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사 요청으로 수정사항이 있었습니다 영상에서 삭제 및 모자이크 부분이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GgobookandMoji9 ай бұрын
내가 가늠조차 할 수 없이 많은 스트레스와 고통들을 견디며 얻어낸 부를 가진 사람들 늘 존경하고 동경합니다
@gnkorea7 ай бұрын
성공에는 그 만큼의 고통도 있죠. 그런 의미로 얘기하시는 거 같습니다.
@히치히치-k8k2 ай бұрын
태어나는 산고의 고통뿐ㅋ 그외엔 고통없이 수조원을 얻은 재벌 2세들도 존경하나요?
@ok-ft7obАй бұрын
@@히치히치-k8k 그런 사람 몇이나 된다고 ㅋㅋㅋ 지금 그런 사람 이야기 하는 걸로 보여? 그러니까 그런 생각 하면서 사나 싶다 ㅋㅋㅋ
@시파-r4v4 күн бұрын
@@히치히치-k8k 진짜 드라마나 영화 빠져서는 ㅉㅉ 페미나 일베 하는 사람 같다 또 나라 망칠 포퓰리즘 정치인 뽑을 거 같이 말하누 ㅋㅋㅋ
@exellent4986 Жыл бұрын
런던, 파리, 프라하 등 유럽 강변의 건물들을 보면 참 멋진데, 서울 강변은 소련 판상형 아파트들이 깔려 있어서 도시 규모에 비해 경관이 흉측하고 추함. 시그니엘에서 내려다보면 가난한 판상형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 같음. 강변, 해변, 하천, 호수 등 물가 주변의 건물들은 외관 디자인 신경 써야 됨.
@gnkorea Жыл бұрын
제가 그쪽 전문가는 아니지만 이태리는 해상도시에 지어진 건축물, 로마 도심에 벽벽이 붙어 있는 건축물이 있는데 지리적인 특징이나 문화재로서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보수를 하더라도 정부의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중국 역시 북경과 상해가 대표적인 대도시인데 상해는 신도시 개념으로 건축규제가 완화되어 있지만 북경 같은 경우에는 옛 유적이나 전통성있는 건축물이 많기 때문에 정부차원에서 많은 규제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북경에 가시면 생각보다 옛 스러운 느낌을 받을 수 있죠. @exellent4986님의 의견처럼 런던, 파리, 프라하 등에 있는 다양한 디자인과 전통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 건축풍경이 우리나라 서울 한강변에 없는 건 저도 아쉬운 부분이네요. 아마도 우리나라는 6.25전쟁으로 폐허가 된 도시를 빨리 재건하고 급격하게 성장하는 과정에서 부동산을 건축적 의미 보다는 수익적인 측면에서 더 중요하게 생각 하다 보니깐 이런 현상이 생기지 않았나 싶습니다. 물론 전체적으로 아쉬운 부분이지만 이 또한 우리나라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역사이고 이야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어떤 이들은 한강변의 고층주거아파트들을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상징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으니깐요.
@gazaGo1004 Жыл бұрын
앞으로 계속 재건축 되어 갈거라 스카이라인이나 풍광이 많이 변하겠지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gazaGo1004 하긴 한강면 아파트들이 예전에 지어진 오래된 부동산들이 많지요. 하나하나 재건축 하면서 외국처럼 갬성있는 디자인이 많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정오-t8x10 ай бұрын
일본 동경에 비하면 서울은 천박한 도시라는게 느껴짐. 디테일이란게 없음. 그냥 박리다매형 도시.
@디카르고-k5f8 ай бұрын
건축 이념 자체가 다르니까요. 군사정권시기 한국 행정가들은 동시대 일본의 1억 총 중류 개념에 영향을 받았는데 승자독식형 자본주의로 저소득층을 분리하는게 아니라 모두가 함께 잘 사는 상향 평준화를 유토피아로 봤고 그걸 우리 나라가 나아가야 할 지향점이라고 생각했죠. 그래서 그 시대 사람들은 국가 유공자에게 집을 주기도 하고 연금을 만들고, 의료보험을 만들고, 주택복권을 만들고, 공교육을 강화하고, 민족 공동체를 강조했지요. 한강변의 판상형 아파트들을 천박하다고 하는건 임대주택의 참전용사들을 가난하다 백안시하고 금전 숭배와 약자 멸시가 당연해진 세태일까요? 사람들이 부자(rich>가 영원하리라 생각하여 숭배하지만 실상은 그토록 오래 가는 것은 부가 아니라 수많은 것과 함께 살아가는 풍요(wealth)입니다. 한국은 건국된지 70년 된 나라이기에 사람들이 옥석을 가렸다 생각해서 성급히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상은 30년 전만 해도 수많은 대기업들이 줄도산으로 사라졌고 그 30몇년 전에는 수많은 부자들이 포연에 사라졌으며 그 30몇년 전에는 그토록 거대한 가문들이 바닥으로 나 앉았죠. 오래된 나라의 올드머니는 수백년을 이어왔으며 사람들이 그렇게 특별하게 부르며 조심스럽게 생각하는 이유가 있지요. 돈이 있는 것이 당연한 사람들이 돈에 연연할까요? 부를 갈구하며 부자들을 숭배할까요? 어쩌면 그러리라 확신이 있는 분들도 있겠지만요.
@jj-ph9dy10 ай бұрын
이렇게 좋은 영상 만들어주셔서 감사해요! 자주봐요!! 이런 영상들 보면 열심히 살 힘이 막 납니다!!
@gnkorea7 ай бұрын
힘이 되신가니 다행입니다. 저도 응원하겠습니다😍😍
@두부두부-k5i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제주도 비오토피아 초창기에 거주할때 월 관리비가 7 800가까이 나왔었는데 여기는 월 천은 가뿐히 넘겠네요 저정도 커뮤니티센터 운영하려면..
@gnkorea Жыл бұрын
네 아스턴 55에서 계획하고 있는 커뮤니티와 컨시어즈 서비스를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볼 때 최소 1500만원 이상의 관리비가 나올 수 밖에 없습니다. 물론 사용하는 면적이 넓으면 더 많이 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이런 비용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 아스턴55에서 운영하는 별도 소사이어티클럽 직원들을 이용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관리비에서 가장 많은 지출을 차지하는게 사실 인건비이기 때문 입니다.
@nhkim834811 ай бұрын
26세대면 아는 사람만 알고 들어가실거같은데 홍보영상도 찍는군요… 덕분에 재미있게 잘 봤어요
@gnkorea11 ай бұрын
홍보영상은 아닙니다. 어떻게든 하나라도 계약을 해보겠다는 의지로 열심히 만들어 봤습니다😊 문의는 많이 주시는데 ㅎㅎ 계약하고 싶네요
@IlllIl-mg2nx9 ай бұрын
@@gnkorea솔직해서 좋네요 ㅋㅋ
@gnkorea5 ай бұрын
계약하고 싶습니다^^
@사모-w4c5 ай бұрын
@@gnkorea선금으로 2$ 됐나?
@mijura_officialАй бұрын
한 세대 사서 에어비앤비 돌려부러야 겠내요
@신나고재밌고고고인생4 ай бұрын
800억 매입은 그렇다 치고 나중에 팔때는 어찌 할지.. 궁금하다
@joonmogly10 ай бұрын
유명회사도 아닌 듣도보도 못한 아스터 개발이라는 회사가 1조규모의 슈퍼 펜트하우스를 만들어서 분양을 시킨다? 물론 대출땡겨서 건축하지만 그래도 1조규모 사업은 회사 현금이 어느정도 분명히 필요한데 개듣보 회사가 그만한 자금력이 있고? 무엇보다 시행사 ceo라는 양반의 모자이크 처리 요청이 들어왔다는건 그냥 사기꾼 집단인듯
@gnkorea10 ай бұрын
고급주택 시행사 중에 유명한 회사가 있나요? 시공사나 건축사는 있어도 시행사가 유명한 곳은 거이 없습니다. 자금력을 얼마나 확보 했는지가 관건 아니겠습니까. 한번 지켜봐야 알겠죠.
@자유비행기5 ай бұрын
북향이네요 나름 최고라고 하는데 앞에 도로소음도 있어서 1년내내 창문을 개방못하고 자연녹지가 없어서 그냥 호텔에서 사는 것네요 차라리 호테을 1년내내 살아도 여기보다 좋을것 같아요 관리비가 얼마가요 한달에 1천만원이가요
@gnkorea5 ай бұрын
예전에 호텔에 장기 투숙하시는 경우도 많았죠. 그래도 호텔에 사는 것이 장점만 있는 건 아니어서 그런지 시간이 좀 지나면 불편하거나 답답해 하시는 분들도 많더라고요. 물론 개인적인 취향 차이는 있어 보입니다. 관리비는 300~600만원 정도 입니다.
