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들이 한국을 여행하는 이유와 한국인들이 일본을 여행하는 이유. #일본여행 #국내여행 #여행다큐 #여행
Пікірлер: 564
@Yakult__9117 күн бұрын
한국 특 죄다 출렁다리 죄다 케이블카 ㅋㅋㅋㅋㅋㅋㅋ
@index_.16 күн бұрын
ㄹㅇㅋㅋ 한국은 걍 관광지 = 드라마 촬영지임
@69pathfinder6615 күн бұрын
팩트는 일본도 마찬가지 라는 거임. 일본 소도시 여행 해보면 명물다리 케이블카 없는곳이 없다. 근데 한국이랑 차이점은 한국은 그게 전부고 일본은 소도시만의 종목 불문 몇가지 관광자원은 반드시 있다는거지
@Minji481515 күн бұрын
어글리 코리안 영향도 있음.. 소도시 가는 이유 중 하나가 한국인이랑 중국인 만나기 싫어서… 공항도 북적이고 거리에서 우리나라 욕설 들리면 거부반응부터 듦… 그럼에도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를 많이 가는 이유는 면세 쇼핑 때문이라 소도시 여행 후 대도시로 이동하고 귀국하는 경우도 많은듯
@junheelee475515 күн бұрын
거의 일본 관람차 포지션
@재르루스14 күн бұрын
뷰 괜찮은 곳은 이상한 하트 포토존 조형물로 다 된 밥에 재 뿌리기 ㅋㅋ
@라벨크라프트18 күн бұрын
하나 더 말하자면 지역명물도 서울로 올라오는게 문제임. 경주 10원빵만해도 경주에 불국사 다보탑이 있기 때문에 지역특산물이고 다보탑과 함께 찍는게 유행이어야하는데 그건 없어지고 10원빵만 남아서 서울로 올라오고 의미가 산화 되어 버렸음. 우린 지역관광 요소를 서울에 다 빼앗겨버리고 일본은 그걸 다 자국안으로 끌어들임. 그런식으로 우리나라가 일본에서 10엔빵 500엔빵 사먹고 후쿠오카에서 명란젓 사오게 됨. k팝으로 뜬 것도 일본에 가면 되려 고유 굿즈가 있어서 일본으로 k팝 관광가는 서양인,한국인들도 생김.
@switch569216 күн бұрын
진짜 맞는 말.. 명동 가면 국내 전지역 짭퉁 기념품 다 있음
@이은중-m1r15 күн бұрын
성심당이 잘한게 대전외 분점 설치 안하는거지
@ChunSik26214 күн бұрын
삼국시대 고려시대 유적도 다 조선풍으로 복원해서 경상도랑 전라도조차 별차이없는게 문제
@econchoi14 күн бұрын
모든것이 서울에 흡수당하는 시대.... 씁쓸하군요.
@입체적-별스타13 күн бұрын
@@ChunSik262아.. 이건 진짜 아쉬움 문화재가 좀 다양해야 눈이 즐거운데 다 똑같은 색감 조합이면 금방 질림 삼국시대꺼 완전 복구 가능하다면 만드는것도 좋다고 생각함
@페퍼톤스-j4k19 күн бұрын
한국에 사는 외국인 친구가 말해준적 있음. 대전 놀러왔는데 한국 동네가 이쁘긴 이쁜데 어딜가도 비슷하다고. 우리는 우리나라니까 그 디테일 차이를 아는데 외국인에게는 다른도시가도 똑같은걸 서울에서 느낄 수 있나봄
@DOUNDY19 күн бұрын
한국인인 내가봐도 어딜가나 다 비슷한거같음. 간판때문에 그런지 몰라도 높은 건물이 있느냐 없느냐, 바다가 있느냐 없느냐가 우리나라 여행지의 대부분임, 일본에비해 역사와 전통적인것은 많이 없는느낌
@oosa-e8w19 күн бұрын
@@DOUNDY 일본인들이 문화 포장을 기가막히게 잘하는거도 있고 한국인들은 그런거보다 실효성, 편의성을 따지기 때문에 전국에 똑같은 아파트만 지어대는거죠
@bca-on6pb19 күн бұрын
내가봐도 다비슷한데 뭔 디테일 ㅇㅈㄹ ㅋㅋㅋ
@HCRONG119 күн бұрын
@@bca-on6pb니가 보면 뭐ㅋㅋㅋㅋ 뭐라도 되는줄 아네
@오스칼-v7e18 күн бұрын
뭔 동네가 이뻐?!!! 도시미관 개 구리구만
@Harenoumi19 күн бұрын
왜긴요, 도시 관광은 그 도시의 문화를 보러 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수십 수백 년 동안 그 도시의 주민들과 문물이 상호작용하면서 만들어진 문화, 그 도시 주민들과 유리된 문화유산 같은 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향유되고 있는 문화 말씀입니다. 일본은 지방분권의 역사가 길고 역사적으로 상업이 오랜 기간 동안 발달했기 때문에 도시문화가 발달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자연스럽게 다른 동네와 구별되는 '우리 동네'의 문화들이 많이 생겨난 거죠. 그에 반해 우리나라는 몇백 년간 중앙집권 체제가 유지되었고, 지역 간 교역(보부상 이런 건 민간 대규모 교역이라고 하기 민망하죠)도 거의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 모든 '한국스러운' 문화는 서울이 독점해 왔습니다. 지금도 마찬가지라서, 부산이나 경주, 제주도처럼 몇몇 특수 케이스가 아닌 이상 한국의 모든 도시는 서울의 열화판인 겁니다. 지방도시의 문화가 서울과 같은데 규모와 질 면에서 서울이 압도적이면 서울을 보러 가지, 지방을 보러 가겠습니까? 반대로 부산은 왜 한국의 몇 안 되는,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비-서울 도시가 됐을까요? 단순히 바다가 있어서 그런 게 아니라, 사람들이 바다와 함께 살고 있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독특한 생활양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거기다가 일본과의 교역, 피란수도 등 서울을 제외한 도시 중에서는 독특한 역사가 많고 긴 편이기 때문에 거기서 만들어진 문화들(돼지국밥, 밀면, 감천문화마을, 산동네 등)이 서울(즉 주류 한국문화)과는 달라 관광객 입장에서 색다른 매력을 내고 있지요. 부산을 올려친다 뭐 이런 게 아니라, 우리나라 관광에 있어서 생각해 보아야 할 시사점이라는 겁니다.
@stevencho818018 күн бұрын
댓글 중 가장 납득되는 내용이네요😊
@kimsuhanmu117 күн бұрын
북한이나 통일 됐으면, 숨겨진 관광자원 대박은 거기에 있지
@ypui-pr6kx16 күн бұрын
맞는말만 하시네
@econchoi14 күн бұрын
오 진짜 예리하시다
@성예현-y5r11 күн бұрын
ㄹㅇ 이 댓글이 딱 맞음
@-Ayaka919 күн бұрын
당장 강원도에서 그나마 관광객들이 많이 가는 강릉이나 속초, 동해만봐도 버스나 ktx로 오긴 했는데 그 다음부터는 렌트 아니면 돌아다니기 힘들어요. 대표적으로 강릉은 대관령을 비롯한 산악지형, 시내, 해안가 이렇게 되어 있는데 렌트라도 하지 않으면 한군데만 즐기고 당일로 집에 가게되죠. 일본도 소도시는 교통이 그리 좋지 않고 비싼 것도 있지만 한국의 소도시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또한 전쟁 이후 폐허가 된 상태에서 급격하게 이루어진 도시개발의 특성상 지역의 분위기나 문화를 지키기에는 힘들지 않았을까 싶네요.
@hannuritv0713 күн бұрын
부산 바로 위에 사는 사람인데, 개인적으로 다른 도시들이 그냥 서울 파쿠리라 그럼. 아니 인천만 해도 인구수 2위로 이미 부산 따돌렸는데 왜 제 2의 도시라 불리지 않냐면 그냥 거기는 서울이기 때문임. 그나마 서울이랑 완전 딴판인 지역이라 하면 제주도 정도 밖엔 없음. 솔찍히 말해서 서울사는 누가 부산관광 온다 하면 남포동이나 들렀다 가지 왜 서면을 굳이 가겠음? 서울에도 그런 번화가 널렸는데? 뭐 순천같이 자연경관이 좋은 곳도 있고, 당일치기로 들를 곳은 많지만, 애초에 차별화된 도시가 잘 없는게 문제임. 그냥 뭐만하면 서울처럼 되고 '서울화'가 되버려 결국 서울의 열화판 파쿠리 밖엔 더 안되어 있음. 그러니까 여행 간다하면 갈곳이 서울밖에 없지.
@응애앵-q3z4 күн бұрын
인천보다 부산이 인구 더 많지않나..?
