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산주의가 원하는 세상이 도대체 뭘까? (18분 순삭Ver.) #94

  Рет қаралды 768,424

간다효

간다효

2 жыл бұрын

#간다효
🐸 간다효 채팅규칙 : cafe.naver.com/ganada0811/668
📧 간다효 문의 : gandahyo@gmail.com
💖 간다효 후원1 : twip.kr/gandahyo
💘 간다효 후원2 : toon.at/donate/gandahyo
💟 간다효 멤버십 가입
/ @official_gandahyo
⭕️ 간다효 인스타 : / gandahyo
💜 간다효 트위치 : / gandahyo
All rights reserved® Made by KZbin GANDA.HYO

Пікірлер: 1 400
@Official_gandahyo
@Official_gandahyo Жыл бұрын
📖효기심의 권력으로 읽는 세계사📖 📖예스24: www.yes24.com/Product/Goods/117586969 📖교보문고: 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097115 📖알라딘: 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11906962
@user-ir3dw5od3p
@user-ir3dw5od3p Жыл бұрын
😊😅
@noah489
@noah489 3 ай бұрын
대체 자유민주주의란 이 무식한 단어는 왜 한국에서 유행하는 거야??? 민주주의 는 민주주의지 무슨 자유민주주의야?? 북쪽에 인민민주주의만큼 창의적인 단어라고!! 그리고..19세기랑 21세기랑 중요한 변화 중 하나가 화폐의 효용성임... 더이상 생산수단 소유만으로 부르주아를 구분하지 않는 세상인 거임... 그만큼 현물에 대한 거래 방식이 더 다양해졌고 완전하고 즉각적으로 화폐로 교환가능해 져서 생산수단 소유주체보다 생산수단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방식에서 더 많은 부가 창출되는 거임... 미래사회는 일부 사회주의식 모델이 많이 응용될 수 밖에 없게 될 거임.. 거기서 더 큰 부가 창출될 테니... 원래 부의 특성이 더 큰 부에 잠식되는 거임... 사회주의든 공산사회든 생산수단의 국유화가 문제가 아니라 독재적 정치시스템이 갖는 운영의 비효율성이 태생적 문제인 거임... AI와 로봇의 등장이 이미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는 기능이 있기에 사회의 변화는 예견되고 있고 레닌때 처럼 무식한 급진 혁명적 전체적 사회변화가 아닌 필요요소에 따른 부분적 변화는 예정됐다고 봄. 결국 어떤 놈이 더 잘났냐는 평가가 아니라 시대에 맞게 유연하게 변화할 수 있는 놈이 효용성이 높은 거임...
@DavidLee-xh4zv
@DavidLee-xh4zv 6 ай бұрын
마르크스의 생각은 일단 열심히 일하고 공부해서 전인민이 충분히 먹을 파이를 만들어 놓은 다음 공평하게 나눠먹자라는건데, 파이 만들기 위해 일할 생각은 전혀 없고 남이 만든거 뜯어먹을 생각만 있는 사람들만 득시글거림 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wj9qj6yta15
@user-wj9qj6yta15 2 ай бұрын
일단 전위대가 타락하는게 문제 아니면 무능해지거나
@user-ub5ul7dk2e
@user-ub5ul7dk2e 2 ай бұрын
+옆 나라는 연구하고 개발해서 조금더 쉽게 더많이 파이를 만드는 방법을 경쟁을 통해 만들어냄. 덕분에 파이가 넘처나서 다른 즐길거리를 즐기고 개발시킴.(공산당은 뜯어처먹을 생각만하는중이라 파이없이 처 굶는중..점점더 점점더 굶고 뒤처지는중..그중에 생각이 트인 인재들은 파이가 넘치는 옆나라로 도망침. 인재가 사라저 더 나라망함...ㅡ 지금 한국과 북한)
@user-tq9xt9hz7t
@user-tq9xt9hz7t Ай бұрын
먼 곳도 아니야...지금 내 일하는 내 옆에도 눈치만 살피고 몇 번 팀장님 부탁으로 일 도와주니 이젠 내 일도 누가 하겠지 하며 쉬운 것만 하는 사람 바로 옆에 있어.. 멀리 전 세계 안봐도 돼
@dongwonkim5966
@dongwonkim5966 Ай бұрын
인간의 속성과 본질을 읽지 못한 마르크스의 착각이었지. 남보다 편해지고 싶고 남보다 부자가 되고 싶은게 사람 본성인 것을
@user-wd1jd4bj2z
@user-wd1jd4bj2z Ай бұрын
인간은 양심이있는사람과 없는사람으로 나뉘고 그 양심이있는사람도 양심없는사람한테 전염됨 자본주의는 최고의 사상임
@mg-zc2zl
@mg-zc2zl 2 жыл бұрын
이런 정치이념 사상교육은 진짜 인간사회를 살면서 꼭 필요한것같아요 이런걸 진짜의논하고 토론하는게 인류발전을 이룩하는것같아요 좌우 나눠서 니들잘하나지켜보자 서로 물어뜯고 뭐하나잘못되면 자기가맞다고 뻣대고 조롱하고 그런문화는 사라져야겠죠!
@user-wg4bv9nc2v
@user-wg4bv9nc2v 2 жыл бұрын
좌우 나누지 말아야합니다....단어부터가 뭔가 00주의 같은 느낌을 줍니다....
@jin.n1483
@jin.n1483 2 жыл бұрын
칼 마르크스 본인부터가 가장으로서의 앞가림 내팽개친 쓰레기였음 ㅋㅋ 거창한 이상과 도덕 늘어놓기 좋아하는 인간 치고 본인이 제대로 된 경우 없다 이거야.
@user-ky7ze4rp1n
@user-ky7ze4rp1n 27 күн бұрын
ㅈ국 생각나네요 ㅎㅎ
@DevilGu-us2zc
@DevilGu-us2zc 2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는 사람을 너무 과대평가함ㅋㅋㅋㅋㅋㅋ
@niceyoungmo
@niceyoungmo 2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 말대로 사람들이 다 착했으면 뭘 어떻게 해도 잘살지 않았을까 싶네요 ㅋㅋㅋ
@user-cp6jw6hy9s
@user-cp6jw6hy9s 2 жыл бұрын
ㄹㅇ 마르크스 논리대로라면 뭐 안만들어도 잘 살았겠지 ㅋㅋ
@uranusangheljygalagg3103
@uranusangheljygalagg3103 2 жыл бұрын
일단 우리는 공산화 되면 망함 ㅋㅋㅋ 조별과제랑 북한만 봐도 그럼 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순수기술도 솔직히 많이 부족하고 인적자원밖에 없음 ㅠㅠ
@coldpizza292
@coldpizza292 2 жыл бұрын
물범주제에
@user-kl4zi9rw7i
@user-kl4zi9rw7i 2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 자본가 친구에 빌붙어서 꿀빨면서 살지 않았나? 이상론 누구나 주장 가능하지
@mykim0712
@mykim0712 Жыл бұрын
공산사회가 완성되려면, 공장의 건설 식량의 제조 운송까지 싹다 로봇등을 통해 자동화가 돼야 하고 사람들의 각기 다른 욕망을 지속적으로 채워줘야 할텐데요.
@user-zj6wk6jp7i
@user-zj6wk6jp7i Жыл бұрын
갠적으로 그런 상황이 온다면 의사나 변호사같이 인간이란 존재가 있기에 생기는 직업들은 위치가 어디있을지 궁금함
@jenniferw.3800
@jenniferw.3800 Жыл бұрын
@@user-zj6wk6jp7i 그때는 직업의 개념이 없을 것 같습니다
@anonymous-yx6kf
@anonymous-yx6kf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사회주의 교육이 필요함. 받은 만큼 하려는 부르주아들 척결하고 국가와 가족을 위해 18개월 징병되라 라고 면서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anonymous-yx6kf 부르주아는 착취하는 자들입니다만. 일한만큼 갖자는게 낮은 국면의 공산주의 사회, 그러니까 사회주의 사회입니다. 필요한만큼 갖는건 여기서 생산력이 충분히 발전하면 끝이고요.
@jeromepowell0
@jeromepowell0 Жыл бұрын
그런 세상이 안온다는게 문제죠. 아무리 로봇과 인공지능이 발전해도 그것들을 돌리는 전기는 공짜가 아니며 자원이 무한하지도 않죠. 공산주의가 성공하려면 에너지와 자원이 들판 돌맹이처럼 흔하고 흔해빠져야 가능..
