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과 통계를 배웠다면 도박에서 돈을 잃는 이유를 알 수 있다?

  Рет қаралды 464,812

유 퀴즈 온 더 튜브

유 퀴즈 온 더 튜브

2 ай бұрын

티빙에서 스트리밍 : tving.onelink.me/xHqC/30a78d6f
#유퀴즈 #유재석 #조세호
유퀴즈온더블럭 YOU QUIZ ON THE BLOCK EP.237
#비밀병기
매주 (수) 저녁 8시 45분 tvN 방송
#티빙에서스트리밍

Пікірлер: 549
@user-vj3ne4gx5x
@user-vj3ne4gx5x 2 ай бұрын
약간 이영자님이 맛있는 음식 설명하기전에 입맛다시는것처럼 정승제쌤도 수학 설명하기전에 입맛다시넼ㅋㅋㅋㅋㅋㅋ
@User-d9krn1cwl8sd2b
@User-d9krn1cwl8sd2b 2 ай бұрын
약간 두분 관상도 비슷하신 것 같음😂ㅋㅋㅋㅋㅋ
@user-qz7ec1nc9t
@user-qz7ec1nc9t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걸 어떻게 맛깔나게 설명해주지?? 이걸 어떻게 더 맛깔나게 먹지???
@rhygamer591
@rhygamer591 2 ай бұрын
아 ㅋㅋㅋㅋ 보다보니 뭔지 알거같네요
@dragcats6344
@dragcats6344 2 ай бұрын
난 오킹같은데 느낌이
@user-wt7he4kr8t
@user-wt7he4kr8t 2 ай бұрын
생긴 것도 이영자 닮음 ㅋㅋㅋ
@dduringddu
@dduringddu 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항상 화나있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ro9kk6dz8d
@user-ro9kk6dz8d Ай бұрын
사실 저렇게 얘기해야 집중할수 있습니다 마케팅에수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게 이목을 집중하게 하게 하는 효과가 있음 살짝 분노한 사람을 보면 일단 고개를 들어 보게 되는 원리
@butterfingersfpv2002
@butterfingersfpv2002 Ай бұрын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뎃글에 현웃터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oviefightclub
@moviefightclub Ай бұрын
저 답답하고 꼴받는 기분 너무 잘암 ㅋ 다들 알아야될거 중요한건 놓치고 피상과 표상에만 매몰되어있을때
@user-ei7zo1ch2y
@user-ei7zo1ch2y Ай бұрын
화가 난게 아니라 얼마나 답답하면 저러겠나 싶음
@user-kw7wi1gf3y
@user-kw7wi1gf3y Ай бұрын
​@@user-ro9kk6dz8d❤❤
@kindnotkind6589
@kindnotkind6589 2 ай бұрын
너무존경하고 팬이고 너무좋아요 😊
@luminouspositivity3243
@luminouspositivity3243 2 ай бұрын
귀에 쏙쏙 들어오긴 하는데 극I로써 보고있기만해도 기가 쫙쫙 빨리네요.. ㅎㅎㅎ;;;
@user-ht8ec2eu6w
@user-ht8ec2eu6w 2 ай бұрын
극 E ;;ㅋㅋㅋ
@user-fy1zv3mv6r
@user-fy1zv3mv6r Ай бұрын
예시도 찰떡같고 귀에 쏙쏙들어오고.. 큰수의 법칙 무릎을 탁 치고 갑니다
@user-qe1fm7zx7e
@user-qe1fm7zx7e 2 ай бұрын
10년전에 승제쌤 수학인강 많이들었는데 유퀴즈에도 나오셨네❤ 오랜만에 뵈어도 역시 열정적이시고 이해가 쏙쏙 가게 설명해주시네요 ㅎㅎㅎ 10년전에 쌤 강아지 세바스찬인가 이렐리아인가 아무튼 고급진 이름 가진 강아지 예시로 많이 설명해주셨는데 급 생각나네요❤ 독서실에서 쌤 인강들으면서 종종 빵터져서 웃음참기 힘들었는데 ㅜㅜ 후...