@hannuritv074 күн бұрын
@@응애앵-q3z ㅈㅅ 인천이 이미 따라 잡은줄 알았는디 아직은 아니라네
@햄-x8l2 күн бұрын
그걸 잘 포장하는게 패키징이라 생각함. 광장시장같은 평범항 시장이 왜 급 관광 핫플레이스로 떴는데…솔직히 길거리 음식 뭐 대단하다고. 광안리가 까놓고 예쁜 해변도 아닌데 관광객이 매년 모이는건? 그럼에도 매력적인 공간처럼 보이게끔 만드는게 마케팅이고 패키징임. 다른 엄청 상위 여행도시 몇곳 아니고서야 사람사는곳들인데 다 똑같을 수 밖에. 그것도 한 문화권인데…
@Tyoken85319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전통을 지키기를 좋아하는 문화입니다. 그리고 자기가 태어나고 자란 고장을 자랑스럽고 살기 편하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훨씬 많습니다. 일본도 근대화되면서 옛것=나쁜것 같은 바람이 한번 불었습니다만 그래도 워낙 고집스럽게 지켜온 사람들이 많아서 지금의 각 지역의 특색이 남아있는거죠. 한국은 점점 더 옛것=나쁜것 공식이 거의 디폴트로 자리 잡고 전통 문화나 풍습 이런건 거의 다 나쁜걸로 치부되면서 모든걸 현대적인 방식으로 바꾸는게 당연한 시대의 흐름인것 처럼 생각하고 있어요. 명절 때 가족들 모이는 것도 한복 입는 것도 한옥에 사는 것도 옛날 방식으로 차례를 지내는 것도 거의 다 사라져가고 있죠. 청첩장 같은 꽤나 격식이 중요한 부분도 디지털로 바뀌었고 그냥 모든게 다 편의성만 추구되는거 같습니다. 각각 장단점은 물론 있지만, 지역 특색을 살려 관광을 활성화하자는 측면에선 당연히 일본 같은 사고방식이 유리하죠. 편의성만 생각하며 모든 곳을 다 똑같이 만들어버리고, 거기다 사람들조차 서울이 더 나으니까… 하면서 죄다 서울로만 몰리는데 지역색이 남아있을리 없겠죠. 뒤늦게 또 일본이 관광으로 워낙 잘 되니까 질투심이 생기는지 왜 우리는 저렇게 못하냐 하면서 지역 특색을 만들자 하는데 관광객들이 바보도 아니고 가짜로 대충 부랴부랴 만들어낸걸 굳이 보러가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없겠죠. 그냥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인거 같습니다. 거기다 플러스로는 자연재해가 거의 없는대신 어느나라에나 있을법한 밋밋한 자연경관…도 그냥 받아들여야 하는 부분인거 같구요. 반대로 그런 상황에서 그래도 문화의 힘으로 이 정도 관광객들이 와주고 있는게 대단한거 같습니다.
@hjmvu18 күн бұрын
정확하게 보신것같습니다
@user-bl2yl3fu8e18 күн бұрын
경주 황리단길에 있는 일식집 보고 저게 뭐가 문제냐, 저거 불편해하면 반일 아니냐고 되묻는게 현 한국인들의 인식 수준.. 한국인들 이거 반박할려고 교토에 있는 한식집 가져오는데 거긴 관광스팟도 아닌 주거지역이고, 도로 포장부터 건물까지 일본풍 가득한 니넨자카 산넨자카 이런데서 한식집을 찾아볼 수 있을까?
@Tyoken85318 күн бұрын
@@user-bl2yl3fu8e 황리단길이야 말로 딱히 큰 의미 없이 그냥 이뻐서 어쩌다 만들어진 이제 3-4년밖에 안된 상업지구인데 상관 없지 않나요? 니넨자카 산넨자카는 수백년이 넘게 거기 절에 참배객들 상대로 장사해오던 것들이 이어져온거구요… 근데 거기도 스벅 이런거 있거든요.
@무번뇌17 күн бұрын
제 말이 그겁니다. 정통문화를 지키자면서 정작 조선을 부끄러워 하면 무슨 의미냐는 겁니다
@considerate212116 күн бұрын
경제 산업발전에 대부분 역량을 쏟아서 첨단에 목숨 건대신 서울,제주를 제외한 관광자원의 매력은 잃은듯
@legeno-19 күн бұрын
당장 내가 갈 국내 여행지도 없음
@고독한여행가-b2r19 күн бұрын
@@hterius95국토 종주 끝나면 이제는 해외를 나갈 차례네요! 해외 나가기 시작하면 국내여행은 쳐다도 안보게 됩니다. 너무 시시해서요. 이미 20대때 전국 유명한곳 다 가봤고 일본 대도시를 시작해서 소도시까지 다 가보니 인프라에 애니 배경지 등 스토리텔링에 넘사벽이더라구요. 현재 마쓰야마에 가면 공항 시내간 한국인 전용 무료셔틀버스 운영중이고 공항 인포에 여권 제시시 관광지 입장 무료, 온천 무료 입욕권 쿠폰 증정 등 특혜도 많답니다. 지방소도시 마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이렇게 적극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일본에 외국인 관광객이 넘쳐나는데는 다 이유가 있는겁니다. 국내에 아무리 좋은 곳이 있어도 일본처럼 인프라 및 스토리텔링 등 홍보가 많이 부족하다는걸 안타까운 마음에 영상 올리신것 같네요.
@홍길동-q9g4h19 күн бұрын
@@hterius95볼게 없어요. 케이블카에 레일바이크에 x리단길.. 딴 지역이 하면 똑같이 따라만하죠. 일본 소도시처럼 특색있게 가거나 중국처럼 볼거리가 많거나 해야하는데 이도저도 아님..
@KIM_HS_022819 күн бұрын
찾아보면 많음. 다만 자차 끌고 다녀야 편함.
@user1218718 күн бұрын
일본은 해외라는 프리미엄때문에 좋아보이는거지 냉정하게는 국내랑 크게 다르진 않은것 같음 특히 도쿄
@이재명과결혼한문형배18 күн бұрын
봉하마을
@토토로-k9b19 күн бұрын
땅크기부터 차이가 많이나고 오래전부터 하나의 중앙집권적 국가였던 한국과 달리 여러 세력으로 쪼개져 독자적으로 유지된 지역도 많으니 지역별 차이도 크다고 생각합니다 심지어 우리나라는 6.25로 전국의 특색있는 문화가 많이 사라져버렸죠 지자체의 노력도 필요하겠지만 애초에 체급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오스칼-v7e18 күн бұрын
원래부터 특색이라곤 없었음~~ 전부 초가집 토굴에 살고 있는데 무슨 지역적 특색을 논합니까
@cuoon18 күн бұрын
전국민이 땅바닥에 돗자리피고 노숙자 생활해도 지역별 특색은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그게 얼마나 도드라질지가 관건인거지...@@오스칼-v7e
@user-bl2yl3fu8e18 күн бұрын
애초에 자연 자체가 일본이 더 다양하고 이쁨 땅도 크고, 원시림도 많고, 산도 높고 한국 자연이랑 하나하나 비교하면 죄다 일본이 상위호환임 제주도-오키나와 강원도-홋카이도 태백산맥-알펜루트 다도해-세토내해 한라산-후지산 순천만-구시로 태안 사구-돗토리 사구 걍 북한 먹지 않는 한 태생적으로 한국은 일본한테 비비기도 힘듦 물론 일본 건축 미관이 한국보다 잘난것도 있지만 자연에 있어서는 키160대 존못(한국)이 키180대 존잘(일본)한테 쟤는 왜 저렇게 잘났냐고 하는거랑 다를게 없음 그냥 태생적인거임 한국이 아무리 노력해도 못따라잡음
@gn5218 күн бұрын
지진해일 수도없이 겪으니 자연경관 우월한건 솔직히 인정
@sldjejn799318 күн бұрын
@@오스칼-v7e 진짜 맞는말 ㅋㅋ 뭔 문화가 있고 특색이 있냐 그냥 개도국 쓰레기 국가에서 이제 먹고사는수준인데
@hjmvu18 күн бұрын
일단 일본이 전통,문화컨텐츠,자연 적으로 세계에서 손가락에 꼽는 '최상위'케이스라는걸 인지해야함. 한국이 여행다니기 별로인것도 사실이지만 일본이 여행다니기 너무좋다는게 더 중요함. 일단 물리적인 규모부터 차이나는데 일본은 자연경관이나 건축물, 도시에서 압도되는 사이즈가 있음 결정적으로 한국에는 문화컨텐츠를 소비하러오지만 일본에는 그냥 그 나라 자체를 소비하러 감 나는 이게 1순위 차이점이라고 생각함
@qwertyuiopasdf12-h1y18 күн бұрын
완전 동의합니다 관광으로 따지자면 한국이랑 일본 비교하는게 한국이랑 미국의 경제력 비교하는 급의 체급차이라 비교가 거의 무의미할 정도... 해외 웬만한곳 다 갔지만 거리를 제외하고도 일본만큼 관광에서 압도적인 나라는 없는듯
@햄-x8l2 күн бұрын
이것도 맞는 말..솔직히 지역마다 관광 패키징 잘해놓은 곳 일본 빼고 또 어디있을까 생각해보면 또 없음.
