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콘대담] 불교를 망쳐버린 성철스님의 12지 이론_240330

  Рет қаралды 46,569

Hongik Academy

Hongik Academy

23 күн бұрын

'돈오입도요문론'은 계속 자성청정심이 주제예요.
거기에 대한 성철 풀이를 보면요. 계속 헛소리를 하는데요.
그 근본적인 성철의 헛소리를요.
제가 딱 이게 왜 이런 식으로 헛소리다라고
말하기 힘든 이유가, 총체적 난국이에요, 성철스님의 논리는.
교학과 선학이 짬뽕 돼 버린 거예요.
총체적으로 난국이라 거기서 견성했다 그러면
그건 더 심각한 난국에 빠진 겁니다.
말이 안 되는 논리인 거죠.
그래서 이걸 제가, 간단하게 설명 드리고 싶어도
왜냐하면 우리 '진여와 열반'에서
웬만한 지금 중관, 유식 다 다뤘잖아요. 근데도 이것도 설명하면
여러분들 복잡해지지 않을까 할 정도로 꼬이고 꼬인 채로
이렇게 이론이 발전한 거예요.
그러니까 동정일여 라는 경지가 있습니다.
여기서 한 단계 더 들어가면요, 몽중일여.
느낌 오시죠? 숙면일여. 확철대오. 이것만 아시면 돼요.
성철스님 이론은 별건 없어요. 그런데
이 4단계로 견성한다는 거예요. 이게 견성이에요.
그럼 여기 동정일여는 6식 상태에 있는데, 6식에서 깨어있는 거죠.
7식에서 깨어있기, 유식학도 하셨으니까.
성철스님이 무슨 말을 했는지 좀 이해해 보시자면,
8식에서 깨어있으면 숙면일여에요. 그럴싸하죠?
그럴싸하지 않아요? 6식에서 깨어있기, 동정일여.
그러니까 움직이건 고요하건, 다 6식상태.
생시 상태에서 깨어있기예요. 7식은요?
몽중, 꿈 속에서 깨어있기. 꿈 속에서도 깨어있으려면 7식,
에고의식이 닦여야 하는 거 아니냐 이거죠.
근데 여기서 벗어난 건 아니에요.
즉 8식에 있으면서, 8식에서 깨어있기.
8식에 머물면서 깨어있는 거예요.
숙면이라는 거, 완전 무의식 상태죠.
깊은 무의식 상태에서 깨어있기.
근데 이 '일여'라는 게 뭐냐?
이 '일여'라는 게 견성이 아니라는 게 포인트입니다.
화두가 있어야 한다는 얘기예요.
심지어 이제 견성도 아니에요. 뭐냐면 동정일여라면,
평상시에 항상 6식상태에서 깨어있는 거죠, 정신이.
즉 청정광명심이 드러나 있는 걸, 말하는 게 아니라고요.
청정광명심이 드러나 있는 게 포인트가 아니에요, 여기서도요.
청정광명심은 원래 다 가능하죠.
청정광명심이라야 동정에도 깨어있고
꿈속에서도 깨어있고, 깊은 잠 속에서도 깨어있을 수 있죠.
의식과 무의식을 초월해서 깨어있어요. 그게 확철대오 자리예요.
그런데 성철스님은 화두예요, 오로지.
화두를 열심히 잡아라가 포인트거든요.
지금 이 확철대오만이 견성이고요. 이 밑은 견성도 아니에요.
그냥 화두를 깨어서 잡고 있는 거예요.
그러니까 일단 여기서부터 뭐가 잘못됐는지 아시겠어요?
화두를 잡아서 깨어나는 게, 견성인 줄 모르세요.
화두 잡는 거 따로고, 견성 따로예요. 이해되시죠?
동정일여 정도면, 깨어 있어야 되잖아요. 말이 안 되죠.
동정 간에 화두를 쭉 잡고 있는데, 견성은 모른다는 거예요.
견성은 아니라는 거예요.
무의식에서 화두를 잡는다는 거는 일단 말도 안 돼요.
무의식에서 어떻게 화두를 잡아요? 깨어 있어야 하거든요.
그걸 견성으로 보지 않는 거예요.