@StarCinema1
@StarCinema1 2 ай бұрын
코델리야? 아니었나요 ㅋㅋㅋㅋ 여튼 같은 수강생을 보니 반갑네요
@user-jv6qq8dr6q
@user-jv6qq8dr6q 2 ай бұрын
이렐리아는 ㅋㅋㅋㅋㅋㅋ
@youngseokkim1560
@youngseokkim1560 Ай бұрын
이렐킹
@tmflzj1
@tmflzj1 Ай бұрын
진짜 설명 잘하신다 집중을 할 수 밖에 없게 만드네
@sangsoeklee7937
@sangsoeklee7937 Ай бұрын
정말 타고난 사람이네요, 이런분은 선생님 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Sarabande
@Sarabande Ай бұрын
타고난 fish이긴 하죠
@siuuuuuuuuuuuu539
@siuuuuuuuuuuuu539 17 күн бұрын
선생이 아니라 강사인데요
@catthestupid2686
@catthestupid2686 Ай бұрын
끝부분 완전 공감이다 자신이 왜? 무엇을 하는지 목표가 무엇인지 분명히 정립해야한다
@user-wm3ty5co1j
@user-wm3ty5co1j 2 ай бұрын
텐션 미쳤네 ㅋㅋ
@oddments
@oddments Ай бұрын
말을 정말 찰지고 맛깔나게 잘 하시는데, 어우 말할 때 옆에 사람 무릎이나 어깨 건드리고 싶어서 안달나신거 같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NAVI_RGB
@NAVI_RGB Ай бұрын
재밌네요 ㅋㅋㅋ
@Arnyang
@Arnyang 2 ай бұрын
보면서 도라에몽 크림빵 에피소드가 문득 떠올랐음 ㅋㅋㅋㅋㅋ 배로배로라는 도구 어떠한 것이든 5분마다 2배로 늘려주는 도구였음 진구는 하나밖에 없는 크림빵을 더 먹고싶어서 도구를 사용했고 도라에몽은 단 하나라도 남기면 안된다고 경고를함 하지만 진구는 욕심에 너무 많은 크림빵을 불려버렸고 단 한개가 남은 상태에서 너무 배가 불러 크림빵을 몰래 버리게됨 도라에몽이 나중에 이 도구의 위험성에 대해서 말해주는데 크림빵 하나에 도구를 사용하고 한시간 뒤면 몇개가 생기는지 진구에게 설명해줌 하나였던 크림빵이 한시간이면 4096개 2시간에 1677만 7천 2백 16개 3시간에 687억개 4시간에 281조개 그러면 단 하루만에 지구가 크림빵 때문에 멸망한다고 설명해줌 진구는 그제서야 위험성을 인지하고 크림빵 하나를 몰래 남겼다는 이야기를 실토함 도라에몽과 진구는 빠르게 집으로 달려갔지만 이미 크림빵은 엄청나게 불어있었고 도라에몽은 급하게 커다란 보따리에 크림빵을 전부 쏴서 미니로켓으로 크림빵을 우주로 날려보내 버림 이 에피소드는 나중가서 엄청난 나비효과를 불러오는데 너무나도 늘어난 크림빵이 은하가 되어있었고 얼어버린 크림빵이 다른 행성, 은하에 까지 피해를 미쳐 더이상은 수습이 불가능 하다는 무시무시한 에피소드
@jason_mi1k_lee
@jason_mi1k_lee 2 ай бұрын
차투랑가 일화랑 비슷하네요.
