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어도 이 정도로 이해하시고 설명하는 정도조차 안 되는 분들은 어설프게 설명하는 영상이나 글은 안 쓰는 게 좋겠다고 생각하는 게 상식적일 겁니다. 게다가 엉뚱한 소리하고 용어도 막 써대는 분들도 많아요. 그냥 사진은 권학봉, 사진은 권학봉, 이렇게 머리에 새기는 게 좋습니다. 전문가라는 게 이런 분들을 말하는 것이죠. 이마에 매직으로 써놓으세요. 사진은 권학봉. 그럼 씻을 때 거울보면서 또 떠올립니다. 사진은 권학봉이구나. 더불어 포토샵과 라이트룸도 권학봉. 오늘도 뽕대장에 취하고 갑니다. 11:50 그런데, 작가님 영상중에 이런 삽입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여유가 느껴집니다 ㅎㅎ 앞으로 또 어떤게 생길지 ^^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ㅎㅎㅎ 과찬의 말씀이십니다. 11:50 한번 해봤는데요, 어떻게 재미있으셨는지 모르겠습니다. ^^
@mingbot4 жыл бұрын
@@HakbongKwon 적재적소였습니다^^
@dhneo91384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
@changyongkang7651 Жыл бұрын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HakbongKwon Жыл бұрын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laejo4 жыл бұрын
대체 무슨 바람이 들었는지 나도 대형카메라나 해볼까 .. !! 하고 좌충우돌 공부하던때 가장 생소하고 어려웠던게 바로 착란원에 관한 내용이었어요. 조리개 선택 요령 쯤 되는 쉬운제목의 글이었는데 이게사실은 착란원과 회절 등에 관한 아주 어려운 내용이었어요 . 그 라지포맷포럼 글을 읽으며 맨붕했던 기억이납니다. 오래전이지만 그전에 선생님 영상을 봤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요 ! 좋은강의 감사드립니다
@깔루아4 жыл бұрын
와우 이 새벽에 또 좋은 정보를 감사합니다
@김호영-h5m4 жыл бұрын
수준높은 이론강의, 너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theredaygo4 жыл бұрын
This video was very useful and insightful. Your content are always informative and helpful! I always recommend your videos to everyone. Keep up the great work, Kwon!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Thank you so much ! ^^
@cheongkiwa4 жыл бұрын
이런 강의 쵝오 입니다. 지식의 깊이 대단하십니다. 궁금했던 광학원리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최여진-t8b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휜골프채2 жыл бұрын
어려운 내용을 이해하기 쉽게 해주는게 정말 명강의네요. 수준높은 영상 감사합니다.
@HakbongKwon2 жыл бұрын
말씀 감사드립니다.
@피캄의영상팩토리0514 жыл бұрын
드디어 허용착란원(permissible circle of confusion)에 대한 설명이 나왔네요, 중후반에서 설명하시는 화소와의 관계로 허용착란원이 변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항상 감사합니다..
@최일하-j6f4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잘 보구 갑니다..^^
@Lily.xoxo.2 жыл бұрын
학교 교수님 수업 내용보다 훨씬 설명이 쉽고 쏙쏙 들어와요.... 감사합니다! 😭
@HakbongKwon2 жыл бұрын
말씀 감사합니다
@cocoj.68074 жыл бұрын
피사계 심도를 이해하는데 이거만큼 좋은 설명은 없었네요. 완벽합니다!
@25filmmm4 жыл бұрын
가장 정확하고 심도 있는 설명입니다 🤗
@ycstyles4 жыл бұрын
ㅋㅋ크으 좋다!! 내용의 깊이가 있네여 따봉
@AlenVideo-u9c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류동현-h5o3 жыл бұрын
최고의 강의입니다!
@boringman83884 жыл бұрын
구경 면적에 대한 이야기 들으면서 오호!? 햇어요
@영진-m2z8 ай бұрын
아이고 네번 보고 이해했네 선생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권영근-g5o4 жыл бұрын
일단 좋아요 누르고 경청 합니다 강의 감사합니다 ♥
@둥근세상-n6p4 жыл бұрын
좋은 설명에 감사드립니다!
