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날 기념] 한글과 훈민정음에 관한 7가지 오해!

  Рет қаралды 246,863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Күн бұрын

한글에 관한 오해는 끝이 없다! 2020년 10월 9일 한글날을 맞아 한글과 훈민정음에 관한 7가지 오해를 풀어보는 영상을 제작해보았습니다.
채널을 운영하면서 시청자분들께 한글에 관한 수많은 질문, 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마주친 한글에 대한 오해들. 셀 수 없이 많습니다. 한글과 한국어의 차이는 무엇일까? 한글은 늘 일정한 소리를 나타낼까? 또 세상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을까? 대한민국의 문맹률이 낮은 건 한글 덕분일까? 한글이 왜 과학적이라는 걸까? 한글은 한국어가 아닌 중국어 발음을 적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게 사실일까? 오직 한글만이 누가 언제 왜 만들었는지가 잘 알려진 문자가 맞을까? 한글은 디지털 환경에 가장 적합한 문자일까? 한글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 맞을까? 일일히 나열하기에도 벅찰 수준입니다. 한국인의 한글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대단하기에 가능한 일 아닐까요? 전부는 답해드리지는 못하겠지만 7가지 중점을 바탕으로 진행되는 이 영상을 시청하신다면 주요한 궁금증을 풀어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KZbin 채널 운영을 취미활동으로 시작했고, 초심을 잃지 않고자 현재도 취미활동의 일환으로 매주 일요일 13시에 영상을 업로드해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영상 제작에 필요한 충분한 여유시간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었고, 부득불 채널 개설 초기와 같이 비정기 영상 투고를 진행하기로 고심 끝에 결정하였습니다. 매주 저의 영상을 기다려주신 분들께 실망스러운 소식으로 돌아오게 되어 송구스럽습니다. 그러나 한 달에 두 세번은 영상 투고를 계속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금주를 기점으로, 영상의 주제도 이전처럼 다시 가볍게 하는 방향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옛날의 가벼운 느낌의 영상을 그리워하시는 분이 많이 계시고, 또 언제라도 생활이 정상화되면 다시 무겁고 알찬 주제의 영상을 올릴 수 있으므로 어디까지나 가능성의 이야기입니다. 앞으로도 언어학에 관한 흥미로운 통찰력을 불어넣어주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힘쓰겠습니다. 잘 부탁드립니다.
〈타임라인〉
0:41 한글과 한국어의 차이점
3:36 한글은 영어와 달리 발음이 늘 일정하다?
5:50 한글은 모든 소리를 적을 수 있다?
7:50 한글 써서 문맹률이 가장 낮다?
8:35 한글은 한국어가 아닌 중국어를 적기 위해 창제되었다?
10:15 한글은 누가 왜 만들었는지 알려진 유일한 문자다?
10:57 한글은 디지털 환경에 가장 적합한 문자이다?
12:01 한글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문자이다?
12:37 공지사항
〈이용된 소재〉
이 영상은 いらすとや의 크리에이티브커먼즈 라이선스 하에 배포되는 소스를 포함합니다.
BGM:
Dreams Are Pretty by Seoul June
Destination Unknown by Ugonna Onyekwe
Ultra by Savfk
Filaments by Scott Buckley
#한글날 #세종대왕눈물뚝뚝
연락 및 문의 - bungbungnue@gmail.com

Пікірлер: 2 200
@fctwins3871
@fctwins3871 3 жыл бұрын
0:43 한글날 특'짐'
@Full_of_Shit
@Full_of_Shit 3 жыл бұрын
고정이다~ 이마리야~
@user-zl7ei5pb3q
@user-zl7ei5pb3q 3 жыл бұрын
특 GYM
@user-qf2eb5ob9e
@user-qf2eb5ob9e 3 жыл бұрын
재영아 안녕 또만났네 나 기억나니..?
@user-qf2eb5ob9e
@user-qf2eb5ob9e 3 жыл бұрын
@오홋 저분 '올빼미와 부엉이의 차이' 이영상에서 어떤 베댓한테 부엉인데여~~이런답글달았다가 사람들한테 물어뜯기심..
@fctwins3871
@fctwins3871 3 жыл бұрын
@@user-qf2eb5ob9e 오 ㅎㅇ
@_Lianic
@_Lianic 3 жыл бұрын
ㄹㅇ '한글로만 이야기합시다' 같은 표어 볼때마다 당황스러움... 외계인이자너ㅋㅋㅋㅋㅋㅋㅋ 아ㅋㅋㅋㅋㅋ
@_Lianic
@_Lianic 3 жыл бұрын
made in KOREA 그건 맞죠. 근데 오프라인에서 이런 표어를 볼 때면...
@kidandRaftel
@kidandRaftel 3 жыл бұрын
@made in KOREA 댓글을 한글로 쓰지 ileohge sseuna
@ch.6688
@ch.6688 3 жыл бұрын
왜요 청각장애인일 수도 있죠. 그렇게 그거 아니라고 말하는데도 아랑곳 안 하고 틀린대로 말하는 거 보면 청각장애 맞는듯
@BenYaEntertainment
@BenYaEntertainment 3 жыл бұрын
@made in KOREA 마이 네임 이즈 블라블라 도 한글로 이야기하는건데...역시 한국어라고 해야 정확하지 않을까 싶어요
@vikamikhail
@vikamikhail 3 жыл бұрын
필담하자는 거임 ㅋㅋ
@isuy7892
@isuy7892 3 жыл бұрын
한글날이 되면 세종대왕님이 눈물을 흘리긴 하실꺼임. 후손이라는 것들이 한글과 한국어도 구분 못하고 헛소리를 남발하고 있으니깐...
@user-yi1wh7sg4o
@user-yi1wh7sg4o 3 жыл бұрын
사실 현대 국어 못 알아들을테니 상관없을듯ㅋ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жыл бұрын
그것보단 왕조 망한거 보고 땅을 치지 않을까?
@user-xx4uh9fg9w
@user-xx4uh9fg9w 3 жыл бұрын
여기 대댓 왜이렇게 현실적임 ㅋㅋ 올만에 웃고 갑니다
@implantier2
@implantier2 3 жыл бұрын
키릴문자야 그래봤자 어차피 그리스 라틴문자 알파벳을 기초로 변형이 된것이지 한글처럼 기호 자체를 다 새로 만든건 아니지 않나요?
@User_subung
@User_subung 3 жыл бұрын
@@implantier2 파스파문자도 있는데 뭐
@user-wk8be9hu9j
@user-wk8be9hu9j 3 жыл бұрын
정말 애석하게도 이런 좋은 영상을 봐야할 사람들은 대부분 안보고 이미 알고 있는 사실들을 재확인하러 보는 사람들이 많을 듯
@victorious_han
@victorious_han 3 жыл бұрын
최근 댓글 보면 그렇지도 않은듯
@blackheadcat
@blackheadcat 3 жыл бұрын
확증편향에 대한 확증편향?
@user-dm7mm4pj4z
@user-dm7mm4pj4z 3 жыл бұрын
저에게는 유용하게도, 이 영상을 보고 원래 알던 국뽕용 상식 몇가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다만, 이처럼 좋은 영상이 어그로만 가득한 다른 국뽕영상들보다 훨씬 조회수가 안나온 다는 점은 여전히 안타깝네요.
@molkkoraba
@molkkoraba 3 жыл бұрын
ㅇㄱㄹㅇ
@peoplelikeme3429
@peoplelikeme3429 3 жыл бұрын
이거 한국까는 유튭 한글 발음 삭제해 한국인의 혀 기능을 조정한 거, 일본인들이 그 발음을 하지 못해서 총독부가 그리한 것임
@sinderelah1494
@sinderelah1494 3 жыл бұрын
이 영상은 국뽕이목적이 아니라 한국어라는언어와 한글이라는 문자의 차이를 제발 구별하라는 통렬한 일침입니다!!! 이 영상 보신 분들만은 적어도 한글날 순우리말 타령안했으면 좋겠어요 순우리말은 광복절에나 설날에나 어울리는 거죠!! 댕댕이와 띵작이란 어휘가 가능한 건 한글이라는문자의 힘인 거죠!!
@kleeo83
@kleeo83 3 жыл бұрын
*7가지중 첫번째 주제입니다
@sinderelah1494
@sinderelah1494 3 жыл бұрын
@@kleeo83 네 ^^
@johnniegwag4820
@johnniegwag4820 3 жыл бұрын
저는 댕댕이라는 말을 다른의미로 싫어합니다. 원래 동경개를 가리키던 거인데 엉뚱하게 쓰여서요. 특히 동경개가 어떤수난을 당했는지도 알면 아무개에나 쓸수 없을텐데... 고운말을 쓰자 말자가 아니라 우리 토종개 알아달라고 아무개에게나 쓰지말라고 하고 싶었습니다.
