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 냉장고 갯벌 ~ 저걸 없애려고 자본가들은 혈한임 단타쪼금 돈벌겠다고 갯벌 다없애고 장기로보면 갯벌이막대한 한국 수익인데 진짜 저거 없애려는 자들 전부 기록으로 남겨야함
@formyfaterland2 жыл бұрын
눈에 보이는 생물들 말고도 미생물이 엄청납니다. 분해자 및 생산자로써 미생물의 가치는 정말 높습니다. 식물 처럼 광합성도 해서 산소도 만들고. 석유도 미생물이 만든다는 이야기도 나오기도 합니다. 각종 오염원의 분해를 가속화 하기도 하고요. 땅이 필요하면 시골에 가면 많아요. 심지어 해외 땅 사도 됩니다.
@eea1eow2752 жыл бұрын
매꿔서 아파트나 짓죠?
@eea1eow2752 жыл бұрын
@@orca4273 김포나 강화도를 시골이라고하기엔 서울 바로 왼쪽임
@eea1eow2752 жыл бұрын
@잉이 그렇게 따지면 인천도 시골인데;; 의정부도 시골이고 구리도 시골이고
@누카-n8b2 жыл бұрын
@@eea1eow275 맞음
@eea1eow2752 жыл бұрын
@@누카-n8b 시골은 기본적으로 땅값이 싼데 제가 말한곳들은 싼곳이아님 그러므로 도시들임
@Mc Ahri 꽃게등 해산물의 모든 치어가 갯벌에서 태어나고 자라서 바다로 나갑니다. 그래서 바다의 요람이라고 부릅니다.
@ssagri2182 жыл бұрын
간척사업을 하지 말아야한다 그게 환경을 보존하는 길이다
@윤재영-w9i2 жыл бұрын
수상비고수는 되야 갯벌서 다니는건가요 교수님?
@네기마찐2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 모래사장도 관리 안해서 많이 없어졌습니다...제발 겟벌은 관리해서 꼭 후손에게 물러 줍시다
@우주돌떵이2 жыл бұрын
꿀보직이다..... 저기서 일하고 싶어요^^!
@김소설-g3b2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귀엽네 ㅋㅋㅋㅋㅋ
@김연식-h7j2 жыл бұрын
갯벌 축지법이 제일 웃기네 ㅋㅋㅋㅋㅋ
@rjjythvh2 жыл бұрын
갯벌을 보호하즈아
@user-rw9du8kn8z2 жыл бұрын
아산시 시장 당선자 박경귀 : 아산 걸매리 갯벌을 매꿔서 항구를 만들겠습니다 !! 유네스코 등재도 안됫는데 매꾼다고 뭐가 문제 입니까 ?
@dongwonyoon89632 жыл бұрын
갯벌하니 ev6가 생각납니다.
@친사소람29 күн бұрын
인터넷 찾아봐도 세계5대갯벌만 나오는데 그중에 2대갯벌이라면 1대갯벌과 비교한 차이를 알려줘야지 이게 뭐야? 낚시인가??
@미들에이치2 жыл бұрын
세계1대갯벌은 어디?
@프쟈2 жыл бұрын
브라질
@user-lo6ci4pw7q8 ай бұрын
교수님 귀여우심 ㄷㄷㄷㄷ
@바나나크림-b4w2 жыл бұрын
세계2대갯벌이라고 제목으로 올려놓고 어디와 세계2대인지 알려주진 않네요?
@찌발넘아-x3w2 жыл бұрын
한국이2대면 1대갯벌은어디예요?
@tom7603612 жыл бұрын
저게 골 때리는 겁니다. 면적은 작은데 세계적인 갯벌이라 환경적면만 아니라 해당 지역 주민들의 터전이기도 해서 발전소를 지을 수도 없고 국제적 비난도 감수해야하기 때문에, 한국입장에선 서해안과 남해안은 경제적인 측면에선 돼지목에 진주인 셈입니다.
