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라클레스 기둥 뒤편에 있었다” 전설 속 대륙 아틀란티스 / 14F

  Рет қаралды 2,948,310

14F 일사에프

14F 일사에프

Күн бұрын

약 1만 2천년 전 존재했던 완벽한 이상국가 ‘아틀란티스’ 하지만 자연재해로 하루 아침에 사라져버려 전설로만 남아있는 국가인데요. 아틀란티스의 존재를 세상에 처음 알린 플라톤의 기록에 따르면, 이 도시가 실제로 존재했다면 모든 인간들이 꿈꾸는 유토피아였다는데…그렇다면 아틀란티스는 실제 존재했을까요? 왜 우리는 찾지 못하고 있는걸까요?
숨겨진 보물들의 미스터리한 전설을 파헤치는 인디아나준스
지금 시작합니다
#아틀란티스 #미스터리 #인디아나준스
14F 모바일 앱의 new 사원이 되어주세요!
14F 앱 다운로드하기
안드로이드 👉 bit.ly/3LbOCeZ
iOS(아이폰) 👉 apple.co/3Lewotp

Пікірлер: 1 100
@14FMBC
@14FMBC 2 жыл бұрын
*정정합니다! 00:06 북아메리카 -> 북아프리카 앞으로 더 꼼꼼하게 체크한 뒤 업로드하겠습니다. 시청에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user-fl1kt6qg7m
@user-fl1kt6qg7m 2 жыл бұрын
어쩐지ㅋㅋㅋㅋ
@이찬-z4d
@이찬-z4d 2 жыл бұрын
그거 구분도 못하냐
@한동기-q4u
@한동기-q4u 2 жыл бұрын
수정해서 올려 이딴글만 맨날쓰네
@smile8437
@smile8437 2 жыл бұрын
아 깜짝이야 진작에 댓글 볼걸 내가 모르는 다른의미가 있었나 인터넷 한참 찾아봤네요
@ai293h6
@ai293h6 2 жыл бұрын
성경도 믿고 하나님도 믿고 천국도 믿자
@아쿠엘레
@아쿠엘레 2 жыл бұрын
어떤 책에서 읽었는데... "인식되지 않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상'이라는 것은 머나먼 기억의 흔적이지." 라더군요.
@hololo1452
@hololo1452 2 жыл бұрын
베르베르?
@Aaaffa785
@Aaaffa785 2 жыл бұрын
@@hololo1452 베르나르 어느작품에 나오나요..?
@장롱-l2x
@장롱-l2x 2 жыл бұрын
@@Aaaffa785 버클리의 철학은 우리가 지각하는 것만이 실체이며, 지각하지 못하는 것의 실체는 없다는,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Esse est percipi)"라는 명제로 요약될 수 있는 극단적인 경험론에 속한다.
@장롱-l2x
@장롱-l2x 2 жыл бұрын
@@Aaaffa785 조지 버클리의 말을 인용한 책이거나 조지 버클리의 말을 책이라고 착각한걸 수도 있겠네요
@ojw0127
@ojw0127 2 жыл бұрын
@@장롱-l2x 데카르트의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같은 논리네요 ㅋㅋㅋㅋ 실제로 외국의 어느 과학자가 우리가 인지하고 있는 순간에만 세계가 실제한다는 통속의 뇌 가설을 주장하기도 했다는 영상을 본적 있는데 이 세상이 시뮬레이션이라는 느낌이 물신나네요
@김성현-u6n3v
@김성현-u6n3v 2 жыл бұрын
고대 그리스에서는 지구가 둥글다는걸 알고 있었고 천재 수학자였던 에라토스테네스는 우물에 비친 해를 보고 힌트를 얻어 지구 둘레가 약 46259Km라고 생각했으며 실제 지구 둘레인 40074Km와 차이가 있지만 지구가 둥글다는 생각을 하지 않았다면 지구 둘레를 구할 생각조차 하지 않았겠죠
@L_O_L777
@L_O_L777 2 жыл бұрын
이과가 무서운 이유 안재보고도 지구 둘레 맞춤
@thisisfckyousound4847
@thisisfckyousound4847 2 жыл бұрын
과정생략???????
@김주영-q3v1q
@김주영-q3v1q 2 жыл бұрын
지구 둘레는 40000km정도고 47000과는 거리가 엄청 멀다
@김성현-u6n3v
@김성현-u6n3v 2 жыл бұрын
@@김주영-q3v1q 수정했습니다 제가 숫자를 40074 라고 적는걸 실수로 47004라고 적었네요
@김성현-u6n3v
@김성현-u6n3v 2 жыл бұрын
수학천재답게 공식을 이용해서 계산했으나 7.2도가 아닌 6도를 넣어 계산 했어야 된다는 의견이 있음
@재우재
@재우재 2 жыл бұрын
플라톤 주장 후에 이집트로 크로스체크하러 간 그리스인들한테 아틀란티스 우리 기록 맞다고 이집트 학자가 말한게 제일 핵심적인 내용인데 그게 빠졌네요ㅠ 엄밀히 따지면 아틀란티스는 이집트 기록입니다
@dumpling2018
@dumpling2018 23 күн бұрын
그럼 솔몬이 이집트 기록을 말해준 거예요?
@쥐인님-hamster
@쥐인님-hamster 2 жыл бұрын
폼페이, 트로이도 전설로 전해지다가 실존 도시로 발굴되었던거 생각하면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카를페르루스
@카를페르루스 2 жыл бұрын
ㄹㅇ. 차후에 어떤 발견이 있을지 없을지 속단할 수는 없음.
@keip1162
@keip1162 Жыл бұрын
@@Ochotona 트로이도 사실 소규모 전투일 확률이 있다고하죠. 아틀란티스도 과장이 섞여있을뿐 그저 가라앉은 도시고 1.2만년이 아니라 6천년경 정도의 일이다 이러면 가능성이 있기도 하겠죠ㅎ
@supleehum7656
@supleehum7656 Жыл бұрын
근데 괴베클리 테페도 발견된 마당에… 12000년 전에 섬이 없었다고 단정 지을수가 없음
@sub-account762
@sub-account762 Жыл бұрын
@@Ochotona 년도는 차치하고서도 이런 말도 안되는 거대한 문명을 가진 사람들이 아테네한테 패배한 것도 의문이고, 이렇게 거대한 문명인데도 기록이 플라톤의 책 하나 밖에 없고 다른 어디에서도 볼수 없다는 거 자체가 의문이죠
@sub-account762
@sub-account762 Жыл бұрын
@@Ochotona 애초에 아틀란티스가 그리스의 철학자인 플라톤에게 언급되었다는 것으로 그리스랑 아틀란티스는 연관성이 있구요 그리고 플라톤의 기록에 보면 아테네와 전쟁에서 패배 후에 바다에 가라앉았다고 나와있어요
@onlyou-z9t
@onlyou-z9t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의 눈은 지금은 조사하는게 불가능할 정도로 극심한분쟁지역입니다 납치 감금 살인이 빈번한 곳이며 사막의 특성처럼 길이라는게 따로 존재하지도 않고 길이있어도 곳곳에 지뢰가 매설되어있어서 목숨을 걸고 탐사를 해야한다고 합니다
@High-teyasuda
@High-teyasuda 2 жыл бұрын
워매...역시 사막은 위험해
@perthian-iaj
@perthian-iaj 2 жыл бұрын
내가 이불 밖을 안나가는 이유...
@흥칫뿡-q2g
@흥칫뿡-q2g 2 жыл бұрын
이미 갔다 왔음
@강예준-y3i
@강예준-y3i 2 жыл бұрын
@@흥칫뿡-q2g 갔다오면 뭐해 본격적인 탐사를 제대로 진행할수가 없는데
@흥칫뿡-q2g
@흥칫뿡-q2g 2 жыл бұрын
@@강예준-y3i 탐사했는데?