@hyeon835
@hyeon835 3 жыл бұрын
@@johnniegwag4820 경주에서는 우리가 현재 동경이라고 부르는 개를 '땡가이, 땡견, 댕댕이' 등으로 부릅니다만, 우리가 지금 쓰는 '댕댕이'라는 신조어는 동경이와는 관련이 없고 2010년대부터 유행한 '야민정음'이라는 유행어의 한 갈래로 '멍멍이'와 모양이 비슷한 '댕댕이'를 쓰는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오해가 풀리셨길 바라며.
@sinderelah1494
@sinderelah1494 3 жыл бұрын
@@johnniegwag4820 저도 싫어요^^ 띵작이란 단어도 !! 단지 이런 단어가 성립될 수 있는 이유가 한글의 원리덕이기때문에 혜택(?)을 누린단 뜻이죠
@ch.6688
@ch.6688 3 жыл бұрын
음악으로 비유해보자면 한글은 악보인데 한국어는 연주법임. 즉, 앙 기모링 거리는 사람보고 한글 파괴라고 하는 건 사람이 연주를 잘못했는데 악보 망친다고 하는거랑 마찬가지.
@user-leeeeeee333
@user-leeeeeee333 3 жыл бұрын
오 정확
@thinkhard1075
@thinkhard1075 3 жыл бұрын
악보에 써져있는 8분 음표를 4분 음표로 연주하는 사람 보고 악보 망치네..이러는 느낌?
@user-sj3qn7mq9r
@user-sj3qn7mq9r 3 жыл бұрын
정확한 비유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жыл бұрын
@@thinkhard1075 그건 악보망치는게 맞는것같은데 ㅋㅋㅋ 악보보단 음표로 비유하는게 자연스러운듯
@ch.6688
@ch.6688 3 жыл бұрын
@@user-it4dx1hn1k 그것도 그런듯ㅋㅋ
@Ohraindrop
@Ohraindrop 3 жыл бұрын
어릴때부터 저런 유사학설들 선생님들이 엄청 말하는거 너무 싫었는데 다들 이 영상 보셨으면... 향문천님 너무 똑부러지게 잘 설명하셔서 존경함
@HotSoil510
@HotSoil510 3 жыл бұрын
훈민정음의 소위 ‘파스파 문자 기원설’은 해외 학계에서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 해외 학계에선 훈민정음이 글자 모양 자체도 파스파 문자를 교묘하게 변형시켜 모방한 것이라는 주장까지 나온다. 하지만 정 교수는 “발음기관을 상형해 만든 훈민정음의 자형 자체는 독창적인 것”이라는 견해다. 또 .................................................................................. [출처: 중앙일보] “훈민정음, 몽골‘파스파 문자’영향 받아”
@solidhighlighter
@solidhighlighter 3 жыл бұрын
여러 학설이 존재하지만 파스파 기웡설은 너무 억지라고 봅니다.... 왜 굳이 그 모양을 본땄는지도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고, 차라리 조음기관 모방설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언론이란 데가 저가형 유튜브 콘텐트 계의 원조라.... 뉴스 많이 보시면 정신건강에 해로와요. 적당히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hees2248
@hees2248 3 жыл бұрын
正音二十八字,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 스물 여덟 글자는 각각 다음과 같은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初聲凡十七字。牙音ㄱ,象舌根閉喉之形。舌音ㄴ,象舌附上腭之形。脣音ㅁ,象口形。齒音ㅅ,象齒形。喉音ㅇ,象喉形。ㅋ比ㄱ,聲出稍厲,故加畫。ㄴ而ㄷ,ㄷ而ㅌ,ㅁ而ㅂ,ㅂ而ㅍ,ㅅ而ㅈ,ㅈ而ㅊ,ㅇ而ㆆ,ㆆ而ㅎ,其因聲加畫之義皆同,而唯ㆁ為異。半舌音ㄹ,半齒音ㅿ,亦象舌齒之形而異其體,無加劃之義焉。 초성은 무릇 열 일곱자이다. 아음 ㄱ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설음 ㄴ은 혀가 위턱(윗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순음 ㅁ은 입모양을 본뜨고, 치음 ㅅ은 이빨 모양을 본뜨고, 후음 ㅇ은 목구멍 모양을 본떴다. ㅋ은 ㄱ에 비해 소리가 세게 나는 까닭으록 획을 더하였다. ㄴ에서 ㄷ, ㄷ에서 ㅌ, ㅁ에서 ㅂ, ㅂ에서 ㅍ, ㅅ에서 ㅈ, ㅈ에서 ㅊ, ㅇ에서 ㆆ, ㆆ에서 ㅎ으로도, 그 소리를 바탕으로 획을 더한 뜻은 모두 같으나, 오직 ㆁ만은 달리 했다. 반혓소리 ㄹ, 반잇소리 ㅿ도 또한 혀와 이의 모양을 본떴으나 그 모양새를 달리해서, 획을 더한 뜻은 없다. -훈민정음 해례본 차라리 조음기관을 본뜬게 더 정확한게 아니라 만든사람들이 직접 조음기관을 본떴다고했는데 무슨 차라리 더 정확해요. 100%로 맞는거고 나머지 몽골문자니 창호지에서 본떴다니하는것들 다 해례본발견전에 떠들었던거고 해례본 발견이후는 100% 조음기관 본뜬것으로 이미 끝난겁니다.
@HotSoil510
@HotSoil510 3 жыл бұрын
@@hees2248 ......................언어학에서 음운 분석은 19세기에나 비로소 제기된 방법이다. 이를 560여 년 전에 인식했다는 것은 ‘현대적 편견’이라는 것이다. 정 교수는 “초성에 해당하는 중국 자모의 36자를 파스파 문자는 중복음을 제외해 31자로 줄였고, 우리는 동국정운 23자와 훈민정음 17자로 만들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체계는 원나라 말기에 편찬된 『몽고자운(蒙古字韻)』에서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출처: 중앙일보] “훈민정음, 몽골‘파스파 문자’영향 받아”
@iljoolee2711
@iljoolee2711 3 жыл бұрын
@@HotSoil510세종이 파스파 문자 영향 받아서 한글을 만들었다면.. 생각보다 더 천잰데??? 건축도 그냥 짓는게 쉽다. 리모델링보다. 프로그램 코딩도 그냥 새로 만드는게 낫지. 코드 분석해서 수정하려면 최소한 새로 만드는 능력이 있어야 가능. 파스파 문자 보고 왔는데 거기서 리모델링을 했다고??? 세종대왕은 원래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천재네.
@gyunni7945
@gyunni7945 3 жыл бұрын
누군가가 말했죠 우리가 신조어나 줄임말 등과 같이 한글이라는 글자를 가지고 다양하게 갖고 노는 것을 하늘에 계신 세종대왕께서 보신다면 오히려 박수치고 좋아할 것이라고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жыл бұрын
그게 아니라 왕조 망한것때문에 땅을 칠것 같은데
@dzonbiemeniachiburumafa
@dzonbiemeniachiburumafa 3 жыл бұрын
ㅇㅈ ㄹㅇㅋㅋ
@anonanonym9872
@anonanonym9872 3 жыл бұрын
글쎄 뭐 고려적 왕씨마냥 전주이씨 가문이 멸족당한것도 아니고(되러 번성하면 번성했지), 고궁들 조선왕릉들 죄다 멀쩡하고,(물론 이왕가가 일본황실에 편입됐었던것만큼은 좀 치욕스럽게 생각하실듯) 민본민주 공화정으로 국체 평안하고... 이정도면 세종도 충분히 이해해줄걸요? 유교적 관점에서 왕조흥망은 당연한 일인만큼, 500년버틴건 되려 세종 본인도 그냥 그만하면 후손들도 노력 많이 했다고 만족하고 넘어갈듯
@user-uc4px3vu6z
@user-uc4px3vu6z 3 жыл бұрын
@@user-it4dx1hn1k 500년 버텼으니 그러려니 하시겠죠
@user-hs1jo8pg7z
@user-hs1jo8pg7z 3 жыл бұрын
@@user-it4dx1hn1k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AmazingCollegeStudent
@AmazingCollegeStudent 3 жыл бұрын
3:08 여기까지 나왔던 내용 존나 공감갔음. 초등학교랑 중학교때 국어 교과서에서 맨날 막 한글의 위대함 이런거 하면서 신조어나 욕설 같은 것들이 한글을 파괴한다고? 한글은 문자고 한국어는 언어인데, 차라리 한국어 파괴라고 하면 그러려니하지 한글 파괴는 아니지 않나? 이런 생각했음. 근데 뭐 어떡해 시험엔 그렇게 나오는걸... 그렇게 외웠지 ㅋ;;; 존나 그 부분 공부하면서 내 자아가 두개인 듯한 느낌이 들었음. 한 쪽 자아는 ‘아 이건 아닌거 같은데... 틀린거 같은데...’하면서 다른 한 쪽 자아는 그걸 외우고 에휴.....