@loskatv
@loskatv 2 ай бұрын
크림빵 은하 ㄹㅇㅋㅋ
@user-vx1xq4ql9h
@user-vx1xq4ql9h Ай бұрын
한달정도 지나면 대충 관측가능한 우주는 꽉채울것같은데..블랙홀이 있으니 될지는 잘 모르겠네
@user-yz3eu6tb4e
@user-yz3eu6tb4e Ай бұрын
개진구 또 지랄해놨네 퉁퉁이는 뭐하냐
@noPARK-rq1su
@noPARK-rq1su 10 сағат бұрын
왼쪽학생 어깨한번 잡아주고 오른쪽학생 눈맞춤 한번 해주고 수포자가 워낙에 많아서 그런지 선생님 움직임 하나하나에서 한명 한명 구제해 나가겠다는 절실한 마음이 느껴지네요
@user-hn8om2zy2k
@user-hn8om2zy2k 13 күн бұрын
이런 분이 계셨네요 확률 관련해서 이 분 강의 들어 보고 싶어졌습니다 열정이 그냥 와 ~~
@user-pv4uy4ur6z
@user-pv4uy4ur6z Ай бұрын
정말 두석한 명뇌를 가지고계신듯
@asteroid.b3903
@asteroid.b3903 Ай бұрын
길진 않지만 불혹을 지나며 세상을 살아보니.. 수학점수가 아니라 수리적 사고력을 할줄 안다는게 중요하더라. 국어점수보다도 내가 이해력을 기르는것, 내가 말하고자 하는걸 제대로 묘사하고 표현할줄 아는것이 훨씬 더 중요하더라. 공부를 습자적으로만 접근해버린 시간들이 얼마나 아까운지...
@-_--wz8ue
@-_--wz8ue 2 ай бұрын
실생활에서의 수학이 필요한점을 잘 말해주셨네요
@123q2qa
@123q2qa 2 ай бұрын
도박은 진짜 안된다 무조건 하지말자
@user-ph6uo9if4d
@user-ph6uo9if4d Ай бұрын
싫다
@puppletaste
@puppletaste Ай бұрын
태어날때부터 수저도박 ㅋㅋㅋㅋ
@user-dy5hj7vq9l
@user-dy5hj7vq9l Ай бұрын
메이플 하쉴?
@Qmpz-jp5zs
@Qmpz-jp5zs Ай бұрын
수와 관련된 학부급 학문습득을 위해서도 중요하지만, 필수 교육과정내의 수학은 사고력을 키워주는것에 목적이 있습니다. 수리적 사고력 즉, 논리적 사고력을 키우는데 큰 도움이 되죠. 저도 중고교 내내 수학과는 척을지고 살아가다 고3때 승제쌤 접하고 재수까지해서 현재 대학 재학중에 있는데요, 단지 수학을 잘해진걸 떠나서 이전과는 생각하는 방식이 바뀐것을 확연히 느낍니다. 수학때문이라고만은 단정지을 수 없겠지만 확실히 큰 영향은 받은것 같네요. 사고 자체에 논리적 사고과정이 더해진것 같아요... 그리고 승제쌤이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선생님 감사합니다.. 중장비 자격증 준비하려던 제가 선생님 덕에 학업을 이어가고 있네요... 여러분도 늦지 않았어요 저도 고3때 초등학교 수학부터 시작했고 고3과정까지 전부 학습하는데 1년 걸렸습니다. 물론 다른사람과는 그 깊이에 차이가 있겠지만, 수능을 준비하는데엔 문제없는 깊이였어요. 여러분도 도전해보세요!!
@felixkim92
@felixkim92 17 күн бұрын
명강의의 신뢰가는 목소리
@user-eo6iv3um6q
@user-eo6iv3um6q 2 ай бұрын
손을 자주 얹으시네 ㅋㅋㅋㅋㅋ 커엽ㅋㅋㅋ😂🥹🫢
@horolulu
@horolulu Ай бұрын
쿼카냐고ㅋㅋ😂
@KingJo.