@είδοςКүн бұрын
ㅇㅈ, 우리는 바로 옆이라 잘 체감 못하지만 일본은 서양에서 비행기값 200만원씩 내면서도 오는 1티어 여행지임..
@정우재-n6s17 күн бұрын
저는 일본에 비해 한국에서 국내여행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는 크게 두 개라 생각합니다. 1. 바가지 문화 한탕 해먹자는 마음에 씌운 바가지가 수십년간 축적되어 국내여행에 대한 인식이 박살났습니다. 일본은 규제를 통해 바가지를 없애려는 노력을 하고 실제로 효과를 보이고 있죠. 다만 한국의 규제는 글쎄요.. 2. 위도의 차이 우리나라는 위도 35도에서 38도 정도라 기후의 차이가 거의 없다보니 예로부터 문화가 다르기 힘듭니다. 그래서 멀리 떨어져 있고 기후가 굉장히 다른 제주도는 색다른 문화를 가지고 있고 국내 여행객으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아왔죠. 일본의 경우, 20도에서 45도까지 굉장히 긴 위도를 갖고 있습니다. 후쿠오카와 삿포로를 다녀와보신 분들은 기후가 문화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아시겠죠. 단적인 예로 이름은 같은 미소 라멘이라도 양 차이라던가 기름진 정도가 엄청나게 나죠.
@Goodboysquid14 күн бұрын
3.미감 그나마 있는 볼거리들도 요상한 장식물, 간판들로 분위기 깸..
@바다-g3l1f14 күн бұрын
그나마 김해 창원 함안쪽이 따뜻하기도하고 가야문화재도 있는거말고는 흠.......... 없어.
@userskfjeyqs3 күн бұрын
그냥 한국 지방도시에는 닭장아파트밖에 없어서 그래요 일본은 예쁜 일본풍 주택 살던데 한국은 서울만 봐도 다 숨막히는 시멘트아파트뿐임
@김승곤-v2n19 күн бұрын
교통이 불편하죠. 한국 사람도 기차표 구하기가 힘든데 KTX SRT 맨날 매진
@윤종찬-p5e19 күн бұрын
대신 일본은 교통비가 두배에요
@KIM_HS_022819 күн бұрын
@@윤종찬-p5e 그래서요?
@smi11319 күн бұрын
교통비가 2배든 3배든 살 수 있으면 되는 거 아닌가요? 한국은 주말마다 전쟁인데 차라리 그런 수고를 돈으로 살 수 있으묜 좋네요.. 뭐 여유없는사람이 억지로 가는 것도 아닐테고 그건 감수하는거죠
@윤종찬-p5e19 күн бұрын
@@smi113 핸드폰으로 코레일이나 srt 어플깔고 며칠만 일찍 예매하면 타고 갈 수 있는데 그게 힘들어서 가격 2 ~ 3배를 내고 타나요?
@KIM_HS_022819 күн бұрын
@@윤종찬-p5e 네 전 탈 일이 있으면 그렇게라도 갈 것 같은데요? 맨날 매진은 매크로 이용해서 표 독점해놓는 국내 여기 어때와 같은 여행사들이랑 샀다 팔다 반복해서 포인트 얻을려는 세력들이나 암표 팔려는 인간들 때문에 그런거에요
@고운잼17 күн бұрын
한국과 일본의 관광차이: 1. 일본은 웬만한 대도시뿐 아니라 중소도시도 지하철 및 사철이 깔려있어서, 교통편이 정말 편리하다. 당장 도쿄, 오사카만 봐도 한국보다 철도망이 더 촘촘하다 (그만큼 가격이 비싸지만, 아깝다는 생각이 전혀 않듬) 2. 랜드마크 및 관광인프라가 정말 잘 돼있다. 유명한 교토, 도쿄 이런 곳이 아니라 작은 소도시에도 고유의 음식이며 문화, 관광유적지가 잘 보존 돼 있다. 3. 가격대비 상품성이 너무 떨어짐. 당장 동네 옆 시장만가도 가격이 비싸다고 느끼고, 관광객들 상대로바가지 씌우는 상인들이 허다함. 4. 서비스 접객품질. 한국인들이 일본가서 처음 느끼는 첫 인상이 친절하다이다. 그만큼 일본은 세계에서도 뽑아줄만큼 접객서비스가 우수하고, 사내 자체적으로 접객에 대해 꼼꼼히 교육하고 관리한다. -한국이 세계적으로 보면, 관광하기 괜찮은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일본은 손 꼽히는 관광대국인만큼, 관광으로 일본만큼 성장하려면 개선하고 갖춰야 할 부분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bandiya19 күн бұрын
정말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영상인 것 같습니다. 일본인과 한국인의 여행 트렌드가 달라서 한국의 구석구석 오지 않는 것이겠지요. 아무리 지방의 특색이 있더라도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가 끼지 않으면 찾지 않는다는 것… 그게 참 지역 관광을 개발해야하는 입장에선 참 어려운 문제인것같네요.
@bandiya19 күн бұрын
영상제목이 청주라 생각난건데 청주지사가 에어로케이에 관광객이 유입될 수 있는 취항지로 좀 해줬으면 좋겠다고 한적이 있는데 오히려 그들이 올만한 매력이 있는 곳이 되어야 하는게 먼저 일거 같네욬
@bandiya19 күн бұрын
@@hterius95 ㅋㅋ 지금 영상의 주제가 외국인(일본인)이 국내 여행을 서울, 부산, 제주같이 지엽적으로하니 그 원인이 무엇일까하는 거 아닌가요?
@따뜻한-o7r18 күн бұрын
일본인과 한국인의 여행 트렌드가 다른게 아니라 한국의 관광자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태란거 아니였나요?
@bandiya18 күн бұрын
@@따뜻한-o7r 한국사람은 일본 드라마나 영화에 나왔다고 여행지로 삼아 가진 않잖아요? 근데 일본사람은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거나 유명 인플루언서가 방문한 곳 위주로 간다는게 차이라는거죠. 물론 일부 오타쿠에서는 성지순례라고 해서 지방에 가는 경우가 있지만 대다수 사람들은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 같은 대도시 갔다가 소도시도 체험해보고 싶어 가는 경우가 많죠. 한국에도 볼거리 많은건 아는데 그게 외국인들 구미 당길만한 요소인지는 고민해봐야할 문제라는 거죠 ㅎㅎ
@따뜻한-o7r18 күн бұрын
@@bandiya 근데 그건 여행객 선호의 차이라기보다는 그런 사람들이 온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당장 언급하신 오타쿠들만 해도 너의이름 같은 주류문화 수준의 컨텐츠는 유의미한 수준으로 사람들을 끌어모으니까요 도쿄 아키하바라만 해도 컨텐츠빨이죠 전 역으로 한국의 역사/문화(전통적 의미의)적 자원이 부족해서 서울만이 그나마 경쟁력을 가진다는거로 받아들였습니다. 일본의 경우 각 도시가 상당한 수준으로 그러한 것들을 갖춰 중소도시로의 여행도 수요가 발생하는거고요
@noclipmod18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울나라 볼거 진짜없음.. 한국인들이 일본으로 여행가는 이유만봐도 답나옴.
@wooshc7 күн бұрын
6.25로 작은 나라가 쑥대밭됨 ㅠ
@RedFda18 күн бұрын
효율만 좇아가는 한국인 특성상 매력, 특색은 자연스럽게 거리가 멀어지죠. 도시도 중앙집권이 강한 한국 특성상 like서울 도시들만 많아지는것이고 그러다보니 거기를 굳이 찾아갈 이유도 없는것이고
@user-lalalalala-i2j12 күн бұрын
당장 광화문 간판을 한글로 바꾸라고 난리치는 한글단체만 봐도 한국 전통문화가 다시 활기를 찾는건 불가능하다 느낌
@모크게키샤5 күн бұрын
딱히 효율적인것도 아닌데... 언제까지 과거 인터넷뽕에 빠져살까
@noclipmod15 күн бұрын
한국 사람들은 편의성과 효율만을 추구하다보니 옛것의 전통들을 없애버리거나 잊어버린탓이 가장큽니다. 일본은 도시가보면 알겠지만 그 도시안에 신토 사찰이나 그런것들이 어떻게 조화롭게 도시내에 융화되게끔 건축되있는거보면 놀랍더군요.. 일본애들은 우리나라랑 심미적 가치관이나 뭐 미적 가치관과 철학자체가 달라요. 쟤네들은 전통을 엄청 중시합니다. 한국인들은 그냥 실효성만을 추구하다보니 옛것들을 등한시해서 일본도시에서만 느낄수있는 특유의 감성이 부족함. 그리고 문화적 볼거리도 많이 없음. 한국사람들은 그런걸 발굴을 잘 안하는거같음. 태도자체도 다름..