무의식에서 화두를 잡고 자다가, 깊은 잠에 들어갈 정도로.
그러니까 사실은 선잠이에요. 선잠에 들어가서
화두를 잡던 그 버릇 때문에 정신이 응축되어 있는 거죠.
깨어있을 수 있죠. 우리가 볼 땐 깨어있는 건데.
그것도 사실은 견성인데, 견성의 체험인데
그것도 화두로 보는 거예요. 화두를 잡아라.
그러다가 확철대오로 간다. 여기까지 이해되시죠?
이 얘기만 하셨으면 그나마 나아요.
여기까지만 얘기하셨어도,
'화두를 졸라 잡아라.'예요, 포인트가.
화두를 자나 깨나 잡아라죠, 그냥 한마디로.
고전에는 그렇게 돼 있어요.
화두를 자나 깨나 잡으라는 그 고전의 그 구절을요,
본인식으로 이걸 단계로 만들어 풀어본 거예요.
자나 깨나 잡으라고 그랬지? 깨어있을 때 잡는 경지,
자다가 꿈꿀 때 잡는 경지, 깊은 잠에서 잡는 경지.
이렇게까지도 얘기할 필요가 원래 없는 거예요. 왜?
어느 고승도 화두를 이렇게 잡으라고 안 해요.
견성하라고 그러지, 그러니까 깊은 잠 속에 참나 있냐?
물어보는 그거를 근거로 댑니다.
왜 숙면일여를 해야 하나요?
왜 깊은 잠 속에서도 화두를 잡아야 하나요?
깊은 잠 속에서도 그 자리 있냐라고 물어보던
선문답 구절을 근거로 댑니다. 완전히 다른 얘기예요.
그거는 "참나 있냐?"고 물어본 거지,
화두 있냐고 물어본 게 아니라고요.
어떤 선승이 무의식에 화두 있냐고 물어봐요?
다만 자나깨나 동정 간에 화두를 잡아라.
이 구절은 있어요, 몽산법어에.
그럼 뭐가 좀 이상하지 않나요?
이걸 단계로까지 만들 일인가?
이래도 이렇게 하겠다면 하는 거죠.
그래서 우리 문화는 이렇게 시켜. 매우 빡세게 시켜.
그럼 하고 싶으면 하는 거죠.
그런데 여기다가 뭘 갖다 붙였냐면,
6식에서 화두 잡았다고, 6식이 정화됐다는 얘기가 아니죠.
그런데 6식이 정화되는 경지라고 또 봐서
1지부터 6지에 해당한다고 봅니다, 여기를.
갑자기 교학으로 들어가요. 선하고는 완전히 멀어진 거예요.
선불교는 이런 거 있으면 안 됩니다.
선불교는 애초에 뭐예요?
단박무심, 종지가 단박무심.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으니,
단박에 몰라! 하면 끝이다예요.
몰라! 해서 바로 확철대오다 예요.
시간도 걸리면 안 돼요. 닦아서 가는 게 아니에요.
우리 본래 자리, 바로 돌아보면 끝이기 때문에
우리 본래 자리, 본래 완벽한 자리를 돌아보면 끝나요.
이걸 바로 못 돌아보는 업장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것 뿐이에요.
이게 선불교 본래 종지입니다.
이게 본래 선불교의 돈오돈수 이론이에요.
단박에 깨달으면 돈오, 돈오가 견성이고요.
더 닦을 게 없다, 성불. 견성성불 이론이에요.
이 돈오돈수 이론을 가져다가 갑자기 단계를 설정하면요.
여기서부터 지금 나가립니다. 잘못된 거예요.
그런데 거기다 한술 더 떠서, 교학을 갖다 붙여요.
그럼 7식에 깨어있으면 몇 지일까요? 7지.
대승기신론의 논리가 갑자기, 화두 잡는 거랑
전혀 상관없는 대승기신론 논리가 붙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8식이 7식까지는 정화했는데
즉 아집은 떨어지면 7지거든요.
그럼 8식에 있는 법집 버리는 경지가 언제냐면요.
이제 8지부터 11지까지죠.
그럼 12지가 확철대오에 해당해요.
이렇게 하고 나니까 갑자기 화두 터지면,
12지가 되는 이상한 이론이 나와요.
