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생 나이의 변화 공시생에게 필요한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난공TV 구독하기 : bit.ly/3DrRnqZ 공시생의 합격메이트, 공무원 수험 전문 채널 '메가공무원 x 난공TV' #공무원시험 #공무원합격 #공시생나이
Пікірлер: 23
@ルカリオ-v2j8 күн бұрын
지역인재 고졸특채는 ㄹㅇ 폐단인 듯
@p9s-b4q5 күн бұрын
@@ルカリオ-v2j 왜 폐단이냐
@장주인백18 сағат бұрын
고졸 지역인재들은 자기 전공분야로 기능직 특채 응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리고 대졸 지역인재 특채공무원도 있고 자세히 살펴보시면 주요 공무원 직렬과 그 직무는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1. 행정직: 직무는 정부의 정책을 계획, 관리, 시행하는 직무로, 일반적인 행정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정책기획, 인사, 예산, 법무 등이 있습니다. 2. 기술직: 직무는 특정 기술적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건축, 전기, 기계, 환경 등이 있습니다. 3. 경찰직: 직무는 치안 유지 및 범죄 예방, 수사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경찰관, 경비 등이 있습니다. 4. 소방직: 직무는 화재 진압, 구조 활동, 안전 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소방관이 있습니다. 5. 교정직: 직무는 교도소 및 보호시설에서 수형자 관리 및 처우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교도관이 있습니다. 6. 외무직: 직무는 외교 업무를 수행하며, 해외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외교관이 있습니다. 7. 보건직: 직무는 공공 보건 관련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의사, 간호사, 보건직 공무원 등이 있습니다. 8. 교육직: 직무는 교육과 관련된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교사, 교육 행정직 등이 있습니다. 9. 세무직: 직무는 세금 부과, 징수, 세무 행정 등을 담당합니다. 예시로는 세무공무원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직렬이 존재하며, 직렬에 따라 담당하는 업무의 특성이나 요구되는 전문성이 다릅니다. 직렬의 선택은 개인의 전공 적성과 관심사에 맞춰 이뤄집니다. 공고생 전기직렬 보건고등학교 보건직렬 세무고등학교 세무직렬 등등
@김우드-y9n13 күн бұрын
이게 좋은 현상인게, 민원 및 공무를 담당하는 직업이다보니 나잇대의 스펙트럼이 넓어지면 커버 할 수있는 범위가 그만큼 늘어난다는겨.. 특히 민원파트에서는 고령공무원들이 필요하긴 할듯
@두더지-c7m5 күн бұрын
@@김우드-y9n 공무원 아니시군요
@user-TriPLE_13 күн бұрын
갈수록 더 경제가 어려워지는구나...경기가 좋았던 적 이 있기는 했는지도 잘
@김영일-b5y5 күн бұрын
모든 연령대가 공무원 매달리다니 갈곳이 이리없는 사회... 망조가 들었다
@mjj14785 күн бұрын
나라가 망해가고 있다는 의미
@hulee68184 күн бұрын
문과면 현명 ㅋㅋ
@she-hh9or8 күн бұрын
10대로 들어가면 인생 불쌍한 거임ㅋㅋㅋㅋㅋㅋㅋㅋ 그냥 여러 경험해보고 하는 편이 훨 낫습니다.
@fnffnralra8 күн бұрын
지역인재 엄청 많아요ㅡㅡ
@whtjddnr0013 күн бұрын
요즘 고등학교에서 공무원 국어 방과후로 알려준다던데...
@김동현-f5t3q13 күн бұрын
특성화고는 알려는주는데 일반고는 안 알려줘서 저는 메가공무원에서 강의 듣고 있어요ㅎㅎ 저기에 선물 보낸친구도 저구요!😊
@onlybtcallin12 күн бұрын
@@김동현-f5t3q 화이팅입니다 꼭합격하시길
@김동현-f5t3q12 күн бұрын
@@onlybtcallin 감사합니다!
@ilban-in10 күн бұрын
@@김동현-f5t3q 수업시간에는 어떻게하나요? 수업듣나요?
@김동현-f5t3q10 күн бұрын
@@ilban-in 영어,한국사,국어는 듣고 있긴한데 이젠 어떨지 모르겠어요 한국사도 고1이후로 학교에서 가르치는게 사라졌고 국어는 독서,문학으로 나뉜다는데.. 아마 독서는 듣는게 좋지 않을까..? 싶어요 독서가 비문학이라고 하더라구요ㅎ
@astra72252 күн бұрын
고졸하자마자 공무원이든 뭐든 취업하는 현상 바람직합니다. 돈낭비 시간낭비 대학교 굳이 갈 필요없어요. 경험? 인맥? 개뿔입니다ㅎㅎ
@tpaonuhsbs375816 сағат бұрын
동감합니다. 더불어 40년이 넘는 재직기간은 자기가 어떻게 하냐에 따라 어느 정도까지는 부를 축재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Dina-Abdulla_1237 күн бұрын
هل من الطبيعي ان يكون المعلمون جميلون الى هذا الحد❤
@A.sooooooooo4 күн бұрын
국영수 공부만하다가 , 내가 뭘 좋아하는지, 뭘 잘하는지 알지도 못한채 공무원..택한다는게 맞는건가. 물론 적성 맞게 고른 친구도 있겠지만 과연 몇 퍼센트나 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