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전 - 기인(奇人) 개혁을 꿈꾸다, 토정 이지함

  Рет қаралды 613,680

KBS역사저널 그날

KBS역사저널 그날

4 жыл бұрын

‘토정비결’의 저자로서 솥갓을 쓰고, 마포강가의 흙집에 산 기인(奇人)으로 알려진, 토정 이지함.
그는 명문 사대부 집안 출신으로 스스로 사회의 가장 밑바닥으로 내려가 가난한 백성들의 고통을 어루만져준 시대의 귀인(貴人)이었다.
- ‘토정비결’의 미스터리, 왜 이지함의 저작으로 알려져 있는가?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부터 매년 정월마다 토정비결을 보는 풍습이 전해오고 있다. ‘토정비결’의 저자로서 미래를 점치는 기인(奇人)으로 알려진 토정 이지함.
"아내의 가문에 길할 기운이 없어 떠나지 않으면 장차 화가 저에게까지 미칠 것입니다."
그는 장인의 신변에 이상이 생길 것을 예견, 가솔을 이끌고 움직여 당대 최대의 정치적 무고사건인 청홍도 사건에서 살아남았으며, “15년 후에는 이 나라에 피가 천리나 흐를 징조이다.”라고 일찍이 임진왜란을 예언하기도 했다.
이지함이 백성들의 고민거리를 풀어주고, 처방하기 위해 지은 책이라 알려진 ‘토정비결’ 그러나 ‘토정비결’에는 저자가 기록되어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선의 풍속서 어디에서도 그에 관한 기록을 찾을 수가 없는데...
70% 이상이 행운의 괘로써 삶에 지친 민중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책, ‘토정비결’ 저자를 둘러싼 미스터리 안에 이지함에 관한 진실이 담겨있다.
- 조선 최초의 양반 상인, 토정 이지함
이지함은 밥을 해먹기 좋도록 머리에 갓 대신 솥을 쓰고 다녔으며 마포강가에 흙집을 짓고 살았던 기인(奇人)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가 ‘토정’을 지은 마포는 지방의 산물과 서울의 시장이 최초로 만나는 상업과 유통의 중심지였다. 이지함은 마포의 상인들과 어울리며 장사에 관한 살아있는 지식을 배우고, 직접 박 장사를 하여 막대한 부를 끌어 모으게 된다. 당대 최고 사대부집안의 자손이었던 이지함.
상업이 가장 천대받던 시대에 그는 양반으로서의 권위와 부를 버리고 스스로 사회의 밑바닥에 내려간 것이다.
이지함은 자신이 터득한 장사방법을 주민들에게 전수해주고, 축적한 곡식을 모두 빈민들에게 나누어준다. 양반인 그가 장사를 한 이유, 그것은 바로 빈민들을 돕기 위한 것이었다.
- 시대를 앞지른 선진적 경제사상을 발휘하다
쉰일곱이 되던 해, 재야에서 성리학 외의 다양한 학식을 접한 이지함에게 드디어 현실을 개혁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된다.
선조의 등극으로 정국이 바뀌면서 그가 관리로 등용된 것이다.
백성들과 함께 생활하며 그들의 고통을 누구보다 잘 헤아리고 있었던 이지함은 가난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은, 옥 등의 산림자원과 해양자원을 개발, 해외에서 유통 시키자고 주장한다.
소수 지배층들이 독식하고 있는 자원을 국가가 관리해서 외국과의 통상을 통해 부를 축적하자는 것이다. 이 해외통상론은 18세기 영국의 경제학자, 아담 스미스의 ‘국부론’보다 무려 200년이나 앞선 파격적인 주장이었다.
이지함은 시대를 앞선 선구적인 경제사상가였다.
- 왕은 백성을 하늘로 삼고, 백성은 먹을 것을 하늘로 삼는다
백성을 가난에서 구제하고자 하는 열망은 이지함을 21세기형 복지가로 만든다. 민중들의 가난이 유난히도 가혹했던 조선 중기, 그는 현대적 개념의 빈민구제기관 걸인청을 설립한다. 걸인들에게 단지 먹고 잘 곳을 제공해주는 데서 그치지 않고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교육을 시키고, 그가 직접 관리감독까지 하였다. 이런 이지함이 죽은 후 백성들을 마치 제 부모를 잃은 것처럼 슬피 울었다고 한다. 그리고 백성들은 그의 선정을 기리는 영모비를 세웠다.
"현감 이지함이 떠난 것을 잊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영원히 추모하기 위한 비"
한국사전 12회 - 기인(奇人) 개혁을 꿈꾸다, 토정 이지함 (2007.9.8.방송)
history.kbs.co.kr/

Пікірлер: 374
@user-yc4ju7uk4x
@user-yc4ju7uk4x 4 жыл бұрын
눈물이 핑도는 이 느낌!! 어우러져 살아가야 할 국민을 어여삐여긴 저 고귀한 품격과 고뇌!! 가슴이 먹먹한 이 마음은 현실정치에 넌더리가 나서인 거겠죠. 너무 가슴이 벅찬 내용입니다. ★너무나 정석의 양반집 자손이셨네요★ 눈빛이 얼마나 품위있었갰습니까? 너무 애간장태우며 인간존중사상으로 사시다가...돌아가셨군요. 온갖 식탐 성욕 탐욕 쾌락을 움켜쥐느라 쌍놈(신분을 의미하는 상놈아닙니다)으로 살고 있는 위정자,타락한 재벌들이 새삼 더 더욱 재수없네요.
