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artment #ChangeOfResidence #HyunJoonYoo How did the apartment change society? What does an architect think is a good apartment? HyunJoon Yoo's Summary of Residential Change's History - Part 2
Пікірлер: 492
@진건우-b7h3 жыл бұрын
꼭 확실하지 않아도 됩니다. 지식을 바탕으로, 일리있는 주장을 말하는것은 멋진일입니다. 물론 검증된 이야기를 하는것이 가장 정확하겠지만 그렇게되면, 일반적인 시민의 입장에서는 언제나 지식인보다 수년, 십수년 늦게 생각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건축으로서 사회를 바라보는 통찰을 함께 공유해주셔서 감사합니다.
@eswaii3 жыл бұрын
아파트하면 단순하고 획일적이라는 부정적인 말을 먼저 듣는데 여러명의 지주가 될 수 있다는 말이 와 닿습니다.
@sharp_master20663 жыл бұрын
이렇게 간학문적인 통찰에 관해서 보다 활발하게 주고 받을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세상이라는 것 자체가 굉장히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상을 이해하는 단편을 제공하는 학문 간의 연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교수님의 시각에 반론을 제기하는 측의 의견도 들어보고 싶네요. 일단 저는 사회과학계열 전공자임에도 교수님의 생각이 매우 일리 있는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권정진-w9f3 жыл бұрын
다양성을 존중하는 사회로 발전하면 아파트를 포함한 한국의 건축에도 많은 변화가 생길거라고 믿어볼래요. 교수님같은 분들이 계시니까요. 고정관념이 서서히 깨지는 쾌감에 늘 즐겁습니다.
@user-en2lh9yj2o11 ай бұрын
와 아파트 얘기보다 뒷부분의 도시발전과 건축물의 관계에 대한 통찰이 오히려 더 메인인 것 같습니다 산업혁명이 왜 동양이 아닌 유럽에서 발생했는가에 대해 다양한 가설들이 꼽히지만 석조건축에 의해 도시집중화가 더 가능했다는 가설이 가능할 것 같구요, 동아시아에서 상업의 발달도 건축문화에 영향을 받았다라는 가설도 흥미롭습니다
@아프지마도토-x5e3 жыл бұрын
이런분이 진짜 ‘교수님’ 이신것 같습니다. 강의를 도강을 하고 싶은 욕구가 생길정도로 건축을 흥미롭게 풀어주시는것 같아요 전공도 아니지만 열심히 볼게요~! 감사합니다
@도라지-h3y3 жыл бұрын
이런 고급 강의를 누구나 볼 수 있는 세상에 살고 있음에 감사하고, 정보와 지식을 나눠주시는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mintmochaa3 жыл бұрын
분명 주제는"아파트"인데 이번 편을 보며 건축학+사회학+예술학 등의 다양한 학문의 조합을 꿈꾸어보게 됩니다. 교수님의 뇌피셜 설득력 정말 높아요 :D
@와섭-h3y3 жыл бұрын
우와 교수님 그저 감탄밖에 안 나옵니다. 그동안 배웠던 세계사와 한국사와 건축이 합해지니 이게 바로 융합교육이라는 거구나를 느낍니다. 고등학교때 배웠으면 재미있게 수업을 들어 성적이 좋게 나올 것 같네요ㅠㅠ
@hyl65293 жыл бұрын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에서 계속 살았지만 프랑스에 1년 거주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프랑스를 포함한 유럽의 도시와 한국의 도시를 비교해보기 시작했습니다. 유럽의 역사깊은 건물들의 외관을 화려하게 꾸미는것을 전부 제외하고서라도 유럽의 도시가 매우 편하고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유는 유럽의 일반적인 규모있는 건물들은 철저하게 1층에만 존재하는 상점가와 2층은 사무실 개인의원 등의 외부의 유입이 많지 않아도 되는 사무실 시설이 들어가고 3층 위부터는 모두 공동주택이라는 점을 발견했어요. 그리고 그 공동주택 건물들은 지역의 모든 주거 인구의 밀도를 해결하면서 1층에 있는 상점들과 연계되어 상업욕구와 주거욕구를 모두 해결한다는 도시적 해법이라는 것도 알아내게 되었어요. 정말 클래식하지만 이보다 좋은 구성이 없다고 할 정도로 말이에요. 한국은 하나의 건물안에 1층 당구장, 2층 카페, 3층 패스트푸드점, 4층 목욕탕 등이 합쳐진 '상가건물'이라는 것은 외국에는 전례가 없는 건물 유형이라는 것을 외국에 나가서야 깨닫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도시를 이루는 건물의 유형과 방법이 굉장히 비합리적이라는 것을 대중들이 알 필요가 있다고 느낍니다.
