트 아닌 인테리어목수)에서 일하는 일당 맞추기 힘듭니다. 그 이유는 경기도 않좋고 외노자들도 너무많고..지금 아파트 가보시면 80% 외국인입니다. 하자가 없을수 없습니다. 하자가 나도 어차피 눈에 보이는 부분만 해결하면 되지 뜯지않고선 잘 모릅니다. 자재비도 많이 올라서 아파트값이 오른다지만 인건비 악랄하게 짜내서 그걸로 남겨먹는 건설사들과 하청업자들 그리고 그외 업자들도 많이 반성하길 바랍니다.
@akk.fuller
@akk.fuller 5 күн бұрын
외노자가 하면 하자가 많나요? 너무 한인부심 쩌시는거 같은데요
@황근출-h6t
@황근출-h6t 5 күн бұрын
​@@akk.fuller말도 안통하는데 일이나 제대로 하겠느냐 선족아-
@user-ip5jr5jx4z
@user-ip5jr5jx4z 5 күн бұрын
​@@akk.fullerㅋㅋ 저능아
@NightDM4
@NightDM4 5 күн бұрын
​​@@akk.fuller본인이 일하는 직장 주변도 외노자가 대다수면 일 잘 되겠네요
@하늘하늘-n2z
@하늘하늘-n2z 3 күн бұрын
@@akk.fuller팩트를 귓구멍 귀지 틀어막힌채로듣네😂😂😂
@HeraKang-st5dr
@HeraKang-st5dr Ай бұрын
도시의 재건축이 일제히 멈춰선 지금,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재건축을 안되는 방향으로 인식하고 안될 이유만을 찾고있는데, 셜록현준님께서는 그와중에도 우리나라의 재건축을 살릴수 있는 방법을 3가지의 해결책으로 제시해주시다니~~~^^🤗👏👍 정말 보는 시각이 남다르신 뛰어남이 느껴집니다 ~^^🤗👏👍 You are the best ~~~^^🤗👍
@마당-o1q
@마당-o1q 25 күн бұрын
결론으로 요약해주시는 강의 참 편합니다.
@kangsua4202
@kangsua4202 Күн бұрын
자신의 전문 분야에서 공익을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모습에 더 큰 응원을 합니다!! 제발 소장님처럼.. 사익이 아닌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는 움직임이 많아지길 기원합니다 ㅠㅠ
@07dlrzk
@07dlrzk Ай бұрын
건설현장에서 관리자로 일하고 있는데 제가 느낀거를 다 말씀해주셔서 약간 소름이 돋았네요ㅋㅋㅋ호덜덜,, 일단 외국인근로자,, 할많하않인데요ㅋㅋ우즈벡,베트남,캄보디아,중국 정말 다양하고요 말 1도 안 통하고 한국말 아에 모르는 사람도 많아요 그리고 안전의식 개차반입니다 건설현장이 왜 한국에서 제일 사망률이 높은지 이유가 너무 명백해요 근로자 안전수준이 낮고 맨날 교육해도 한국말을 모르니까요. 한 공종, 팀에 팀장만 한국사람이고 팀원은 전원 외국인이기 때문에 업무지시는 바디랭귀지로 합니다 ;;; 그리고 이 외국인들 현장에서 돈 벌어서 한국에서 돈 1도 안씁니다 . 높은 임금을 받아서 다 자국으로 보내기 때문에 내수경제 활성화 1도 안됩니다,,,근데 일하는거보면 정말 열악하고 힘들어서(기본이 주 6일에 새벽출근) 한국인이 기피하는게 이해가 돼요. 정말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나야한다는거에 격한 공감을 합니다..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대단하신 분이네요 사실 기술자 엔지니어 분들이 근무 시간은 노동자/근로자들 보다 많아서 노고가 많으신데...
@강지성-z5x
@강지성-z5x Ай бұрын
저도 현장일 많이 해서 느끼는건 일 잘하는 외국인도 많은데 근래 2024 현장을 모르는 외국인도 많이 늘어서 건축방식 1도 모르고 위험에 노출된 사람도 많고 포크레인 기사가 간혹 서둘러서 다치는 경우도 부쩍 늘었습니다. 철거도 늘었고 한국말도 모르니 안전교육도 당연히 ㅋㅋ 😅
@평화-g7u
@평화-g7u Ай бұрын
솔직히 건설현장에 가면 한국 노동자.... 거의 없습니다. 노동자 중에서 대목 빼고는 외국인으로 한국 노동자가 가면 오히려 차별을 받는 경우가 생기게 되었죠. 이 부분을 아주 심각하게 바라보는 1인으로 위에서는 이렇게 하라고 지시를 하면 그들이 볼 때만 이렇게 하다가 없거나 떠나면 저렇게 지들 멋대로 하고 감추기 급급합니다. 이렇게 해야 할 이유 보다는 우선 편하고 보자... 심리가 작동 되는거 같네요. 그렇다 보니 한국 노동자가 이를 보고 말 할까봐??? 눈치 줘서 못 오게 합니다. 그래서 셜록현준님 말씀 처럼 우리도 변화해서 대응책을 내 놓아야 한다고 봅니다.
@bangu311
@bangu311 Ай бұрын
미니굴삭기 조종사인데 요새 일이 하나도 없음... 가장많이하던게 빌라 재건축현장인데 집을 새로 안 짓네요.. 근데 내년에는 더 힘들거 같아요
@천화-l9d
@천화-l9d Ай бұрын
아파트시장만 비정상적으로 띄우고 빌라시장을 워낙 죽여놔서요. 어떻게 움직여 볼 수가 없습니다. 요즘은 공공에서 넘어가는 빌라들 경매로 받아서 공공임대로 제공한다 합니다. 서민들 피같은 재산 빼앗아 생색내는 꼴이니 웃음만 나옵니다.
@220-n5m
@220-n5m Ай бұрын
서민의 재산을 빼았는다 보다는 혈세를 동원해 부동산 값을 떠받치는것 같네요. 더 유찰되서 가격 내려가면 부동산 가격도 떨어질테니.....​@@천화-l9d
@jinrosoju123
@jinrosoju123 Ай бұрын
하우스푸어 정신때매 그럼.
@화살-q3h
@화살-q3h Ай бұрын
미니 굴삭기 보다 리모델링 쪽으로 업종 전환하세요... 이쪽에 미래가 있습니다.
@jaeyonglee296
@jaeyonglee296 Ай бұрын
빌라 전세 사기로 사람들이 자살하는 것이 뉴스에 지속적으로 나옵니다. 어쩔 수 없는 상황입니다.