@user-fu9bj5tx4n
@user-fu9bj5tx4n 3 жыл бұрын
토정 이지함 선생님은 하늘이 내린 의인이셨습니다 백성을 내 몸처렴 사랑하신 분이시지요, 정말 멋진 분입니다👍👍👍👍
@user-ir1rt2of8d
@user-ir1rt2of8d 2 жыл бұрын
👍👍👍👍
@user-yv1pk4mx9u
@user-yv1pk4mx9u 2 жыл бұрын
순시리동생같냐?
@user-hv4tb6gk5w
@user-hv4tb6gk5w 11 ай бұрын
,
@user-qv6df5cw2g
@user-qv6df5cw2g 4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스런 학자이십니다 목은 이색의 피가 어디로 가겠습니까 대단한 선비시네요~~
@jangoon4069
@jangoon4069 3 жыл бұрын
그렇습니다. 한산 이씨 집안이지요. 감사합니다.
@user-zx8xl1pb8q
@user-zx8xl1pb8q 4 жыл бұрын
토정이지함 민중의 애환을 어루만져주신 너와나의 삶 역사 살아숨쉬는 마음의 중심자리 ?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덕분입니다 사랑합니다
@user-us1lm3vw5h
@user-us1lm3vw5h 3 жыл бұрын
무속인 기질을 지닌 천재인 줄만 알았는데 애민사상의 실천가였네요. 나라의 리더들이 이지함 같으면 이 세상은 천국일텐데..........
@user-ob4pp5dg1b
@user-ob4pp5dg1b 4 жыл бұрын
민심이 천심입니다 지금의 탁상공론보다는 행동하며 가르치신 분이 이지함이십니다 희망과 위로를 받게해주셨네요.
@user-xr8pb4wx6c
@user-xr8pb4wx6c 4 жыл бұрын
이지함이 진정 왕재로다...저런분이 왕이 되야 국민들이 진정 행복하지 않겠는가^^...
@heesoon6881
@heesoon6881 2 жыл бұрын
이지함을 이재명에 비유할까?
@user-jk9oj7fk6o
@user-jk9oj7fk6o 2 жыл бұрын
참으로훌륭하십니다
@eunicejj2298
@eunicejj2298 4 жыл бұрын
댓글 보면서 가끔가다 감동~ 이런 분들이 존재하는한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 건재함을 믿습니다 👍
@WhyHandleYouTube
@WhyHandleYouTube 3 жыл бұрын
캬~ 진짜 멋있다 이분👍 정조, 이순신 장군을 더불어 타임머신타고 만나보고 싶은분들. 존경합니다 🙏
@user-rg3sh9wt5u
@user-rg3sh9wt5u Жыл бұрын
선지자십니다 아대단한분이계셔서감사합니다
@user-fe9ww6cw7e
@user-fe9ww6cw7e 4 жыл бұрын
왜 이런 위대한 분들이 역사에 묻혀 이제야 알게 되었는지 ㅠ 유익한 방송 감사합니다 짝짝짝
@spring_waltz
@spring_waltz 2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하는 분.. 사는 게 힘들 때마다 이 영상을 보는데 보는 내내 흐뭇하고 정신이 맑아진답니다. 능력은 안되지만 조금이라도 닮은 삶을 살고 싶어요. 코로나 잠잠해지면 묘에 가서 꼭 인사드릴께요.
@user-dn2oh6zc4s
@user-dn2oh6zc4s Жыл бұрын
양반 신분을 버리고.백성의 입장에서서 직접 장사를 해서 가난한 백성에게 나눠주는 일은 임금도 하기 어려운일.이지함은 백성의 희망이고 의지할수 있었던분.
@user-br6pi4gb8h
@user-br6pi4gb8h 3 жыл бұрын
농촌마을 어촌마을 도시에 부처님의 자비와축복이 충만하시길 육십갑자일내내 기원합니다 소원합니다 기도당으로 인도해주옵소서 지장보살부처님 지장보살부처님 지장보살부처님
@joehenry8165
@joehenry8165 3 жыл бұрын
이이, 이황같은 고리타분한 성리학자가 아니라 이지함처럼 실용적인 마인드의 인재가 주류가 되었으면 조선이 달랐겠지.
@user-xt2nj4cx8n
@user-xt2nj4cx8n 4 жыл бұрын
토정이지암선생님!~💐 영상 감사드립니다_🙏_
@user-tj2qi2tf6v
@user-tj2qi2tf6v 4 жыл бұрын
이 채널에서 어사 박문수 보고 토정 이지함을 보니 아득바득 모으고 수탈을 일삼는 졸부들 보다 나눌 줄 아는 진짜 부자들을 보니 순간적으로 눈물이 한번씩 나려한다
@user-qc5zv4hf1d
@user-qc5zv4hf1d 4 жыл бұрын
무능한 사람들이 정치를하면 백성을 힘들게하고 욕심많은 사람 이 정치를하면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법은 악법으로 변할것이니 국민은 정치인을 잘뽑아 한다
@user-ls2jy2vy8i
@user-ls2jy2vy8i 4 жыл бұрын
박근혜 이명박
@user-lk7nq7lj7n
@user-lk7nq7lj7n 4 жыл бұрын
@@user-ls2jy2vy8i 님 전두환 노태우.