@Siary123
@Siary123 2 жыл бұрын
근데 현재 엄청 유명한 관광지인 앙코르 와트도 그렇게 거대한 도시인데도 불구하고 과거엔 그저 전설로만 전해졌었다고 하니까 아틀란티스도 충분히 가능성 있어 보이네요
@모모-w9w
@모모-w9w 2 жыл бұрын
지금도 아쉽다 ㅠㅠ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불타지 않았으면 더 많은걸 알 수 있었을 텐데ㅠㅠㅠ
@훈형-n9o
@훈형-n9o 2 жыл бұрын
진짜 아쉽 ㅠㅠ 외국에서 배오면 어떤 두루마리든 닥치는대로 다 복사했데요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세계 역사서들이 다 그럼 실제로 존재했다면 우리가 아는 역사보다 더 알수있었을텐데....
@날자-c2k
@날자-c2k 2 жыл бұрын
근데 갑자기 궁금해진게 있는데요. 컴퓨터나 그런거 다 사라지고 문명 리셋 됐을 때 그 인터넷에 있는 자료들 나중에 다른 문명이 컴퓨터나 인터넷 그런거 비슷한거 발명 했을 때 그들이 과거 인터넷 자료 같은걸 볼 수 있나요? 생각 해보니까 인터넷 그냥 컴퓨터 만지작 하고 하면서 한게 다지. 이런건 생각해본적이 없는데 갑자기 궁금하네요. 인터넷 같은거도 그렇고 우리가 컴퓨터나 핸드폰 화면속에서 지금 보이는 영상이나 글 같은것도 진짜 옛날 사람이 보면 상상도 안 갈거 같음. 어떻게 이런게 가능하고 이게 도대체 뭔지. 지금 인터넷,핸드폰 사용하면서도 평소엔 별 생각 안 하면서 썼는데. 뭔가 신기함. 어릴 때 생각하면 엄청 많이 바뀐거 같고 예전에는 사람이 나는거 상상만 했는데 에어슈트 같은거 타고 날다람쥐처럼 날아다니는 사람도 있고. 몇십년 미래에서 누가와서 미래에는 어떤게 있다해도 상상조차 안 갈거 같다. 진짜 몇천년전 몇만년전 사람들이 지금 문명 같은거 보면 진짜 신처럼 느껴지고 천국이나 신전처럼 느껴질듯.
@정이지-r8e
@정이지-r8e 2 жыл бұрын
@@날자-c2k인간의 프로그램은 기록을 하고 해석을 하는 기구가 처음부터 알맞게 만들어져서 괜찮은데 다른 문명이 와서 인터넷을 해석하려면 생각보다 훨씬 많은 기술과 노력이 필요하죠 게다가 기록들은 전부 암호화 되어서 해석하려면 엄청나게 힘들죠
@민스크-d1z
@민스크-d1z 2 жыл бұрын
@@날자-c2k 지금 보는 모든 인터넷이냐 자료들은 기기를 필요로함 전파처럼 떠도는게 아니라 특히 이런 유튜브나 구글같은 거대 사이트에 저장되어있는 기록물들은 모두 거대 서버실로부터 나오는거라 문명이 리셋될때 그러한 전자기기들이 전부 사라지면 영영 사라지는거임
@ekendkld-kdn
@ekendkld-kdn 2 жыл бұрын
이런 느낌의 영상을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인디아나준스 너무 재밌어요 영상 많이 내주세요
@user-jb6ni7tf9w
@user-jb6ni7tf9w 2 жыл бұрын
당신 누구야
@intentional2048
@intentional2048 2 жыл бұрын
ᅳ 나는 나
@고라니-o1i
@고라니-o1i 2 жыл бұрын
난 나고~~ 넌 너야~~
@맨이다얘
@맨이다얘 2 жыл бұрын
세상에는 목만 드럽게 긴 초식동물도 있고 뿔을 가진 돌고래도 있고 독과 주둥이와 물갈퀴를 가진 포유류도 있을 정도로 다양한 생명체가 존재하지만 정작 말에 꼴랑 뿔 하나 달린 유니콘은 존재하지 않는것처럼 아틸란티스보다 더 허무맹랑한 고대국가가 현실에 존재했었더라도 해상국가 하나쯤 허구로 존재하는게 그다지 이상한 일은 아닌거 같습니다
@너를포획
@너를포획 2 жыл бұрын
인간중에 유사 유니콘 있던데용..
@날아다니는도토리
@날아다니는도토리 2 жыл бұрын
@@너를포획 유사 유니콘이 유니콘은 아니잖아요
@롤잘하고싶다-z2u
@롤잘하고싶다-z2u 2 жыл бұрын
일각고래는 돌고래랑 거리가 먼데.
@aa-nk8mm
@aa-nk8mm 2 жыл бұрын
말에 뿔 하나 달린 건 존재함. 코뿔소임.
@hhh-yp9it
@hhh-yp9it 2 жыл бұрын
@@aa-nk8mm 코뿔소가 사실 소보다 말이랑 친척이라 그럴듯함
@열파참-z1w
@열파참-z1w 2 жыл бұрын
역시 전설 속의 "기둥 뒤에 공간 있어요"
@かたなさはにたう
@かたなさはにたう 2 жыл бұрын
ㅋㅋㅋㅋㅋ 기둥뒤에 공간이 좀 크노 ㅋㅋㅋ
@cotton_0610
@cotton_0610 2 жыл бұрын
개웃기네ㅋㅋㅋㅋㅋㅋㅋ
@jojo_sbr
@jojo_sbr 2 жыл бұрын
기둥 속에는 게이 3명이 있죠
@HANSOL1440
@HANSOL1440 Жыл бұрын
​@@jojo_sbr 헐 시벌 세계멸망이다
@광명서초
@광명서초 10 ай бұрын
이 좋은 이야기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제나이 70에 이런 좋은이야기를 처음듣네요 앞으로 더많은이야기들려주세요
@tv-fy2ur
@tv-fy2ur 2 жыл бұрын
유토피아처럼 아틀란티스도 그저 당시 부패한 사회를 풍자하기 위해 없던 섬을 있는 것 처럼 표현했을 수도 있겠다고 생각합니다
@tv-fy2ur
@tv-fy2ur 2 жыл бұрын
근데 다시 생각해보니깐 아틀란티스가 튀르키예(터키)의 괴베클리 테페일수도 있겠네요
@호두구속
@호두구속 2 жыл бұрын
자꾸 뇌피셜을 하시는데 플라톤은 문학적인 허용을 굉장히 싫어하는 인물입니다.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마찬가지고요. 전혀 근거 없는 이야기예요
@tv-fy2ur
@tv-fy2ur 2 жыл бұрын
@@호두구속 아 감사합니다
@OO-ri8ow
@OO-ri8ow 2 жыл бұрын
@@호두구속 뭔 문학적 허용을 싫어해? ㅋㅋ 개웃기네
@호두구속
@호두구속 2 жыл бұрын
@@OO-ri8ow 말을 똑바로 해. 플라톤이 이데아 주장했다고 몽상가 이미지가 강해서 그렇지 플라톤과 그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을 과학의 영역으로 분리시키기 시작한 인물들로 둘 다 과학적, 논리적 추론으로 접근한단다 지잡대생아
@duepm
@duepm 2 жыл бұрын
네셔널지오그래픽의 Rising Atlantis 꼭 보는거 추천 과학자들이 아틀란티스를 찾는 내용인데 비록 실패했지만 아틀란티스인들이 사용한것으로 추청되는 돛을 찾음으로서 아틀란티스가 존재 했다는걸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찾은게 흥미로움
@duepm
@duepm 2 жыл бұрын
@@다마스-i7q 혹시 제가 잘못 적은게 있나요?