@gravity4164
@gravity4164 29 күн бұрын
결국 모듈화로 가는것이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 솔루션이 되겠네요 좋은 내용입니다
@namuhana6556
@namuhana6556 Ай бұрын
30년전 모듈러공법으로 지은 주상복합주택에 살았어요. 너무 튼튼하고 층간소음도 거의 못느꼈고 만족했어요. 최근 부모님만 계신 집에 조명좀 달아보려고 뚫어봤는데 와 천장 내부가 너무 튼튼해서 깜짝놀랬어요
@팥차
@팥차 Ай бұрын
정밀도... 현장에서 속도만 따지고 순서또는 하자 여부 상관 없이 치고 나가는게 제일 문제죠 벽지 들어갈때보면 이미 내부는 답이 안나오는 상태
@user-def512
@user-def512 6 күн бұрын
저번에 철근 누락 이야기 하셨다가 현장 일을 하나도 모른다고 사람들이 비웃다가 실제로 교수님의 말이 맞았죠. 심지어 더 심하게 빼먹어서 뉴스 뜨고😂
@guaac2390
@guaac2390 Ай бұрын
지금 한국은 힘이 빠지고 있어요 중위연령도 높아지고 있고 인구수도 줄고 있어요. 아직 힘이 있을 때 하루라도 더 빨리 더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합니다. 지금처럼이라면 분명 시기를 놓칠 것이고, 말씀하시는 것 중 10%도 제대로 안될겁니다.
@BarleyTailYoutoo
@BarleyTailYoutoo Ай бұрын
아 정말 좋은 해결책이네요 일자리의 퀄리티를 올려서 경제 선순환까지 생각하시다니
@jaehoonha6
@jaehoonha6 Ай бұрын
인민재판 보다 빅정희식으로 조지면 가능 합니다
@fislen-e1d
@fislen-e1d Ай бұрын
건식공법으로 모듈화해서 지으면 정말 좋겠네요 현장에 외노자만 잔뜩 쓰는거 보다
@youngjunlee3939
@youngjunlee3939 Ай бұрын
공장 노동자 임금보다 일용직 일당이 더 세고요, 일용직 인원보다 공장 노동자 수가 더 적죠. 그 결과가 비용 절감이고요. 경제 순환 면에선 기존 방식이 더 낫죠. 더불어 모듈을 생산하려면 공장이 필요한데요, 여기에 필요한 자본이 어마어마하죠. 대금 제때 못 주고 뻑하면 도산하는게 한국 건설사인데, 걔네 믿고 공장 짓는건 어불성설이고요. 외부적 요인을 고려하면 정밀하게 시공할 인력이 없고요, 모듈 공장을 짓고자 해도 환경 규제 때문에 쉽지 않고요. 더 중요한 건 집값에서 건설비 비중이 낮아요. 대부분 땅값입니다. 건설비 절감하나 마나 큰 이득 못 보고, 공법 바꾸는 리스크만 짊어지죠.
@밥냥이-z7z
@밥냥이-z7z Ай бұрын
8ㅏ8ㅏㅣ8😅😅😅😅😅😅😅😅😅😅😅😅😅😅😅😅😅8😅8​@@fislen-e1d
@l9금-풀버젼-야뎡H-u1w
@l9금-풀버젼-야뎡H-u1w 26 күн бұрын
현직 타일공인데 건설비용은 늘어났으나 인건비가 늘어나지 않은게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음 10년전이나 지금이나 인건비는 그대로..... 자재값은 올라갔고 관리직들만 배불리려 하니 한국인들이 점점 떠나는 현상이 일어나는 듯
@ggsgroup4962
@ggsgroup4962 Ай бұрын
그러니까 건설업계가 블루칼라 직업으로 바뀔려면 뭐가 어쨋든 모듈러로 하든말든 , 하청에 하청 또 재하청 속에서 밑으로 내려갈수록 시공단가 내려가는거... 이게 제일 문제 같던대 당연히 밑에 있는 하청들은 최저단가로 계약땄으니 직원들도 싼애들로 데려다 써야되고 , 그러면 자연스럽게 외노자 찾게되지. 그러다보니 품질은 개씹망하고 ㅋㅋ 또 근로자들 대우를 진짜 지게차에 실려있는 짐짝 보다도 못한 대우를 하니까 더더욱 내국인 근로자들은 안가려고 하지. 툭하면 조기출근 주6일 풀OT 일요일도 나와야하는곳 있음. 이런데를 누가 가겠냐고 결군 원청이 문제야 원청이.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사실 건설사 직원이나 공무나 안전관리자도 그렇게 일 해요;; 그리고 감리는 어느 나라든 강제 주 5일제라 사실 주말에 일 하면 ㅋㅋ 재밌는 일 많이 일어나죠 합법적으로 상주 감리는 없어서 ㅎㅎ
@HIDEKILLER83
@HIDEKILLER83 Ай бұрын
노동자 관련해서 공감되는게 제가 공사장에 여러번 갔었습니다 그나마 대기업공장이나 회사건물은 나름 한다고 하는데 화장실 한번 가는건 어느 공사장이던 간에 상당히 힘들고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물론 아파트 공사장과 회사 공사장은 환경이 달라서 그런 일은 없지만 아파트 마무리 공사때 가보면서 느낀건데 쓸 수 있는 화장실이 몇개 없습니다 그걸 수많은 노동자들이 그 많은 이동시간 포함하고 기다리면서 해결한다는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아파트 아무데나 일본다는걸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공사장은 어디라도 용변을 보기가 굉장히 힘듭니다 수많은 사람이 쓰니 위생자체도 상당히 안좋구요 저는 노가다를 그만두고 23년에 사무직을 시작했는데 아무때고 나 편할때 화장실을 간다는게 참 좋은 일이더라구요
@TheFelltear
@TheFelltear Ай бұрын
문제제기 많이되는 상황 하 그런 어려운 여건이라면 화장실 대책도 같이 챙기는게 올바른 방향이겠죠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사실 화장실 배치도 건설사 마음이고 어차피 뭐 느그 집 느그 건물이지 법적 책임도 어느 나라든 없어서 돈 많이 안바치면 그렇게 복수하는거죠 마음에 안들면 뭐 외노자 써야 하는데 외노자라고 나은건 없고 ㅋ
@joonim7730
@joonim7730 Ай бұрын
​@@HIDEKILLER83 왜 간이화장실을 그런데 안놓나요? 자재 크레인으로 옮기듯이 간이화장실 여기저기 놓으면 될텐데
@sola297
@sola297 4 күн бұрын
국회의원들이 이런데 까지 세심히 살펴야하는데..
@Wamac-05
@Wamac-05 Ай бұрын
제가 영상 보면서 한국 전문 인부 분들을 모아서 인력사무소를 기업화 시키는 걸 생각했었는데 역시 교수님은 배움의 폭이 저보다 뛰어나네요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어느 나라든 그런적이 없고 멍청한 건알못인가 본데 교수라 청사진 제시와 연구사업 가져야 하니 저러는거지 현실은 ai랑 자동화가 가장 잘 안되는 분야라 또 주류 공법이 정해진 이유는 다 있어서 멍청한 소리 하면 이미 어느 나라든 무시당해요 그리고 독일 같이 해도 모자른데 인력사무소 기업화는 말도 안되고요 그리고 특별 인부는 보통 건설 전문업체 즉 해당 시공업체에 있죠 알바하는 사람만 용역사를 가고 보통 계약방식이 하청/협력/외주/용역이라 이런 기업이라고 하죠
@fleece478
@fleece478 22 күн бұрын
사장님. 아이디어는 완전 좋거든요. 비슷한예로 패션업에서 기술자들아 많이 부족해요. 그래서 선지급주고 하면서 ‘돈‘으로 잡는데. 결국엔 파멸 공장닫는 엔딩이 대다수입니다. 제글의 요지는 ‘사람관리‘가 안된다 입니다. 기술자분들 기본 에티튜드 좋은 사람 거의없습니다.