@user.k-20-24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책도 사서 봐주세요. 강의 내용의 많은 부분이 책에 담겨 있습니다. 말씀도 잘하시지만 글도 정말 깔끔하고 논리정연하게 쓰셔서 참 잘 읽힙니다. 저만한 통찰력을 갖기도 힘든데 그걸 또 그렇게 논리적인 말과 글로 남에게 전달해서 이해시킬 수 있는 능력도 감탄이 나옵니다. 책도 꼭 사보시길 추천합니다.
@dragon-dx4sy3 жыл бұрын
그 책 이름이 뭐라고요?
@politpeter3 ай бұрын
교수도 글 개판인 사람 많은데 유교수님은 잘 쓰심
@체르시-q9s3 жыл бұрын
단지 건축물에 대한 설명만 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에 의해서 발생하는 현상까지 설명을 해주셔서 집중도 잘되고 좋은거 같습니다! 바쁘실텐데 이렇게 틈틈히 시간내서 좋은 이야기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oodluck32693 жыл бұрын
언제나 기다려져용 🤗 건강조심하세요 또 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AnTropY003 жыл бұрын
시험기간을 맞아서 총정리편까지...겨수님 감개가 무량합니다~ 꼭 A+받을게요~
@anthony_kim_k3 жыл бұрын
어엌ㅋㅋ 이게 시험에 접목되시나요? 범위에 있으세요? ㅋㅋㅋㅋ 싱기방기
@inhyungchoi45313 жыл бұрын
진짜 찐 좋은 교수님이시당..
@Park_Jeong_Hee3 жыл бұрын
비록 정론은 아니라고 하시지만, 당신의 전문분야를 바탕으로 형성해서 설명해주시니까 '그럴 수도 있겠다'는 느낌이 많이 드는 영상이었습니다. 많은 시민이 뭉쳐서 농성이나 투쟁을 하더라도 자금이 많아야 그 자금을 바탕으로 유지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한 상업의 발달만이 주요 요인은 아니더라도 여러 시민혁명에 일정 부분은 영향을 주었을 것 같네요.
@Elpie_____3 жыл бұрын
유 교수님은 참 멋있는 아저씨예요❤️
@ArchiSHwan3 жыл бұрын
1부보다 더 좋았던 2부 였습니다. 항상 교수님의 강의 흐름이 너무 좋아요.1-1 1-2 1-3이 아닌 1-2가 2-1이 될 수 있는
@youngwoo58602 жыл бұрын
맞아요... 등산에서 올라간 길을 다시 내려오면 지루해요.. 하산길은 다른 루트로 내려와요. 내가 느끼는 산의 공간이 2배로 넓어져요
@헨리에타2 жыл бұрын
아파트가 이미 이루어낸 것들도 많지만, 한 편으로는 사회적인 인식 등 여러가지 면에서 아직 갈 길이 먼 것도 사실인 것 같아요. 이 영상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그런 아쉬운 점들에 대해서, 많은 고민이 담긴 이야기를 해주시는 점이 정말 인상 깊게 다가왔습니다. 앞으로도 양질의 영상을 많이 만들어주세요. 감사합니다.
@ovestlago9272 жыл бұрын
저는 상당히 일리있는 분석이라고 생각됩니다. 지리적 환경이 국가의 운명에 결정적 요소이듯 건축적 공간요소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당연히 결정적이겠지요. 그런 의미에서 생활할 집과 동네를 선택하는 일은 너무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jiin9186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들 보고 저도 제 공간에 변화를 주고싶어서 매월마다 방에 무언가를 바꿔보려고 하고있어요. 계절 뿐만 아니라 제 기분이나 상황에 따라서요! 훨씬 부지런해지고 (귀찮은 면도 있지만ㅋㅋㅋ) 방에 있는게 좀 더 재미있는 것 같아요 ㅋㅋㅋ
@fuego_9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뇌피셜이라도 저희가 생각하지 못했던, 건축가가 보는 역사의 해석이 이렇게 될 수도 있구나 라는 것을 아는 것 만으로도 흥미롭네요. 좋은 영상 잘 봤습니다.