@KingJo. Ай бұрын
무례
@abc1abc2abc
@abc1abc2abc 19 күн бұрын
​@@KingJo.꼰대새끼
@josephjoseph8404
@josephjoseph8404 10 күн бұрын
일에 애정이 있는 쌤이다 멋짐
@simplebest8735
@simplebest8735 2 ай бұрын
사고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수학이 꼭 필요함
@user-yc8lv9xn8u
@user-yc8lv9xn8u Ай бұрын
ㄹㅇ 궤도님도 그렇고 정승제 생선님도 그렇고 전문분야에서 광기가 느껴짐ㅋㅋㅋ
@njf164
@njf164 Ай бұрын
와 승제쌤은 진짜... 대단하신 선생님이시다..
@moneyh1213
@moneyh1213 Ай бұрын
왤케 흥분돼있어ㅋㅋ
@user-ek6qq6wx2s
@user-ek6qq6wx2s Ай бұрын
복리 상품에 기간 제한을 두는 이유는 복리로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는게 문제보다 다음해 금리 인하가 생길 때를 대비해서 고금리 이율을 계속해서 보장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Gutihodu
@Gutihodu Ай бұрын
은행이율과 물가상승률의 차이가 얼마나 될까
@sig27
@sig27 2 ай бұрын
돈을 사용하는데 있어 수학이 필요하지 않겠지. 근데 돈을 벌 때 수학이 필요한 분야가 굉장히 많음. 간단하게 어떤 스위치가 있는 회로가 있어. 그 회로를 팔기 위해 옴의 법칙 kcl kvl 임피던스 캐패시터 등을 알아야 하고 그걸 알기 위해 라플라스를 배워야 하고 그걸 배우기 위해 공업 수학을 미적분을 배워야함. 무언가를 만든다고 할때 수학적 지식 무조건 필요함
@user-hc9fb6sz3s
@user-hc9fb6sz3s 2 ай бұрын
오빠 멋있어요!
@user-dm4li5tq9l
@user-dm4li5tq9l 2 ай бұрын
ㅇ 그냥 굉장히 많음.에서 끊어 그뒤는 안물안궁이니까
@user-xz1mk4dk5f
@user-xz1mk4dk5f 2 ай бұрын
@@user-hc9fb6sz3s ㅋㅋㅋㅋㅋㅋㅋ
@user-kl5nq6sn3g
@user-kl5nq6sn3g Ай бұрын
@@user-dm4li5tq9l ㅇ 그냥 답글달지말고 지나가. 니 의견 안물안궁이니까
@user-du5jc3nx1v
@user-du5jc3nx1v Ай бұрын
그냥 지나가지 굳이 시비터는게 인생 알만하네ㅋㅋ
@user-vy3nu1zi5f
@user-vy3nu1zi5f 2 ай бұрын
두번째 비유는 7번읽기공부법이 생각나네요..! 세상을 이해하는 도구, 수학?! (페스탈로치)
@chosj1269
@chosj1269 2 ай бұрын
뭔가 혈압겁나높을거같앜ㅋ
@tthinnk
@tthinnk Ай бұрын
재밌다 ㅋㅋㅋㅋㅋ
@seungseoklee1623
@seungseoklee1623 Ай бұрын
승제형 표정이 살아있긔
@njf164
@njf164 Ай бұрын
승제쌤의 큰 수의 법칙을 듣고 도박은 시작도 안하기로 했습니다
@user-li5kc1wx2j
@user-li5kc1wx2j Ай бұрын
유전자, 재능 핑계대면서 아무것도 하지 않는 핑계충들이 이 영상을 많이 봤으면 좋겠네요 ^^
@muse0622
@muse0622 19 күн бұрын
승제쌤덕에 중학교때부터 수학이 좋아지기시작했는데 지금보니 수학과에 와있네요 😂😂
@mandii_produce
@mandii_produce 2 ай бұрын
수학은 학생들의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도구적인 측면이 강함. 12년간 배울만큼 방대하고 잘 짜여진 학문에 수학이 걸맞은것.
