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교수 개인 웹사이트: www.songhc.com 송교수 학교 프로필: www.sasin.edu/profile/hee-chan-song 송교수 소개: kzbin.info/www/bejne/oHO5doVtYtV3aKc
@cafe99days4 жыл бұрын
대승.소승 설명한 다른 유투브 중에서 가장 설명을 잘 해주셨습니다. 이해가 팍팍 됩니다. 상좌부불교(남방불교). 대승불교. 이렇게 이야기 해야하는거네요.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nome2816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늘 잼나게 봐요 ㅎ
@jaeenij11224 жыл бұрын
학생때 배웠던 두가지 불교에 대해 이렇게 더 알게되네요~~
@지구민Jigoomin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이상현-c3x1h4 ай бұрын
깨달음중에 여자를먼저 깨달아야🥥🍇🇬🇧
@ccycca53804 жыл бұрын
근데 승려인 동시에 대학교수 하시면.. 제가 알기로는 여자와 몸이 닿으면 큰일이 난다고 들은것 같은데 승려복 않입고 있을때는 다른 사람들도 주의 못할텐데 어떤가요? 만약 실제 여자와 몸이 닿을경우 승려인생이 끝날 정도 인가요? 그리고 만약 몸이 닿은 사람이 레이디보이나 트렌스 젠더인 경우 남성으로 인정되서 괞찬다는데 맞는지요? 반대로 톰보이라서 외형이 남자라고 해도 원래 여자였던 사람이면 문제가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지금은 승려생활을 마치고 학교로 돌아왔습니다~^^
@ccycca53804 жыл бұрын
@@태국송교수 혹시 승려가 아닌때는 크게 상관이 없어지나요? 이후에 다시 승려가 될수도 있고요? 마치 게임에서 캐릭터 바꾸듯 가능한건가요?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ccycca5380 그렇지요. 승려 경험 이후 사회로 돌아가면 세속인으로 살게 됩니다. 다시 돌아가면 그 쪽 룰을 따라야지요..
"한 국가 내에서도 종단마다, 심지어 절마다 소승과 대승이 나누어진다." Good point~ 조계종은 명실상부하게 대승을 추구하는 줄 알았는데, 꼭 그렇지도 않다는 것은 새롭게 알았습니다. ^^
@liarqq80874 жыл бұрын
나의 깨달음.너의 깨달음.우리의 깨달음. 우리가 알아야 할 점은 깨달음이 어렵다.는 점이다. 혼자서도 힘들고 함께여도 힘들다. 그래서 우리는 함께 걸어야하고 홀로 걸어야한다. 나의 길.너의 길.우리의 길위에 부처님의 자비가 항상 있기를...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이상현-c3x1h4 ай бұрын
대승불교 오지랍 🥥🍇
@은정애-g3s4 жыл бұрын
소승불교 ,대승불교의 학술적 의미 잘배우고 갑니다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nome28164 жыл бұрын
태국 승려들은 공공장소에서 담배를 피우는데 이건 왜 그런거죠 ? 아침 공양중에도 길거리에서 담배를 피우시던데.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동남아는 승려 생활 하시는 분들 중에 하기 싫어도 끌려와서 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단기 출가가 문화로 되어 있는데, 부모님이 가라고 해서 승려 생활을 하는 경우, 교화 차원에서 하는 경우, 직장 생활 전, 대학 생활 전, 결혼 생활 전 등등,,, 그런 경우가 많아요. 그런 경우 하기 싫은 승려 생활 하다가 힘들어서 그랬을 거에요. 저도 많이 봤습니다. 근데 영원히 스님이 된 경우도 그런 경우가 있습니다. 어딜가나 어느 조직에도 그런 사람들이 있지요~~ 그러다가 사진 찍히고 이슈화 되고 그럽니다^^
@เจ้าบุญทิ้ง4 жыл бұрын
태국불교에선 승려들의 흡연이 계율 위반 사항이 아닙니다 그리고 개인의 정신수행이 중시되는 태국불교에선 흡연이 오히려 도움이 된다고 믿는 승려들도 많습니다 반면 곡차랍시고 술마시면 계율을 크게 위반하는 것입니다 각문화마다 다른거죠
@이상현-c3x1h4 ай бұрын
담배 마약 다할것같은디🥥🍇
@morning48884 жыл бұрын
그리고... 학생시절 꽤 미남이시던데, 다이어트 해보실 생각은... 지금도 나쁜 건 아니지만... ;;)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아~ 감사합니다. 열심히 살 한 번 빼보도록 하겠습니다~^^
@nome28164 жыл бұрын
한국닭은 꼬끼요~~~ 라고 우는데 태국닭은 꼭끼요꼭꾜~~~ 라고 웁니다 한국닭보다 울음소리가 길어요 태국닭은 꼬끼요 크랍 이런거 아닌가 ?? ㅋㅋ 자세히 닭울음 들어보면 패턴이 한국닭과 다른걸알게뎝니다 ㅎㅎ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ㅎㅎ 엄청난 관찰력이시네요~^^ 따봉 드립니다~~
@aom5203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질문있는데 간화선이 붓다께서 전수한 수행법인지 궁금합니다
@태국송교수4 жыл бұрын
현대의 수행법 또는 명상법이 붓다에게서 왔느냐 아니냐는 각각 스님들마다 의견이 다른 것 같습니다. 제가 있는 동남아에서는 비파사나 전통이 강해, 그 이외의 수행법은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동남아는 심지어 한중일 불교를 불교로 인정하지 않는 스님도 있습니다. 그치만, 그것도 각각 스님들마다 견해가 다릅니다. 학자들도 어떠한 과학적 방법론에 대해 해석이 다르듯, 스님들도 명상방법론에 대한 해석이 다른 것 같습니다. 제 생각으로, 한중일 불교는 중국을 거치면서 좀 더 다양화되고 진화되었다고 봅니다. 그 역사적 토양과 지적 전통에 부합하여 변화한 것이지요. 그런데 그것이 원래 불교 모습인가 아닌가를 논하는 것은 생산적인 토론이 아니다 라는 생각도 듭니다. 사상과 전통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하기 마련이니까요. 현대 관점에서 어떻게 그것을 유용하게 쓸 수 있을지 살펴보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aom52034 жыл бұрын
장문의 답변 감사드립니다 제 생각과 비슷하네요 그래도 붓다께서 깨닳은 방식 경전에 전수한 방법인 위빠사나부터 먼저 체계적으로 배우고 싶었는데 코로나 문제로 태국 미얀마 방문이 딜레이 되네요 아무쪼록 건강하시고 좋은 영상 많이 올려주세요~~싸눅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