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ing technology. How to erect a wooden post on natural stone!,korea,carpenter,tradition,woodworking,wood,woodwood
Пікірлер: 303
@eugeniegrandet5376 Жыл бұрын
재미있네요. 영상 감사합니다.
@woodwood1 Жыл бұрын
재미있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hggfkjja2868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정확하게 찔러주시니 이해가 쏙쏙 됩니다
@woodwood12 жыл бұрын
저도 기쁩니다.
@이상현-y3d3r Жыл бұрын
두번째 보면서 완전히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woodwood1 Жыл бұрын
저도 기쁩니다
@강신구-x9d4 жыл бұрын
1백불짜리 강의입니다. 유튜브 최초의 그랭이질 실연강의. 말로만 들었던 내용을 실강으로 들을 수 있어 좋습니다. 배운대로 시골집 창고를 한번 지어보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 .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쁩니다 !
@정용환-s6wАй бұрын
초당5때 시골집 한옥으로 지을때 대목이 기둥을 주춧돌에 마킹해서 다듬어서 맞추는걸 봄 아 옜날이여 돌아가신 아버님 생각나네요 감사하게 잘 보고 갑니다
@LOVEandPEACE02182 жыл бұрын
wood wood 님 영상 보면서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는 속도 만큼 내 손에도 금새 일이 익는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우리가 쉽게 이해하도록 설명해줄 때 까지 본인은 얼마나 많은 시간을 연습하고 시행착오 했을까?' 생각해 보면 참 고마운 마음이 듭니다. 어렵게 익힌 좋은 기술 선한 사람들을 위해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jkl1028 밑에 "곰곰브리치"님께 답글 달았는데, 함,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비슷한 질문이라서요....
@조로렌조3 жыл бұрын
물수평 뜨는 것 2사람이 하는 것은 많이 봐 왔는데 혼자 하는 것은 처음 봅니다. 꼭 2사람이 필요한 것인 줄 알았는데 정말 좋은 걸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리고 제 생각에는 혼자서 하는 것이 오히려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네... 일리가 있습니다. 또... 혼자하면 ^^... 속이 편합니다.
@michaelkim52664 жыл бұрын
이번에 이론이지만 확실히 그랭이 공법 배웠어요. 고맙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감사합니다.
@wallmadearc254 жыл бұрын
자연석에 그랭이질로 세우는게 정말 신기하네요. 한국인의 기술력은 정말 뛰어난것같아요. 한옥설계에 관심이 많은데 자주와서 많이 배우고 가겠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 자주 오셔서 즐기시길...
@pca-2tvomunia4674 жыл бұрын
그렝이 공법이 한국만의 유일한 철학같아서 관심이 많았는데 오늘에야 선생님 교본 영상으로 제작법을 이해하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전 건축가인데 유럽 유학후에 귀국하여 시골에 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짧은 지식에 과한 대접을 받으니, ...... 아무튼, 저도 즐겁네요.ㅎㅎ
@박완준-k5f3 жыл бұрын
최고급 기술을 우리 항국어로 간단하고 명료하게 실물가공,조립과정으로 강의 하시니 머리에 입력이 잘됩니다.기회가 된다면 보조자로서 간단한 기술을 체험하고 싶습니다.참고로 저는 H-BEAM 을 가공하여 플랜트 건설을 20여년 하였으며 현재는 은퇴한 노땅 입니다.철골과 목재의 콜라보를 만들고 싶습니다.
@동해-e1g2 жыл бұрын
대여섯번 연속해서 돌려보고 이제야 이해가 됐습니다 덕분에 감사합니다
@쁘니채널3 жыл бұрын
DIY 원목으로 원두막 지어보려고 정보 구하는중 오게 됐는데~ 와 너무 세세하고 잘 알려주셔서 감동~ 좋아요!!! 구독!! 합니다 ㅎㅎ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저도 기쁩니다...
@youndseo2 жыл бұрын
와우.... 넘 감사합니다. 이런 기초를 배우게 되다니...
@김경락-i3v4 жыл бұрын
현장헤서 직접 실재로 작업을 하면서 보여주시니 완전한 이해가 됩니다. 감사합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이해를 잘 하셨다니, 다행입니다..... 약간 헤깔리는 개념이라서....감사합니다.