@duepm
@duepm 2 жыл бұрын
@@다마스-i7q 정말요? 혹시 그 말이 영상에서 언제 쯤 언급됐나요?
@duepm
@duepm 2 жыл бұрын
@@다마스-i7q 다시 끝까지 봤는데 그런 내용이 없어서요.. 제가 놓친거일수도 있으니 정확한 좌표를 알려줄 수 있나요?
@사직-f4l
@사직-f4l 2 жыл бұрын
@@다마스-i7q 재대로 x 제대로 o
@urbanlounge
@urbanlounge 2 жыл бұрын
@@다마스-i7q 아님말고 식의 댓글인듯
@HansikMasterChef
@HansikMasterChef 2 жыл бұрын
아틀란티스가 에게해에 있을것이다라고 하는 의견도 있어요. 그리스가 고대 문명의 중심지가 될 수 있었던 것도 아틀란티스의 영향력이었을 것이다라는 거죠. 그것 뿐 아니라 뮤 대륙에 대한 전설도 다뤄줬으면 하네요.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전부 보면 홍수나서 어디 잠긴 얘기들이 대부분인거 같아요....개인적으로 발견되든 말든 관심도 없지만 지구에서 홍수가 몇번이나 나서 인간에 문명이 되었는지가 더 궁금함.... 얼마나 홍수가 반복 되었길래 문명에 시발점을 찾지를 못하니...찾으면 또 그전에 문명문화재가 나오고....동서양보면 같은 형상이나 동화등등에서 비슷한 문화가 나오는거보면 또 어느곳에 인간들이 많이 흩어진 시발점인지도 궁금하구요....파미르가 대표적이긴 한데 또 있는거 같음.... 아니면 세계 피라미드가 여기저기 있지않았을테고 순차적으로 만들어졌겠죠...그게 아니니 세계 피라미드는.... 인간에 종족도 그렇지 않음....무수히 많은데 특정 인간종족이 인지능력이 더 뛰어나서 우리가 있는거구요.... 그 모태가 된게 샤머니즘이나 종교이구요...하나로 집단형체를 해준 버팀목이죠.... 그게 진화가 되어서 문명이 생기면서 샤머니즘때는 하나에 구심점으로 종교로 와서는 권력에 중심으로....
@이종희-z4g
@이종희-z4g 2 жыл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홍수가 생각보다 잦고, 규모가 큽니다. 당장 우리 북쪽에만 있는 놈들만 봐도 세계 최악의 홍수를 겪었으니...
@뽈뽈-k2l
@뽈뽈-k2l 2 жыл бұрын
에게해 문명에 섬나라..?? 크레타 아님??ㅋㅋㅋㅋ 화산 맞고 나라 가라앉은거 까지
@김수인-b3o
@김수인-b3o Жыл бұрын
그리스가 고대문명의 중심지가 될수있었떤건 .. 지금의 중동과 이집트 덕분입니다...
@박준돌-j2w
@박준돌-j2w Жыл бұрын
그리스가 고대문명의 중심지라구요??? 당시 페르시아가 훨씬 선진국이였습니다 그리스가 유명한건 서구 중심의 역사관때문이죠 ㅋㅋㅋ
@japanese_4
@japanese_4 2 жыл бұрын
인류가 사실적으로 묘사한 무언가는 절대 허구가 아니라고 생각함 봉황,해태같은 전설속 동물들도 결국 언젠가는 살았었고 구전해오다 남은거라고 생각함
@광역어그로시전
@광역어그로시전 2 жыл бұрын
ㅇㅇ 흑염룡도 존재함 실제로
@뽀송-c4w
@뽀송-c4w 2 жыл бұрын
@@광역어그로시전 내 오른손에?
@김다니엘-b5o
@김다니엘-b5o 2 жыл бұрын
@@뽀송-c4w ㄴㄴ내아랫도리에
@볼붕이-g7s
@볼붕이-g7s 2 жыл бұрын
비슷한 도마뱀이 있었겠지 ㅋㅋㅋㅋㅋㅋ
@어그로꾼킬러
@어그로꾼킬러 2 жыл бұрын
@폭행몬스터 인어는 있었음
@II-tg6wf
@II-tg6wf 2 жыл бұрын
트로이는 그래도 여러 기록들이 잇엇고 그것들을 토대로 찾아내엇다지만 아틀란티스는 오로지 플라톤의 말만을 기반으로해서 없을거라 생각하고는 잇엇는데 사하라의 눈에 대한 이번 영상을 보니 그럴듯하긴 한 부분들이 많이 있네요 더 많은 조사를 통해 밝혀질수 잇으면 좋겟네요 ㅎ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그게 이집트에서 찾으면 전혀다른 결과가 나타날지도 모름....이집트가 원조니....
@equivalent_exchange
@equivalent_exchange 2 жыл бұрын
???: 기둥뒤에 공간 있어요! ???: 그래서 아틀란티스는 어디 있는데요?
@Wlqrkwk-y6x
@Wlqrkwk-y6x 2 жыл бұрын
이거 뭔 드립임
@user-eq3rm5oy8v
@user-eq3rm5oy8v 2 жыл бұрын
@@Wlqrkwk-y6x 이걸 모른다구??
@coca-colaatmidnight4641
@coca-colaatmidnight4641 2 жыл бұрын
@@Wlqrkwk-y6x '기둥 뒤에 공간 있어요' 라고 검색하면 바로 나옴
@NUFC_toon
@NUFC_toon 2 жыл бұрын
아틀란티스님 내리기 힘드셨겠네요
@hhhhjjjjjify
@hhhhjjjjjify 2 жыл бұрын
전라도에
@타류-o5v
@타류-o5v 2 жыл бұрын
그리스 로마 신화에 나온 트로이가 발견됐을 정도면 아틀란티스도 실재한다고 봐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네요 바다만 보더라도 아직 안 밝혀진 게 많은데 세월이 지나면서 기술이 발달하고 그러면 언젠가 밝혀지지 않을까 싶네요 기록은 있지만 어딘가에 숨겨져 있거나 공개가 안된 걸 수도?
@austin4419
@austin4419 2 жыл бұрын
트로이 전쟁의 여부는 존재했다고 판단하는 게 정설이라고 하네요. 그렇지만 신화처럼 트로이 목마 자체가 존재했거나 대규모의 전쟁이 일어났다는 부분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생각해보면 당연하게도 농경사회가 시작한 이래로 인류는 항상 전쟁을 해왔고 정복을 했기 때문에 트로이가 어느 지역이건 당연히 전쟁이 있었겠죠.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는 신화속의 그런 전쟁 기록은 하나도 없다고 합니다.
@타류-o5v
@타류-o5v 2 жыл бұрын
@@austin4419 그건 그렇죠? 다른 무언가로 되어 있다거나 혹은 변형되서 전해졌을 지도 모르고 기록이 소실되었을 수도 있고 여러가지 변수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갠적으로 신화 속 얘기 중에서 신빙성있는 그런 거는 발견됐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sexman0923
@sexman0923 2 жыл бұрын
뭐라는거야ㅋㅋ
@Yes_you_
@Yes_you_ 2 жыл бұрын
@@ooo-pe2gc ㅋㅋㅋㅋㅋㅋㅋ
@에바그린-f2n
@에바그린-f2n 2 жыл бұрын
@@ooo-pe2gc ㅁㅊㅋㅋㅋㅋ
@아릿아리릿
@아릿아리릿 2 жыл бұрын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터로 해수면을 430m정도 상승시키면, 북아프리카는 순식간에 잠기고 섬이 하나생기는데 사하라의눈부분이 바다에 잠기면서 아틀란티스가 묘사된 모습처럼 동심원을 낀 연안도시가 되는걸 볼수있음!
