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는 다른, 독일 국회 돔의 존재 이유

  Рет қаралды 480,505

셜록현준

셜록현준

7 ай бұрын

#국회 #국회의사당 #건축
독일 국회가 돔을 만든 전혀 다른 이유 :
국회의사당 건축

Пікірлер: 664
@BaeBae99
@BaeBae99 7 ай бұрын
낮에는 빛을 끌어당기며 위정자들의 행위를 낱낱이 비추고 밤에는 빛을 내보내는 등대의 모양을 보이며 시민들의 앞길을 밝힌다는 느낌이 드네요 함의된 뜻을 들으며 생각할 수 있는 좋은 배움 됬습니다.
@user-fg9on8ej6k
@user-fg9on8ej6k 7 ай бұрын
남북이 나뉘어 있으니 , 보안도 중요하지요 통일이 되면 ~ 통일이 되면 , 국민들이 올라가서 볼수 있도록 만듭시다 ~
@csApollo11
@csApollo11 7 ай бұрын
5:12 독일 국회의원: 아 네 한국 국회의원: ??어딜 감히 국회의원을 가르치려 들어요?? 으이?? 국민이 무섭지 않습니까!!??
@hyunho_07
@hyunho_07 7 ай бұрын
아 우리 한국이랑 독일이랑 돔의 존재 이유가 쫌 차이가 있네요. 시민들이 위에 있다는 의미로 만들어졌고, 또 관광객들이 계단에 올라가서 볼 수 있도록 만들어졌구요 또 전망대도 만들어줬고. 신기하게 건축을 했네요. 정말 놀랍습니다.
@chesshasoo
@chesshasoo 7 ай бұрын
돔의 존재 이유
@everywhere285
@everywhere285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 국회의원은 권위, 기득권 그런 마인드가 머리끝까지 있는 사람들이라
@jaa2948euf
@jaa2948euf 7 ай бұрын
​​​​@@everywhere285 권위,기득권 의식은 한국 국회의원들이 더 높을지 몰라도 실질적인 권위,기득권,카르텔은 외국 국회의원들이 더 강함. 우리나라는 6.25 전쟁 이후로 100년도 채 안되어서 국회의원 자녀랑 서민 자녀랑 같은 학교 ,같은 학원, 같은 메가스터디 학원, 같은 대성학원을 다닐 수 있을 정도로 아직까지는 실질적으로 평등하고 그래서 경쟁이 치열한데 영국 국회의원 자녀는 공작 아들, 남작 아들, 독일계 영주 가문의 후손, 무슨무슨 가문의 후손이라서 사립기숙학교에 다니고 서민 자녀는 공립 학교에 다녀서 거의 만날 일 없음. 다른 나라들도 마찬가지. 태국도 그렇고 다른 유럽 국가들도 인도도
@dean8413
@dean8413 7 ай бұрын
@@everywhere285국회의원들만 그런게 아니라 대한민국 사람들이 그런지 모르나. 완장차면 눈에 뵈는거 없어지는 습성
@user-rw3bk6wp4m
@user-rw3bk6wp4m 7 ай бұрын
​​​​​​​​​​​@@everywhere285 우리나라는 6.25전쟁으로 인해 전 국민의 신분이 초기화되었기 때문에 빈부격차와 권력격차가 모두 적은 편입니다. 유교 문화의 영향도 있는데, 유교국가에서는 귀족 대신 관료가 사회를 통치합니다. 귀족은 혈연을 통해 지위를 세습하지만, 관료는 개인의 노력을 통해 스스로 쟁취해야 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양반=귀족 이라고 오해하시는데, 이들은 엄연히 시험을 쳐서 뽑는 관료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구권, 특히 유럽에서는 유서깊은 귀족 가문에서 정치인을 배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생각하는 자수성가 같은 개념이 없어요.
@69MadnezZ
@69MadnezZ 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은 6.25로 리셋하고 시작해서 그런지 어디를 가도 아쉬운 디자인의 건축물들이 대다수라 씁쓸하네요. 전통 건축물들 복원도 시대에 맞게끔 하려고 하면 왜색이 짙다면서 무조건 개성 없는 조선풍으로만 하고 ㅜㅜ
@user-gk5kr8xf8w
@user-gk5kr8xf8w 7 ай бұрын
와 독일국회의사당에 그런 의미가... 품격이 느껴집니다
@cruz2767
@cruz2767 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국개의원들은 벽잡고 반성해야 합니다.
@user-fi3vp8nj4y
@user-fi3vp8nj4y 7 ай бұрын
전범국 독일이 2차대전 당시 연합군의 동맹이었던 소련의 흔적을 받아들이는 것, 그리고 식민지였던 대한민국이 전범국 일본의 흔적을 받아들이는 것과는 여러가지 이유로 그 의미나 입장이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user-cc4zh8zt7f
@user-cc4zh8zt7f 6 ай бұрын
네 동의합니다. 독일이 영국에 패했지만 35년간 식민치하에 있었던 건 아니니까요.