@목디스크걸린부엉이
@목디스크걸린부엉이 14 күн бұрын
되겠어요? 머리크면 나가서 다른 사업체 키우려고 할테고 그걸 막으려면 엔터산업처럼 x년단위 계약으로 계약하고 진행해야하는데 그럼 인건비 상승하는데 건설사에서 아파트 현장에 투입할까요? 어차피 저런팀은 특정 부자들 입맛에만 맞지 일반 아파트 건설현장에는 부적절합니다
@MyGomdi
@MyGomdi Ай бұрын
돈을 적게 주니 안가는거지요. 임금/하청 구조가 핵심입니다.
@정오-t8x
@정오-t8x Ай бұрын
도심재생을 해야하는데 한국에는 모리빌딩같은 디벨로퍼가 없잖아. 그리고 일본은 기본적으로 조감도 나오면 완공후에 보도블럭 하나까지도 완벽하게 똑같음. 중소기업들 퀄리티가 그만큼 높다는거임.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모리빌딩 출신 한국인도 좀 있어요 주로 HDC에 가있지만 ㅎㅎㅎ 그리고 이미 일본도 후분양 집 태반이 결함주택이라 뭐 다 돈과 세금 바치는 수준 따라가고 이미 아는 사람 다 아는 이야기인데 토목 상수도 배관 유지보수가 잘 되기 힘들어져서 수질 문제가 생긴지 좀 됬어요 ㅋㅋ
@사건의지평선-n8s
@사건의지평선-n8s Ай бұрын
일본은 대충지었다가 지진나서 사람죽으면 책임소재로 회사폭망하니 꼼꼼하게 지을수밖에
@kiky_witch
@kiky_witch Ай бұрын
대신 일본은 단열은 개나 주잖아
@프리-y8g
@프리-y8g Ай бұрын
기술력이랑 돈문제는 아닌것같고 그냥 국민성차이죠 강남 뒷골목 보도블럭이랑 일본 지방 보도블럭 퀄리티만 비교해봐도 답 나오는데
@calilx2
@calilx2 Ай бұрын
@@kiky_witch 그건 옛날얘기고, 요새는 단열 다 잘되있음. 주로 2010년도 근처부턴 괜찮음. 일본 시골 2007년에 지어진 건물에서 사는사람이 말하는거임.
@페인트-c8t
@페인트-c8t Ай бұрын
도장공사 단종업체 하는데 저희 현장 중국인들만 보아도 일당 25만원씩 업체 서너 곳 끼고 거의 만근을 하는 친구들이 꽤 있습니다. 반장급은 30만원씩 주는데 올해 저희 현장에서 세전 900을 이체해 간 인원이 있었습니다. 일용직들이 저보다 많이 벌게 된지는 오래 되었고 어떤 친구는 한국에서 번 돈으로 중국에 있는 9가족을 넉넉히 부양한다고 합니다.
@ericlim7278
@ericlim7278 Ай бұрын
단종 25만원 주는데가 있나요? 진짜 요새 중국인들이 더 잘버네요
@페인트-c8t
@페인트-c8t Ай бұрын
@@ericlim7278 보통 숙식하면서 단종에 소속된 분들은 더 적게 받으시는 것 같은데 일용직 프리로 뛰는 기공들은 수원-용인 기준 23~25 받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제가 느끼는 변화가 있다면 외국에서 유입되는 인력들이 내국인 인부들보다 학력이 월등히 높고 일을 똑부러지게 잘하는 친구들이 많아졌다는 점입니다. 가끔은 저도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위기감이 느껴질 정도입니다..
@tjehdals
@tjehdals Ай бұрын
​@@ericlim7278제가 올초에 한 공장 건축현장에서 일한적이 있는데 다른 사무실들 둘러보다 깜짝놀란게 중국어 써져있는 사무실 컨테이너가 있었습니다. 그것도 두개나. 하청업체의 노동자로 들어온게 아니라 아예 하청업체를 중국인들이 하는것같던데 지방에서는 별로 놀랄일도 아니라고 합니다. 외국인들끼리 이제는 새끼업자며 이런거 다 한다고 하더라구요.
@성이름-g2e3t
@성이름-g2e3t Ай бұрын
일당 25만원 부럽노... 내 사는 경상도 대구 고향 지방언 최저시급도 못받는데...
@김소라-u1d
@김소라-u1d Ай бұрын
쉬운 비판보다 개선 방안을 생각하시는 태도 저희 모두가 배워야할 것 같습니다!
@goowol9949
@goowol9949 Ай бұрын
70-80년대 중동 현장에서 번돈으로 기업은 아파트 짓고 노동자는 포니를 샀지요. 지금 해외도동자는 본국에서 중산층으로 진입하고 있을겁니다. 이말은 무슨말이냐, 개도국의 경재부흥기 이후 오는 슬럼화는 피할수 없는 기간 이라 봅니다. 단지 슬럼지역과 초호화 아파트가 공존하는 도시가 올것인가가 궁금합니다. 해외 사례를 보면 그 둘사이의 물리적 거리는 결코 가까이 있지 않습니다. 결론은 대치동 은마 아파트가 재건축에 실패하고 슬럼화(절대적빈곤자주택) 그 주위 지역 부동산 가치는 초토화 될 것입니다. 분당을 보면 앞으로 20년안에 대부분 슬럼화 가능성이 높습니다. 제2의 은마 아파트가 제3의 은마 아파트가 나올 수 있습니다. 어렵지만 답은 프리파브 공법으로 건설비용을 줄여 재건축하는것 외에도 그 건설비를 빌려줄 금융권의 재정건전성이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 조건일때 입니다. 결국 메트로시티는 슬럼화를 피할 수 없는 절대적인 운명이라 조심히 생각해 봅니다. 늙은 건축가의 생각입니다.
@myungpanggill
@myungpanggill Ай бұрын
중간에 언어 얘기할 때 어디서 나오는 바벨탑이 생각납니다. 소통이 안되서 무너져버리는....ㅎㅎㅎ
@ssss-ou4bn
@ssss-ou4bn Ай бұрын
정말 교수님 말이 맞네요!! 외국인노동자한테 최저인금 보장하는건 아니라고 봅니다...너무 많은 돈이 가져가고 그게 국부유출되는거네요. 물론 그들이 그나라가서 우리나라 물건이나 문화를 전파 하자는건 좋지만 한국민하고 같은 돈을 받는다는건 문제가 있네요...차라리 그돈을 자국민 노동자들한테 더 주는게 좋겠네요!! 점점 외국인들 몰려오고 국부유출 슬럼화가 심해진다고 봅니다...
@jiholee9097
@jiholee9097 16 күн бұрын
동감합니다. 미친놈이 만든범이지
@superpatrick8902
@superpatrick8902 Ай бұрын
초고층 아파트도 노후화에 따른 보수 비용때문에 슬럼화가 된다고 들었습니다
@makerhyme
@makerhyme Ай бұрын
현직 타일공인데 건설비용은 늘어났으나 인건비가 늘어나지 않은게 가장 큰 문제인 것 같음 10년전이나 지금이나 인건비는 그대로 자재값은 올라갔고 관리직들만 배불리려 하니 한국인들이 점점 떠나는 현상이 일어나는 듯
@leaktube
@leaktube 2 күн бұрын
항상 컨텐츠를 보면서 많이 느끼고있네요... 저는 누수탐지를 하는데... 부실공사의 증가는 누수씬에서는 기회로 작용하는 현상이라고 생각하네요. 그래도 부실공사가 없었으면하는 바램입니다.