요즘은 PF도 문제지만 그 전에 시공사 계약이 가장 어렵습니다. 시공사들이 도급계약을 피하는 분위기라서요 ㅠㅠ
@user-qk2hd6sc3g5 ай бұрын
저기 들어갈 사람이 그런 효율 따지겠음? 사생활보호가 우선이다 저기 들어갈 사람들은
@sS-wc8ct Жыл бұрын
11:39 CEO 얼굴은 왜 모자이크 처리 된건가요? 무슨 문제 있는 사람인가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원래는 모자이크 없었는데요 시행사에서 얼굴 비공개 요청이 들어와서 블러 처리 했습니다🙃
@kimkevin2792 Жыл бұрын
프레임단위로 이동하시면 얼굴 볼 수 있습니다.
@user-di3nlk1lu7b11 ай бұрын
님이 믿던 안믿던 어차피 못사니 꿈꺠슈 ㅋㅋ@@user-cz4do1hv5i
@MALCHAMATCHA-11 ай бұрын
@@user-cz4do1hv5i정신병
@letsgooska11 ай бұрын
범죄자인가
@네모병장 Жыл бұрын
옛날에 쌍용공장부지였는데 그때는 땅값얼마안했던거같은데 지금은 어마어마하네...
@gnkorea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최근에 거이 땅값들이 2배는 올랐으니깐요~~
@파맛-o8p Жыл бұрын
상암동은 난지도 쓰레기매립장이었고 목동은 논밭이었죠
@gnkorea Жыл бұрын
정말 옛날 이야기네요. 상암동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 맞죠. 그때 그억이 나네요. 그 지역이 지금처럼 좋아질지 그때 누가 알았겠습니까
@아이캔-f8f8 ай бұрын
재밌습니당 아는분이 에테르노 입주한다는데 아스턴도 좋네요😊
@gnkorea7 ай бұрын
에테르노 청담에 입주하시나 보네요~~
@호-s5g5 ай бұрын
지금 에테르노 살고있어요 살기 좋네요
@gnkorea5 ай бұрын
에테르노 입주민 이시군요. 혹시 실내 영상 촬영이 가능하면 제가 찾아 뵙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더라고요.
@poystory-bw4tn Жыл бұрын
분양이 안되거나, 사기 스멜이 납니다. 한번이라도 슈퍼펜트 살아본 사람들이라면 부자들 니즈랑 얼마나 건축물의 소구력이 상이한지 알거에요. 그 슈퍼펜트 사는 사람들 그 친구들 수영장 이용안합니다. 그 친구들 커뮤니티 센터 이용안합니다. 초고급 콘도 아파트는 오히려 커뮤니티 센터가 작아요. 그리고 커뮤니티 센터 공개되지도 않고요. 태국 싱가포르 미국 친구들만 해도 그렇네요. 보통 이렇게 분양하는건 사기일 경우가 많더라구요. 하다못해 태국만 해도 우리나라보다 훨씬 고급 건축물이 많은데 오히려 중저가 콘도들이 훨씬 퍼실리티가 좋고 초고가는 퍼실리티들이 훨씬 구립니다. 참고로 1400평대에서 엘베 59대 들어가려면… 아이구야….. 설계가 그렇게 안 나올겁니다.
@gnkorea Жыл бұрын
전 직업 상 이런 고급주택 매물을 많이 보다 보니깐 이해가 가지만, 입장 바꿔 생각해 보면 사기라고 생각 하시는 것도 이해가 가네요. 이런 슈퍼펜트하우스가 잠원도 아스턴55 뿐만이 아닙니다. 현재 분양 중인 매물만 해도 에테르노 청담, 압구정 슈퍼펜트, 더피크 슈퍼펜트, 더팰리스73 슈퍼펜트, 파세지아타 슈퍼펜트 등 타입과 스타일의 차이는 있지만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분양 사기는 대단지, 소액투자가 가능한 매물을 상대로 합니다. 대단지여야 사기 금액이 크고, 소액토자여야 분양이 잘 되고 사기치는 시기가 빠르기 때문이죠. 종합적으로 사기 치는데 투자비용도 적게 들고요. 현재 토지매입 비용으로만 몇천억을 투자하고 청담동 현장은 이미 시공중인데 구지 분양 사기를 목적으로 이런 큰 투자를 할지 의문이 드는 부분입니다. 슈퍼펜트하우스에 사는 분들이라면 @poystory-bw4tn님의 의견처럼 라이프 스타일 자체가 다르다고 생각 합니다. 수영장 부분을 얘기하신 것 처럼 아스턴55는 공동으로 사용하는 수영장이 아닙니다. 세대만 단독으로 이용되는 실내주거 공간과 바로 연결되는 인피니티풀장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 외에 추가로 청담동 디아드 소사이어티 클럽에 입주민만 사용하는 수영장이 별도로 제공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커뮤니티 시설 역시, @poystory-bw4tn님의 의견처럼 외부인은 사용할 수 없으며, 입주민 역시 동선이 겹치거나 같은 공간에서 사용하는 커뮤니티 시설이 아닙니다. 대부분 예약제로 이루어지면 사용 시에는 단독으로 사용하는 커뮤니티 공간으로 제공 됩니다. 마지막으로 저도 궁금한 점인데요. 저희는 이미 나와있는 설계를 보고 엘레베이터를 59대 설치하여 26세대에게 단독으로 제공하는 내용을 확인 하긴 했습니다. 이 설계 자체가 매우 어렵고 쉽지 않은 방식이라는 것도 브리핑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poystory-bw4tn님 처럼 전문가의 의견은 또 다를 수 있으니깐요. 좀더 자세히 알려주시면 참고 하겠습니다.
@poystory-bw4tn Жыл бұрын
먼저 제 경험을 말씀드리자면, 태국과 신가포르에서 약 1년간 큰 부자집에 기생해서 산 적이 있어요. 월세가 3억이 넘었으니까 못해도 수백억은 되겠네요. 그 바로 위층엔 국왕님 가끔 오시는 콘도 있고요( 물론 보진 못했습니다.) 각 층에 전용 자동차 엘리베이터가 있어서 아에 타인이랑 마주칠 일이 없습니다. 자동차를 타고 자기집에 파킹을 하는 시스템이더라고요. 커뮤니티 센터를 쓰면서 한번도 주민들이랑 마주친 적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되게 실망한게 커뮤니티 센터가 제가 거주했던 종전집 커뮤니티보다 훨씬 안 좋더라고요. 그리고 제가 이용할 때마다 경비 아저씨와서 문앞을 지키고 있더라고요. 극도로 타인과 접촉을 싫어하는 눈치였습니다. 그 커뮤니티 센터에 마사지방 및 헬스장 수영장 모든 게 다 있었는데 가면 바로 이용하는게 아니라 경비한테 말하고 가야되더라구요. 제가 경험했던 건 슈퍼펜트 사는 사람들은 집 안에 겁나 좋은 수영장 다 있어도 그냥 호텔가서 사우나 하고 호텔가서 운동합니다. 그래서 커뮤니티 센터를 저렇게 넓게 만든다는 게 상식적으로 맞질 않네요. 그리고 엘레베이터와 관련해 59개를 전동으로 제어하려면 제어부가 건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텐데 그러면 공간의 비효율성이 매우 커집니다. 특히 1400평대는요. 우리가 생각하는 초고층빌딩 혹은 거대 쇼핑몰도 70개 들어갑니다. 그것도 연면적이 최소 15000평이고요. 공간의 비효율성, 그 다음 슈퍼펜트 사는 사람들의 삶의 반경을 생각할 때 전혀 상품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거에요. 마지막으로 그렇다고 우리나라가 에셋파킹에 좋은 나라도 아니고요. 다만 분양하면 펜트하우스는 가격방어가 조금은 될거같네요. 물론 사기라고 생각하지만서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태국과 싱카폴에서 3억 월세를 사셨으면 좋은 곳에 사셨네요. 특히, 태국에서 그 정도의 월세는 어마어마 한 시세입니다. 싱카폴은 우리나라 강남 만큼 부동산 시세가 높기 때문에 어느정도 비슷하다고 볼 수 있겠네요. 강남 시세로는 연 렌트 3억 기준이면 매매가 100억 전후 정도로 예상 됩니다. 마크힐스, 상지카일룸3차 그리고 분양 중인 매물로는 루시아더리버, 아스턴 리카르디 정도로 보여집니다. 현재 강남권 슈퍼펜트의 가격은 400~800억으로 참고 부탁 드립니다. @poystory-bw4tn님의 의견처럼 부호들은 외부인과의 접촉을 극도로 싫어 합니다. 맞습니다. 현재까지 한국의 고급주택들도 외부인 차단 관리를 하지만 시스템상 가끔 접촉이 발생 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아스턴55 엘레베이터를 설계나 시공 상 비 효율적임을 감수하면서 59대나 설치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poystory-bw4tn님의 의견처럼 부호들은 공동으로 사용하는 커뮤니티를 싫어합니다. 맞습니다. 한국 부호들은 대부분 호텔회원권을 많이 이용합니다. 그 중에서도 상위 부호들은 이조차도 접촉을 싫어해서 이용하지 않습니다. 아스턴 55의 단독사용 인피니티풀장은 일반 수영장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인피니티풀장은 25M이상 레일 길이로 왕복 수영을 목적으로 한다기 보다는 가벼운 수영, 물놀이, 썬베드, 파티와 같은 성격이 더 강합니다. 부호들도 이미지에 따라 성향이 다르겠지만, 현재까지 한국 고급주택 중에서는 호텔이나 외부 커뮤니티를 사용하지 않고 건물 내에서 부호들의 다양한 커뮤니티를 충족해 주는 곳이 없었습니다. @poystory-bw4tn님의 의견처럼 외부인과의 접촉을 극도로 싫어하기 때문에 거주공간 내에서 외부 접촉 없이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하다면 부호들 중에서 마음에 들어 하실 분이 있지 않을까요? 그래서 1000평이 넘는 커뮤니티 공간을 기획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분양중인 다른 매물중에도 펜디까사 같은 경우 1500평이 넘은 커뮤니티 공간이 제공 됩니다. 하지만, 외부인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차이점이 있습니다. 물론, 이 모든게 계획대로 완공되고 준비되야 가능하겠지요😊
@bayesianlee644710 ай бұрын
@@poystory-bw4tn 이 댓글 보고 생각 바꿨네요 고맙습니다. 그냥 나인원한남 전세로 결정했습니다. 개인적으로 한국은 경제적으로는 정점을 찍고 계속 추락하는 형태로 이어질거같아서 부동산이든 기업투자든 메리트는 장기간 거의 없다고 보네요. 제가 눈여겨본 신축 Bel Air mansion이 30m usd이고 내부 공간만 500평 이상에 백야드 공간은 말해뭐해 수준인데, 굳이 한국에서 수백억에 내부공간 백평짜리를?