@user-kq6dm1dt6k
@user-kq6dm1dt6k 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bradleybeal686
@bradleybeal686 4 жыл бұрын
대깨문 대깨문 신나는 노래♪
@user-cd5vf7fy8d
@user-cd5vf7fy8d 3 жыл бұрын
@@bradleybeal686 그래서 경상도 애들이 정치하면 안되는 이유 ㅋㅋㅋ
@user-xp3bm6sw4c
@user-xp3bm6sw4c 4 жыл бұрын
이 역사저널 그날을 시청하고 나서ᆢ 토정 이지함의 사회복지사상 연구 주제로 학위논문을 썼습니다.제작진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사농공상 귀천 서열과 형식 명분 등 대립과 이분법에 매몰했던 교조적인 조선성리학 시대에 실사구시 개혁을 추구했던 몇 안되는 뛰어난 인물입니다.
@osw062
@osw062 2 жыл бұрын
멋지십니다.
@miyu4082
@miyu4082 4 жыл бұрын
정말 존경스러운 분이셨네요.. 지금의 위정자들이 보고 배워야겠습니다!
@user-kd5hn4lb2p
@user-kd5hn4lb2p 2 жыл бұрын
.
@user-kd5hn4lb2p
@user-kd5hn4lb2p 2 жыл бұрын
,010230
@dasan2528
@dasan2528 2 жыл бұрын
위정자 뿐만은 아니겠죠..
@user-jw4ow5uj3k
@user-jw4ow5uj3k Жыл бұрын
@@user-kd5hn4lb2p 1.3ㅡㅡ드
@mrparkgn
@mrparkgn 4 жыл бұрын
우리역사에 참 훌륭한 분들이 많았음에 고개숙여 감사드립니다. 제가 이 시대를 살아가는 활력소가 되네요
@thatshot3192
@thatshot3192 2 жыл бұрын
옮으신 말씀입니다. 저도 깊이 새기겠습니다.
@user-uv8wq4gq9x
@user-uv8wq4gq9x 4 жыл бұрын
저 위에 계신분들도 많이 보셨으면 합니다 정말 백성을 위한 맘 존경합니다~~ 그 분은 희망이였네여~
@sentilele
@sentilele 4 жыл бұрын
이런 실용적인 사상을 가진 정치인이 미래 기술혁명에 국운이 달린 시기에 꼭 필요합니다.
@user-hv2ij7xr2l
@user-hv2ij7xr2l 3 жыл бұрын
지금도...널려들있고....모두다보여줘도...어둠속.....눈뜬장님들아닌가요.....아주간결하고...간략하게.....모든뜻의미들보여줘도....어둠속...눈뜬장님들일뿐....아닌가여....
@user-ve6ux9em5w
@user-ve6ux9em5w 4 жыл бұрын
정말 대단하신분이네여.. 하지만 아직도 학생들의 역사교과서에는 이분의 이름은나오지않습니다.. 정약용보다 300년앞선 실학자이며.. 애민 정치가였네요
@liijldksliliij3976
@liijldksliliij3976 4 жыл бұрын
교과서 역사 왜곡과 축소는 피가 거꾸로 솟을 정도입니다. 중국에 있던 고려 천리장성도 북한에 만들어 놓았죠...압록강도 중국에 있죠 북한 경계가 아닌....한능검이 더 하죠
@teasankim9715
@teasankim9715 4 жыл бұрын
토정이야말로 하늘이내린 관리였읍니다 국민들의피를 빨아서 살려는시대에 성자같은 인물이였으니 길이 후세가들은 그를 존중하고 기려야할것입니다
@user-or2zh4fd1r
@user-or2zh4fd1r 4 жыл бұрын
멋지시다
@jeongobak2345
@jeongobak2345 4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 보겠습니다.
@jhsol93
@jhsol93 4 жыл бұрын
진짜 시간을 거슬러갔다가 보아도 될 정도의 인물이네요. 당대 최고의 민정가인 거 같습니다
@Eziekel10
@Eziekel10 4 жыл бұрын
훌륭하신 분들은 길이길이 기억하는것로~!
@user-tx7ke7ko6o
@user-tx7ke7ko6o 3 жыл бұрын
한국이 이렇게 승승 장구하는것은 훌륭한 인물들이 많이 뿌리를 뻗었기에 가능했다 하지만 아직도 만나면 다투고 헐뜯고 싸우는 것만 고치면 일등 나라가 될것입니다
@user-yp8rq1se3o
@user-yp8rq1se3o 4 жыл бұрын
어느시대나 있는놈들은 없는사람들꺼 뺐어 더 채우려고 하고 그런 부조리함을 없애려고 하는 자들을 쳐 내려고 하는건 변하지 않네요 토정 이지함 선생은 정말 훌륭하신 분이네요 이 시대에도 이런 분들이 일 할 수 있는 세상이길 원합니다
@soobok8619
@soobok8619 2 жыл бұрын
백성을 귀히 여기고 사랑하여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것에 감동하였네요. 조선에 경제 정책가가 되었어야 했군요..
@user-lr4oi9gi6z
@user-lr4oi9gi6z 4 жыл бұрын
토정선생이나 서경덕선생은 그 시절 양반들의 기본 학문인 역경에 능통한 인물들 이었다. 역학을 깊게 배워 미래예측능력을 갖춘 선지자들인 그들이 있어서 조선이 유지되었다고 생각되네요.