그러면서 아무리 너가 숙면일여까지 겪어도
아직 8식에 머물면서 깨어있는 거니까
아직 흐리멍텅한 데가 있다는 거죠.
그 얘기가 뭐냐면 8지부터 11지가 아직 8식에,
여기 8식이 아직 오염식이거든요.
업장이 아직 남아있어서 그게 다 닦이면 12지가 되는 거죠.
이 얘기가 이 얘기랑 전혀 상관없는 얘기인데
깊은 잠 속에서 화두가 안 잡히더냐 잡히더냐라는 주제를
갑자기 8지에서 11지 경지의 공부,
너의 아뢰야식이 아직 업장이 있냐 없냐 얘기로
갑자기 바뀌는 거예요.
그래서 깊은 잠 속에 만약에 화두만 잡히면,
8식의 업장이 다 지워진 걸로 되는 거예요.
그래서 12지 부처가 됩니다. 대충 아시겠어요?
말도 안 되는 이론들이 막 섞여서 지금 난삽해져서,
이거를 지금 불교계에서 뭐가 틀렸는지 잡아내지도 못해요.
이런 얘기 어디 가도 들으실 수가 없다니까요.
잡아내질 못한다니까요.
그래서 남들이 견성해서 단박 몰라! 해 가지고
바로 참나 만났다 그러면 어떤 개소리들을 해요?
제8마계, 8식을 제8마계라고 그래요.
이건 성철 이전에 옛날 고승들이 이렇게 부른 적이 있어요.
이건 뭐 하려고 부른 거냐면요, 너 견성했다고 하는데
너 무의식도 통과할 수 있냐, 이거 물어본 거예요.
즉 깊은 잠에서도 참나 있냐, 이거 물어본 거예요.
화두 잡았냐 안 잡았냐가 아니고, 저도 물어볼 수 있죠.
주무실 때도 참나 있든가요? 주무실 때 있다면요.
제8마계, 아뢰야식을 극복한 겁니다.
이 말을 그럼 아뢰야식 극복했다 그럼 저 8지인가요?
미친 거죠. 뭔 병이 걸려도 무지와 아집이
이렇게 생생한데 어떻게 8식을 넘었다는 거죠?
무지와 아집, 이렇게 생생한데..
그래서 이건 말도 아닌 소리라는 거예요.
이 소리를 가지고 이 설계도를 가지고 이 커리큘럼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 부처를 만들어 보세요, 되나!
그러니까 부처 됐다는 놈이 하나도 안 나오죠.
이 이론으로 부처 됐다는 놈 있나 보세요. 없어요.
말이 안 되는 이론인데 이게 되면 더 신기한 거죠.
되면 완전 신기하잖아요.
꿈속에서 화두를 붙잡았더니
꿈속에서 화두 붙잡다 왔다는 사람은 있어요.
실제로 저한테 상담해온 분도 있어요.
꿈속에서 화두가 있더라고요.
아니면 여기까지도 제가 저한테 문의해왔어요.
깊은 잠 속에서도 화두가 있더라고요.
탁 선잠 자듯이 정신이 모아진 채로 잠든 거예요.
그러면 제가 견성인가요? 본인이 견성했는지도 몰라요.
제가 뭐라고 할까요?
본인이 볼 때 견성하신 것 같아요? 모르겠어요.
화두는 잡은 것 같아요. 전혀 지금, 기본도 안 돼 있죠.
이분이 지금 8지 경지입니까? 말이 아닌 소리라고요, 애초에.
애초에 말이 아닌 소리를, 왜 말이 아니냐?
선불교는 무조건 단박무심 입니다, 어떤 선불교 조사도.
왜 조사선을 여래선보다 더 높이 치는지 아세요?
여래선은 4선정이라도 얘기했지만
조사선은 4선정 자체도 없거든요.
4선정도 시간 걸린다고? 단박에 들어가야지.
'무슨 단계가 있냐고, 단박에 들어가라.'고 조사선이라고 그래요.
그래서 원래 여래선이 조사선인데
사실은 여래가 가르친 선이 조사선과 다를 리가 없는데
왜 선불교에서는 조사선을 더 높이 치느냐?
