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예종] 연기과 입시썰 (3)

  Рет қаралды 10,866

INDIVIZUALIST

INDIVIZUALIST

Күн бұрын

우주현 : / indivizualist
우다현 : / w_unhy_eas_
선유림 : / sunyl_74_

Пікірлер: 56
@조경진-t1i
@조경진-t1i 3 жыл бұрын
1탄부터 정주행했습니다. 정말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
@jihhyun
@jihhyun 2 жыл бұрын
몇달전까지만 해도 실용무용과 입시를 준비하던 학생입니다 춤을 오래전부터 춰왔다보니 내가 춤추는것이 당연했고 당연히 이것으로 대학을 가야하고 난 이것만 하고 살았으니까 다른건 못해 이런생각으로 살아왔는데 이번에 고3이 되고 코로나여파로 조금 쉬게 되면서 생각을 많이 해봤습니다 춤을 대하는 제 모습이 예전과는 많이 다르더라구요 전에는 춤을 진짜 좋아하는 마음으로 췄다면 지금은 대학을 가야하니까 나는 춤을 춰야해 라는 의무적인 마음으로 추고있었더라구요 오래배워왔던거라 쉽게 놓지못했던것같아요 그래서 제가 춤과 동시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연기로 입시를 해보려고 하는데요 예전에 어렸을때 잠깐 배웠던 기억이 있는데 그때 너무 재밌고 좋았었어요 제가 가려던 실용무용과는 실기가 100이었어서 내신 관리를 하나도 하지 못하였어요 춤에만 집중했었거든요 고3때 내신을 4-5등급까지 올려도 한예종 힘들까요? 3-2학기까지 내신 챙기고 재수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고1.2 내신 최하등급이고 고3때 등급을 올려서 상승곡선타면 좋게 봐주실까요? 연기입시를 처음하는거다보니 이번년도엔 힘들겠죠? 길을 갑자기 바꾸게 되니 불안하네요 하지만 배우라는 꿈에 도전해보고 싶어서 조언을 구하고자 댓글 남겨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Indivizualist
@Indivizualist 2 жыл бұрын
내신이 어떻든 이미 지나간 일은 어쩔 수 없으니 지금부터라도 잘하면 됩니다. 늦은 만큼 남들보다 열심히 하면 되고, 사실 늦은 것도 아니네요. 대부분 3-4월에 시작하니까요. 그리고 특기로 무용을 남들보다 월등히 잘할거니까 훨씬 유리하다고 봅니다. 남들 무용연습 할시간에 연기하고 공부할 수 있으니까요. 화이팅하세요👏🏻
@하이-x1m2t
@하이-x1m2t 2 жыл бұрын
한예종 연기과에 30대 신입생도 있나요...?전문사말고용...
@Indivizualist
@Indivizualist 2 жыл бұрын
제가 아는 사람중에는 없습니다
@하이-x1m2t
@하이-x1m2t 2 жыл бұрын
@@Indivizualist 네....