@joyfulkkp2 жыл бұрын
강의 감사합니다 ^^😀
@HakbongKwon2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godavid794 жыл бұрын
학봉이형님 처음 인사할 때면 나도 모르게 맞인사를 하게 된다는~!ㅋ 행님!! 늘 감사합니다~ㅎ
@TAEYONG_KIM4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입니다~ 잘 봤읍니다~ 와우~
@seongheecho98754 жыл бұрын
세상에... Ray optics를 여기서보네요 ㅋㅋ 간단히 스케치해볼때 많이쓰는건데 ㅋㅋ
@심민-l2j2 жыл бұрын
너무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xi_fac84274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런 좋은 강의를 무료로 들을 수 있다니 놀라워요 구독 누르고 갑니다.
@ricky62954 жыл бұрын
착란원이 무엇인가 궁금했는데 덕분에 알고 가네요.. 좋은 자료 너무 감사합니다..^^
@idrislim4 жыл бұрын
11:15 픽셀크기와 센서 위의 상의 크기의 상대적인 크기 때문에 센서의 픽셀크기가 작을 수록 DOF가 작아진다(얕아진다)는 것이지요? 상식과 다른 부분이라서 이해하려고 두 번 더 돌려 봤네요.ㅎ :c)
@altandtap15 ай бұрын
착란원이 픽셀과 관련 된거면, 필름 카메라에서 착란원은 어떤 원인인가요?
@HakbongKwon5 ай бұрын
뭔가 잘 못 이해하신 것 같은데, 아무튼 필름도 감광 입자를 확대해 보면 빛에 반응하는 최소 단위의 물질이 있습니다.
@최지용-r5v4 жыл бұрын
이런 원리를 알고는 있었는데 픽셀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된다는 것과 광각과 망원에서 차이가 생기는 이유까지는 몰랐네요 ㅋㅋ 요즘 올리시는 영상 정말 도움 많이 됩니다 예고편도 기대되네요 ㅋㅋ 예전에 제가 계산해봤을때 심도 깊이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학봉형님은 어떤 결론을 내려주실지 궁금합니다!
픽셀단위에서 이야기이고, 우리가 사진을 보면서 느끼는 건 아니기 때문에 초점거리와 F값, 그리고 주피사체 부피사체의 거리에 따른 계산식으로 이미 정해 져 있습니다. 다만, 고화소일 경우 초점이 맞지 않는 부분 부터 시작하니 심도가 더 얕을 수도 있다는 말입니다.
@nochannel1657 Жыл бұрын
@@HakbongKwon 아 그럼 픽셀의 문제라는 이야기네요. 그럼 픽셀 심도가 얕다는 게 결국 뿌연거니 화질에서 손해보는 결과네요 ~. 크롭바디가 해상도가 좋다고 좋은 게 아니군요. 제대로 이해한 건지 몰겠ㅈ만 ㅋ
@realhansai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구라뽕 선생님...♡♡
@김재현-b4x2 жыл бұрын
필름에서는 어떻게 생각해야 될까요???
@songkw58884 жыл бұрын
질문있습니다!! 캐논 eos r 기종이고 이전에 사용하던 ef 50mm 1.2 렌즈를 어댑터에 껴서 사용중인데요. 어댑터를 끼면 촛점거리가 늘어나므로 f값도 달라지게 되는건가요? 보케에도 영향이 있고?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아닙니다. 렌즈 설계시 플레인지백이 다른것이지 초점거리가 변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어뎁터를 두개 끼우시면 거리만큼 초점거리에 영향을 주지만요. 하나끼우시면 렌즈 설계시 지정된 플레인지백 거리를 더짧은(미러리스) 플레인지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거에요.