@우동-s3y19 күн бұрын
영상 퀄리티가 너무 좋네요
@travelhippo7719 күн бұрын
감사합니다하마🤣😍
@zkkwl156219 күн бұрын
한국인부터가 그나마 지역특색있는 제주도보단 일본을 선호하는데 일본인이야 말할것도 없음
@jin.24.18 күн бұрын
지방 여행에서 자연이나 옛스러운 걸 느끼고 싶으시다면 산사 여행 추천드립니다. 저번에 부석사를 가봤는데 단풍과 어우러진 모습이 절경이더라고요. 웅장한 사찰을 보고 싶으시다면 화엄사도 추천드리고 싶네요.
@saka19685 күн бұрын
강릉, 원주, 충주, 청주, 전주, 나주, 상주처럼 조선시대 중심 도시들은 조선시대 / 경주, 울산은 신라시대 / 공주, 부여, 익산은 백제시대 / 대전, 광주, 부산, 목포는 근현대 분위기로 도시 자체를 확실하게 꾸미면 관광 활성화에 도움될 것 같은데… 특히 울산같은 곳은 산성 읍성 엄청 많으니까 그것만 다 복원해도 될 듯
@나이스키로마이브라더4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아무리 생각해도 한국으로 2번 여행갈 이유가없는거같음 ㅋㅋㅋㅋㅋㅋㅋㅋ
@muje25115 күн бұрын
진짜 매번 생각하던 건데 이렇게 퀄리티 좋게 만들어주셔서 감사하네요. 국가 차원에서 역사와 결합한 관광지를 많이 개발하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줘야할듯해요.
@강민준-p2n9 күн бұрын
우리 역사적으로 관광경쟁력 있을 개성(고려의 수도 개경), 평양(고구려 후기 수도), 금강산은 북한, 지린성(고구려 전기 수도 국내성)과 헤이룽장성(발해의 수도 상경용천부)는 중국에 있는게 크죠. 경주(신라의 수도)는 지금은 소도시로 전락해버렸고, 제주도는 자연환경만으로는 하와이 오키나와 괌 같은 해외관광지와 비교하면 아쉽죠.
@Pedeus19 күн бұрын
일본에 업무때문에 일주일에 한번은 꼭 가는데, 그것 말고도 여행으로도 자주 갑니다 ㅋㅋ 근데 한국은 정말 여행할곳이 없어요, 예를들면 이천 도자기 마을 이라는곳도 호기심에 가봤지만 찾아갈만한 곳은 아니었구요, 그것 외 볼건 없기도하구요,, 특히 걸어다니는 여행 ? 을 하기엔 일본이 최적입니다. 우리나라는 사람기준의 키로 둘러보면 전부 주차장에 공장 같은 건물 밖에없고, 서울쪽에 가야 그나마 아기자기한 상점가들이 있는 수준임, 일본은 그 도시에 어디를 가나 걸어다니기에 좋음
@봄봄-f2o18 күн бұрын
일주일에 하루정도면 엄청난대요.... 마일리지 채우는 속도도 장난아니실듯
@Pedeus18 күн бұрын
@ 네 엄청나게 쌓여요, 근데 거의 매주 제주항공으로 갑니다..
@qwertyuiopasdf12-h1y18 күн бұрын
저도.. 부산살면서 국내여행 웬만한 곳 다 가봤지만 재방문할 정도로 ( 서울제외 )좋았던 곳은 없는거같아서 서울보다 가까운 일본을 훨씬 많이가요
@wydudhdu502418 күн бұрын
그나마 제주도가 가격 터무니없는 인스타 맛집만 안가면 좋아요 컨디션 쓸만하고 적당히 감성도 있는 서귀포 시내 숙소가 일본에 비해 훨씬 저렴하고 렌트카 가격은 제주도 만큼 싼곳 드물고
@Pedeus18 күн бұрын
@@wydudhdu5024 제주도는 인정은 함, 절대 인터넷 인스타보고 찾아가선 안되고 현지에 아는사람 있다면 개추
@김인트17 күн бұрын
일본은 지역별로 높은 위도 및 고도차이, 즉 큰 자연적 차이 / 한국이나 중국에 비해 중앙집권제보다 지방봉건제와 가까운 문화로 인해 지역별로 큰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니 음식이랑 풍경부터 명확한 특색이 나타나죠. 한국은 대도시뿐만 아니라 역사유적, 절, 한옥마을 같은곳들을 가도 일본보다는 지역별로 유사하게 보이니 결국 가장 큰 서울에 모이는거 같고요
@deremiche16 күн бұрын
영상에서 본 이유도 맞긴합니다만 일본은 관광자원도 있거니와 서비스 대응도 훌륭하고 지자체가 나서서 외국관광객 유치에 혈안이기도하고 ,그래서 외국어 안내표기도 어느정도 잘되어있습니다. 한국 LCC또한 후쿠오카 오사카 도쿄는 기본에 소도시 까지 드문드문 취항합니다..그러나 한국은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부산,제주 등을 제외하면 지자체부터가 외국인관광객 유치에 별로 큰 관심이 없습니다. 오면 오고 아니면 마라는식이죠...한국지방도시들 외국어 안내표기도 거의 없습니다 . 8개의 국제공항중 제대로 쓰는게 인천,김포,김해,제주일거고 그다음이 청주 대구 정도겠습니다만 그리고 무안 양양은 개점 휴업이나 다름없고..또 서비스적인면에서도 일본대비 부족한면이 너무 많습니다. 이런점을 볼때 한국은 선거철에만 한표줍쇼만 하지 지자체가 뭘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인천,김포,부산 등으로 들어온 일본인들이 별로 특색도 없는 한국지방에 ktx 혹은 고속버스 까지 대절해서 갈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요 극 소수일걸로 봅니다...
@척추꺽기개미14 күн бұрын
청주 토박이입니다 자꾸... 옆도시 대전에서 대전노잼도시라고 하는데..... 청주사람이 보기엔 대전? 청주보다 훨씬 재미있는도시지... 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만큼 청주는 개 쌉노잼이라는겁니다.....
@MuMu-xd4wy7 күн бұрын
대전 사람입니다만 대전 너무 노잼이라서 청주로 놀러가요..
@배고파-n8v7 күн бұрын
대전 청주는 양반....세종이 진짜로 핵노잼 도시입니다...ㅠㅠㅠ
@척추꺽기개미6 күн бұрын
@@MuMu-xd4wy 예?? 인프라도 훨씬 더 없는 청주로요??
@척추꺽기개미6 күн бұрын
@@배고파-n8v 세종은 아직 오래된 곳이 아니니....
@squidward_tentacles9219 күн бұрын
솔직히 한국은 연예인때문에 오는게 많죠 즉, 방탄의 누가 여기서 뭘했다고 인스타에 올렸더라 가보자 이런거때문에 오는거죠 일본에서까지 유명하다면 분명 잘나가는 한류스타이고 이런사람들은 대부분 서울에 살고 인스타도 대부분 서울을 중심으로 올리게 되죠 그러니 굳이 갈 이유가 없는겁니다 강남이 왜 외국인들이 가는 관광코스가 됐겠습니까?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세계에서 히트치면서 궁금해서 가는겁니다 도대체 강남에 사는사람들은 어떤스타일이길래 그렇게 유명한거지? 가볼까? 하고 가는거죠 지방은 그런게 없는거죠 인스타에 올라오더라도 가볼까? 해서 검색하니 대중교통으로 갈수없는곳이 태반이고 렌트카로 가야되는데 외국인들에게 한국의 운전문화는 악명 높습니다 내비보고 따라가더라도 주차장이 협소 또는 없다보니 갓길에 대충 세워야되는데 특히 일본인들은 갓길에 불법주차하는 그런건 있을수가 없습니다 녹색벌레가 항상 있기에 대부분 유료주차를 하는데 한국처럼 길거리에 대충 주차한다? 익숙하지가 않죠 일본인들에게 익숙한 철도가 있지만 지방엔 거의 가지않거나 배차가 극악이죠 싸다고 하지만 탈수있는 시간대가 없습니다 그러니 굳이 지방을 갈 이유가 없죠
@배고픈지리산반달곰수14 күн бұрын
인스타충아 여행하는데 본인이 가고 싶고 궁금한 곳을 가는거지 왜 인스타가 기준이 되어야 하냐??
@새우깡-o6o13 күн бұрын
요즘 동탄피규어도 생겼는대 동탄도 동탄스타일 만들어서 관광지로 합시다
@squidward_tentacles9213 күн бұрын
@@배고픈지리산반달곰수 보통 인스타를 보고움직이니 그렇지 내가 인스타충이던 아니던 외국인들은 대부분 한국 찾을때 인스타 많이 본다
@squidward_tentacles9213 күн бұрын
@@새우깡-o6o gtx 완전개통되면 쌉가능ㅇㅇ
@성예현-y5r10 күн бұрын
ㄹㅇ 그냥 한국(서울) 자체가 거대한 SNS 한철장사 팝업스토어임ㅋㅋㅋ 성수동은 특히 진짜 너무 인스타 갬성, 여자들의 허영심이 실체화된 동네같아서 외려 거부감이 들더라;;;
@ARGENTINA595618 күн бұрын
댓글에 긁혀서 발작하는 국뽕들 많은거보면 영상에서 정확하게 잘 짚으셨다는 생각이 듦.
