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전문가 세분이서 대화 나누니까 다각적인 시각도 흥미롭고 생각할 거리가 많아요 재밌게 봤습니다 😊
@링링-b9yАй бұрын
세 분 말씀 공감되네요. 전 여러방면으로 요즘 트렌드 요즘 트렌드 할 때 별로 기웃대지않고 살아왔는데요, 무조건 관심이 쏠리지는 않더라구요. 소금빵 같은건 제 입맛에 뙇 맞으니 즐기구요. 😊 휘몰아치는 이런 저런 바람에 크게 휩싸이지 않으니, 나만의 심플한 삶이 평화롭고, 스스로가 정돈되어 가는 것 같아 만족스러워요. ❤ 인구밀도 높은 나라이지만 특히 수도권. ㅋ. 글로벌 및 k문화 안에서 나만의 필요성과 개성을 존중하며 행복하게 사세요!
@김용석-y5jАй бұрын
F&B 에서 일한지 10여년.. 취미겸 관심사를 가지는 뇌과학에 대한, 그리고 트렌드에 대한 얘기들을 좀 더 직관적으로 들을 수 있었던 내용이라 너무 재밌게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항상 좋은 얘기들로, 다양한 주제들 다뤄주셔서 다방면으로 생각해보거나 정보를 얻게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D
@SSBBSGАй бұрын
9:20 좋아하는 게 아니라 까탈스러울정도로 따지는 게 적성이다
@bk499523 күн бұрын
사람에 따라 이걸 다르게 볼 수 있는 것 같아요. 누군가는 대한민국이 이렇게나 개쩌는 나라야 하며 국뽕에 찰 수도 있는데, 저는 꼭 사람이 이렇게 살아야만 해?라고 부정적으로 보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TheDiscoveries50Ай бұрын
대구 10년 살면서 대구가 전국에서 가장 베타성이 높은 도시가 아닐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 영상에서도 같은의견이네요. 고등학교 물어보기는 알고있었지만 트렌드에 민감한것도 배타성의 결과라는게 놀랍네요. 그렇다고 대구음식이 맛있있냐면 하방은 높은데 디테일함이 떨어져서 전국구맛집이라고 할만한곳은 없더라구요.
@moguliswoong8663Ай бұрын
교촌
@혜진이-b6b29 күн бұрын
베x 배ㅇ
@hayeonkim7838Ай бұрын
오늘도 언제나처럼 어김없이 정말 유익하고 도움되는 정보 영상 많이 감사합니다 ㅎㅎ
@코코-e6bАй бұрын
반백년 넘게 살아보니 물에 물 탄 듯 술에 술 탄 듯 하는 사람보다 까탈스런 사람이 낫더라!
@Ruioou-j8wАй бұрын
대구가 트렌디한 건 큰 기업이 없어 서비스업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대구는 광역시지만 GRDP가 수십년째 전국 최하위일 정도로, 굵직한 기업과 양질의 일자리가 부족합니다. 이 때문에 자영업자의 비율이 높고,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요식업을 비롯한 서비스업 발달이 빠릅니다. 대구시민으로서 보면, 고기를 구워주는 식당도 타 지역에 비해 훨씬 많습니다. 당연히 외식 물가도 저렴하구요. 심지어 주유비도 전국 대부분 시도보다 저렴합니다.
@abc-ce2fuАй бұрын
재밌는 분석이네요~! 잘 읽었습니다
@열정과끈기-g2s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myfone020228 күн бұрын
I wish I had a mentor like you in my 20s... =) I'm afraid I'm at a phase in life where I've found a lot of what you talk about the hard way, but I'm so glad for the upcoming generations. I hope you continue to sow your seeds of positivity and your unique approach to the kind of comforting and supportive narrative that is also researched based, but most of all people-centered. ♡
@JessicaJang77Ай бұрын
좋아요👍 세분이 오손도손 남매 같아요~😊 대구 스토리 재밌네요 ㅎㅎㅎ
@김고발-n7zАй бұрын
까탈스러워야 적성이고 좋아하는 건 적성이 아니다란 말 듣고 헉 했네요
@JS-tu3luАй бұрын
트랜드- 만들어가는 소수는 내가 이끌어간다는 점령 및 인정욕구 그외 발빠른 사람들은 주관이 빈약하고 뒤쳐지여 보이지 않겠다는 체면욕구 연령에 따라 체면에 관계없이 새로운 것을 경험하고 싶은 그 자체에 대한 욕구
@reina_parkАй бұрын
너무 흥미로운 주제네요, 정말 와닿는 얘기 같아요.. !!