@seongheecho98754 жыл бұрын
픽셀이 충분히 클때는 지금 말씀하신게 맞습니다. 광학기구를 파는 회사들의 교육자료도 동일한 내용을 다루는 경우도 많고 교과서에도 그렇게 나옵니다. 그런데 사실 픽셀이 상대적으로 그렇게 크지 않은경우가 많습이다 이제는..... 빛이 초점으로 모인다고 해서 한 점으로 모이는거로 그리지만, 선 추적법에서 그리는 선은 실제로 선이 있다기 보단 파동의 파면에 수직한 선을 표시한겁니다.파동이 진행하는 방향을 쉽게 표현하기 위해서 말이죠. 빛이 모여 초점으로 가게되면 빛이 모이면서 파동의 보강간섭을 통해 빛이 강해지고 이걸 센서가 감지하게됩니다. 보강간섭이다보니 파장의 길이에 따라 어느정도 입체적인 부피가 존재합니다. 즉 초점은 초점이 아니라, 입체적으론 길쭉한 바늘 모양의 밝은 보강간섭 지역이 됩니다. 이 초점지역의 단면을 3um아래로 낮추는게 기술적으로 쉽지않습니다. 레이져로 실험을 해봐도 쉽게 낮아지지 않아요. 그래서 4천만화소 이상 고화소바디들의 경우 하나의 초점이 하나 이상의 픽셀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imatest로 lw/ph가 5천 가까이는 가야 픽셀 하나로만 표현이 될듯말듯 한대 그런 렌즈자체가 흔하지는 않잖아요? 수차가 전혀 없다고 가정할때 f를 줄이면 줄일수록 고각도로부터 빛이 들어오니 초점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앞뒤로도 짧아집니다. 반대로 조리개를 조이면 초점 자체가 두꺼워지고 보강간섭을 이룰수있는 거리가 길어지게 됩니다. 조리개를 조일수록 이 길이가 기하급수적으로 길어지게 되는 경향이 있어서 f7~ f8이상의 조리개를 쓰는경우엔 실제 DOF가 지금 설명하신 착락원으로 설명할때보다 더 길어지는 결과가 나옵니다. 그리고 이런이유때문에 고화소 간다고 꼭 심도가 짧아지지도 않습니다. 픽셀이 큰데서 작은데로 갈때는 그런 경향이 있어보일지몰라도 어느정도 이상 작아지면 더이상 심도가 더 얕아지지도 않습니다.
@손병욱-b9f4 жыл бұрын
고화소가 블러에 취약하다는것도 영상내용과 비슷한 맥락으로 알고있는데 혹시 그것도 실질적으론 차이가없는건가요?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우와, 정말 좋은 내용감사드립니다. 빛의 파장 단위에서 간섭이 큰 영향을 미치리라고는 생각을 전혀 못했는데 말입니다. 현실과 단순한 시뮬레이션과의 차이점이 엄청나네요. 전문적인 내용의 말씀에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
@seongheecho98754 жыл бұрын
고화소 데이터를 저화소로 리사이징해서 가려지는 모션블러가 저화소에선 물리적으로 평균화 블러 필터를 먹여 처음부터 기록이 안되는걸 고화소는 모션블러애 취약하다 하는건 좀 이상한 말 같아보이긴 합니다. 고화소를 크롭해쓰기도하지만 리사이즈 많이해 쓰시잖아요? 애초에 저화소랑 비교라면 리사이즈가 더 비교대상으로 칠때 맞는게 될꺼고요. 같은 화소라면 센서 규격이 큰 카메라가 같은 화각을 찍을때 초점이 벗어나는 허용도가 크니 좀더 모션블러로부터 유리한건 맞겠죠. 근데 사진이라는게 얼마나 큰 센서에 얼마나 큰 화각을 담을것인지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는걸 생각하면 단순히 화소로만 더 불리하다 유리하다를 이야기하긴 쉽지 않을것 같네요. 확실한건 고화소는 저화소는 잡아낼수없는 모션블러를 잡아낼수 있습니다
@손병욱-b9f4 жыл бұрын
@@seongheecho9875 아 그럼 리사이즈된 사진기준으로는 차이가 없다고 봐도되는거죠? 감사합니다
@zoo_optika4 жыл бұрын
잘 읽었습니다. 다만 몇 가지 질문이 있어 이렇게 답글 남깁니다. 초점으로 가게되면 빛이 모이면서 보강 간섭을 통해 강해진다고 하셨는데, 일반적으로 광원이나 물체를 찍을 때 나오는 빛들이 Coherent하지 않기 때문에 두 intensity를 더할 때 고려되는 값인 interference term 값을 평균내보면 0일 것 같습니다. 어떻게 보강 간섭을 할 수 있는지 궁급합니다. 그리고 적어주신 것들만 보면 그냥 ray optics가 아니라 wave optics 영역에서 PSF가 광축 방향에 따라 생기는 모양에 대해서 설명하시는 것 같아서(결국 Diffraction Limit 때문에 말씀하신 입체적인 부피가 생기는 거니까요) 정확하게 어떤 의미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junshikchoi29644 жыл бұрын