@considerate212116 күн бұрын
경제,첨단산업 이런측면에서 일본에 내세울건 여럿 있어도 관광은 일본에 못비비는건 팩트
@북악산등산로인증가이15 күн бұрын
김대중 컨벤션센터나 가라
@khg963914 күн бұрын
좌파들은 뒤질때까지 일본여행 가지 마라
@입체적-별스타13 күн бұрын
한국에 살면서 타 국가를 찬양하는 사람들 보면 생활이 어렵겠구나 생각이 듦
@ARGENTINA595612 күн бұрын
@@입체적-별스타 배워야 할 점을 본받지 않는 태도를 지적하는 댓글들이 어딜봐서 찬양임? 혹시 피해망상이라도 있음?
@user-mx8de6lz8f16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아파트 공화국이라 소도시 가더라도 비슷한 경관인 게 흠이에요..
@garage2803Күн бұрын
아 영상이 일목요연하고 쉽네요 :) 바아아아아로 구독 박았습니다🎉
@travelhippo77Күн бұрын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
@user-st1zj3cq4o19 күн бұрын
도야마 나가사키 오이타 아오모리 니가타 사가 미야코지마 가고시마 히로시마 등도 계절에 따라 꽤 많이 열리니깐 거의 20곳 이네요😂
@younunna23598 күн бұрын
일본한국 도시미관자체가 다름,, 일본은 길거리상가 도로차선도 깔끔하게정돈되고,, 심지어 하수도 두껑조차도 캐릭터화되서 이쁘게 디자인되있음,, 갈때마다 한국하고 너무 너무 차이남,, 조선공무원들이 허구헌날 일본유럽 해외연수 출장가면서 배워오는것도 없고 그만큼 일을안하고 역량도부족하고 미적감각도 최악,, 누가오겠냐
@davidchang81228 күн бұрын
지방만의 특색이 있어도 그 수준이 여행객 입장에선 “굳이…?”라는 물음이 생기게 되는 수준입니다. 서울 공화국이다 뭐다 하지만, 국내 지방의 산업과 경제 수준이 외국 지방의 그것과 비교해서 크게 떨어진다고 할 수도 없어요. 다만 차이점은, 우리는 유형문화 헤리티지와 환경 미학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건국 초창기에 국토를 초토화시킨 전쟁이 일어났고, 건국 이전에는 일본의 후진적인 식민통치를 겪었으며, 식민기 이전에는 지배층의 국부 축소 경향(좋은 말로 하면 청빈한 삶에의 지향)으로 인해 유형문화로 존재하는 헤리티지가 적습니다. 사실 유형문화재가 적더라도 환경이 미학적으로 훌륭하면 또 괜찮은데, 지방의 환경 미학은 비유하자면 집안 정리 하나도 안된 빈곤층의 집안 같은 미감을 전달합니다. 산이 많아서 사방이 벽처럼 둘러 쌓여있는데 마을, 건물, 식생 등이 미학적 조화 없이 어지럽혀져 있으니까 아름다운 느낌이 정말 없어요. 둘다 어떻게 보면 우리의 과거를 유책할 수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은 왜 이렇게 우리한테 물려준 재산이 없냐고 따지는 거죠. 하지만, 우리가 홉스봄의 을 통해 알게 된 것처럼, 전통은 과거의 유산이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이 발견하고 재정립시키는 것입니다. 근본 중의 근본 전통 단군신화도 삼국 건국 신화보다 훨씬 늦은 고려대에 처음 등장해서 우리 민족의 건국 신화가 된 것처럼, 과거의 유산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가 정립하면 되는 거예요. 지금부터라도 이런 의식을 갖추고, 지방의 헤리티지 발견에 힘을 쏟으며, 미학적으로 아름다운 환경이 되도록 잘 정비해야 합니다.
@로이스-b1x19 күн бұрын
아시다시피 한국은 발전 역사가 짧습니다. 일본도 수도권은 있지만 지방자치도 오래돼서 차곡차곡 그 격차가 크지않게 다핵 국가로 발전해온 데 반해 한국은 리셋된지 수십년밖에 안된 국가죠. 식민지 만신창이 + 전쟁 폐허 수도권 원툴이지. 나라 전체가 골고루 발전을 못했어요. 지방은 몇몇 역사적 자원 빼고서는 외국인을 불러올만큼 컨텐츠가 풍부하지 않고 단조롭겠죠. 일본이나 유럽처럼 수도권과 대등한 다핵 도시가 생겨나야 외국 관광객이 오든말든 할겁니다. 소위 대세청/부울경/호남권 등으로 수도권과 대등하게 집중 발전이 빨리되어야 합니다. 막말로 자국민들도 여행안가는 곳에 외국인이 가겠습니까?
@청년경찰-i2q16 күн бұрын
너무 공감합니다.
@성예현-y5r10 күн бұрын
사실 일본도 2차 대전 공습으로 교토를 제외하면 대도시들 거의 전부가 리셋됐고 삿포로는 아예 20세기 들어서 역사가 시작된 신생도시입니다. 그리고 지역균형발전은 관광이랑은 하등 상관이 없습니다......ㅋㅋㅋ 일본도 인구감소 심각한데 관광대국이고 태국은 방콕공화국인데 다른 도시들 여행 잘만 가잖아요? 애초에 '수도권과 대등한 도시'들로만 여행을 가는것도 아니고ㅋㅋㅋ 한국 관광산업의 문제는 전적으로 잠재적 관광자원의 개발 부족이나 활용미숙 및 부족에 좁은 국토로 인한 자연환경 다양성의 부족의 탓이 큽니다.
간단해요 한국은 경제발전에 모든것이 집중된 나라이기 때문에 관광자원이 없을 수 밖에 없죠 당장 공기부터도 연일 미세먼지로 탁한데 여행오고싶겠나요 있는 사람도 떠나고싶은 마당에😂
@shdj1hshs1shshs118 күн бұрын
가세요 족발씨
@부엉이-i9c16 күн бұрын
@@Zimzalabim99 맞는 말이긴한데 조선땅에서 계속 살고 있죠?
@madongdo48105 күн бұрын
선진국이랑 비교한다는 게 실례지... 경쟁상대로 생각하면 안됨
@잇팁-u7t14 күн бұрын
서울에 몰빵되어 있고, 어쩌다 보면 부산이나 경주 가는게 다인듯,,,
@ASMR-p2s17 күн бұрын
너무 좋은 주제이고 공감되는 주제인데 결말이 찝찝해요... ㅋㅋㅋ 좀 더 길게 영상 만들어주세요!
@dkbshidn2318 күн бұрын
저도 청주 출신이지만 제빵왕 김탁구 유행일때 청주가 좀 국내여행지로 관심을 받았습니다 굳이 여기서 수를 내보자면 케이 컨텐츠가 지방 로케를 많이 하는것도 방법이겠군요
@hanlee891910 күн бұрын
청주랑 전주 도시규모 많이 비슷하지않나요? 두 도시 다 조금만 가면 대전 광주있는것도 그렇고요..
@은평구냥아치18 күн бұрын
내가 느끼기에도 지방마다 독특한 문화도 경관도 안느껴지고 매력있는곳 생각나는게 서울 부산 제주 탑3 나머지 광역시들은 특징이 별로 없는 느낌이고 시가지만 생각남 관광도시로 경주 전주 강릉 속초 등등 있지만 그것도 일본 관광소도시에 비하면 인상이 깊지 않고 해당 국가에 갔을때 가장 인상깊은것중 하나가 문화재등 전통건물들인데 현재 온전한게 거의 없고 그나마 있는것들도 규모나 화려함이 우와 할만한게 거의 없음 일본 천수각 중국 대형건물들이랑 비교해봐라 건물 크기 형태 디테일 장식같은거 보면 상대도 안됨 시가지의 건물들 디자인도 중요한데 제1도시라는 서울의 건물들 보면 구도심은 낙후되고 구리고 신도시들은 깔끔하지만 규모가 외국에 비해서 어정쩡하고 국적불명이고 그러니 외국인들이 왔다가 실망하지
@f_min19 күн бұрын
한국에 여러 번 오는 외국인 보면 진짜 대단함...
@모크게키샤5 күн бұрын
한국인같은애들만 오는거임 문화 전통 이런건 관심없고 그냥 유흥같은 엉덩이흔드는거 보고싶은 와패니즈같은 애들
@Rwngud15 күн бұрын
솔직히 아파트 그만좀 지어ㅛ으면 좋겠음…외관 다 망치고
@junsgk2 күн бұрын
이런말하는 사람특 아파트에 살고있음
@taohu2796Күн бұрын
아파트 살면 아파트 그만 지으라고 말하면 안되는 이유라도 있음? 도대체 이게 무슨 논리지
@junsgk12 сағат бұрын
@@taohu2796 수요자이면서 아닌척하는게 역겹다고. 아파트를 왜짓겠냐 너나 나나 아파트에 살고싶어서 그런거자나. 반일하자면서 일본 여행가는 사람들 보면 역겨운거랑 같은 논리다.
