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장기영상중에 정사범님 영상만한게 없네요. 과거영상 열심히 보는 1인입니다. 육아때문에 바쁘신듯한데, 먼 훗날 꼭 돌아오셨으면 좋겠네요🙇♂️🙂
@블루오션-i7y3 жыл бұрын
저 시절보다 강한 현재 스톡피쉬는 후수 양귀마를 둘 때 인간과 비슷한 거 보면 뭔가 새롭네요. 그만큼 인간의 포진이 저 시절 스톡피쉬 초반보다 나쁘지 않았다는 생각과 함께 그런데도 불구하고 인간의 고정관념(귀윗상이 빨리 진출해서 양득) 때문에 초반부터 분위기가 바뀐 걸 보면서 묘한 기분이 드네요.
@ban52364 жыл бұрын
와.. 정석으로 나와 있는 수 만 보다가 스톡피쉬 수 읽기 보니까 발상의 전환
@냥치기소년-k8g4 жыл бұрын
장기계의 패러다임을 바꿀 스톡피쉬..ㄷㄷ
@ioeh98934 жыл бұрын
장기 잘 두고 싶어려 ㅠㅜ
@wanderer51074 жыл бұрын
초가 후수가 되고 한이 선수가 되니까 헷갈려요. 한나라 분이 기권하고 다시 재도전 신청하면 초나라로 시작할 수 있지 않나요?
@조재문4 жыл бұрын
친선전이라 무조건 급수에따라 초한이 정해지는걸로알아요
@훌라-m8h7 күн бұрын
별게 다 헷갈리네
@뽄드-y2m4 жыл бұрын
좋아요 21번째 선댓글 후시청합니다. ^^b
@woojac65464 жыл бұрын
1:04 대국 시작
@philein67344 жыл бұрын
저는 당연히 딥러닝이 장기에도 진즉에 도입된 줄 알았네요 알파고 이후에도 바둑 패러다임이 바뀐걸로 아는데 장기는 좀 늦었네요 체스도 이미 스톡피쉬가 두고 있고요 포커 역시 인공지능(플루리버스, 리브라투스)이 프로들 상대로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마인드 스포츠에서 인간이 기계를 앞설 수 있는 종목은 뭐가 있을까요 무섭습니다
수연구중 양해부탁드립니다 ← 카카오장기에서 닉네임 검색하셔서 기보 보시면 스톡 양귀마로 승강급 매칭두는거 보실 수 있습니다.
@숙희야나무야4 жыл бұрын
빅장이먼가여
@dsdryr4 жыл бұрын
궁이 서로 마주보면 빅장이 됩니다
@자물쇠-s5o4 жыл бұрын
빅장이 먼가요??
@kct_janggi4 жыл бұрын
왕과 왕이 마주보는 것을 빅장이라 합니다
@이순신안경원렌즈미여4 жыл бұрын
3번째 봄!
@tvsy5474 жыл бұрын
이제 직멘 방송할때 후수 양귀마 안좋단얘기 못하실듯ㅎ
@볼빵-s2i4 жыл бұрын
사람이 저렇게 두다가 바로 외통남 수비가 안되니
@awesome-e12m4 жыл бұрын
후수 양귀마 불리한게 아닌가요..?..
@__Korean__4 жыл бұрын
어쩐지 내가 후수양귀마로 두면 잘 이긴다 했어;;;후수가 사기였네 떱..
@jasonlee76564 жыл бұрын
새로운 인공지능이 나타났어도 장기의 패러다임은 바뀌지 않을겁니다 왜냐면 인공지능의 착수는 실수를 하지않는다는 전제가 붙기 때문입니다. 인간은 그렇지않죠 스톡피쉬나 장기도사등의 늦은 궁수비나 여유로운 포 활용은 그 때문이고요 인간은 주의력과 감정에 기복이 있고 그 결과가 곧 착수로 이어지기 때문에 인공지능의 플레이가 인간의 착수에 끼칠 영향은 미미하다고 봅니다
@Noul-za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의 등장으로 이미 바둑계의 패러다임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인공지능이 둔 수를 프로기사들이 많이 연구하고 응용하고 있어요. 장기도 마찬가지예요. 정사범님이 인공지능 대국으로 컨텐츠를 만는 이유도 바로 인공지능이 가져올 변화(이미 바둑판에서 경험을 했지만)를 예상했기 때문일 겁니다.
@storybox10044 жыл бұрын
그럼 바둑은 인간이 실수를 안해서 싹다 바뀌었나보네요. 장도출현했을 때도 엄청 바뀌었꾸연 ^.^~
@좋다좋아-i9p4 жыл бұрын
정사범님도 그렇고 제이슨님도 뭔가 잘못 알고 있는드 합니다 스톡피쉬와 장기도사 등등은 인공지능이 아닙니다 게임 엔진이죠 체스에 쓰이던 스톡피쉬는 체스 엔진이라고 불립니다. 이미 20여년 전에 체스엔진이 체스 세계 챔피언을 이기고 그이후에 개발 된 체스 엔진들은 더이상 인간과는 게임을 하지 않습니다. 게임 엔진들 끼리만 경쟁을 하고 있죠 몇년전 뉴스에서 스톡피쉬 체스엔진과 알파고 다음 모델인 알파제로 인공지능의 체스 100판 결과를 보았습니다. 결과는 알파제로의 28승 압살 이었습니다. 나머지 72판은 무승부 였다고 합니다. 그게 벌써 2~3년 전에 접한 뉴스 였으니 지금은 차이가 더 벌어졌을듯 합니다. 게임 엔진과 인공지능의 차이는 이미 차원이 다른 세계에 있을것이며 인간은 인공지능을 이길 가능성이 없다고 봅니다
@좋다좋아-i9p4 жыл бұрын
@@Noul-za 인공지능을 장기게임에 접목 시킬일은 없을거라고 봅니다. 앞으로 장기게임이 체스보다 전세계적으로 유행을 한다면 가능 할지도 모르지만 이미 체스를 정복한 인공지능의 능력을 장기에는 쓰지 않을듯 합니다
@dsdryr4 жыл бұрын
인공지능이 아니라 게임엔진이라는 것에 동의합니다. 인공지능이라면 알파고처럼 딥러닝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고 깨우쳐야겠죠.. 다만 장기도사 홈페이지에 들어가봐도 장기 엔진이 아니라 인공지능이라고 소개하더군요. 아마도 사람들이 좀 더 넓은 의미에서 인공지능이란 용어을 쓰고 있지 않나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