@poystory-bw4tn10 ай бұрын
@@bayesianlee6447 저번에 친구집 때문에 나인원 들어가봤는데 나인원보다 그 단국대에 생긴 거기가 관리가 더 잘된 느낌입니다. 개인적으로 두개 선택하라거 하면 단국대자리에 생긴 거기로 갈 것 같습니다.
@ote379611 ай бұрын
해외 고급주택시장들 보시면 알겠지만...원화 800억을 한국 땅에 태우는 건 진짜 많은 고민 생길 듯 합니다. 달러로 6천만달러 이상인데 그 돈이면 저것보다 훨씬...제가 저정도 부호면 전세나 월세로 들어가고 매입은 주저하게 될 것 같아요..
@gnkorea11 ай бұрын
현재 뉴욕 센트럴파크타워 슈퍼펜트하우스 역시 호가만 높지 실제 거래가 되지는 않습니다. 아무래도 이런 고가 부동산의 특성 상 수요층이 매우 한정적이기 때문입니다. @ote3796님의 고민처럼 많은 분들이 실제로 전세나 고액 렌트로 사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 이 분들 중에는 부동산을 소유하게 되면 세무조사나 세금증가 때문에 그런 분들도 많습니다. 제 생각에는... 고급주택 중에서도 이렇게 초고가의 매물은 금전적인 문제 보다는 성향의 차리가 있는 거 같습니다. 현재 에테르노 청담도 완공 된 이후에 몇십억이나 되는 인테리어를 새집인데로 불구하고, 전부 새롭게 리모델링 하는 세대가 많습니다. 전세와 렌트로 거주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는 있지만, 남의 집에 내 돈으로 인테리어를 할 수는 없기 때문에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이 있어도 이해하고 살아야 합니다. 또한, 소유주의 상황에 따라 재계약이나 원하는 만큼 거주 할 수 없을 때도 있습니다. 이런 단점들이 싫고, 예술품을 소장 하시는 것 처럼 집을 단순하게 투자가 거주만을 위한 수단이 아닌, 하나의 철학과 가치로 보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아마도 이런 분들은 이런 초호화 주택을 선택 하시겠지만, 그 외의 경우는 @ote3796님 의견처럼 고민이 되실 거라고 충분리 동감합니다.
맘에는 드는데 과연 저돈을 한국에 투자하는게 옳은걸까? 상속세로 반 뜯길 생각하니....많이 고민되네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현 정부에서 요즘 상속세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언론에서 많이 보도 하고 있습니다. 삼성그룹에서도 상속세 때문에 예전에 많은 이슈들이 있었죠. 세법을 위반 할 수는 없지만, 법인계약, 국내정책에 따른 사전증여, 대출을 활용하는 상속, 증여분의 감액 등 다양한 절세들을 활용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런 집들은 한번 소유권을 취득 하시면 매도매수를 자주하는 분들이 없기 때문에 장기적인 측면에서 투자를 하시면 더 좋이 않을까 싶습니다.
@sjlim7336 Жыл бұрын
@@gnkorea 상속세 수정은 재산 어중간하게 가진 사람들에게나 해당되지 저정도 주택을 구입할 능력 되는 사람에게는 수정이 아무 상관없는 남의 일이죠. 오히려 짜증나는 일이죠. 나 빼고 자기들만 감세 하겠다는거니까... 말 그대로 편법을 써야만 되는거죠. 그래서 한국투자를 해야하나 심각하게 고려하게 되죠. 결국 넥슨도 그렇게 정부가 30%의 지분을 소유하게 되었고 그나마도 외국으로 팔려나갈 신세니....
@gnkorea Жыл бұрын
저도 우리나라 세법은 항상 아쉬운 부분들이 많아 보입니다. 일단, 정치적 성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정권이 바뀔 때 마다 너무 자주 바뀌는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그래서 상속세처럼 지금 당장 결정하고 처리할 수 없는 장기적인 성격이 있는 세법은 어떤 기준으로 대비하고 준비해야 하는지 파악할 수가 없습니다.😊 @sjlim7336님도 상속세 부분을 고민하시기 때문에 고민이 많으실거라 짐작합니다. 저희 고객들도 이미 예전부터 법인을 해외로 이전 시키고 투자도 국내에서 해외로 많이 전향하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제가 이런 어려운 부분에 답을 내릴 수는 없지만, 어떤 투자던 분산 투자는 기본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래서 부동산 역시 국내와 해외를 적절하게 분산 투자해야 한다고 저희 고객분들도 의견을 주시네요.
@Yjjash Жыл бұрын
지하층 연면적은 용적률 산정 연면적에 포함하지 않는것이지 연면적에는 포함됩니다.
@gnkorea Жыл бұрын
전문성 있는 댓글 좋네요 용적율 산정 연면적이 정확한 표현 맞습니다 부동산 종합정보에도 분류 되서 표기되고 있습니다 건축 시 동일한 조건에서 지층면적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의견이었습니다 물론 비싼 지층공사 비용이 추가되는 단점도 있습니다
@dndusksa124510 ай бұрын
@@gnkorea그거아세요 다른거 다 그럴수잇다쳐도 디자이너 5명 실제로아는데요 다 상업공간 인테리어 디자이너라는거 프리츠커상 건축가 아닌건 둘째치고 실내공간 디자이너 상공간이면 퀄리티 떨어지는거 누구도 다알텐데요 재벌회장들이 바보도아니고 태국왕자 시그니엘 삿다가 300억짜리 안팔려서 2년 가지고잇엇죠 지금은 강사 들어가서 살지만 정보는 부동산보다 빨라요 이정도 부 가치고잇는사람은 비트코인 딴따라 외엔 이주거 관심도 없을겁니다 장담컨데 800억정도 소비할정도면 강남에 땅도잇고 기업에 사옥도 잇겟죠 그럼 건물내에서 일터 퍼실리티 시설 단독주차장 다 구성해서 삽니다 잇을만큼 잇을사람은 다 잇어요 그런시설이 누구한테 분양할목적인진 모르겟지만 터무니없는건 사실이네요 설계사 시공사 인테리어 다 유명한데 써봣습니다 웃기지마세요 😂 진심으로 어이가없습니다
@gnkorea5 ай бұрын
아스턴 디자이너 구성이 도미니크 페로, 리차드 마이어, 드뫼롱 등 해외 건축가 들에 비하면 이력이 많이 부족한거 맞습니다. 또한, 예전부터 고급주택 분양 할 때마다 최고급 인테리어, 디자인을 홍보해도 막상 완공 된 모습을 보면 기본에서 벗어나질 못 했습니다. 이건 제 생각입니다. 해외 건축가의 이름만 홍보하는 건지, 세부사항 하나하나까지 참여하는 건지 정확하지 않습니다. 아스턴에서도 디자이너의 이력이 부족한건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하나하나 세심하게, 인테리어 업체를 직접 지정해서 공사 하듯이, 이런점을 강조하고 그렇게 기획을 하고 있더라고요. 물론 이 역시 완공이 되봐야 알 수 있겠지만, 이런 부분에서 의견을 드려보았습니다. @dndusksa1245님의 정확한 댓글 감사하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김창희-n4t Жыл бұрын
진짜 너무 위험하네요 히스토리가 있는 시행사도 고작 생긴지 5년된 시행사네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제가 시행사업, 시행사 댓글 많이 달아 드렸습니다^^ 시행사 때문에 위험한 건 아닙니다. 금액대가 높은 부동산 투자는 어떤 매물이던 위험 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시행의 안정성을 보실 때는 히스토리 보다는 자본력에 더 중점을 두고 보시는걸 추천 드립니다. 오래 된 시행사라라고 해서 문제 없는 것도 아니고, 오래 된 시행사라라고 해서 연대책임을 가지는 것도 아닙니다. 시행사와 시공사는 개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user-sn4zn3ug6l10 ай бұрын
근데 대표 얼굴을 가린다는 거 자체가 좀 쎄한 느낌이 있긴 하네요
@bencharm-s6o Жыл бұрын
1:45 여기서 대지 옆의 7-8층 정도 되어보이는 작은 아파트는 어느 아파트인가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잠원 청구빌라트라는 아파트 입니다.