@마이클-x9s2 жыл бұрын
봐도봐도 배울게 넘 많아요 부럽내요
@석-b9t3 жыл бұрын
감사히 잘배우고 갑니다. 계속 좋은영상 부탁드리겠습니다!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시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naturalhouse82324 жыл бұрын
각본없는 드라마 ^^ 기술도 좋으시지만 너무 재미있게 좋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ㅎㅎ, 그놈의 쥐때문에 .... 영상이 재밌어졌네ㅎㅎ
@달빛사랑-u4w4 жыл бұрын
완전 생초보라 조금 어렵지만 영상 처음 보니 조금 이해가 됩니다 차근 차근 공부해 보겠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다행이네요.... 좀더 관심 같으시면... 이해가 될 겁니다...ㅎ..
@papaya76464 жыл бұрын
그랭이라는 용어가 정겹네요 ㅎㅎㅎ
@판돌김-k8o4 жыл бұрын
목장님..말씀하시게 너무 재밌스십니다.. 많이배우고 많이웃고 가네요..고맙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ㅎㅎ... 웃기는건 .... 전공이 아닌데....재밌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HCarpenter4 жыл бұрын
What a great product, I never thought it would be that easy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Thank you. Try it too It is interesting.
@kaykim18114 жыл бұрын
영상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 들러 영상 보면서 많이 배워갈께여👍🤣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
@심정섭-b8r3 жыл бұрын
최첨단 기술의 도움 없이도 할수있다는 게 정말 놀랍습니다. 진정한 과학적 접근이군요. 감탄 또 감탄!!!!!!’ㅜ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과찬이십니다...선배님들께 배웠을 뿐입니다.^^;;
@dekayscrafts4 жыл бұрын
물수평 원리는 통의 물 높이와 호스의 물 높이가 같다는 원리인게 맞죠? 그래서 물통을 살짝 올려놓은건가보네요 물수평 참 신기합니다~
선생님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혹시 물호스 없던 조선시대쯤에는 어떤 방식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물체의 수평을 잡았을까요? 당시에도 수직은 무게추의 중력을 이용해서 잡았을꺼라 생각되는데요..
@woodwood12 жыл бұрын
그때도 수평대를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소 여물통과 같은 구조로 구조물을 만들어서 물을 채우면, 수평대와 같은 구조 입니다.
@donguklee63282 жыл бұрын
@@woodwood1대나무를 반절 잘라 사용했을 수도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jairoalfonsomorenoperez29043 жыл бұрын
Disfruto mucho de sus videos, los vengo viendo desde hace algún tiempo. Me gustaría poder tener la traducción en subtítulos al español, de manera especial este. Muchas gracias por compartir tu técnica tradicional de hacer carpintería. Felicitaciones . Desde Bogotá, Colombia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Gracias por ver mi video en Bogotá, Colombia.
@johnboscor.5822 жыл бұрын
Very great explanation brother.
@woodwood12 жыл бұрын
thank you.
@윤주화-t3n3 жыл бұрын
비법에 감사합니다. 항상 안전제일입니다.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응원 감사합니다.
@reinaldohenzel56893 жыл бұрын
Muito bom 👍 seu trabalho de carpintaria eu gosto dos seus vídeos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obrigado. Obrigado por assistir ....
@blackbeltfit40772 жыл бұрын
훌륭하십니다. 선생님.
@woodwood1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김용호-n5u2 жыл бұрын
쥐도 키우시나봐요 아주 생생한 영상입니다 물호수 수평 오랫만에 보네요 수고했어요
@woodwood12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nansulhyun6 ай бұрын
데크를 좀 더 넓혀서 만들어 보려고 시도하고 있는데 수평이 전혀 안 맞아요. 간격 맞추기도 어렵고... 땅이 경사져 있어.... 한옥 기둥을 세우는 방법... 경이롭습니다. 기둥이 무거운데 어떻게 세워서 수평을 맞추는지... 그리고 높이를 모두 같게 만드는 것도.... 재미있게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Does this technique have a name and what would it be translated into English? Thankyou
@woodwood19 ай бұрын
Scribing in English.
@davidnoh11104 жыл бұрын
대단하십니다. 최소한의 장비로, 최대의 효과를 내시네요. 좋은 기술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떼둥이칠남매4 жыл бұрын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mcs91034 жыл бұрын
와 물수평과 그랭이질 아주단순하면서도 명료하네요. 고대 수학자들의 작도를 보는것 같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과분한 칭찬입니다.ㅎㅎ
@dekayscrafts4 жыл бұрын
다섯마리!! 여섯마리!!!! 재밌습니다 ㅎㅎㅎ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흥미를 위해서.... 영상에 첨부해 봤습니다......휴..... 다행이네요...