@user-pz6wv4tv3r
@user-pz6wv4tv3r 2 жыл бұрын
이지함에 대해서 많은것을 알게되엇습니다.
@blueuniverse494
@blueuniverse494 4 жыл бұрын
매일 한두편씩 즐감하고 있어요.새삼 재미를 느낍니다.
@user-zw2my4hb4d
@user-zw2my4hb4d 4 жыл бұрын
같은 한산이가로써 자랑스러운 선조이십니다.. 월남 이상재 선생님도 다뤄주셨으면 좋겠네요!
@user-ql8jl3pi3w
@user-ql8jl3pi3w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한산이가.ㅎ 목은선생의32대손 입니다
@cittabara8183
@cittabara8183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한산이씨 조상님들을 늘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지함산생님 묘가 있는 청라 근처동네에서 살고 있어요
@user-if5zb5rc1o
@user-if5zb5rc1o 3 жыл бұрын
자기전에 보면 꿀잠 자고 또 역사에 대해 알기도하고 진짜 하나하나가 명작임
@thatshot3192
@thatshot3192 2 жыл бұрын
언제나 그렇듯 선은 그 수가 적고 약하며, 항상 그 뜻이 막힌다. 선이라는 명분적 한계에 갇혀서 힘으로 누르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힘에 굴복당하고 와해된다. 좋은세상을 꿈꾸지만 막상 자기배 따시면 아무도 신경쓰지 않기때문이다. 이런 사람을 지키기 못 한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prcjhk
@prcjhk 4 жыл бұрын
정말 까맣게 모르고 있었네요. 좋은 분을 알게 되어 고맙습니다. 잘 봤습니다.
@user-lc2qv2ne5z
@user-lc2qv2ne5z 4 жыл бұрын
¹¹
@aliceyt7195
@aliceyt7195 3 жыл бұрын
@@user-lc2qv2ne5z 우리제부는아니져?
@user-qd3hx3jg6w
@user-qd3hx3jg6w 4 жыл бұрын
우유부단한 선조왕과 신하들 및 사리사욕에 찌들린 사대부 양반가들... 토정이지함은 그당시 민족 계몽가이자 혁명가로일세.
@user-je7tp6zh1i
@user-je7tp6zh1i 2 жыл бұрын
백성의 아버지 토정 이지함 같은 휼륭한 우리 조상님들 덕분에 우리 후손들이 굶주리지 않고 편안하게 살고 있지 않나 다시한번 생각하게 됩니다
@user-br6pi4gb8h
@user-br6pi4gb8h 4 жыл бұрын
기도합니다
@user-zd5pg2uc6p
@user-zd5pg2uc6p 4 жыл бұрын
지금도 마찬가지 있는사라은 양반 없는사람은 서민 천민 이 작은 나라는 변함이 없다. .
@user-lp5uz5vg2q
@user-lp5uz5vg2q 4 жыл бұрын
이지함 토정비결은 알고있었는데 이름은 몰랐네요~~~ 이같은 인물이 정치계에 많으면 좋겠습니다 ㅁ
@user-bu5vh8bz4w
@user-bu5vh8bz4w 3 жыл бұрын
오늘 좋은 역사공부을 했네요
@user-dt9bg6mz2w
@user-dt9bg6mz2w 2 жыл бұрын
이지함선각자에 대해 잘 알수 있었습니다. 참 멋진분이십니다.
@user-ol2lo3fu9c
@user-ol2lo3fu9c 3 жыл бұрын
진정한 양반이었네요
@nurse12320
@nurse12320 Жыл бұрын
굉장한 경제 혁명가 였네요🙏🙏🙏
@user-mh3br3rb9i
@user-mh3br3rb9i 10 ай бұрын
토정 이지함 선생 역할을 하신 김민승 배우.. 형..그립습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magickey3277
@magickey3277 4 жыл бұрын
소설토정비결을 읽은지가 하도오래되서 지금다시접하니까 감회가새롭네요
@user-ig8wl2hs8r
@user-ig8wl2hs8r 2 жыл бұрын
토정 이지함의 대인설을 읽어보라...그가 그렇게 파격적인 행보를 한 배경을 보면 그야말로 대인임을 알 수 있다 어쨌건 토정이야 말로 후세 실학사상의 선구요 그의 포부와 경륜은 길이 이어나가고 배워야할 역사의 지표가 되어야 할 것이다
@user-fy2ru7kf7j
@user-fy2ru7kf7j 4 жыл бұрын
참 존경받을 위인이었네...지성을 실천하는 지도자
@user-mo1th1hb4u
@user-mo1th1hb4u 3 жыл бұрын
이지함선생님같은신분이 다시 한번 한국 나타야만이 국민들이 살수있다ᆢ박정희 태통령님분 과도 이지함선새님 똑같이 영웅이시다 ᆢ
@user-dr5ot8iy1e
@user-dr5ot8iy1e 4 жыл бұрын
살아있는 생불이시다 ...저분이 부처가 아니면 뭘까요
@chriskim2958
@chriskim2958 4 жыл бұрын
언제나 시대를 앞서간 위인들은 존재했군요. 다만 그걸 발굴 및 밀어주지못해 변혁이 안될뿐. 오늘날에도 이지함같은 인물이 어디선가 빛을 못보고 살아가고 있을듯
@user-yy6gv6bg6i
@user-yy6gv6bg6i 4 жыл бұрын
그게 접니다. 나같은 시대를 앞서가는 인물이 이렇게 빛을못보다니...참으로 애통합니다
@user-hv2ij7xr2l
@user-hv2ij7xr2l 3 жыл бұрын
@@user-yy6gv6bg6i 나도한자리낍시다....이나라전국민들복지국가만들기....대열에......한자리낍시다.....각자서로다른사명를받은자들이기때문에....복지혜택을받고있는자라서말입니다....