@하다-i6u3 жыл бұрын
공간을 관계로 풀어내시니 사고가 확장되는 것 같아요. 공간을 확장하여 다양한 경험과 감정으로 공간을 다르게 느낀다는 말씀이 참 철학적으로 와 닿습니다. 공간을 기억의 합으로 풀어내다니, 건축가가 풀어내는 이야기가 이렇게 심오하고 재미날 수 있나 싶네요. 누구나 쉽게 바꿀 수 없는 방 혹은 집에서 살아가지만, 공간에 변화를 줄 수 있는 것들에 관심을 가지며 변화를 줘 봅니다. 버리고 비우고 가구 위치도 바꿔보고, 조명에도 관심을 가져보구요...
@윤동우-s5b3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교수님의 생각도 함께 말씀해 주셔서 머릿속에서 알게 된 사실들을 정리하면서도 제가 가진 의견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무조건 누군가의 주장이 옳다라는 관점이 아닌 시청하는 사람들에게도 생각해볼 수 있는 것에 대한 기회를 남겨두셨다는 점이 상당히 좋은 부분인 것 같습니다. ^ ^
@유튜버하는튤립3 жыл бұрын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주택들을 보며 의문들과 물음이 참 많이 느껴졌었는데 유현준 선생님의 쉽고 논리적인 집에 대한 분석과 역사와 강의가 요즘 새로운 주거에 대한 생각과 인식을 다시금 많은 걸 느끼며 공감하며 해소되는 부분이 많은 것같아요.의식주에 대한 내용은 언제나 끝이 없는 일상에 대한 내용들 동영상으로 접하며 감사히 듣고 있어요.끝이 없을 것 같은 세계라 들을 때마다 새롭습니다.
@haedrim3 жыл бұрын
건축학도이자 실무자 입니다. 몰랐던 아파트에 대한 해석과 아파트를 바라보던 저의 고정적인식이 각 실과 실사이 창이나 문을 설치하겠다는 말씀에 너무나도 쉽게 깨어집니다.
@golfessence3 жыл бұрын
골프계도 마찬가지입니다 높은 건축물이 없어 실내골프장이 없고 야외구장만 있었다면 우리나라 골프가 이렇게 크지 못했을 거예요~ 결국 많은 이들에게 기회가 주어지는 세상이라는 거 인정합니다^^
@KIMDONGSUK672 жыл бұрын
각 분야의 최고 정점의 전문성은 서로 연결 될 수 있다는 말을 이해 할 수 있겠네요 건축가의 눈으로 본 사회현상... 대단하십니다 한 분야의 최고이시네요
@yes-cd7bp3 жыл бұрын
공간의 미래를 읽으면서 통찰력에 무릎을 탁 쳤던 부분이네요! 획일화되고 재산화된 아파트가 지닌 이미지를 이유없이 싫어했는데 교수님 책 읽고 아파트가 지닌 의미를 재정립할 수 있었어요. 아파트에 살고있는 한국인들 다 한번씩 봤으면 하는 영상..!!
@박진우-u2i3 жыл бұрын
틀에박힌 지식이 아닌 새로운거를 생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교수님 존경합니다
@King-bs8kd3 жыл бұрын
사람들은 보통 유튜브를 통해 자극적인 영상을 많이 보지만, 유익한 영상을 찾는 사람들도 꽤나 많습니다. 그런 사람들이 찾아다니는 진짜 좋은 영상!! 유익한 영상 감사합니다~
@whshshssjs405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참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seolfox3 жыл бұрын
교수님께서 말씀하시는 내용이 귀에 착착 잘 달라붙고, 또 너무 재밌어요!