@user-pl6lo3ey2h
@user-pl6lo3ey2h 2 жыл бұрын
자유로운 노동과 사명감을 가진 노동... 앞뒤가 안맞는 이론이네요...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자유로운 노동을 언급했죠. 사명감을 가진 노동은 중요하게 언급한 바 없습니다.
@user-jj5bs5oc1e
@user-jj5bs5oc1e 2 жыл бұрын
오스트랄로피테쿠스도 내가 사냥한 고기도 내꺼 라고 생각했을텐디
@sucahrles
@sucahrles 2 жыл бұрын
자유주의 속 사회주의o 사회주의 속 자유주의x
@joejoonhoyang
@joejoonhoyang 2 жыл бұрын
@@yhanzisu4932 원시공산주의가 있었다고 착각하시는군요. 하지만 원시 수렵채집 사회도 지니계수(빈부격차 계수)가 0.17로 2007년 덴마크와 비슷한 불평등이 있었습니다. 모두가 다 고기와 꿀과 과일과 잡곡을 똑같이 먹을 수 있는 게 아니었단 겁니다. 능력이 있으면 더 먹고 없으면 못먹는 사회였습니다.
@joejoonhoyang
@joejoonhoyang 2 жыл бұрын
@@yhanzisu4932 저작권 문제 때문인지 자꾸 댓글이 지워지는데, 지니 계수의 출처는 "Researchers chart rising wealth inequality across millenia"라는 워싱턴 주립대 기사글입니다. 기사에 따르면 63개의 고대 유적지를 통해서 집터의 너비를 측정하고 서로 비교해보면 지니 계수를 계산할 수 있다고 나와있습니다. 원시 수렵채집 사회는 0.17의 지니 계수가 평균값인데, 현대에 비하면 굉장히 평등한 것은 맞지만 완전히 평등한 것도 아니었다는 사실의 근거가 됩니다.
@joejoonhoyang
@joejoonhoyang 2 жыл бұрын
@@yhanzisu4932 그리고 "wealth transmission and inequality among hunter-gatherers"라는 제목의 논문을 참고해보면, Hadza라는 수렵채집 부족의 경우 남성의 사냥 실력에 따라 (비록 많진 않지만) 지위와 명예를 얻는 동시에 더 많은 여자와 만날 수 있었고, 사냥감과 꿀을 얻어서 왔을 때에는 물론 부족원들에게 다 나눠주긴 하지만 본인 몫을 제일 많이 가져간다고 언급돼있습니다. 원시 수렵채집 사회였다고 한들, 본인의 능력에 따라 본인 몫을 더 많이 챙길 수 있다는 점은 변치 않습니다
@user-wr1qf6yw5u
@user-wr1qf6yw5u 2 жыл бұрын
@@yhanzisu4932 님 말이 틀림
@salmundalgial7476
@salmundalgial7476 2 жыл бұрын
모두가 하나의 메인서버의 명령을따르는 인조인간으로 개조되기 전까진 완벽한 공산주의는 불가능하다
@j-opark871
@j-opark871 2 жыл бұрын
프로토스?
@dkjack0476
@dkjack0476 2 жыл бұрын
사이버맨
@hoya5584
@hoya5584 2 жыл бұрын
매트릭스? 이퀄리브리엄?
@junname.1600
@junname.1600 2 жыл бұрын
아니면 완전 노동 없이 사회가 돌아갈 수 있을만큼 기술이 발전하면 가능할지도
@user-vq1ei5yk7z
@user-vq1ei5yk7z 2 жыл бұрын
그런 세상 따위는 멸망해야 한다..인조인간이라...그냥 기계가 되는거구먼
@awwlove_memory
@awwlove_memory 2 жыл бұрын
철학자들은 나름 생각이 있겠지만 정치인들은 그게 뭐든 이용해먹을뿐이지
@seungmi3852
@seungmi3852 2 жыл бұрын
설명 너무 잘해주시네요ㅋㅋㅋ♡
@user-ko2wd7qm8d
@user-ko2wd7qm8d 2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의 취지 : 내것은 니 것 니 것은 내 것, 능력만큼 일하고 필요에 의해 받아 같이 잘 살아보자. 현실의 공산주의 : 니 것은 나라 것, 네놈것도 나라것 나라것은 지도자인 내 것, 지도자와 고위급 빼면 모두함께 거렁뱅이 하향평준화 자유민주국가에서 독재가 없었던건 아니지만 대부분 민주화가 되거나 그런 독재도 없었던 나라도 많았던 반면 시뻘건애들치고 독재 안하는 나라는 없었습니다.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그쪽은 스탈린주의였습니다. 국가자본주의였죠.
@prodg4875
@prodg4875 2 жыл бұрын
급해서 실패한게 아니라 나중에도 안돼 ㅋㅋ 배급권을 누군가 쥐고 결정할텐데 무조건 부패하게 되어있음. '이기심에서 비롯된 경쟁'이 인류문명발전의 원동력임
@user-re2wn4jh7p
@user-re2wn4jh7p 2 жыл бұрын
동감 하지만 저덕에 수정자본주의 정부의 개입이된것도 사실
@user-re2wn4jh7p
@user-re2wn4jh7p 2 жыл бұрын
그멸칭이 이제 경제학에 쓰이고있습니다만 학자들이나 교수들한테 따지시저
@user-ou4gs3eo2d
@user-ou4gs3eo2d 2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더 높은 효율성을 갖게 된 시점이면 ‘이기심에서 비롯된 경쟁’은 인류 발전에 아무 영향력 없어질 거임
@user-sp8hg2vi3j
@user-sp8hg2vi3j 2 жыл бұрын
@@user-ou4gs3eo2d 나도 이렇게 봄 이제 미국 유럽도 성장하던 시기인데 공산주의가 될리가 없죠 자기 나라가 강대국이 되야하고 그로 인해서 제국주의가 된건데 시대를 너무 앞서감 점점 미래는 식량난에 허덕이지도 않고 일을 할 이유도 없어서 그냥 로봇이 일한걸로 공평하게 나눠가지면 될듯
@creditsong912
@creditsong912 2 жыл бұрын
성적욕망까지도 메타버스로 무한공급가능한 사회라면 혹시 가능할수도..ㅎ
@stormtrooper6602
@stormtrooper6602 2 жыл бұрын
칼 마르크스 이론이나 사회주의 이론대로 할려면 Ai 로봇빼고 답이 없을 것 같은데. 딱 메트릭스 세계관처럼
@user-eg3ys4xv8s
@user-eg3ys4xv8s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국민 전체를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AI기술이 개발되고서야 가능하다는 설을 미는 사람들도 있죠
@user-gb8ju7dj4x
@user-gb8ju7dj4x 2 жыл бұрын
ai로봇도 그걸 프로그래밍하는 사람이 초기에 넣는 정보나 시스템 설정에 따라서 달라질 거 같아서 과연 가능할까 싶네요
@user-jx6xp8ch8e
@user-jx6xp8ch8e 2 жыл бұрын
절대자가 필요한거임 공정하고 전지적인 절대자
@user-yz4tf5ze6e
@user-yz4tf5ze6e 2 жыл бұрын
@@user-jx6xp8ch8e 그래서 공산주의는 필연적으로 독재자가 나오죠 생산한 자원을 나눠줄 절대자=독재자=큰정부
@m1a2tank
@m1a2tank 2 жыл бұрын
AI 의 장점은 내부의 규칙을 알 수 없다는 건데 규칙을 악용하는 사람을 배제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부동산 정책만 봐도 규칙이 라는 게 있어서 규칙을 악용하는사람들때문에 정책이 먹힐 수 없는데 AI 가 컨트롤 하면 1년만에 잡힐수도 있을거같다. 대신 한강에 만명정도 빠지고나면 해결될듯 ㅋㅋ.
@user-tf5xl1fm6s
@user-tf5xl1fm6s 7 ай бұрын
사유재산은 본능이다. 집에서 기르는 짐승도 자기 것 뺏어가면 화내고 주인한테도 덤비고, 두세 살 짜리 어린애들도 더 가지려고 떼쓰고 지 물건 빼앗기면 울고불고 난리나는 거다. 공산주의는 이러한 인간의 본능을 무시한 것이기에 근본적으로 잘못된 것이고, 망할 수밖에 없는 헛된 사상일 뿐이고, 그저 조금 잘난 정치꾼들이 사람들을 속이고 한 자리 해먹기 위해서 듣기 좋은 소리를 가져다 쓴 것에 불과하다.