@그리뜨7 ай бұрын
@gnkorea 앞으로 이 아파트 가격도 떡상하겠네요 ㅋ
@Vincent-qw3pn2 ай бұрын
은행에서 공사비 대출을 해 줘야 시공을 하는데 이 대출은 분양 실적과 연동 한다. 따라서 분양 실적이 공정을 좌우 하는 것이다. 요즘 강남의 호화 빌라는 분양에 어려움이 있다. 2년이 넘도록 첫 삽도 못 뜬 현장이 많다.
@이가람-p7e9 ай бұрын
분양은 잘 되고 있나요? ^^ 아직 800억 짜리는 계약 안됬나요?
@gnkorea9 ай бұрын
네 진행중인 고객분들은 계시는데 계약이 완료 되진 않았습니다
@coolchiyoung Жыл бұрын
상위 0.1프로는 택도 없고 최소 상위 0.001프로는 돼야 비벼볼 수 있을듯...
@gnkorea Жыл бұрын
한국 인구 5,175만 1,065명 중 0.001%면 517명 안에 들면 되네요 화이팅🙏
@금개미-b7z Жыл бұрын
상위1%랑 0.1%랑 갭차이 엄청 크더라고요 ㅋㅋ 상위1%는 누구나 열심히하면 가능한데 0.1%는 진짜 운이 따라야하고 0.01%는 거의 타고나야하며 운도 따라야함 그래도 목표는 전세계 0.1%
@gnkorea Жыл бұрын
@@금개미-b7z 상위 1%를 열심히 하면 누구나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 마인드로 봐서는, @user-is4rv9jp9d님은 열심히 노력하고 능력도 있는 분으로 보이네요🤩🤩 상위 1%는 현금 유동력 기준으로 얼마정도면 될까요? 궁금하네요^^
@금개미-b7z Жыл бұрын
@@gnkorea 통계청 보시믄 나와있어요 한국의경우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이 심해서... 그냥 저같은경우 바로가능한돈은 1~3억이고 3일이내는 자산의 80%는 현금화 가능한데 빠르게 현금화 할수록 수수료 or 손실이 크죠. 지금같은 시기엔 투자자산 비중이 커지고 버블일때는 현금비중이 커져서 저는 딱 얼마라고 하기엔 시기에따라 변동폭이 넘 커요 ^^:
@gnkorea Жыл бұрын
얼마전에 어떤 유튜브분이 그러시더라고요 즉시 유동 가능한 현금 1억원 가지고 있는 사람이 생각 보다 없다고요 1~3억면 @user-is4rv9jp9d님도 능력있으시네요 상위 1%의 기준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user-is4rv9jp9d님 목표에 맞는 상위 1% 금방 가실 거 같습니다😍
@Happylife-nj5mb11 ай бұрын
금리가 문제겠군요. 만약 기준금리가 많이 오른다면 한강뷰 보다가 한강 다리로 가는사람 여럿 있을듯
@gnkorea11 ай бұрын
금리가 이제 더 오르진 않을 겁니다. 한계치에 왔었죠.
@하나하나-r6s Жыл бұрын
정말 좋은 집이네요! 사람들마다 취향도 다르고 선호도도 다르지만 돈이 있다면 살아보고 싶습니다 이 돈으로 왜 저길 사냐고 하지만 주인은 다 따로 있습니다. 시그니엘도 처음엔 엄청 욕했으니까요~^^ 돈 많은 사람이 차나 집을 하나씩만 가지고 있는건 아니잖아요! 덕분에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gnkorea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시그니엘도 그 당시 관리비가 비싸고 롯데타워 인근 차막힘, 고층건물의 안전이나 환풍시스템 등으로 말이 많았지만 성공적으로 분양됐습니다. 지금은 시그니엘 컨셉을 이어 더 많은 브랜드들이 공급 되었죠. 능력이 된다면 꼭 살아보고 싶은 집이라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h5o6h9 ай бұрын
@user-fr78ioka6eWs그렇게 사대주의 마인드로 살꺼면 제발 미국으로 가주면안됨?
@이가람-p7e11 ай бұрын
인터넷 검색해 보니 룸서비스도 있던데요 맞나요? 세대수가 적은데 룸서비스 같은 호텔 서비스가 잘 될지 궁굼하네요 ^^
@gnkorea11 ай бұрын
정확하게는 호텔 룸서비스가 제공되는 건 아닙니다. 하지만, 1:1로 담당 매니저가 지정되기 때문에 생활에 필요한 웬만한 부분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호텔에서는 음식이나 생활용품 등 간단한 부분들을 요청하지만 고급주택 컨시어즈 서비스는 오히려 그 범위가 넓다고 생각 합니다.
@마우아-d9t6 ай бұрын
저정도 살수 있는 사람들 : 중견규모급 회사 회장, 탑 오브 탑 스타, 손흥민급 운동선수 정도는 되야할것 같음…
@gnkorea6 ай бұрын
손흥민은 에테르노 압구정으로 갔습니다😊
@kjeon83087 ай бұрын
300-800억? 그런데 ceo 얼굴은 모자이크? 장난혀유? 건축디자이너도 평범하구!!
@shchoi6311 ай бұрын
관리비 방수 걱정이네. 돈많으니 쏟아부어야겠죠.
@martha3521 Жыл бұрын
설계는 누가했을까요? 시공사는? 국내 건설인가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설계는 국내설계사에서 진행 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청약이 30% 진행이 되야 시공사, 건설사 그리고 PF가 진행 됩니다. 아스턴 55가 이제 막 분양을 시작해서 어느정도 시간이 지나면 시공사가 선정 될 겉 같습니다.
@maeng_9nited11 ай бұрын
어이없는 질문이긴 한데 저런 아파트는 층간소음 없겠죠?? 피아노 치고 그러면 층간소음 있을까요??
@gnkorea10 ай бұрын
아무리 고급주택이라 해도 피아노 크게 치면 들리겠죠^^ 그래도 층고가 높고, 두꺼운 보(층간높이), 그리고 좋은 자체를 사용하면 대부분의 소음은 차단이 되겠죠😊
@fathertoson635010 ай бұрын
저희집 바로앞이네요... 이거 올라가는거였구나...
@gnkorea10 ай бұрын
아직 올라가는 중은 아니지만, 몇년 후에는 이런게 지어 집니다😍
@hanarchitect Жыл бұрын
잘못된정보가있네요 지하층은 연면적에 포함합니다 용적율은 미포함 맞습니다
@gnkorea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연면적이 포함되죠. 다른분도 같은 댓들을 주셨었어요. 정확하게는 용적율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 표현한건데 @dasolhan2796님처럼 해석할 수 있어서 저의 실수였네요.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민서아빠4 ай бұрын
살라고 주셔도 관리비도 못 내서 쫒겨나겠네요ㅋㅋ
@gnkorea4 ай бұрын
저도 그런 입장입니다😊
@poiu-p7z6 ай бұрын
슈퍼펜트하우스의 기준을 갖춘 매물은 2세대 밖에 없는데?
@gnkorea6 ай бұрын
탑층 ABCD 라인에 4세대, 중앙 보이스 스퀘어 BC라인에 2세대 있습니다.
@개뚱-l7j6 ай бұрын
얼마나 많이 남겨먹을까요?? 저돈이면 따로 땅사서 집을 짓는것이 나을듯요;;
@gnkorea6 ай бұрын
대신 잘못되면 수천억을 날릴수도 있자나요😅
@kevinmr.7780 Жыл бұрын
사실 저런하이엔드는 돈있어도 괜히 세무조사들어 올까봐 그냥 사는집에 사는분들도 계시고,, 진짜 특정인만을 위한집 계속 하이엔드가 산으로 산으로 비싼걸로만 먼가 내려고 하네 불편하게 삼개층 이라니 ~~^^ 그냥 단일쯩으로 전용 200평 뽑음 안되나? ^^;;; 그래도 다팔리겠지
@gnkorea Жыл бұрын
특히, 하이엔드 오피스텔을 소유한 분들이 세무조사를 많이 받았습니다. 왜냐면 말이 오피스텔이지 실내는 아파트 타입과 똑같은데 세금 편피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었습니다. 아스턴 55는 오피스텔도 아파트도 아닙니다. 그냥 호화주택입니다. 말그래도 호화주택은 모든 세금 부분에서 편피는 없습니다. 그냥 무조건 많이 납부해야 하지요. 그래서 하이엔드 주택이라고 다 같은 등급은 아닙니다 ☺😎 생각해 보니깐 저도 수 많은 집을 봤지만 실내전용 200평 단층형 집은 한번도 본 적이 없네요 ㅎ 일단 대지지분이 많아 지기 때문에 금액이 더 상승하는 단점은 있어 보이네요^^ 이 곳은 3개층 실내 전용 엘레베이터가 있습니다. 저도 고급주택을 소개 하면서 가장 싫어 하는 타입이 블럭형 또는 수직형 복층 구조입니다. 그래서 한개층 면적이 몇 평인지가 아주 중요 하다고 생각 합니다. 이 곳은 한개층 전용면적이 70평 이상으로 강남에 있는 일반적인 고급주택 단일층 면적과 동일 합니다. 평소에는 1층에서 거이 모든 생활을 할 수 있고 필요한 부분들이 70평 이내에 모두 소화가 가능 합니다. 이런 조건에서 2층과 3층이 있는 것과 1층 면적인 50평 이하인 상태에서 2층에 마스터룸, 메인욕실, 드레스룸과 같은 평소 자주 사용하는 공간을 두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fighterkorea17874 ай бұрын
저걸 누가 개인으로 사겠노 법인으로 사것지
@모모스-j7d Жыл бұрын
사기라고 생각하는 건 저 하나 뿐인가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집이 너무 좋아서 사기라는 건가요? 분양 사업이 사기라는 건가요?