@니유-k8y
@니유-k8y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현재 연영과 입시생인 고3입니다 연습을 해도 이게 느는건가? 하면서 지치기도 하고 지금 영상 촬영 기간이라 영상 촬영을 했는데 가족 분들은 애매하다,대학 못 갈 거 같다 그러니까 저에 대한 믿음이 깨지면서 점점 불안해요 연습으로 채우려고 연습실을 가면 집중이 안 되고 발음도 꼬이고 요즘 들어 내가 정말 대학에 갈 수 있을까? 불안해서 잠도 통 못 자고 사실 저는 처음부터 열심히 한 학생이 아닌 나중에 정신 차려서 열심히 하게 된 학생이거든요 물론 열심의 기준을 높여서 더 더 열심히 할 거지만요!! 그래서 더 불안한 거 같아요.. 내가 대학에 가면 그건 너무 불공평한 거 아닌가? 더 열심히 한 친구들이 있잖아, 더 열심히 한 친구들이 있는데 난? 내가 과연 갈 수 있을까? 하고 .. 이래 저래 말이 길어졌는데.. 혹시 조언해 주실 수 있을까요? 그리고 저는 1차에서는 화내거나,울거나 그런 연기가 아닌 약간 웃긴 연기인데 자꾸 다른 친구들과 비교하게 돼요..뭔가 제 연기가 비루해 보이고 나름 잘 살려보겠다고 미친듯이 연습해봐도 제 연기와 스스로가 작아보여요..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실력의 문제가 아닌 마인드의 문제이기 때문에 도움 될 만한 글 첨부합니다. 1. 자신을 옭아매는 부정적인 생각과 잡념에서 벗어나라 - 비이성적인 반추적 사고 : 우리가 어떻게 해도 바꿀수 없는 상황이나 우리의 잘못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일에 온갖 상상과 억측을 동원해 자신을 괴롭히는 것. 2. 남들이 너무하다 탓하지 말고 내가 유리멘탈임을 인정하라 - 유리멘탈 : 보통 사람들에 비해 타인의 피드백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며 쉽게 자존심에 상처를 받는 성격 - 상대를 공격해 자신에게 실질적으로 득이 될 것이 무엇일까? 또 무조건적 회피가 자신에게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3. '나'와 잘 지내려면 먼저 '나' 자신을 아껴라. - 자신을 탓하며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깎아낼 때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받아들일 때 비로소 내가 가진 약점을 극복하고 장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4. 당신은 당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강하다. - 문제를 인식한다 - 마음을 다스린다 (모든 일에는 그 과정을 통해 배울점이 있으며 실패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개선할 점을 찾을 수 있다) - 대화를 해본다 (자신이 가진 능력의 크기에만 연연할 것이 아니라 아직 배울것이 더 많은 현실을 직시한다) - 일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면 자신이 어떤 이익을 얻게 될지 다시한번 생각해 본다. 5. 즐거울 때 불현듯 묘한 우울감이 스친다고 해서 당신이 비관적인 것은 아니다. - 이러한 정서적 메커니즘은 마음의 균형을 유지해 삶에 적응해나갈 상태를 만들어준다. - 느닷없이 머릿속에 떠오르는 이상한 생각들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도록 한다. 대수롭지 않게 여기면 생각들은 자연히 힘을 잃는다. 6. 당신에게 부족한 것은 능력이 아니라 자기긍정이다. - 학습된 무력감 : 경험으로 학습한 무력감으로 저도 모르게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상태가 되는 것 7.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으려면 먼저 저주를 풀어야 한다. - 자신이 언제 스트레스를 받는 편인지 자각한다 - 스트레스를 받으면 습관적으로 피하려고 하지말고 잠시 멈춰 그 감정과 마주한다 - 자기불구화는 훌륭한 가르침이 된다. 걱정을 글로 적고 핑계거리가 아닌 하나하나 해결해야 할 문제로 삼는다. '~이 부족하다' ->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 자각을 높이고 자신의 감정과 마주하며 극복 방법을 찾아라. 그리고 생각을 전환하라. 그러면 길 위에 놓인 수많은 걸림돌이 위로 올라가는 계단이 될 수 있음을 발견할 것이다. 8. 완벽함이 실행보다 낫다. - 완벽주의는 기준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그 기준에 도달할 수 있는지 그 개념이 모호하다 보니 결국 자신을 들볶거나 남들을 피곤하게 만든다. - 80%의 효과가 20%의 노력으로 얻어진다. 반대로 나머지 20%의 효과를 채우기 위해서는 80%의 힘을 쏟아야 한다. - 반드시 달성해야 하는 목표는 무엇인지, 보너스 문제 같은 일은 무엇인지를 분명하게 구분한다. 80/20 법칙의 효과를 내려면 일을 시작하기 전 반드시 '핵심 목표'를 파악해 '꼭 해야 할 일' 리스트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 연기가 왜 하고싶은지 다시 한 번 고민해보세요. 분명 대학에 가기 위해서나 남들보다 잘하려고는 아닐 거에요.