@sokiryuАй бұрын
대구 출장을 자주가서 갈때마다 택시기사님께 맛집좀 알려달라 하면 하나같이 그런거 없다는 식으로 똑같은 답변만 하시더라구요..😂 한번은 대구 막창이 진짜 맛있냐 물으니 서울이 더 맛있다며..ㅋㅋㅋ 제가 실제로 가본 식당중 맛없는 식당은 못봤지만 엄청 특별하거나 맛있다 이런곳도 없긴 했어요ㅠ 대신 트렌디한 카페도 많고 수성못 그쪽이 분위기 좋더라구요
@안단테-k8wАй бұрын
@@sokiryu 수성못이에요 ㅎㅎ
@hylee7072Ай бұрын
대구뭉티기맛있어용 서울보다맛있음..ㅎㅎ
@sokiryuАй бұрын
@@안단테-k8w 수성못이였군요ㅋㅋ수정했어용😅
@sokiryuАй бұрын
@@hylee7072 오 담 출장때는 뭉티기 먹어볼게요!!
@ohsukkwon5482Ай бұрын
당연한 얘기를 그럴듯하게 만드는 재주가 있네요
@LtmhndltАй бұрын
22:31 두분 반응 너무웃김 ㅋㅋㅋㅋㅋㅋ ㅇ0ㅇ!!!!!!!
@끼루루룽Ай бұрын
프랜즈 코너 너무 좋아요 ! 맛있는 음식과 와인이 있으니 좀더 캐주얼하고 편하게 주제에 대해 얘기나눠볼 수 있고 저도 친구들 모이는 자리에 있는 느낌이에요 ❤
@wincup15 күн бұрын
미슐랭 식당도 관심에 비례해서 좀 많아지면...
@yyk192Ай бұрын
대구를 흔히 보수라고 뉴스에서 자주 나오지만 그래도 사람은 정신적으로 균형을 맞춰가며 살아가네요. 예를 들면 사회생활 할 때에는 적극적이어도 회사에서 집에 들어오는 순간 안정을 중요시하게 하게 되나 보네요. 그렇게 유행에 예민한 사람들이 서로 만나면 옛날 영화처럼 어느 고등학교 출신이고라니...
@EunheeCho-jz6mpАй бұрын
그래서 보수인 거 같아요. 유행에 민감하다는 게 자기만의 취향보다는 남들 따라가는 거니까요. 비슷한 사람들끼리 그 안에서는 끈끈하지만, 그 너머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조금은 배타적이니 남들과 다른 행동은 하지 않고, 대세를 따라가게 되는 것 같아요.
@A달달-p2gАй бұрын
4:19 저희 부모님만 봐도 저와 입맛이 달라선지 저는 기름기 있는 고기들 좋아하는데, 부모님은 싫어하시네요 ㅠㅠ.. 뼈감자탕도 골수라고 해야되나 그런 부분 좋아하는데 부모님은 싫어하시고.. ㅠㅜ 덕분에 한번 먹게 되면 제가 다 먹긴하지... 결국 자주 먹진 못하네요... 4:51 그래서 개인차가 다르게 생긴거였군요. 감사합니다. 두 분이 계시니 디테일+요약이 모두 가능하네요 ㅎㅎㅎ 8:20 엄청나네요.. ㄷㄷㄷ 면수 쪽 느끼는 것도 그렇지만, 산분해냐 아니냐를 구분하실 수 있는 것도 진짜 엄청 미세할 것 같은데 이걸 구분하실 수 있는거군요.. ㄷㄷㄷ 9:01 이걸 구분하실 수 있으니 소금도 여러 종류를 사용하시는거군요.. ㄷㄷㄷ
@ghjernrgewaiwerg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beerking1658Ай бұрын
대구에서 창업하고 수도권으로 진출한 음식브랜드가 많은건 알았지만, 트렌드에 민감한 저런 특성이 있는건 처음 알았네요!
@sucovlog6009Ай бұрын
채밌는 컨텐츠예요. 세분조합 너무 좋습니다. 계속부탁드려요😊
@YSM-TVАй бұрын
대구가 그런 곳이었구나.. -우물 안 대구 사람
@SamuelSmith1221Ай бұрын
대구가 예전(7080년대)에는 진짜 맛집이 드물었는데 요즘은 서울보다 더 많은 자경이죠..
@YSM-TVАй бұрын
@ 그렇군요..