@user-xw1ns5yv8z
@user-xw1ns5yv8z 3 жыл бұрын
글이 말이고 말이 글임 써있는 댓글이 말한 것과 같음
@user-zl5bi2jr7d
@user-zl5bi2jr7d 3 жыл бұрын
@@user-xw1ns5yv8z 글은 문어, 말은 구어이고, 문자, 글자와는 다른 개념이죠
@user-xw1ns5yv8z
@user-xw1ns5yv8z 3 жыл бұрын
@@user-zl5bi2jr7d 내 생각을 말로 도 전달하고 글로 도 전달하죠 내 생각을 말과 글로 전달 하는 겁니다 말은 들은 사람에게만 남아있고 글은 많은 사람에게 남길 수 있죠 이렇게 적은 글은 그쪽에게 내 생각을 말로 하는 것과 같은 겁니다 좀 배우셨나 본 데 글로 적었다고 말과 생각이 다른 건 아닙니다 그게 다르다고 말한다면 장난질이겠죠?
@user-rq5bk7ct7f
@user-rq5bk7ct7f 3 жыл бұрын
@@user-xw1ns5yv8z 님논리면 그림도 글과 말과 다를게 없어요...
@user-xw1ns5yv8z
@user-xw1ns5yv8z 3 жыл бұрын
@@user-rq5bk7ct7f 수박을 그리면 수박을 전한것이고 소를 그리고 호랑이를 그리면 그것들을 글과 말처럼 전한 것이지 다를 께 뭐있음? 학교에선 뭘 가르치는거야?? 기본 적인 생각인데?? 피카소 그림만 그림인가? ㅎㅎㅎ 돈 많은 놈들 돈 지랄하는 그림만 그림이 아니죠
@user-me7ej5wl9b
@user-me7ej5wl9b 3 жыл бұрын
말 진짜 빠르게 하신편인데 머릿속에 다 박히네요
@user-ou6xt2no3u
@user-ou6xt2no3u 3 жыл бұрын
2배속으로 보고있는 나는...
@huser_bb
@huser_bb 3 жыл бұрын
작년 한글날 뉴스에는 한글과 한국어의 차이점을 논하는게 주가 되었더라구요. "신조어 등이 한글 파괴와는 연관이 없다"는 식으로 말이죠. 사람들의 인식수준이 더 높아지고 있고 젊은세대의 의견이 사회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가늠할 수 있습니다.
@user-tm1fm5jg4j
@user-tm1fm5jg4j 3 жыл бұрын
국어 교과서에 한글과 한국어 다르다는 것을 한 단원이나 가르치고 있는데 왜 이게 늘 논란인지 의문
@user-xi4ae7di9g
@user-xi4ae7di9g 2 жыл бұрын
@@user-tm1fm5jg4j 페북이나 그런 곳에서 맨날 한글날에 드립칠라고 그러느라
@parkjuyi
@parkjuyi 10 ай бұрын
@@user-tm1fm5jg4j 그건 수능에 안나오니까요. 듣고도 잊어 먹는 거죠.
@gamtwi
@gamtwi 3 жыл бұрын
야민정음을 한글 파괴의 예시로 들때마다 명작을 띵작이라고 쓰던, 김장훈을 숲튽훈이라고 쓰던 각각에 쓰인 한글 자모에 파괴가 없는데 이게 어떻게 한글파괴인지 항상 의문이긴 했음
@user-ou4dq8oh9k
@user-ou4dq8oh9k 3 жыл бұрын
정답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3 жыл бұрын
한글파괴라 할것은 초성만 쓰는것이죠
@Ina_7
@Ina_7 3 жыл бұрын
@오홋 오 그러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뭔가 신기함ㅋㅋㅋㅋㅋㅋㅋ
@user-qs4tf4hg3e
@user-qs4tf4hg3e 3 жыл бұрын
고리골 ㅇㄱㄹㅇㅋㅋ 앗
@user-rd6it8dp7d
@user-rd6it8dp7d 3 жыл бұрын
@@user-qs4tf4hg3e ㅋㅋ 일부 영어를 들먹이는분도 있는데 로마문자나 파생문자들은 초성만으로 쓰이나 한글은 초중종 다 적어야 되는것이기때문에 한글파괴타령 할려면 이쪽으로...
@namrnam5413
@namrnam5413 3 жыл бұрын
신조어나 야민정음에 대한 반응 꼰머: 예끼이놈아 세종대왕이 노하신다 세종 : 엌ㅋㅋㅋㅋ이게되넼ㅋㅋㅋㅋ
@RARKROA
@RARKROA 3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이것'도' 되네? 라고 하셔야죠 ㅋㅋㅋㅋ
@shj5188
@shj5188 3 жыл бұрын
먼 훗날 백성들의 창의성에 신기해하실 듯..
@choimins5671
@choimins5671 3 жыл бұрын
자신이 만든 글자지만 정말 기가 막히게 잘 만들었다며 흡족하게 여기겠죠.
@ij596
@ij596 3 жыл бұрын
누군가 그랬지 언어는 그걸로 장난을 칠 때 파괴되는게 아니라 아무도 그 언어를 재미있게 쓰려고 하지 않을 때 파괴되는거라고.
@Rocher142
@Rocher142 3 жыл бұрын
@@ij596 맨날 뉴스에서도 언어파괴가 극심하다고 하고 이미 순우리말급으로 널리퍼진 외래어를 순우리말로 바꿔야한다고(반드시) 주장하던데 ㅋㅋㅋ예를들면 트라우마를 사고후유장애 어쩌고로 바꾸자고.
@user-fk5kr9gx6q
@user-fk5kr9gx6q 3 жыл бұрын
12:39 거봐 바쁜거 보니까 대학원생 맞다니까
@BKN910711
@BKN910711 3 жыл бұрын
기왕 계속 오해가 생기는데 대학원 가셔야할듯 ㅋㅋㅋㅋ
@mingyukim22
@mingyukim22 3 жыл бұрын
편안.... 편안해........ 행복해...... 항문천.... 당신은.. 천사입니까...?
@homeclassic4780
@homeclassic4780 3 жыл бұрын
'항문'천?
@greenwave2199
@greenwave2199 3 жыл бұрын
향문천은 김용의 소오강호에서 마교 교주 임아행의 부하
@user-ez3sv3zf1h
@user-ez3sv3zf1h 3 жыл бұрын
@@greenwave2199 아재요.. 이기어검으로 조지기전에 무협지에서 헤어나오시오..
@beethovenkr
@beethovenkr 3 жыл бұрын
나는 형이 ppt형식으로 하는게 영상효율이 좋다면 그게 좋을거같아 편집도 괜찮고 무엇보다 이런 질높은 컨텐츠를 많이보고싶으니까
@user-kk2zf5ng2v
@user-kk2zf5ng2v 3 жыл бұрын
비슷한 시기에 살아봤던 사람으로써 인정
@user-ck9fv2fg9x
@user-ck9fv2fg9x 3 жыл бұрын
두 음악의 거장들도 시청하는 항문천 클라스...ㄷㄷ
@BLACK_PEARL_
@BLACK_PEARL_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언제 올라오든 어떻게 만들든 그 내용의 질이 다르기 때문에 계속 볼 수만 있다면 너무 고마울 것 같아요ㅎㅎ
@hdrill
@hdrill 3 жыл бұрын
형형충 극혐
@havana6043
@havana6043 3 жыл бұрын
영혼 없이 유사 관련 영상을 띄우는 것보다.낫네요.
@big_nokkome
@big_nokkome 3 жыл бұрын
한글이 세상 모든 발음을 표기할 수 있다는 말이 가장 이해가 안됐었는데 영상에 나오듯 한글은 음절구조에 취약하며, 우리식으로 최대한 비슷한 발음으로 표기하더라도 자음동화 현상이 발현되는 조건의 단어라면 필연적으로 발음상 왜곡이 일어나게됩니다. 우리는 이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여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상하다 인지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중국식 영어와 일본식 영어를 들으며 비웃지만 영어권 사람들 입장에서는 모두 그게 그것일 뿐입니다.
@mk-5654
@mk-5654 3 жыл бұрын
한글은 한국어를 표기하는 말입니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모음의 강약 고저 장단 엑센트 전혀 표기 할 수 없죠. 영어 일어 중국어 단 한 단어도 제대로 표시 못합니다. 시도조차 하면 안됩니다. 국뽕방송과 자만심 때문에 한국인이 외국어를 제도로 습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wonsukchung2979
@wonsukchung2979 3 жыл бұрын
여기서도 한국어와 한글의 혼동이 있네요. 자음동화 현상은 한국어의 특징이지 한글의 특징이 아닙니다. 한국인에게 McMorning을 읽게하면 십중팔구는 자음동화가 일어난 '맹모닝'으로 발음합니다. 반대로 한국어를 배운 미국인은 맥모닝을 자음동화 없이 그대로 발음하지요.
@Miles_Link
@Miles_Link 3 жыл бұрын
중국 노래를 한글로 적어보면 그 한계가 느껴지더군요. 간단하게 영어의 '쓰리'만 봐도 ㄸ과 ㅆ이 썩여있는 발음이죠.