@user-vh2pt9ki6n
@user-vh2pt9ki6n Ай бұрын
지금이야 다 아니까 이런 소리하지..
@NightingaIe
@NightingaIe 13 күн бұрын
@@del5952 사회적인 행동도 본능에 속합니다.
@92youth30
@92youth30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가장 감성적이고 따듯한 사상이지만 인간을 인간이 아닌 입력값에 따라 맞춰 움직이는 부품으로서 바라봤기에 나온 망상
@haneumpae2267
@haneumpae2267 2 жыл бұрын
시대 배경을 고려해서 설명하시니까 한번에 이해되었습니다.~~(최고!)
@user-ve2ey9pr4u
@user-ve2ey9pr4u 2 жыл бұрын
배분을 한다고 치자 누구한테 한강변 아파트 줄건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누가 하기 싫은 일을 할껀데 ㅋㅋㅋㅋㅋ
@user-nx8jc1se9s
@user-nx8jc1se9s 2 жыл бұрын
좋은건 다 로보트 한테 싫은것도 로보트 한테 ㅎㅎㅎ 해결!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는 착취를 없애서 성과제, 민주주의를 이루자는 겁니다
@user-fg1fe9pl5t
@user-fg1fe9pl5t 8 ай бұрын
누구도 하기싫은 일을 한 사람에게 한강변 아파트를 주면 되지 않을까요
@sy-kt2xl
@sy-kt2xl 3 ай бұрын
공평공정이 권력자 맘대로임~ 그러다 ai가 권력자 되는거~ 메트릭스;;
@juleshenripoincare6784
@juleshenripoincare6784 2 ай бұрын
애시당초 단국대나온애가 서커스하는 거엠 다 찍어도 동국대는 감
@user-ut3qt2db9h
@user-ut3qt2db9h 2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 그거 초AI 사회에서 노동해방 이후에나 생각해볼 시스템 아닌가? ㅋㅋㅋ 지금은 어림없지
@user-ou3uc4pb6f
@user-ou3uc4pb6f 2 жыл бұрын
근데 사실 공산주의가 그냥 꽁으로 n빵이 아니라. 그냥 생산 수단 공유해서 독점적인 지위나 수단을 없애는거지. 기업가 ㅂㅅ만들고 지식인들 대가리 깨는게 아님.
@soybullet6960
@soybullet6960 2 жыл бұрын
이거 ㄹㅇ임. 국가지도자가 철인이 되어야 하는데, 과연 그런인간이 존재할 수 있을까? 그런 사람이 있다고 해도 혼자 철인인데 밑에 다 지휘,감독 가능할까? 그저 지도자와 그 부하들이 모두 ai여야함
@niceyoungmo
@niceyoungmo 2 жыл бұрын
@@user-ou3uc4pb6f 근본 취지는 그렇다지만 막상 이행하면 행정부가 독점적 지위를 차지해버리니 문제 ㅋㅋㅋ
@nodilalea8230
@nodilalea8230 2 жыл бұрын
그때되면..ㅋㅋㅋ진짜 완벽한 유토피아 인류 평등시대가 올듯
@niceyoungmo
@niceyoungmo 2 жыл бұрын
@@nodilalea8230 지구온난화에 의한 곡창지대 이동으로 핵전쟁 나고 멸망한다는 전망도 있음..
@mind-setting789
@mind-setting789 2 жыл бұрын
진짜 말을 어쩜 이렇게 맛깔스럽게 하는지 모르겠네요 ㅋㅋㅋㅋ 대박입니다 ㅋㅋㅋㅋㅋ
@user-iu9rx7ef3m
@user-iu9rx7ef3m 2 жыл бұрын
진심 명쾌한 해석 감사드립니다 ㅎㅎ
@ajisi.8931
@ajisi.8931 2 жыл бұрын
댓글 블라처리 한거 보니까 또 정치병환자들 입장하셧나보네 ㅋㅋㅋㅋㅋㅋ
@user-gq2fw3fw7k
@user-gq2fw3fw7k 2 жыл бұрын
이번엔 주제가 정치체제라 참으려해도 방어기제처럼 어쩔 수 없이 발동되겠지ㅋㅋ
@user-gq2fw3fw7k
@user-gq2fw3fw7k 2 жыл бұрын
@@user-jjy1015 당연한 현상아닐까요 현실이 힘들고 세상이 불공정하다 느끼면 누구나 나랏님 탓을 할 수 밖에 없죠. 각자 본인들 시선에서 자기표현을 하는데 따로 표현할 곳이 없으니 인터넷에서 하는거죠. 어쩔수가 없음 성숙함이랑 별개의 문제
@as-yi1iz
@as-yi1iz 2 жыл бұрын
@@user-gq2fw3fw7k 나랏님X 나라님O
@user-gq2fw3fw7k
@user-gq2fw3fw7k 2 жыл бұрын
@@as-yi1iz 아 네ㅎㅎ죄송합니다 제가 존나 멍청해서 틀렸네요
@burgerkinglee
@burgerkinglee 2 жыл бұрын
정치얘기하려면 당연히 감수해야지 사상과 표현의 자유가 있는데. 욕하는 마인드 자체가 통제, 독재적인거임
@user-et8vb6ux7r
@user-et8vb6ux7r Жыл бұрын
기본적으로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는 결국 망할것이라고 생각한 전제는 당시 경제학자들이 공급을 수요보다 우선시한것에 있음. 20세기 중반 케인즈 전에는 공급이 있어야 수요가 생긴다고 생각 했던거임. 그래서 공장주들이 가격을 맘대로 정할수 있다고 생각 한거지. 하지만 실제로는 수요가 공급가를 정하기 때문에(일부 독점분야 제외) 자본주의는 망할 수가 없음.
@jeromepowell0
@jeromepowell0 Жыл бұрын
정답! 냉전기와 경제대공황을 거치고 실업자가 늘어나면서 자동화 설비의 투자금과 운영비보다 사람부리는게 더 싸지는 순간 결국 인간노동의 수요가 생기기 때문.
@efswrf225
@efswrf225 2 жыл бұрын
독일은 아예 사회 보장법 깔아놓고 사회주의 혁명의 원천을 차단 했음
@user-qf2zi8vs5y
@user-qf2zi8vs5y 2 жыл бұрын
그 사회보장법 으로 이뤄지는 것들을 한국에 적용 하자고 하면 좌빨종북 소리 듣는게 현실임 ㅋㅋ
@user-uc1vf6wd8f
@user-uc1vf6wd8f 7 ай бұрын
이론 자체는 대단히 완벽하지만 기본 전제부터 잘못된 사상.. 인간은 편히 먹고 자는것보다 둘만 모여도 쟤보다 나은 점을 찾고 싶어하고 지배하고 싶어하는 욕망덩어리임
@oop490
@oop490 2 жыл бұрын
도끼로 나무 한번 찍어본적 없는 사람이 노동으로 사람을 교화시킬 수 있다고 연필로 종이에 끄적인게 유머라고 마르크스 개깠던 솔제니친 좌..
@user-rf8yz7sn9w
@user-rf8yz7sn9w 2 жыл бұрын
결론:공산주의가 실패하고 전쟁이 발생하는 모든것은 인간의 "욕심" 때문임 사람에게서 "욕심" 이라는 감정이 사라진다면 싸우거나 전쟁할일이 없음
@user-rf8yz7sn9w
@user-rf8yz7sn9w 2 жыл бұрын
@@user-ok4zf6hj7h 욕심이 있는 관점에선 비참할수있으나 그렇지 않은관점에선 비참함을 느끼지 못할것임
@user-nq9kl8mx4n
@user-nq9kl8mx4n 11 ай бұрын
욕심이 없으면 인류도 발전이 멈추고 파멸하게 됨
@user-ys9bm2tf1r
@user-ys9bm2tf1r 8 ай бұрын
인류의 발전의 원동력이 욕심임 공산주의는 기계가 아닌이상 실행할수가 없음 결국 왕정 독재로 변할수밖에 없는 사상
@aansbuda1405
@aansbuda1405 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에 가장 대립되는 개념은 왕정이 아닐까 싶고, 자본주의에 대립되는 개념이 사회주의일듯.. 프랑스 혁명때 초기 자본가들에 의해 왕정을 무너뜨리며, 민주주의는 곧 자본주의란 개념이 생긴게 아닐까 함. 노동자들이 왕정을 무너뜨린 러시아 공산화로 인해 서방의 자본주의 국가들도 무너질까 두려워 속속 노동법을 개정했다고 함. 그런데 그게 오히려 경제가 활발해지는 순기능으로 작용했다고 함.