@principlegogo
@principlegogo 3 жыл бұрын
한산이씨 후손으로 명리 기문둔갑 점학을 의도치 않게 운명적으로 다루고 공부 하고 있는데,조상님처럼 백성들을 위해 쓰고는 싶기는 하나 쉽지는 않네요..백성들을 위한 마음과 뜻 너무도 존경스럽고 많이 본받도록 하겠습니다.
@bemyself596
@bemyself596 3 жыл бұрын
저도 한산이씨의 후손인데 멋지십니다. 저도 우연히 명리학에 관심이 생겨 조금 공부했었습니다. 응원합니다
@user-ql8jl3pi3w
@user-ql8jl3pi3w 2 жыл бұрын
저도 한산이가 이색목은선생 32대 후손 입니다. 목은선생님이 어린시절 외가에서 자란곳 영덕영해 호지말 이라는 곳/대진해수욕장 가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는 작은시골마을 남씨집성촌/목은공원이 있습니다. 저의고향이기도 하지만 목은선생의 학자로서의 이곳저곳에 영양을 미친 손길에 늘 자랑스럽습니다.
@cittabara8183
@cittabara8183 2 жыл бұрын
종로 수송동에 화수회 건물이 있고 그 옆에 이색선생님 영당이 있어요. 이쪽 사는 동네도 한산이씨 집성촌들이 모여있구요. 마포에 올초에 올라갔다가 이지함선생님 동상이 있는거 보고 반가웠네요. 마포축제때 토정비결 보는 할배들이 오시는데 후손이라고 하면 반가워하더라구요
@user-mr2gw8ry7f
@user-mr2gw8ry7f Жыл бұрын
@peterlee7282
@peterlee7282 Жыл бұрын
한산이씨. 명문가 입니다. 고려말에 대제학였던 목은 이색. 토정 이지함, 이산해 등등요. 근대와서는 월남 이상재선생과 성균관대학의 2대 총장 이훈구 박사, 조선역사 70인에나오는 이하복박사 등 훌륭한분들이 많이 있지요.
@user-me1zm8vb8i
@user-me1zm8vb8i 4 жыл бұрын
흐르는 시간을 잡아두기엔 너무나 벅찬 하루를 살아가는 듯 오늘 아침에도 수 많은 인파들과의 아침 운동을 보냅니다 한 잔의 커피 맛도 공원에서 마시니 기분은 나이스랍니다 오월에 아침이 더욱싱그럽습니다 날씨도좋고기분마져 상큼하게 보내신다면 더욱좋겠지요? 멋진하루 소중하게 보내세요
@user-mc8bc9rl4z
@user-mc8bc9rl4z 4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user-hy9ee2un5q
@user-hy9ee2un5q 4 жыл бұрын
우리 마음속 깊히 잠드소서
@doroshi99
@doroshi99 4 жыл бұрын
이지함이 지금시대사람이었으면 곡식을 나누어주기도하겠지만 그 돈으로 학교를 세워서 아이들을 가르쳤을것같다. 저 시대는 신분제때문에 천민은 배워도 할수있는게없던시절이니까. 참..우리 선조들이 살아온 역사이지만 정말 답답해서 숨이 막힐거같아. 밝은면이 있으면 어두운면이 있는게 당연한것인데. 당대사람으로 저런행동을 한다는게 정말 비범하네요
@user-ht9yn1xc7e
@user-ht9yn1xc7e 4 жыл бұрын
사립학교도 옛말입니다 ,학교 건립해놓고 엉뚱한짖 하기 딱 맞는 제도하에 있으니 말입니다 ,
@brosong1095
@brosong1095 4 жыл бұрын
학교가 사회적 신분을 높이기 위해서만 존재할 필요 없죠. 농업기술이든 포목기술이든 상업이든..삶의 자기결정에관한 배움이든.. 뭐든 가르칠 수있는데 굳이 그걸 또 학교라는 공간에 한정시킬 필요가 없었기 때문에 하지 않았다봅니다
@user-qd3hx3jg6w
@user-qd3hx3jg6w 4 жыл бұрын
우유부단한 선조왕과 신하들 및 양반가들... 그시대에 토정이지함은 민족의 계몽가이자 혁명가로일세.
@peterlee7282
@peterlee7282 Жыл бұрын
그에 후손인 조선역사 70인에나오는 이하복박사가 사재로 중고등학교를 세워지요.
@user-zn8vr7js5t
@user-zn8vr7js5t 4 жыл бұрын
이런 의로운 선비가 있었는 줄 미처 몰랐네요.