@니유-k8y
@니유-k8y 3 жыл бұрын
Otium Record 안녕하세요 답글을 너무 늦게봤네요..ㅠㅠ 우선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어떻게 보면 이기적인 건데 속상한 나머지 털어둘 곳이 없어 익명을 빌려 끄적끄적(이라 하기엔 긴..) 적어봤는데 이렇게 정성스럽게 조언해주실 줄을 몰랐어요 정말 감사합니다 깊게 새겨 들었습니다.. 그리고 밑에 달아주신 연기가 왜 하고 싶은지 생각해보라는 말씀 오늘 잠에 들기 전 곰곰이 생각해볼 거 같아요 하지만 역시 전 대학이 목표가 아닌 배우가 목표이자 꿈입니다!! 남보다 더 잘하고 못하고가 아닌 저만의 매력을 살려서 저라는 사람을 교수님께 보여드릴 수 있도록 노력해보겠습니다 연기에 정답은 없으니!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힘들때 인정하고 누군가에게 털어놓을 수 있는 것도 용기라고 생각해요. 누구에게나 자기의 단점만 보이고, 큰 꿈 앞에서 한없이 작아보이는 나를 마주하는 시간들이 찾아옵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고 보면 내가 작아질 만큼의 큰 꿈을 가졌었다는게 얼마나 용감하고 아름다운 선택이고 시간이었는지 알 수 있을 거에요. ‘나음’이 아닌 ‘다름’ 으로 멋진 배우가 되시길🙏🏻
@황제이-i9u
@황제이-i9u 3 жыл бұрын
한예종 갈거야 !! 하고 자신감을 올리면 주변 친구들과 지인들에서 부터 오는 부담은 없으셨는지 궁금하고 그렇다면 어떻게 하셨나요 ㅜ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한예종 갈거야! 라고 주위 사람들에게 말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에게 말해서 자기 확신을 키우는 것 입니다.
@user-pv9yw1pn8j
@user-pv9yw1pn8j 3 жыл бұрын
입시에 도움 많이됐습니다 감사합니다!
@옙-l6q
@옙-l6q 3 жыл бұрын
작년 고1 8월부터 연기와 뮤지컬을 시작했고 현재는 고2 8월인데 지금까지 내신등급은 거의 다 6등급인데 그래도 그만큼 실력에도 시간을 좀 부었는데 이번 2학기에는 내신을 더 신경쓰는게 더 좋을까요?? 그리고 특기를 노래로 할건데 그렇다고 무용을 못하면 안되는거죠??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다들 공통적으로 하는 말이 나중에 후회하지말고 내신 챙기라는 것입니다. 고1때부터 준비하신거면 실기를 빨리 시작하신것 같은데 내신이 6등급이라면 내신을 좀 더 챙기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특기가 노래면 무용실력은 상관 없지 않을까요?
@장예빈-h3i
@장예빈-h3i 3 жыл бұрын
제가 한예종 연기과에 관심이 생겨서 입시준비를 하려고 하는데 노래로 무대에 선 경험은 있어도 연기는 한번도 접해본 적도 없고 그래서 부모님께 말씀드리고 입시준비를 하려고 하는데 가장 큰 고민이 키가 작은 부분입니다.. 키가 155 정도 되는데 고등학생이라 이제 더 이상 클 것 같지도 않아요 혹시 한예종 합격하신 분들 중에 키가 작으신 분들도 계신가요?? 가장 중요한건 실력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키가 발목을 잡지는 않을까 걱정이 돼서요..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요즘 학생들이 다 크긴 한데 합격 여부와는 상관이 없을 것 같습니다. 본인이 키를 신경쓰면 남에게도 다 보입니다. 누구나 다 약점이 있으니 신경쓰지 않으셔도 될 것 같네요
@coconutpark8947
@coconutpark8947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예종 2차시험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 드려용 ㅠㅠ 1) 2단계에 보고읽기는 어떻게 연습하셨는지 2)실제 시험장에서 보고읽기 시험을 어떤식으로 치르셧는지 (연기or 낭독식인지) 3) 제시되는 문장이 독백대사나 책에서 발췌or 칼럼 종류인지 궁금해요ㅠㅠ 보고읽기는 정보가 너무없어서용 ㅠㅠ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보고읽기는 코로나 이후 생긴거라 잘 모른다고 합니다!
@Meng_mm
@Meng_mm 2 жыл бұрын
꼭 예종 합격하겠습니다!!