@닭다리-r5e6 ай бұрын
펜트하우스는 수요가 증가하는게 아니라 자금 세탁 및 세금 절세용입니다. 슈퍼리치들이 저길 왜 사냐 귀찮게
@gnkorea6 ай бұрын
그런 경우도 있는건 맞습니다.😊😊
@73hwan11 ай бұрын
그럴사 하긴하지만, 단언컨데~~ 지금 고급주택쪽으로는 브릿지조차도 안되는데~ 당분간 사업자체를 시작 못합니다 에퀘티 풀로 맞추고 시공사 입보서도 안됩니다. 선분양 60%이상 되어 있다면~이야기가 달라지지만 이런 조건으로 선분양받는 부자호구는 없기때문에 선분양도 어려울겁니다. 가능성이 있다면 딱 하나밖에없네요 외국처럼 다 짓고 분양하는 방법뿐입니다.
@gnkorea11 ай бұрын
요즘 분위기가 그렇다는 건가요? 원래 그렇다는 건가요?
@73hwan11 ай бұрын
이유는 이정도 볼륨의 시행을 하려면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1.큰쩐주1~2명 2.증권사 또는 투자사 참가 해서 에쿼티20%이상 맞추고1금융권 들어와야합니다 절데안들어옵니다 왜냐면 작년에 부릿지난갔던(2금융권) 괜찮은 시행건 99% 쫑났습니다 그중 정말좋은 물건들이 6개월 1년후면 npl로 나오면 잡으려고 큰쩐주들 투자사들 대기중입니다
@gnkorea11 ай бұрын
이전에 아스턴55영상 댓글에 시행사업에 대한 댓글을 자세하게 달아 드렸는데 비슷한 내용인거 같습니다. 시행사업은 대부분 SCP 개별 프로젝트로 진행하기 때문에 시행사의 이력이나 브랜드네임 보다도 쩐주가 가장 중요합니다. 어떠 시행 사업이던 PF대출을 받아 이자를 부담하면서 진행하지만, 분양이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 할 경우를 대비해서 유동성있는 현금 투자금액이 확보되야 안전합니다. 그래서 시행사, 건설사, 브랜드 그런거 보다 확실한 쩐주 아래 현금 유동력이 가장 중요하고 그런 사업지가 가장 안전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고급주택의 시행은, 조합원분양자와 쩐주 및 지인들로 20~50%까지 비공식 사전분양이 완료되고, 나머지 부분을 일반분양으로 수익화 하는 구조입니다. 이런점을 고려할 때 확실히 요즘 시행은 좀 무리하는 경향이 있기는 합니다. 아스턴 55은 공식적으로 아스터그룹에서 시행과 쩐주 역활을 동시에 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결국 아스터 그룹의 현금성이 어떻게 되는지가 사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될 것 입니다. 제가봐도 아스턴55는 사업규모가 크기 때문에 예정대로 완공만 된다면 충분한 희소성과 브랜드 파워는 있을 걸로 예상 됩니다.
유현준님이 인테리어 설계 한 아페르한강 말씀하시는 거죠? 시행사에서 연락이 오면 먼저 영상 준비해 드릴께요😊
@라돈마7 ай бұрын
400억으로 단독주택 지으면 서울 숲세권 조용한 곳에 지상 5층 지하 3층 초호화로 지을수 있다.뭐하러 매연 나오는 저런곳에 집을 사는지 이해불가.
@gnkorea7 ай бұрын
단독주택도 잘 지으면 정말 멋진 집이 되죠. 하지만, 기존 주택과 비교하시면 안됩니다. 비슷한데 400억? 700억? 그러면 문제가 있죠. 아직까지 공동주택에서 이런 집들은 없었습니다. 최근에 몇 곳이 이제 시작하는 단계하 기존에 보지 못한 주택입니다.
@JongChakYuk5 ай бұрын
일단 접근성, 편의성, 인프라 등 등은 무시 못하죠 ^^ 특히 보안 문제도 그렇고... 저는 그리고 이런 초럭셔리 하우스들은 일종의 투자라고도 생각합니다 ^^.
@가온-t6m5 ай бұрын
굳이 이해할 필요가 있을까
@yyhk_007Ай бұрын
여기 이제 엎어진거 아님?
@Tothepast_111 ай бұрын
1채에 800억 가지고 있으려면 자본이 최소 1조는 가지고 있어야 하겠죠?
@gnkorea11 ай бұрын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자산이 얼마인지도 중요 하지만, 소득이 지속적으로 어떻게 되는지도 중요 합니다. 그래서 최근에 소득이 많으 신 분들이 이런 고급주택을 구입하시는 것 같습니다.
@ys89213 ай бұрын
26세대 뿐이라 최상류층의 부는 당연하고 인맥으로 구성될것같음. 돈만 많은 일반인에게는 안팔것같은데
@주상욱-q1l Жыл бұрын
광고표시좀
@gnkorea Жыл бұрын
저도 광고비 받고 표시 하고 싶네요😊 아쉽지만 돈을 받고 올린 영상이 아닙니다
@SamgKim Жыл бұрын
너무 고급스러워서 전쟁 발발시 제1표적이 될것 같습니다. 그만큼 좋다는 의미입니다.
@gnkorea Жыл бұрын
아스턴 55 아이스버그홈즈 지하 설계가 유명한데, 많은 의견처럼 이 곳에 벙커를 만드는게 좋겠네요😊 전쟁나서 집 망가지면 증말 열받겠네요 ㅎㅎ
@해품은달-m7v Жыл бұрын
세대당 전담 인력1명 기본에 건물 관리 및 보안업체 외주없이 건물자체 고용이면 59세대밖에 안되는데 관리비가 세대당 천만원은 넘겠네요 엘베 세대 전용 3대 공용2대면 와.. 관리비 끝짱이네요 ㅋㅋ 다만 아쉬운은 초 하이엔드인거같은데 전용으로 따지면 2층 세대는 140평대 3층은 210평대 정도라 엄청큰건아니고 공급도아니고 계약면적이 400평이넘는다는건 지하8층규모의 커뮤니티시설때문인데.. 건축비 뽑고 유지비용 감당하려면 한달 관리비가 천만이아니라 2천 넘어갈거같네요 ㅋㅋㅋㅋㅋㅋㅋ 진짜 상위 0.1%인 분들이 갈만한곳... 그런데 그런분들은 한강조망 포기하고 단독으로 거주하시죠...
@gnkorea Жыл бұрын
댓글은 보니 어느정도 관심이나 지식이 있으신 분 같네요 ㅎ 계약면적이 400평이 넘는 이유는 @user-zj8sm3kx9s님의 의견처럼 지하 8층으로 구성 된 1000평 공동사용면적 때문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한가지 차이점은 지하8층에 공동사용면적 말고, 세대마다 단독으로 사용하는 별도의 공간이 제공됩니다. 이 공간의 면적이 세대마다 다르지만 적게는 60평대에서 넓게는 100평이 넘게 제공됩니다. 그래서 평균 계약면적이 400평이 넘어간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이스버그홈즈 설계를 설명 한 것처럼 지하에 개인적으로 제공 되는 개인면적을 지상층 실내면적처럼 초호화 스타일로 제공한다는 컨셉입니다. 관리비는 @user-zj8sm3kx9s님의 의견처럼 1:1 지정관리사 등 이런 시스템을 적용하면 어마어마한 금액이 발생 합니다. 그래서 시그니엘, 에테르노, 더피크, 루시아 등과 같이 동급 고급주택과 동일한 관리비를 측정하여 제공한다는 의미입니다. 더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런 금액이 가능한 점이 청담동 디아드 소사이어티클럽의 인력으로 자체관리를 하기 때문이라고 이해해 주시면 됩니다. 시그니엘, 에테르노, 더피크, 루시아 보다 더 상위 클래스의 서비스를 제공 받으면서 동일한 관리비를 지출한다는 점이 핵심 컨셉입니다.
