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마지막 기회, 문성왕릉 헌안왕릉

  Рет қаралды 11,434

역사여행 사적돌 KoreaHistoryTravel

역사여행 사적돌 KoreaHistoryTravel

7 ай бұрын

#경주 #문성왕릉 #헌안왕릉 #문성왕 #헌안왕 #경주여행 #경문왕 #서악동 #서악리
#역사 #여행 #역사이야기 #사적돌 #답사 #답사여행
#문화재 #국가유산 #역사여행 #한국사
#korea #travel #history
▬▬▬▬▬▬▬▬▬▬▬▬▬▬▬▬▬▬▬▬▬▬▬▬▬▬▬▬▬
* 대부분의 영상자료는 자체 촬영 및, 획득한것입니다.
* 드론 촬영의 경우 반드시 비행허가, 촬영허가를 득한것입니다.
* 모든 드론촬영 영상속에는 사적돌의 차가 이스터에그로 있습니다😉
* 요청지는 가능한 방문합니다, 순서는 출장에따라 아주 다를수 있습니다.
* 공식명칭, 공식용어를 기본으로 하되, 쉽게 풀이한 단어를 사용하겠습니다.
* 발굴상황, 정보공개, 저작권, 등 제반 여건에 따라 제작이 불가한 경우가 있습니다.
* 상기한 이유로 고증과 일치하지않는 자료, 소수의견, 해석 등이 등장할 수 있습니다.
* 차별, 혐오 등 다른 구독자분들께 폐를 끼칠수 있는 댓글은 예고없이 삭제됩니다 😌
* 즐겨 시청해 주심 감사드립니다. 관리에 더욱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
사용된지도
국토지리정보원 www.ngii.go.kr/kor/content.do...
구글맵스 www.google.co.kr/maps/?hl=ko
구글어스 www.google.co.kr/intl/ko/earth/
사용된이미지
문화재청 www.cha.go.kr/main.html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site/main/home
위키미디어 commons.wikimedia.org/wiki/대문...
사용된음악
Audionautix의 Acoustic Meditation 2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아티스트: audionautix.com/
Chris Zabriskie의 I Am Running Down the Long Hallway of Viewmont Elementary에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 4.0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 creativecommons.org/licenses/...
출처: chriszabriskie.com/honor/
아티스트: chriszabriskie.com/
Pixelated Autumn Leaves - Jeremy Blake
사용된소스
[Video Source Support]
KZbin channel "freeticon" : / freeticon
▬▬▬▬▬▬▬▬▬▬▬▬▬▬▬▬▬▬▬▬▬▬▬▬▬▬▬▬▬

Пікірлер: 58
@user-bu2mq5vl9h
@user-bu2mq5vl9h 7 ай бұрын
다음기회에 경주를 방문한다면 글씨가 쓰여진 와편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주의 녹음 짙은 왕릉과 소나무 밭의 풍경은 늘 가슴을 설레게 해주는 마력이 있습니다. 오늘도 가보지 못한 경주의 일부를 가보고 싶게 끔 꿈꾸는 시간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경주 솔숲이 주는 매력이 있지요😄 유독 경주 서반부가 더욱 그러한듯합니다🤔
@user-eh9xx2bn5y
@user-eh9xx2bn5y 7 ай бұрын
오늘도 멋진영상감사 드립 니다 . 우리고대사 왕조부터 조선왕조시대를 보면 말기로갈수로 강력한왕의힘보다 는 지배층의힘이 커지기에 결국은 왕조를 지탱하기가 힘들지않을가요 장보고의세력이 클수있어던이유도 결국은 지배층의분열과 왕권의안정 되지못했기에 가능하지않을가요 또한 강력한왕권을 가진왕이있다했도 지배층이 따르어젔야한는데 신라말기의 한계라는 생각이듭니다 다음영상은 기회가되시면 신라말기 지방호적과 불교의관련된영상도 부 탁드립니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장보고의 세력과 잘 융합했다면 어찌됐을까 궁금합니다🤔 분명 신라왕실도 나라의 운명을 짐작하고 있었던것으로 보이고, 경문왕이 그 마지막불꽃으로 보이네요..자손들이 조금만 더 위기의식이 있었더라면 어땠을까 합니다😌 말씀하신 부분은 영상마다 녹여내겠습니다😄
@user-qf4po8ir4c
@user-qf4po8ir4c 7 ай бұрын
이제 서서히 추워지고 있네요.건강관리 잘하씨며 다니씨길요😂😂😂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오 염려 감사드립니다😄 어제 오늘 날씨가 아찔하네요; 아자아자님도 겨울건강 무탈하시길 빕니다😌
@umgeeumgee
@umgeeumgee 2 ай бұрын
정말이지 히스토리 채널을 보는 느낌이였어요 멋진 영상과 꼼꼼하고 뛰어난 식견 👍👍👍👍👍👍👍👍👍쵝오!!