@이민정-s7c1q Жыл бұрын
획일화 된 우리 주거 아파트 다양성이 적용된 아파트 교수님께서 만들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귀한 강의 고맙습니다
@euphorim3 жыл бұрын
욕 많이 먹은 의견이라면서도 다시 한 번 뇌피셜을 툭 던져놓는 태도가 저는 멋있어 보이네요. 그러게요. 처음 제시하는 통찰도 아닌데 일일이 출처를 밝힐 필요가 있을까요? 교수님한텐 보이는 걸 어떡해. ㅋㅋㅋㅋ 신선한 관점으로 기존의 인간사를 해석하는 것은 언제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roughlikeagogh3 жыл бұрын
너무 공감되는 댓글이네요ㅎㅎ
@bonjwakim2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정설은 아니지만 설득력이 있네요. 사회에 대한 깊은 고찰이 느껴집니다.
@grang_eje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을 보면서 공간의 중요성을 점점 더 느끼는 중이에요. 주변 공간에 대해 취향도 생기는 거 같고요. 늘 유익한 영상 걈사합니당
@서정자-i7x3 жыл бұрын
Apt는사회를 어떻게바꿔 놓을까? 오늘도 아주정확하게. 잘 강의해주셔서감사. 합니다. ☆☆☆
@simonpolar3 жыл бұрын
04:37 제가 사는 집(아파트)가 딱 이렇습니다. 확장해서 문이 생긴건데요~ 저 순환을 우리 아이가 가장 좋아합니다. 재미있어서 돌고 숨었다가 나타났다가 그런답니다ㅎㅎㅎ 잡기놀이나 까꿍놀이가 되니까 아이발달에도 좋아요ㅎㅎ
@손수연-t8x3 жыл бұрын
공간이라는것은절대적인총량이아니라기억의총량이다 👍
@francois27273 жыл бұрын
소름돋게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딴생각 더욱더 많이하시고 다듬고 색 깔도 입히셔서 더많이 많이 말해주시길....디킨스의 크리스마스 캐롤 만큼 소름소름 never better 꾸벅^^
@banbag19473 жыл бұрын
순환형동선, 저는 담양 소쇄원이 그렇다고 봅니다. 제월당을 중심으로 볼 때, 광풍각을 가는 방법이 두 가집니다. 하나는 오른쪽 협문을 열고 원 밖으로 나가서 담 밖에 있는 광풍각으로 밖으로 소풍을 가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광풍각을 담 안에 둬서 왼쪽으로 난 정원 길을 걸어서 광풍각으로 가는 것이지요. 제월당에 앉아서 왼쪽을 보면 담이 보이는데, 제월당은 담 밖에 놓입니다. 그런데 오른쪽을 보면 제월당은 담에 싸여 담 안에 있게 됩니다. 제월당에서 광풍각을 갈 때, 오른쪽으로 가면 안에서 밖으로 가는 것이고, 왼쪽으로 가면 밖에서 안으로 가는 것이지요.
@cliche093 жыл бұрын
확실히 사회학자들이 동의하지 못할만한 얘기도 많긴한뎋ㅎㅎㅎ그래도 이런 시선도 있다는걸 알게되서 유익하네욯ㅎㅎㅎㅎ
@han_do_hyeop20183 жыл бұрын
사회를 과학적 시각으로 보는 재미가 신선했습니다👍👍
@sol-sf3mg3 жыл бұрын
매회에 집중도 100%입니다~ 인구 밀도에 따른 사회 변화. 교수님 의견에 동의합니다. 매번 유익한 강의(?) 감사드려요~!^^
@Padong_JHLim3 жыл бұрын
가족끼리 소통이 적은 현대사회에서 순환형 구조의 집이 꽤 괜찮은 해결책일 것 같습니다. 새로운 관점과 시각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shorts-dz3dj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영상은 다 찾아보는 왓슨이라 머릿속에 있던 내용 이지만 이채널에 정리하여 올려주시니 듣고싶을때 금방 찾을수 있겠네요 ~ 좋아요 ㆍ이채널이 논문 같은 느낌 ㆍ
@푸른채널-k2y3 жыл бұрын
뇌피셜~~~너므 좋아요^^ 더 많은 뇌피셜 부탁드립니다
@sujungunni59903 жыл бұрын
"그냥 그렇다~"가 아닌 "대체 왜 그랬을까~"를 생각하게 만들어 주셔서 좋아요! 교수님 책에도 그런 글들 보고 좋았거든요!