@정영환-u3f4 жыл бұрын
설명 잘하시네요 듣는 사람이 이해 잘하게요ㅎㅎ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화이트-e9o3 жыл бұрын
재미있고 정확한 공식이네요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조선다포연구원4 жыл бұрын
매번 베스트셀러를 내놓는 작가 같습니다. ㅎㅎ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ㅎㅎ 운이 좋다고 할 수밖에요...... 한옥목수들이 다 아는것을 설명했을 뿐인데,,,ㅎㅎ
@동산이는돌아온다2 жыл бұрын
1. 실띠우고 가장 높이가 높은 주초를 기준으로 주초에 나이를 먹이죠. 그리고 십반에 맞춰 기둥을 세우고, 그랭이를 뜨는데 주초 나이 만큼 그래발이 달라지죠. 기준은 그냥세우고, 다른주초들은 나이만큼 덜 따내죠. 10자기둥이면 그래발을 생각해서1치~ 2치정도 더 길게 만들어 놓고 현장가서 높이조정하죠. 기준을 10자로 세우고 나이먹인 주초들은 기준주초보다 높이가 마이너스니가 그랭이질 할 때 주초가 낮은 만큼 덜 따내죠. 주초나이가 -3푼이라고 치면 이 주초에 얹혀질 기둥은 10자3푼이 되는거죠. 그래야 기준과 사괘바닥이 수평이 되죠. 엔진톱으로 그랭이를 따내고 끌로 좀 다듬죠. 약간 안쪽이 깊게 파주고 소금, 숯을 넣고 세우고 끝. 2. 가장 높은 주초에 기둥을 세우고 기준 기둥 사괘바닥 부터 아래로 기준 높이를 재고, 기준기둥을 기준으로 물수평 보고 따낼 나이를 먹이고. 모든 기둥 그랭이질 하고 따내고 기둥세울 때 소금넣고 숯넣고 세우고 끝. 첫번째 방법이 전통방법인데 하시는 분 한분도 못 봄. 다 물수평봄
@woodwood12 жыл бұрын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흥이어라4 жыл бұрын
궁금하던건데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항상궁금했거든요 ...^^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저도 감사합니다.
@김영남-s4b4 жыл бұрын
유용한 정보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도움이 되셨다니. 저도 기분이 좋네요.
@상균주-b4l2 ай бұрын
귀여운고양기 키우세요 ! 적극 추천 합니당
@woodwood12 ай бұрын
키우고 있습니다. 3마리.. 이젠 쥐...괜찮아요.
@Annapruna4 жыл бұрын
잘 봤습니다.
@정일주-s8u4 жыл бұрын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또 놀러 오세요 !
@한모금-j2b3 жыл бұрын
낮은 기초석 기준으로 해야 나머지 높은 것들을 잘라서 상단 높이를 맞출수 있을 것 같은데 높은 기초석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고 하시니 깊게 생각을 해봐야 하겠습니다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예를 들자면,야외의 자연 암반층에 정자를 지을 경우에, 가장 높은 기초석을 기준으로 마루를 깔게 됩니다. 그래서, 가장 높은 기초석으로 부터 내가 원하는 높이가 나와야 되겠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한모금-j2b3 жыл бұрын
@@woodwood1 아 무릎 탁
@시골아빠생존기4 жыл бұрын
예전에 청도한옥학교에서 배웠는데. 기억이 가물가물했는데 감사해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좋게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luckguy02184 жыл бұрын
귀한 영상 잘보고 갑니다^^ 구독하고 가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jeongjj143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제가보기엔 순서가 틀립니다 그래서 그랭이로 기둥의 높이와 수평 맞추기 힘들지요 각 기둥을 그랭이를 먼저 떠 세운뒤 허리(수평) 먹을 치고 허리 먹에서 필요한 높(어떠한 높이라도)이 만큼 잘라서 주두와 장혀 도리등 앉을 자리를 파고 인방 (상,중,하방)끼울 구멍 자리는 위(기둥끝)에서 내려 재어 작업합니다 그리고 큰 현장서는 혼자 물 수평도 가운데 깡통 물을 놓고 기둥별로 다니면서 하지요 제가 오래전 한옥을 했지만..