피사계심도는 거리단위일텐데, 그것을 사진상으로 보았을때 픽셀크기로 초점이 맞는지 정하는건가요? 예를들어 전에 권학봉선생님께서 풀프레임과 크롭바디로 실험하신 영상처럼, 동일 렌즈에서 센서 해상도가 4배인(픽셀사이즈가 가로세로 2배) 카메라로 동일위치, 동일광량으로 찍었을때 4배해상도 센서를 가진 카메라가 심도가 반으로 줄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심도는 센서의 픽셀크기 보다는 렌즈와 그 렌즈의 유효구경에 따라 결정 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마지막에 예고하신 문제는 200mm f2.8이 유효구경이 더 크니까 심도가 더 작지 않을까요?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네, 심도 그러니까 피사계 심도에서 아웃포커스 중심으로 생각하지 마시고, 초점이 정확하게 맞는 부분으로 생각하시면, 보다 고집적도 센서가 심도가 얕은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반대로 같은 크기(저집적도)로 사이즈를 줄이면 그 효과는 동일해 집니다. 다음편도 기대해 주세요. ^^
@eriz0xt4 жыл бұрын
@@HakbongKwon 작가님 항상 유익한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착란원과 센서와의 관계가 더 궁금해집니다. 6천만 화소인 A7R IV 이 2천만 화소인 A7 III 보다 심도가 얕아진다는 말씀이지 않습니까? 다음 영상에서 이것도 비교해주시면 정말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더불어 영상 편집이 점점 세련되지는 것 같아 독자로써 기쁩니다.
@박한주-l1p6 ай бұрын
화소가 심도에 영향을 주나요?
@HakbongKwon6 ай бұрын
심도의 정의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다른데요, 과학적 관점 = 한 픽셀 센서의 물리적 크기가 적을 수록 착란원의 크기도 작아져야 합니다.
@24-7guy4 жыл бұрын
멋진 정보 감사합니다. 형님 둥글둥글 하신데, 뇌는 굉장히 샤프하신듯. 오늘의 한 마디 똘레란스!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ㅎㅎ 칭찬의 말씀 감사드립니다. ^^
@zotolee26214 жыл бұрын
저는 그게 궁금 해요 동영상 기능을 빼버리고 가격을 낮춘 카메라가 가능할지. 낮춘다면 얼마나 낮아질수 있을지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음.. 미러리스로 디자인된 카메라는 기능적으로 이미 동영상 카메라와 다르지 않습니다. 그냥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것 / 혹은 이 기능을 빼는 것인데 새로 개발한다면 몰라도 이미 있는걸 않넣었다고 가격이 낮아지지는 않을듯 합니다.
@zotolee26214 жыл бұрын
@@HakbongKwon 아오 ㅠ 필름 햘까봐요
@softwater1534 жыл бұрын
그럼 같은 풀프레임이라도 소니 기준으로 화소수가 큰 a7r 시리즈가 a7s시리즈보다 배경흐림이 더 잘되나요?
@2sorbital4 жыл бұрын
종이 크기로 비유... 너무 좋습니다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말씀 고맙습니다. ^^
@qnvoalsrnr Жыл бұрын
11:17
@qnvoalsrnr Жыл бұрын
8:13
@qidhj2au2nu624 жыл бұрын
역시 전문가는 다르다...