@dschungmo
@dschungmo 7 ай бұрын
독일이 영국 건축가를 쓴 걸 대인배적으로 보면서 우리나라/일본을 비교한 건 정말 몰역사적이다. 승패전이 문제가 아니라 전쟁을 시작한(그 걸 전범이라고 꼭 부르지 않더라도) 게 중요하다.
@user-yw7pm2ym5h
@user-yw7pm2ym5h 7 ай бұрын
한국 국회 돔은 허락 없이는 출입불가 독일 국회 돔은 시민의 공공장소 건축의 마인드가 정치인들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을 알 수 있네요 ㅎㅎ
@user-nw1yp9ke3q
@user-nw1yp9ke3q 7 ай бұрын
그렇게 독일이 좋으면 독일로 가시죠? 대한민국 국민으로 특혜는 누릴대로 누리면서 어떻게든 불평불만거리 찾아서 욕하는거 재밌나요? 해외에 나가면 아무도 찾지않는 외톨이 밑바닥 외노자가 될 사람들이 이민간다고 떠들더라고요 ㅋㅋㅋㅋ 아, 님 얘기는 아니고요 ㅎ
@jaauferstehn549
@jaauferstehn549 7 ай бұрын
​@@user-nw1yp9ke3q뭐 말만 하면 입막으려고 달려드네 북한도 아니고ㅋㅋㅋ
@user-yw7pm2ym5h
@user-yw7pm2ym5h 7 ай бұрын
@@user-nw1yp9ke3q ㅎㅎ 그러시군요
@Marxism-Leninism
@Marxism-Leninism 7 ай бұрын
@@user-nw1yp9ke3q ㅋ
@JY77337
@JY77337 7 ай бұрын
​@@user-nw1yp9ke3q어우 씹.....
@albioncrescent9339
@albioncrescent9339 7 ай бұрын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고맙습니다.
@eunyoon83
@eunyoon83 7 ай бұрын
늘 심도있게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각국 국회 의사당 좋은 예 도서관 미술관 경기장 등 기능 비슷한 건축물 비교해 주시면 ❤
@user-nw8dt1kn9d
@user-nw8dt1kn9d 7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
@edc8304
@edc8304 7 ай бұрын
인문건축 책에 한 건축씩 이렇게 설명 해주심 넘 좋겠네요 읽고 듣고 보고 행복해요 전세계 건축탐방 가고싶네요~
@user-pi5fd4pn1z
@user-pi5fd4pn1z 7 ай бұрын
마침 곧 베를린을 가는데 이 영상이 올라오다니! 좋은 시각과 통찰력을 엿보고 가서 확인해봐야겠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yoplait_protein
@yoplait_protein 7 ай бұрын
오늘은 진짜 감동 그 자체네요… 독일 국회의사당은 위정자와 시민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결정체인 것 같습니다. 언젠가 국회 건물을 재건축을 하든가 세종시로 옮길 일이 생긴다면 좀 더 민주적이고 성숙한 생각을 담은 건물로 지어지길…
@qidjdn
@qidjdn 7 ай бұрын
독일 국회의사당이 민주적인 뜻을 담은건 맞지만, 우리나라의 건물을 마치 비성숙한 것으로 치부하기에는 장단이 존재해요..
@grx1988
@grx1988 7 ай бұрын
냐치뇸들을 찬양하다니
@Musket_Ukraine
@Musket_Ukraine 7 ай бұрын
세계의 대표적인 민주주의국가인 미국과 프랑스도 천장이 막혀있습니다. 그런 맹목적인 독일에 대한 사대주의가 나라를 망치는 겁니다.
@troll_shim
@troll_shim 7 ай бұрын
@@qidjdn 건물은 모르겠는데 국회의원들은 비성숙한 게 맞는 듯 ㅋㅋㅋ
@sun_216
@sun_216 7 ай бұрын
​@@troll_shim국민이 훨씬 비성숙하니까
@goodluck3269
@goodluck3269 7 ай бұрын
안녕하세요 교수님 ❤ 국민학교때 견학갔던 국회의사당 엄격하고 어둡고 무섭게 보였던 기억이 😊 공원 산책로도 막았던것도 갑자기 생각나네요 역시선진국 4위는 다르네요 😢😊오늘도 행복한 유투브 지식 쌓고 갑니다 아톰 옷 까지 😊 센스 만점 교수님
@dongwooistim
@dongwooistim 7 ай бұрын
교수님, 티셔츠 굿 입니다
@user-sm2jl2kt6e
@user-sm2jl2kt6e 7 ай бұрын
진짜 이거 어렷을때 너무 궁금했는데 잊고있던건데 정말감사합니다❤
@HeraKang-st5dr
@HeraKang-st5dr 7 ай бұрын
'훌륭한 건축가란 자연의 미세한 변화를 공간으로 설명해주는 통역사이다' 라고 말씀하셨듯이 셜록현준님의 건축물 역시 자연의 미세한 변화를 공간으로 잘 설명해주고 있는것 같습니다 ~~~^^ 👍 You are the best ~~~^^🤗👏👍
@legeno.