@공공민-z6c Жыл бұрын
근데 요즘 부자들은 또 편의시설과 뷰 조망 등 많이 따짐 새로운 세대 부자들은 점점 원하고 수요가 있어서
@gnkorea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예전에 집을 보는 관점과 많은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그래서 최근에 외국에나 있을 법한 다양한 테마가 있는 고급주택들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특히, 실내 마감재나 인테리어는 분양 시에는 대부분 기본 스타일로 하고 분양자가 추후에 원하는대로 리모델링 하는게 일반적이었는데 최근에는 처음 분양 당시부터 디자이너와 협의하여 원하는 스타일로 시공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janghyun983 Жыл бұрын
강북이지만 한강 조망 좋은 한남동에서 50년 넘게 살아서 그런가 강남에 대한 로망은 없습니다만 이 아파트는 진짜 럭셔리하긴 하네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동쪽부터 서쪽까지 한강라인을 따라 남북 방향으로 조망권이 나오는 집들은 생각보다 정말 많습니다. 아름다운 한강과 넘어로 보이는 도심뷰가 정말 멋지죠. 꼭 강남에서 보이는 북향 조망만 좋은 건 아닙니다😊 대한민국 문화에서 강남권이 워낙 고가이고 많은 기반시설들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강남강남 하는거지 조망권만 놓고 본다면 더 좋은 곳들이 많죠^^
@exellent4986 Жыл бұрын
비과학적이지만 풍수지리적으로 서울의 최고 명당 지역은 강남이 아닌 용산이죠.
@gnkorea Жыл бұрын
@@exellent4986 100% 맞는 말씀입니다. 원래 풍수지리학적으로는 강남이 최고가 될 수 없습니다. 단지 서울을 전체에서 그리고 강남권 안에서도 몇몇 부지들이 풍수지리학적으로 좋다는 이야기입니다. 넓게 보면 대한민국에 더 좋은 풍수지리학적 위치는 많습니다.
@공공민-z6c Жыл бұрын
@@exellent4986 한강이 완전이 감싸 돌아가서 퇴적층이 쌓이는 압구정이 완전 풍수지리적으로도 명당임 이건 퇴적층이 쌓이고 물이 감싼다는 어느정도 과학이 있긴하지만 애초에 풍수지리가 과거 비과학적인 민간요법이고 점이나 사주 같은거지 현대에 의미없음 누가 이런걸로 고름 바보도 아니고ㅋㅋ 그리고 전국 풍수지리 최고는 용인으로 알고있음 의미없지만ㅋㅋㅋ
@exellent4986 Жыл бұрын
@@공공민-z6c 북쪽에 산, 남쪽에 바다 강 하천 같은 물이 흐르는게 제일 좋습니다. 강남은 그 반대라서, 용산이 서울 자치구 중에서 제일 명당 입니다.
@sangkyukim9625 Жыл бұрын
펜트하우스 조건에 최고층이라는 것은 이제 없어졌나?
@gnkorea Жыл бұрын
원래 펜트하우스는 최고층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석의 차이가 있어서 최고층, 정원이있는 1층, 막힘없는 전망이 나오는 집, 사이즈가 제일 큰 집 등으로 행당건물에서 가장 좋은 세대나 타입으로도 표현하는 거 같습니다 그리고 펜트하우스랑 슈퍼펜트하우스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아스턴 같은 매물을 슈퍼펜트하우스라 합니다. 아직 이런 용어가 국내에서는 생소해서 그런 부분에 대한 설명을 영상에서 해 보았습니다
@cjminam11 ай бұрын
800억짜리 집을 누가 살수있나....? 재벌들도 힘들거같은데요.... 중국이나 중동재벌들이 다 차지하것네.
@gnkorea11 ай бұрын
그럴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prijudas70310 ай бұрын
편백나무 사우나실 있나요?
@gnkorea7 ай бұрын
사우나실 있습니다. 없어도 만들면 됩니다^^
@manchestercity1053Ай бұрын
관리비 1,000만원은 기본이겠네 ㄷㄷ
@Tlee190811 ай бұрын
안될 확율이 99%. 결국은 사기
@lsw83453 ай бұрын
이미 분양 끝났다 800억짜리는 처음으로 나갔고
@김정영-p2z3 ай бұрын
주거 유지비용만 수천들 듯 도우미, 관리비 기타 등등 다른 부분까지 고려하면 달달이 수억쓰는 분들일수도 이런 분들은 말그대로 0.1프로 조상 대대로 부자들 ㅎㅎㅎ
@kn-wam4 ай бұрын
아스턴 55, 고층에서 바라보는 한강뷰 사진 같은거 있나요?
@gnkorea4 ай бұрын
kzbin.info/www/bejne/iX3FXnasr56agNE 아스턴은 2개의 영상이 있습니다. 영상 안에 고층 전망사진이나 영상이 있습니다.
@ego692911 ай бұрын
풀장을 이용할수 있는 세대가 몇개 안되는데 그 몇개의 세대가 공동으로 이용한다는건가요? 저런 집에 살면 서로 얼굴보는것도 꺼리는 경우가 많은데 어디 놀러간것도 아니고 모든 입주민들이 다 사용하는것도 아니고, 몇몇 세대만 사용할수 있는 풀장이 그들만의 공용이라면 그건 그것대로 사용이 가능한 입주민끼리 동선이 겹치면 서로 무척 싫어할거 같아서요.
@gnkorea11 ай бұрын
6세대 가장 큰 타입에만 제공 되는 인피니티 풀장입니다. 이 공간은 공동으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세대 안에 30평 이상의 공간이 제공 되는데 여기에 원하는 스타일로 풀장을 인테리어 할 수 있습니다. 외부 간섭 없이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지중해 해변처럼 바로 앞에 한강이 펼치집니다. 그래서 강남권에서 최초라고 볼 수 있습니다.
@ego692911 ай бұрын
@@gnkorea 그렇군요 덕분에 궁금증이 풀렸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gnkorea11 ай бұрын
감솨합니다😀
@정호영-h1l Жыл бұрын
개인 헬기 이착륙장 까지 분양하는 날이 올까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전용기 서비스 제공합니다.😄입주민은 해외 이동 시 전용기를 관리서비스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Ddoongddanji5 ай бұрын
풍수지리 하는 분이 저기 별로라고 했던 동영상 보고 웃었던 적이 있는데 ㅋ 압구정은 돈이 모이고 잠원동 저 라인은 흐른다나
@gnkorea5 ай бұрын
저도 수 없는 풍수지리 하시는 분들을 보게됩니다^^ 뻔한 말을 하는 분들 별로 신뢰가 안가더군요 ㅎㅎㅎ
@seasky4046 Жыл бұрын
저정도 가격이 떠 안아야할 리스크는 근처에 더 높고 더 좋은 초호화주택이 생길수 있다는 리스크와 서울시에서 공원부지에 건축물을 올릴경우 한강조망이 사라진다는 것...국내 10대 재벌 제외하면 그만한 리스크를 부담할 부호가 있을까 싶네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근처에 더 높고 더 좋은 초호화주택이 생길 수 있다는 리스크] 한강라인에 공동주택을 시공 할 수 있는 가장 앞자리 땅이죠. 더 높은 건축물이 생기더라고 아스턴 55 왼쪽과 오른쪽 그리고 뒷편으로만 가능 합니다. 그래서 더 높은 건축물이 생긴다는 리스크는 크게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더 좋은 초호화주택이 생긴다는 것은 리스크 보다는 호재입니다. 아스턴 55가 만약 잠원동 한강 라인이 아니라 삼성동이나 청담동 라인이면 벌써 분양이 되었을 지도 모릅니다. 잠원동에 이런 초호화주택이 아직 생소하기 때문에 @seasky4046님의 의견처럼 다른 브랜드들이 생긴다면 하나의 큰 단지로서 동반상승하는 효과가 있게 됩니다. 저 역시 향후 잠원동과 반포동 개발이 진행 될 수록 고급화 현상이 있을걸로 보기 때문에 향후 가치를 더 좋게 보고 있습니다. [국내 10대 재벌 제외하면 그만한 리스크를 부담할 부호가 있을까 싶네요] 제 솔직한 의견을 말씀 드리면, 국내 10대 재벌분들은 이런 부동산을 매수하지 않습니다. 제가 알고 있는 10대 재벌 그룹들도 자체적으로 공동주택을 시행한 곳에 거주하시는 건 봤지만, 다른 브랜드를 선택하는 경우는 거이 없었습니다. 10대 제벌 그룹이 아니더라고 이 정도 금액을 투자하는 분들은 예전과는 다르게 많이 있는 모습입니다. 새로운점은 슈퍼카, 명품시계, 그림과 같은 예술품은 소장가치 뿐만 아니라 시세차익 때문에 많은 부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던 분야입니다. 요즘은 고급주택 역시 단지 구입해서 거주하는데 목적이 있는게 아니라, 보유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높이면서 향후 시세차익과 같은 투자 개념으로 구입하시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user-di3nlk1lu7b11 ай бұрын
님이 그런 걱정안해도 재벌들은 그 정도 리스크는 생각도안함 ㅋㅋㅋ 본인 인생 걱정하시는게 나을듯
@sukim585410 ай бұрын
재벌들보단 막대한 부동산 굴리고 은행끼고노는 건물주들이 많이 구매할 삘..