@honestjj3 жыл бұрын
9:00 에서 설명하시는 Ray Optics Simulation 내용에서 DOF 는 근거없이 너무 주관적인 내용으로 설명하시는것 같습니다 9:00 부터의 내용을 없애시고 14:25 으로 이야기하시는게 더 좋은거 같아요 받아들이는 사람차이겠지만 저는 좀더 카메라의 심화된 내용을 보고 싶은데 카메라와 연관성에 있어서 기본카메라를 가지고 설명하는게아니라 광학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내용인게 너무 아쉽네요 그래도 잘보고 갑니다!
@hyun7a74 жыл бұрын
사진전 4월에도하던뎅 없으셔서 아쉽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네 11월로 옮겼어요. 제가 한국에 입국하면 무조건 2주간 격리라서요. ㅠ..ㅠ
@DanielKingJ4 жыл бұрын
파급력이 큰 테크유튜버들이 스마트폰 카메라를 리뷰할때 용어들을 엄청 오용하더라구요 이런 영상을 좀 봐야할텐데요..ㅜㅜ
@twinklememory88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복잡한 내용을 그림으로 쉽게 설명해주셨네요. 그런데 센서 포멧과 화소 수에 따라 피사계심도가 달라진다는 말도 꼭 맞는 말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센서에서 1개 픽셀의 물리적 크기로 허용착란원의 크기가 정의된다고 말씀하셨는데, 그와 더불어 사실 허용착란원은 사진을 모니터로 보거나, 인쇄하거나 해서 최종 결과물을 사람이 봤을 때, 사람이 느끼는 허용착란원의 크기가 더 중요한게 아닌가 싶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화소수의 크롭 포멧이 풀프레임 센서 보단 1개 화수 크기는 작겠지만, 사진을 a4용지나 그보다 작게 같은 크기로 인쇄해놓으면 결국 허용착락원은 센서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고 사람의 눈이 구분할 수 있는 허용착란원의 크기로 정의될 것입니다. 따라서 화소수가 둘 다 충분히 많으면 결과는 대동소이할 것입니다. 따라서 센서 포멧으로는 피사계심도를 정의할 수 없다가 정확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취미로 풍경 사진도 찍지만, 대체로 사진을 과학기술 분석에 활용해서 배경까지 포함해서 피사계심도의 얕다/깊다를 생각해야한다곤 한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었네요. ㅎㅎ 언제나 잘 찍어야 하는 단일 대상(주로 시험편)만 두고 피사계심도가 깊다/얕다를 판단해서, 피사계심도는 구도가 같다면 오직 f값으로만 달라지고 렌즈의 초점거리에 따라서는 변하지 않는다고 이해하고 있었고, 또 그렇게 실험실 후배들에게 알려주고 있었습니다. 배경까지 피사계심도를 파악하는것에 변수로 집어넣어야한다고 생각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같은 용어라도 사진의 용도와 필요에 따라서 이렇게 이해가 달라진다니 흥미롭습니다.
@일-f7h3 жыл бұрын
착란원의 차이면 인물은 잘보이고 왜배경만 흐릿한건가요 인물도 흐릿해야 하는거아닌지요
@onepunchproject38144 жыл бұрын
제가 1등 조회첨이네요
@HakbongKwon4 жыл бұрын
1등 축하 드립니다.
@흑수선-j8h3 жыл бұрын
자칭 어떤 작가는 심도( depth of field)를 낮다 등으로 표현하길래 얕다 가 적당한 표현이 아니냐 했더니 얇다 라는 표현도 있다길래 그냥 포기했습니다. 맞춤법도 모르는 영상 유투버도 있더군여.
@youngjinkim86154 жыл бұрын
허용착란원과 화소와의 관계는 잘못된 설명 같습니다. 착란원 자체의 크기를 논해야지 픽셀당 계산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만약 그렇게 계산한다면 DOF 계산기에 화소도 넣어야죠. 초점은 얇은 판과 같으며 이를 기준으로 앞뒤로 초점이 맞다고 허용하는 착란원의 크기까지를 초점으로 보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