@user-ji3oj9cg3h
@user-ji3oj9cg3h 2 жыл бұрын
스탈린주의 마오주의도 비민주적임
@user-sk6np1sw9t
@user-sk6np1sw9t 2 жыл бұрын
@@user-ji3oj9cg3h 그러니까 현대에는 대다수의 좌익진영에서 스탈린,마오를 인정안하는거임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Жыл бұрын
ㄹㅇ.. 민주주의와 가장 대립적인 건 독재가 아니라 왕정임 오늘날 독재는 평등한 권리를 지닌 집단 내에서 개인이 권력을 독점하는 건데 왕정은 애초에 평등한 권리를 부정하고 특정 개인에게 별도의 계급과 권위, 권력을 부여하는 거니까. 그저 혈통만으로요. 뭐만하면 독재라며 까는 선진 민주국가들이 일부 왕정이나 입헌군주정과는 친하게 지내고 있으니까 사람들이 위화감을 못느끼는 것 같은데, 엄청 웃긴 거임
@sitibon4603
@sitibon4603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없었어야 할 쳐죽일놈의 사상
@user-eu5to8lm6o
@user-eu5to8lm6o 2 жыл бұрын
인간의 모든 본능을 배제 하고 그위에 쌓은 이념이니, 애초에 성공 할 수 가 없는 개념ㅋㅋㅋㅋㅋ 그리고 한두명이 너무나도 해쳐먹기 좋은 구조. 망할수밖에 없음.
@Redblue1024RB
@Redblue1024RB Жыл бұрын
아나키즘 오열할 소리...
@dkim8511
@dkim8511 2 жыл бұрын
효기심님 채널이 또 있었네 구독박습니다
@m_s8252
@m_s8252 Жыл бұрын
당신!!!!!!!증말 최고!!!!!!많이 배웁니다
@user-kw3se9oh3f
@user-kw3se9oh3f Ай бұрын
사람들의 공평에 대한 갈망을 이용한 사기
@vivaso80
@vivaso80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가 가장 좋아했던 나라는 미국과 영국. 자본주의가 순수하게 발전해서 노동자들이 인민의 절대 다수였기 때문
@user_525mqwfgxbkxz
@user_525mqwfgxbkxz 2 жыл бұрын
세상이 공산주의가 가능한 세상이라면 애초에 공산주의라는것도 안나왔을테죠.
@user-sp8hg2vi3j
@user-sp8hg2vi3j 2 жыл бұрын
사실 오스트랄로 피테쿠스들의 사회가 공산주의죠 남자는 다같이 사냥하고 다같이 먹고 여자들은 다 같이 애키우거나 과일 채집하고 공산주의가 나쁜게 아니라 시대를 잘못 타고남 미래는 공산주의가 될거같음
@user-bi1zf4rb2j
@user-bi1zf4rb2j Жыл бұрын
너무재밋서.빠져듭니다.!
@Horang812
@Horang812 2 жыл бұрын
이걸 김일성에서 끊네 아.... 감질맛 난다
@user-xg5mk8wo4p
@user-xg5mk8wo4p 2 жыл бұрын
누가 그랬더라 공산주의 이론은 완벽한데 인간이 불완전한 존재니까 애초에 불가능한 이론이라고. 또 현실적으로 나타난 공산국가는 하나같이 소련 중국 북한 전부다 공산귀족들만을 위한 나라였고 국민들은 과거보다 더 착취당하면서 살았지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파리 코뮌은 어떤가요.
@bsi23
@bsi23 2 жыл бұрын
이론적으로도 별로인게 인간의 이기심 이런 건 차치해도 직업선택의 자유가 없는게 큼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bsi23 마르크스 본인은 오히려 지나치게 직업의 자유를 보장했죠.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abnormalchesser4585 레닌이 다스리던 시기가 사회주의는 아니었죠. 공산주의도 아니었고.
@user-qm3fn2dh2h
@user-qm3fn2dh2h Жыл бұрын
무히카는 전세계가 가장 존경하는 위대한 공산주의자 대통령입니다
@zzodawang9886
@zzodawang9886 2 жыл бұрын
와 1번부터 정주행 딱 끝나니까 타이밍좋게 새거나오네
@kkk5441
@kkk5441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는 자본주의가 극단적 괴물이 되지 않도록 한 것 만으로도 할 일을 다 한 것임
@user-dv7bn8of8j
@user-dv7bn8of8j Ай бұрын
KKK단 ㄷㄷ
@jaxciohc253
@jaxciohc253 2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 비록 _____(대충 이론은 좋다는 단어) 하지만 인간의 _____(탐욕, 욕심, 본성같은 단어) 때문에 ______ (유토피아, 비극, 실현 불가능, 대충 불가능하다는 문장) 대충 살면서 1000번은 들은 인상비판
@impeach_Yoon
@impeach_Yoon Жыл бұрын
동의
@user-jw1dx2gr3v
@user-jw1dx2gr3v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공산주의가 될수가 없는게 사람은 기본적으로 욕심이 있어서 소유욕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 등등 .. 여라기지를 가지고 있는데 이런것들을 배제하고 서로 공평한 유토피아라 착각하는 세상임 게다가 꼭 위에는 부패하고 타락하게 되있음
@rlawwjb2461
@rlawwjb2461 2 жыл бұрын
ㅇㅇ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공산주의는 일한만큼 갖는겁니다. 공장은 노동자가 운영하고요. 그 성립 과정은 무시하고 생각했을때, 이런 체제의 존재가 불가능합니까?
@tail_
@tail_ 2 жыл бұрын
@@user-oz3wj7sh3g 완벽한 공산주의란 없습니다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tail_ 완벽한 공산주의는 없었죠. 그런데 제2세계 같은 국가자본주의의 탄생은 더욱 불가능에 가까웠고요.
@joehenry8165
@joehenry8165 2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의 사상은 가장 산업화가 잘된 영국 사회를 바탕으로 이야기 한 거고, 다른 혁명가들은 자기 나라를 바탕으로 한 거. 애초에 마르크스적인 국가 통제 경제 체제라는 게 성립될 수가 없음. 작은 공동체에서는 가능할 지 몰라도, 수천만, 수억, 수십억이 된 지구 공동체에서 생산을 계획해서 할당하고, 그걸 공정하게 배급한다는 게 불가능한 일...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정부의 계획 경제가 아니고 인민의 계획 경제가 사회주의죠.
@user-qm3fn2dh2h
@user-qm3fn2dh2h Жыл бұрын
그나마 티토가 유일하게 인민의 지상낙원을 만든 인물이져. 전 세계에서 가장 존경 받는 통치자가 공산주의자죠 그인물이 무히카인데 무히카는 모든 정치인들에게는 목민심서 같은 표본입니다. 그는 20대때 공산주의에 빠져 빨치산에서 이름을 날리죠. 그후 우루과이 대통령이 된후 낙후된 우루과이를 남미에서 가장 잘사는 나라로 만들었죠, 미국에서 유일하게 인정하는 공산주의자입니다
@user-wx6hn7dc1j
@user-wx6hn7dc1j Жыл бұрын
@@user-oz3wj7sh3g 왜이렇게 개소리를 싸세요 ㅋㅋㅋㅋ 인민이 경제를 어떻게 기획함? 정부가 해야지 투표를 통해 얼마 생산할지 결정해?분배도 딱맞게 되고? 진짜 뭣도 모르면서 이상한 소리만 주입당한 헛똑똑이가 이렇게 되는구나 하여간 사회주의자는 정상인이 없음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user-wx6hn7dc1j 저기 있는 다른 답글에 썼던 '룩셈부르크주의적 전위당'의 도움을 받죠. 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프롤레타리아 독재에서 룩셈부르크주의적 전위당의 이론들을 참고해 사회적 약속을 결정하고, 사회적 약속은 각 부문 자체에 대해선 불변적인 '최소한의 필요'와, 절차에 따라서는 각 부문들에 대해 가변적일 수 있는 '최대한의 필요'를 규정해 실현 가능한 수요를 규정합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생산 수단들을 대략적으로 배치해두죠. 예를들어, 샘물이 식용 생수의 수원지인 고립된 한 마을을 가정하면, 식용 생수의 생산-소비의 경우, '하루에 1인당 2L의 물이 필요하다(물론 정확하게는' 나이, 몸무게 등의 건강 상태가 이러이러할때 하루에 필요한 물은 이러이러하다. '는 형식이죠.)'는 것에 대해 지식인들의 이론을 참고해 주민들이 '최소한의 필요'로서 합의, 규정하고, '마을에는 100명이 살고 있으니, 하루에 총 200L를 생산해야 한다'는 계획이 민주적 절차에 따라 세워집니다. 생산 수단들은 이에 따라 배치되므로, 예를들면 샘물을 퍼낼 장치, 이에 필요한 보조적인 장치들 등이 준비됩니다. 그리고 물 200L의 생산(물류도 포함입니다. )은 최소한의 필요로 규정되었기 때문에, 인민들이 스스로 결정했던 비율만큼 공제해둔 수익을 근거로 해서 생산 수단들이 운동해 물 200L를 생산하고, 물 200L는 인민들에게 제공되죠. '최대한의 필요'로 규정된 생산물의 경우에는, 미리 대략적으로 배치되어 있던 생산 수단들에 대해, 소비자의 수익이 이들의 결합을 결정합니다.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user-wx6hn7dc1j 답장은 대체 언제옵니까. 개소리를 싼다면서요?