@legeno. 7 ай бұрын
한국은 진짜 국회의원 수준이 개발도상국 그이상도 아님 국회에서 서로 소리지르면서 싸우는게 말이되나...초딩들 의견차이땜에 토론할때도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처럼은 안함
@lifeofcarina
@lifeofcarina 7 ай бұрын
저도 베를린에 가봤지만 몰랐던 사실이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user-xm5hj9qr1k
@user-xm5hj9qr1k 7 ай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있어요^^
@user-in4mi4pg5w
@user-in4mi4pg5w 7 ай бұрын
어제 인문건축기행에서 봣던게 나와서 반갑네요 책 진짜 재밋어요 여러분 꼭읽으세요
@Gwehdo
@Gwehdo 7 ай бұрын
이거 진짜 우리나라에 들여와야함 ㄹㅇ 감시라도 받아야 일하는 척이라도 할 것 아님…?
@ellalee5284
@ellalee5284 7 ай бұрын
독일오시는분들 꼭 가보세요. 정말 볼만합니다
@CCCCC___
@CCCCC___ 7 ай бұрын
와우~ 넘 유익해요ㅠㅠ #ㅈㅐ밌쪙ㅎㅎ
@jeunehomme_jun
@jeunehomme_jun 7 ай бұрын
건축적인 지식은 정말 1도 없지만 이번 영상은 특히 너무나 재밌었어요 ㅎㅎ 영상을 보고 나니 베를린과 방글라데시는 꼭 가보고 싶다는 생각도 들고요!
@romandelivery
@romandelivery 2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Chloe-22441
@Chloe-22441 7 ай бұрын
5:08 이걸 한국과 비교해서 말씀하시는 것은 좀 맞지 않다고 봅니다. 한국은 36년 간 식민지를 겪었고, 강제징용, 위안부도 끌려갔었고, 독일은 독일 나치가 수많은 학살을 하고, 전쟁을 일으킨 후 막판에 패망 했습니다. 사례를 들려면 일본이 미국에 의해 원자 폭탄 맞고, 미국 건축가로 국회의사당을 지었다. 이렇게 말씀하셔야 얘기가 맞습니다.
@morgankim5502
@morgankim5502 7 ай бұрын
진짜 욕심 그득그득한 한국의 국회의원들 궝뉘 의식에 찌든 내가 누군줄 알아! 가 기본 탑제된 누구네들 보다 진짜 국회의원인 나라껄 보니 참 암담하군요
@user-ir8dm9tw7k
@user-ir8dm9tw7k 7 ай бұрын
잘 보고 있습니다, 교수님. 김수근이나 김중업 같은 한국 근대건축도 한번 다뤄주셨으면 합니다.
@hayeonkim7838
@hayeonkim7838 7 ай бұрын
오늘도 정말 흥미롭고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ㅎㅎ
@yeonwu
@yeonwu 7 ай бұрын
독일에 있을때 몇번 봤죠 tv 에서 국회 중계를하는데 일반 시민들이 와서 내려다보고 있었어요
@user-ox3et7ih1r
@user-ox3et7ih1r 7 ай бұрын
세종에 새로운 국회의사당이 지어질텐데, 높아진 국민의 의식과 수준을 반영하는 건축을 기원합니다.
@TAHONG7
@TAHONG7 7 ай бұрын
'높아진 국민의 의식과 수준'.........
@Yiedksps
@Yiedksps 7 ай бұрын
@@TAHONG7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dk2li4rr3i
@user-dk2li4rr3i 7 ай бұрын
컨테이너 박스 깔아놓고 하면 되겠다
@NewReformParty
@NewReformParty 7 ай бұрын
특정 지역에서 특정 정당 투표율 90에서 70 나오는데 되긋냐
@Lugia4720
@Lugia4720 7 ай бұрын
@@TAHONG7 이 말이 가장 공감됨 진짜 국민 수준이 높은걸까?
@skdhwia
@skdhwia 7 ай бұрын
국회의사당 건물이 보이는 사무실에서 일하는 사람입니다. 그 돔이 오직 국회의원들의 권력을 과시하기 위해 올라갔다는 걸 전부터 들어서 알고 있었어요. 고개만 들면 그 돔이 보이는데, 일하다 힘들어서 창 밖 보면 그 한심한 돔이 보여서 더 힘이 빠집니다. 요새는 더요😂 도대체 저 돔을 들어내자는 의견을 내는 국회의원은 없나 싶은데, 지금까지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을 것 같아요. 해외 이주를 고민하는 사람의 넋두리였습니다.