@개보수가라3 жыл бұрын
생각해 보니 그렇네요
@mcs91033 жыл бұрын
결과는 같다고 봅니다. 영상에서 나온 방법이 현장일이 더 적을것 같습니다.
@jeongjj143 жыл бұрын
@@mcs9103 그렇지 않습니다 이해를 잘 못하신 듯 합니다 기둥이 8尺 이상 된다면.. 제가하는 방법대로 하면 인방들(상중하방)위치와 그리고 주두를 얹고 장혀와 도리 등 수평을 볼 필요도 없어 집니다 수평대도 필요 없지요 그리고
@kkw24012 жыл бұрын
시간 단축하는 노하우지. 이 방법만 정답은 아니네요.
@묵언-p3z Жыл бұрын
답은 하나지만 과정은 여러가지가 있죠.모든일은 자신에 맞추어 하는게 제일 빠르고 편합니다.
@jairoalfonsomorenoperez29043 жыл бұрын
Agradezco sus videos y que comparta su forma de construcción en carpintería, me gustaría poder tener la traducción al español, sobre todo de este tutorial. Muchas gracias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Una traducción completa es difícil. Sin embargo, se verá reflejado en futuros videos. gracias.
@baktyun4 жыл бұрын
귀한 영상 잘봤습니다 ! 중간에 쥐 때문에 웃었네요 ㅎㅎ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뉴늬곤드래밥코다리3 жыл бұрын
호스를 갉아먹은 쥐와 작업현장에 난무한 닭 덕분에 영상이 더 재밌네요. 닭한테 차인 오른 다리는 괜찮으셨나요??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즐거우셨다니.... 다행입니다.
@tv-77274 жыл бұрын
황토집 짓는거 눈꼽만큼 배운적있는데 거기 선생님 말씀으론 기둥밑에 오목하게 파낸곳에 소금을 넣는다는 기억이 나네요^^ 기둥을 수직으로 세우기 위해서 처음에 쓰셨던 내림추로 직각을 잡고 물수평을 혼자 잡을때 얇은 투명 호수 한 쪽을 고정시켜놓고 잡안던 기억이 납니다. 규격화된 목재가 아닌 굵은 소나무나 통나무를 활용한 목재준비과정과 치목과정도 종종올려 주시면 감사히 보겠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소금을 보통은 넣습니다. 개미등과 같은 벌레가 살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거죠. 원목으로, 작업을 많이 하는 편입니다. 창고 만드는 영상도 보시면,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tv-77274 жыл бұрын
@@woodwood1 답변감사드립니다^^
@dark_silhouette4 жыл бұрын
설명 잘 봤습니다 ㅎ 조상들의 지혜는 대단합니다 튜브가 없던 시절에는 궁궐을 지을때 어떻게 수평을 봤을지 진짜 궁금합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저도 그렇습니다. 물수평을 이용한것은 맞는것 같은데.....ㅎㅎ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그렇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ark_silhouette4 жыл бұрын
@@cicilee8206 아 그렇게 반복하면 길이가 긴 건축물도 가능하겠네요 10년 넘은 궁금증을 해결했습니다 ㅎ
@천음양천3 жыл бұрын
오래 됐지만 이프로를 오늘에야 봤습니다 옛날엔 튜브가 없었으니 제생각 이지만 궁궐 터 주변에 작은 골을 파고 진흙으로 바른뒤 물을 채우면 그 물에서 수평을 볼수 있지 않았을 까요? 아님 주변의 배수로를 먼저 ㄷ 자형으로 만들고 임시로 물을 가둬서 물을 채워도 될듯 싶은데요.. 물론 제 생각 입니다 만 ..ㅎㅎ;;
@JPER-cv2lq3 жыл бұрын
Are you in South Korea? So why not pour a small amount of concrete and then a nice large brick and then the post on top of those bricks? Why all the work preparing those posts instead of the my why ? Tho we totally respect your talent.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I am in Korea.