@nhj47493 жыл бұрын
공간은 기억의 총합이다! 정말 말씀 잘 하시네요 매번 감탄합니다~👍
@세돌보3 жыл бұрын
다양한 방면으로 설명과 함께 귀를 기우려 듣고 갑니다 유익한 영상이 많이 담겨 있네요
@nukki28692 жыл бұрын
건축가의 뇌피셜이라고 지적해주셔서 감사해요!
@hykwon-cp3jr3 жыл бұрын
고품격 강연 정말 최고
@Uscitizen073 жыл бұрын
건축가로서 풀어내는 이야기가 참 흥미롭습니다. 비판적인 시각도 있을 수 있지만, 그만큼 다양한 생각을 이끌어 낸다는 것이겠죠. 그리고 그런 주제를 한 사람으로서 해석해 보는 것이구요. 저도 컴퓨터공학자인데 사회현상이나 경제, 정치적인 문제를 제 나름대로 풀어보려곤 합니다. 해석해보고 왜 이렇게 되었을까, 더 좋은 방향은 무엇일까 생각해 보는거요. 교수님의 강의를 보면서 그러한 점들을 많이 배울 수 있는 것 같아서 좋습니다. 항상 좋은 영상 감사드립니다.
@Janghangkon3 жыл бұрын
내 머리 속에서 빙글빙글 맴돌던 궁금증과 뭔가 정리 되지 못했던 생각들이 건축가의 시선으로 인해 정리가 한방에 이루어진 느낌? 항상 내용 잘 보고 있습니다 유 교수님 같은 분들이 많아 졌으면 좋겠네요
@제창-r3b3 жыл бұрын
다른 비슷한 채널을 봐도 양질의 영상이 좋은 편집으로 더 빛이 나는것 같습니다 편집자의 시각으로도 영상을 가끔보는데 재밋는것 같습니다 ㅋㅋ
@cometoe523 жыл бұрын
일본 도쿄에 있는 맨션에서 삽니다. 교수님이 말씀하신 집 구조로 방 하나에 문이 두개인 방이 있구요 다른 방은 문을 열면 거실같이 쓰고, 문을 닫으면 독립된 방이 됩니다. 아마도 한국 특히 서울에도 이런식의 건물이 앞으로 많이 생길 것 같아요.
@박선진ParkSunJin_artist3 жыл бұрын
교수님 강의는 2x2x2x2x2x2x& 모든 장면이 고밀도 고퀄입니다! 버릴게 한군데도 없다는ᆢ
@백윤기-z5t3 жыл бұрын
관점의 차이가 이렇게 무섭네요 깨어있는사람이 먼지 다시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다양한 관점에서의 열린 생각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hhong153 жыл бұрын
새로운 관점이라 재밌습니다. 듣다보면 설득되는게 일리도 있구요. 언제나 잘 듣고 있습니다.
@rms1542903 жыл бұрын
건축가의 시선으로 본 여러 사건을 조는 재미고 있네요 ㅎ 감사합니다
@Ha-lx5no2 жыл бұрын
교수님강의!! 모두 봅니다.감사드림니다.***
@Lets-Eat-Walk-Sunshine2 жыл бұрын
영상을잘봤습니다~^.^~감사합니다💙🇰🇷💛 영상을잘봤습니다~^.^~감사합니다💙🇰🇷💛
@vamp_c5022 жыл бұрын
이 12분도 안 되는 영상에 도대체 킬포가 몇 개나 되는건지 너무 재밌어요. 이 영상 연달아 두 번 봐요. 저는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들에 “왜 그러냐?” “왜 하필?” 이란 질문에 별 생각없이 답답하니까 혹은 재미있어서라고 단순히 답했는데 교수님 설명을 들으니까 뭐랄까 이제 다른 언어로 좀 더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그 사회학자가 교수님 의견에 사회학자 관점에서 어떻게 반박했는지 그 이유가 궁금하네요.