@skino6378
@skino6378 Күн бұрын
향후엔 고층은 버리고 저층 위주로 지어야 할듯요 1인 세대가 많아지고, 고층 프리미엄은 자재값도 값이지만 그걸 구매하려는 가구도 적어질 것 같아용 게다가 지방 땅도 남아돌잖아용
@조흔데이-l4h
@조흔데이-l4h Ай бұрын
외국인 노동자는 옛날부터 많았습니다 이제와서 문제가 생기니 이슈가 된것뿐이죠 건설현장 관리자로 있으면서 느끼는 가장 큰 문제점은 처음 현장 수주할때 현장을 따야하기 때문에 최저가 및 공사기간을 엄청 타이트하게 잡는게 가장 큰 문제점입니다. 공사기간이 타이트하니 골조 기준층 사이클을 4일정도로 잡고 공사하니 레미콘 강도가 기준강도가 발현되기전에 탈형하기때문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이런게 모든 공종에서 악순환이 발생해요 또한 시공사가 각 공종마다 협력업체 선정할때 입찰붙이면 선정 방식이 최저가 방식이다보니 시공 능격도 안되는 업체들이 들어오는 경우가 엄청 많습니다. 업종에서 시공사에서 일을하지만 참 답답하죠.
@Steve.OC.
@Steve.OC. Ай бұрын
정말 대한민국 미래에 대한 intuitive 한 의견입니다.. 정치인이나 관료들이 이 정도 수준이 되서 대한민국을 계속 성장할 수 있게 했으면 하네요.. 정말 미래가 걱정됩니다.
@피시크라운
@피시크라운 Ай бұрын
홍콩같이 낡은 아파트에서 사는 수밖에.. 인구구조도 인구수도 도시형태도 국가구조도 주거형태도 집값도 홍콩같은 도시국가화 되어 가는중.
@macchoi2
@macchoi2 Ай бұрын
국토부 국감 나가셔셔 시원하게 한마디 해주시죠🤔 국토부직원들은 이채널 무조건봐야됨.
@정승용-p5f
@정승용-p5f Ай бұрын
최근에 조립형 주택들로 재개발을 해보자는 말도 있고 인구수도 줄고 있고 솔직히 고층형 아파트가 가면 갈수록 필요하나 싶기도 합니다만 만약 고층형 아파트를 짓는다면 편의시설을 넣어서 그걸로 공사비를 회수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겠네요
@dhl1743
@dhl1743 Ай бұрын
철골, 경량 철골, 목구조 등, 건식 공법은 너무 좋은 말씀이신데... 습기에 취약한 곳들이 수도권 지역에도 많기에... 결국 RC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또한, RC 구조의 건축물은 사후 가치를 평가할 때도 높은 평가 금액을 받을 수 있기에...
@보노보노-l6l
@보노보노-l6l 29 күн бұрын
이게 맞습니다.. 몰라서 건식을 안쓰는건 아닌데ㅎㅎ
@jungsikpark3296
@jungsikpark3296 Ай бұрын
제일 중요한건 30년만 되도 재건축 얘기가 나올 정도의 건축방식의 문제 아닐까요. 철근 콘크리트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중간 중간 리모델링을 하면 100년 정도 사용할 수 있는 아파트를 만드는게 필요할거 같습니다.
@leeting7
@leeting7 3 күн бұрын
그런시기가 빨리 정착되면 좋겠네요... 슬럼화되기 전에
@dffa1284
@dffa1284 Ай бұрын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혁신이 미래를 바꿀수 있다고 봅니다.
@ljs2358
@ljs2358 Ай бұрын
훌륭한 컨탠츠 감사합니다. 많이 배웠어요!
@멍청청-l3x
@멍청청-l3x Ай бұрын
건식공법, 로봇사용, 철골조 등을 사용하는 방향으로 가서 우리도 100년 이상 사용하는 집을 지어야 합니다.
@kawaiiayumu04
@kawaiiayumu04 Ай бұрын
모듈러 건축으로 하루빨리 넘어가야되는 이유가 이거죠.. 공장내에서 모듈러로 조립해서 나가는 방식을 사용하면 지금 한국인 젊은이들도 많이들 한다 할겁니다.. 현대차 제조업을 기피하지 않는것처럼. 근데 건설업계가 하청의 하청으로 너무 실핏줄이 길게 뻗어있어서 손을 못대는거죠. 그사람들 죄다 실업자되면 감당이 안되니. 이런 문제를 국회의원들이 다뤄야하는건데 대체 뭘하고 있는건지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안 많아지고 사실 이미 공장도 많이 기피하며 팩트는 모듈러 고질병도 많고 아직 10층대 밖에 못 올리고 방수나 세탁기 진동울린 문제 때문에 아쉬운게 늘 있고 심지어 토목비 포함하면 그닥 싸지도 않아요
@PARK-n1j
@PARK-n1j Ай бұрын
한국인 젊은이들이 많이들 한다고요??? ㅋㅋㅋ 이런 문제를 국회의원들이 다뤄야 하는데 대체 뭘 하냐니 ㅋㅋㅋ 그런 국회의원들을 누가 뽑았는데요 ㅋㅋ 우리 잘나신 국민들이 뽑은거 아닙니까 ㅋㅋ 우리는 직접선거 민주주의 국가잖아요 ㅋㅋ 우리가 원하는 정치인들 뽑고 싶어서 민주화운동 한거잖아요 ㅋㅋ 이제와서 국회의원 욕하면뭐해요 ㅋㅋ
@kawaiiayumu04
@kawaiiayumu04 Ай бұрын
댓글창보니 우리나라 국민수준 올라오긴 멀었다 그냥 에휴
@밀집모자윤79
@밀집모자윤79 Ай бұрын
동감합니다.잘보갑니다.즐거운 마음으로 행복한 하루 보내세여
@abcd-u3e9x
@abcd-u3e9x Ай бұрын
1:15 우리나라는 도덕적 잣대로 평가하려는 경향이 있다. -> 현상을 냉철하게 보기 어렵다. 4:35 건설현장에서 골조작업을 하는 곳에는 국내 인부가 없다. (아마 토목도 비슷할 듯) 4:40 현장에서 다국적 언어를 사용하고 있음. 인부 개인 기술의 축적이 어려워짐. -> 건축 퀄리티가 떨어짐 7:00 외국인이 번 돈은 외국으로 보내기 때문에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되지 않음. 8:15 건설현장은 싫어도 현대자동차 공장은 좋음. 인테리어 공사는 한국인이 함. 잘살수록 실내에서 일하고 싶어함. 9:10 실내 작업 비중을 높이면 된다. (모듈러 주택 말하는 듯) 9:30 모듈러 건축 장점 : 동일한 퀄리티. 저렴한 가격. / 12:00 단점 : 건물의 정밀시공이 안되면 유닛을 사용할 수가 없다. -> 건식공법을 사용하면 됨 10:40 건식 : 철골, 목구조 / 습식 : 철근 콘크리트, 벽돌 12:30 건식 장점 : 정밀도↑, 유닛제작↑, 품질↑, 국내노동자 취업↑, 공사비↓
@JK-mv2cx
@JK-mv2cx Ай бұрын
해결이 필요함. 나고 자란곳은 더 살고 맆어도 이제 슬럼화되서 탈출만이 답이 되버림..