@user-vg9he5jo5s
@user-vg9he5jo5s 4 жыл бұрын
16c 조선이나 2019년 대한민국이나 가진넘들이 또 가지고 더 많이 가지는것은 변함이 없네요.. 그나저나 토정 이지함 이라는 분 정말 대단하신분 이였네요.. ㅜㅜ
@user-wi7li8wy8k
@user-wi7li8wy8k Жыл бұрын
내가 한산이씨 이지함의 후손이라는게 자랑스럽다.
@user-qx3vj5ph6n
@user-qx3vj5ph6n 4 жыл бұрын
향상 평화
@teasankim9715
@teasankim9715 4 жыл бұрын
율곡이여 어디 할일이없나 살펴보게나 눈은 무엇하러 있는가 네조국이 그작당에 빠진것을 왜보지못했던가
@JeongKyuLee1
@JeongKyuLee1 Жыл бұрын
그동안 알려져 있지 않던 성인. 애민으로 오롯이 궁리하던 이런분들 좋은 프로로 많이 발견해주세요.
@teasankim9715
@teasankim9715 4 жыл бұрын
의란 백성이 사람처럼 사는것이고 이는 백성이 풍요히 사는것이리라
@user-zr4cr6ty6f
@user-zr4cr6ty6f 4 жыл бұрын
선구자..♥♥♥
@wellbeing1006
@wellbeing1006 8 ай бұрын
조선시대 최고 명문가문 한산이씨 후손으로써 자랑스러운 선조님이시네요~ 저도 목은 이색의 23대손으로써 토정 이지함선생과 그의 조카 영의정 이산해선생에 대한 얘기를 많이 들었습니다.
@21ship69
@21ship69 2 жыл бұрын
존경합니다, 애민 실천가 이지함님
@cmyk01092
@cmyk01092 2 жыл бұрын
정말 감동의 눈물이 흐를수 밖에 없네요 ㅠㅠ 제 절친이 이지함씨 후손인데 정말 피는 못 속이는 건가요 제 친구도 지금 미국에서 교수로 인종차별, 여성권리를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또한 그녀로 인해 많이 영향을 받고 노력하고 있구요. 제 친구또한 점술학에 관심이 많은걸 보면서 어쩜 이렇게 이지함씨를 닮았는지 또 한번 놀라고 갑니다. 정말 친구한테 더욱더 잘해야 겠어요.
@cittabara8183
@cittabara8183 2 жыл бұрын
역시 피는 못속이나보네요. 학자들이 많이 나오는 집안이라 친구분도 올곧게 교수님을 하고 계시네요.
@user-qs8hp3ht8d
@user-qs8hp3ht8d 4 жыл бұрын
그는 ... 사회서비스론을 미리 알았다... 복지를 시행하더라도 일을 하게 만들었다.
@user-gh8qu5jn7v
@user-gh8qu5jn7v 3 жыл бұрын
토정 이지함선생과 화담 서경덕선생의 호를 따서 담정학이란 학문이 우리나라에 기문둔갑학의 다른 명칭으로 불리웁니다. 토정선생의 토정비결은 많은 왜곡이 있다고 보여지고, 실제 토정선생의 예측학은 월영도라는 책으로 전해져오고, 실제로 월영도를 사용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월영도로 배우자의 성까지도 정확하게 나옵니다.
@chopachopa
@chopachopa 3 жыл бұрын
허균, 이지함 이런 사람들이 진짜 앞서간 선각자인데...
@user-wy4vw1nv5g
@user-wy4vw1nv5g Жыл бұрын
에나 지금이나 앞서가신분들 개혁적인분들의 삶은 고단하네요.. 이런분들의 삶이 편안한 세상을 고대합니다
@byeogso6607
@byeogso6607 Жыл бұрын
암유....!!!
@user-im4yy9hf1u
@user-im4yy9hf1u Ай бұрын
'참으로 참으로 참으로 훌륭하신 선조님'이시군요~~~
@sangdodong
@sangdodong 4 жыл бұрын
국가주도의 자원개발, 해외통상 주장, 재활기관 창설, 사회복지.. 어느 시대에나 천재는 있구나...대체 몇백년을 앞서간건지..
@user-hv2ij7xr2l
@user-hv2ij7xr2l 3 жыл бұрын
동감입니다......이세상은.....천재들에의해...만들어지는것들아닌가요....어둠속에눈뜬장님들이...대부분이겠지요......덩달이때들...창조창의외쳐대며....그저똥배체우기밥버러지들아닌가요....너나나나할것없이....
@hoseongkim708
@hoseongkim708 3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이십니다. 근데 왜 사진이 레이건 대통령 얼굴 입니까? 이사람은 이지함과는 전혀 다른 유형의 사람인데... 신자유주의를 신종하여 부자들 세금 깍아주고 빈부 격차를 야기한 전형적인 보수주의자 인데
@sangdodong
@sangdodong 3 жыл бұрын
도라인가... 하든말든 내 맘이지... 별걸 다 지랄이네 정치병환자인가
@user-ro5nq5ze7h
@user-ro5nq5ze7h 2 жыл бұрын
@@hoseongkim708 ㅋㅋㅋㅋㅋ
@norinee
@norinee Жыл бұрын
진짜 공감갑니다
@REINHARD-qs3hr
@REINHARD-qs3hr 4 жыл бұрын
임상옥 보다 먼저 실천하신 분이네.. ㅋㅋㅋ
@user-lt9gw8kw7h
@user-lt9gw8kw7h 2 жыл бұрын
존경스럽습니다
@Like_a_pringles
@Like_a_pringles 4 жыл бұрын
기인이라기보단 현인에 가깝다 거기다 시대를 너무 앞서간 인물
@user-dn2oh6zc4s
@user-dn2oh6zc4s Жыл бұрын
지금시대에도 이지함같은 분을 찾기 어렵지요.