@yoonjaewoneva
@yoonjaewoneva 3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잘보고 있어요!! 혹시 연출과도 찍어주실 수 있나요?ㅠ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연출과에 아는 사람이 없는데 기회되면 찍어볼게요 :)
@kimkimkim6983
@kimkimkim6983 3 жыл бұрын
22학번 꼭 합격해서 찾아가겠습니다!!!
@냥냥펀치-t3m7o
@냥냥펀치-t3m7o 3 жыл бұрын
혹시 우다현님 기존에 다니시던 학교를 졸업하고 예종 준비하신건지 아니면 자퇴 하고 예종 준비하신건지..! 알 수 있을까요?:)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자퇴했습니다
@냥냥펀치-t3m7o
@냥냥펀치-t3m7o 3 жыл бұрын
답변 감사합니다:)
@그냥-q2e6w
@그냥-q2e6w 3 жыл бұрын
연기정할때는 대부분 뮤지컬 대사로 하나요? 아님 뭘로 정하나요?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희곡대사 중에 정해야합니다
@ppomiiy
@ppomiiy 3 жыл бұрын
다리는 전반적으로 대부분 찢으셨나요? 사이드스트레칭이 아직 안되서요ㅠㅠ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무용특기자라면 잘 찢는게 좋겠지만 아니라면 크게 상관은 없을 듯 합니다. 수업시간에 보면 대부분 유연한 편이긴 합니다.
@ppomiiy
@ppomiiy 3 жыл бұрын
@@Indivizualist 무용특기자한테시켜보나요?
@넹-k4y
@넹-k4y 3 жыл бұрын
영화나 드라마같은 매체연기를 배우고싶은데요 그래도 한예종 연기과에 진학해도 되나요 ? *매체연기를 위주로 배울수있는 과는 없나요 ??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제가 2년간 연기과 수업을 들으며 느낀 것은 따로 '매체연기'라는 것은 없습니다. '연기'의 본질을 배운 후에 그것이 '매체'에 어떻게 적용되는지 배우는 것이지 단순히 매체연기를 배운다는 것은 그 의도가 연기를 배우는 것에 있다기 보다는 TV나 영화에 출연하고 싶다는 것에 있지 않나 싶네요. 연기과 수업중에 '카메라 영상연기' 수업이 있습니다. 이 수업을 3,4 학년에 들을 수 있는 이유는 기본적인 연기에 대한 이해 없이 카메라 앞에 서는 것은 무의미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넹-k4y
@넹-k4y 3 жыл бұрын
@@Indivizualist 그럼 노래나 무용같은 특기가 없다면 연기과에 진학하기 어려울까요 ?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넹-k4y 학교마다 입시내용이 다른데 특기가 필요한 학교면 아무래도 어렵겠네요.
@user-pr6vw7lz1i
@user-pr6vw7lz1i 3 жыл бұрын
헉시 한예종 교수님들께서 선호하는 학생들의 스타일? 공통점이 있다면 어떤거라고 생각하시나용?!?ㅠㅠ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정말 다 다른데 음.. 생각보다 내향적인 친구들이 많아요. 즐거운 추석 보내세요^^
@Coomyell
@Coomyell 3 жыл бұрын
1탄부터 너무 영상 잘 보았습니다! 제가 궁금한게 생겨서 그런데 연습복으로 입고 들어갔다고 했던 그 연습복 혹시 어디서 구매하셨는지 알수있을까요??여자 연기과입시생인데 여대랑 다들 학교들 시험보러 다닐때 입고갈 약간 핏된 연습복 사고싶은마음에 여쭤봅니다! 따로 구매안하시고 연습때입었던거 입고가셨다면 그것도 어디서 구매하였는지 궁금합니당!!ㅎㅎ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저는 하얀 민소매와 검정 요가 바지를 입고 시험을 봤는데 하얀 민소매는 ‘BIND’라는 매장에서 구매했고 검정 요가 바지는 보세로 산거라 기억이 잘 안 나요 ㅠㅠㅠ ! -유림
@8tontro
@8tontro 3 жыл бұрын
내신은 최대 몇등급까지 커트라인인가요?? 5,6등급인데 합격한 동기도 있었나요?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따로 커트라인은 없고 6등급대인 친구 있다고 합니다
@you__jj-m2j
@you__jj-m2j 3 жыл бұрын
정말 만나고싶어요ㅠㅠㅠㅜㅜ
@융지-b2d
@융지-b2d 2 жыл бұрын
혹시 접수 순서도 입시에 영향을 미치나요…막 첫날 첫타임은 안뽑는다던가ㅠ
@Indivizualist
@Indivizualist 2 жыл бұрын
아뇨
@융지-b2d
@융지-b2d 2 жыл бұрын
@@Indivizualist 앗 감사합니다..!!