@neofrontiers4 жыл бұрын
자연에 맞춰 건축물을 세울 수 있고 , 건축물에 맞춰 자연을 변경할 수 있겠죠. 가공하기에 어려운 지반보다는 목재가 쉬운 면도 있겠고... 자연에 맞춰 우리가 살아가느냐, 우리에게 맞춰서 자연을 가공하느냐 그런 인식의 차이도 있을거같네요. 중간에 그랭이질할 때 큰 놈 기준으로 잡는건 긴건 자르면 그만이지만 짧은걸 늘리는건 쉽지 않고 재료 수급도 어려워서 그럴거같은데 다른 이유가 더 있을까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맞습니다. 사물을 보시는 식견이 대단하십니다..♥
@ikust0073 жыл бұрын
J’apprends tellement avec vous. Merci!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Merci d'avoir regardé ma vidéo.
@eliezermendez46233 жыл бұрын
Hermoso trabajo 👌❤️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Gracias por ver mi vídeo.
@박상수-o4e4 жыл бұрын
구독 좋아요 좋은 영상 감사해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 감사합니다.
@Xia-hu3 жыл бұрын
This is awesome. I was looking for a demonstration video of 그렌기질 because I am writing about Korean architecture in the Hungarian Wikipedia and my source book mentions this method but I could not imagine how it is done. Now I understand. This is incredible :) wow.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I'm glad my video was helpful to you. Thank you for watching my video from far away Hungary.
@김세진-d2z3 жыл бұрын
그랭이질
@davidjacobs85582 жыл бұрын
there are better videos on youtube for this technique. problem with what is shown in this video is that the posts are small, so doesn't show the reality of building regular sized buildings. and the stones used are too flat, where as in real situations, more natural shaped stones are commonly used.
@____________________---4 жыл бұрын
고맙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vita102030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잘보고있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진희박-u3x2 жыл бұрын
ᆢ형틀목수일을 몇년해보앗으니 한옥뼈대만 짓어주는데는 없나요 나머지는 영상보면서 혼자해보고싶습니다
@woodwood12 жыл бұрын
처음부터 혼자서 해 보시길 권합니다. 공부하면서....
@용봉준-l5g4 жыл бұрын
잘보고 갑니다 꾸벅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ManuChambPictures3 жыл бұрын
Thanks for the demo! There is another mouse in the background at 12:37
@진진기목3 жыл бұрын
우드 우드님께 ~ 늘 좋은 영상 감사 드립니다~ 기둥을 그랭이하고 물 수평보고 양쪽 기둥 높이를 높은 쪽에 맞추어 반대편쪽 기둥 밑둥을 어느정도 잘라야 양쪽 기둥이 수평이 되는지 영상을 다섯번 봤는데도 잘 모르겠습니다 시간 되시는대로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최근 영상중에 처마 확장공사 영상이 있습니다. 결론은, 기둥의 위쪽끝을 같은 높이로 맞추기위해서 그렇게 하는데요. 처마영상처럼 간단하게 할 수도 있지만, 규모가 큰 기둥은 여러번 세우고,눞이고... 여러번 해야 하기에 , 기둥 세우는법에서처럼 기둥의 높이를 맟춥니다. 기둥 위의 끝은, 건물이 완성되면, 같은 높이 입니다. 그것을 모든 기둥을 , 기둥 위의 끝을, 모든 기둥을 똑같이 3m 밑으로 내린다고 상상해 보세요. 똑같인 내린 3m에 표시를 하는것이지요... 그래서, "차이나는 많큼... 떼어서 버린다." 두 영상을 보시면서...함... 생각해 보시길 권합니다. 사실.... 좀...헤깔립니다.
@happyscalp21 Жыл бұрын
조선시대에 호스가 없어서 물수평을 볼수 없을때 수평을 어떻게 봤나요?