@사적돌
@사적돌 2 ай бұрын
오 좋은말씀 감사드립니다😌
@npcmin
@npcmin 7 ай бұрын
늦가을 영상이 아름 답네요. 겨울답사 건강히 다니시기를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갈수록 추위에 버티기 힘들어집니다만,, 그래도 겨울은 답사의 계절이지요😄 염려감사드립니다😌
@user-qf4po8ir4c
@user-qf4po8ir4c 7 ай бұрын
❤😂❤
@kimhyuna5550
@kimhyuna5550 7 ай бұрын
서악동 삼층석탑 주변 정비된 고분군 뒤로 선도산성 방향으로 올라가는 길에도 정비되지 않은 고분이 엄청 많아서 놀랐습니다. 신라문화재 답사할 때는 매번 놀랍니다. 날씨가 급격히 추워집니다. 하루도 쉬지 않고 역사이야기를 쉽게 풀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산전체가 고분과 민묘더라고요, 아예 관리가 안되는 영역이 많던데, 북쪽 사면에 중소형분 50여개가 능선을 따라 일렬로 늘어서 있는곳도 있었습니다. 어느 집안일지 아주 궁금해요😮 외려 매일 찾아주심에 감사드립니다😌
@user-cg7du5xv2j
@user-cg7du5xv2j 7 ай бұрын
무열왕릉 주차장에 차 세워놓고 골목따라 산책하며 오르는데 서악동 동네도 예쁘고 석탑도 예쁘고 고분도 참 많다 싶더라고요.😊
@wenmi7786
@wenmi7786 7 ай бұрын
고구려는 닿을 수 없는 땅이 되어버렸고 백제는 개발 등으로 훼손되어 없어지고 장소도 특정하기 어렵고 신라는 너무 많고 기록은 있으나 여러사유로 정확히 누구의 안식처인지 알 수 없다니 아이러니하네요😢 무엇을 하든 점진적으로 발굴하는 방법밖에 없군요
@user-le9dy5qy2e
@user-le9dy5qy2e 7 ай бұрын
누군지 심도깊은 댓글가틈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사서도 착색되어있는경우, 단순복사되는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오로지 발굴결과만 진실을 이야기해주지요🤔
@user-wl9zb5fu7w
@user-wl9zb5fu7w 7 ай бұрын
신라도 천년을 존속 해 온 게 대단한 거지 인간의 생로병사 처럼 거대한 소멸의 흐름을 막기에는 파도 앞의 개미처럼 대세를 거스를 수 없는 거죠... 부쩍 추워진 날씨에 탐사 조심하세요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시대의 흐름은 불가항력이지요🤔
@KoreaWalkingToursTV
@KoreaWalkingToursTV 7 ай бұрын
설명 감사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오 시청 감사드립니다😌
@eorinyeohaeng
@eorinyeohaeng 7 ай бұрын
오호 신라시대 왕릉이 조선시대 때 비정됬다는 사실 몰랐네요~ 마지막 멘트는 마음을 설레게 하네요 ㅋㅋㅋㅋㅋㅋ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사적지 가면 눈에 불을 켜고 다닙니다😄
@Yun-JC
@Yun-JC 7 ай бұрын
ㅋㅋㅋ신무왕릉 외가댁 바로 앞에 있었는데..어릴적 저기 가서 엄청 뛰어 놀았죠ㅎ 부지가 넓고 중간에 딱 큰무덤이 있어 애들 뛰어 놀고 미끄럼틀 타기 좋았죠.😅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신무왕릉이 양지바르고 좋지요, 좋은 추억이네요😄
@Saram133
@Saram133 4 ай бұрын
실제로 서악동 고분군의 배총이 아닐까 싶습니다…그나저나 무열왕릉 바로 뒤에 있는 고분은 태풍피해를 직격으로 맞았더군요…
@사적돌
@사적돌 4 ай бұрын
오 무너졌더라고요, 이왕이면 발굴하면 좋겠는데...🤔
@koleanan1001
@koleanan1001 7 ай бұрын
신라 하대에도 골든타임이 있었는데 그 시기를 살리기엔 신라의 적폐가 너무 컸던 것 같습니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경문왕이 마지막 기회이지 않았을까해요, 오죽하면 궁예의 아버지가 경문왕이다라는 설도있지요🤔
@chunyoungpark5685
@chunyoungpark5685 7 ай бұрын
얼굴이 나은 둘째^^
@user-gd8co2ur8p
@user-gd8co2ur8p 7 ай бұрын
백제 왕 무덤들 어디에 있나요 무령왕릉 외...