@mzvlag0101
@mzvlag0101 2 ай бұрын
승제틱챠 확통은 찐이에요 ㅋㅋ진짜 수능에서 확통은 다맞움 ㅠㅠ🤍
@user-lh3qn2rr4g
@user-lh3qn2rr4g Ай бұрын
주사위는 중심축이 조금만 달라져도 그리고 눈금 무게에 따라서도 미세하게 차이가 납니다 카지노 다이스 아니면 더 많은 시행횟수가 들어가야 6분의1이 나옵니다
@a0069_student
@a0069_student 2 ай бұрын
일어난 상태에서 꿈찔꿈찔 거리면서 설명하는게 정쌤의 수업 묘미인데 앉아서 하시니까 몸이랑 의자를 가만히 못 두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user-sw3nu5if8y
@user-sw3nu5if8y 2 ай бұрын
와 내가 유퀴즈 정말 즐겨 보는데 이번화는 정말 유익하고 수학을 즐겁게 들었는데 한마도 못알아 들었어....분명 즐겁게 봤는데 아무것도 못알아 들었어
@econandpower
@econandpower 2 ай бұрын
어떤게 이해 안되셨을까요
@user-sw3nu5if8y
@user-sw3nu5if8y 2 ай бұрын
@@econandpower 전부다요 ㅜㅜ 제가 머리가 나빠서 ㅜㅜ 산수 수학은 그냥 외국어처럼 들립니다 뭔가 이해는 안되는데 설명이 그냥 재밋는 그런 느낌요
@econandpower
@econandpower 2 ай бұрын
@@user-sw3nu5if8y 첫 번째 말하신거는 "큰 수의 법칙"이란 얘긴데요, 주사위로 설명을 해주셨어요. 주사위는 면이 6개잖아요? 그 얘기는 주사위를 한번 굴릴때마다 6가지 면 중에 하나가 나올텐데 그 확률은 똑같겠죠? 그래서 확률은 6분의 1이 되는겁니다. 그런데 실제로 6번 던졌을때 1, 2, 3, 4, 5, 6이 한 번씩 나온지는 않는다는 말이죠? 하지만 횟수(주사위 굴리기 1번)를 늘려갈때마다 즉, 주사위를 10번 굴릴 때 1이 나오는 실제 확률보다, 100번 굴릴 때 1이 나올 확률이 더 6분의 1에 근접하다는 얘기에요. 그리고 1000번 굴리면 더 6분의 1에 더 가까워질거고요. 무한대로 굴리면 더더욱 6분의 1에 가까워진다 이 말이에요
@user-sw3nu5if8y
@user-sw3nu5if8y 2 ай бұрын
@@econandpower 아...감사합니다
@user-vt5mn5pn6u
@user-vt5mn5pn6u 2 ай бұрын
@@user-sw3nu5if8y 큰수의 법칙은 그냥 간단히 사람손으로 셀 수 있을정도로 하는건 특정한 값(평균)으로 가지 않더라도 무수히 많이 하다보면 해당 값(평균)에 근접한다는 이야기죠. 영상에서 성별을 예시로 든것처럼 횟수가 적으면 아들만 있는 그런집도 나오지만 전체 인구수를 보면 반반으로 가는것. 복리같은건 아이스버캣 챌린지의ㅏ 예시처럼 배율로 증가하는것으로 예시가 나오죠. 그냥 2배씩만 늘어난다고 해도 오늘1로 시작해서 내일 2 그다음 4...계속 늘어나면 엄청나게 늘어나는... 그래서 복리기간을 설정해서 여기까지만 우리 보장합니다 라고 하는것...
@samawoo564
@samawoo564 Ай бұрын
이번 총선의 사전투표와 본투표의 각 정당별 득표수 차이는 큰 수의 법칙을 벗어나는건가요? 진심 궁금합니다.
@Doridori-ei1eg
@Doridori-ei1eg Ай бұрын
그건 큰 수의 법칙과 무관함. 그냥 사전투표 하는 사람들과 본 투표하는 사람들의 성향과 시간 계획이 달라서 임. 사전투표하는 사람들은 아무래도 더 적극 투표 의지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본투표날을 통으로 비워 놀 계획을 세우는 사람들임.