@ykei65809 ай бұрын
관리비가 저렴할 순 없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청담동이 대한민국 최고부자동네긴 해도 뉴욕이나 토쿄에 비비긴 한참 멀었죠. ㅎㅎ 동네 분위기 클라스 차원이 다르죠. 청담동 낡은 건물들 다 때려부수고 저런 건물들로 가득차면 클라스가 생길 수도 있겠지만... 우물 안 개구리급이죠.
@gnkorea7 ай бұрын
이런 스타일 건축물이 하나하나 생기다 보면 우리나라도 분위기가 달라질거라 봅니다^^
@아이돈노우-b9f9 ай бұрын
인구 줄어들고, 세대별 인구구조는 점점 소비층이 노령화 되어 경제규모가 축소되는데. 800억짜리 수퍼펜트라고 잔존 가치가 유지되련가요? 제가 알기론 오히려 죽어가는 도시에서 수퍼리치들의 부동산 자산 가치 하락이 더 크다고 하던데... 지금 이건 그냥 건설, 부동산 업계의 발악으로 보임...
@wallstreettjournal8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ㅌ 재벌을 걱정하네
@별빛고래-i6r10 ай бұрын
가격보면 누가 살지 궁금하긴 함 우리나라 스포츠 스타들도 저돈이면 힘들지 싶고 연예인들도 몇명 못살꺼 같은데 진짜 재벌을 위한 집인가 싶다가도 막상 재벌은 저런데 안살꺼 같아서 누군가 사면 이슈가 될꺼 같음
@gnkorea7 ай бұрын
그런 분이 분양을 받으면 기사에 나오겠죠^^
@남이재덕-m3t7 ай бұрын
멋있어요 찾아뵙고명을듣고싶습니다
@프로테우스10 ай бұрын
북향은 낮에 너무 어두워 .반포 원베일리만 봐도 느낄수 있음
@gnkorea7 ай бұрын
남향보다는 그럴 수 있지만 전면창의 크기와 주변 건물들의 영향도 있습니다. 그런면에서 아스턴은 어둡지는 않을 걸로 보여 집니다.
@mjlee122110 ай бұрын
새삼 느끼는 거지만 우리나라 부자 진짜 많다 경제가 어렵느니 나라가 힘드니 해도 1%는 별 신경도 안쓰고 살겠네
@@bjl3332 좋은 집에 거주 중이시군요😊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고가의 고급주택에는 공기흐르과 관련 된 시스템이 잘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일반적으로 냉난방기는 본체 주위에 에너지가 집중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미술관 같은 열효율이 떨어지고 층고가 높은 건축물에는 메인 냉난방기에서 만들어지는 에너지를 다양한 방향으로 닥트를 연결해서 본체 주위 말고도 구석까지 에너지가 전달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런 방식을 써야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데 아직 공동주택에는 이런 시스템을 많이 적용을 안하더라고요. 제가 알기론 삼성 이재용 자택이 대한민국에서 전기료를 가장 많이 쓰는 이유가 이런 공기순환장치 때문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고급주택에 거주 하시는 분들 역시 비용 문제가 아니더라도 건강관리도 중요하기 때문에 이런 시스템이 많이 적용 되었으면 좋겠네요😊😊
@김현길-n7w4 ай бұрын
799억9천이 모자라네ᆢ
@gnkorea4 ай бұрын
그래도 빚은 없으니깐 성공 하신겁니다. 요즘 빚 많은 사람들도 많은데요😃 앞으로 좋은 일 가득해서 좋은 집 꼭 구입하시기를 응원합니다😍
@㫐11 ай бұрын
저 돈이면 그냥 개인 프라이빗 집을 짓는 게 좋지 않나요?
@gnkorea11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다만 입장의 차이가 있는거죠. 아마도 이 집에 거주할 분은 이미 여러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집을 보는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MYSTICK-i7k8 ай бұрын
아스턴도 피해갈수 없었네요 초기에는 26세대 였는데 29대로 늘어 났군요
@gnkorea8 ай бұрын
단층타입 11세대 추가해서 설계 변경했습니다. 다행히 8세대가 바로 청약 완료 되었습니다.
@강백호-u7j Жыл бұрын
이정도 가격이면 지하에 세대당 하나씩 핵이 터져도 안전한 벙커 하나씩은 줘야 되는거 아닌가
@gnkorea Жыл бұрын
가능합니다^^ 지하공간은 입주민 취향대로 만들 수 있습니다. 벙커를 원한다면 상담을 통해 만들면 되죠. 아직 준공된 집을 사는게 아니니깐 충분한 변경이 가능합니다. 돈이 문제죠😁
@강백호-u7j Жыл бұрын
@@gnkorea 그니까요 기본이 300억에서 8백억짜리 집인데 또 돈 들여서 만드나요 제말은 저정도 가격이면 벙커는 기본옵션으로 세팅되도 된다는 말이죠ㅎㅎ
@gnkorea Жыл бұрын
@@강백호-u7j 비공식적으로 시행사랑 딜을 한번 해보면 혹시나 가능할지도.... 저는 그냥 만들어 줬으면 좋겠네요 아이스버그홈즈 설계로 보면 벙커를 만드는 것도 이치에 맞네요^^
@sj-qx2gu4 ай бұрын
지진 10.0 과 방사능 노출에도 안전하면 인정되는 가격 이지만 .. 그게 아니라면 굳이??
@gnkorea4 ай бұрын
@sj-qx2gu님 사실 지진과 방사능에 특화 된 건축물이 아니고선 힘들지만 아스턴은 지하공간에 아이스버그 홈즈 설계 방식 최대 120평 면적의 공간이 세대마다 제공 됩니다. 이 공간은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벙커를 그렇게 만들면 됩니다😀돈이 문제요^^
@상위1부자9 ай бұрын
자산이 최소 1조는 있어야할거 같은..
@그리뜨7 ай бұрын
지금은 분양 끝났나요? 관심이 생기네요
@gnkorea7 ай бұрын
아직 분양 중입니다. 연락 주시면 안내 드리겠습니다.
@kimkanghyun25308 ай бұрын
오피치네굴로가 디자인된 주방에서 라면 끊여 먹어보고 싶네요^^
@gnkorea8 ай бұрын
오피치네굴로에서 라면이라 나이스네요^^
@아마겟돈-v3k Жыл бұрын
이 가격에 이 정도 자신감이면, 물론 선 시공 후 분양이겠지?? 800억대 6세대에 300억대 33세대 ..총 39세대라니.. 대충 1조4천7백억 인데 계약금만 10% 해도 1천4백70억.. 요즘 같은 경기에 중간에 빠그라지면 아무리 돈 많은 0.001% 라도 화나지 않겠나?? 부자는 돈을 펑펑 써서 부자가 아니라 안전하게 잘 써서 부자 아닌가?? 이 정도 가격을 선 분양에 돈을 꼽지는 않을 듯. 그리고 입주 할지 안 할지도 모르는 대기업 회장 얼굴 사진은 허락 받고 썼을 리 만무한데 아스턴 개발 CEO 사진은 모자이크 처리하는 경우는 어디에서 사온 매너인가?? 얼굴 알려지면 뭔가 곤란하거나 원치 않으니까 가렸겠지만.. 희소성 좋고, 고급진 하이클래스 다 좋은데, 솔직히 우리나라에서 돈이 없어서 좋은 집 못사는 경우는 있어도 돈은 넘치는데 좋은 집이 없어서 못 샀던 적은 역사 이래 단 한번도 없다. 이 정도 집이면 어차피 장날 국밥 팔리듯 마구 팔리지 않을 테니 다 지어지는 거 보고 그 때 가서 약간 할인 분양 할 때 사는 게 맞는 듯. 시그니엘 하고 비교 하는데.. 시그니엘도 아직 비싼 건 미분양이고 60층 이상 100억대 매물 넘쳐 난다. 참고로 입주민 커뮤니티, 컨시어즈 서비스 등등 왠만한 건 요즘 다 있지만 솔직히 조식 서비스와 운동시설 만 가끔 이용한다.