@woodwood1 Жыл бұрын
물을 이용한 수평대를 만들어서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긴 여물통 모양의 수평대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김대현.감칠맛나는노 Жыл бұрын
뭐가 차이가 나는지 자세히 설명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호수의 물이 어떻게 됐다는 겁니까 설명을 디테일 하게 해 주세요
@woodwood1 Жыл бұрын
추가적으로 영상 "HOUSE26"을 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과유불급-j2w4 жыл бұрын
자연석을 쁘레카로 면을 다듬은후 기둥을 세우면 그랭이를 뜨지 않아도 되겠네요 또 요즘은 콘크리트가 있어서 자연석 기초에다 콘크리트로 수평을 만든후에 나무를 똑같은 높이로 잘라서하는 방법이 편할듯싶네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그러게요,,, 요즘은 기술이 좋아져서..... 가능할 듯 싶습니다. 근데, 제 경험상 그렇게하면, 기둥이 정확히 수직으로 되지 않더군요. 수평의 돌로 하더라도, 수직으로 다림추로 내리고, 그랭이질을 해야 수직으로 되더군요... 결론적으로, 그랭이질은 아주 정밀한 작업입니다. 지상으로 3~4m 올라가도 기둥을 정확히 수직으로 세울 수 있는 작업입니다. 좀....더 정밀하게 하기위해서 그랭이질을 한다고.... 이해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콘크리트로 기초로 할 수 도 있겠네요.. 하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은 이렇습니다. 어쩔 수 없을때 간혹 쓸 수는 있어도... 좀... 아닌것 같습니다. 콘크리트는 양생되면서 줄어드는데,,, 처음에 같은 높이로 기초를 맞추어도,,, 줄어드는 정도가 모두 다르기에,,, 결국은,,,, 높이가 일정할지 의문이구요. 콘크리트는 습기를 계속 흡수하기에..... 그 습기를 기둥에 전달되면..... 아무래도,,, 나무에 안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저의 개인적인 생각이었습니다. 선생님의 의견은 아주 매우 좋습니다. 당연히, 그런 생각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그런 생각을 했었습니다. 의문점을 갖고, 대안을 모색하는 선생님의 시각은 매우 배우고 싶습니다. 말이 길어젔습니다. 애정어린 의견에 ......성실히 답변해 드려야 겠다는 생각으로 이렇게 길어졌습니다. 감사합니다;.
@김하성-m5l4 жыл бұрын
그랭이질을 하게되면, 다듬은 기초석 보다 많이 까다롭습니다.그래도 자연석에 그랭이질 하는건 자연미와 예술성입니다.
@haepark2234 жыл бұрын
좋은영상 감사합니다. 한옥에 관심이 많습니다.
@jawoongkoo9 ай бұрын
옛날에는 투명한 호스가 없었을텐데... 어떻게 물 수평을 잡았나요 ?
@woodwood19 ай бұрын
조선다포연구원의 영상중에 "옛날에는 수평을 어떻게 잡았을까?"를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연구자료들이 부족해서.... 명확히 말씀드리기는 힘듭니다. 영상을 보시면, 대충 이해가 되리라 봅니다.
@김성계-x7f4 жыл бұрын
좋은내용감사합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저도. 감사합니다 !
@hello2da3 жыл бұрын
어릴때 그림책에서봤던거 기억난다 한목입은 옛날 사람이 돌표면에 대고 그시니까 나무에도 그대로 그려지던데
@김영이-t8k3 жыл бұрын
최고,
@룸펠슈틸쯔헨4 жыл бұрын
첨에 기둥이 돌위에 올려져 있을때는 기둥 밑면이 평평한 상태이고 그랭이를 뜬 이후에는 기둥 밑면이 오목해지기 지므로 그것의 차이때문에 수평이 틀어지는 것입니다. 자연석의 높이가 울퉁불퉁하여 그 편차가 있기때문에 그랭이를 뜬 이후에 기둥의 밑면을 오목하게 하면 그 만큼 높이가 낮아지잖아요. 그래서 애초에 물수평을 볼때 기둥의 밑바닥을 오목하게 한후 수평을 봐야 오차를 줄일수 있습니다. 기둥과 기둥의 거리가 멀면 약간의 오차는 상쇄되겠지만 저러게 기둥과 기둥이 가까우면 약간의 차이때문에 수평이 틀어지죠
@ricestrawdiy4 жыл бұрын
초가집 미니어처 만들기 할때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정보네요. 기초석 줄눈은 어떻게 놓는지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기초석 십반먹은 규준틀을 만들어서 표시하는데,, 글로 설명하기가 좀 긴데요..실로써 기둥의 중심을 +자로 지나가게 함---->기초석에 표시 ---> 먹을 침
@프로캠핑카3 жыл бұрын
좋아요
@김경모-i6u4 жыл бұрын
똑똑해지는영상 ㅎ ㅎ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ㅎㅎ 좋게 느끼신것 같아 기쁘네요.