@samawoo564
@samawoo564 Ай бұрын
이번 총선 투표율이 67퍼입니다. 그중 사전투표가 31퍼이고 나머지 36퍼가 본투표입니다. 사전투표를 모집단 표본으로 했을 경우 통계학적으로 사전투표와 본투표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오차범위를 최대로 적용하더라도 5퍼이내에서 차이가 나야 정상이죠. 5퍼도 많아요. 모집단이 한두명도 아니고 넘치기때문에 확률적으로 더더욱 정확해야합니다. 수천년역사의 수학적통계를 초월하는 이변이 일어나서 한두군데의 선거구에서 사전과 본투표의 격차가 크게 벌어질수는 있겠지만 이건 거의 모든 선거구에서 사전투표와 본투표의 차이가 심합니다. 웃긴건 민주당 몰표 나오는 전라도와 국힘 몰표나오는 대구경북에서는 또 이 큰 수의 법칙이 맞아 떨어져요. 사전과 본투표의 비율이 비슷하다는 말입니다. 님 말씀데로 성향과 투표의지라는 변수를 집어넣어볼까요? 이번 사전투표 최다 참여자는 50대 60대와 70대입니다. 50대중의 40프로는 여당지지하죠. 60대와 70대는 전통적인 보수층이고 여론조사에서도 압도적인 여당지지자들입니다. 대통령부터 여당 국회의원들까지 사전투표를 독려했고 직접 사전투표를 했기때문에 참여율이 높았습니다. 그럼 오히려 사전투표에서 국힘이 이겼어야죠. 어제 선관위 감사결과 보셨나요? 부정부패의 온상인 선관위를 민주당은 오히려 감쌌고 문재인이 임명한 노태악선관위원장은 작년에 터진 채용비리에도 책임지지않고 이번 총선까지 임기를 채우겠다며 버텼습니다. 왜그랬을까요? 음모론이 아니라 선거에 의문을 제기하는 국민들이 많기 때문에 공정하게 선거를 했다면 선관위 서버감리하고 접전지 재검표해야합니다.
@Doridori-ei1eg
@Doridori-ei1eg Ай бұрын
​@@samawoo564 일단 '모집단 표본으로 한다'는 표현부터가 통계학 이론에 없는 근본없는 용어입니다^^;; 통계에 대해 뭔가 잘못 이해하고 계신 것 같네요. 아마 표본 집단이란 용어를 쓰시고 싶으셨던 거겠죠. 여기서 투표 이벤트는 모집단으로부터 표본 집단을 샘플링하는 행위죠. 사전투표와 본투표라는 이벤트가 완전히 동일한 방식의 샘플링이라면 두 표본 집단의 평균이 비슷하게 나와야 정상인 게 맞아요. 근데 두 개 이벤트가 날짜의 선후 관계와 휴일 지정 여부 등이 매우 다른 이벤트예요. 따라서 두 표본 집단의 평균이 다르게 나와도 전혀 이상한 일이 아녜요. 게다가 사전투표한 사람이 본 투표 또 할 것도 아니니 일종의 비복원 샘플링이라서 두 표본 집단은 더더욱 다를 수 있죠. 이상한 극우 유튜브만 보시고 어설프게 아시고 계시는 거 같은데, 통계학 개론서 하나 사셔서 체계적으로 공부해보시길 추천드려요.