@mukspear5558
@mukspear5558 3 жыл бұрын
@@user-ge6py5iw2l 일어의 자음과 모음 발음,발성은 엄연히 다름 니가 구분 못하는 귀와 뇌를 가지고 있는것임 이런 국뽕러가 여기저기 댓글 달고 다니는거 졸라 한심함
@sa-lam
@sa-lam 3 жыл бұрын
@@mukspear5558 거 잘 모를수도 있지 그걸 국뽕이라고 면박주면 쓰나 ㅉㅉ
@hyoengjun2000
@hyoengjun2000 3 жыл бұрын
한글=글자 한국어=언어 글자는 언어를 표기하기 위한 수단이지, 글자 자체가 언어가 아니다
@gknkcom4
@gknkcom4 2 жыл бұрын
한글날 신조어 썼다고 세종대왕님이 지하에서 통곡한다 이런 소리하는 사람들이 제일 웃기죠 ㅋㅋㅋ 정작 대왕님께서는 자기가 만든 글자를 비틀어서 놀만큼 백성들이 똑똑해졌다고 좋아할 사람인데 ㅋㅋㅋㅋㅋ
@teflotax
@teflotax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세종대왕님도 즐겨하시던 파자놀이가 요즘으로 치면 야민정음이랑 똑같죠ㅋㅋㅋㅋㅋ
@wi012
@wi012 3 жыл бұрын
이런 주제를 다뤄 주셔서 감사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를 푸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moon-in7jb
@moon-in7jb 3 жыл бұрын
요즘 한글이 자랑스럽게 느껴집니다 세종대왕님 감사합니다 더보기란에 한달에 한두번 올리신다고 하셨는데 향문천님 하시고 싶은대로 다해~~~감사합니다 향문천님 행복하세요~♡♡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3 жыл бұрын
8:20 한자에서 한글을 사용하게 되며 그 교육의 기간이 짧아지고 교육 난도가 낮아지긴 하였을 것입니다. 한글과 기초한자를 모두 익히는데에는 분명히 그 기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중국은 그 글자 읽는 걸 고등학교때까지 배우고 있죠. 다만 이건 교육수준이 어느정도 받쳐줄때의 이야기고, 이게 직접적으로 문맹률을 결정하는 요인은 아닙니다. 그러니까 결론은, '한자와 한글은 배우는 기간과 난도에 차이가 있긴 하지만 그것이 문맹률을 결정짓는 직접적인 요인은 아니다'입니다.
@user-io4zd2xw5o
@user-io4zd2xw5o 3 жыл бұрын
중국이 경제적 상황이 좋아져서 문해율이 오른거지 실제로 한국도 4, 50년 전에는 일제시대에 태어나 글 못읽는 사람 많았습니다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대한민국정부_뇌피셜 3 жыл бұрын
@@user-io4zd2xw5o 그러니까요. 제가 위 글에서 설명했다시피 문자의 차이가 간접적으로는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그게 문맹률을 결정짓는 직접적인 요인은 어니다'라는 거죠.
@MrSunzg
@MrSunzg 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진실을 짚어주는 컨텐츠 너무 좋습니다. 만드시느라 고생많으시고 정말 깊은 참지식입니다.
@user-yy1wv6mw2s
@user-yy1wv6mw2s Жыл бұрын
ㅍㅎㅎㅎ 참지식이래 ~~ ㅋㅋ 아이고 눈물나~~
@user-yw6nz5fg5e
@user-yw6nz5fg5e 3 жыл бұрын
오늘 영상 잘 보았습니다. 중학교 때 국어선생이 한글만이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그 기원이 명확한 언어라고 말했지만, 바로 그 다음날 세계사를 배우면서 역사선생님께서 슬라브 인과 키예프 공국에 대해 다룰 때 바로 그 선교사가 키릴문자를 만들었다고 설명하시던 게 생각납니다. 그럼 그렇지, 이 세상에서 한글만이 그 기원이 분명한 문자일 리가 없죠. 역시 언어와 문자를 설명할 때는 역사를 떼놓을 수가 없습니다.
@user-fm1in9ou5e
@user-fm1in9ou5e 3 жыл бұрын
반은 맞고 반은 틀린게 키릴 문자는 ㅏ뿌리가 라틴문자임 근데 반면에 한글은 걍 인간이 처음부터 창조해낸 문자
@JN_HARU
@JN_HARU 3 жыл бұрын
한승준 ㅇㅇ 맞는 말입니다. 키릴 문자는 신라때 우리가 쓰던 구결문자와 같이 성 키릴로와 성 메토디오스 로마자를 러시아어를 적기위해 변환시킨것 한글은 세종대왕이 무에서 유를 창조한것 물론 한글만이 기원이 기록된것은 아니지만 그 방법이 특이점이죠.
@campsite97
@campsite97 3 жыл бұрын
@@user-fm1in9ou5e 라틴 문자 아니고 그리스 문자입니다. 페니키아 문자에서 그리스 문자가 나오고, 그리스 문자에서 각각 다른 시대에 라틴문자와 키릴문자가 따로 갈라져 나왔습니다.
@user-rq2ip3oz9i
@user-rq2ip3oz9i 3 жыл бұрын
러시아가 키릴 문자를 수용한 것은 맞지만 키릴로스와 메토디우스 형제는 러시아로 간 적은 없습니다. 그들의 주 활동무대는 서슬라브족이 주로 활동하던 보헤미아 지방이었습니다
@karlmarx4574
@karlmarx4574 3 жыл бұрын
문자의 기원이 명확한 문자는 셀 수 없이 많음. 체로키 문자(로마자를 모르는 사람이 로마자 이용해서 문자 만듬) 등등
@totoistk
@totoistk 3 жыл бұрын
늘 생각하는게, 뻐까충 이나 방통위나 뭐가 다른지 모르겠습니다. 꾸안꾸나 비대위나 편의를 위해 줄인건 90년대생이나 90대나 똑같은데..
@kingxerxes7541
@kingxerxes7541 3 жыл бұрын
뻐까충의 뻐는 혼자서 아무 뜻이 없지만 방 통 위 모두 자체의 뜻이 있는 한자인 것부터 , (한자도 어느 글자와 붙느냐에 따라 뜻이 상이하지만 비교적 닛다)줄인 목적은 차치하더라도 이해 면에서는 조금 다른것 같네요
@totoistk
@totoistk 3 жыл бұрын
Jae-hyeok Moon 그게 의미있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totoistk
@totoistk 3 жыл бұрын
Jae-hyeok Moon 문장 전체가 우리말이 아닌가? (1)Bus Card 충전 - Yes (2)비상대책 위원회 - Yes 글자를 줄인 이유는 오로지 편의만을 위해서인가? (1) yes (2) yes 원 문장을 모르는 사람이 줄임말만 보고 뜻을 유추할수있는가? (1) No (2) No (놓을 방 / 통할 통 / 맡길 위) 상기 세가지 이유로 저는 이해적인 측면으로 봐도 별반 다르지않다고 생각합니다
@totoistk
@totoistk 3 жыл бұрын
갑자기 또 한가지 사례가 떠오른게있는데, 뻐카충은 그래도 영어, 콩글리시지 않냐 하신다면 재테크도 반례가 되겠네요. 재무+테크 니까요.
@sa-lam
@sa-lam 3 жыл бұрын
한자어는 분리와 결합이 비교적 자유롭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다만 요즘은 한자어도 신조어 조합법에 영향을 받아서 중구난방이 되어가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말 한자어 외래어를 뒤죽박죽으로 해놓은 신조어랑은 엄연히 다르죠.
@yjl942
@yjl942 3 жыл бұрын
조지아문자는 어떻게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는지 관련해서도 다뤄주시면 좋을것같아요! 항상 유익한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ㅎㅎ
@kimjunsik540
@kimjunsik540 Жыл бұрын
ㅇㅈㅇㅈ
@Howtochooseproperhandle
@Howtochooseproperhandle 3 жыл бұрын
이번 영상이 더 깔끔해서 좋아요!! 그리고 언제듯 영상 올려주시면 좋습니다
@TheHyonism
@TheHyonism 3 жыл бұрын
그대의 분석력에 박수를.... 멋져요.. 그리고 왠지 영상 퀄리티가 굉장히 좋아졌네요!!