@꽃슈카
@꽃슈카 2 жыл бұрын
근데 430미터가 뜬금없이 올라가 있었을 수가 있나
@marchen7255
@marchen7255 2 жыл бұрын
@@꽃슈카 빙하기 간빙기로 해수면이 거의 천미터나 왔다리 갔다리 함
@qudtlsdprpajrdlrmawl
@qudtlsdprpajrdlrmawl 2 жыл бұрын
@@marchen7255 천미터 왔다갔다 한다는 자료좀요.
@marchen7255
@marchen7255 2 жыл бұрын
@@qudtlsdprpajrdlrmawl 굳이 정확히 천미터 아니더라도 해수면이 왜 상승하는지 아메리카 대륙의 원주민들은 어떻게 아메리카 대륙으로 어떻게 건너갔는지 알수 있으면 좋을듯
@qudtlsdprpajrdlrmawl
@qudtlsdprpajrdlrmawl 2 жыл бұрын
@@marchen7255 아니.. 베링해협은 빙하기에 알어서 건너간거고 천미터가 왔다갔다했다고 글을 써놨으니 그에 맞는 근거자료를 제시해야죠. 딴소리말고 근거좀요.
@rung3791
@rung3791 2 жыл бұрын
2:55 플라톤은 아틀란티스가 사라진 이유로 화산 폭발을 얘기하지 않았습니다.
@구본걸-d8b
@구본걸-d8b 2 жыл бұрын
지진해일에 더 가까운 듯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구본걸-d8b 그게 그거임 바다속도 화산폭발함...그게 직각으로 가면 바다에 쓸려서 쓰나미가 되는거임.....
@3401-c6k
@3401-c6k 2 жыл бұрын
일사에프에서 이 시리즈? 영상은 처음인데 목소리가 깔끔하고 너무 높지도 않은데 몰입감이 장난없어,, 발음까지 너무 잘 들리니까 홀린듯이 영상을 보게 되네 오늘은 이거 정주행이다
@skwon7207
@skwon7207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의 눈이 아틀란티스 아닐까 하는 떡밥이 해외 유투버들 사이에서 몇년 전부터 나오기 시작하던 이야기죠. 들으면서 되게 신기하고 나름 신빙성 있다고 생각했
@smilingtuna3623
@smilingtuna3623 2 жыл бұрын
진짜 제대로 그쪽 연구 한번 시도 했으면 좋겠음 정작 너무 위험해서 못 가지만...
@girlsgenerationyom
@girlsgenerationyom 2 жыл бұрын
마저말해주세요 제발
@06steelo
@06steelo 2 жыл бұрын
@@girlsgenerationyom 다
@koreauniv24
@koreauniv24 2 жыл бұрын
@@girlsgenerationyom 일루미나티가 비밀 유지하려고 쓰는 도중에 잡아간 듯
@김종열-s1l
@김종열-s1l 2 жыл бұрын
@About-Love-Song
@About-Love-Song Жыл бұрын
넘 좋은 컨텐츠네요. 잘보고 갑니다
@eidhfgwu28
@eidhfgwu28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의 눈 크기가 너무 말도 안되게 플라톤이 말한 아틀란티스의 크기와 같다는 게 너무 신빙성이 있음 진심
@sub-account762
@sub-account762 Жыл бұрын
저건 너무 억지 아닌가요 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서 바뀔거 같은데
@jjk5957
@jjk5957 7 ай бұрын
@@sub-account762어떻게 측정하느냐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데요 ? 예시좀
@해파리_27호
@해파리_27호 5 ай бұрын
ㅇㅈ 반대의견 사하라사막에서 유적이 발견되지않았다 그러므로 아틀란티스가 아니다라고 결론짓는것도 좀 아니라고 생각함 사하라 사막은 분쟁지역이여서 탐사가 어렵다는데 대체 뭘 파보고나 없다고 하는건지
@디빈-v3j
@디빈-v3j 2 жыл бұрын
0:13 우리 어쌔신크리드 오디세이 갓겜입니다. 츄라이 츄라이
@risai3319
@risai3319 2 жыл бұрын
어쩌면 등잔밑이 어둡다 라고 해서 아틀란티스는 지금의 시민들이 살고 있는 도시의 별명일지도 모른다 그게 사람 입에서 입으로 가다보니 점점 부풀려져서 전설의 도시라고 불리게 된게 아닌가 싶음
@algorithm_admin
@algorithm_admin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의 눈 위쪽에 있는 산맥의 이름은 아틀라스 산맥 아틀란티스의 지배자들은 아틀라스의 자손이라고 전해짐.
@leemyughan
@leemyughan 2 жыл бұрын
어원도 비슷하네요
@에레드
@에레드 2 жыл бұрын
애초에 아틀라스 산맥이라는 이름을 아틀란티스 전설 때문에 지은거임 ㅋㅋㅋㅋ
@leemyughan
@leemyughan 2 жыл бұрын
@@에레드 아 역순인가요?ㅋ
@Jasmin-lo9uc
@Jasmin-lo9uc Ай бұрын
아틀란티스 관련은 언제 봐도 흥미진진하네요. 목소리도 참 좋으시다. 😊
@alexpark8557
@alexpark8557 2 жыл бұрын
약 1만 2천년 전 존재했던 완벽한 이상국가 ‘아틀란티스’ 하지만 자연재해로 하루 아침에 사라져버려 전설로만 남아있는 국가라네요. 아틀란티스의 존재를 세상에 처음 알린 플라톤의 기록에 따르면, 이 도시가 실제로 존재했다면 모든 인간들이 꿈꾸는 유토피아였다는데… 정말 어디에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흥미로운 영상 감사합니다~
@Roo_Rang
@Roo_Rang 2 жыл бұрын
크.. 인디아나 준스님 코너가 너무 재미있어용!👏👏
@assqee873
@assqee873 2 жыл бұрын
바다 깊숙한 곳은 아직 인간의 영역이 아니라서 발견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겠지 아주 깊은 곳에
@YMA111
@YMA111 2 жыл бұрын
기원전에 중세보다 훨씬 과학적으로 살아가던거 보면 과거에 훨씬 발전된 문명이 있었을거 같음
@duritom
@duritom 2 жыл бұрын
고대 이후는 워낙 전쟁의 연속이라 발전이 더뎠던겁니다. 하루하루가 전쟁을 위한 삶을 사는 시기였기에 발전의 불균형이 엄청 심했죠. 그래서 고대 문명이 중세보다 발전했을 신빙성이 높죠.