@드키무티3 жыл бұрын
벽에 구멍을 뚫는 것보다 문 자체에 창이 있는 윈도우-도어 같은 걸 만들어서 쓰면 아파트를 큰 돈 주고 건축하는 것보다 낫지 않을까요? 문이 창 역할도 하고 창이 문 역할도 하는 문창 겸용인 셈이죠. 그러면 벽에 구멍을 안 대도 되니 구조상의 문제는 해결하면서 말씀하신 상호소통이 가능하게 될 겁니다. 어차피 문은 내외 공간을 나누면서 내외를 통하게 해주는 밸브 역할이지 건물을 떠받치는 역할은 아니니까요. 건물을 받치는 역할과 무관한 문에 또 하나의 문인 창을 만든다면 문과 문 간에 위치와 각도만 맞춰서 만들면 큰 공사 없이 문만 교체하는 식으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salangim19323 жыл бұрын
삶이 풍요로워지는 강의 잘들었습니다♡♡♡ 같은 집에 있어도 영상을 보고나니 집이 다르게 보이네요^^
@indie87952 жыл бұрын
사회가 형성되어 가는 과정은 여러가지 요인이 있는데 그것을 건축학적으로 일관된 분석을 하다보니 분명 반론도 많지만 건축가 입장에서 이런 방식의 접근은 가벼운 마음으로 건축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주는 것 같다
@preatop60313 жыл бұрын
방이 단순히 질린다 라고 생각했던 것이 이런 이유에서 그렇다는 것을 알게된 것 같아요. 나에게 선택권이 있다는게 재미 요소중 하나인 것 같아요.
@리안-h9q3 жыл бұрын
기억은 공간이 주는 기분 좋은 추억인가요? 마당 한켠에 있는 꽃밭 펌프에 부었던 마중물 ! 아~~~ 그 시골이 생각나네요 감사드립니다
@뀨뀨-d7z3 жыл бұрын
영상 정말 유익하고 재미있게 잘 보고있습니다! 기회가 되면 층간소음에 대해서도 다뤄주셨으면 합니다ㅠㅠ
@QueensLumination2 жыл бұрын
일본에 장인 정신에는 막부의 개입도 영향이 있다고 배웠어요. 그 당시 사람들은 계급 사회이고 곧 직업과 연결되서 바꾸는게 쉽지 않았거든요. 막부에서 사실상 직업을 정해준거고 심지어 자리도 지정 해줬어요. 그래서 어쩔수없이 한자리에서 오랫동안 해온거고요. 여기서도 고정된 자리를 최대한 많이 활용하기 위해 건축학적으로도 연관있다고 생각해요. :)
@JUNI.3213 жыл бұрын
8:28 공간을 기반으로 사회구조와 경제발전에 대해서 설명하시는 시선이 흥미롭네요
@oxyrain1022 жыл бұрын
보는 영상마다 너무 재밌어요♡
@뿌잉뿌뿌-v5j2 жыл бұрын
8:09 저는 사회학자들이 반박한 내용보다 교수님께서 말씀 하신 내용이 훨씬 더 논리적이고 과학적이라 생각됩니다.
@schbert14633 жыл бұрын
부겐베리아 도안으로 행주 손바느질을 하고 있는데 진도가 너무 잘나가네요 유현준교수님 수업료도 없이 그냥듣기에 너무 감자 ㅎ 장학생이 되어야겠습니다
@jaejaesoo65063 жыл бұрын
한 분야 교수님의 관점에서 풀어나가는 뇌피셜 너무 재밌습니닥!!!
@JindodogNewYork3 жыл бұрын
모든 공간은 기억의 합이다 그래서 5평이 50평이 된다. 셜록 현준 교수님, 오늘도 또 정말 명언하셨습니다.
@허걱-x7q3 жыл бұрын
힘드시더라도 영상이 우선입니다!!!!!
@greatmc3 жыл бұрын
건설적인 토론을 할 수 있는 다른 사회,문야분야의 유력한 분들과 의견을 나누시는 것도 본인에게도, 컨텐츠로서도 엄청날 듯 합니다
@white_bridge3 жыл бұрын
오셨습니까 형님
@cyberpark59952 жыл бұрын
존경 합니다!!!