@TV-fb8zv
@TV-fb8zv 2 жыл бұрын
신분타파, 시장경제, 지금의 체제를 조선중기에 생각해낸 천재이자, 실천가이며 진정애민을 했던 위인입니다.
@user-nn1py4oc7v
@user-nn1py4oc7v Жыл бұрын
한신이씨
@gwangyu1020
@gwangyu1020 4 жыл бұрын
조상님... 후손으로써 자랑스럽습니다. 감사합니다.
@user-bt8kn9nb8s
@user-bt8kn9nb8s 4 жыл бұрын
한반도는 자원이 없다고 하지만 3면이 바다여서 간이 된 맛있는 음식을 얻을 수 있었으면서 그를 만들 수 있고 이어가려는 인재가 있었고 그를 수탈?!하려는 권력자가 되려는 자가 많았다 지금은 그 권력자가 노예이거나 갑질하려는 노예이거나 아니면 슈퍼갑이지만...
@user-mh9vj5yt8t
@user-mh9vj5yt8t 2 жыл бұрын
이지함 선생님을 보니 한산이씨의 훌륭함이 엿보이내요 여자들조차도 돌림자쓴다고하니 훌륭한 집안
@cittabara8183
@cittabara8183 2 жыл бұрын
앗 화자돌림이시니 제 아버지 항렬이시네요 ^^
@wellbeing1006
@wellbeing1006 8 ай бұрын
화자 돌림이시면 제 아들 항렬이네요
@sentilele
@sentilele 4 жыл бұрын
어떻게 보면 아담스미스보다도 먼저인듯
@user-sg5mg4qq5z
@user-sg5mg4qq5z 4 жыл бұрын
2세기앞이라고 말했자나
@user-mo8pn4qr7w
@user-mo8pn4qr7w 3 жыл бұрын
정치인들아...제발...좀 닮아라...
@cittabara8183
@cittabara8183 2 жыл бұрын
한산이씨 후손으로 태어나 영광이네요.
@damn6348
@damn6348 4 жыл бұрын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chriskim5929
@chriskim5929 4 жыл бұрын
지금 이지함이 필요하다.
@user-fj1zm6hl3d
@user-fj1zm6hl3d 4 жыл бұрын
경주 최부자도 그렇고 이지함도 그렇고 왕으로 태어나셨어야 할분들이네요
@user-qs7pq1zt3k
@user-qs7pq1zt3k 2 жыл бұрын
토정비결이니까 토정이지함이 쓴거맞는듯 저자를 굳히 밝히지않아도 토정이랑 호를 책이름에 넣은걸봐선 토정비결 저자를따로기록안해도 알수있을꺼라는거때문애 따로 기록안해둔듯
@alog6688
@alog6688 Жыл бұрын
토정선생님의 부고소식 21세기를 사는 제가 다 슬프네요... 선생님의 마음가짐과 실천력 잊지 않겠습니다. 그리고 나막신 신고 솥머리쓴 몸짓, 마치오늘날의 행위예술가 같습니다.
@user-eo3gx6mr2e
@user-eo3gx6mr2e 3 ай бұрын
와 대단합니다
@user-rm6rp5xu7x
@user-rm6rp5xu7x 2 жыл бұрын
그때의 지배층이나 현재의 권력층이나 어쩜그대로인지ᆢ
@user-ht9yn1xc7e
@user-ht9yn1xc7e 4 жыл бұрын
옛날 제도 이야기 하기 보다도 현제까지도 그 제도가 이어져 오고 있으니 어찌 하오리요 .현제의 투기 공화국 이 실정을 어찌 하오리요 .나라를 꾸리는 님들중에도 앞장서서 이짖을 해대니 말이요 .민주공화국 이란 미명 아래 없는 자들의 등을 쳐대는 부자들의 횡포가 극에 달해 있으니 이 망국의 길목에서 해결해줄수 있는이가 그 누구요 .
@user-vi8mz5kg3d
@user-vi8mz5kg3d 3 жыл бұрын
아산에 살고있는 저로서는 이지함에 관해 궁금했었는데 도움이 되었네요
@haleyfenwick8536
@haleyfenwick8536 4 жыл бұрын
이지함께서 조선의 왕이셨다면 우리의 오늘은 어떠할가 생각해 봅니다.
@tv-ul6bp
@tv-ul6bp 3 жыл бұрын
같은 한산이씨로써 보면 토정비결은 선생이 쓰셨어도 썼다 안하셨을것이고, 다른이가 선생이 쓰지않으셨다해도 개의치 않아하셨을겁니다.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4 жыл бұрын
만약 이씨조선에 토정 이지함 같은 선구자 들이 100명만 있었다면 사농공상을 천시한 이씨조선도 발전을 할수 있었는데 정말로 통탄 스럽다.