@samawoo564
@samawoo564 Ай бұрын
@@Doridori-ei1eg 네. 사전투표인원을 모집단의 표본집단으로 표현한거에요. 날짜만 차이가 있는데 어떻게 다른 이벤트가 됩니까. 정당과 후보가 바뀐게 없는데요. 다른 이벤트가 됐다고 치자구요. 저는 위에서 사전투표의 연령층과 성향까지 데이터에 근거해서 말씀드렸는데 그 부분은 말씀이 없으시네요. 사전투표 가장 많이 한 6070세대들이 민주당 압도적으로 지지하나요? 그렇다면 지금까지 대한민국에서 조사한 여론조사는 다 조작이에요. 이건 제 개인적인 주장이 아니고 변호사들과 통계전문가들이 지난 선거부터 사전투표에 대해 계속 의문을 제기하고 있고 한동훈도 이번에 사전투표 관리자 날인 꼭 해야된다고 했는데 선관위에서 무시해버렸잖아요. 인쇄날인이 그게 복사본을 얼마든지 만들고 부정의 소지가 있는데도 선관위는 밀어붙였습니다. 사전투표와 본투표가 이렇게 접전지에서만 차이가 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의문을 제기하는겁니다. 심지어 선거인수보다 투표자수가 더 나온 지역도 있어요. 선관위 어제 오늘 뉴스 보셨어요? 공정을 최우선으로 담보하는 집단에서 먼저 감사받겠다고 해도 부족할 판국에 계속 뒤로 빼더니 결국 감사원 감사결과 어떻습니까? 감사원에서 24년만에 이렇게 공직자를 뽑는 곳은 처음이라고 했죠. 얼마나 개판입니까. 이런 기관이 민주주의 꽃인 선거를 관리했는데 어떻게 공정할수가 있어요. 지금 선거부정의 문제가 어떤 이유에선지 수면위로 올라오지 않았을뿐 음모론도 아니고 그냥 팩트로 얘기하는거에요. 선거에 대해서 문제되는 부분을 재검증하자는게 이상한게 아니잖아요. 재검증후에도 문제가 없는거면 이긴쪽도 진쪽도 모두 깔끔한거 아닌가요?
@samawoo564
@samawoo564 Ай бұрын
@@Doridori-ei1eg 하긴 이거 우리끼리 얘기해봐야 뭐하겠습니까 대통령이랑 한동훈도 가만히 있는데 제가 떠들어봐야 공염불이죠. 이제 그만하시죠. 야당지지자이신거 같은데 부럽습니다. 누가 권력을 갖던지 국민들이 살기좋고 행복한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네요.
@Nehemiah-Han
@Nehemiah-Han Ай бұрын
카지노에 대해 수학적으로 설명해주는 거 너무 좋다 이렇게 알아야 도박성도 줄어들텐데..
@soyothedanny
@soyothedanny 6 күн бұрын
통계학 수업에서, 포커게임을 했을때 로얄플러쉬가 나올 확률, 스트레이트가 나올 확률 이런 거 배울때가 제일 재밌더라구요. 집배원의 최상의 동선 짜기도 재밌고
@Polo3724
@Polo3724 Ай бұрын
정승제 말할때 조세호는 괜찮은데 유재석한테는 결계 쳐져있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mcalorie
@mcalorie 40 минут бұрын
확률 20%의 의미가 포항 앞바다에 시추공 5개만 뚫으면 석유가 나온다는 걸로 이해하시는 분들이 보시면 좋을 영상이네요.
@user-pl9zs6cc8z
@user-pl9zs6cc8z Ай бұрын
벽느껴진다
@user-mw8uu4zs9q
@user-mw8uu4zs9q 11 күн бұрын
도박이 배팅액을 1조를 돌린다 차이가 없어요 근데 백으로 천따고 천으로 억따고 이렇게 가면 점점점점 확률이 더 내려가요
@user-og6xf2df7y
@user-og6xf2df7y 2 ай бұрын
그럼 큰 수의 법칙에 의해 처음에 내가 많은 돈을 잃으면 나중엔 돈을 벌 확률이 높아짐으로 도박을 계속해서 해야하고 처음에 돈을 얻었다면 나중에 돈을 잃게 될 것이니 그만하면 되는건가?? ㅎㅎ
@user-lk4gf2gj3o
@user-lk4gf2gj3o 2 ай бұрын
이정도 이해력이면 도박그냥 하는게맞음
@doublejay10
@doublejay10 2 ай бұрын
우리 빡통 승기야 넌 그냥 돈 다 꼬라박아라^^
@DanddoJoa
@DanddoJoa 2 ай бұрын
독립시행이 뭔지 찾아보세요 😅
@dlejdnddjekso
@dlejdnddjekso 2 ай бұрын
그게 아니라 나중엔 결국에 돈을 잃게 될것이니 처음에 돈을 벌고 잃고는 아무 상관 없다는거
@user-sh1fp8vq5n
@user-sh1fp8vq5n Ай бұрын
걍 따면 그만하고 잃어도 그만해 아니면 첨부터 하지마라 나락간다
@leech5571
@leech5571 22 күн бұрын
왜케 화가 나있어..