@TMI_KOO
@TMI_KOO 21 күн бұрын
이번에 런던 답사 와서 보니, 건설 현장 대부분 철골조에 대부분 유닛 모듈화 외장패널들을 통해 공사를 하더라구요. 마감 품질도 훨씬 좋았습니드.
@JustGAMEJust
@JustGAMEJust Ай бұрын
2:58 맞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이클 가져본 도시는 을지로, 성수 뿐이에요... 강남은 원래 없던 걸 만들었고 그걸 유지 중이지 슬럼화는 된 적이... 약간 강북이 지금 슬럼화 + 리모델링이 같이 이뤄지면 사이클이 돌고 있는 것 아닌가 싶고요 그런 식으로 보다보니 다음은 영등포(여의도 제외 지역)일 듯 하고?? 서울은 많이 넓어서 한 곳이 망해도 이제 다른 핵심지가 받혀주니 사이클 돌면서 계속 클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그러면서 서울공화국 현상은 계속 될 것 같고요
@blueite
@blueite Ай бұрын
서울은 인구밀도가 높고 근 두 세대 동안 지가가 급등한 곳이다 보니 영상에서 언급한 것처럼 슬럼화의 메커니즘을 거쳐본 곳이 없습니다. 성수나 을지로도 낡아서 그렇지 임대료 자체는 그렇게 낮아진 적이 없을 거예요. 심지어 명동이나 영등포역 근방같이 공실이 태반인 곳도 공실로 버티면 버티지 임대료를 내리지는 않는 중이고 그나마 대림, 신길 정도나 앞으로 슬럼화될 요소가 모였다고 해야 할 듯합니다. 지금까지는 서울의 재개발, 재건축 사이클이 너무 빨랐던 거고, 앞으로 다른 나라와 비슷하게 느려지면서 착시로 보이는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기술이 어쩌냐에 상관없이 한 나라에서 부동산의 총 수요는 인구에 따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예전같은 증량이 수반되지 않으면 재건축은 더 느려질 수밖에 없죠.
@KMKim-z3z
@KMKim-z3z Ай бұрын
결국 사이클이 돌려면 다음 세대가 올라올 정도 시기가 되어야 할듯
@나래공
@나래공 Ай бұрын
영상에도 나왓듯 사이클이 한번 돈다는건 땅의 손바뀜이 일어나야하는게 중요한거에요 누군가는 손해를 보고 땅을 건물을 팔고 나가야한다는점이죠
@아이아이-e7z
@아이아이-e7z Ай бұрын
대안을 제시해 주시는 훌륭한 강의 잘 들었습니다.
@ksoon5105
@ksoon5105 Ай бұрын
건설기술인교육에 교수님같은분이 강의하셨으면좋겠습니다. 귀에쏙쏙들어오네요.
@socialphilo3557
@socialphilo3557 Ай бұрын
외노자 수입이 비용감소일까. 앞으로 비용 줄어서 불법해외송금 들어가고 뒤로 까지는거지. 나라입장에선.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사실 선진국에서 그러다가 망하기는 했지만 방법이 없으니 대가를 치루는 거고 우리나라 원화는 해외 결제가 불가능해서 절대 원화 유출은 없습니다. ㅋㅋ 저건 교수님도 잘 못 아는거에요 물론 원화가 달러로 환전된 돈을 외국인 근로자들이 다 대려가는거죠 그리고 이명박 정권이후 솔직히 외국인 근로자 차별도 법적 금지가 되어서 외국인 인건비를 절대 낮추면 안됩니다.
@ggsgroup4962
@ggsgroup4962 Ай бұрын
외노자 수입이 비용감소 안됨. 국내 근로기준법 처람 똑같이 줘야된다네요. 외국인들도 똑똑해져서 바로 고용노동부 민원 넣으러 갑니다~ 그리고 오히려 외국인 선호하는 업체도많음. 얘네는 까라면 까는애들이고 한국인은 하기싫은거 위험한거 다 함. 돈만주면 다함.
@220-n5m
@220-n5m Ай бұрын
​@@ggsgroup4962 비용 감소 효과가 더딘것이지 비용 감소는 되지요. 내국인이 일하게 만들려면 그 갑절을 줘도 모집하기 힘들테니까요
@220-n5m
@220-n5m Ай бұрын
​@@ggsgroup4962 비용 감소 효과가 더딘것이지 비용 감소는 되지요. 내국인이 일하게 만들려면 그 갑절을 줘도 모집하기 힘들테니까요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모순이죠 어차피 임금은 대부분 같아서 그리고 비용 절감이 수준을 낮춘다는 것이고 그리고 원화 유출은 없어요 원화는 해외결제가 안되서 보통 원화를 국내에서 달러로 환전해서 가져가지
@hanarchitect
@hanarchitect Ай бұрын
일본은 외부피난문에 대피구역이 없이 공중에 시공되있는 반면 한국은 외부피난문에 대피구역이 있는거에 비용을 쓸줄아는것같네요
@별밤-r2i
@별밤-r2i 29 күн бұрын
순살자이~재건축 아파트 공사 현장 근처에 살고 있습니다~ 여기가 한국인지 동남아인지 중국인지 모르겠네요~ 쓰레기 무단투기는 한국인도 마찬가지고... 고성방가에... 치가떨림... 동네 고물상은 대박입니다~건설현장 차들이 수시로 드나 들어요~ 현 상태에서는 할수 있는 만큼 다 빼먹습니다... 인부 등록만하고 인건비 빼먹는..수두룩 합니다 ㅎㅎ
@FLU65
@FLU65 Ай бұрын
이런 방법들을 당장 현장과 업계에 적용시키지 못 한다고 하더라도 말씀하신 방법을 적극적으로 채택하는 건설 회사가 생기고, 그런 회사들이 많은 투자를 받게 되면 자연스럽게 그쪽으로 전환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좋은 영상이군요.
@Sungkookpark11
@Sungkookpark11 Ай бұрын
건축적으로 재건축을 해결하시는 방식 좋습니다. 하지만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정부가 과도한 기부채납 요구때문입니다. 그것만 완화되면 재건축 사업성 충분히 나옵니다.
@uzu97
@uzu97 Ай бұрын
교수님 말에 한가지 공감하지 못하는거는 현재 젊은 국내 인력이 없는게 가장 큰것 같습니다.
@dreamingwhale1835
@dreamingwhale1835 4 күн бұрын
일본 리모델링 공사현장을 보면서 우리는 야외현장 같은데 일본은 실내 현장같다고 생각한 적이 있습니다. 왜 그런지 몰랐는데 그 답을 알게 되었네요.
@스무스와이키키
@스무스와이키키 Ай бұрын
끝까지 맞는 말만 하네, 너무 좋다 시원하닺
@옛날동네아재
@옛날동네아재 Ай бұрын
20년전 구축 지하주차장 바닥 갈라지긴 했지만 파이진 않음 1년된 신축아파트 지하주차장 갈리고 파임
@Rescue_119
@Rescue_119 Ай бұрын
건설 업계가 코로나로 원 투 펀치 맞고 레고랜드 사태로 카운터 맞고 완전 뻗었음...