@diamondpine25982 жыл бұрын
무릎을을 굽혀~ ㅎ 좋은 팁
@prani_kr2 жыл бұрын
EV6보고나서 이게 나와 왜..
@juwonchoe882 жыл бұрын
간척지 없었으면 뻘이 더 많았겠네여..?
@규성이-o9h2 жыл бұрын
1대 갯벌이 어디인가요?
@sunbell1124 Жыл бұрын
갯벌가면 신기한게 조그마한 생물들이 무지많아요.
@admint26072 жыл бұрын
보전하자 순천만도 보전잘해서 지금은 관광자원으로 엄청 돈벌고 있음
@안1녕하세요-n6x2 жыл бұрын
캬
@사냥엽사들에자유공간2 жыл бұрын
옛날 화성 마도면 그리 좋은 갯벌 다 매립 해서 공장 환경 오염물질 미래가 어렵다
@si_wo0o2 жыл бұрын
4:25 ㅎㅎㅎㅎ
@euny10002 жыл бұрын
갯벌 사막... 경관적 가치에 경제적, 환경적 가치를 더하면 갯벌의 가치는 거의 무한대. 특히 영종도 인근 갯벌은 인천공항과 연계, 갯벌 자연 관광을 잘 개발하면 세계적인 관광 명소가 될 것임.
@명천암백호도령2 жыл бұрын
세계 2대 갯벌? 지금도 세계 2대 갯벌인가요?
@billyhult772 жыл бұрын
오래전에 세계 4대갯벌인가? 하는 소린들었어도 2대 갯벌은 생전 처음듣는소리라 봤더니 아무내용도 없네요.그동안 개발로 갯발이 많이 사라졌을 것입니다.
@dykim81182 жыл бұрын
@@billyhult77 다른 나라 갯벌들은 간척되거나 훼손되서 우리 갯벌이 올라간거로 알아요
@kimuniform2 жыл бұрын
갯벌도 탄소배출권나오면 개발하지말고 저상태로 두고 국가에서 배출권을 기업들한테 판매하면 좋을듯
@행복의폭포2 жыл бұрын
저랬놓고 ~ 시간지나면 누가외국인한테 팔아버리면 끝이네... . 물론 그렇게 되기를 바라지는 않는다 있을때 지키자..제발
@기상태풍알리미2 жыл бұрын
시화호도 바닷물이 드나들면서 갯벌이 복원 되네요
@geunk10072 жыл бұрын
갯벌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건 뭐 대충 들으니 알겠는데 중요한건 이미 이산화탄소양이 심각해진 상황이 됬는데 갯벌이니 바다니 저것들이 흡수하는것보다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없애야하는데 이미 포화상태인 갯벌이니 바다를 가지고 뭐라 왈가왈부해도 답이 아니라는 거잔아요. 결국 정상화시키려면 다른 대안을 찾아야하는거 아닌가요?
@gah4122 жыл бұрын
대박
@오오월2 жыл бұрын
정말 개발 그만하고 욕심그만 부리고 후손에게 물려주자~~!!!
@박지영-o1i5b2 жыл бұрын
나는 개불을 사랑해! 절대 갯벌 없애지말아요!!!!!!
@abigfishinasmallpond30262 жыл бұрын
환경보존이 정말 중요한 화두가 된 21세기인데 ...한치앞도 모르는 인간이 개발하겠다고 새만금등 그 많은 갯벌들 메워서 난리를 쳐놨으니...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그 역사도 가늠할 수 없는 나이의 갯벌을 100년도 못 사는 인간이 지 맘대로 망쳐놓으니...천벌받는다..자연을 거스리면..
@rockofpeople2 жыл бұрын
세계 2대 갯벌이라고 하는데 나머지 한 곳은 어디임?
@lI1lIIIlllIIlIIlIlIlIIIIl2 жыл бұрын
조수간만 차 두번째로 큰게 우리나라인데
@김경진-p4p1n2 жыл бұрын
4:40 경공연습인가?