@user-ri8rj2gd5q
@user-ri8rj2gd5q 3 жыл бұрын
진짜 이분 덕분에 언어학에 대해 관심이 더 가는 것 같다,,,,,
@user-xp3jt1od4k
@user-xp3jt1od4k 3 жыл бұрын
한글과 한국어는 예전에도 구별을 하고 있었는데 이 영상 덕분에 오해가 풀리는 부분도 있었습니다! 한글날 잘 보내세요
@whitemilkcar
@whitemilkcar 3 жыл бұрын
한글이 모든 소리를 표현할 수 있다? 옆나라 중국어만 봐도 바로 답나옴. 한글로 모든 소리를 표현할 수 없다는건 고등학교 중국어 시간때 바로 깨달았음. 중국어로 '저는 한국인입니다.'는 한글로 표현하자면 보통 '워 스 한궈런.'이라는 한글발음으로 적는데, 여기의 '스'는 중국말 한번이라도 들어본 사람이라면 절대로 그냥 한글의 스 발음이 아님. 정확한 발음으로 절대 표현 못함. 슈도 아니고 시도 아니고 스도 아니고 혀가 입천장하고 앞니에 닿을락말락한 상태로 바람새는 소리로 발음해야 해서 말로 정확하게 전달할 순 있지만 한글로 정확하게 기록하는 건 불가능함. 다만 한글은 자음모음개수에 비해 표현할 수 있는 소리가 많아서 압도적인 가성비와 유연성이 장점임. 조합문자라서 천지인자판처럼 압도적으로 간소화도 가능하고. 21세기 현재, 천하의 알파벳도 천지인문자판한테는 한수 접어줘야함.
@bamboospear7393
@bamboospear7393 3 жыл бұрын
매년 한글날만 되면 꼭 외국어 외래어쓰는사람들한테 뭐라하던데ㅋㅋㅋㅋ 그럴때마다 문자와 언어는 다르다고 말해도 이해를 못함
@gunny5040
@gunny5040 3 жыл бұрын
그냥 애초에 한국어의 날로 지정하면 이해라도 해줄텐데 정부랑 언론부터 오랫동안 한글날에 한국어 자체에 관한 언급을 많이해서 수십년간 국민들을 호도해 왔음.
@galluxytube5822
@galluxytube5822 3 жыл бұрын
한자(뜻글자)를 안쓰니 그럴수밖에요, 뜻을 모르니 차이를 알수가 없죠,
@park8363579
@park8363579 3 жыл бұрын
1984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신어’ 에 대해서도 다뤄볼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어요! 인공어 다뤄주신 컨텐츠 보고 신어에 대해 더 궁금해졌어요ㅎㅎ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ks8qn7zz6q
@user-ks8qn7zz6q 3 жыл бұрын
굉장히 유익한 영상입니다 많은 사람들도 꼭 봤으면 좋겠네요
@user-xw3pv1wo5q
@user-xw3pv1wo5q 3 жыл бұрын
그나저나 종교나 문화, 체제와 사상의 관점에서 본 언어에 대해서도 주제를 다뤄보실 의향이 있으신가요? 이집트에서 콥트어가 사라지고 아랍어로 채워지던 과정이나. 혹은 최근에 느낀 점은 제가 아는 모든 키릴문자 사용국가들은 구 공산권인 거 같던데, 언어와 문자가 퍼지는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 해주셨으면 좋겠읍니다
@Luiges
@Luiges 3 жыл бұрын
좋은 주제네요
@user-yl2cp7nk4o
@user-yl2cp7nk4o 3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주제!!!
@user-no6ws4hb7u
@user-no6ws4hb7u 3 жыл бұрын
문맹률은 확실히 문자 습득의 난이도 자체보다는 공교육의 영향이 훨씬 크지만, 그래도 문자를 알고 있어야 이후의 교육이 원활하다는 점에서 익히기 쉽다는 점이 (문맹률과는 별개로) 장점이 되기는 할 것 같습니다. 외국어 배울 때 글자 외우는 게 첫 관문인 것처럼요. 그리고 현재 학교에서는 '한글은 누가 왜 만들었는지 알려진 유일한 문자이다'를 한글의 장점으로 가르치기보다는 다른 문자를 변형시키거나 응용하지 않고 만든 독창적인 문자라는 점을 더 중점적으로 배우고 있어요. 또 '유일한' 독창적 문자라고 배우지도 않고요 (제가 공부가 짧아 이런 문자가 또 있는지는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정보화 시대에 장점을 가진 문자라는 건 학교에서 가르치긴 하는데, 유니코드 쪽으로 접근을 하는게 아니라 키의 갯수가 한정된 키보드나 휴대폰 키패드에 배치하기에 유리하고(특히 휴대폰 키패드), 한자에 비해 입력이 빠르다는 식으로 배웁니다. 음성인식 정확도는 교과서에 따라 실리기도 하고 안 실리기도 하는데, 제 생각에도 '2.한글은 발음이 일정하다'가 맞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 맥락에서 빠지는게 맞지 않을까 싶어요. 교과서도 알만큼 아는 사람들이 만들었을텐데 왜 실었을까요... 한글에 대한 수많은 오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주셔서 속시원하게 보았습니다!
@user-xe5sg2it8y
@user-xe5sg2it8y 3 жыл бұрын
이번이 첫 시청은 아니지만 저에게있어서는 어떤 유튜브채널보다도 임팩트가 한방에 온 채널입니다. 항상 좋은 컨텐츠 감사합니다.
@user-sn6vn3ej7s
@user-sn6vn3ej7s 3 жыл бұрын
유투브의 순기능 국뽕이 아닌 대상의 팩트를 알수 있는 컨텐츠가 많아져서 정확한 지식을 얻을수 있다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жыл бұрын
하지만 국뽕 컨텐츠가 훨씬 많고 인기도 많다.
@icylakepaxphile
@icylakepaxphile 3 жыл бұрын
수많은 국뽕, 파시즘 컨텐츠의 바다에서 자맥질을 하다보면 운 좋게 이런 진주같은 컨텐츠가 걸리긴 하죠.. 근데 이건 국적 불문 공통의 현상인 듯...
@Shooting-star182
@Shooting-star182 3 жыл бұрын
국뽕은 다른국가도 있으나 유독 한중일이 심한것이다
@nanish_8290
@nanish_8290 3 жыл бұрын
국뽕컨텐츠가 물고기면 직관적인 컨텐츠는 조갯속 진주임
@hiccup1454
@hiccup1454 3 жыл бұрын
국뽕하면 미국 국뽕이 젤 심하지 ㅋㅋ
@user-ib7oo6gw6u
@user-ib7oo6gw6u 3 жыл бұрын
늘 들을 때마다 새롭고 짜릿하고 놀랍고 흥미롭고 재밌습니다 향문천 님 하고 싶은 거 다 해;;
@user-np9zo5tr4q
@user-np9zo5tr4q 3 жыл бұрын
정말 유익하네요 영상 항상 감사한 마음으로 잘 보고있습니다
@user-jz1ri2ep6p
@user-jz1ri2ep6p 3 жыл бұрын
가: 나는 남자입니다. 나: 아이 엠 어 보이. 다: 와따시와 오토코데쓰. ''''가는 한글로 한국어를 적은 것, 나는 한글로 영어를 적은 것, 다는 한글로 일본어를 적은 것.''' ''' ''' 이 표현이 틀린 건가요?
@Luiges
@Luiges 3 жыл бұрын
삼행시인 줄 알고 읽었네요 ㅋㅋㅋ 맞는 것 같은데요
@user-kl8ir4em1l
@user-kl8ir4em1l 3 жыл бұрын
정확히 이해하심 ㅋㅋㅋㅋㅋ
@teong_teong_guri
@teong_teong_guri 3 жыл бұрын
8:05 중화민국을 보고 감동했읍니다..... 하나의 중국을 지지합니다....물론 국민당 정부요🇹🇼
@user-zv9xz7sq8v
@user-zv9xz7sq8v 3 жыл бұрын
장공 저승에서 보고 계십니까 흑흑
@user-us9pj5vo4x
@user-us9pj5vo4x 3 жыл бұрын
현진영 장공... 어찌하여 섬만 가지고 오시었소...
@user-yu4ft7ck5p
@user-yu4ft7ck5p 3 жыл бұрын
국민당이 개판쳐서 진 거라서 전 그닥.. 자업자득이죠 뭐..
@Zaemeres
@Zaemeres 3 жыл бұрын
중화민국은 이미 독립된 국가입니다... (펄-럭)
@philippehong3476
@philippehong3476 3 жыл бұрын
아니 되어요. 중공을 민주화시켜야 하여요!
@pdj6016
@pdj6016 3 жыл бұрын
형같은 사람이 있어서 한글을 더 사랑하게 되었어! 고마워요!! 아 ppt조아!
@user-ox4dh4vk7o
@user-ox4dh4vk7o 3 жыл бұрын
진짜 좋은 컨텐츠였습니다 감사합니다
@gaki3855
@gaki3855 3 жыл бұрын
재밌고 유익한 영상이었습니다.영상 내용이 다 사실이라도 한글이 우수하다는 점은 분명합니다.오히려 과장된 근거들이 만연한다면 그게 더 한글의 우수성을 훼손하겠죠.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user-xw3pv1wo5q
@user-xw3pv1wo5q 3 жыл бұрын
모든 언어에는 그 특유의 매력이 있지요. 영어의 보편성, 중국어의 함축성, 프랑스어의 감미로움, 독일어의 견고함 등등. 한국어가 위대하다고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외국어를 구사할 줄 모르는 우물 안 개구리일 뿐입니다.