@Jay-Bco18 күн бұрын
전세계 돌아다녀봐도 서울은 내세울만한 관광도신데 단 서울 말고는 아무것도 없음
@user-m6k414 күн бұрын
경주
@Jayscott30518 күн бұрын
그냥 서울보면 한국 80프로는 봤다고 할 수 있지 제주, 경주같은 곳 아니면 그닥 특색없는 듯
@fightingsaver18 күн бұрын
그리고 한국은 1인은 식당 안받아주는곳이 많아서 그 이유도 하나 있다고 봐요. 한국인 저도 퇴짜당하면 불편한데, 외국에서 온 사람들이 그 불편을 감수하면서 올려고 할까요?
@hyungyoul16 күн бұрын
편리한 대중교통 깨끗한 비지니스 호텔 특색은 없어도 재미 또는 감동이 조금이라도 생길 수 있는 관광자원 바가지 없이 즐겁게 쇼핑할 수 있는 시장 현지 언어를 몰라도 불편함이 없이 돌아다닐 수 있는 정보의 다양성
@user-SKR117 күн бұрын
0:36 한국에서 비행기 타고 갈 수 있는 곳은 사실 14곳이라 할 수 있죠. 도쿄는 나리타와 하네다로 나뉘고, 나가사키도 갈 수 있기 때문이죠. 또한 0:49에 광주공항은 국제선을 무안에 넘겨주고 국내선만 운영 중입니다
@luigiani16 күн бұрын
무인공항은 일본노선을 운항안해서 적자였죠..
@북악산등산로인증가이15 күн бұрын
광주는 해외여서 김포-광주나 광주-제주는 국제선 맞습니다.
@IiillIiIiilIlIl15 күн бұрын
내가 예전부터 생각했던건데.. 가장 큰 이유는 국가면적이 커서 지역별 특징이 확실히 있는거 같음 반면 우리나라는 서울 부산 제외하면 다 거기서 거기 일본은 버스나 기차 대중교통 종류도 다양해서 확실히 여행하는 맛이 남
@지상황-n3c1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위도, 경도가 각 지역마다 비슷해서 기후차이가 없어 지역 특색이 잘 안살려지는것도 한몫 한다 생각함 그래서 그나마 차이가 있는 서울, 부산, 제주로 여행가는거같음
@햄-x8l2 күн бұрын
물론 일제강점기때 밀어버려서 관광자원이 소실되긴 했지만, 경주,수원화성,경복궁 등등 우리도 관광자원 꽤 있음. 자원이라기엔 원석에 가깝지만. 차이는 패키징과 마케팅에 있음. 오사카도 사실 인근 교토 말곤 고유의 특색같은거 없음. 패키징을 워낙 잘 했기때문에 그정도 관광도시가 된거임. 국가와 지자채 차원에서의 전략적인 마케팅이 필요한데 세금때우는 공무원들이 그렇게 공을 들일리가.
@algebrak44287 күн бұрын
주제를 잘 정하셨네요. 일본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여기에, 좀 더 현실적인 말씀을 드리자면, 우리나라는 지역 특색이 없어요. 어느 도시를 가도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게다가, 외국인들이 와서 서울, 부산, 인천 이외에 다른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기가 그렇게 편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다니는 인도와 갓길 주차도 심해서 길이 넓어도 상대적으로 굉장히 좁아보여요. 그리고 무엇보다 거리가 더러워요. 담배피는 사람도 많고, 바닥에 침도 많이 뱉어서, 보기가 좋지 않습니다. 일본은 어디를 가나 깨끗해요. 담배를 피는 사람이 있어도 뒷처리를 대부분 확실히 합니다. 휴대용 재털이를 가지고 다녀서 피고, 자기 재털이에 버리고 가지고 갑니다. 바닥에 침도 안 뱉어요. 그리고, 사람이 다니는 도로를 포함해서, 모든 갓길에는 주차 금지이고, 이걸 철저히 지킵니다. 그래서, 거리를 걷다 보면, 굉장히 편해요. 좁은 도로인데도 전혀 불편함이 없고, 게다가 인도에 가게 간판이나 차가 없으니 시야가 넓어서 멀리까지 보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일본은 관광에 많은 애를 쏟고 있습니다. 우리는 원룸을 지어도 대구나 울산, 다른 지방을 가도 같은 형식의 건물이 촌을 이루고 있죠. 그래서 건물만 보면, 내가 대구인지 청주인지 구분이 잘 안갑니다. 일본은 자기들이 사는 지역을 옛 모습을 그대로 이어져 온 상태에서 개발을 합니다. 도시 개발을 막무가내로 하지 않아요. 우리는 길을 가다 보면, 뜬금없이 자동차 정비소 같은 것들이 있는데, 일본은 그러한 허가를 막 내주지는 않아요. 그래서, 그 지역의 특색이 보입니다. 서양인들의 관광 철학과 매우 비슷하죠. 관광을 유명한 것들 위주로 만들어서 그런 것들만 돌아보는 게 아니라, 어느 동네를 가더라도 그 곳의 분위기를 즐기고 걷다가 밥을 먹고 그렇게 하다 보니, 서양 사람들이 많이 오죠. 이제 6000만명 정도를 내다 보는 일본과 우리는 아직 서울, 부산 중심이라서 저도 경주가 고향이지만, 솔직히 일본 사람 혹은 다른 외국인들에게 지방에 관광을 가보라고 권하고 싶지 않아요. 하물며, 제 고향 경주도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분하지만, 일본의 수준에 비하면, 한국은 아직 걸음마 수준 정도로 밖에 보이지 않아요. 영화, 드라마, 음악의 힘으로 관광은 오지만, 일본 처럼 진심으로 또 오고 싶다는 사람은 그렇게 많지 않은 것 같아요. 여기 외국인들 보면, 대게 인식이 비슷해요. 일본은 깨끗하고, 속이는 것 없고, 그리고 일본 만의 독특한 분위기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그런 것들 때문에, 일본에 오는 외국애들 보면, 취향이 거의 확고합니다. 마지막으로, 일본 사람들은 의외로 외국을 나가본 사람이 많이 없습니다. 대학생들도 한번씩은 해외에 가 볼만 한데, 물어보면 거의 안 가본 사람이에요. 제가 여러 대화를 나누면서, 왜 해외에는 안나가는지 물어본 적이 있는데, 만나 본 사람마다 대답이 거의 비슷해요. 일본 국내에도 가볼 곳이 엄청 많은데, 굳이 해외를 갈 필요가 있나라는 대답이 많았습니다. 미국, 유럽 정도는 대부분이 인정하는 분위기입니다. 한번 유럽의 성을 보러간다던지의 생각은 가지고 있는데, 자기들의 관광지에 대해 굉장히 자부심이 강하다는 걸 은연중에 느끼게 됩니다. 저는 한국 사람이지만, 우리나가 관광지에 대해 큰 자부심은 없습니다. 고향인 경주도 솔직히 쿄토랑 비교하면, 많이 멀었어요. 경주역과 쿄토역만 비교하더라도 하늘과 땅 차이입니다. 우리나라를 많이 사랑하고, 더 잘 되었으면 좋겠는데, 일본을 보고 있으면, 우리가 30년 정도 가면, 바뀔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정말 솔직한 생각으로 일본이 부럽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북해도에서 고즈넉한 사람이 많지 않은 동네에, 깨끗하고 조용한 산 속에서 주변에 눈이 쌓여있는 경관을 보며, 온천을 즐긴다는 경험을 해 보시면, 누구라도 여기에 빠지게 될 겁니다. 정말 휴식을 잘 취하고, 동네 한 번 둘러보고, 그리고 돌아가면, 이런 곳이 또 없는지 찾아보고 다시 또 오고 싶게 되는 거죠.
@loona-orbits29618 күн бұрын
관광산업에 대한 개념조차 서지않은 국민한테 뭘바라냐?? 일본여행간다고 하면 친일이니어쩌니 개소리나 싸대는데
@ksesunkim890315 күн бұрын
한국인이 봐도 지방도시는 다 비슷함
@user-iliiiiiityttgh56614 күн бұрын
많은 분들이 모르는 사실 중에 하나가 일본은 우리가 조선이었던 시절부터 관광이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되었던 시절이 있었죠. 조선은 도로가 발전되지 않았고 상업을 멸시했던 사회 분위기였지만 반면 일본은 이미 전국적으로 도로가 정비되고 상업을 중시했습니다. 그리고 참근교대제로 인하여 다이묘들이 수도로 왔다갔다 해야하는 일종의 귀족권력 억제 정책으로 도로가 발전이 되면서 길마다 여관이 들어섰고, 각 가문의 우수성을 과시하기 위해 자신의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발전시키는 노력이 전국적으로 일어났죠. 길도 정비가 됐겠다 정부는 허락만 받으면 일본 백성들도 여행을 갔다올 수 있게 했고 그로 인해 여관, 지역 관광지, 신사 등등이 발전했으며 여행 기념품으로 우키요에, 가부키, 도자기 등등이 인기가 많았습니다. 이미 전통을 기반으로 한 관광 산업의 내공이 몇백년 있었기에 일본은 세계적인 관광대국 라인에 합류할 수 있었지만 한국은 조선의 경직된 사회 분위기와 곧 바로 찾아온 격변기, 일제강점기, 6.25전쟁으로 인해 초토화된 국가 사정을 전후 복구하기 바빴던 때라 관광 산업같은 소프트웨어적인 산업은 뒷전이었죠. 한국은 1970년 이후부터 관광이 하나의 산업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더군다나 조선이나 대한제국이나 현재 한국이나 수도를 중심으로 개편되는 국가 체제 때문에 지역문화가 발전이 되는 건 어려웠죠.