@user-qg7pg8hf2b
@user-qg7pg8hf2b 7 ай бұрын
저도 그게 엄청 궁금합니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부여는 능산리사지에서 나온 석조사리감의 글씨로 미루어 해당 고분군이 사비백제의 왕릉들이라 봅니다. 무왕은 익산쌍릉이 맞다고 보고있지요🤔
@user-qg7pg8hf2b
@user-qg7pg8hf2b 7 ай бұрын
@@사적돌 답변 감사드립니다 그런데 왜 백제 능이 많지 않다는 느낌이 드는지... 학창시절 배운것이 전부 신라왕릉만 주입된 것이 아닌지 무지한 생각이 듭니다... 어릴적 배운 역사에 대해 수학여행이니 신혼여행이니 등등으로 가 본것이 전부 신라 유적지와 왕릉 등지 였는데 지금와서 보니 백제 왕릉에 가 본것은 손에 꼽게됨을 자각하네요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21대, 492년에 달하는 백제 대부분의 역사와 왕릉이 강남개발에 밀려 훼철됐기 때문이지요...😞 웅진백제는 4대 63년에 불과하고 사비백제도 6대 122년인데 그와중에 무왕과 의자왕은 다른곳에 계시니 더욱 없는듯한것이 아닐까합니다🤔 계획도시로서의 백제의 기상을 볼수 있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백제의 왕사는 사비라고 생각합니다😄 옥천 대전 사비로 이어지는 엄청난 수의 관방유적으로 대신 느낄수 있으시리라 봅니다😌
@user-qg7pg8hf2b
@user-qg7pg8hf2b 7 ай бұрын
@@사적돌 승자 독식이 계속 유지되고 폐자는 끝까지 말살된다는 진리 같습니다 ㅎㅎ
@user-fx6fm6fu4e
@user-fx6fm6fu4e 7 ай бұрын
신라왕릉에 대해서 쓴 책을 잠깐 본적이 있는데 (나중에 알았는데 저서하신분은 안타깝게 돌아가셨다고 하더군요)...사진위주로만 보기는 했지만...대충 어림 잡아서 정한것도 많더군요...추사 김정희 관련도 많고....아무튼 거대한 왕릉은 보기만해도 심장이 두근거립니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고 이근직 교수님이십니다😌, 신라왕릉 비정에 대해 전반적으로 재검토해야합니다🤔 추사선생이 진지왕릉이나 진흥왕릉도 무열왕릉 뒤에 있는것으로 비정했었지요😄
@user-dq2mz9og6b
@user-dq2mz9og6b 7 ай бұрын
고려거란전쟁 보셨나요? 예전에 드라마 천추태후 보고 답답했는데 이번에는 사소한 표현들까지도 나름 잘 고증된 것 같더라고요 ㅎ 간만에 큰 돈 들여서 나온 대하사극인만큼 기대가 큽니다. 최소한 망하지는 않았으면 좋겠네요. 그나마 간간히 이어오는 정통사극의 맥이 끊길까 걱정도 됩니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주말에 시간이 없어 못봤네요, 곧 보려고 합니다😄 두근두근 이번에 시청률좀 잘나왔으면 좋겠네요😮
@chunyoungpark5685
@chunyoungpark5685 7 ай бұрын
”비정되었다“ 정확한 뜻을 알고싶어서 국어사전 찾아봤어요^ “어떤 미상(未詳)의 물체가 그와 유사한 다른 물체와 비교되어 그 성질이 정해지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오 덧글 감사드립니다😌
@user-tr3hf6or8r
@user-tr3hf6or8r 7 ай бұрын
경문대왕의 귀와 뱀얘기의 의미에 대해 늘 궁금했는데 많이 배웠습니다 마진국의 궁예대왕이 헌안왕 아님 경문왕의 아들이라는데 개인적으로는 요즘 전청조처럼 처음 사람을 모을 때 좀 풍을 친게 아닐까싶긴 합니다만 어찌 생각하시는지요?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오 삼국사기가 쓰여진 고려시대를 생각하면 왕건이 궁예를 배반한, 쿠데타를 일으킨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했지요. 한걸음 더 나가면 궁예가 정통성을 가진 인물이어야 고려가 정통성는 나라라는 이야기가 되겠지요, 열국시대에 수많은 호족들이 정통성에 목매어 있었고, 수많은 인걸들이 이합집산을통해 고려로 모여든것을보면 이미 열국시대에 왕족의 정통성을 어느정도 인정받고 있었던것 같습니다. 왕건의 나주공방전도 실제로는 궁예가 했다는 해석들이 나오고있고, 왕건이 견훤을 부담스러워 한 정황도 있으니 삼국사기의 궁예나 견훤에 대한 기록은 글자 그대로 신뢰하기는 어렵다는 개인의견이고 오히려 궁예는 입지전적인 인물이었을 확률이 더 크다는 생각입니다🤔