@YJ-ph9du
@YJ-ph9du 2 жыл бұрын
중세를 괜히 암흑의시대라고 하는게 아니죠 기독교가 다 망처놨음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저도 그건 공감함 기원전보다 그전 문명 중 몇개는 더 발단이 된거.... 단지 홍수가 얼마나 자주 나면 그런 문명조차 제대로 모르고 종교에서는 노아에 방주니 모세니 하는지....얼마나 그전 역사에 무지하면....지금 인간도 얼마나 무지하면 시기에 기준이 서기인지.... 그것도 종교를 빌어서.... 아직도 인간이 많이 무지한거 같음 단지 과학기술이 좀 되어서 역사를 조금식 아는거지....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duritom 일리는 있어도 그럼 전쟁으로 더 삶에 질이 올라가야 됨 이유가 전쟁을 왜함 더나은 부산물을 얻기에 하는거지 나에 재산 망칠려고 전쟁을 하지않음..... 만약에 전쟁을 막을려고 하는경우는 있어두요.... 개인적으로 반복적 홍수가 큰것이라 봅니다....홍수만한게 없어요....종교에서도 저렇게 기본으로 하는게 구원 노아에방주 모세아님.... 종교는 믿지 않지만 참고할만함.... 세게 문화재를 보아도 인간이 시기를 정해서 가야하기에 시기를 정하는거뿐이지 보면 계속 그전 역사에 문화재가 나오지 않음.... 인간이 그걸 아직 모름 문명에 과정을..... 세세한 문명에 과정을요.... 그래서 저런 미스테리나 종교 샤머니즘이 안가시는거라 봅니다.... 자꾸 구멍이 보이니.... 지금도 역사에 흐름을 띄엄뜨엄 알지않음.... 단지 끼워맞추기로 해놓았을뿐..... 한국에 역사도 전부 보면 끼워맞추기지 예전으로 갈수록 더 심하구요...단지 크게 환국이 있었다 단군이네 삼국시대네 고려 조선이네 하는거뿐이죠....
@아리수-m5z
@아리수-m5z 2 жыл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예 맞습니다 본래역사란 기록으로 탄생한 학문이고 이기록이 지역마다 각기다르고 세세하게 전부다 기록되어 있는게 아니다 보니깐 발굴된 유물의 나이나 기록으로 연도를 측정해서 퍼즐밎추듯이 맞춘거 맞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타임머신을 타고 고대과거로 가보면 지금 우리가 배우던 고대사랑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하죠 정확한 기록이 없으니깐요...이집트의 피라미드만 봐도 지금 기술로도 ㅈㄴ게 만들기 어려운 건축물인데 그당시 저걸 하나도 아니고 저렇게 많이 만들 수 있는게 진짜 미스테리 라는거죠 그리고 기원전 9000년경이면...ㅋㅋㅋ세계 인류 대부분이 신석기나 구석기 보내고 있던 시절인데 저렇게 찬란하고 거대한 문명을 꽃피울 수 있다는게 말이 안된다는거죠
@Scarlet0999
@Scarlet0999 2 жыл бұрын
위치 상으로 헤라클라스 기둥 밖에 있고, 저 당시에는 큰 강이 옆으로 흐르고 있었고 저 위치 바로 위에 자리한 산맥이름이 아틀라스 산맥이며 헤로도토스 지도에 아틀란티스라고 적힌 위치와도 일치함. 하지만 모리타니는 여행금지국가로 지정될만큼 위험해서 근시일 내에 조사가 이루어지기는 힘들것으로 보임.
@퐁당쇼콜라김
@퐁당쇼콜라김 Жыл бұрын
근데 좀 웃긴게 그런지역들은 분쟁지역이거나 못들어갈 이유가 항상 있음. 바로 조사해서 진실유무를 밝혀야 의문이 해소되는데..
@성이름-s4f5g
@성이름-s4f5g Жыл бұрын
못들어갈 이유가있으니깐 안밝혀진거임
@brians2192
@brians2192 Жыл бұрын
@@say_one 아튼란티스가 사하라의 눈에 존재했다면 4억년전에 만들어진 지층 위에 도시를 세운거겁니다. 그 지층이 만들어진 시가와는 큰 상관이 없죠
@deeppiz
@deeppiz 2 жыл бұрын
고대엔 아프리카가 지금의 아마존처럼 나무가 무성했다고 그러니 그럴듯함
@jeongho6
@jeongho6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의 눈 근처가 지뢰위험지대라 애초에 발굴대가 간적이 없는데 문명 유물이 발굴되지 않았다는 근거는 매우 빈약.
@cmj7260
@cmj7260 2 жыл бұрын
오파츠라는 게 있음. Out-Of-Place Artifacts이라고 해서 '시대를 벗어난 유물들' 이라는 뜻임. 이런 거 보면 아틀란티스 같은 문명이 있을 것 같기도함.
@cmj7260
@cmj7260 2 жыл бұрын
​@@ai293h6 대부분이 가짜라는 건 맞는데, 바꿔말하면 아직 진실 규명이 되지 않은 진짜도 있다는 뜻. 대표적으로 안티키테라 기계. 그리고 꼭 물건 뿐만 아니라 유적같은 경우도 많음. 스톤헨지도 달력으로 쓰였다는 썰이 유력함. 그것도 굉장히 정확한.
@북극곰-j8x
@북극곰-j8x 2 жыл бұрын
오파츠도 요즘은 안티키테라 장치나 고대 배터리 등의 유명한 오파츠들이 당시 기술력을 봤을때 충분히 구현 가능하거나 알고보니 좆도 아니였다는 식으로 결론난게 꽤 되서 그냥 용도/원리 불명의 유물임
@robertmichaelmyers8029
@robertmichaelmyers8029 2 жыл бұрын
오파츠는 대부분 가짜임. 진짜라고 하더라도 그당시에 존재해도 이상하지않을법한 물건들임.
@Kamila-hu2hv
@Kamila-hu2hv 2 жыл бұрын
@@ai293h6 안티키테라 기계나 네브라 스카이 디스크와 같은 경우에는 설명을 하지 못할정도로 정교하게 만들어짐요
@냥뇽낭
@냥뇽낭 2 жыл бұрын
@@cmj7260 안티키테라 기계는 헤론이라는 기계박사가 만들었음 그 당시에는 말도 안되는 기술인건 맞는데 이인간이 워낙 천재여서 다른 발명품도 많이 발명됐음 그래서 뭐 미스터리라고 하긴 힘듬
@이도형-x9x
@이도형-x9x 2 жыл бұрын
고대 그리스인들도 지구가 둥글다 정도는 알고 있었습니다 어떻게 알았냐고요? 월식 시에 비치는 그림자라든지 해수면 높이를 근거로 알았다고 하죠
@YMA111
@YMA111 2 жыл бұрын
중세가 괜히 암흑기가 아니죠 모든 기술 다 갖다버린...
@이도형-x9x
@이도형-x9x 2 жыл бұрын
@@YMA111 그건 최근에는 폐기된 주장입니다 중세인들도 지구가 둥글다 정도는 알았습니다
@이현석-l6h
@이현석-l6h 2 жыл бұрын
@@YMA111 움베르토 에코의 중세 시리즈 읽어보시죠
@지산장여관
@지산장여관 2 жыл бұрын
정확히는 둥글다는 것을 알아챈 사람들이 몇몇 있었다 고 일반적으론 지구평평설이 대세였지
@이도형-x9x
@이도형-x9x 2 жыл бұрын
@@지산장여관 학자급이라면 지구가 둥글다 정도는 다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콜롬버스의 향해 계획을 포르투갈 왕실이 거절한 것이고요 - 이미 대략적인 짖구 크기도 안 것이고요
@ban5236
@ban5236 2 жыл бұрын
와...3400년 만 에 깊은 수심 속 에 잠겨 있던 도시 가 발굴 되다니... 흡사 지금을 보눈거 같네... 지구 온난화 로 해수면 이 높아져서 땅 이 점점 가라않고 있는데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그건 인간에 문제가 맞지만 해수면 상승가 줄어드는건 지구행성에 반복적 자연적인거임.... 인간이 아직 몰라서 그게 자연적인걸 인지하지 못하는거임...단지 탄소를 빨리 배출해서 문제인거죠...멸망에 지름길....그럼 또 다른 문명이 생기는거구요....
@sky-blue808
@sky-blue808 2 жыл бұрын
@cutest_bruney
@cutest_bruney 2 жыл бұрын
아무리 봐도 맞는 것 같은데 심증만 있음. 7:54는 외국 여행유튜버가 실제 땅에서 소금 맛이 난다고 확인시켜줌. + 실제로 근처 모리타니 사하라의 눈 근처에서 고래 화석 발견되어서 과거에는 그곳이 바다였다는 가설이 입증됨.