...5000자 제한
(240330 견성콘서트_토즈 신촌비즈센터)
- 홍익학당 교육과정 안내: hihd.imweb.me/course01
- 홍익학당 공식홈페이지:www.hihd.co.kr
-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cafe.naver.com/bohd
- 홍익학당 후원계좌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 ARS 후원 : 1877-1974
- 문의 : 02-322-2537 / help@hihd.co.kr
- 'SUPER THANKS' 기능이 추가 되었습니다. 영상 하단 'Thanks' 버튼을 눌러주세요.♥
본 동영상은 흥여회 후원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게 도와주신 '흥여회원'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Пікірлер: 74
@user-ok6tj5wg7w
@user-ok6tj5wg7w 3 күн бұрын
어떻게보면 화두가 불교를 망친격..주객이전도..최상승법으로 나를 찾으라고 방편으로 화두를 들라고 한건데 나보다 화두가 주인이 되고 내가 객이되어버린 바보같은 상황이 지금의 한국불교 입니다...
@yagum3370
@yagum3370 3 күн бұрын
해방이후 봉암사 결사도.. 사실 그때 스님들이 이제 자유 민주주의 국가이니 선거로 입승 뽑자고 해서 선거 했는데.. 그때 압도적으로 뽑힌 스님이 사살상 봉암사 결사를 주도한 스님이라고 하죠.. 물론 성철 스님이나 향곡스님은 아니고.. 중간에 성철 스님과 트러블 땜에 그 스님은 나가고.. 성철 향곡 청담 스님이 봉암사 결사 주도한 것 처럼 말하지만..
@user-qi3se9rv9n
@user-qi3se9rv9n 16 күн бұрын
80대인 내가알기로는 성철스님 말씀중에 산은산이요 물은물이로다 라는말이있는데 그말씀은 옜날중국의 북송때 천원선사님께서 한말씀이라고알고있는데.....성철스님 생전에 단한번도 천원선사님 말씀이라고 하신적이 없는것으로 알고있는데 그때문에 수많은 불자님들은 그유명한 말씀은 성철스님께서 가르친 말씀이라고알고있어요.......한심한 일이지요.......
@user-eo4gw6ee7b
@user-eo4gw6ee7b 6 күн бұрын
"나를 보러 오거덜랑 3000배를 하고 오라!" 던 성철님의 어록을 읽고 기절할 뻔 했다오. 석가모니 부처님은 오히려 중생을 찾아다니셨다는데...오늘날 교황도 신도들의 발등에 입맞춤 하던데 예수보다 더 훙륭했던 대단했던 스님이쌰나!
@1_SIMU
@1_SIMU 5 күн бұрын
자명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
@1_SIMU
@1_SIMU 20 күн бұрын
자명한 말씀 감사드립니다 많은 스님들이 보시고 빠른 깨달음으로 가는 고속도로 진입하시길 바랍니디.
@user-nv9vi3rs8q
@user-nv9vi3rs8q 19 күн бұрын
대표님 설명 듣기 전에는 성철스님 이론이 엉터리 인지도 몰랐어요ㅜ 바른 개념 정리도 중요하네요... 이 시대 큰 스승님이 계셔서 얼마나 다행인지요... 감사합니다👍🙏
@user-ke3lr8nn5p
@user-ke3lr8nn5p 21 күн бұрын
명쾌한 설명 감사합니다 저도 그분 책보며 그런가보다 하며 열심을 내었던 .. 다른 명쾌한 정보를 접하기가 너무 빈약했던 시절이었어요 그러다 초기불교 들어오니 거기에 또 열심내다 결국 모르겠다 포기상태.. 대표님에 대한 내용없는 감상적 비판을 들은적있는데.. 쉬원합니다
@septmerveilles
@septmerveilles 21 күн бұрын
'진여와 열반' 강의를 들어서 다행입니다. 성철스님의 이론이 얼마나 X소리인지 '단박'에 알게 해 주니 말입니다.
@user-ph8ry3ds2y
@user-ph8ry3ds2y 21 күн бұрын
저는 몇십년전부터 저건 헛 스님이다 라는걸 알았는데 그땐 팬심이강해서 뭐라말하면 계란도던지고그랬는데 이제야 제대로 알려지네요............