@doremipasolrasiАй бұрын
간송도 대구로 옮겼음... 대구가 문화예술의 총본산임😊
@YSM-TVАй бұрын
@@doremipasolrasi 오 마이 갓김치!
@ASSA-1Ай бұрын
전 우물밖 대구사람... 대구가 좋게 여겨지면 그냥 기분 좋아여
@ch-ed7217Ай бұрын
대구가 먹는거 좋아하는 사람이 많긴한데 빠른건 먹는거 한정인듯....다른건 빠른지 모르겠음
@quierrroАй бұрын
맛있어서 친구 데리고 갔을때 친구는 맛있다고 하는데 저는 ’어 오늘보다 저번에 더 맛있었는거 같은데…‘생각하는 이유가 그런거군요 예전보다 기대치가 높아져서..
@sujinkim7980Ай бұрын
너무 재밌습니다
@JS-tu3luАй бұрын
개인의 차원에서의 트랜드는 허세와 관종의 일부분으로 볼 수 있겠으나, 기업이나 국가차원에서는 수익이나 국익목적으로 봐야
@gakbaksmileАй бұрын
홍신애쌤의 재발견 앞으로도 여기저기 많이 나와주세요! 엄청 똑똑하고 알찬 분이셨네요
@bean9950Ай бұрын
남에게 보여지는것, 허세가 강한 대구. 남들하는 것에 뒤지면 안 되니까 트렌드에 민감한 소비도시 대구. 한국이 전체적으로 그렇지만.. 조금 더 그런 도시가 대구인것 같음.
@SamuelSmith1221Ай бұрын
살기 빡빡하고 가속된 진화가 겹친다 => 출산율 저하..
@りーちゃん-w9sАй бұрын
최종적으로 누가 몸 맘 건강하게 살아남을까 생각해 봤습니다.조용히,꾸준히 단순하게 "그냥 사는 사람"들이 아닐까요...
@sseulgi-liooilАй бұрын
개인차라고 합니다😂😂😂 너무 웃겨요
@curiosity7837Ай бұрын
주체적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따라하기만 하는거죠. 그래서 냄비가 되는거고
@curiosity7837Ай бұрын
웃긴건 파리바게크 spc 불매운동 퍼지다 잠잠해졌죠. 그런데 한참 불매운동 커질 때 해외에서 잘나가니까 우리나라거야 하고 국뽕하는게 현실
@yhh9425Ай бұрын
아는게많아먹고싶은것도
@네에네에-z9wАй бұрын
경동브라더스다~!!😆🫶 셰프님도 반갑습니다😊
@김수현-g8i5dАй бұрын
궤도까지 모이면 제가 정말 좋아하는 최애 조합
@ctctxk101Ай бұрын
정수물에서 물비린내를 느끼긴 하는데 파스타에서도 느낄수도 있군요.. 한번 해봐야겠다
@insight0.9Ай бұрын
전업투자자인데, 전업투자자들 중 초고수들이 대구에 많더라구요. 이유를 잘 모르겠는데 아무튼 대구에 똑똑한 사람들이 많은거 같아요
@nhy622ableАй бұрын
경동 브라더스 맞음!!! 먹지도 않고 열심히 설명하는 동선~~~ 먹으면서 하지...하는 경일 우리집 풍경이네..ㅎ
@도마뱀-d1nАй бұрын
아 그래서 배달 처음 시켜본 집이 너무 맛있어서 다시 시키면 처음 먹었던 그 맛이 안나는건가?
@user-hr1pn4nq6vАй бұрын
홍신애랑 신기루랑 너무 닮았다
@soozier5437Ай бұрын
오 이 여자분 그! 그 블루레어!
@wlsmdltnАй бұрын
저만, 썸네일이랑 내용이랑 연결이 안되나요? 까탈스러운 사람 관련된 내용을 들으러 왔는데, 막상 들은 것은 음식, 트렌드, 한국 민족성. 뭐지?
@ttunttyАй бұрын
50대 대구 아짐. 학교 으데 나왔노에서 깜놀! ㅋㅋㅋ
@DAVoice365Ай бұрын
국뽕은 힘들어요 ㅠ
@요미-e2nАй бұрын
김경일 교수님 우리학교 국어책에 나왔어요
@김태형-q9j9mАй бұрын
저나이때 분들특징은 항상 기승전 일본 비교인거 같음 반일감정이 정말 강하구나 느낌 야구나 경제 어디든 다 기승전 일본 마지막 대조로끝남
@안단테-k8wАй бұрын
까탈스러운 대구사람 여기 있어요😅
@현-t5eАй бұрын
아아~~~그래서 조금 비정상적으로 보이기도 하고 너무 빨리 진화하니까 조금은 비정상적으로 진화할 수도 있다.