@user-rh9ow9ww9r
@user-rh9ow9ww9r 7 ай бұрын
오랜만에 건축물 시리즈 감사합니다 교수님 :D
@riggs8146
@riggs8146 7 ай бұрын
국회의사당 돔이 지금에선 국회의사당의 상징처럼 됐지만 개인적으로 없는 것이 더 깔끔하고 보기 좋았을 것 같아요.
@oriie38474
@oriie38474 7 ай бұрын
원래는 없던 디자인으로 계획됬던..
@user-qh3qe4ge4e
@user-qh3qe4ge4e 7 ай бұрын
원래 건축가는 돔 넣을 생각 1도 없었는데 국회의원들이 와서 돔 넣으라고 지랄지랄하니까 개억지로 ㅈㄴ 큰 돔 그려넣어서 '봐라, 돔 넣으면 건물 개판된다'라고 보여주려고 그림을 보여줬는데 국회의원들이 '이거 좋은데? 그대로 진행하쇼' ㅇㅈㄹ해서 비례도 안 맞고 의미도 없는 저따구 건물이 됨...
@choec1072
@choec1072 7 ай бұрын
@@user-qh3qe4ge4e 예쁘지도 않고 의미도 질이 나쁘고 걍 전형적인 한국공공건축물
@Ycmjg37143
@Ycmjg37143 7 ай бұрын
@@choec1072 그리고 우리나라의 국회의사당의 돔은 아무 쓸모도 없죠. 그냥 평지붕 위에다 설치해놓은거니깐요.
@sund8569
@sund8569 7 ай бұрын
근데 돔 없는게 더 이상함..
@user-mc8fw2qr7i
@user-mc8fw2qr7i 7 ай бұрын
독일은 위대한 나라다 한국도 국회를 멋지게 건축해야 한다
@stern121
@stern121 7 ай бұрын
1:15 맞서 싸운 상대와 지배했던(지배 당했던) 상대는 다를 겁니다. 차라리 치고 박고 싸운 상대가 더 나은 관계가 되는거지 군림하고 지배했던 상대와는 좋은 관계가 되기 어려운 거죠. 영국과 독일은 그런 관계...
@homelessblanket
@homelessblanket 7 ай бұрын
오 저번주에 베를린 갔다왔는데 마침 독일 국회의사당에 대해서 다루셨네요
@limefantasia3952
@limefantasia3952 7 ай бұрын
건축의 완결점은 "어떻게 운용되는가" 인 것 같습니다.
@user-dp3tf3pg4w
@user-dp3tf3pg4w 7 ай бұрын
글쎄요,,, 교수님의 '인문건축기행'에도 같은 부분이 나오지만 저는 사실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엄밀히 말해서 독일과 영국의 관계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관계와는 반대죠. 독일과 일본은 전쟁을 일으킨 국가였고 우리나라와 영국은 전쟁을 일으킨 나라들에 의해 피해 혹은 참전한 국가였습니다. 승자와 패전의 관점이 아니라 전범국가와 피해국가의 관점으로 봤을 때, 영국건축가가 독일국회의사당을 지었다는건, 우리나라 건축가가 일본 국회의사당을 지은거랑 비슷한거라고봅니다. 마찬가지로, 독일의 건축가가 영국의 국회의사당을 짓는다고했을때... 글쎄요.. 영국인들이 쉽사리 통과하게 두었을지요... 더욱이나 전쟁 이후 독일의 태도와 일본의 태도가 매우 다른점을 봤을때, 일본인이 우리나라 국회의사당을 짓는다는 단순한 비교는 적절하기 어렵지 않을까요? 물론, 교수님의 전체 맥락은 무슨 말씀인지는 공감이 갑니다만 단순한 비교는 어렵지않나합니다.
@user-bn3iw2cn3e
@user-bn3iw2cn3e 7 ай бұрын
2차대전 가해국과 피해국을 동일 선상에 놓고 비교하시며 이래서 독일은 대인배다 하시는 건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가네요.
@jungcheon
@jungcheon 7 ай бұрын
세종에 있는 그 옥상공원은 예전부터 많이 비판 받고있네요. 우리나라는 언제쯤이면 그 공원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이 될지
@user-gg3lh8tf3g
@user-gg3lh8tf3g 7 ай бұрын
정부청사가 국정원 기준으로는 가급 보안시설에 해당하다보니 본인들 입장에서는 개방하는데 부담이 크겠지요. 지금도 신청을 통해 제한적으로는 공원 구경이 가능해서 한 번 가봤는데, 개방했을 때 보안통제나 테러 등 위협에 대한 대비가 쉽진 않겠더라구요.. 애초에 보안과 자유 사이의 타협점을 찾기 어려운 곳에 설치된 공원이 아닌가 싶기도 하고.. 많은 생각이 들었습니다. 차라리 서울시청 광장처럼 청사 사이사이에 녹지공간을 두어 국민이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면 옥상공원에 부여했던 가치가 발현할 수 있지 않았을까요?