@iililil1lil477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ㅎㅎ 그런데 5일장 부분에서 ‘화폐통화량’ 이라는 단어보다는 조금 어색한것 같고 ‘화폐유통’이라고 하는게 더 어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머라카노-f1k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내 집을 다시금 잘 볼수있는것같아요
@minsooseo31023 жыл бұрын
정말 정말 도움되는 영상입니다. 뭔가 생각의 틀이 넓어지는 느낌입니다. 이게 이렇게 연결되고, 합리적인 생각으로 느껴집니다.
@qkrtjddn25543 жыл бұрын
교수님의 강의로 새로운 경험을 했습니다. 역시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은 전공마다 다르군요.. 건축으로 바라보는 상업과 혁명은 정말 깊게 공감을 했습니다. 확실하지 않지만 정말 그렇게 발전이 된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happychallenge17023 жыл бұрын
저에게는 아주 설득력이 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camzarang91282 жыл бұрын
공감 공감 한강 너머로 보이는 도시의 아름다움이 지역에 따라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가장 큰 다른 느낌이 올림픽대로 한남대교에서 동호대교 방향으로 한남동, 강변북로 양화대교에서 원효대교 방향으로 여의도, 제가 보기엔 가장 다양성이 풍부한 두곳안것 같아요. ‘서울이 참 예뻐!’ ‘아름답다’느끼는곳. 반면 강변북로에서 잠실을 보면 아직도 79년대 속에 있다 생각들어요. 압구정, 이촌… 다양성의 중요함을 느끼게 되어 감사합니다.
@thinker_k_3 жыл бұрын
아파트를 이렇게 바라볼 수도 있구나..! 많이 배우고 갑니다
@pwf20233 жыл бұрын
사회과학 하는 사람으로서 검증해보고 싶은 가설이 많네요.
@noizel19903 жыл бұрын
확실히 꼭 정설이 아니더라도 전후관계 인과관계를 따져보았을 때 이렇지 않을 까? 하는 견해이니 만큼 다양하게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생각의 다양성이 있고 그 다음 토론를 한 후에 걸러낼 것은 걸러내고, 더할 것은 더하는 것이니까요. 교수님 말씀처럼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표출하되 그것을 너무 강요하지 않고 겸손한 자세로 잘 조율하는 사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조이-u5w3 жыл бұрын
건축이 이렇게 재밌고 매력 있다는 걸 깨우쳐 주셔서 감사합니다!!!!! 😆👍🏻
@박준선-f4o3 жыл бұрын
조선의 유산문제에 대해서 역사적으로만 접근한 경우가 많았는데 교수님의 견해도 되게 좋은 것 같습니다.
@narealee7933 жыл бұрын
매번 시각이 다채로워지는 기분이에요! 그리고 사회라는 건 수많은 원인과 시각들이 뭉쳐져서 나타나는 결과로 지배적인 이론은 있어도, 무조건적인 정론은 없다고 생각해요. 애초에 ‘이게 무조건 옳아!’라고 하기엔 인간의 지식이 짧아요ㅎㅎ
@lv0gun92 жыл бұрын
주거 환경적인 이유로 한국 사회를 이해 하시려는 노력이 인상적입니다. 모두가 어느 정도의 안락함이 보장되는 주거 환경을 소유하는 사회로 거듭 나려면 한국 사회는 앞으로 어떤 수순으로 나아가야할까 궁금해 지네요.
@소소-s3w3 жыл бұрын
한 번도 생각지 못했던 것들을 생각해보는 시간이 생기고 그에 따르는 즐거움을 배웁니다😃
@박슬기-s8w3 жыл бұрын
주로 점심시간에 교수님 영상 보는데, 재밌으니까 계속 보고싶은게 함정이에요ㅠㅠㅠ이제 그만 보고 일하러가야지....
@IiillIiIiilIlIl3 жыл бұрын
매 영상마다 대학교 교수님이 해주시는 수업같아요.. 너무 유익하고 좋아요~^^
@pdbean143 жыл бұрын
매번 교수님께 인사이트를 배워갑니다...
@kakao802 жыл бұрын
좋은강의감사합니다.
@skh37053 жыл бұрын
오늘도 영상 감사합니다. 교수님 개인 견해라고 하시지만, 충분히 근거가 있는 주장이라서 납득이 가네요~ 항상 영상 말미 아웃트로에 나오는 BGM도 너무 좋아서 끝날 때까지 틀어놓고 있습니다. 다음 영상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