@Sneak-er
@Sneak-er Ай бұрын
레고랜드 들으니까 치가 떨리네요..
@loves-life
@loves-life Ай бұрын
부패겠지... 하청에 하청..
@Lincoln89Han-sl6zw
@Lincoln89Han-sl6zw Ай бұрын
​@@미움받을용기-l3gㅋㅋㅋㅋㅋㅋ빡통아 레고랜드는 현 강원지사 김진태가 최문순 시절에 보증서준 국채에 대해 보증 못해준다고 선언해서 생긴 사태고 빡통아 니같은 빡통 2찍이 민주주의랍시고 한표씩 행사하니깐 나라 꼬라지가 개판인거다
@simonpolar
@simonpolar Ай бұрын
​​@@미움받을용기-l3gㅋㅋ김진태는 좋겠네. 이렇게 쉴드를 알아서 쳐주니
@PuffPuff-z3r
@PuffPuff-z3r Ай бұрын
걷기와 창의성을 연관해서 왜 공원이 많아야 되는지 보행친화적인 도시가 되어야 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ninthsun
@ninthsun Ай бұрын
이런분들이 조금 더 용기내서 책임감 있는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위치까지 갈 수 있다면 좋은데, 그 진흙탕에 차마 가라고 말을 할 수가 없는 슬픈 현실이네요
@mk-nd9iv
@mk-nd9iv Ай бұрын
뷰가 좋으면 되는 분인데 책임감은요 ㅋㅋㅋ
@오재영-k4r
@오재영-k4r Ай бұрын
교수님 안녕하세요 오늘 특별히 아주 중요한 정보을 다각도로 들었습니다. 건축부분 부실과 완성도 미래등 소중한 현실과 미래문제 입니다. 국가 의 노조문제 노동전책 문제도 많습니다. 기회가 되어서 우리 건축물 들 시공할때 큰 참고사항으로 감사합니다. 우리사회 전반의 문제가 많네요 기회가 되면 뵙고 건축에대한 자문을 구하겠습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rider_odori
@rider_odori Ай бұрын
깊이있는 인사이트가 돋보였던 영상이었습니다. 로봇과 모듈러 건식 공법 셋 모두 머지 않아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seok-wonkang5239
@seok-wonkang5239 Ай бұрын
앞으로 시멘트로 안짓겠죠 보다 튼튼하고 시공이 간단해서 공사기간이 줄어드는 그런 기술이 나올겁니다 이미 나왔는지도 모르구요
@mothugs222
@mothugs222 Ай бұрын
예전에 유툽에서 모듈식 철골 건물 건축 영상을 본적이있는데 국가지원이 필요하다는 내용이었어요. 개인사업을 왜 국가가 지원하지? 했었는데 이 영상을 보니 지원해야하는 이유가 설득력이 있네요
@million421
@million421 Ай бұрын
재건축, 비싼 건축비, 기술없는 인력과 그로인한 끝없는 부실시공, 부패할대로 부패한 토건비리 구조. 이제 끝을 볼때가 된것입니다.
@라마-w9o
@라마-w9o Ай бұрын
좋은 내용 항상 감사합니다 😊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Ай бұрын
되도록이면 pc공법도 쓰고, 자동화하고 프린팅건축도하고... 인간이하는범위는 줄여야함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3D 프린터는 순살프린터인데 ㅋㅋㅋ
@user-cs1ss5lq7x
@user-cs1ss5lq7x Ай бұрын
@@Exynos3 단독주택하면되죠. 저도 집짓는데.. 7월은 조금만와도 그냥가버림. 하루일당다 받고 . 8월은 오후되면더워서 보내줘야해요. 5월공사가늦어져 7월 착공했다가... 정말.. 인건비 폭탄을 맞았는데.. 진짜.. 프린팅시켜버렸으면좋겠더라구요. 9월중순부터 잘하는 분들들도 나오시고... 외국인2,한국인1명 한여름3~4일한 양이 가을 한국인2명이 한나절 한게 더 작업량이 많다고.. 소장님께서.. 한탄하셨었어요. 수년을 모은돈이.. 7~8월.. 의미없이 없어졌네요. 사람쓰는게 리스크입니다.
@hwanjunu6789
@hwanjunu6789 Ай бұрын
하도급 주르르르륵 떨어지는 문제가 더 크죠. 결국 현장직이 받는 급여가 낮은데 뭐 고숙련이고 뭐고가 없음
@양사나이-k5d
@양사나이-k5d Ай бұрын
기존 시스템만 제대로 돌아도 충분합니다... 제대로가 빠지면 백약이 무효합니다...
@hammer_time_kim
@hammer_time_kim Ай бұрын
제가 골조일 하고 있는 내국인인데 제 경험상 베트남 사람이랑 중국인이랑 공정이 겹칠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소통할 일도 많이 없습니다 그리고 일할 정도의 한국말은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공정별 나라 특징도 있는데 철근 : 99% 중국 형틀 : 90% 중국, 5% 러시아 해체 : 80% 중국, 10% 러시아, 5% 베트남 정리 : 80% 중국, 10% 러시아, 5% 베트남 비계공 : 희한하게 한국인 99% 젋은 사람들(보통 한국인들이 꼰대짓 많이 해서 외국인 많이 없음) 철골 : 한국인 99% 나이 많은신 분들 막내가 40대 후반인 경우 많음 제 경험 느낌상 이러합니다 그리고 기술의 축적이 그렇게 많이 안되진 않았습니다 외국인이여도 10년이상씩 하신 분들 많고 쇠퇴기 까지는 아닌것 같네요 환경이 열약 한것도 맞지만 사실 "일하는 시간에 화장실을 간다" 관리자들 눈치 겁나주고 결국에는 말 나오고 잔소리 듣고 현장빠지니 만지 하니깐 현장에서 몰래 해결한다 이게 맞는거 같네요 헌데 또 화장실이 멀리 있기도 하고 그러면 도급으로 일하니깐 빨리 물량을 쳐내야 돈을 버는데 화장실에 20분이나 시간을 쓰면 버는 돈이 까이는거니깐 멀리가지 않고 해결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외국인들 대부분이 막 떠 날려고 하지는 않고 현장 한 군데 끝나거나 그러면 한번씩 나갔다가 다시 오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그렇게 책임감이 없고 그러진 않아요 분위기가 제가 경험한 공사 퀄리티가 낮아지는 경우는 이번 현장에서도 겪고 있는 일인데 알폼 시공 하는데 알폼이 아무리 층마다 비슷하게 시공이 된다 해도 2층 시공 하는데 사무실 공사 부장이 7층 도면주고 똑같으니깐 이거 보고 하라고 합니다 그대로 합니다 하다보면 이상하긴 한데 사무실에도 일단 그대로 해보라고 합니다 다 끝내니깐 2층 도면이랑 다른게 나옵니다 다시 다 뜯습니다 일부는 자재가 없기도 합니다 일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거 도급 이라 기간 내로 해야 하는데 뜯었다 붙였다 시간만 갑니다 사무실에 따져봐도 그냥 기한 못 지킨 시공 이랍시고 돈 제대로 안쳐줍니다 애초에 2층 도면 좀 챙겨주지 뭐가 어렵다고 7층 도면 주고 2층 시공 하라고 하는 이런 경우 진짜 허다합니다 이런 식의 하도급 체계로 하면서 공사퀼리티를 올리는건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lIllIIlllIIIII
@lIllIIlllIIIII Ай бұрын
입지좋은곳은 결국 재건축 다됩니다 ㅎㅎ 지금 당장기준으로만보면 안될거같지만 언젠가는 되죠 그리고 입지좋은곳은 재건축가능성이 시세에 반영되는것만봐도 재건축은 무리라는 소리는 안나오죠 누군가는 그 시세차익으로 털고나오는경우도 많고요
@수분지족-e2v
@수분지족-e2v 21 күн бұрын
유익한 영상입니다
@Global133
@Global133 Ай бұрын
교수님 제가 생각했던 문제점이랑 같은 의견이시라 놀랬습니다 부실공사의 가장 큰 원인은 숙련된 기술공들이 부족합니다.. 전 설계사무실에서 팀장으로 있었고 몇년전 교수님 회사와 경쟁업체로 마주친 적도 있습니다 ㅎㅎ 현재는 건설회사 현장관리직으로 있고요 현장와서 느낀 점은 숙련공 부족, 낮은 이익률, 설계도면 미스가 있습니다 일반인들은 남겨먹을려고 철근 빼먹는다고 생각하시겠지만 그 몇개 빼먹는다고 생각보다 공사비에 큰 영향은 없습니다. 영상에서 말한거 처럼 소통 부족과 경험 부족 입니다 한국인 보다 중국인이 훨씬 많아 도면이나 설명에 대한 이해도가 낮습니다..이런걸 챙기려하지만 하나하나 챙길 수가 없는게 현실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는 설계 미스 입니다. 저도 설계사무실 출신이라 어느 정도는 이해하지만 현장과 다른 것들이나 시공하다가 문제점이 발생해서 연락하면 감리자와 상의해서 건설사가 알아서 처리하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설계사무실들도 설계도서 납품하고 끝이 아니고 기술적인 부분이나 문제를 끝까지 풀어나가는 과정을 함께 했으면 합니다.