@remonbar7Ай бұрын
생선회 먹다보면 수족관물냄새 나서 힘들었는데
@dg1234gjmaxmtАй бұрын
저는 사람도 조금만 달라지면 저사람 왜저래 그렇게 생각합니다.
@distratoresАй бұрын
근데 교촌은 구미에서 생긴 브랜드 아님 ?
@박민정-y6jАй бұрын
저도 그리 알고 있는데요. 구미라고
@444_echOАй бұрын
맛있는 고통의경지
@jisj2340Ай бұрын
객관적이기 보단 좀 국뽕내용😅
@user-yt3kr4ns8rАй бұрын
여자분의 일방적 주장이지 경동브라더스는 생각이 다르신듯
@mazeltov-r6wАй бұрын
제가 생각하기에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세종 이후부터 왕권이 기울어가고 성리학이라는 사상에 찌들어 고인물이 되었지요..과학기술 정체, 군사력 정체, 경제도 문화도 조선이 고려보다 다양하게 발전했다 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발전 없는 정치체제를 떠받들고 양반들만 떵떵거리며 자기들끼리 좋다하며 살다가 임진왜란, 병자호란, 일제치하, 한국전쟁, 종전 후엔 극도의 빈곤...뒤쳐지는 나라라고 느껴본 적이 없었을 뿐. 늦어도 선조 때 조선이 망했더라면..이렇게 나라가 기울고 가난해지지 않았을 겁니다. 한국전쟁 이후 해방을 맞이했어도 아무것도 손에 쥔 것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들 마음이 조급해졌죠...굶어죽게 생겼으니까 빨리빨리...돈벌고 집사고 옷사고 잘먹고 놀러가고 싶어진 게 우리나라입니다. (참고로 작성자 저는 전주이씨임)
@SamuelSmith1221Ай бұрын
고리는 대륙 절반을 다스리고 전세계 부를 끌어모으던 천자국임.. 조선이 비빌 수준이 아님..
@colahwwwaАй бұрын
거의 모든 분야에서 까탈스러운건 뭔가요? 강박적인 면이 있는 것 같아요..
@랑스-l1gАй бұрын
경상도 사람들도 전라도 음식이 더 맛있다고 하던데 ㅋ 전라도 친구 백종원 식당 데려가면 화내던데 ㅋ 파리바게뜨 라스베가스점은 파리날리던데 ㅋ
@0102_hoАй бұрын
중요한 얘기는 아니지만 민족은 인종이랑은 별 상관 없는 것 같아요 가령 튀르키예인은 백인인데 스스로 돌궐이라고 말하고 언어도 투르크 계통이죠 그렇게 보면 한국인은 단일 민족이 맞는 것 같습니다 다만 그걸 지켜야 한다고는 생각 안해요
@gaeojo6301Ай бұрын
언제나 사회부조리였던 지연 학연이 이토록 포장되다니.. 방송이란.. 이런 것이지.. 대구는 학연과 지연이 판치는 트랜디 성지~
@vitan0Ай бұрын
그렇게 특이함으로 느꼇던 그 대구.. 정치판으로 생각해보세요 그래서 이렇게 됐습니다 계엄을 옹호하는 사람이 과반을 넘는 그런 동네가 됐습니다
@강자강Ай бұрын
일본인 까는것을 기쁘하는 심리는 뇌과학적으로 어떤질환일까ㅡ?!
@boumla8794Ай бұрын
냄비근성 반박표현 ㅋㅋㅋ 너낸달궈져봤어ㅋㅋㅋ
@user-rp2v22 күн бұрын
대구음식 맛없던데ㅡㅡ
@이고고동-g9wАй бұрын
페리카나 대전 아님?
@hyeyoungnam3010Ай бұрын
홍신애씨 빼 주세요 이분 이 컨테즈에 않맞아요
@user-yt3kr4ns8rАй бұрын
쉐프님 죄송하지만 자존감이 좀 낮아보임
@성이름-m5rАй бұрын
왜용?
@김지아-v8bАй бұрын
3일밖에? ㅋㅋ 영상 즐겁게 시청했습니다
@flowersnow4802Ай бұрын
대구 대체적으로 까탈스럽다 인정, 실력 인정하면 잠잠함, 첫판에 실력으로 기눌러줘야 융통성, 수용성 있어야됨 뭐든 환기, 바람이 안통하면 썩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