@user-yu4ft7ck5p
@user-yu4ft7ck5p 3 жыл бұрын
맞아요 언어는 우열을 가릴 수 없습니다.
@loopingpong1412
@loopingpong1412 3 жыл бұрын
우열입니다.
@user-yu4ft7ck5p
@user-yu4ft7ck5p 3 жыл бұрын
@@loopingpong1412 ㅋㅋ
@marines880
@marines880 3 жыл бұрын
언어는 님 말씀대로 각언어의 매력이 있지요 하지만 세종대왕이 만드신 한글은 위대하다고 할만합니다.
@loopingpong1412
@loopingpong1412 3 жыл бұрын
탁현주 한글은 언어가 아니라 문자입니다
@therapy_assist
@therapy_assist 3 жыл бұрын
대략짐작으로 생각만 했던건데 이렇게 정리를 잘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jungeunlee9458
@jungeunlee9458 3 жыл бұрын
너무나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y1o.o5b
@y1o.o5b 3 жыл бұрын
어렸을 때 학교에서 찌아찌아어를 접할 때 '한국어'를 쓴다고 모호하게 넘겼었는데 '한글'을 사용하는 것이었군요,, 어쩐지 표기는 익숙한데 뭔가 다르더라구요 항상 둘의 구분이 어려웠던 이과생은 오늘도 조금이나마 배우고 갑니다ㅎㅎ
@Ani_profile
@Ani_profile 3 жыл бұрын
1:15 항문천 써놨네 ㅎㅎ
@user-qe6pb5gn8m
@user-qe6pb5gn8m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항상 감사합니다.
@kyanhomme
@kyanhomme 3 жыл бұрын
남다른 시각으로 놓칠 수 있는 문제들을 짚어주는 좋은 유익한 채널 같아요. 그래서 한글은 최고 맞죠?
@user-bq6sc4in4g
@user-bq6sc4in4g 3 жыл бұрын
현직 반half(?)폰트 디자이너입니다 영어는 최소 26글자, 정식으로는 52글자이고 fi와 같은 특수한 조합을 아무리 따져도(물론 커닝을 고려해야 하는 고충이 있습니다만) 몇 자 안 제작해도 되지만 한글은 아주 낮잡아도 2350자를 만들어야 하고 한 벌을 각 잡고 만드려면 10000자는 만들어야 합니다. 일례로 가, 각, 고, 곩에 쓰인 기역을 보면 얼마나 형태가 변태처럼 변하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이로 인한 비효율을 개선하고자 주시경 선생의 풀어쓰기, 현대에는 탈네모꼴 서체가 제시되기도 했지만 사실 부자연스럽거나 억지입니다. 한글은 절대로, 디자인 측면에서나 데이터 측면에서나 디지털 활자에 유리한 글꼴이 아닙니다.
@user-qs4tf4hg3e
@user-qs4tf4hg3e 3 жыл бұрын
진짜 아무리 이쁜 폰트여도 가끔 생소한 단어 적다가 깨져서 어쩔수 없이 못쓰는 경우가 있음ㅋㅋㅋ 그렇다고 전부 다 할수도 없는 노릇이고... 한글의 아름다움의 경계를 넓혀가는 님같은 분들의 노고에 존경을 표합니다...
@SsSs-vx1pl
@SsSs-vx1pl 3 жыл бұрын
디자이너라고 해서 여쭤보는데 저는 컴퓨터 관련 업종에 일하는 사람입니다. 님이 말씀하신데로 10000자 가까이 만들어야 하여 머신러닝을 통해서 기본 디자인을 제시하면 컴퓨터가 나머지 문자들을 디자인 한다고 하던데 실제로 많이 쓰이는 방법인가요??
@user-nl1me3uj1i
@user-nl1me3uj1i 3 жыл бұрын
형태 변화 자체가 정해진 원칙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걸 전부 '노가다'로 만들어야 하는 현재의 디자인 방식이 문제란 생각이 듭니다. 한글도 과거 언문으로만 이해되었고 한자 병음은 당연한 것이라 생각했으나 한글 전용만으로도 모든 학문에서 사용하기에 문제가 없습니다. 디자인 작업을 전부 눈에 보이는 모습 그대로 만드는 것에만 집중한다면 진짜 딥러닝하는 디자인 인공지능에 인간 디자이너들이 다 날아갈지도 모르죠.
@hyogikim
@hyogikim 3 жыл бұрын
머신러닝으로 글자를 수치적으로 제작할수는 있어도 결국은 사람의 눈으로 보정을 전부 해야합니다. 수치적으로 정확하게 디자인하면, 사람의 눈에 이상하게 보일 수 있는데 이를 보정하는 작업을 시각 보정이라고 합니다. 가 각 고 곩에 쓰인 ㄱ의 형태를 전부보시면 전부 모양이 다릅니다. 그리고 가 거 기 에서 사용된 ㄱ의 모양도 미세하게 다릅니다. 전부 사람이 눈에 좋게 보이기위해 보정했기 때문입니다. 이는 결국 기계로는 큰 틀을 잡을 수 있어도, 사람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부 사람의 시선으로 보정해야함을 의미합니다. 예로는 구글 로고의 G자가 정원이 아니라던가 등등이 있습니다.
@SsSs-vx1pl
@SsSs-vx1pl 3 жыл бұрын
@@hyogikim 다른 말로 하면 트레이닝을 충분히 시키면 그런 미세한 조정도 가능한거 아닐까요? 가능성이 있다는 건 이미 관련 프로그램을 봐서 알고 있는데 실제 업계에서 사용하고 있는지 궁금했습니다! ㅎㅎ
@yunikim7713
@yunikim7713 3 жыл бұрын
'한글창제 마렵네' 진짜 현웃터짐요. 짧은 영상인데 엄청 유익하네요!!
@Ina_7
@Ina_7 3 жыл бұрын
와 ㄷㅂ 평소 궁금했던 것들도 알게 되고 몰랐던 것도 새로 배웠네요! 한글과 한국어 설명 너무 좋아여 향문천님 영상 보면서 언어학에 관심이 계속 생겨요! 하지만 학교에서 중세국어 배우는 건 너무...싫어.....
@lovingwoods
@lovingwoods 3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을 잘 구별해주셨네요. 고맙습니다
@user-fl1dc9ju3g
@user-fl1dc9ju3g 3 жыл бұрын
한글에 대한 한국인의 왜곡된 인식은 "촌놈들의 제국주의", "촌놈들의 나치즘"를 은근히 보여준다.
@dansuh4914
@dansuh4914 3 жыл бұрын
10:58 한글 오토마타 한번만 코딩해보면 디지털 시대에 적합하다는 얘기가 얼마나 웃긴 말인지 알게 됨 ㅠㅠ
@twkoo
@twkoo 6 ай бұрын
한글 오토마타는 학부 과제 인데 , 이것이 어렵다고 생각한다면 .....
@hsohn4901
@hsohn4901 3 жыл бұрын
향문천 형님 정말 잘 보고 있었는데 마지막에 저렇게 슬픈 브금에 슬픈 소식을... ㅠㅠㅠㅠㅠㅠㅠ 바쁘실텐데 화이팅!
@user-dy6pf1rq4q
@user-dy6pf1rq4q 3 жыл бұрын
정말 너무 재밌습니다 감사합니다
@fatcatneo3413
@fatcatneo3413 3 жыл бұрын
항상 재미있게 잘 보고있습니다. PPT로 진행해도 무리가 없네요. 제작 시간을 줄이는데 도움된다면 지금처럼 PPT로 진행해도 좋을 듯 합니다.
@user-zj1qt2wu4j
@user-zj1qt2wu4j 3 жыл бұрын
오늘의 명언 "외래어는 세종을 기쁘게 한다" -항문데스크
@sun0nyoung
@sun0nyoung 3 жыл бұрын
항문이 아니라 향문이에요ㅋㅋ 항문ㅋㅋㅋ
@tv-uy2yk
@tv-uy2yk 3 жыл бұрын
항문은...
@user-yv1xm8fh3q
@user-yv1xm8fh3q 3 жыл бұрын
애널책상
@user-ex8en5vl3d
@user-ex8en5vl3d 3 жыл бұрын
-똥꼬-
@user-zj1qt2wu4j
@user-zj1qt2wu4j 3 жыл бұрын
@@user-ex8en5vl3d ?
@user-im6dy7hv8q
@user-im6dy7hv8q 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엄청난 영상 잘 보았습니다! 영상 중간에 영어의 대모음추이에 대해서 언급하는 부분이 있는데, 대모음추이와 다른 언어의 규칙적인 변화를 다루는 영상도 만들어 주실 수 있을까요? 살아있는 생명체도 아니고 실존하는 존재도 아닌 언어가 그렇게 규칙적인 변화를 보여줄 수 있다는 사실이 정말 놀라운 것 같아요.