@vscoap
@vscoap 3 ай бұрын
+ 사하라 사막은 2만년주기로 초원과 사막화를 오가고있어 그당시에는 초원이였고 바다를 끼고있는 운하도있었음
@np1494
@np1494 2 жыл бұрын
이건 조상님이 여행갔다가 썰들은거 알려줬는데 우리 조상님이 거짓말을 할 리가 없어! 하고 풀어놨다던가 자신의 이상을 도시 이야기로 바꿔서 비유했다거나 그런 게 아닐지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가능성 있음 종교도 보면 대부분에 문장 문양이 샤머니즘에서 카피한거구 성경도 소설책이지만 그 부분적 역사적 관점으로 적은게 많기에 역사학자들도 참고하면서 연구하는거임.... 우리에 지구 역사에도 알 모계사회등등 사회지도층일수록 이런게 많지않음.... 그걸 종교에서도 카피했구요...마리아와 같은 모계나 알에서 나왔다고 하는거나.... 충분이 말이 이어진거면 그 생태계가 어떠하든 있었던 사실이 이어진거라 보여집니다.... 동화도 비슷하죠 에전은 더 잔인했지만 지금은 순화해서 하지만 있었던 사실로 만들어진것도 많으니까요....예전은 얼마나 잔인했길래 동화가 보면 정말 잔인함....사림 동강이내고 이런건 기본이고....
@나와보리
@나와보리 Жыл бұрын
목소리가 너무 좋아서 계속 듣게되네요❤
@랭씨-o2t
@랭씨-o2t Жыл бұрын
아틀란티스가 아니더라도 사하라의 눈 같은 지형이 어떻게 생겼는지도 궁금합니다. 해당 지역이 반군이나 인신매매, 도적 등의 위협이 있어 접근하기 어렵다던데, 안타깝네요
@david-ed8es
@david-ed8es 2 жыл бұрын
이거 갑자기 떠서 이제 알아서 보게됬는데 너무 재밌다ㅋㅋㅋ 칭기스칸편도 보는중ㅋㅋㅋ 이런 미스테리 너무 쥬아
@봄이-h4l
@봄이-h4l 2 жыл бұрын
“헤라클래스” “아틀란티스” 이건 못 참지
@hhh-yp9it
@hhh-yp9it 2 жыл бұрын
신화에서만 나와서 가상의 문명인줄 알았던 트로이문명도 실제였단게 밝혀진것처럼 어쩌면 아틀란티스도 있었을지도 모르지. 정확히 아틀란티스란 똑같진 않더라도 모티브가 된 문명은 있을 것 같음
@rudehgus11
@rudehgus11 2 жыл бұрын
가라앉아 있을것 같네요. 플라톤은 극도로 사실적인 사람이여서 추론이나 미신같은건 책에 쓰지도 않았다고합니다
@saeonthefox153
@saeonthefox153 2 жыл бұрын
어느정도 과장과 왜곡은 있겠지만 플라톤이 그런걸 완전히 지어내서 말 할 만한 사람도 아니고, 없다는걸 증명하는건 불가능에 가까우니 아틀란티스 떡밥은 정말로 발견되어서 확정되지 않는 이상 없어지지 않겠죠.
@ai293h6
@ai293h6 2 жыл бұрын
플라톤이 그런걸 완전히 지어내서 말 할 만한 사람도 아니고,
@뗑컨쓰
@뗑컨쓰 2 жыл бұрын
@@ai293h6 플라톤 본인이 지 사상을 구라썰로 푸는걸 비판하던 사람이었음 완전히 지어내서 말할 만 한 사람 아닌거 맞음
@Dophio7
@Dophio7 7 ай бұрын
@@ai293h6 저능아는 너 아니냐ㅋㅋㅋ 수업시간에 졸았노
@normal77079
@normal77079 2 жыл бұрын
학창시절 기억 때문인지 아틀란티스하면 나디아부터 떠오름
@투냥츠
@투냥츠 2 жыл бұрын
ㅋㅋ
@고사리맛집
@고사리맛집 2 жыл бұрын
나디아가 따라한듯. 아프리카 가면 둥근 모양의 도시 있고 물에 잠김 ㅋㅋ 발달한 고대 문명
@빈리-u8o
@빈리-u8o 2 жыл бұрын
난 보아 아틀란티스소녀 노래넘좋
@nanana9608
@nanana9608 2 жыл бұрын
우연히 플라톤이 사하라의 눈 가까이에 갈 기회가 생겼는데 넓은 초원이었던 지역특성에 신기루로 유럽의 성채나 폴리스가 보였을지도
@eidhfgwu28
@eidhfgwu28 2 жыл бұрын
이런 말도 나오지 않았을까?
@shinshin34
@shinshin34 2 жыл бұрын
초원에서도 신기루가 생김?
@Qqqqqq-q2t
@Qqqqqq-q2t 8 ай бұрын
국평5
@user-qq6mn4fz8k
@user-qq6mn4fz8k 8 ай бұрын
실수로라도 보일 거리가 아님.. 사하라의 눈하고 가장 가까운 유럽도 1700km니까 서울에서 대만의 타이난 정도 되는 거리고 그리스의 폴리스는 그 두배가 넘어서 서울~방콕 정도 거리인데 신기루 할애비가 와도 안 보임
@user-ej6kw4ir5s
@user-ej6kw4ir5s 7 ай бұрын
@@user-qq6mn4fz8k 신기루 할애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irkr3070
@mirkr3070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 사막에 아틀란티스로 추정되는 곳을 찾기는 했는데 문제는 심각한 분쟁지역이라 연구하려고 아예 접근 조차 불가능. 목숨걸고 연구하고 말고의 문제가 아니라 가면 무조건 죽음.
@sososo9721
@sososo9721 2 жыл бұрын
넘재미싸.. 이런 비슷한 컨텐츠 많은 채널 추천점 해주세여..
@Namuingan
@Namuingan 2 жыл бұрын
이미 아실 수도 있지만 "기묘한밤 " 추천 드립니다~
@sososo9721
@sososo9721 2 жыл бұрын
@@Namuingan 오오 몰랏어요 ㅋㅋ 추천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지니-p8e
@지니-p8e 2 жыл бұрын
기묘한밤 추천하러 들어왔는데 ㅎㅎ
@T1Fantastic
@T1Fantastic 2 жыл бұрын
스튜디오가 냉방이 안돼나봐요 준스님 얼굴에 땀이;; 보는내내 안쓰럽네
@성준-n1u
@성준-n1u 2 жыл бұрын
꼭 있었으면 좋겠다.
@benjaminroi4168
@benjaminroi4168 2 жыл бұрын
아틀란티스 대적하는 '뮤'대륙도 궁금해요! 한 가설에 따르면 뮤 대륙과 아틀란티스가 그 당시에 고대문명이자 두 강대국이었는데, 강대국들이 결국 협의점을 찾지 못하고 핵을 사용하는 바람에 그렇게 되었다는 가설도 있고, 상상도 있으니까 궁금합니다.
@shinshin34
@shinshin34 2 жыл бұрын
아틀란티스에서 핵무기를 사용했다는 가설이 있다고요..?