@johnswanson217
@johnswanson217 2 жыл бұрын
뭘 하든간에 개인의 Life, Liberty and Property 를 침해하지 않아야 함.. 결국 이념을 떠나서 권력의 균형이 안맞으면 독재와 통제사회가 되고 경제와 문화가 무너진다... 반대로 권력들끼리 견제하게 하고 대중과 정부 사이의 힘 균형을 잘 맞추기만 해도, 경재와 문화는 자연스럽게 발전한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풍요를 원하니까. 자꾸 이념팔이하는 모든 정치인은 다 독재하고싶은 권력자일 뿐. 문화와 경제에 아무것도 도움 안된다. 지금 풍요는 100% 정보기술 발전 덕분임...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서 권력의 실체를 알게되고, 권력들도 서로 견제하고 조심하게 되니까.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자본주의는 타인의 자유를 침해하는 자유를 포함한 수많은 자유들을 인정하죠.
@user-po6pg4iw2o
@user-po6pg4iw2o Жыл бұрын
@@user-oz3wj7sh3g 그자유를 희생 해야 더질좋은 세상 에살죠 자유가희생 당하는게 아니고 의무입니다 그래야 세상이 발전 합니다 더높은 차원의 욕망 해소를 위해 질낮은 욕망은 희생되야되는 법입니다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user-po6pg4iw2o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주의가 필요합니다.
@user-jg6vr6ym6q
@user-jg6vr6ym6q Жыл бұрын
@@user-oz3wj7sh3g 대표적으로 어떤 예가 있죠?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Жыл бұрын
@@user-jg6vr6ym6q 우선 개념만 따지자면 '자본주의→프롤레타리아 혁명→(노동자 국가)→프롤레타리아 독재(사회주의 국가)→낮은 국면의 공산주의 사회(사회주의 사회)→높은 국면의 공산주의 사회(공산주의 사회)'(괄호안의 용어들은 레닌의 정의로, 이 글에서 사용하는 개념들입니다. )인데, 이중 노동자 국가만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파리 코뮌을 비롯한, 소규모 프롤레타리아 봉기에 의한 자치 정부들, 초기의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및 소련(다만 이 경우에는 도중에 타락해 국가자본주의로 변질됩니다. 의회 해산을 계기로 타락했다고 볼 수 있기도 하고, 적백 내전에 의한 전시공산주의 정책을 계기로 타락했다고 볼 수 있기도 하며, 적백 내전 이후 복귀하고자 했으나 스탈린 집권을 계기로 타락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 예시입니다.
@user-dv3sz9lf5w
@user-dv3sz9lf5w 2 жыл бұрын
사실 처음 공산주의를 따른 국가는 거의없다고 보아야 한다 공산주의는 개혁이 필요하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를 오판했다 미래는 국가가 잘 살면 노동자 환경도 높아지는 걸 몰랐기 때문이다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사회주의는 노동자의 삶의 질의 향상보다도 착취와 생산의 무정부성을 없애자는 것이 핵심입니다.
@vvxcc8
@vvxcc8 2 жыл бұрын
자본가 욕하던 사상가들이 다 배부른 자본가란 거지. 솔직히 몇년만 노동계층으로 사회생활해보면 인간에 대한 혐오감뿐이야.. 무슨 상호간의 신뢰, 믿음, 이상? ㅋㅋㅋㅋ ㅈㄲ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 이상의 상호간의 신뢰, 믿음, 이상, 그딴건 필요 없습니다.
@vvxcc8
@vvxcc8 2 жыл бұрын
@@user-oz3wj7sh3g 공산주의에 이상론은 인간의 상호작용과 서로 신뢰를 통해 유지되는 사회입니다. 분배가없이 필요한만큼 각자 가져가는거죠. 사회주의는 왜 나오죠?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vvxcc8 자본주의→사회주의→공산주의의 일련의 과정에서, 사회주의란 생산 수단 공동 소유를 통해 착취와 생산의 무정부성을 제거한 사회입니다. 공산주의는 여기서 생산력이 발전해 물적 재화 및 용역 중 육체 노동의 생산에 인간 노동력이 필요없어진 단계로서, 만인이 필요에 따라 분배받는 사회죠.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vvxcc8 그뿐입니다.
@user-zx9pu8zw6b
@user-zx9pu8zw6b 2 жыл бұрын
지루한 내용을 재치와 위트가 넘치게 설명해주신 간다효님 감사합니당 ㅎㅎ
@SoneKHC
@SoneKHC 2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 공산주의 개념과 기원 설명 만큼 지루한것도 찾기 힘들텐데 이걸 재미있게 들을수 있게 이야기 해주시다니...
@Hahn-wr7lb
@Hahn-wr7lb 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SandWhaleWH
@SandWhaleWH 2 жыл бұрын
근데, 수십번의 공산사회 프로젝트가 다 실패했잖아요? 단 한번도 마르크스가 주장한 대로 진행된 적이 없었고. 그렇다면 이제는 생각을 이렇게 바꿀 때가 되지 않았을까요? 마르크시즘은 애초에 실현 자체가 불가능한 망상이었다고. 할때마다 트롤들이 창궐해서 망한게 아니라, 애초에 망할 수 밖에 없는 프로젝트의 구조가 트롤들을 양성한거라고.
@dohit4021
@dohit4021 Жыл бұрын
트롤들이 아니라 현명한 사람들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산주의가 개돼지들을 이용해먹고 착취하기 가장 좋은 이념이란걸 딱 알아채서 달려들었고, 같은 생각을 한 경쟁자들을 숙청해서 살아남은 엘리트들
@allankwon
@allankwon 2 жыл бұрын
와 영상 최고네요 재밌고 이해도 잘되어요 김일성편 빨리 보고싶네요 ㅋㅋㅋㅋㅋㅋ
@tamasino52
@tamasino52 2 жыл бұрын
우와.... 재밌어...!!
@Official_gandahyo
@Official_gandahyo 2 жыл бұрын
영상 내용과 다른 내용을 영상 내용인 것처럼 남기는 댓글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 간다효유튜브 : kzbin.info 📧 간다효 문의 : gandahyo@gmail.com 💖 간다효 후원1 : twip.kr/gandahyo 💘 간다효 후원2 : toon.at/donate/63731627799282... 💟 간다효 멤버십 가입 kzbin.info/door/gOr... ✅ 간다효 공식카페 : cafe.naver.com/gandahyo ⭕ 간다효 인스타 : instagram.com/gandahyo/ 💜 간다효 트위치 : www.twitch.tv/gandahyo
@skavud1
@skavud1 2 жыл бұрын
한마디로 허수아비 공격하지 말라는 거 ㅎ
@youtube_ungmeh8510
@youtube_ungmeh8510 2 жыл бұрын
댓글인듯 댓글아닌 댓글같은 너~
@user-zg1oy5xr1h
@user-zg1oy5xr1h 2 жыл бұрын
@SJ T 그러니까 그 소유가 자본가적 소유인지 아닌지를 누가 판단하냐고? 인민민주주의를 통한 인민대표로 구성된 공산당이 결정하는거냐? 니 소유는 자본가적 소유 내 소유는 정의롭고 민주적이랑께 그것 뿐이잖아.