@영화-j5x
@영화-j5x 3 жыл бұрын
요즘같은 코로나시국에는 영화과에서 영화를 어떻게 찍나요? 4인이상 못 모이면...ㅠㅠ입시생인데 궁금해요....과제는 상관없는건가요...?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그전에는 10인이하 대면수업하거나 3단계로 심해지면 전면 비대면 수업 했었구요.. 지금 4단계라 그에 맞게 학교에서 방안을 내놓지 않을까 싶네요.
@안녕저에요
@안녕저에요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혹시 학원도 알수 있을까요?ㅠㅠ
@Indivizualist
@Indivizualist 2 жыл бұрын
학원은 유튜브에 학생이름 검색하면 나와요😀
@hye_woon
@hye_woon 3 жыл бұрын
혹시 영화 제작하실 때 배경음악은 어디서 구하시나요? 저작권 없는 음악이요!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저는 주로 음악하는 아는 친구들에게 부탁해서 허락 맡고 사용했어요. 저작권 없는 음악은 유튜브 스튜디오에 있는 무료음악이나 아니면 브금저장소 라는 채널에 저작권프리 음원들이 있는데 그래도 사용하기 전에 잘 알아보셔야 할거에요!
@hye_woon
@hye_woon 3 жыл бұрын
@@Indivizualist 감사합니다 ㅠㅠ 특성화고 연출과 재학 중인데 학교에서 단편 영화를 자주 제작하다 보니 궁금해서 여쭤보았습니다! 아 그리고 제가 한예종 영화과가 목표거든요,, 영상 항상 보는데 너무 존경스러워요 답장 감사합니다 !!!
@user-ez5mv3fq1e
@user-ez5mv3fq1e 3 жыл бұрын
혹시 집이나 학원에서 연습할 때 가족이나 친구들이 너무 신경쓰일 때는 어떻게 대처하셨는지 궁금해요 ! 그리고 슬럼프가 있으셨다면 어떻게 극복하셨는지도 궁금합니다!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저는 일단 학원 다니는 전에 친구들한테 미리 말해서 합격 전까지는 거의 안 만났었고, 가족들도 서로 최대한 터치 안했었어요. 슬럼프는 … 무조건 그냥 될 때까지 연습하고 펑펑 울면 속이 좀 풀렸어요 - 우다현 학생 답변입니다!
@ryun_3
@ryun_3 3 жыл бұрын
특기 뭐하셨는지 궁금해요 !
@Indivizualist
@Indivizualist 3 жыл бұрын
2편에 나오는데 옆에 두 친구는 뮤지컬했고 저는 움직임으로 짧은 액션 했습니다
[한예종] 연기과 입시썰 (2)
13:20
INDIVIZUALIST
Рет қаралды 27 М.
[아란연기학원] 2025학년 서경대학교 최종합격 이혜원
2:21
[순대복음] 순식간에 대학생활 복음서
Рет қаралды 902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
1% vs 100% #beatbox #tiktok
01:10
BeatboxJCOP
Рет қаралды 67 МЛН
BAYGUYSTAN | 1 СЕРИЯ | bayGUYS
36:55
bayGUYS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99.9% IMPOSSIBLE
00:24
STORROR
Рет қаралды 31 МЛН
한예종 연기과는 어떤 질문을 하나요? 핵심정리..!
14:13
배우들의 연기노트⭐️
Рет қаралды 6 М.
{육아로그} 유전자의 신비 - 춘천편
8:39
기유TV
Рет қаралды 314 М.
It’s all not real
00:15
V.A. show / Магика
Рет қаралды 20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