@BG-mr6bo
@BG-mr6bo 21 күн бұрын
항상 진실만을 설하심에 감사드립니다()
@user-pc1yg1mh5z
@user-pc1yg1mh5z 2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er9ox7nz5f
@user-er9ox7nz5f 21 күн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 몰라 하면 바로 그자리로 가는데 돌고돌고...😢 늘 감사드립니다 😊❤
@jdt79
@jdt79 2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쵝오~!
@hyunjongsong5981
@hyunjongsong5981 21 күн бұрын
지금 여기에서 과거몰라 미래몰라 이름몰라 이것도 저것도 싹다 몰라하면 있는 고요하고 평안한 자리가 참나다 항상 지켜보고 만물을 비추고 있다 옴 몰라 괜찮다 존재에 만족 감사합니다
@user-kw8ws3dv3l
@user-kw8ws3dv3l 21 күн бұрын
훌륭한 강의네요 뤼스팩!
@user-og7jz8jl4q
@user-og7jz8jl4q 18 күн бұрын
각종 종교에서 편견에 치우치며 상상속의 난잡한 이론을 설파하여 오히려 중생들을 더욱 어리석게 만들었는데 대표님은 경전에 근거한 자명한 개념을 체험을 바탕으로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시니 그 공덕은 무량공덕이고 이를 비판하는 것은 대표님께서 설명을 잘 못하신게 아니라 무지와 아집으로 자명한 말씀에 귀를 닫는 중생들의 업보입니다 늘 감사드립니다^^
@pjmpjmj
@pjmpjmj 19 күн бұрын
제 스승님께서는 조금이라도 깨닳은 자는 골방에서 오로지 염불수행만 하신다고 하셨고 13년째인 지금도 하루종일 집에서 염불만 하십니다.삼매 들어가시기 일주일 전 부터의 몸 변화에 대해서도 알려주셨고 삼매에서 깨실때 오도송?인가 입에서 자동으로 나와서 스스로 멈추셨던 일화까지 말씀해 주셨습니다.의심이 있던 저에게 세상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을 붙여 보아라 라고 하셨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똑똑한 사람좀 알려 주세요. 참고로 세상의 모든 지식들이 한 순간에 들어온거 같다고 하셨고 처음엔 스승님께서 스스로 질문하시면 입에서 자동으로 답이 나오셨다 하셨습니다. 모른다는게 얼마나 행복한지 알아야 한다고도 해주셨습니다. 항상 염불수행이 중요하다고 하시는 제 스승님과 다른 의견 있으신 똑똑한 선생님 찾고 있습니다.
@ericjohn670
@ericjohn670 18 күн бұрын
Wow 몇십년만에 본 명강의네요! 최고네요!❤
@user-ko8ve9nm6j
@user-ko8ve9nm6j 21 күн бұрын
성철스님은 극도의 에고이스트라고 생각합니다.보여주기식 언행으로 중생을 희롱했다고 봅니다.
@user-kq4qq9wh2n
@user-kq4qq9wh2n 19 күн бұрын
유튜브로 일반인이나 스님? 같은분들이 윤대표님 설법내용을 따라하는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좋은현상인지 모르겠지만 설익은분들의 도인행세는 한편으론 염려스럽네요. 자명한 설법 감사합니다.