@user-zg1oy5xr1h
@user-zg1oy5xr1h 2 жыл бұрын
@SJ T 난 니가 인용한 막스 얘길 말하는거라구. 특정 소유가 폐지되어할 '자본가적' 소유다라고 판단하는 주체와 기준을 물어본거임. 도대체 뭐가 자본가적 소유인지 누가 결정해야하는지를 니가 막스를 다시 인용해서라도 설명해줘야 될 것 아니니? 난 단순히 니말의 내용이 궁금해서 물어본거임 오케임?
@user-zg1oy5xr1h
@user-zg1oy5xr1h 2 жыл бұрын
@SJ T 넌 지금 이렇게 말하는 것과 같아. 잘 들어봐. ' 신은 존재합니다, 그런데 당신이 생각하는 신의 존재란 어떤 건가요" 응 이게 무슨 궤변이냐구. 내가 신의 '존재' 유무에 대해서 아무런 견해도 밝히지않았는데 신의 '특성'을 질문하면 어떻게 하라는거지? 니 말이 논리적으로 무슨 심대한 문제가 있는지 이제 알았니? 오케이 이 문제는 여기서 그만하고 내 글의 목적은 널 당황시키는 목적이 아니니까. 넌 자본가적 소유라는게 분명 존재하고 이게 경제학적 의미인지 사회철학적 의미인지 정치적 의미인지도 모르겠지만. 하지만 있다고 치자. 이거 순수한 '가정'이다. 내가 '자본가적' 소유가 있다고 동의한건 아니다^^. 근데 역시 내 위 댓글 예측대로 자본가적 소유는 정부가 결정합니다. 그리고 그 정부결정의 힘은 인민들의 의지로 정당화됩니다. 이거 맞지? 이거 맞잖아. 왜냐면 좌익적 사고회로로는 이거 밖에 답이 없으니까. 너만 그렇다는게 아니라 모든 선배 좌익들이 역사적으로 그렇게 생각해 왔으니까. 자 그러면 내가 질문해 볼께. 인민의지를 민주적 방법으로 대리하는 정부가 너의 포괄적인 소유의 일부인 너의 자유와 재산에 대해 너의 소유는 '자본가적'소유다. 앞으로 우리가 인민의 의지대로 너의 소유를 사회적 약자를 위해 이전하거나 규제하겠다고 하면 넌 순순히 오 ..그래 이건 인민의지의 결정이고 정부의 결정이니 그냥 가져가세요 할거냐? 이상해? 그래 니가 주인있는 노예의 마인드가 아니라면, 누가? 니 소유를 자본가적 소유로 심판했는지 궁금하지 않을까? 왜 하필 나의 소유를 가지고 그러지 하지 않을까? 인민의지와 민주적 결정과정으로 모든 정당한 당위성을 가진 정부의 결정이라고 해도 그 결정은 언제나 강제성이 핵심이야. 너의 소유가 '자본가적' 소유로 결정된 이상 특별히 반항할 길은 없다는 것이지. 그건 반정부적이고 나아가 반인민적 저항일뿐이지. 이번엔 요까지만 할께. 이해하기 힘든 내용은 아니지만 혹시라도 그럴 수 있으니.. 굳이 요약하자면 너의 소유권이 자본가적 소유인지 아닌지 니가 지지하는 '정부'라고 해도 그렇게 쉽게 의지하지 말라구.
@Crystalspacecs2897
@Crystalspacecs2897 2 жыл бұрын
지적 생명체 자체가 각자의 생각이 다르기 때문에 인류는 완전한 민주주의를 불가능한것 처럼 완전한 공산주의도 불가능하다.
@prii1701
@prii1701 2 жыл бұрын
말투랑 목소리가 효기심님이랑 비슷하시네요. 영상 재밌게 잘 봤습니다. 번창하세요
@user-jm5tz3ej9j
@user-jm5tz3ej9j 2 жыл бұрын
효기심맞음
@dohit4021
@dohit4021 Жыл бұрын
효기심이 극단주의자들 때문에 자기채널 너무 오염되서 폭파시켜버리고 간다효로 새로운 채널 만든거래요
@gordon-chang
@gordon-chang 2 жыл бұрын
플라톤이던 푸리에던 칼 마르크스던 현실적 감각과 인간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이상주의자였던거 아닐까 본인이 생각하기엔 다들 본인생각처럼 모든 인간이 행동할것이라 생각했겠지 그러나 자신의 이상과 성공을 위해 평생을 노력하는 사람도 있지만 반대로 안빈낙도의 삶을 추구하는 사람도 있고 인간군상에는 별의별 사람이 존재하니 그런 변수를 전혀 생각지 못한거고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인간과 사회가 너무나 많은 변수를 가지고 있는만큼 하나의 완벽한 이론은 만들어질수 없다고 본다
@user-ey5ki6ci6x
@user-ey5ki6ci6x 2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user-kd8dt8iv8i
@user-kd8dt8iv8i 2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든 민주주의든 초기의 순수한 이념은 변했다. 두 이데올로기는 그들의 이익에 맞게 변형되었고 그것이 굳어지고있지. 다만 공산주의는 억압과 공포로 정치를하고 민주주의는 돈으로 정치를 하고있지.
@user-xk9ri4ev9v
@user-xk9ri4ev9v 11 ай бұрын
딱 더부러가 바라던 세상이네?😂
@user-we1rm8ef7k
@user-we1rm8ef7k Ай бұрын
실제로 그짝 지향들은 주사파, 간첩, 똥팔륙 전과 출신이 많습니다. 찾아봐도 금방 나와요.
@Gomgom2_
@Gomgom2_ 2 жыл бұрын
이거 보니까 공산주의가 뭔지 확 정리되네요 마르크스 개웃기네 ㅋㅋㅋㅋㅋㅋ
@user-eu9lq3tz5r
@user-eu9lq3tz5r Ай бұрын
사회보다 개인이 먼저, 평등보다 자유가 먼저!
@jonghoonbae944
@jonghoonbae944 2 жыл бұрын
젊은 사람들이 올바른 역사관에 근거하여 정확한 정보를 알려 주네요. 이 나라의 많은 젏은이들도 역사 공부를 많이 하여 이 나라를 올바르게 이끌고 가야 할 것입니다.
@maxfight0701
@maxfight0701 2 жыл бұрын
소유욕이 인류발전의 원동력이 될수도 있음
@user-jw9bo2ed2j
@user-jw9bo2ed2j 2 жыл бұрын
아 진짜 존나재밌다
@totoro7555
@totoro7555 2 жыл бұрын
인간사회에서 욕심과 의지를 제거해야 공산주의가 이룩됨. 먼 미래에 AI가 통치하면 가능할수도 있겠지. 행복한 기계가 될건지 고통받는 인간이 될지 선택해야될 순간이 오겠지.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그럴 필요까지는 없습니다. 기술력이 충분히 발전해야 하는건 맞지만, 아무도 일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가질 수 있는 수준이면 됩니다.
@kdchwin
@kdchwin 2 жыл бұрын
성경책 가지고 해석을 달리하여 수많은 종교가 나온거랑 같은 이치인 것이에요
@dndud1000
@dndud1000 2 жыл бұрын
푸리에를 공상적 사회주의라고 평가절하한 칼마르크스의 사회주의 이론이 더 공상적이고 현실감각 없었단 이야기
@krosskim624
@krosskim624 2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가 공장에서 한번 일도 안해보고 평생 공부하고 글만 쓴 사람이었으니 그 이론의 결과가 몽상적이죠.
@user-ht9le4fn2p
@user-ht9le4fn2p 2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는 노동 한 번 해보라는 소리 들으면 격분했다능..
@8perseus
@8perseus 2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가 당시 공장에서 일해봤으면 자본과 생산규모 포화를 기다리기는 개뿔 당장 혁명하자고 했을 것임.
@yieunhh
@yieunhh 2 жыл бұрын
@@8perseus 그래서 공산주의와 자본주의는 동시에 가야 한다는 것
@TiananmenMassacre1989
@TiananmenMassacre1989 2 жыл бұрын
@@yieunhh 공산주의는 백년 전에 도태된 것
@user-os3sq4xd4l
@user-os3sq4xd4l 2 ай бұрын
저게 가능하려면 사람이 아니라 AI가 지구를 통치해야함
@user-we1rm8ef7k
@user-we1rm8ef7k Ай бұрын
"사람" 이라서 공산주의는 더더욱 할 수 없는 구조라는 거죠.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는 건데 거기서 공산주의니 사회주의니 ㅇㅈㄹ 하는 인간들 보면 진짜 역사 안 배웠다는 걸 알 수 있음.