@jjk2769
@jjk2769 4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사농공상은 동아시아 국가 전부 해당이었는데 무슨;;;
@user-kt8yp5ho2y
@user-kt8yp5ho2y 4 жыл бұрын
S.D K 그러나 열도 섬 오랑캐들은 상공업을 부흥해서 근대화를 일으킴. 그게 분하다는 거죠. 이래서 농업을 동아시아에서 단절 시켜야함:
@jjk2769
@jjk2769 4 жыл бұрын
@@user-kt8yp5ho2y 농업을 동아시아에서 단절시키면 다같이 굶어 뒤지라는 소리밖에 더 됨? 애초에 산업혁명 이전까지도 유럽 또한 농업으로 굴러가는 나라들이었는데??? 오베르트 그 호로새끼가 대원군 아버지 묘만 도굴 안했어도 서양에 비교적 호의적이던 대원군이 속도조절 해가며 문호 개방 했을꺼임.
@user-hv2ij7xr2l
@user-hv2ij7xr2l 3 жыл бұрын
지금도...널려있씁니다....각자받은사명들속에....아주간단명료간결하게...보여줘도...어둠속눈뜬장님들아닌가요.....
@jkim3084
@jkim3084 3 жыл бұрын
죄송합니다 이 세상 살아 본 경험자로서 이순신 백의종군 나라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요
@40uncle
@40uncle 4 жыл бұрын
저도 한산 이씨구 제 직계 선조이신분인데~~마음에 꼭 잘 담아두고 살겁니다.더 나이가 들어 저도 사회가 원하는 어른이 되었으면 하네요
@user-oh2sq8gu7r
@user-oh2sq8gu7r 3 жыл бұрын
저는 토정의 큰 형님인 성암공 이지번 할버지의 15대손 입니다. 작년에 보령 고만산 선영에 갔었는데, 성암공 할아버지 우측에 토정할아버지 묘소가 있더라구요. 성암공 할아버지의 비문을 보니 여러 관직을 역임했지만 눈에 띄는 것은 '관상감'이라는 것 이었습니다. 토정과 성암공과는 나이차가 9세가 났으므로 토정이 큰형님의 영향을 많이 받아 천문지리에 관심을 갖지 않았나 추측했습니다. 가정과 목은, 존양재 및 찬성공,성암공, 아계, 성루공 등 우리 직계선조는 성리학의 유일체계에만 빠지지 않고 다양한 학문, 다양한 생각을 했었던 것 같습니다.
@bemyself596
@bemyself596 3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저도 한산이씨라서 반갑네요. 저도 열심히 해서 꼭 이지함선생님의 뜻을 따르고 싶네요. 제 마음 속의 무한한 자긍심 입니다^^
@user-ob4pp5dg1b
@user-ob4pp5dg1b 4 жыл бұрын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푸다 라고 생각하고ㅜ (가난한 백성들에게 나눠줬는데ㅜ) 부를 쌓으려고 하는게 다 나눠주려고 한것인데ㅜ 난도 일어나게 한 장본인들이죠ㅜ 왜란도 ㅜ 좋은 임금을 만나야 개혁이 이뤄지는것이죠. (세종때 장영실,정조때 채제공.순조때 임상옥 등)
@wkim8210
@wkim8210 4 жыл бұрын
Now under the democracy, every individual who has the voting right is a King. Therefore, as a King each one of us has to vote for the right ones who can serve the people.
@life-hacker4299
@life-hacker4299 4 жыл бұрын
참 저당시 율곡 이이도 있고 퇴계 이황도 있고 남명 조식도 있고 이순신도 있고 유성룡 오성과 한음도 있고 곽재우도 있고 기대승도 있고 이런 이름을 떨치던 사람들이 많던 시절인데 왜저리 백성들은 못 살았을꼬? 깝깝허네~
@seungeuiseo2534
@seungeuiseo2534 4 жыл бұрын
백분의 일이나 될까요?
@DAEGU_TUL_TTAK_KOREA
@DAEGU_TUL_TTAK_KOREA 4 жыл бұрын
지금보다 더 한 부익부 빈익빈 시절아닌가? 전제 정치 시절이니깐 저 시절 복지라는 단어도 없을텐데?
@Kimchi_season_leader
@Kimchi_season_leader 4 жыл бұрын
시대와 리더,인재를 요하는 사건들이 사람을 비취 인재를 드러낼뿐, 뛰어난 인재가 시기 따라 존재하지 않습니다. 임란이 없었다면 이순신장군님이 성웅일수 없었죠. 곽재우장군또한 재야에 글공부하시는 선비에 지나지 못했을겁니다.
@chaangwooyoo6909
@chaangwooyoo6909 4 жыл бұрын
예수 , 고타마 시탓다 부처, 성인 성현들과 같은 분이시군요..
KBS 한국사전 - 왕의 남자, 내시 김처선
49:1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914 М.
터키아이스크림🇹🇷🍦Turkish ice cream #funny #shorts
00:26
Byungari 병아리언니
Рет қаралды 25 МЛН
The day of the sea 🌊 🤣❤️ #demariki
00:22
Demariki
Рет қаралды 81 МЛН
KBS 역사스페셜 - 후백제 대왕 견훤, 왜 몰락했는가
57:3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KBS HD역사스페셜 - 김부식은 왜 삼국사기를 썼나
57:42
KBS역사저널 그날
Рет қаралды 627 М.
지울 수 없는 역사의 흔적, 왜성 / YTN 사이언스
40:06
YTN 사이언스
Рет қаралды 101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