@wmw2213
@wmw2213 3 жыл бұрын
언어를 사용하는 주체가 인간이고 언어를 일종의 정보생명체로 간주한다면 생명체가 살아가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얼마든지 진화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당장에 현대 한국어도 중세 한국어와 비교하면 많은 부분이 달라졌으니까요. 그것은 한국어라는 정보가 한국인이라는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진화한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영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변화 자체는 놀랍다기보다는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어떻게 변화했는가 왜 그렇게 되었는가에 흥미를 가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licht6887
@licht6887 3 жыл бұрын
오늘 한글날인데 몰랐던 부분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가시
@가시 3 жыл бұрын
편집 잘하신다 생각했는데 다시보니까 파워포인트같아요
@가시
@가시 3 жыл бұрын
뭐야 진짜 PPT네
@user-sx2hr5xk2v
@user-sx2hr5xk2v 3 жыл бұрын
@@가시 이왜진ㅋㅋ
@cliffroh5842
@cliffroh5842 Жыл бұрын
와 국뽕들 어질어질하네
@user-vl3sn8gl1d
@user-vl3sn8gl1d Жыл бұрын
그러니까요 훈민정음은 중국어 발음기호일 뿐이고 그보다 몇천년 앞선 시대에 가림토문자 신대문자가 있었죠. 노비종묘법 만든 인간 쓸애기 중국 딱아리일뿐 진짜 국뽕좌좀들 기관총으로 다 쏴죽이고 싶음
@레몬밤자몽
@레몬밤자몽 10 ай бұрын
@@user-vl3sn8gl1d니도 어지럽다
@user-dy6hg1pm4s
@user-dy6hg1pm4s 6 ай бұрын
​@@user-vl3sn8gl1d니가 제일 어지럽다. 가림토 신대 ㅋㅋㅋㅋ 노비종'묘'법은 또 뭐냐? 노비도 종묘에 위패를 모실 수 있게 하는 법임? ㅋㅋㅋ
@user-tu4yl7bm1d
@user-tu4yl7bm1d 5 ай бұрын
@@user-vl3sn8gl1d 니가 국뽕보다 더 어지럽다 가림토문자 신대문자 개삽구라인거로 밝혀진게 언젠데 아직도 밀고있냐 그리고 그때 노비종모법을 시행한 이유는 노비종부법 하니까 일부 여노비들이 아 얘 아빠 양반임 얘 양반 ㅅㄱ 하는 폐단이 일어나서 폐지된거고 부모 둘 중 하나라도 노비면 노비가 된다는 일천즉천은 성종이 만들었다. 애초에시발 관노비 출산휴가까지 보내준게 세종대왕인데 뭔 ㅋㅋㅋ
@pass11
@pass11 3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user-yl8ll1em7m
@user-yl8ll1em7m 3 жыл бұрын
편하게 만드실수있다면 어느쪽이든 좋아요. 오늘 영상 재밌게 봤습니다~
@sinderelah1494
@sinderelah1494 3 жыл бұрын
우하하하하하하하하~~~ 이번 영상 넘넘 속시원합니다 그동안 무식한 넷티즌들 댓글 읽으면서 속 많이 썩으셨나봐 ㅎ 큰 가르침 얻고 갑니다!~^^
@user-tp6ce3ko3c
@user-tp6ce3ko3c Жыл бұрын
아마 한글이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알려진 유일한 문자다라는 건 “제자 원리, 즉 어떤 문자가 왜 어떤 소리를 나타내게 되었냐가 분명히 밝혀짐 유일한 문자”라는 게 와전된 것 같습니다
@user-ty9bo8lc2q
@user-ty9bo8lc2q 3 жыл бұрын
허와실을 가려내고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하는 좋은 영상이네요
@EuroKorTravel
@EuroKorTravel 2 жыл бұрын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sjl7347
@sjl7347 3 жыл бұрын
한글날 특집 기다리고 있었습니다!!선댓글 후감상^-^
@cytokine5070
@cytokine5070 3 жыл бұрын
내가 하고싶었던 말 속시원하게 대신 해주시네 ㅎㅎ
@bebopkim
@bebopkim 3 жыл бұрын
이 동영상을 보고 속이 시원해졌습니다.
@user-pc4vh4cd1n
@user-pc4vh4cd1n 3 жыл бұрын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user-ty1lb4th3r
@user-ty1lb4th3r 3 жыл бұрын
PPT인 거 마지막 설명 듣고 알았습니다... 역시 항ㅁ... 앗 아니 향문천 그 자체로 충분함
@ParanScreen
@ParanScreen 3 жыл бұрын
한글 그 자체가 디지털 환경에 어울리는 문자 체계였는지는 모르겠지만, 실제 기술 구현은 디지털 최적화와는 5억광년 정도는 떨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대 IT 환경에서 한글의 전산화는 99% 이상이 완성형 방식의 한글코드를 사용하고 있고, 이 말은 완성된 조합 가능한 한글 낱자가 "가"부터 "힣"까지 하나하나 서로 다른 코드값을 가지는 독립된 문자로 할당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구현 방식 자체는 한자랑 전혀 다른 게 없고, 키보드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입력했을 때 완성된 형태의 한글 낱자가 뿅 하고 나올 수 있는 것은 과학적인 조합 과정을 거쳐서 문자를 조합해 주는 게 아니라, 내부적으로 한글오토마타 처리라고 하는 생노가다를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학적"(?)이라는 한글 조합형은 첫가끝이라는 형태로 아주 제한적으로 사용되기는 하지만(영상 마지막 부분의 옛한글 부분에서도 언급) 각 자모 부분이 유니코드 BMP 영역의 독립된 문자 하나로 간주되기 때문에 글자를 구성하는 자모의 수 ☓ 3바이트만큼 (UTF-8 기준) 용량을 잡아먹는다는 문제가 있고 사용 사례가 적어서 그런지 갖가지 버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Mac이나 아이폰에서 만든 파일 이름이 Windows에서는 다 풀어져 보이는 게 대표적 사례) 옛한글 표기를 해야 하거나 하는 정도를 제외하곤 아무도 안 씁니다. 그 외에도 두벌식이나 KSC5601 문자셋 표준화, CP949의 땜빵식 배치, 유니코드 한글영역 대이동 등 한글 전산화는 정말 수난의 역사 그 자체인데... 겉으로 보이는 것(수많은 공돌이들이 갈려나간 결과)만 보고 "와! 디지털 시대에 최적화된 한글! PPAP!"를 몇년째 언론에서 검증 없이 되풀이하는 걸 보면 솔직히 좀 얄밉습니다
@user-rl3lk9dq5x
@user-rl3lk9dq5x 3 жыл бұрын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다른 한자권 언어에 비해 쓰기 편하다는 거지 그렇게 깊이 들어가서 이야기하는 건 아닌 것 같은데요
@place01
@place01 2 жыл бұрын
이거 모르는 한국 사람들 너무 많음.... 실상이 이러한데
@korean_empire157
@korean_empire157 3 жыл бұрын
로마자 표기법에 대해서도 다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anetrait
@Fanetrait 3 жыл бұрын
너무너무 재밌었습니다!!
@user-vq1li1pb9h
@user-vq1li1pb9h 3 жыл бұрын
피피티 너무 잘 만드신다....
@lccllccl
@lccllccl 2 жыл бұрын
하늘 -> 한글로 적은 한국어 ㅅ카ㅣ-> 한글로 적은 영어 sky -> 라틴 문자로 적은 영어 haneul -> 라틴 문자로 적은 한국어
@sanctifyme
@sanctifyme 2 жыл бұрын
영어에서 s 뒤에 오는 파열음은 된소리화한 변이음으로 나타나니 스까이가 좀 더 가깝지 않을까요? 그리고 1음절인 부분을 살리려 그렇게 적어두신 건 알겠는데, 역시 자음군과 이중모음을 하나의 음절임이 드러나도록 한글로 표기하는 건 어려울 것 같습니다.
@lccllccl
@lccllccl 2 жыл бұрын
@@sanctifyme 그게 바로 현대 한글로는 영어 발음을 완벽하게 표현하기 힘들다는 근거가 되겠죠. 제 딴에는 한글과 한국어는 다르다는 걸 보일 겸 저렇게 쓰긴 했는데 확실히 한계가 있는 게 맞는 것 같습니다. 변이음은 제가 알지 못했던 부분이네요; 지적 감사합니다.
@user-dy6hg1pm4s
@user-dy6hg1pm4s 6 ай бұрын
이건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되는 건데
@sciel391
@sciel391 3 жыл бұрын
너무 유익하네요!!
@user-nl1ee8qd3s
@user-nl1ee8qd3s 3 жыл бұрын
많이 배우고 갑니다.감사합니다.
@user-nk6sw9xy3r
@user-nk6sw9xy3r 3 жыл бұрын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대해 소개하는, 그리고 현재의 에래어 표기법과 비교평가하는 영상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유는 잘 몰라서.