@user-kg6pr4ib2l
@user-kg6pr4ib2l 21 күн бұрын
이제야 그 논리가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
@user-so3wx5tp6i
@user-so3wx5tp6i 2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xi7uy6op5x
@user-xi7uy6op5x 2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fp9kh4pg6v
@user-fp9kh4pg6v 21 күн бұрын
견성할 수 없게 하는 선ㆍ교학 짬뽕된 성철식 견성이론을 파헤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
@user-pi5in8nt9c
@user-pi5in8nt9c 18 күн бұрын
명상체험을 올립니다ㆍ 좋은 참고의 말씀 부탁드립니다ㆍ ㅡㅡㅡ 나의 명상체험 혼탁한 저자거리세상을 떠나 숲과 자연에서 앞과 옆을 보면 꽃과 새들이 평화롭게 노래하고 춤을 추는데 ᆢ 나는 조용히 마음을 다잡고 몸을 편안히 하면서 허리를 곧게 세우고 들숨 날숨을 편하게 쉽니다 ㆍ 눈은 반개를 할때도 있고 감을때도 있습니다ㆍ 모든것을 내려놓고 쉬면서 5감과 4대 그리고 탐진치의 무상함을 생각 하면서 가만히 들숨날숨을 바라보며 ㆍ ㆍ 어느듯 시간은 20여분이 지나고 마음의 집중이 되면 머리가 순간적으로 안개가 낀것같이 일시적으로 싸한 느낌이 느껴지며 찡한 느낌을 체감합니다 ㆍ 연이어 집중이되면 싸하고 찡한 느낌이 일어나는 연속성 ㆍ 그리고 느낌으로 나의 몸이 샛털같이 가볍다가ㆍ 천근 만근 같이 무겁게 내려 꺼졌다가ㆍㆍ 약30분정도에 흔히 이야기하는 깊은 삼매를 체험하며 깊게 깊게 온몸이 느껴짐을 행복하고 즐겁게 체험하곤 합니다 ㆍ 때로는 팔과 다리 그리고 가슴이 일시적으로 움추려드는 체험까지 ㆍ 현상세계에서 보이는 세상이 아니라ㆍ 일명 마음에서 볼수있는 텅빈 무소유의 텅빈 공의 세상을 즐기고 있습니다 ㆍ 나의 마음이 일어나는 곳으로 변화되고 단계를 뛰어넘는 깊은 곳으로 ㆍ 온몸과 뼈 마디까지 스며드는 일 회전우측에서 좌측으로 기운ㆍ기에너지가 한바퀴 삥도는ㆍ 오른쪽 무릅부터 왼쪽으로 돌아서 오른쪽까지 한바퀴 공의 초현상 싸하고 찡 ㆍ찡 ㆍ찡하게 돌더니 어느듯 나는 없고ㆍ 세상인듯 세상이 아닌듯 무한한 어두운 우주같이 넓게만 펼처진 세상에서 ㆍ 그럼 나는 어디에 있는가 ㆍ라고 스스로 반문하니 ㆍ 아 저기 멀리 한점이 나인가라고 인식하고ㆍ 스스로 오늘도 목숨이 다하여도 끝장을 보리라 ㆍ 라고 생각하는 순간 갑자기 온통 밝은 꽉찬 태양같은 밝음 일원상 만이 있으니 ㆍ 으이쿠 이 무엇이고ㆍ 라고 하는 찰라순간에 다시 현실세계에 나는 오늘도 남아있습니다ㆍ 아쉬운것은 한점과 일원상이 하나가 못 된것이 아직도 아쉽게 느껴 지네요ㆍ 혹시 저가 제대로 공부를 이루는것인가요ㆍ
@user-bq7iz5fc5i
@user-bq7iz5fc5i 7 күн бұрын
맞음
@user-oz4zq7hp3m
@user-oz4zq7hp3m 13 күн бұрын
맞냐 틀리냐를 떠나서 그 이후 인물을 키워내지 못했으니 불교를 망친거나 마찬가지...
@user-xm2ln5pv7i
@user-xm2ln5pv7i 19 күн бұрын
명쾌하고 자명한 말씀만 하셔서 윤대표님 말씀만 듣고 있어도 깨어납니다. 이시대의 진정한 스승님 정말 감사합니다.
@standbell
@standbell 20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kc3ne8xo5b
@user-kc3ne8xo5b 21 күн бұрын
삼천배를 해야만 친견을 허락하는 성철스님 지금 해인사는 성철스님 성지입니다
@user-qr1eu8fq5x
@user-qr1eu8fq5x 21 күн бұрын
성철 땡중이 조계종을 망쳐놧습니다
@sinabro0357
@sinabro0357 21 күн бұрын
서울대를 나와야 제자로 받아준다는
@user-bv5wb7wu8i
@user-bv5wb7wu8i 21 күн бұрын
삼천배 할 시간에 염불하는 시간을 갖겠습니다ㆍ
@user-ko8ve9nm6j
@user-ko8ve9nm6j 17 күн бұрын
무릎이 안좋은 사람이 집념으로 3천배하고나면 평생 골병듭니다.지밖에 모르는 지적교만이 남의 고통을 수행이라고 단정합니다.그의 열반송처럼 평생 중생들을 속인죄가 수미산일 것입니다.일부러 덕지덕지 기워입은 그의 승복을 보면 기가 막힙니다.