@insegnajh2 жыл бұрын
반대여론이 앞섰던 4대강사업의 강행으로 강을 막은 탓에 갯벌로의 영양분 유입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낙지가 덜 잡히는 이유라고 하더군요. 갯벌의 보존은 강의 보존과 연계되어야 온전할 수 있습니다.
@Ceohw2 жыл бұрын
새만금이나 지적해라 ㅋㅋ
@김진수-b9v2 жыл бұрын
별의별 헛소문을 ㅋㅋㅋ
@한겱2 жыл бұрын
반박할 생각은 없고 네거티브~~ 여전하구만
@perduskadastra2 жыл бұрын
니가 지금 가뭄 홍수 상관 없이 농작물 사먹을 수 있는게 다 4대강 사업 덕이다 인간아 단점만 보려하면 지가 무슨 혜택을 얻고 있는지 알지도 못하지.
@insegnajh2 жыл бұрын
@@perduskadastra 앵무새 또 나왔구나. 홍수 대부분이 4대강 본류 아닌 지천에서 난다는건 4대강사업 전부터 주구장창 얘기해도 안듣더만 4대강사업 한참후에 홍제천이며 지천 정비한다고 슬그머니 돈쳐바르기 시작하더라. 없던 물난리도 만드는 재주가 있던 오세훈이가 말이지. 그리고 가뭄 얘긴 박근혜가 소방차 대동하고서 봄가뭄으로 쩍쩍 갈라진 논에 물대기 쇼한 걸로 이미 끝난거 아니었나?? 녹조로 범벅이 된 물조차도 막상 가뭄엔 논에 댈 도리가 없어서 안희정이 충남지사 시절 금강 본류에서부터 새로 물길 팠던건 아나?? 간에 치명적인 마이크로시스틴을 녹조가 뿜뿜하는 그 물을 쓰려고 말이야. 이미 일본에서는 녹조 물로 재배한 벼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는데도 4대강사업은 강행됐었고, 결국 올해 환경단체 조사 결과 금강 낙동강 일부 유역의 쌀에서 기준치 이상의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었다고 발표됐다. 오죽하면 홍준표는 경남도지사 시절 지리산에 댐을 만들어 녹조로 걸쭉해진 낙동강 물 대신 상수도로 쓸 생각을 다 했을까. 그런 쌀 먹는 혜택 받아서 고마운가?? 4대강사업 전부터 이미 쌀은 남아돌아 해마다 정부가 세금 들여 수매하는데도 20조원 이상 더 쳐들이면서까지 굳이 기준치 이상의 마이크로시스틴까지 같이 먹어 고마워?? 넙죽 절이라도 하지 그래?? 아님 너같은 이들이 그거 다 먹어주면 내가 고마워하리?? 작작들 좀 해라.
@vldhqpfm2 жыл бұрын
대학교 교수님들 이름이 종성이라는 이름이 많구나...김종성 류종성...인터뷰하는 교수님마다 종성임
@ch-mm1sq2 жыл бұрын
지금이라도 더이상 못 덮게 해야한다
@을차마루2 жыл бұрын
미래 우리의 크나큰 자산이 될 갯벌. 지금이라도 안 늦었다. 서.남해안 매립지들 뚝 다시 터야 한다
@강아지-x6s2 жыл бұрын
인천시 갯벌매립하고 아파트투기 수요나 짓지마라.하늘.자연에 죄짓는것이다
@너는누구냐-e3n2 жыл бұрын
바다의 해산물이 갯벌에서 태어나 바다로 나가는 바다의 요람인 갯벌입니다. 미국등 선진국은 갯벌의 중요성을 알고 천문단위의 돈을 들여서 갯벌 만들기에 열일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갯벌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종류의 해상생물이 살고 있는 해산물의 보고 입니다. 짧은 생각으로 무분별하게 싸구려 땅 만들어서 팔아먹는 우를 범하지 마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