@shinswoong.youtube
@shinswoong.youtube 7 ай бұрын
사적 제518호 신라 제46대 문성왕릉, 사적 제178호 신라 제 47대 헌안왕릉입니다.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오 덧글감사드립니다😄😌
@jjuhyung
@jjuhyung 7 ай бұрын
저 당시 10만의 인구가 삭제되면… 무척 혼란하겠네요 경제력을 책임질 인구와 지역 관료가 사라진걸로 봐야하니 신라말 전국시대(?)가 일어난걸 보면…
@사적돌
@사적돌 7 ай бұрын
당시 동원할수 있는 병력을 모두 동원하고 추가로 일반 백성들도 동원할수 있는 인력을 모두 동원했을텐데,, 이건 이겨도 이긴것이 아니지요.. 막대한 인명손실은 신라의 쇠퇴를 더욱 가속했으리라 생각합니다🤔
@hyunwoohan9517
@hyunwoohan9517 15 күн бұрын
우리는 왜 진서나 사기 같은 역사서가 전해지지 않을까 기록에 무지한 국민이었던지 아니면 기록을 보존하는데 무지한 국민성 때문인지. 하기사 불과 100년 전 사실도 제대로 전해지지 않으니.
@사적돌
@사적돌 15 күн бұрын
백제사서들로 일본서기를 썼다고 하지요, 그래서 그렇게 자세한거라고 얘기들 합니다. 망한나라의 역사는 사라져가는것이니 애닯습니다😞
@donyullee853
@donyullee853 3 ай бұрын
빨리 발굴 해서 역사의 진실을 찾아야
@사적돌
@사적돌 3 ай бұрын
왕릉들 발굴이 진행된다면 고대사가 훨씬더 투명해 지겠지요😌
The legend of the Gyeongju mass grave, tracing the true nature of GeumcheokㅣKorea history
8:3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41 М.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
Final muy inesperado 🥹
00:48
Juan De Dios Pantoja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TRY NOT TO LAUGH 😂
00:56
Feinxy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장기 발굴 조사에도 밝혀지지 않은 경주 황복사지의 비밀은?(ENG SUB)
7:00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23 М.
a secret of 27 corpse in a wolseong palace, gyengju what is these death for?
7:4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1 МЛН
KBS역사스페셜 - 묵서지편의 증언, 석가탑이 무너진 까닭은?
47:50
Archaeological Discovery During Road Construction Project: Ornamented Sword from Gyerim-ro, Gyeongju
14:45
국가유산채널(K-Heritage Channel)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큰★별쌤과 함께하는 박물관 완전정복 1편《신라 천년 역사를 내 손안에》
14:59
국립경주박물관 Gyeong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36 М.
1 класс vs 11 класс  (игрушка)
00:30
БЕРТ
Рет қаралды 4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