@onefunman_ybh
@onefunman_ybh 9 ай бұрын
인간은 이론적으로 공산주의를 원한다. 그러나 실전은 공산주의는 쉽지가 않다. 결론은 독재자나 욕심많은 권력자일뿐...자본주의는 돈이 최고다. 돈이 있어야 인간을 이용할수 있기때문. 그래서 공산주의보다 자본주의가 낫다는 결론.
@dynamic3716
@dynamic3716 2 жыл бұрын
2:00 개도 지 밥그릇 건들면 싸우는데 인간은 더하지
@JUNGSEONGHOON
@JUNGSEONGHOON 2 жыл бұрын
대립어가 있기는 합니다만, 공산주의의 반대는 자본주의 민주주의의 반대는 독재. 이옷의 반대는 저옷 처럼 터무니없지는 않고, 말씀하신대로 사상과 이데올로기는 다양하지만 그중에 뚜렷하게 대립되는 것도 있습니다.
@uskrucfs6831
@uskrucfs6831 2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의 반대는 권위주의 아닌가요
@user-pl9xl8jr2h
@user-pl9xl8jr2h 2 жыл бұрын
대립은 서로 섞일수 없는 물과 기름의 관계라고 할 수 있는 개념으로 압니다. 그런데 그 2가지는 서로 의존의 개념인 것 같은데요,...
@pcanti-politicalcorrectnes4282
@pcanti-politicalcorrectnes4282 Жыл бұрын
@@uskrucfs6831 민주주의는 특정 인물과 신분이 아닌 민중 잡단에게 권력를 집중시키자는거 아닌가?
@user-uw4gn6ut5k
@user-uw4gn6ut5k Жыл бұрын
민주주의의 반대는 왕정 고장난 민주주의는 독재와 권위주의
@user-pd2qz8ph5q
@user-pd2qz8ph5q Ай бұрын
그 어떤 사상도 정설대로 인간은 실현할 수가 없음.. 머리는 완벽을 구상하지만 마음은 완벽을 따라가지 못하니까 욕망이 있는 한 만인이 평등하고 공평하게 지낼 수 없음. 설령 왔다해도 머지않아 타락하고 부패할 뿐. 신의 이름을 내세운들 인간은 스스로가 만들어낸 신의 발밑에도 못 따라간다는걸 역사가 증명했고 지금 이 순간에도 일어나고 있지 기본값을 초월한 이론을 만들어도 설정된 기본값은 못 바꾸지
@user-wh6rm8ik9y
@user-wh6rm8ik9y 2 жыл бұрын
물건에 대한 값은 어떻게 매겨지는가 1. 원 재료는 공짜다. 자연에 널려있다. 2. 물건의 값은 결국 사람이 일해서 자연의 원료를 가공했기 때문이다. 3. 많은 사람이 필요로 한 노동은 당연히 높은 가치를 지닐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낮은 가치를 지닐 것이다. 4. 그러므로 물건의 값을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노동에 가치를 부여하기 때문이다. (노동가치설) 5. 그런데 노동을 하지 않으면서 물건값을 좌지우지 하는 대상이 있다. 6. 토지를 상속받은자, 자본을 소유하는 자, 공장의 자본가는 노동을 하지 않으면서 가격에 영향을 끼친다. 7. 지주, 자본가들이 가격을 왜곡하여 사람들이 굶고 어렵고 힘들어진다. 8. 그러므로 혁명해서 그 것들을 노동자들에게 돌려줘야 한다. 마르크스의 이론이 아마 이럴 겁니다.
@user-mt3cs1hj3z
@user-mt3cs1hj3z 2 ай бұрын
1번부터가 문제임. 원재료도 유한한 자원이 있을건데 여기에 대한 값어치는 어떻게 할거냐임
@user-wh6rm8ik9y
@user-wh6rm8ik9y 2 ай бұрын
@@user-mt3cs1hj3z 자연에 있는 원재료는 노동이 투입되어야 가치를 지니게 되고 노동의 가치는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된다고 합니다. 석탄 광맥, 금 광맥 그 자체로는 본래 아무 가치가 없고 석탄을 캐내야, 금광석을 캐내야 가치가 생긴다고 합니다. 그리고 금광석은 희소하고 수요가 많지만 석탄은 비교적 풍부한 것이니 희소하고 수요가 높은 금광석을 캐내는 노동이 석탄을 캐내는 노동보다 단위시간당 가치가 높다고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에 자본가들이 개입하면서 아직 캐내지도 않은 석탄광산, 금 광산에 대해서 자기들끼리 가격을 만들고, 일하지도 않으면서 노동자들의 노동을 통해 불로소득을 누린다고 보는 것입니다. 게다가 더욱 나쁜건 광산 등을 상속한 사람은 정말 아무것도 안했는데도 단지 운좋게 소유자의 집안에 태어났다는 이유로 불로소득을 얻으니, 최악이라고 하면서, 언젠가 노동자들의 혁명으로 이들이 몰락하고 광산, 공장 등의 생산수단은 국가가 소유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게 맑스의 입장입니다.
@sunghoonjung2848
@sunghoonjung2848 2 жыл бұрын
공산이 완성 될라면 도덕이 있어야하는데 그게 있을리가 있냐고 ㅋㅋㅋ ai안되면 못하는 망상임 ㄹㅇ
@user-eg6lw6tt2q
@user-eg6lw6tt2q 2 жыл бұрын
독일, 스웨덴, 노르웨이 이런나라는 가능할듯.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도덕이 필요가 없어요.
@doki6980
@doki6980 Жыл бұрын
모두가 가난한 나라
@kimjoonsik
@kimjoonsik 2 жыл бұрын
그림과 자막 달아주는거 항상 감사합니다
@tomjane8146
@tomjane8146 2 жыл бұрын
목소리 넘좋음 ㅋㅋㅋㅋ
@user-dy9nm4ex3e
@user-dy9nm4ex3e 2 жыл бұрын
자기가 원하는 직업을 가질수 있다는 사상 너무 좋네요. 범법자가 법무부 장관 되고 공부 못하는 애가 의사되고 대통령 그까이꺼 킹크랩 돌려서 조작으로 되고~
@user-nb7xw6gc6q
@user-nb7xw6gc6q 2 жыл бұрын
북한에 송금한 개눈깔이 국정원장되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qe1gi5qp3i
@user-qe1gi5qp3i 2 жыл бұрын
학문과 현실의 차이
@_faith9240
@_faith9240 2 жыл бұрын
웃음소리 쩌네요
@lh.8137
@lh.8137 2 жыл бұрын
2:40 프리메이슨
@user-vf9pb7ns5s
@user-vf9pb7ns5s 2 жыл бұрын
이론적으론 유토피아지, 근데 공산사회에서도 지도층, 당간부들은 있는데 걔들은 누가 통제하냐 당의 이름에 숨어 견제세력이 없으니 최고위층이 다 빨아먹는 사회가 되는거지. 평등이 슬로건이었는데 최악의 불평등한 사회건설. 경쟁, 소유욕이야 말로 지금까지 인간을 진화시킨 원동력인데 인간성을 너무 간과했다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평등은 마르크스가 오히려 비판했던 개념입니다.
@user-wy4eq5ur5k
@user-wy4eq5ur5k Жыл бұрын
共产主义社会没有你认为的领导和党的干部,其实可能类似无政府的状态,或者即使真的有,那么这个所谓的领导和党的干部实际是由大家决定随时撤换的,不存在他比你更高的概念,做的不好大家就让他下来然后换人
@user-wk9mk6df3j
@user-wk9mk6df3j 2 жыл бұрын
성선설 반박할수 있는 이유중 하나가 사람이 선했으면 공산주의 가능함. 근데 사람은 본능적으로 이기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공산주의 불가능함. 유교, 공산주의 둘다 사람자체를 너무 좋게 생각해서 나온 거라 사회에 실제로 적용하면 망할수밖에 없음
@yieunhh
@yieunhh 2 жыл бұрын
로버트 오웬이 딱 공산주의와 찰떡이네
@kawai__
@kawai__ 2 жыл бұрын
왜 진짜 꿀젬
@user-of6lw1nt3e
@user-of6lw1nt3e 2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는 비유적 표현으로 유틸 싹다 빼고 공격력 999 방어력1 체력1 회피율0% 이동속도1 의 게임캐릭터 같음 이론상 안피하고 말뚝딜 가능하면 미친 성능을 뽑겠지만 실전에선 말뚝딜은 커녕 상대방도 나를 때릴거고 그거 맞으면서 맞딜하기에는 내구에 들어갈 스탯까지 공격에 다 때려박다보니 맞딜도 못함
@KimGapHwan
@KimGapHwan 2 жыл бұрын
공산사회가 완성 될려면 인간수준의 로보트가 나오면 가능할듯
@user-ky1ek9te1f
@user-ky1ek9te1f 2 жыл бұрын
인간의 사유재산을 공유하고 나눠어 가지려면 인간의 기억과 감정또한 공유하고 나눠어 가져야하고 그러면 대화를 해야한다. 그럼 평화는 가까이 있다.