@flying_tiger86
@flying_tiger86 21 күн бұрын
정말 혼탁하고 통일안된 무분별한 불교이론이 난무하고 있어서, 저 역시도 혼란 속에 살았는데, 홍익학당 만나고 나서 자명하게 불교랑 유교 기독교를 제대로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J.a.hyeon_anne13
@J.a.hyeon_anne13 21 күн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user-tf2lw4nr8u
@user-tf2lw4nr8u 8 күн бұрын
펜 좀 찐하게 나오는걸 쓰면 더 잘 보여서 이해하는데 더 도움될거 같습니다
@user-jq1lk1me3x
@user-jq1lk1me3x 2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gv6sy6mx5v
@user-gv6sy6mx5v 18 күн бұрын
이런 강의너---무 좋아요!
@user-lw3ek4fv3i
@user-lw3ek4fv3i 8 күн бұрын
성철스님 죄송하지만 괴변이었다ㆍ딩신도 열반시에는 후회하고 가셨다ㆍ
@cmyii427
@cmyii427 18 күн бұрын
이분의 말은 맞는 건가요?
@Sbs858
@Sbs858 21 күн бұрын
대표님 감사합니다
@user-xn6wq7nb5r
@user-xn6wq7nb5r 21 күн бұрын
화두 잡는것 자체가 생각/추구심에 잡혀있다는 건데, 그게 어찌 깨닭음의 상태지? 화두는 마음의 집중상태 아닌지? 집중과 추구심은 초기 단계에서는 필요할 수있지만, 오히려 마지막 단계에서 방해물인것 같은데? 성철, 법륜이 우리 불교계의 현 수준입니다.
@user-nz8gb9sn8y
@user-nz8gb9sn8y 20 күн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
@youn7633
@youn7633 15 күн бұрын
머리좋아서 한자리 했을뿐. 중생들과 뭐가 다른지 ㅋ 그져 살다간 한 인간이였을뿐😂
@user-ul9xl2ys2s
@user-ul9xl2ys2s 21 күн бұрын
無心을 종지로 삼아야! 화두는 방편
@user-wq7wb2fb9x
@user-wq7wb2fb9x 17 күн бұрын
서울대좋아한다는. 성철스님. ㅡㅡ진짜그런가. ㅡ암튼 조계종 자승님덕분에. 많이 실망스러웠지요ㅡ머 어쨌든 일불승 ㅡ내스스로 깨어있어야할듯요. ㅡ나무관세음보살😊
@user-ie6el7mg8j
@user-ie6el7mg8j 16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hongikHD
@hongikHD 16 күн бұрын
시청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user-ze9yl5sn7p
@user-ze9yl5sn7p 21 күн бұрын
어떤 종교든 살생,도둑질,음행,거짖말 ,탐내고,성내는 마음이 어리석음이라..
@frissonju
@frissonju 21 күн бұрын
심한 사투리에 오랜녹음음질로 아에 듣기포기했어요. 열반 얼마전에야 한 도인에 돈수깨침받으신거로 알고잇어요. 최소 그 전의 가르침이니 ,,,,,,,;;;
@user-ys7to5kq1t
@user-ys7to5kq1t 9 күн бұрын
성철의 엉터리 견성이론도 문제지만 만공스님을 의심하고 견성을 인가받지도 못한 채 셀프인가를 한 성철을 조계종이 종사로 모시고 있는거 자체가 말이 안된다고 봅니다. 셀프인가가 가능한가? 그게 원래 법통을 잇는 풍조라면 왜 굳이 스승을 찾아 도를 닦을까요? 만공스님도 경허스님으로부터 3번에 걸처 점검을 받아 확철대오를 했는데 뭔놈의 자신감으로 스승을 박차고 셀프인가를 합니까? ㅎㅎㅎ
@user-jamuju10
@user-jamuju10 18 күн бұрын
성철은 자기자신도 성철을 못하였나니!