@opppgi406
@opppgi406 7 ай бұрын
@@user-gg3lh8tf3g보안 유출 대부분이 윗대가리들 해처먹은거 뿐이던데😂
@Yomanghangeot
@Yomanghangeot 7 ай бұрын
우리나라는 '국가보안‘, ’휴전‘ 이거로 너무 많은게 규제당하고 있음. 불필요한 곳 까지.
@art.archi.travel
@art.archi.travel 26 күн бұрын
독일 국회의사당 레노베이션을 진행했던 노먼포스터와, 그의 건축 사무소 포스터 앤 파트너스의 프로젝트들에 대한 전시가 지금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고 있으니, 한번 꼭 가보시기도 추천드립니다!
@esea2761
@esea2761 7 ай бұрын
우아...우리나라에도 저런 건물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Ahyeon-dong_Ghost_Rider
@Ahyeon-dong_Ghost_Rider 7 ай бұрын
사람은 항상 배워야 한다는 걸 오늘 다시 느끼네여
@callc4466
@callc4466 7 ай бұрын
국회의원의 수준 진짜 공감되네요 그런 국회의원을 만든 국가 시스템,문화도 일조했을거고
@enahnk
@enahnk 7 ай бұрын
방글라 국회의사당은 원래 파키스탄으로 부터 독립(1973) 전부터 시작된 프로젝트이나, 독립이 되면서 설계와 건축이 상당히 변경되었습니다. 예산 또한 당초 계획안의 두배에 이르는 3천2백만불 정도가 들어갔죠. 중간에 원형 의사당이 있고 그 주변의 사각형 건물은 기능적인 역할을 하는곳입니다. 그래서 대의제 민주주의가 한 가운데 있다는 상징성을 드러내기도 하고요. 아울러 건물 벽면에 보면 아치라던가 원형 같은 파사드 구조가 보이는데 이는 자연 채광과 환기를 안으로 들이려는 목적도 있지만, 전통과 새로운 문화의 결합을 나타내는 벵갈리 전통문화적 상징에서 기인한 것입니다. 다카의 혼잡한 굴샨과 대비되어 상당히 공간적 미학이 돋보이는 의사당 건물이죠
@user-mt2gk2ho5w
@user-mt2gk2ho5w 7 ай бұрын
공간의 통역사!!!!! 명언입니다 띵언~~
@YS-tw2ce
@YS-tw2ce 7 ай бұрын
쉿 ... 비밀입니다... 둠 안에 태권V 있어요... 쉿 .. 비밀임...
@user-ef2jz9bb6v
@user-ef2jz9bb6v 5 ай бұрын
저거지 바로!! 여의도국회 절거할때됬다. 보기흉하다. 헌재도 대법원과 다시 합병해야한다. 놀고먹는예산은 줄이고 국가의 미래에 투자해야한다
@user-ip7gu2cy1h
@user-ip7gu2cy1h 7 ай бұрын
교수님 오늘도 짧은옷 입으셨네요 ㅎㅎ
@Gonaeng
@Gonaeng 7 ай бұрын
덕분에 루이스칸이라는 재밌는 사람을 알게 됐네요 오.. 방글라데시 국회의사당 되게 흥미롭네요
@user-jm4vp1mi3x
@user-jm4vp1mi3x 7 ай бұрын
노먼 포스터 아조씨는 단골이라 이젠 내적 친밀감 생김
@user-dv7uc4xf2g
@user-dv7uc4xf2g 7 ай бұрын
독일은 패전국으로 침략의 역사를 반성하고 돌아보는 계기로 남기는걸 용인한거고 일본은 아직까지도 부정하고 우리는 침략 수탈당한 국가인데 무슨 수준과 성숙을 논하는지 비교대상이 아닌거같습니다.
@user-dv7uc4xf2g
@user-dv7uc4xf2g 7 ай бұрын
@@user-mo2uv5mk4n 뭐가상관없어요 1,2차대전 전범국으로 수천만을 학살했는데 그게 성숙한거면 모든 살인이 후반성이면 합리화 되겠습니다.
@user-dv7uc4xf2g
@user-dv7uc4xf2g 7 ай бұрын
@@user-mo2uv5mk4n 전후 당시 의사당건물 얘기하는데 계속 무논리로 얘기하시네 독일은 주변국과 4강대국이 전부 압박하고 육로 해로로 교역을해야 배상도 하고 먹고사니 반성을 할수밖에 없는상황이였음에도 나이드신분들은 아직 추종자도 있고 유럽 약소국에는 전쟁 배상금의 정량적 계산도 제대로 안되었는데 일본극우한테 그런취급 당하는 대한민국 지금까지 이어지는데 뭔 평가하면 안된다는 소리가 나와요
@livelightly4623
@livelightly4623 7 ай бұрын
설명을 들으니 독일은 정치인들이 스스로 국민보다 낮아지고 투명해지고자 해서 그리 강한 국가가 될 수 있었구나 이해하게 됩니다.