@gnkorea Жыл бұрын
시그니엘 사시는 입주민이신가 보네요😊 여러 고급 부동산들이 시그니엘을 많이 예로 드는 이유는 그 당시 이런 컨셉트를 처음 시작해서 그렇습니다. 시그니엘 분양은 초창기 반응이 좋지 않았습니다. 경기가 회복되고 대출금리 인하, 그리고 LDV, DTI 규제가 완화 되면서 탄력을 받기 시작했죠. 그래서 대형평형들은 롯데에서 매물을 풀지 않고 비공개 방식으로 전환하였습니다. 기본 타입 분양이 완료되어 사업수지가 목표치를 달성했기 때문에 천천히 진행하기로 방식을 바꾼거죠. 이런 방법은 대부분의 고급주택 시행사가 동일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최근 프리마호텔 사업이 뉴스에도 나올 정도로 이슈가 되었고, 현재 많은 청약이 완료되고 본계약까지 진행한 고급주택 분양 중에서도 문제가 생기고 있는 상황은 맞습니다. 공개적으로 어디라고 말할 순 없지만 그게 현실이죠. 제가 아는 범위에선 아직 아스턴개발에선 별다른 문제는 없었으며, 100% 장담할 수는 없지만 기타 사업보다 자본력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user-jr4tf7nk5t 님의 의견처럼 30%청약이 완료되면 PF가 진행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실제 청약이 완료되던, 시행사에서 자본력으로 30%를 채우던 사업은 시작할 것 입니다. 선분양이 얼마나 되는지에 따라 사업이 편하게 진행 될지 자금조달이 어려워질지 판단이 되겠죠. 일반적으로 이런 고급주택 분양은 일반분양30~40%만 완료되도 사업을 진행하는데는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만약 선분양이 부족하면 @user-jr4tf7nk5t 님의 의견처럼 나머지는 건물 윤곽이 들어나서 준공이 된 이후에도 계속 진행 될 겁니다. 아스턴개발 CEO 사진은 영상을 업로드 한 이후 비공개로 요청이 들어와서 수정한 사항입니다. 대기업 회장님 사진은 공익적인 목적으로 올린 것은 아니지만 그분들의 이미지를 저하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아니니 좋게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iger-fg6lc11 ай бұрын
@@gnkorea "일반분양30~40%만 완료되도 사업을 진행하는데는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왜냐 눈탱이가 장난 아니거든 ㅋㅋ
@gnkorea11 ай бұрын
@@tiger-fg6lc 솔직히 부동산 시행사업, 건설사업 눈탱이 장난 아닌거 인정합니다😊 근데 그 만큼 사업 리스크가 너무 큰점도 있습니다.
@bsi239 ай бұрын
강남구청서 사회복무했던 동생 중 어머니가 통일교12지파중 한 분 딸 아버지는 건설사 사장인데 추천해봐야겠네요 이사 고민이던데
@gnkorea7 ай бұрын
추천 결과가 궁금합니다^^
@brpang5 ай бұрын
한국의 고급주택들을 보면 사회적 서열 상위권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전력 추구를 하고 주택 자체가 예술적으로나 개성이 마음에 와 닿는걸 별로 못봤습니다. 그저 비싼 고급만 찾고 유명한 누가 했다 유명세지 presentation 자체는 어설프기 짝이 없습니다. 800억이라는 가격도 좀 버블 아닐까 생각합니다.
@gnkorea5 ай бұрын
맞습니다. 그 동안 부촌 지역이라는 이유로 금액만 높았지 실제 내부 디자인을 보면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최근 분양하는 몇몇 고급주택들이 이런 부분까지 업그레이드 해서 사업중입니다. 물론 완공이후 모습을 봐야 알겠지만, 지금 계획대로는 이전 부동산과 많은 차이점들이 있습니다.
@TV-to8gg Жыл бұрын
91.5미터가 일반 아파트 78층 높이가 맞나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앗 저희가 잘 못 계산을 ㅠㅠ 일반아파트 3m를 기준으로 하면 30층 건물과 비슷 하다고 정정 하겠습니다 🤪🫣
@이가람-p7e11 ай бұрын
저 가운데 트리플렉스 세대요 인터넷에 이미지 올라온거 보면 루프탑에서 옆집이 너무 잘 보여서 세대간섭이 있을꺼 같은데요 괜찮은가요? ^^
@gnkorea11 ай бұрын
댓글 삭제하고 다시 남겨 드립니다. 제가 여러 댓글 답장하다 보니깐 더피크도산에 남긴 댓글인줄 알았습니다. 아스턴55 중앙부에 위치한 2세대의 펜트 현재까지 제공 받은 정보로는 저도 그렇게 생각 합니다. 제 예상으로는, 현재는 시공된 상태라 아니고, 홍보용 CG만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건물 외관을 볼 때 중간에 가림벽이 있으면 이쁘지 않으니깐 저렇게 보이는 것 같습니다. 실제 시공되면 2세대간에 간섭이나 불편함이 없도록 건축법 내에서 처리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jeanyoungmun7649 Жыл бұрын
관리비는 500만원 이상일 것 같고 세금은 글쎄...50억 아파트가 2000만원이면 저건......그냥 내도록 돈이 계속 나오는 사람이 아니면 입주 불가능
@gnkorea Жыл бұрын
관리비도 관리비지만 호화주택에서 발생하는 세금도 많은 분들이 궁금하실 거 같네요. 대한민국에서 호화주택은 세법상 기준의 대상이 됩니다. 호화주택에 해당되는 조건은 대지면적, 연면적, 취득가액, 엘레베이터, 수영장 같은 부분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공동주택과 단독주택으로 크게 분류하여 보고 있습니다. 아스턴은 공동주택으로 호화주택, 세법상 고급주택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세법상으로 볼 때 복잡하니깐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취득세의 기본 세율은 취득사액의 2%지만, 호화주택의 경우 5배가 중과되어 총 10%가 적용 됩니다. 양도세 기준에서는 비과세요건, 1가구 1주택에 해당 하더라도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 외의 사항은 호화주택이라고 해서 크게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금액이 큰 만큼 세금이 많이 나오는 개념이지요.
@Bkrtyfgptbzx Жыл бұрын
세대당 주차 대수가 얼만지 안나와 있네요. 알 수 있을까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건축개요 상으로는 총 주차대수가 221대, 세대당 8.69대로 기획되어 있습니다. 타입마다 300~600평형대로 면적이 다양하기 때문에 세대당 주차대수는 타입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실내로 이동하는 주차 리프트를 통해 1~2대 까지 타입별로 주차가 가능 합니다. 지하층 주차공간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구조가 아닌 세대마다 하나의 주차공간은 단독주택처럼 별도로 구성해 주는 방식 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주차장에서 부터 입주민들의 동선이 겹치지 않게 하기 위함입니다. 주차 라인을 통해 몇대를 제공한다는 개념 보다는 타입별로 주차면적을 별도로 제공하는 개념입니다.
@wooriman8 ай бұрын
자격 심사 본다고 하더니 웬 광고영상을 만들까요? 보통 저런곳 살 사람은 정해 질텐데..
@gnkorea8 ай бұрын
기본적인 인적사항 확인은 하죠~
@lighting-keeper11 ай бұрын
가스충전소자리였는데 땅팔렸구나 예전에는 옆에 청구빌라트랑 같이 개발한다고 하더니 나가리됐나보네
@시우아빠-z5j Жыл бұрын
....ㅋㅋㅋ800억짜리 집에 사는데 관리비 저렴한게 의미 있을까요? 일단 사는 사람 개부럽네ㅜㅜ
@gnkorea Жыл бұрын
그렇죠. 관리비가 저렴한게 중요 하다기 보다는 어떤 서비스가 제공 되는지가 더 중요하죠😊
@toli1927 Жыл бұрын
진짜 초호화네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에서 최고하는 수식어가 어울리는 호화주택이죠😊
@샷건-l1w Жыл бұрын
총26세대 20세대 듀얼 6세대 트리플 1세대당 300~800억 인허가ㆍ토지매입ㆍ시공은 뭐 둘째치고 선지급 분양 계약 이런방식 인가요? 엑시트가 안되면 분양 트리거도 힘들것 같은데..브릿지나ㆍPF ㆍ유동자산? PF도 주간피가 16%때던데... 어떻게 진행했는지 궁금하네요 엄청 크게 시행했네요
@gnkorea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이런 세부 정보들이 궁금하죠. 하지만, 어떤 분양이던 이런 내용을 알 수 없다는게 문제네요. 일단 재건축 일반분양을 하기 위해서는 관공서에 사업승인 및 사업계획 인허가가 필요합니다. 인허가 없이 분양 자체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부분은 처리가 되었다고 보여집니다. 사업부지 확보 역시 완료되지 않을 상태에서 분양을 할 수가 없습니다. 특히, 일반 재건축 분양의 경우 조합원의 100% 동의와 함께 100% 토지 매입이 되어야 합니다. 다만 토지 매입에서 대출은 있겠제요. 분양은 일반적으로 선분양을 먼저 시작합니다. 그래야 PF도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PF이전 단계로, 30%이상의 청약이나 본계약이 이루어 져야 PF 및 시공사 선정이 시작 됩니다. 그러므로 현재까지는 시행사의 유동자산으로 운영이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최근에는 유동자산 확보를 위해 시행사인 아스터그룹에서 소유한 부동산을 싱카폴 펀드에 약 5600억에 매각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아스턴 시리즈 외에도 루시아 시르즈 도산, 더리버, 더테라스와 같이 규모가 큰 사업이 많이 있습니다.
@샷건-l1w Жыл бұрын
@@gnkorea 도움답변 감사드립니다:-)
@gnkorea Жыл бұрын
@@샷건-l1w 도움이 되셨다니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궁금한 점 주시면 제가 아는 내요이던 찾아서든 최대한 답변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