@random0153
@random0153 3 жыл бұрын
심플한 이유
@kimruben1491
@kimruben1491 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한국어를 배우는 스페인 친구가 자기는 한국어에서 ㄹ의 발음이 두가지로 나는게 헷갈린다고 말해서 갸우뚱했던 기억이 납니다.. ㄹ이 어쩔때는 (스페인어 기준) R발음이 나고 어쩔때는 L발음이 나는데 각각의 경우에 알맞게 발음하는게 헷갈린다고 하더라고요. 첨엔 뭔말인가 했는데 자세히 생각해보니 진짜로 모음사이에 오는 ㄹ발음(노래, 고리 등(스페인어의 R에 해당))과 이외의 경우에 오는 ㄹ 발음(라면, 발리 등(스페인어의 L에 해당))은 다르긴 하더군요.. 일반적인 한국 사람들은 그 두 발음이 똑같다고 생각하지만 두 발음이 서로 다른 글자로 있는 스페인 사람들은 그 차이를 명확하게 인식하는게 신기했습니다.
@ahg126
@ahg126 3 жыл бұрын
걔네는 그 두 가지 발음 차이로 뜻이 달라져서 그렇죠.
@user-qh3hv3fv9w
@user-qh3hv3fv9w 3 жыл бұрын
원래 ㄹ은 L발음이 맞고 권설음인 R은 ㄹㄹ 이였다고 합니다. 근데 한국어상 권설음이 초성에 오지않고 잘쓰이지않다보니 저절로 ㄹ 만남고 L발음이 강세 R발음은 서서히 약해졌다고 해요
@user_edylsb3655
@user_edylsb3655 3 жыл бұрын
한글에 대해 알게 될수록 한글이 더 좋아져요.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고.
@qwer4k4096
@qwer4k4096 3 жыл бұрын
오늘 딱 좋은 영상
@sola5651
@sola5651 3 жыл бұрын
고등학교에서 애들 가르치는 국어교사입니다. 많이 배우고 갑니다. 유익하네요..^^ 연수받는 느낌ㅎㅎ
@junhapark6901
@junhapark6901 3 жыл бұрын
"문자의 본분은 언어를 기록하는 데에 있다"
@texver8887
@texver8887 3 жыл бұрын
반갑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좋은 저녁 행복한 저녁 되시기 바랍니다^^ 향문천님^^♡
@user-ho5vm7xz9p
@user-ho5vm7xz9p 10 ай бұрын
지금까지 이 영상을 3-4회 봤는데, 볼 때마다 감탄합니다
@einradida-doba-badida8813
@einradida-doba-badida8813 3 жыл бұрын
한글과 한국어가 혼동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아마 '한글'을 '~글'이라고 부르는 것도 있을 겁니다. '글'이란 '글자'(writing system)를 뜻할 수도 있지만 '글로 쓰여진 것'(something written)을 뜻하기도 하니까요. "글 잘 써?"라고 물으면 글씨를 잘 쓰냐는 말이 아니라 보통 작문을 잘하느냐는 질문이죠.
@Abkaijui
@Abkaijui 3 жыл бұрын
단어사용에 대한 오해라고 볼수있군요
@user-pv5ui4zt5o
@user-pv5ui4zt5o 3 жыл бұрын
문자 = 글씨 같은 말 맞나요?
@bardgold4553
@bardgold4553 3 жыл бұрын
그럴수있네요. 중국사람들도 가끔 中文이라고하더라고요. 日文 中文 등등
@einradida-doba-badida8813
@einradida-doba-badida8813 3 жыл бұрын
@@user-pv5ui4zt5o 문자는 보통 언어를 표기하는 체계를 말하고, 글씨는 실제로 문자를 쓴 결과물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같은 한글을 쓰더라도 사람마다 글씨가 다르다고 하잖아요.
@philippehong3476
@philippehong3476 3 жыл бұрын
문자와 문장은 다르지만 둘 다 글월 문이 들어가죠. 고로 글은 둘 다를 의미하고요.
@kinokpico
@kinokpico 3 жыл бұрын
인 한글 데이, 위 니드 투 라이트 올 오브 더 랭귀지스 윗 한글, 라잇? 땡 큐 향문천 포어 굿 비디오!! 아이 릴리 인조이 유어 에브리 비디오!
@ch.6688
@ch.6688 3 жыл бұрын
언어는 영어지만 문자는 한글이므로 합격!
@user-sj3qn7mq9r
@user-sj3qn7mq9r 3 жыл бұрын
한글날에 걸맞는 좋은 댓글입니다
@movedaccount9958
@movedaccount9958 3 жыл бұрын
이,, 할비가,,,,,나이는,,,,들었어두,,,,,,,영어. 하나만큼은,,,, 자신이,, 있다~~^^~ 이마리야,,,,😎😎😎 에부리인가,,,, 그거 다음에는,,,,, 단수명사가,,, 와야 하거늘,,,,, 뒤에,,,,,,뜬금읍게스리,,,,, s을,,,,,부치믄,,,,,,,아니된다,,,,~~~,,,이말이야,,,, 어찌,,,, 으르신 앞에서,,,,영어를,,,,,,,,아는 처글허다니,,,,,,~~~ 쩝쩝,,,,,이리와서,,,앉어바라,,,,,,😠😠😠😠
@user-it4dx1hn1k
@user-it4dx1hn1k 3 жыл бұрын
@@movedaccount9958 '고려장'
@ch.6688
@ch.6688 3 жыл бұрын
@@L_Michael 중국어는 시국상 불합격
@user-uo7ks2qc7q
@user-uo7ks2qc7q 3 жыл бұрын
교육적인 영상 감사합니다.
@user-dulgi
@user-dulgi 3 жыл бұрын
어렵긴하지만 흥미롭고 유익한 영상이네요ㅎㅎ
@user-tc2fc5yh5c
@user-tc2fc5yh5c 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실질문맹률 높고 중장년층 교육수준이 낮은데 문맹률은 낮음. 이거 한글이 배우기 쉽다는 특성이 많이 작용한다고 생각함. 우리나라 국민들의 교육수준이 높다는 것이 오류임. 배우기 쉽다는 문자는 충분히 장점이 될 수 있고 한글이 World's Easiest Writing System 이라고 외국인들도 인정하는 것임.
@user-id1xd6xs1t
@user-id1xd6xs1t Жыл бұрын
ㄹㅇ 국뽕은 독이다;;;
@lee_motional
@lee_motional 3 жыл бұрын
좋은 영상 감사드려요! 몰랐던 사실 많이 배워갑니다~ 영상을 보다가 한가지 궁금한 점이 생겨 여쭈어요. 어릴적부터 학교에서 세종대왕의 업적을 배울 때, 훈민정음 창제의 이유가 한자가 어려워 글을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백성들을 위함이라고 배워왔는데요. 오늘날, 문맹률이 낮은건 높은 교육수준 때문이 맞지만 과거 당시 백성들의 문자교육과 문맹률 개선에도 훈민정음이 사실은 큰 의미가 없었을까요? 배경지식 없이 언뜻 생각해보면, 한자보다는 한글이 훨씬 배우기 쉬웠을거 같기는 해서요~ 어차피 문자를 배울 수 있는 계층에서만 훈민정음을 배울 수도 있었겠다 싶기도 하네요? 🤔
@yongtarot
@yongtarot 3 жыл бұрын
언제나 많이 배우고 갑니다
중국과 일본은 왜 아직도 한자를 사용할까? 「한자폐지론」
12:23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3,2 МЛН
요오드는 왜 아이오딘이 되었는가? - 한국어 화학 원소명의 유래와 변화
9:10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
She ruined my dominos! 😭 Cool train tool helps me #gadget
00:40
Go Gizmo!
Рет қаралды 58 МЛН
WHO DO I LOVE MOST?
00:2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74 МЛН
The joker's house has been invaded by a pseudo-human#joker #shorts
00:39
Untitled Joker
Рет қаралды 7 МЛН
🇰🇷[한글날 특집] 세계 문자 역사와 한글이 특별한 이유?
18:22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닭도리탕 명칭 논란 - 통시언어학적 해석
5:52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205 М.
History of Chinese / Japanese / Korean Languages
6:03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Dialectology and the case in Lower Brittany
12:55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71 М.
중국어 특강 | 이현준 대표가 말하는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40:39
마이풀 공식 유튜브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창씨개명이 바꾼 것들
12:03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397 М.
[박종인의 땅의 역사] 20. 훈민정음과 한글, 같지 않습니다!
14:32
박종인의 땅의 역사
Рет қаралды 35 М.
극도의 순혈 컨셉충 언어 - 앙글리시
6:27
향문천 – 글을 울리는 샘
Рет қаралды 468 М.
꿈을 위해 명문대를 포기한 이유
26:25
타일러 볼까요?
Рет қаралды 52 М.
Универ. 10 лет спустя - ВСЕ СЕРИИ ПОДРЯД
9:04:59
Комедии 2023
Рет қаралды 2,7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