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안압지(동궁과 월지) 발굴과 보수, 1976|PLAY ▶ 박물관 아카이브

  Рет қаралды 72,450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3 жыл бұрын

월지는 신라 동궁 안에 있던 인공연못입니다. 조선시대 이래 오랫동안 안압지로 불렀으나 신라 사람들은 월지라고 하였습니다. 1975년 발굴조사 결과 연못과 주변 건물 터에서 3만여 점의 문화재가 출토되었습니다.
월지에서 출토된 다양한 문화재들을 '국립경주박물관 월지관'에서 직접 만나보세요!
(05:00) 용얼굴무늬 기와 발굴 모습
(10:28) 금동초심지가위(보물 제1844호) 발굴 모습
(11:44) 금동삼존불(보물 제1475호) 발굴 모습
(14:00) 금동여래입상 발굴 모습
(17:28) 통일신라 나무 배 발굴 모습
(19:55) 금동용머리장식 발굴 모습
(25:15) 곱돌향로뚜껑 발굴 모습
제공: 한국정책방송원
-----------------------------------------------------------------------------------------------------------
찬란하고 아름다운 천년의 이름, 신라!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박물관 누리집] gyeongju.museum.go.kr/​
[공식 블로그] blog.naver.com/gymuseum​
[공식 페이스북] / kgjnm​
[공식 인스타그램] / gnmuseum​
[공식 유튜브] / gnmuseum​
-----------------------------------------------------------------------------------------------------------

Пікірлер: 49
@user-cb2ik9kq5v
@user-cb2ik9kq5v 2 жыл бұрын
신라는 상상이상으로 아름다웠을 것입니다 .
@umgeeumgee
@umgeeumgee 2 жыл бұрын
보는 내내 놀랍고 감동이였습니다. 발굴에 참여하셨던 모든 관계자 여러분들 정말 대단하세요 노고에 감사드립니다
@user-no7om7tu6n
@user-no7om7tu6n 8 күн бұрын
옛날 영상이지만 유물을 소개하는 장면들이 참 담백하고 정직하게 느껴지네요. 이런 식의 영상이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IIlIIlllIlllIIlIlllIIIlIIllIlI
@IIlIIlllIlllIIlIlllIIIlIIllIlI Жыл бұрын
와 오프닝부터 나레이션 음악 영상 감성 터지는 다큐네요
@loveItalia-py6gp
@loveItalia-py6gp 2 жыл бұрын
이런영상 최고입니다
@user-pj6gq4jb2g
@user-pj6gq4jb2g 2 жыл бұрын
지금은 타지생활을 하고 있지만, 고향이 경주입니다. 할머니 외할머니집이 경주라서 태어나서 지금까지 매년 경주를 방문하고 있습니다. 스무살을 앞둔 마지막 십대에 경주를 제대로 알고싶어서 경주시내를 여행한 뒤로 경주가 가장 사랑하는 도시가 되었어요. 그리고 경주에서 제일 사랑하는 장소는 월지입니다. 우연히 고고학 겨수님을 만나 월지의 원리에 대해 들을 수 있었고 그 이후부터 매년 월지에 방문에 마음을 정리하곤 했어요. 경주와 신라의 역사에 큰 관심을 갖게 해준 월지에 대해 더 자세히 알 수 있게 되어 무척 기쁩니다🥹
@vela8956
@vela8956 Жыл бұрын
지금 어디잇나요
@KoreaFirst
@KoreaFirst 9 ай бұрын
얼마나 더 많은 유물이 잠들어 있을지 기대됩니다.
@sasaki447
@sasaki447 16 күн бұрын
이런 기록 영상물을 보게 해준 많은 빛나는 앞선 사람들과 훌륭한 동시대 사람들에게 감사합니다.
@user-yy1hn7yn6d
@user-yy1hn7yn6d 2 жыл бұрын
이런 귀한 자료를
@choco2416
@choco2416 Жыл бұрын
70년대 경주 모습 새롭네요, 다 무너진 월지 새롭게 복원 하는데 그 당시 엄청 노력 했다는게 보이네요
@user-zc9ff9ue9o
@user-zc9ff9ue9o 3 жыл бұрын
잘 감상하고 문화를 새겨보겠습니다
@simje429
@simje429 2 жыл бұрын
디지털로 바꾸었는지 영상이 깨끗합니다. 귀한 영상 잘 보았습니다.
@user-vd4ct2hh3t
@user-vd4ct2hh3t Жыл бұрын
역사를모르면 나라가망한다 소식 감사합니다 ~^^
@youint8020
@youint8020 Жыл бұрын
감탄이 절로 난다 옛 모습을 보고싶다
@user-jd2or8iv8r
@user-jd2or8iv8r 5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합니아
@ssgj666
@ssgj666 24 күн бұрын
어떻게 저런 기술력을 천년 전에..