@Ahdoemf
@Ahdoemf 7 ай бұрын
독일에는 태권브이가 없어서 아니었나요
@iilulu23
@iilulu23 7 ай бұрын
금지어가 있었는지 아침에 달아놓은 댓글이 안보이네요. 1:20 독일이 침공국이며 패전국이었기때문에 우리 국회의사당을 일본 건축가가 짓는것 보다는 일본의 국회의사당을 우리 건축가가 짓는다는 비유가 적절해보입니다.
@dreamwaters2523
@dreamwaters2523 7 ай бұрын
1:18 독일이 대인배인 건 맞는데 이 비유는 맞지 않아요. 한국은 일본의 침략에 피해를 당한 입장이고, 독일은 침략하려다가 패배한 입장이죠. 침략 의지를 반성하는 독일이라는 입장, 그걸 막아낸 승전국인 영국의 입장, 일방적으로 당하기만 하다가 일본의 진정성 있는 사과도 받지 못하는 한국의 입장. 다를 수 밖에 없죠. 정치적 상징 건물을 일본인이 짓는 건 일본이 독도를 노리고, 위안부를 부정하는 등 진정성 있는 사과를 하지 않는 한 이뤄질 수 없다고 봅니다. 그건 우리가 대인배가 아니라서가 아니라, 당연히 그래야 하는거죠.
@psw8989
@psw8989 7 ай бұрын
중국경제를 말할때 하는말이 지금 국민들 억압된 사회같은것에 불만 많으나 경제성장률이 높으니까 매년 더 잘살아지는게 느껴지니까 그냥 넘어간다고요 근데 2.x아래로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면 그런 불만등이 표출이 되서 그걸 중국공산당이 막기어려울수 있다고 말하죠 지금 한국이 딱 그 상황에 온거 같아요 경제성장률이 저성장으로 가면서 여러 사회문제가 계속 발생하는데 이제 돔가지고도 불만이 나오는거죠 그것도 우리보다 훨씬 선진국인 독일같은 곳이랑 비교를 하면서 말이죠 근데 이런불만들을 표출을 해야 바뀔테니 계속해야하는 부분일테고요 그리고 이런것들이 국민의식을 전반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될테고요
@user-zt4qm7uw8e
@user-zt4qm7uw8e 7 ай бұрын
왜 돔이냐고? 저기서 태권V 나오니까 ㅋㅋㅋㅋㅋ
@user-xn3ov4gp2n
@user-xn3ov4gp2n 7 ай бұрын
여의도 국회의사당 돔은 본 계획에는 없던 거라 그냥 평평한 지붕 위에 둥근 뚜껑 얹은 거임. 밖에서 보기에 권력기관임을 과시하고 싶어서. 실내에서 천장 보면 그래서 돔 천장이 아니고 평범하게 평평한 천장 ㅠ
@dshin7618
@dshin7618 7 ай бұрын
개인적으로 베를린 여행 필수코스라고 생각합니다. 건축적, 정치적 이미지도 좋지만 저 돔에서 본 석양이 아직도 생생할 정도로 경치가 좋은 건물입니다.
@user-yv4wn1ek3d
@user-yv4wn1ek3d 6 ай бұрын
영국 국회의사당도 검문만 통과하면 바로 참관이 가능합니다. 학생 때 배낭 여행으로 런던에 갔을 때, 영국 의사당 근처에서 갤러리란 표식이 있길래 미술관인 줄 알고 거기로 들어갔어요. 그런데 엄격한 검문절차가 있어서 의아했는데, 들어가 보니 여야 토론이 벌어지고 있던 의사당 참관석이더라구요. 우리는 국회의사당 참관하려면 절차가 복잡하고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영국 의사당 참관을 하고나서 영국이 왜 민주주의의 근본 국가라고 하는지 수긍할 수 있었죠.
@user-gd7ys4ks5h
@user-gd7ys4ks5h 7 ай бұрын
독일이 영국건축가를 고용한건 어떤 반성의 의미가 아니었을까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나라가 일본건축가를 고용했겠느냐하는 비유는 많이 잘 못 된 것 같습니다. 일본 국회의사당 건축에 한국 건축가를 고용했겠느냐 비유하는것이 맞지 않을까 합니다.
@slowvideo
@slowvideo 7 ай бұрын
태권브이 기지 아니었나요
@user-zf9gy6vy7c
@user-zf9gy6vy7c 7 ай бұрын
마징가제트 나오는 곳임
@wald9118
@wald9118 7 ай бұрын
교수님 설명을 듣고나니 독일의 국회의사당 정말 의미가 있었네요. 근데 우리나라는 저 안에서 소리지르고 쌈박질 하는데...창피하네요.
@ISAIAH-KOR
@ISAIAH-KOR 7 ай бұрын
탁 건물 옆쪽으로, 적당한 산책로도 있어서 좋아요 ㅎㅎ
@user-wy5rn8jy2f
@user-wy5rn8jy2f 7 ай бұрын
도시 공원 관련된걸 재밌게 봤는데 포항 철길숲 공원도 리뷰해주세요!