@user-wx6hn7dc1j
@user-wx6hn7dc1j Жыл бұрын
코로나 사태때 푼돈 푼걸로 경제위기니 뭐니 하는데 증세없는 기본소득이 가능할것 같냐고, 왜 어떻게 증세할건지는 설명 안해주냐고 물어봣더니 이상한 정치이야기 하면서 욕만하던데.. 솔직히 사회주의자하곤 이성적인 대화가 안통함 자신의 이념에 파묻혀서 항상 자신이 정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대화가 잘 성립 안되더군요
@user-ky1ek9te1f
@user-ky1ek9te1f Жыл бұрын
@@user-wx6hn7dc1j 가끔 사람들과 대화하다보면 이야기와 다른 이야기를 하여금 대화가 안통하는 사람들이 많죠... 저도 1년전에는 대화를 해야된다 생각하고 남의 이야기를 잘듣고 그럴려고 하는데 쉽지않네요...
@user-ky1ek9te1f
@user-ky1ek9te1f Жыл бұрын
@@user-wx6hn7dc1j 추석날에 답글 달아주셔서 고맙네용 즐거운 추석되세요~
@user-ji4rh9tg8o
@user-ji4rh9tg8o 6 ай бұрын
목표요? 가르쳐드릴까요. 태산같은 부정축재와 바다같은권력이 한사람올위해 존재하면 목표를 이루는거죠
@DmitryKovalin
@DmitryKovalin 4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rhg1001
@rhg1001 2 жыл бұрын
인간이 지도자를 하는동안엔 지구에 모두가 공평하게 잘먹구 잘사는 유토피아는 있을수 없음.
@user-sp8hg2vi3j
@user-sp8hg2vi3j 2 жыл бұрын
ㄴㄴ 역사적으로 보면 훌륭한 지도자면 가능했음 다 능력과 인품이 떨어지는 사람이 지도자니까 그렇게 보이는거 사실 박정희 같은 훌륭한 독재자가 AI 시대전까진 가장 이상적임
@user-sd6rr5bq4n
@user-sd6rr5bq4n 2 жыл бұрын
지도자가 인간인게 문제가 아니고 피지도인이 인간인게 문제이죠.
@Redblue1024RB
@Redblue1024RB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아나키즘이 필요함 아나키즘은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는 국가없는 지도자 없는 사회주의다. 아나키즘은 그 국가주의적 권위주의적인 사회주의자들인 볼셰비키 놈들이랑 완전히 다르다!
@choi8896
@choi8896 2 жыл бұрын
다음 시간에 큰거 온다
@PCRcontents
@PCRcontents 2 жыл бұрын
스탈린?
@sugiharajk7477
@sugiharajk7477 Ай бұрын
모두가 스님이나 신부님이 되야 가능할 듯..
@hyunjunhwang4661
@hyunjunhwang4661 2 жыл бұрын
이걸 여기서 ㄱ 끊다니
@user-tb8vs3hi7h
@user-tb8vs3hi7h 2 жыл бұрын
역시 대단하십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ㅡ
@yi-sp5vd
@yi-sp5vd 2 жыл бұрын
와 이게 핵심이죠.. 잘 정리 하셨네요 저도 맑스 책 보면서 진짜 지도자란 놈들이 이상하게 해석을 했다는 생각을 진짜 많이 했어요
@user-xn6sp4rk1h
@user-xn6sp4rk1h 2 жыл бұрын
심지어 제대로 적용된 적도 없음
@user-ys1tp4js3s
@user-ys1tp4js3s Жыл бұрын
@@user-xn6sp4rk1h 진짜 공산주의는 가장 의식수준이 높아졌을 때 가능한겁니다. 사랑을 받지 않아도 사랑을 주는 것 그게 진짜 공산주의죠
@user-xn6sp4rk1h
@user-xn6sp4rk1h Жыл бұрын
@@user-ys1tp4js3s 맞습니다. 기본 의식이 너와 나가 아닌 우리가 유닛이 되어야 하니 더욱 고차원적인 수준을 요구하는 시스템인것이 분명하죠.
@yongdol73
@yongdol73 Жыл бұрын
@@user-xn6sp4rk1h 네… 근데 그게 가능하겠어요?
@yongdol73
@yongdol73 Жыл бұрын
@@user-ys1tp4js3s 결국 실현 불가능
@user-kz4fk7pp1t
@user-kz4fk7pp1t 2 жыл бұрын
신은 인간이 경쟁하고 싸워서 이기라고 설계해 놓았다 저런 노력없이 노는 이론은 엄청난 반작용을 일으킬것임.
@user-oz3wj7sh3g
@user-oz3wj7sh3g 2 жыл бұрын
공산주의는 그 경쟁이 오히려 발전을 저해할 때 이를 중재하는 것이지, 더도 덜도 아닙니다.
@elijah7902
@elijah7902 2 жыл бұрын
건담시드 데스티니~ 에도 비슷한 개념이 나오지요~
@user-eo4ng2mb1m
@user-eo4ng2mb1m 2 жыл бұрын
북한말 따라하는거 아무생각없이 보고 있다가 빵터짐 ㅋㅋㅋ
@samsungwindfree
@samsungwindfree 2 жыл бұрын
마르크스가 간과한 것. 1. 소비하고 남아돌 정도로 풍부한 새우깡을 그냥 달성 가능한 상수로 봤음. 2. 하지만 그런 재화의 양은 상수가 아니라, 인간의 이성적 본능적 판단에 의한 매번 변하는 변수였음. 3. 새우깡이 남아도는 것과 그것을 소비하지 못하는 사람은 별 상관이 없음. 4. 마르크스가 말한 자유의 개념이 모호함. 전혀 과학적이지 않음. 5. 전세계가 노력해야만 달성할 수 있는 이론을 굳이 할 필요가 없음. 6. 이미 인간은 자연스럽게 본능과 이성에 의해 잘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 7. '자본과 기술의 달성' 이라는 수준을 정량화 할 수 없음. 그저 계속 발전해야할 뿐.
@user-wv9sf5rp4i
@user-wv9sf5rp4i 2 жыл бұрын
ㅂㅂㅂㅂㅂㅂ
@kailash4879
@kailash4879 2 жыл бұрын
근데 시작부터가 이성적인 사람이라면 말이 안되는걸 금방알것같은데. 누구는 공장에서 일해야하고 누구는 의사라든지 좋은직종에근무를 해야하는데 똑같이 분배를받는다.이게 말이야 방구야 그리고 철인통치를 할 지배층은 과연 누가 인정하고 누구로부터 그런 권한을 받아야하는지 정당성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데..이상과현실을 구분못하고 이론적으로 망상에빠지는꼴
@user-st5ei5hy5m
@user-st5ei5hy5m 2 жыл бұрын
아 김일성에서 왜 끄너ㅓ너어ㅓ어어어
В ДЕТСТВЕ СТРОИШЬ ДОМ ПОД СТОЛОМ
00:17
SIDELNIKOVVV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Кәріс өшін алды...| Synyptas 3 | 10 серия
24:51
kak budto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The delivery rescued them
00:52
Mamasoboliha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최진기의 '역사를 바꾼 전쟁사 2 : 몽고세계정복기' (2012)
26:18
[몰아보기] 2만 3천권 책 보유자 이동진의 지명의 역사
2:03:37
B tv 이동진의 파이아키아
Рет қаралды 454 М.
[몰아보기2] 최준영 박사의 바다이야기 1~5화
3:18:22
위즈덤 칼리지
Рет қаралды 735 М.
[원본풀버전 특별공개] 침착맨, 삼국지, 과학!
3:56:10
안될과학 Unrealscience
Рет қаралды 3,9 МЛН
И кто победил: папа или сын? 🤪🏆✌️
0:24
НЕБО - СПОРТ И РАЗВЛЕЧЕНИЯ
Рет қаралды 2 МЛН
The past and future of Orange juice🍊
0:17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 СТАЛА ПИЛОТОМ НА 24 ЧАСА
0:36
Настя, это где?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