@user-ko2tq6dn6t
@user-ko2tq6dn6t 2 жыл бұрын
우와 대박 👏🏻👏🏻👏🏻👏🏻 지우지 말아주세요 플리즈~~
@user-tt4fk1ji1i
@user-tt4fk1ji1i Жыл бұрын
황금의 나라 신라
@user-uo6yo2jr9x
@user-uo6yo2jr9x Жыл бұрын
무령왕릉도 이렇게 정밀한 발굴이 이뤄졌으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이 문득... 드네요...
@EusouCoreano
@EusouCoreano Жыл бұрын
역사학이랑 고고학 전공한 저도 우연히 발견된 것 치곤 무령왕릉이라는 너무나 크나 큰 유적지가 제일 먼저 발견되고 발굴 된 점이 저도 너무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삼불 김원룡 선생의 그러한 시행착오를 겪으며 우리 고고학은 더욱 더 발전할 수 있게 되었으니 너무나 안타깝고 뼈저리지만 한국 고고학의 성장통으로 생각합니다.
@symbi2949
@symbi2949 Жыл бұрын
25:42/31:08 영상분에서 활석으로 만든 사자상이 불국사 다보탑의 수호상으로 있는 사자상의 모습과 같은 생각이 듭니다. 이 모습이 원래 다보탑 수호사자상의 모습이라 생각이 됩니다.
@user-lb5rb5pb3x
@user-lb5rb5pb3x 2 жыл бұрын
진정 고고학을 제가 모르는 더 깨우침을 받아야 합니다.공주를 비교합니다.
@gal4645
@gal4645 18 күн бұрын
6:42 저거 씻는 분들 학예사님 들인가? 맨발에 고무신 ㅋ 이쁘다
@kor22-24
@kor22-24 2 жыл бұрын
💜
@user-xx9ey3hm7u
@user-xx9ey3hm7u 9 ай бұрын
고려와 조선과 일제시대를 지나고 현대에 발굴되다니 너무 잘보존됨 신기하다!!
@user-tc4jr4hq7k
@user-tc4jr4hq7k 2 жыл бұрын
가위가 발굴 하이라이트
@user-gv2rt8mh8c
@user-gv2rt8mh8c Жыл бұрын
저당시 발굴을 제대로 했겠냐. 괜히 건드려서 무령왕릉처럼 졸속으로 했겠지. 삽으로 냅다 다 파버리네.
@koreanajussi9332
@koreanajussi9332 Жыл бұрын
헉...철삽으로 파네요... 본래 저런 유적지를 발굴할 때에는 유물이 손상되지 않게 대나무칼로 조심조심 발굴하지 않나요? 역시 시절이 시절이다보니 그런 걸까요...?
@coroniajo5892
@coroniajo5892 Жыл бұрын
나레이션은 AI 인가요? 목소리 기가 막히시네요
@user-em5yw1yi5i
@user-em5yw1yi5i 5 ай бұрын
70년대 뉴스 앵커 목소리입니다
@Kimbanourke
@Kimbanourke 9 ай бұрын
76년 고화질 고음질 한국 다큐.. 눈으로 보고도 안 믿긴다 뭔가
@AaA-re1jj
@AaA-re1jj Жыл бұрын
우리민족이 물질 문명이 가장 왕성했던 때가 아마 통일신라시대 였을것입니다
@SooDal-bu4uf
@SooDal-bu4uf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이름이 월지죠?
@gnmuseum
@gnmuseum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월지는 조선시대 이래 오랫동안 안압지로 불렀는데요~ 신라 사람들은 월지라고 했다고 합니다~ 당시 명칭을 따라 현재는 동궁과 월지로 부르고 있습니다~ 월지에서 출토된 다양한 문화재는 국립경주박물관 월지관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DS-nl5pp
@DS-nl5pp Жыл бұрын
이렇게만 보면 너무 다름. 송화산도 어디인지 모르겠네. 지금이 훨씬 나음
@user-pq9ll9ti4m
@user-pq9ll9ti4m 9 ай бұрын
치우천황 상이내요. 귀면이라고 부르는 것은 맞지 않아서 치우천황 상이라 불러야 맞아요. 전쟁의 신.치우천황. 배달국의황제.