@user-bq7iz5fc5i
@user-bq7iz5fc5i 7 күн бұрын
원효대사
@korea-ldy250-hropc-pattern.
@korea-ldy250-hropc-pattern. 21 күн бұрын
😀
@michaelfaraday5729
@michaelfaraday5729 2 күн бұрын
성철스님 말씀은 이전부터 좀 이상하다고 생각했슴. 자기 보려면 삼천배 하라는 것부터 시작해서. 시국에 맞지 않는 봉창두드리는 소리까지. 한국불교를 망하는 길로 가게 만드는데 일조하신 분. 이런 분을 종사로 모시고 따르니 잘 될 턱이 있나.
@yan6251
@yan6251 19 күн бұрын
화두잡다 속은거 알면 견성ㅋ
@user-tg4mq9eh7j
@user-tg4mq9eh7j 18 күн бұрын
자칭 도승이란 자들이 공밥먹고 헛소리 하며 깨달았다고?
@user-vk9hy3nu3v
@user-vk9hy3nu3v 21 күн бұрын
귀한 법문 감사합니다. 저도 성철스님을 존경했던 입장에서 그래도 열반하실때는 양심고백을 하고 가셨다니 위안이 됩니다. 성철스님의 제자들에서는 깨닫는 분들이 나오지 않는다고 하셨는데요. 그렇다면 한국불교계에서 깨우침을 얻으신 고승들은 어떤 분들이 계신지도 궁금합니다. 전에 대표님 강의에서는 대행스님은 성철스님보다도 더 깨우침의 경지가 높으신걸로 기억합니다. 경허스님 및 그분께서 인가하신 제자들은 어떤 경지이신지도 궁금합니다. 또한 기회가 되신다면 (유마거사, 부설거사 등) 유명 거사님들은 어느 정도의 깨달음을 얻으신 분들이신지도 기회가 되실때 강의에서 다루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elty987
@elty987 21 күн бұрын
숭산스님 - 윤홍식님께서 가장 큰 영향을 받으신 고승 중 한분 이십니다
@asalways
@asalways 18 күн бұрын
유마경은 이미 학당강의가 있습니다~한번 확인해보세요
@user-cu4nb6sb9o
@user-cu4nb6sb9o 21 күн бұрын
제대로 공부한 학승 하나 없다는 말인가요?
@user-by3mt6xo7g
@user-by3mt6xo7g 21 күн бұрын
@user-tj9si6qq7n
@user-tj9si6qq7n 11 күн бұрын
성철승려 보다 법정스님이 제일 좋더라 그다음은 고타마 싯다르타
@user-yw3zo1cl8e
@user-yw3zo1cl8e 21 күн бұрын
성철의 절간에 부처는 없고 불쌍하게도 불상만 있어유 고행은 나름 많이 했는디...
@user-pi7dr6wg5w
@user-pi7dr6wg5w 21 күн бұрын
요즘 유튜브를봐도 개나소나다들 시끄러운 한소식이라고 떠들어데고있네요 선생님 명쾌한 설명감사합니다
@user-zm5qt7fd4z
@user-zm5qt7fd4z 18 күн бұрын
접견 3천배 뭔 의믜가 있음니깦
@user-iw7zm6es9u
@user-iw7zm6es9u 1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user-rl5gl3vc2y
@user-rl5gl3vc2y 2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ic2mz3ue6q
@user-ic2mz3ue6q 1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
@user-nu4cz4vk6l
@user-nu4cz4vk6l 21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
New Gadgets! Bycycle 4.0 🚲 #shorts
00:14
BongBee Family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홍익학당] 깨달음의 3단계(170809)_A515
58:18
홍익학당
Рет қаралды 218 М.
Not Wanting - How to Get What You Really Want - onebluestone
15:10
홍익학당
Рет қаралды 21 М.
성철스님은 생사도 없고, 윤회도 없다고 말했다  [법정스님이 묻고 성철스님이 답하다 12]
12:53
ХОТЯ БЫ КИНОДА 2 - официальный фильм
1:35:34
ХОТЯ БЫ В КИНО
Рет қаралды 2,6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