@Edit
@Edit 7 ай бұрын
같은 돔에 다른 의미 독일이 부럽습니다
@user-co2kv9ld8p
@user-co2kv9ld8p 7 ай бұрын
현준님 다음에는 한번 돔과 같은 상징적인 요소가 많이 차지하는 건축과 상징성보다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건축 방식?방법? 과 같은 걸 주제로 다뤄봐도 재미있을것 같아요 그리고 요즘 건축가들은 상징과 효율 중 어느 부분에 더 많은 비중을 실으려하는지도 궁금합니다!
@happysmile2627
@happysmile2627 7 ай бұрын
효율은 기능인데 그건 모더니즘입니다. 모더니즘에서는 보통 상징성은 잘 안보이죠. 영상에서 루이스 칸의 국회의사당이 모더니즘 건축입니다. 상징성은 매너리즘인 하이테크나 포스트 모더니즘에서 자주 보입니다. 영상의 노먼 포스터의 국회의사당이 하이테크죠. 모더니즘과 하이테크, 포스트 모던은 현재 진행형입니다.
@user-rp5cj2yw2j
@user-rp5cj2yw2j 7 ай бұрын
한국 국회의사당 돔은 태권브이 나오게 하려고 만든거 아닌가요
@user-xc5cm3gl6n
@user-xc5cm3gl6n 7 ай бұрын
건축의 깊이 ㄷㄷ
@Tothepast_1
@Tothepast_1 7 ай бұрын
역시 국민(의원 포함)의 의식 수준 자체가 다르네요 우리나라가 저 정도 되려면 한 천년 정도 걸릴까요?
@daestongnyeon
@daestongnyeon 7 ай бұрын
세종에 생길 국회의사당에는 독일처럼 민주주의 철학이 반영된 건물이 나왔으면 합니다.
@user-pe1cf3dx7w
@user-pe1cf3dx7w 7 ай бұрын
현실은 그렇게 못하도록 국회새끼들이 법 제정할듯ㅋㅋㅋ
@Jamureable
@Jamureable 7 ай бұрын
오늘 여러 건축가 분들을 언급해 주셔서 흥미롭네요. 특히 네덜란드, 스페인, 이탈리아 건축가 분은 한번 쯤 찾아 볼 주제인 듯 하구요. 그리고 독일 국회의사당의 디자인이 '국회의원 보다 시민이 더 위에 있다.' 느껴지게 설계되어 있다는 점이 놀라웠어요!! '돔'' 건축물은 생선 돔이나(ㅎㅎ) 야구장 고척 돔에서 들어보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인천 청라돔 계획 중으로 알고 있습니다. 계획에 차질없이 진행되었으면 합니다.(돔 건축물은 많이 생길수록 좋으니까요!!) 영국의 총리가 현재 이민자 출신 (인도인) 출신인 거로 알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나라에서 그 지점이 흥미롭더라구여. 우리나라에서도 한번쯤은 고민해 볼 주제가 아닌가 싶습니다. 날이 많이 추워졌습니다. 감기 조심하시구요. 건강한 모습으로 만나 뵙길 기원하겠습니다!!!
@user-bh8kw2yj9j
@user-bh8kw2yj9j 7 ай бұрын
인간의 건축물은 무척이나 아름다운 오염물인듯 합니다
@sing1song2u
@sing1song2u 7 ай бұрын
이미 설계가 결정되었는지 모르겠지만, 교수님의 세종 국회의사당은 어떤 형태로 만들어야 하는 지에 대한 의견이 궁금합니다.
@jejeje1886
@jejeje1886 7 ай бұрын
국가 위기상황에서 돔이 양옆으로 열리면서 태권도v가 나온다고 초등학교2학년까지믿었는데....
@JWCho-op8xn
@JWCho-op8xn 7 ай бұрын
아.. 약~~간 다른 게.. 독일은 전쟁을 일으킨 가해자고.. 우린 피해자.. 영국이 영국의회를 독일 사람에게 맡겼다면 인정. 😅
@user-zc7bu8ng1s
@user-zc7bu8ng1s 7 ай бұрын
저기서 로봇 나오는데 무슨 소리를 하는거임
@user-do9gr2tc9v
@user-do9gr2tc9v 6 ай бұрын
독일 브란덴부르크 문 뒤로 프로이센 전승기념탑까지 쭉 뻗은 운터 덴 린덴로를 따라 걷다 보면 중간에 탱크모양으로 문이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게 소련군 전승기념비로 동독을 점거한 소련이 나치를 굴복시켰다는 기념과 자국 군인들의 추모를 의미하는 것으로 세워 놓은 것이에요 생각보다 상당히 거대하고 소련의 국가상징도 철거되지 않은 채 그대로 있습니다 이런 어찌보면 치욕스러울 수 있는 건축도 역사로써 보존하는 게 독일이라는 나라가 과거를 바라보는 태도인 것 같아요
@chanyounglee3974
@chanyounglee3974 7 ай бұрын
LG아트센터에 대해 말씀도 해주세요~
@chunglee8005
@chunglee8005 7 ай бұрын
어려서 궁금했던 기억나는데 알게 되네요! 어려서 친구들과 주변에서 전쟁나면 돔이 열리고 마징가가 나온다곤 했었는데ㅋ, 돔 형상에 대한 역사적 의미가 이해됨.