@benjaminroi4168
@benjaminroi4168 2 жыл бұрын
@@shinshin34 네, 갑자기 없어쟜으니 아주 고대에 핵무기가 있을 수도 있다는 가정도 본 적이 있어요.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2 жыл бұрын
@@benjaminroi4168 핵융합을 떠나서 핵분열은 무슨 도구?로 하구요....그리고 그 방사능은 무슨수로 막으며 그 열은 무슨 대용량에 물을 가두어서 식히나요.... 재미있는 가설은 좀더 구체적으로 하면 좋겠어요
@dong3289
@dong3289 2 жыл бұрын
@@gravel1brevet2campinghocke27 터키쪽이었나 어느 사막 지층에 초고온에 노출되서 녹은 결정이 많이 발견되서 대폭발이있었다였나 그런방향이었던걸로 기억함
@apia214
@apia214 2 жыл бұрын
암튼 이대로면 아틀란티스보다 더 과거가 인리최초의 문명일수도 있겠네여 파면팔수록 나오니
@김지콩-n7t
@김지콩-n7t 2 жыл бұрын
플라톤은 이데아도 주장했는데 생각으로 땅 하나 만들어 내는건 껌이지 ㅋㅋ
@재우재
@재우재 2 жыл бұрын
아틀란티스는 이집트 기록임
@이재영-b5y8u
@이재영-b5y8u 2 жыл бұрын
댓글 읽는 재미까지 있네요~~
@bbbbbbbong
@bbbbbbbong 2 жыл бұрын
이래서 타임머신이 있다면 과거로 가보고싶음 저런거 진짜인지 옛 조선왕들 실물도 보고싶고 상상만해도 재밌네
@erzenico
@erzenico 2 жыл бұрын
헤라클레스 : 아 기둥 뒤에 공간 있다니까요?
@b.s-luck
@b.s-luck 10 ай бұрын
워낙 지반활동이 활발하던때라 물속에 잠긴건확실하고 제일 유력한건 일본아래쪽 바다아래 큰유적지가있는데 연구중이라지만 그런곳이 한두군대가아니라는점 충분히 존재했을듯
@아아한잔-e6n
@아아한잔-e6n Жыл бұрын
과거사람들이 공룡뼈화석 어쩌다 보고 드래곤이살아있다고 상상했듯이 어쩌다 사하라지형을 본 사람들이 상상력으로 만든썰이 아틀란티스 이야기가된것이 아닐까
@moomoomoo09
@moomoomoo09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의 눈이 아틀란티스라면 바다 아래로 가라앉은게 아니고 사하라의 사막화와 해수면 하락으로 물이 없어진거일수도 있다고 생각함
@유너니
@유너니 2 жыл бұрын
우왕 재밌당
@North0503
@North0503 2 жыл бұрын
최근 넷플릭스에서본 '고대의 아포칼립스'에서 주장하는 12800년전 유성에의한 고대문명들의 멸망설에 부합되는정확한 날짜에 아틀란티스도 사라졌네요..
@makeitcount6540
@makeitcount6540 2 жыл бұрын
괴베클리 테페 도 발굴 됬는데..... 아틀란티스 보다 더 한것도 발굴 될지도 ???
@아주좋소-t5s
@아주좋소-t5s 2 жыл бұрын
오 새로운거 알고감 ㄱㅅ
@song8608
@song8608 2 жыл бұрын
엘도라도...ㅋㅋ
@대게머그러가까
@대게머그러가까 2 жыл бұрын
@RuCy-r7i
@RuCy-r7i Ай бұрын
항상 저를 영상으로 행복하게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니토-e7h
@니토-e7h 2 жыл бұрын
알렉산드리아도 물에 잠겨있는데 그때면 지금보다 해수면이 더 낮았을건데 지금 우리기준의 땅위를 찾아볼게아니라 저 바다속을 찾아봐야할텐데. 알렉산드리아보다 더 오래되서 더 아래에 묻혀있을 아틀란티스를 찾는건 사실상 불가능할듯. 1만여년 이전의 문명이 바다속에 있으면 형태도 없어져서 저게 기둥인지 돌덩이인지도 못알아 보지않을까. 금,은으로 쌓인 건물들 같은건 부유함을 어필하려는 약간의 과장일거같고. 실제론 문이나 이런데에 금과 은의 장식이 박혀있는집이 많거나 했을거같고. 암튼 존재는 했으나 너무 깊이 가라앉아서 못찾을거같음. 사하라의 눈은 그럴듯해도 아닐거같음
@KIM_Sung_Yeon
@KIM_Sung_Yeon 2 жыл бұрын
바다속이나...땅에 묻혔을수도..
@JH-ek5bn
@JH-ek5bn 2 жыл бұрын
있어도 적당한 도시국가 수준이 수천년 지나면서 전설화된 정도일듯
@귀여운크림이-m1s
@귀여운크림이-m1s 2 жыл бұрын
이 영상 보니까 고1 때 합창제에서 호박 머리띠 쓰고(좀 있음 할로윈이어서 담임쌤이 애들한테 쓰라고 하심) 아틀란티스 노래 부르던거 생각난다..진짜 추억이네 아직도 시청각실에서 합창 연습하던게 생생한데 벌써 대학생이라니
@정인택-i2r
@정인택-i2r 2 жыл бұрын
기둥 뒤에 문명 있어요
@kai3er
@kai3er 2 жыл бұрын
문명 뒤에 기둥 있어요
@공주-f5e1z
@공주-f5e1z Жыл бұрын
인중에 뭘 바르신건가요? 빛나요😅
@crufus
@crufus 2 жыл бұрын
고대인이 그냥 농담 한번 시원하게 한 걸로 현대인이 낚이고 있는 건 아닐까....
@bona723
@bona723 11 ай бұрын
그냥 보면 1천년 정도는 역사적 사실로 인식..2-3천년 넘어가면 신화-5천년넘어가면 그냥 전설 ㅋㅋㅋ 전에 하드디스크 강철 합금에다 기록해도 100년만 지나면 부식되서 사라지기 시작하니 초 고도문명을 이룬 문명이 왜 돌에다 기록하나 했더니 그나마 수천년을 버티는 게 없으니 한지도 오래버티는거보면 500년마다 백업을 하면 더이상 전설로 안남을듯.. 아니라고 하기보다 침몰할정도면 그당시에는 바다였다는건데 바닥 수백미터 파야할듯..
@dogman9583
@dogman9583 2 жыл бұрын
1. 아틀란티스는 섬이다. 2. 아틀란티스는 지브롤터 해협 너머에 있다. 3. 아틀란티스는 화산과 해일로 멸망했다. 위 조건에 맞는 곳이 딱 한 군데 있음 바로 카나리아 제도임
@카네아-y5v
@카네아-y5v 2 жыл бұрын
1.아틀란티스는 섬이다. = 폭이 넓은 강 사이에 있는 땅도 일단 '섬'이다. (아직 섬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없던 당시에 웬만한 강만큼의 폭을 가졌던 아틀란티스 주위의 물길들을 당시 아틀란티스인 이외의 사람들이 봤다면 그저 섬으로밖에 안 보였을 것.) 2.아틀란티스는 지브롤터 해협 너머에 있다. = 신기하게도 사하라의 눈은 (유럽 시점에서) 지브롤터 해협 너머(아프리카 대륙 방향)에 있다. 3.아틀란티스는 화산과 해일로 멸망했다. = 해저화산도 화산이고, 보통 해저화산이 강하게 터지면 쓰나미도 자연적으로 발생.
@미제드론
@미제드론 2 жыл бұрын
헤라클레스의 기둥이 비단 지브롤터의 산을 가리킨다고만 추정할수는 없습니다.
@whispersnow2863
@whispersnow2863 2 жыл бұрын
헛소리적당히쳐해라
@창신동-두산아파트
@창신동-두산아파트 2 жыл бұрын
플라톤이 화산폭발을 얘기하진 않았음 지진이나 해일정도로.?
@카네아-y5v
@카네아-y5v 2 жыл бұрын
@@창신동-두산아파트 그럼 운석 충돌로 인한 쓰나미든 지진으로 일어난 쓰나미든 어떤 가능성도 놓을 수가 없겠네요.