@user-patyokt13 күн бұрын
지방 인프라 차이도 크고 역사가 예전부터 중앙집권식이라 지역적 특색이 많이 없음 일본은 사실상 봉건주의로 있던 역사가 크니 지역적 특색이 큰거고
@phoebus8814 күн бұрын
큰 틀에서 보면 사실 일본도 오사카나 도쿄나 후쿠오카가 느낌에서 큰 차이가 나는 곳은 아니긴 하죠.
@sttens12318 күн бұрын
일본여행 목적: 다양한 관광지 즐기기 한국여행 목적: 연예인들 가본 곳 가보기
@낙타신17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수도권, 광역시 중심으로 인프라가 깔려있는데, 관광 자원은 별로 없음. 그렇다고 지방으로 가자니, 인프라가 별로라서 외국인이 가기 힘듦. 근데 일본은 애초에 인구도 더 많고, 한 쪽에 몰려서 인프라가 깔린게 아니라서 다니기가 쉬움.
@bong-sikkwak81319 күн бұрын
정확한 지적입니다. 도쿄, 시즈오카, 나고야, 도야마, 오사카, 교토, 나라, 고베, 와카야마, 오카야마, 후쿠오카, 구마모토, 벳푸, 유후인, 미야자키, 가고시마, 홋카이도(삿포로, 하코다테, 아사히카와, 비에이), 시코쿠(마쓰야마, 고치, 다카마쓰) 등등.. 제가 여행을 다녀 봤던 지역들은 각 지역마다 특색이 있었습니다. 우선 경치(풍경)가 다르고 스케일이 한국 보다 더 큽니다. 그리고 각 지역마다 음식이 특색이 있습니다. 맛이 월등하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런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새로운 것을 찾아서 일본 여행을 하는 것 같습니다.
@firesu821718 күн бұрын
1. 한국은 지역적 특색이 없습니다. ①6.25때 전 국토가 초토화 되었고, 새마을 운동 등 모든 도시들이 비슷한 방식으로 재건되었습니다. ②교통이 잘 발달되어 있어 1일 생활권이고, 미디어가 발달되어 있어 지역적 고립이 없고 도시마다 비슷합니다. ③한국은 프랜차이즈와 아파트를 좋아하기 때문에 어느 도시를 가도 똑같은 가게 (삼성디지털프라자, 타이어뱅크, 이마트 등) 성냥갑 아파트입니다. 2. 한국방문객의 주 여행객은 20~30대 여성, 따라서 서울 쏠림이 강합니다. ①한국인들은 전연령 가족이며 연인이며 일본에서 즐길거리(온천, 음식, 료칸)이 있으나, 일본인 통계에 따르면, 20~30대 여성이 압도적으로 한국 여행을 좋아하고 남자들은(하와이, 대만 태국) 한국의 선호가 낮습니다. 어쩌다 처음 한국 여행시 대표적인 경복궁, n타워, ddp를 보겠지만, 재방문하는 20~30대 여성분들은 Kpop, 뷰티, SNS 핫플카페(홍대, 성수, 신사), 드라마 촬영지, 인스타 맛집 등을 가려고 하니 다 서울에 쏠려서 서울만 가려고 하지요.
@Fresh-dygang14 сағат бұрын
물론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겠지만, 애향심 자체도 한국인과 일본인 크게 차이남.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본인에 비해 본인 지역의 역사나 전통, 유적 등에 크게 관심도 없고, 애착도 없는 편임. 그나마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이라곤 맛집이나 sns명소, 대형 쇼핑 인프라 유무 정도ㅋㅋ 본인 지역에 뭐가 있는지 아예 모르는 사람도 많고, 알려고 하지도 않는 사람들이 수두룩ㅋ 멀리 안가고 여기 댓글들만 봐도 금방 알 수 있음ㅋㅋ
@1278sk8 күн бұрын
한국을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 무 근 본 "
@Ian-yc6ly16 күн бұрын
애초에 도시 체급 자체가 비교가 안됨
@keugene9918 күн бұрын
조선시대 이후 강력하게 추진된 중앙집권화 거기다가 6.25 전쟁까지 하긴 1954년에 조선왕조 역대 어진 등 진귀한 문화재가 보관된 엄청난 숫자의 문화재들이 용두산 대화재로 날라간 것을 생각해본다면 그런가
@강성공18 күн бұрын
일본에서 유학도 경험했고 1년에 1~2번은 무조건 일본왓다갓다 하는 일반 직장인입니다. 예전에 학생일때 문화수업을 하면서 이 문제에 대해 꽤 고민을 해봤던것이라 흥미롭게 아주 잘봤습니다. 일단 첫번째 접근성. 먼저 전남을 생각해보시면 대한민국 대표적인 관광지 도시 순천과 여수를 꼽을수 있습니다. 여수공항이 있지만 국내선만 운용하고 제일 가까운곳은 김해와 무안입니다. 여기서 답이나오죠. 굳이? 왜? 외국인이 그 고생을 해가면서 올 필요성을 못느낍니다. 두번째 컨텐츠입니다. sns를 통해 알려지는 홍보도 중요합니다. 그러나 서울 부산과 같이 특색있는 장점을 활용한 알려짐이 부재되어 결국 외국인관광객을 유치하는데에는 실패한거지 않나 생각되네요.
@changhyeonsong512418 күн бұрын
문제 제기 훌륭합니다. 어떤 대안을 제시할지 기대됩니다.
@맥s-c5jКүн бұрын
중요한 건 교통 인프라가 다 서울 중심으로 되어 있어서 자가용 아니면 어디를 가든지 불편함 그리고 어디를 가더라도 관광이라고 할게 딱히 없음 오죽 할게 없으면 그 bts 뮤비인지 뭐 나왔던 바다 앞 버스정거장 사진찍고 가는게 다겠냐 ㅋㅋㅋ 기껏 먼 강원도까지 가서
@ketsokuband8 күн бұрын
그 한국에 아직 잘 모르는지역 구석구석을 소개해주던게 1박2일 시즌1이였다고 생각함 ㅠㅠ 실제로 방영할때 관광객 많이 늘었다고 하지 않았나.... 그립다 1박2일
@Niemi46915 күн бұрын
나온지 77년도 안된 나라가 볼게 뭐가 있음 ㅋㅋㅋ 뭐만하면 재건축, 한국식 닭장 아파트, 영혼없는 신도시, 관광이라고는 어디서 본 케이블카와 출렁다리.. 한국은 관광하기 편한 국가가 되기에는 힘듬~
@1278sk8 күн бұрын
그저 나라가 하나의 거대한 NC소프트 ㅋㅋㅋ
@막내도구리6 күн бұрын
거대한 넥슨...
@newable123417 күн бұрын
한국이 면적이 작고 서울이 주요 대도시랑 너무 가까워서 그런것도 있음. 후쿠오카, 삿포로 등은 아예 혼슈랑 다른 섬이어서 알아서 그들만의 문화를 꽃피웠어서.. 반면 한국은 지방에 뭘 만들 필요없이 그냥 가까운 서울에 만들어버리면 돼서 대도시 자체의 특색이 부산말곤 없은듯
@聖一-l2f16 күн бұрын
한국에서 갈 수 있는 일본의 국제공항(직항)은 12곳이 아닌, 25곳입니다.