@user-ic3cq7ih9e
@user-ic3cq7ih9e 7 ай бұрын
재일교포 건축가로 제주도에 포도모양의 호텔을 만드신 분이 계시던데, 그분의 건축도 다루어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TV에서 얼핏봐서 이름을 모르겠군요. 지금은 따님이 뒤를 이어 설계회사를 운영하고 계신것 같습니다.
@Manual2.0
@Manual2.0 4 ай бұрын
일본을 못 받아들이는 우리는 소인배냐?ㅋㅋㅋ
@pasan_37
@pasan_37 7 ай бұрын
한국도 독일의 시민의식을 본받았으면 좋겠네요
@joyjeon249
@joyjeon249 7 ай бұрын
대한민국 국민이 뽑은 사람들이 일하는 한국건물에 한국이 없는게 안타까울뿐이네여..
@rogo5646
@rogo5646 7 ай бұрын
진짜 수준이 너무 다르다 ;; 세종시 사례 이야기 들을 때도 개 빡쳤는데 비교 사례 보니 더 한숨만 나오네요
@sowhat-kn8rg
@sowhat-kn8rg 7 ай бұрын
교수님의 이야기를 듣고 어떻게 독일이 2번의 2차세계대전에서 패배했음에도 일어설수 있었는지 알게된거 같습니다.
@user-ii2bd9wi7y
@user-ii2bd9wi7y 7 ай бұрын
보존해야 할 가치.... 이게 오래된 것이라고 다 보존해야 할 가치가 있는 건 아니죠. 상처를 주는 오래된 흔적. 예를 들어 강간 당한 기억을 되살리는 오래된 흔적. 이런 걸 보존해야 하지는 않겠죠. 아픈 기억도 보존해야 할 필요는 있지만, 어떤 기억은 고통만 주고, 반성과 전진에 도움이 안되는 것도 있죠. 그런 건 없애버려야 합니다. 기억과 오래됨을 절대화할 이유는 없습니다. 오래된 서울시청 남겨 둔 것도 보면, 어처구니가 없죠. 그저 흉물에 불과한데도 그걸 문화유산이라고 하다니.
@jyj1114
@jyj1114 7 ай бұрын
여의도 국회의사당의 돔은 의원들의 특권의식과 허세의 상징물 이라고 생각합니다.
@SeobiY
@SeobiY 7 ай бұрын
우리나 국회의원님들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는 의식들이 있으실 겁니다. 항상 선거 때 보면 말씀하시는 게 국민의 공복이라고 스스로를 낮추시니까요.
@user-tc1hn3dl9f
@user-tc1hn3dl9f 7 ай бұрын
옛날에 국회의사당돔에서 로보트태권V가 출격한다 그런 소문이 있었죠.
@DEWGGYUN
@DEWGGYUN 5 ай бұрын
아하 ㅎㅎ 저는 부른 배를 뜻하는 줄 알았죠
@jkpark5495
@jkpark5495 7 ай бұрын
한국의 국회는 한국을대표하는사람들이 모여서 토론을하고 이끌어나가는곳이기에 한국의제일위급시 돔으로되어있는 딱까리가 열리면서 지하에있던 로봇 태권 V 가출동 하기위해서 돔으로만들었다
@L_00K1NG
@L_00K1NG 7 ай бұрын
태권브이때문에 있는거 아니었나요
@daewookim8011
@daewookim8011 5 ай бұрын
태권브이를 격납해야 하니까요~
Tour of Cheong Wa Dae, the President's Space
18:25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897 М.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Китайка и Пчелка 4 серия😂😆
00:19
KITAYKA
Рет қаралды 3,7 МЛН
Whyyyy? 😭 #shorts by Leisi Crazy
00:16
Leisi Crazy
Рет қаралды 19 МЛН
Is Gaudi Really a Genius?
12:02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834 М.
🇹🇷 넷플릭스 [오스만제국의 꿈]으로 보는 콘스탄티노플 함락
16:23
조승연의 탐구생활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텍사스로 이사하지 않는 이유
5:36
달라스 부동산 & 융자
Рет қаралды 57 М.
가장 애플스러운 건물, 원형 모양일 때 장단점은?
12:15
What happens when constructing the world's highest building?
13:28
셜록현준
Рет қаралды 547 М.
[2탄] 유현준 교수와 알아보는 [미국 vs 중국] 독특한 건물 @Sherlock_HJ
14:26
FOOLED THE GUARD🤢
00:54
INO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