@어블린-정선아우라지4 жыл бұрын
잘 보았습니다. 선생님께서 쓰시는 엔진톱은 일반엔진톱이 아니고 어떤 엔진톱인지 알고 싶네요. 엔진톱마다 용도를 알고 싶네요. 엔진톱에 대한 강의면 더욱 좋구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한옥목수들은 바를 뾰족한 바로 개조해서 많이 씁니다. 그래야. 장부를 만들기에 수월합니다. 일명 "조각바" ~ "스기하라" 검색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전 약간 뾰족한 R 12( 뽀족한쪽 반지름)를 씁니다. 참고로.R10도 있습니다.
@끄이끄이-c4g4 жыл бұрын
잘봤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항상,.... 감사합니다.
@귀요미인턴4 жыл бұрын
잘보고갑니다 ~~~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감사합니다 !
@I2ri1song5hae72 жыл бұрын
어렵다 어려워...!!!그랭이질과 수평잡기 .하지만 배우고싶다
@woodwood12 жыл бұрын
House25,26영상에서 해당부분을 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되리라 봅니다.
@제주파파jejupapa4 жыл бұрын
우드님~ 제주에 살고 있는 목조주택에 관심이 많은 구독자입니다. 제주도에 점기초(독립기초)로 단층 8평 집을 지어볼려고 하는데요. 점기초하는 방법에 대해서 강의 해주셨으면 도움이 많이 될것 같아서 글을 남깁니다. 통기초와 점기초의 장단점도 알고 싶습니다. 항상 올려주신 동영상 즐겨보고 있습니다.^^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그렇지않아도 계획 잡을려고 했는데, .... 알겠습니다. 빠른 시일 내에.....다른 영상들을 보니, 핵심을 못 잡아내더라구요.
@tjl84454 жыл бұрын
기등높이3000은 어디를 기준으로 해서 재는거죠? 지면?아니면 돌웃면인가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일반적으로 주춧돌 위에서부터 잽니다.
@tjl84454 жыл бұрын
wood wood 감사합니다
@경천애인-r3m4 жыл бұрын
재밌네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감사합니다.
@한울-l9w4 жыл бұрын
물수평보고 위부분을 잘라 내면 안돼나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그렇게 되면, 사개맞춤 장부를 새로 만들어야 되니까요.. 그래서, 차이나는 많큼 밑에 쪽으로 잘라내서 없애야...... 좋은 의문점입니다. 아기가 예쁘네요....ㅎ
@사뿐사뿐-h6r4 жыл бұрын
저도 같은 궁금증 굳이 사개맟춤상부를 후공정으로 가면 공정이 더편해보이는데
@최원일-j7l4 жыл бұрын
처음 보는건지 몰라도 일단대박이네요.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긍정적으로 봐 주셔서...... 감사합니다.
@rein7883 жыл бұрын
선생님 집짓기에 도움이 되는 영상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영상 속 클램프 제품을 어디서 구할지 알 수 있을까요? 제품명을 알고 싶습니다.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레버클램프" 검색하면 됩니다.
@마지막처럼-y5o4 жыл бұрын
한국건축사 시간에 들은 바로는 가운데 부분은 돌에 먹물을 묻혀서 가 그랭이질 한 기둥을 앉혔다가 들어내면 기둥에 먹물이 묻어난 부분을 깍아내고 다시 앉혀서 또 깍아내고...반복...그러면 거의 99% 정확하게 기초석 모양과 일치.
@woodwood14 жыл бұрын
네... 맞습니다. 그렇게하면, 완벽하죠. 요즘, 현실적으로 그렇게하려면,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듭니다. 해서, 약간의 여유를 두고 하고 있습니다. 문화재수리의 경우, 정당한 가격으로 , 충분한 보상을 해 줘야 하는데, 일반, 다른업종처럼, 입찰해서, 낮은가격으로 공사를 하라고하니, 선생님의 말씀처럼하면, 회사에서 비용이 많이 든다고 난리를치겠죠. 옛날방식으로 하면, 시간이 많이 들 것입니다.
@mingfun63 жыл бұрын
사장님 한옥 건축도 하시나요?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주로 강원도 쪽에서 하고자 합니다. 더 궁금하신 점은 메일 shimil84@gmail.com 로 소통가능합니다.
@플레아데스113 жыл бұрын
돌을 평탄하게 갈면 어때요?
@woodwood13 жыл бұрын
예전에 궁궐을 지을때, 돌을 평평하게 하고, 약간 거칠게(정다듬)해서, 기둥을 세웠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더라도 그랭이질은 해야 합니다. 그래야,수직과 수평을 정확히 맞출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