@mskim_0303
@mskim_0303 Ай бұрын
잠깐이라도 국회에 갔다오시는게 최선의 방안이라 생각됩니다....ㅎㅎㅎ
@JyJ-k6y
@JyJ-k6y Ай бұрын
재초환, 양도세보다 집값에 따른 보유세를 더 내게하면 집값도 잡고, 노인인구도 외곽으로 빠져서 1석 2조 인것 같습니다만 교수님 의견은 어떠신지요?
@은둔자-d1b
@은둔자-d1b Ай бұрын
부실공사가 늘어난 이유를 명백하군. 특히 요근래 급증한 이유는 코로나사태로 인해 그런 아무 기술없는 외국근로자조차 구하지못해 진짜 아무나 갔다 썼다던데.. 신축아파트중 코로나시기때 지어진 아파틑는 피하라는 말이 퍼지는 이유가 다 있는것같음.
@jimansaemtv3355
@jimansaemtv3355 Ай бұрын
모듈러주택및 건식공법의 건축 방법 찬성합니다. 시간도 빠르고 비용도 싸고...근데 단점도 많은것 같습니다. 이음매, 진동, 진동에 따른 배관 누수, 패널의 강도, 그중 가장 힘든건 진동입니다....
@두치-l1v
@두치-l1v Ай бұрын
건축도 자동차 처럼 모듈화가 필요한 시점이구만유
@user-origin815
@user-origin815 Ай бұрын
문제는 수익성이 원인이라하셨는데 현재 업계에서는 안타깝게도 목구조나 중.경량 철골조 역시 건설단가는 습식구조와 비교해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소비자들도 철골구조나 목구조가 철콘구조보다 덜 선호하는 인식도 한 몫하구요. 제가 보았을땐 우리 나라만 적용되는 사전 분양가 심의제나 사업심의제가 바뀌어야된다고 생각합니다. 수요와 공급의 원칙에 의거하여 소비자가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지자체나 관청이 정해준 가격과 프레임 안에서 사업을 진행하려다 보니 손해는 볼 수 없는 사업자 입장에서는 불법 건축과 얌체 시공을 하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예전 영상에서 말씀하신 사업심의를 받지 않는 초고가의 하이엔드 주택의 경우가 여기에 부합되는 것이지요. 그러한 관점에서 접근하면 좋겠습니다. 과거 소비자의 지적 판단수준과 정보습득력과 지금의 그것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다르므로 정보 불균형과 무지함으로 잘못되는 선택을 하는 소비자가 없다는 전제 하에 분양가 사전 심의제를 폐지하거나 완화했으면 좋겠습니다. 분양 당첨 로또가 왠말인가요.. ㅎ 과연 누굴위한 분양가 심의제인지 한번 집어봐야하는 때가 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항상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ChangminMoon79
@ChangminMoon79 3 күн бұрын
역시 시급 올린 역효과가, 내외국인 모두 죽이는 꼴이군요. 이 문제는 건설분야 뿐만이 아니라 전체 제조업에 악영향. 대한민국은 제조업으로 먹고살아야하는데 아직도 3차산업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망상가들 때문에 망조가 듭니다.
@슈슈뮤-b9o
@슈슈뮤-b9o Ай бұрын
이런게 빨리 현실화 되려면 교수님이 국토부장관이 되시는게 빠를까요😂 깨인 사람들이 뭔가 실행해 보려해도 우리나라는 여러가지 이권이 얽혀있어 현실화 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슬프네요 😭
@나래공
@나래공 Ай бұрын
정부의 역할은 이런 사람들 초청해서 말을 듣고 정책을 짜면 되는거지 꼭 실행자와 제안자가 같을 필요가 없습니다 리더와 조언가들은 서로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자리에 맞는 사람이 가야한다 생각합니다
@달빚그림자
@달빚그림자 Ай бұрын
다른건 몰라도 정치인들을 싸그리 바꿔야하고 자유시장경제를 추진하고 노동정책은 미국식으로 도입하고 상속증여세 없애면 한국은 다시 성장동력이 원활히 돌아갈것이다
@의정부시민1
@의정부시민1 Ай бұрын
노후화된 도심이 없다.. 지방가보세요. 급격히 사람 빠지면서 구도심 신도심 구분되는 지역들 상권이 어떻게 바뀌는지. 재건축이 아닌 신도시로 이주하면서 구도심이 노호화되면서 슬럼화가 어떻게 되는지 보입니다.
@hoffelmond2247
@hoffelmond2247 Ай бұрын
저는 아직 20대라, 도시가 살고 죽는걸 기다리든 옮겨가든 하면 되니 사실 슬럼화에 위기는 못느끼지만, 50대 넘었으면 아찔했을듯 합니다. 평생 돈모아서 남은게 집 하나인데 옮길만큼 유동성도 없고, 계속 슬럼화는 되어가고..