@라아이-h5u
@라아이-h5u Жыл бұрын
낭만 지린다ㅋㅋ이게 낭만이지
@hanimohani1004
@hanimohani1004 2 жыл бұрын
사하라가 잠겼었다는 사실이 없는 건 예전에는 이름이 사하라가 아닌 이름이였거나 그냥 아틀란티스라고 불렀기 때문이 아닐까
@정규성-l3w
@정규성-l3w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abxjsjcnjencnf
@abxjsjcnjencnf 2 жыл бұрын
기둥뒤에 아틀란티스 있어요
@gglee46
@gglee46 Ай бұрын
사하라의 눈은 실제 가서 찍은 유튜버들 영상 보면 지상에서는 제대로 다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큰 땅이라 개인이 가서 뭘 할 수가 없는 지역이더라구요. 지상에서 보면 이게 그 사하라의 눈인지 아닌지 구분을 하기 힘들 정도던데
@hololo1452
@hololo1452 2 жыл бұрын
대충 떡밥뿌렸는데 아직도 이러는거보면 저승에서 개꿀잼하면서 지켜볼듯 ㅋㅋㅋㅋㅋ
@smartk5654
@smartk5654 2 жыл бұрын
사람은 보지 않은 것은 상상할 수 없다
@sphinx6282
@sphinx6282 2 жыл бұрын
몇년전에 사하라의 사막을 구글 어스로 봤는데 자연현상으로 생긴게 아닌 인간이 만들어낸 어딘가 인공적인 느낌이 들긴 했습니다
@jarvanlxxxiv-k4l
@jarvanlxxxiv-k4l 2 жыл бұрын
그런 느낌은 어떤 근거로 받으신건가요?
@창신동-두산아파트
@창신동-두산아파트 2 жыл бұрын
@@jarvanlxxxiv-k4l 아니;; 자기 생각이잖아 그냥ㅋ
@갬성충
@갬성충 2 жыл бұрын
@@jarvanlxxxiv-k4l 이 질문은 어떤 근거로 한건가요?
@시설-s7o
@시설-s7o 2 жыл бұрын
@@jarvanlxxxiv-k4l 딴지걸려다가 실패했누 ㅠㅠ
@호두구속
@호두구속 2 жыл бұрын
느낌ㅋㅋㅋㅋㅋㅋ
@PC_OverClock
@PC_OverClock 2 жыл бұрын
자료 영상 중에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 장면이 있네요. ㅋㅋㅋ
@InOS-ex6hb
@InOS-ex6hb 2 жыл бұрын
흥미롭네요
@Minerva908
@Minerva908 8 ай бұрын
아틀란티스가 존재하기는 했을거같음. 그런데 아주 크고 커다란 대륙은 아니고 부강한 섬나라인데 옛사람 특유의 허구적인 과장을 섞어서 묘사를 했던것같음. 일례로 황금의 나라 지팡그라고 소개된 일본은 사실 외국인들이 금각사 하나만 보고 금이 넘쳐난다 생각했지만 사실은 은이 많이 나는 나라였던 것처럼. 부강한 섬나라가 지진과 해일로 침수되는 것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니.
@쵸노히나
@쵸노히나 2 жыл бұрын
???: Where are you now!? "In Atlantis"
@깡-s4f
@깡-s4f 10 ай бұрын
"기둥뒤에 공간 있어요"
@mirasian
@mirasian 2 жыл бұрын
기둥뒤에 공간있어요!
@user-yn1ts3fy2p
@user-yn1ts3fy2p 2 жыл бұрын
그래서 차주는 어떻게 나와요?
@띵가띵가-o8z
@띵가띵가-o8z 2 жыл бұрын
차주는 어떻게 나옴?
@jeokjae4192
@jeokjae4192 2 жыл бұрын
아니 그니까 기둥 뒤에 공간있다구요!
@부라보-m5c
@부라보-m5c 2 жыл бұрын
그니까요 차주어떻게 나옴?
@intmain
@intmain 2 жыл бұрын
@@부라보-m5c 선루프로 나왔다네요
@cellics
@cellics 2 жыл бұрын
Bright Insight라는 채널이 아클란티스에대해 집요하게 추구하는 채널입죠. 혹시 이 채널에서 나온 내용을 참조 하셧는지..?
@eugeney11
@eugeney11 2 жыл бұрын
우리가 찾지못한 고대문명이 충분히 물속에 가라앉아있을수있음 해저 대부분은 탐사하지 못한 지금에서 이상할게 없지
@KASIN_SSR
@KASIN_SSR 10 ай бұрын
34세기가 지나도록 못찾고 있으면 그냥 심해 15km 아래 이런곳에 있는게 아닌가
@꿀떡요정
@꿀떡요정 2 жыл бұрын
오늘 내셔널지오그래픽에서도 아틀란티스 나왔는데 ㅋㅋㅋ
@violettea6273
@violettea6273 2 жыл бұрын
재밌다 이런주제..
@삼색핫도그
@삼색핫도그 2 жыл бұрын
인중에 땀인지 뭔지 때메 집중이 안돼요ㅠㅠㅠㅠ
@AK-xw5yc
@AK-xw5yc Жыл бұрын
발견된 다른 전설 속 도시들과 다르게 아틀란티스는 여러 민담이나 신화 속에 내려온 게 아니고 플라톤 단 한사람만이 언급한 거라 가능성이 없음
@user-cn6of2sw1k
@user-cn6of2sw1k 2 жыл бұрын
마지막에 갑자기 저한테 총은 왜 쏘시는거에요
@watergate-Wiretapping
@watergate-Wiretapping 8 ай бұрын
최근에는 이 도시의 바퀴모양을 보고 아틀란티스가 해양도시가 아니라 당시에 마차를 몰고다닌던 중앙아시아의 유목민들의 도시를 모티브로 한다는 설이 성행하고있다네요
@조민정-g1p
@조민정-g1p 2 жыл бұрын
아틀란티스 소녀 듣고싶다
@바깅재드릴클럽
@바깅재드릴클럽 2 ай бұрын
기둥뒤에 공간있어요 드립이 이렇게 오래됐는줄은 몰랐네요....
@zhenya857
@zhenya857 2 жыл бұрын
그냥 사하라의 눈을 보고 누군가가 예전에 문명이 있었다! 라고 추측한것이 전설의 시작 아닐까?
@sower37
@sower37 2 жыл бұрын
지상에서보면 그냥 평범한 사막인 곳입니다.
@zhenya857
@zhenya857 2 жыл бұрын
@@sower37 그러니까요.. 당시엔 과학적 접근 및 방식이 없다보니 그냥 여기에 있었겠구나 하며 단지 구전으로 전해지는거죠
@펭귄브릭-y2u
@펭귄브릭-y2u 2 жыл бұрын
@@zhenya857 그러니까 지구에서 지구가 둥근걸 모르듯 사하라의 눈도 규모때문에 원형의 지형인지도 모르고 그냥 사막이라는 말이잖아요
@asi4986
@asi4986 2 жыл бұрын
멍청이
@zhenya857
@zhenya857 2 жыл бұрын
아~
@까까꾸꾸-j5p
@까까꾸꾸-j5p 2 жыл бұрын
안녕하세요 아틀란티스에 살고 있습니다. 질문 받아요
Try this prank with your friends 😂 @karina-kola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
Правильный подход к детям
00:18
Beatrise
Рет қаралды 11 МЛН
Cat mode and a glass of water #family #humor #fun
00:22
Kotiki_Z
Рет қаралды 42 МЛН
Try this prank with your friends 😂 @karina-kola
00:18
Andrey Grechka
Рет қаралды 9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