@k1yarot12 күн бұрын
아무래도 일본은 위도에 따라서 다양한 기후가 나타나고 이웃 지역끼리 바다가 막고있어서 접근성도 별로 안 좋은 탓에 다양한 문화와 여행 상품이 발달한 게 아닐까 싶음.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삼국통일 이후로는 거의 쭉 남한 전체가 한 국가였고 그마저도 비슷한 기후환경에 다 도보권으로 묶여있었으니까... 나라 전체에 보편적인 문화가 형성될 수밖에 없지 않았을까
@임정민-e7m5 күн бұрын
우리나라는 딱 4곳(서울,부산,제주도,경주)정도만 외국인들이 와서 관광 볼만하지. 국뽕 거르고 나머지 지역들은 진짜 다 도찐개찐임. 그리고 해외 여행 많이도 아닌 옆나라 중국,일본 2곳만 갔다와도 우리나라가 일본,중국에 비해서 얼마나 볼거리가 없는지 말 안해도 아실듯 ㅋㅋㅋㅋㅋ
@user-lullulaim16 күн бұрын
1. 어딜가도 지하철이 다 뚫려있다 (한국 소도시는 버스조차 시간대 최악) 2. 어딜가도 비즈니스 호텔이 있다 (한국은 호텔이라곤 하지만 사실 ㅅㅅ하는 모텔) 3. 봉건제 국가였어서 지역 특색이 다 다르다 (한국은 중앙집권 국가였어서 다 똑같) 4. 위아래좌우로 긴 나라여서 자연 경관이 다양하다 (한국은 애초에 땅이 작음) 5. 한때 세계 경제 2위, 현재 4위 경제 대국의 스케일 차이가 크다 (한국이 비빌 수준이 아니다) 6. 애니라는 반영구적인 매우 막강한 소프트웨어가 있다 (힌국도 케이팝이 있으나 유행을 너무 탄다)
@user-om2rc2kw8y9 күн бұрын
서울 부산 제주 빼고 솔직히 한국이느입장에서도 갈곳은 많지 않음 그나마 전주 그리고 자연을 느끼러 강원도 정도
@user-ramen20017 күн бұрын
대전은 하천 따라 있는 자전거 도로도 값진데.. 그립다 대전 ㅠ
@eowiusdodji18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지역음식 특색이 예전에 비해 많이 사라졌고 뭐 하나 유행한다 싶으면 많은 지역에서 그걸 따라 하니깐 그런듯 각 지역 마다 특색을 살려서 개발 했으면 좋겠는데
@따뜻한바람떡12 күн бұрын
한국도 도시마다 지방마다 각 특징이 있는 볼거리 한두개씩은 있음 다만 그거 한두개 보는데 1시간이면 다 즐기는데 굳이 먼거리를 이동할 이유가 없는거지
@goyangmandu19 күн бұрын
속초 여수 전주 강릉.. 일단 제가 가보고 싶은 지방도시들 써봤는데 확실히 일본에 비해 많이 적고 특색도 옅은 것 같네요
@aqua75618 күн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은 한국이 일본보다 면적이 작아서 다양한 관광지가 적은 것도 있을 수 있지만 한국은 일본에 비해 관광지에 대한 흥보나 연계 서비스가 부실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일본이 전국시대때 여러개로 짧게 쪼개져서 싸우고 통일후에도 각 지방마다 본인들이 자주적으로 한 것에 비해 한국은 고려시기 이후 약1000년간 쪼개지지 않고 하나였던 게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지역색 부족이 생기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몽골,일본,625등 전쟁으로 소실된 문화재도 꽤 있고요 그리고 한국의 문제점들중 하나는 있는 문화재를 활용하거나 해서 다른 곳과 차이를 두는 게 아니라 다른 곳이 출렁다리 같은 걸로 성공하면 다른 곳에서 보고 따라하는 게 많으니 오히려 차이가 사라져 역효과가 나는 것 같아요 한반도의 4대 고도중 2곳인 개성과 평양이 북한에 있는 게 이쉬운 것 같아요 덤으로 분단때문에 연구하지 못하는 태봉의 수도도 dmz쪽에 있고요 백두산이나 금강산 개마고원 같은 자연 관광지도 포함 별개로 스테레오 타입이라고 해야하나? 그런 지역색은 북한이 좀 더 짙은 것 같기도... 좋은 이야기는 아닌데 북한쪽 이야기를 들어보면 조선시대때와 변함없이 평양 함흥사람들이 으르렁거리면서 많이 싸운다는 거 보면 아직 지역색이 꽤 짙은 것 같습니다 넓게 보면 평안도나 자강도 황해도 같은 서쪽 사람들과 함경도 양강도 같은 동쪽 사람들이 말투때문에 많이 싸웠다고 방송에서 들은 적이 있는 거 같기도... 아닌 것 같으면 죄송합니다
@user-m6k414 күн бұрын
그나마 경주가 있죠
@미숫가루찌개9 күн бұрын
일본은 각 영주문화다보니 건축양식이 다양하죠. 내가 힘이 ㅈㄴ 쌤! 을 보이기위해 영주의 성과 주변 시설을 화려하게 지었죠. 서양의 성의 모습이 다양한 이유와 같습니다. 한국은 중앙집권 국가다보니. 성의 모습이나 구조가 비슷비슷하고. 이후 ㅈㄴ 많은 전쟁으로 대부분이 소실. 좁은 땅덩어리로 인한 성벽,길.건물 해체등으로 많이 유실되었죠. 대부분의 성이라는 개념이 방어를 위한 벙커같은 개념이다보니 ㅈㄴ 튼튼하게 짓자! 가 우선이라 화려한건. 수도권 주변의. 남한산성. 수원화성. 한양도성 같이 왕이 머무는 건축물이 있는 성들이 대부분이고요.
@tet57-r5g6 күн бұрын
관광자원이 문제가 아니라 민도가 차이나서 일본처럼 되긴 힘듭니다. 울릉도여행가신분들은 알겠지만 가보면 자연경관 엄청절경이구요 서비스는 최악입니다. 바가지에 불친절 섬은 이쁜데 사람때문에 두번다시가기싫어요.
@얼음-p8c16 күн бұрын
전주사람인데요.. 음... 한옥마을 오시면 진짜 좋나요? 10년대 초반 이후 난개발을 해서 그 감성 다 사라졌는데요 거리도 무슨 다 상점으로 바뀌어서
@oooooo83796 күн бұрын
별로던데요
@얼음-p8c6 күн бұрын
@oooooo8379 저도 별로에용 옛날에는 진짜 조용하고 수로도 졸졸 흐르고 한옥 그자체였는데
@oooooo83796 күн бұрын
@ 너무 상업적으로 변한 거 같고 딱히 파는 아이템이 다른곳에서 못본건아닌그런느낌이었요 예전에갔을때.. 교토같은 자연스러운 모습이아닌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옛날느낌
@DeepSleepCoolKitty15 күн бұрын
내국인도 기피하는 도시를 외국인이 찾아갈까? ㅋㅋ
@JIN-tx7yf2 күн бұрын
지역 특색이 없다. 만화나 애니등 다양한 콘텐츠 활용을 못해서다
@姜建-b1j16 күн бұрын
갈수있는 공항에서 니가타 공항이 빠졌네요!! 대한항공에서 주3회 운항하고있습니다 ㅎㅎ
@Libre021-tv1fh6 күн бұрын
솔직히 대도시는 거기서 거기고 시골도 거기서 거기임 내국인도 크게 차이를 못느끼는데 비싼돈 들여서 오는 외국인이면 가고 싶겠음?
@Kettlers18 күн бұрын
0:36 니가타, 요나고, 이바라키, 오카야마, ... 같은 곳도 포함해서 24 곳 아닌가요?
역사적인 이유로 문화적 명맥이 끊기고 등한시된 것도 분명 있는데 한국인은 그저 자학하기만 바쁨 물론 세대가 나뉘어사 개선이 당장 필요하다, 실속없는 개선방식 또는 무관심으로 갈리는 것도 있는 듯
@daniel2315918 күн бұрын
0:37 영상 주제에 큰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가 갈 수 있는 일본 국제공항은 말씀하신 12개보다는 훨씬 많습니다. 미야코지마, 나가사키, 가고시마, 미야자키, 오이타, 도쿠시마, 히로시마, 오카야마, 이바라키, 오비히로, 아오모리 등등 이 외에도 부정기편을 더 하면 훨씬 많아질겁니다.
@hanlee891910 күн бұрын
님이 말하신곳중 미야자키 이바라키 아오모리 도쿠시마 오카야마 이런곳은 관광지는 아닙니다..
@daniel231599 күн бұрын
글쎄요 우선 아오모리, 미야자키 저는 다녀왔고 볼거리 많은 관광지라 생각하고요. 추가로 영상에서 "갈 수 있는 공항" 이라고 하셨지 "관광지에 있는 공항" 이라고 하셨기에 단 댓글입니다.
@오도날드사장함박아9 күн бұрын
한국 = 타지에서 인기있으면 우리도 해서 한탕 해처먹는게 목적 지역특색 x 일본=모든 지역이 각자의 재미가 있음
@호야-h3d18 күн бұрын
한국은 외국인들이 일부러 찾아올만한 여행지는 서울 빼면 거의 전무하다 싶히 함... 지금에야 그놈의 되도 않은 K문화인지 뭔지 그거 때문에 그나마 외국인들 유치할 수 있는거지 그거 아니면 한국은 외국인 입장에서는 평생 가도 찾아올 만한 여행지로서의 특색있는 나라는 절대 아님... 일본은 각 지역마다 서로 관광객 유치하려고 특색을 내세우고 실제로도 각 도시마다 특색이 있음
@fightingsaver18 күн бұрын
서울 이외라면, 부산 해운대, 광안리정도 들수있겠음. 부산서면이나 남포동은 딱히 봐도 관광자원이 그닥 없어보입니다. 용두산공원(부산타워)? 그거보러 오기는 참 애매하죠. 서면은 부산에서는 번화가이지만, 일본 번화가에 비하면 진짜 규모가 크다고 할수도 없습니다. 남포동에 외국인 많아보이던데, 왜 왔나?싶을정도로 딱히 관광자원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