@arajoaina
@arajoaina 4 ай бұрын
얼마나 갑자기 망했기에 쓰던 물품들을 놔두고
@ranomu8606
@ranomu8606 Жыл бұрын
월지 탐사의 백미는 여성들의 손때를 타 닳아있는 나무딜도란.. 특히 돌기가 나있는게 압권 ㅋㅋ
@ldo919
@ldo919 Жыл бұрын
지금 서구문명으로 초토화된 현실이 아프다 후손들 도 서구화되고 인성도 그러하니 개탄스럽다
@jmlee6100
@jmlee6100 8 ай бұрын
중국에 보낼 홍보 제작물인 줄 알았네요. 어찌 한글 대신 한자로 이름을 ... ㅊㅊ
@arajoaina
@arajoaina 4 ай бұрын
왜 고대 신라가 조선보다 문화가 더 발달한거 갔나? 조선은 진짜 한심한
@user-rz3ce2bf6f
@user-rz3ce2bf6f 2 жыл бұрын
신라만 아니었어도 우리나라가 이렇게 작은 나라가 안됬을텐데
@user-ff1bv5ej5c
@user-ff1bv5ej5c Жыл бұрын
그러게 말이야 신라가 없었으면 최소한 중국조선족은 되었을턴데 그러면 전중국대륙이 니네 땅이 되었을텬데 그치 넌 왜그렇게 재수가 옴냐!
@user-nr7qz4zn1c
@user-nr7qz4zn1c Жыл бұрын
그냥 여기 살지말고 중국가서 큰나라에 큰산봉우리 국민이 되세요
@user-rz3ce2bf6f
@user-rz3ce2bf6f Жыл бұрын
중국끌어다가 같은 민족 멸하고 땅도 뺏긴게 좋니? 정신병자들인가
@AaA-re1jj
@AaA-re1jj Жыл бұрын
그건 매우 잘못된 생각입니다 남쪽은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 일부를 병합해서 통일신라가 됐고 북쪽은 발해가 들어서서 신채호선생 말대로 남북국 시대가 되었지요 발해는 고구려장수 대조영이 고구려 땅에 고구려 백성들과 함께 세웠던 나라입니다 망한것은 고구려 왕조가 망한거지 그땅 그백성들이 어디로 갔습니까 이건 고려장수 이성계가 고려땅에 고려 백성들을 가지고 조선을 세운거나 똑같은 것이지요 그렇다고 고려는 우리역사 아닙니까 고구려가 우리 역사라면 그 후예인 발해는 당연히 우리역사 입니다 또 그후예인 금나라 청나라도 당연히 우리역사의 일부입니다. 그후 만주에는 만주국이 들어섰고 결국 우리민족이 만주를 잃은것은 1945년 입니다. 삼국시대에는 민족이라는 개념이 없었습니다 서로 다른나라였고 서로가 그냥 적국이었을 뿐입니다 신라가 중국이라는 외세를 끌어 드렸다고 폄훼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한나라안에 내전이 나서 남의 나라힘을 빌린것이 외세를 끌어들인것이지 다른나라끼리 서로 연합한것을 어떻게 외세를 끌어드린것이 되겠습니까 사실 조선말 간도는 우리땅 이었으나 나라의 힘이없어 뺏긴것 입니다 만주와 한반도를 분리시킨것이 만한사관 즉 일제의 식민 사관입니다 삼국사기에 분명 고구려가 우리의 역사라고 써있기에 인정할수 밖에 없지만 일제는 만한사관과 식민사관을 통해서 만주역사를 한반도와 분리시킨 영향으로 고구려 이후로는 한국인에게 남의 역사인양 인식되게 되었지요
@mangentle6946
@mangentle6946 Жыл бұрын
안압지 인해전으로 과거 초등생때 수학여행 갔는데. 지금은. 완전 현대식 건물로 바뀌어. 깔끔 해졌으나 과거 고품은 사라진 느낌이다
경주 황남대총(남분) 발굴, 1975|PLAY ▶ 박물관 아카이브
20:29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0 М.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
⬅️🤔➡️
00:31
Celine Dept
Рет қаралды 50 МЛН
Must-have gadget for every toilet! 🤩 #gadget
00:27
GiGaZoom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The foundation of Korean archeology is laid, Hwangnam Daechong
15:34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180 М.
큰★별쌤과 함께하는 박물관 완전정복 3편《신라 왕실의 찐 생활 모습》
14:27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2 М.
KBS 한국사전 - 12대 400년 부자의 비밀, 경주 최부자
49:2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3,5 МЛН
Archaeological Discovery During Road Construction Project: Ornamented Sword from Gyerim-ro, Gyeongju
14:4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The legend of the Gyeongju mass grave, tracing the true nature of GeumcheokㅣKorea history
8:3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41 М.
주꾸미 덕에 찾은 고려시대 보물선이 있다?|크랩
5:45
[FULL][아트 인사이트] 경주의 화가 박대성
57:11
Каха ограбил банк
01:00
К-Media
Рет қаралды 1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