@japanese_4
@japanese_4 28 күн бұрын
기관이나 기업 잘못만은 아닌게 재건축 한다고하면 보상금 받아먹으려는 인간이 한둘이 아니어야지;; 준다해도 더 달라고 뻐기는데 뭘;;
@myboo4655
@myboo4655 Ай бұрын
저도 쭉 이렇게 생각해왔고 이게 답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과거 콘크리트 공법이 처음 도입될 때 사람들의 반발심이 있었다고 알고 있는데, 모듈러건축도 마찬가지 일겁니다. 이걸 해결하기 위해선 모듈러 건축이 수익성이 날만큼 고층 건축이 가능해져야하고, 모듈러라서 가치가 떨어진다는 생각이 안나게끔 고급화 되어야할 겁니다. 모듈러 교실 할때 사람들 애들을 어떻게 컨테이너 박스에 넣을 수 있냐고 했던거 아시지 않습니까? 제가 봤을 때 컨테이너 박스도 바깥에 단열재 잘 붙이고 이쁘게 마감재 붙이면 별말 없었을 겁니다. FF판넬에 사는 사람들도 많이 있으니까요. 추가로 노후화 되었을 때 리모델링에 있어서 지금의 방식처럼 수리가 가능해야 할 겁니다. 그래야 추후 해당 건물을 사고 파는 것에 문제가 없겠죠. 중국, 영국은 모듈러 건축물을 몇 십층까지 만들고 있다는데, 한국도 이게 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이미 영국은 GS건설이 잘 주도하고 있죠 영국의 그 건물은 GS건설 건물이고 사실 경량목 모듈러는 GS건설이 국내에서 가장 잘 주도 하기는 합니다. 물론 저층에만 쓸 수 있고 세탁기 진동도 울리고 생각보다 토목비 포함하면 싸지도 않고 접합부 방수를 계속 해줘야 해서 인기가 아주 많지는 않지만요 블랙록이 괜히 투자한게 아니니까요
@HyoungraeCho
@HyoungraeCho Ай бұрын
왜 외국인 노동자를 쓸까요? 임금이 낮아서죠. 딱 최저임금에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가산수당 때려박고 주 60시간 이상 일 해서 돈 받는데 내국인이 그 돈 받고 일 할까요? 안하죠. 골조 파트의 소수의 내국인 노동자들은 일당 괜찮긴 하지만 건설직 특성상 일이 항상 있는거도 아니고, 고용 안정성도 떨어져, 주6일은 기본에 바쁘면 일요일도 일해, 공휴일 쉬는 것 없고, 휴가도 따로 없고 여름에 현장 휴가라고 생겨도 날짜도 2주 전에나 알려주죠. 복지, 연차요? 그런게 어딨습니까? 하다 못해 대기업 건설사에 다니는 직원들도 퇴사, 이직 많습니다. 주6일 일하고 야근은 밥먹듯이 해서요. 주52시간제요? ㅎㅎㅎ 공사기간을 늘리면 되지 않냐? 하는데 아파트 건설 공기는 무조건 3년, 길어도 3년 반이죠. 조합에서는 빨리 짓는 건설사를 선정하지 느린 회사를 뽑을 이유는 없거든요. 이거 바뀌지 않는 이상 부실공사, 부실시공, 철근누락 아무것도 못잡습니다.
@mmaaammy
@mmaaammy Ай бұрын
건식공법에 대한 이야기하셧는데 현장에서 기존방법을 유지하는 이유도 있을거 같아요 거기에 대한 설명도 해주세요
@Exynos3
@Exynos3 Ай бұрын
2가지 고질병이 있는데 일단 국내는 특히 여름에 습도가 너무 높고 심지어 여름이 너무 덥고 길어지고 있죠 이러다보니 습기 대응 하러면 습식이 가장 낫습니다. 어차피 국민성과 민도따라 사실 결로 문제도 그런데 적정 습도와 온도 맞췄는데 결로가 생기는 것도 아니면 그냥 본인이 적정 습도와 온도를 못 맞춘건데 이걸 안 하는 사람이 많으니 대가를 치루는거죠 두번째는 다들 30평대 이하 집에 사는데 이런곳에 건식 욕실이라도 넣으면 화장실이 2개가 아니라 호텔이나 일본 같이 세면대와 변기가 있는 곳 하나 그리고 샤워실이 하나로 만들어지는데 이러면 다들 실용성 안 좋다고 해서 생각보다 수요가 적습니다.
@송민우-x9y
@송민우-x9y Ай бұрын
서울 경기도는 그래도 괸찬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방은 지금 답이없어요 일단 지방도시 인구가 해마다 줄어들고 빈집은 남아도는데 집값은 않내려가고 일자리 없으니 인구 유입은 떨어지고 대기업 재개발 한다고 들어오면 건축비 올리려고 사람풀어서 사인받으로 댕기고 하...........
@Clodcloud-l7r
@Clodcloud-l7r Ай бұрын
서울도 곧 폐허가 될 겁니다. 더 이상 성수동 같은 사례가 나오기 힘들어요. 서울 출산율 0.5에다가 50년 안에 서울 인구 반토막 나는거 확정이라서요.
@deadslow4885
@deadslow4885 Ай бұрын
4:44 바벨 탑이 현실로 ㄷㄷ
@elpresidente124
@elpresidente124 Ай бұрын
확실히 유사한 문제를 훨씬 먼저 겪은 일본에서 답을 찾을 수 있지 않나 싶네요. 다만 건식공법... 듣기만 해도 자재비가 엄청날 것 같은데 . 아직은 한국 인건비가 그게 더 저렴할 정도는 아닐 것 같은데 맞나요?
@vkk.7761
@vkk.7761 Ай бұрын
구체적 해법까지 제시해주시는 분은 정말 이분뿐인듯
@matroos8393
@matroos8393 29 күн бұрын
도덕적 잣대 아주 동의합니다. 회사에서도 일은 대충하면서 놀아주고 잘맞춰주는 인간이 일 잘하고 깔끔히 퇴근하는 이보다 대우받죠 ㅋ
@Trident089
@Trident089 28 күн бұрын
교수님 제생각에도 슬럼화 가고 재생하내는게 좋은건데 그리고 제일중요한게 우리나라 건축일은 외국인이 주가되고 결과적으로 국내인으로쓰면 코스트가 들어갈텐데 솔직히 한옥 짓는걸 보면 조금씩 중국인이 들어오기는 하려는게 보이더라구요 그래서 굉장히 불쾌했어요....그러지않아도 중국인이 제대로 일한다는 보장이 없다보니 도편수 어른도 좋게 보진 않으시 더라구요
@awcy0423
@awcy0423 Ай бұрын
다방면의 지식을 두루 아시는 것이 존경스럽습니다. 예시가 많아서 이해하기 편합니다.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중국이 미국을 이길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
15:28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4,3 МЛН
When Cucumbers Meet PVC Pipe The Results Are Wild! 🤭
00:44
Crafty Buddy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
Муж внезапно вернулся домой @Oscar_elteacher
00:43
История одного вокалиста
Рет қаралды 6 МЛН
快乐总是短暂的!😂 #搞笑夫妻 #爱美食爱生活 #搞笑达人
00:14
朱大帅and依美姐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무한경쟁 한국의 미래는 여기서 갈린다? (f. 송길영)
19:15
김지윤의 지식Play
Рет қаралды 377 М.
신세계도 화성 간다!
29:12
슈카월드
Рет қаралды 1,4 МЛН
When Cucumbers Meet PVC Pipe The Results Are Wild! 🤭
00:44
Crafty Buddy
Рет қаралды 5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