@ohseongjae
@ohseongjae 14 күн бұрын
강조하는거지 멀 화가나
@user-dq4km7kw9o
@user-dq4km7kw9o 10 күн бұрын
화나보여
@user-ju1kg3vc9t
@user-ju1kg3vc9t 9 күн бұрын
원래 나만알고있는거 맨날설명하니깐 열받을수밖에 너도 유치원생들한테 365일 가르쳐봐라 화가안나나
@user-eq6yf4wx3i
@user-eq6yf4wx3i 9 күн бұрын
열정이 있는거지
@user-dq4km7kw9o
@user-dq4km7kw9o 9 күн бұрын
@@user-ju1kg3vc9t 하긴 내가 너한테느끼는 감정인가보다 이해했어
@jwl9773
@jwl9773 2 ай бұрын
대학수준공부하고 나면 고등학교때 그렇게 쉬운걸 왜 어려워 했을까 싶어요
@user-ru2fy2ri8u
@user-ru2fy2ri8u 2 ай бұрын
도박으로 돈버는법 : 시행횟수를 최대한 줄인다 확인
@user-ly9ol3vq2n
@user-ly9ol3vq2n Ай бұрын
혈압터지실거 같음
@user-wd4gi5ft6s
@user-wd4gi5ft6s Ай бұрын
리액션 지리네
@benjamink8473
@benjamink8473 Ай бұрын
수학을 빌미로 인생강의하려는 분ㅋㅋㅋ
@LEEJEAHOON
@LEEJEAHOON 2 ай бұрын
*1. 노력하는 유전자* *2. 포기하지 않는 유전자*
@user-yc8lv9xn8u
@user-yc8lv9xn8u Ай бұрын
이렇게 보면 그 어느 정도의 노력하는, 포기하지않은 유전자가 없는건 그냥 경계선 지능장애나 별 다름바 없다는 말 같네ㄷㄷ
@sdihok
@sdihok Ай бұрын
​@@user-yc8lv9xn8u일단 넌 지능이 낮긴 한 듯
@aeugenia3403
@aeugenia3403 2 ай бұрын
수학 좋아하는 아들 초4인데 가끔 정승제쌤 영상 보여줘요 재밌대요ㅎ
@Abcdey9
@Abcdey9 Ай бұрын
수학 잘하면 고딩때 승제 듣는건 비추입니다
@papillon6233
@papillon6233 Ай бұрын
갸는 연예인 ...상위권은 절대 승제 꺼 안들음. 수학에 흥미를 가질 정도만 하는 쌤. 하위권은 좋아라 하죠 하위권에 인기 많으면 돈은 많이 범 . 허접 한 넘들이 더 다수라 정치권도 그러 하듯이
@sonik120
@sonik120 Ай бұрын
피타고라스 좋아하면 진짜 수학의 미를 아는거임 ㅋㅋㅋㅋ
@jun4182
@jun4182 Ай бұрын
개웃겨 ㅋㅋㅋ수학 개좋아하네 ㅋㅋ
@user-no4jj7zk6y
@user-no4jj7zk6y 2 ай бұрын
나도 이제 어린나이가 아니지만 다시 수학을 공부해보고싶다
@ArtLanGuide
@ArtLanGuide Ай бұрын
ㅇㅗ랜만에 유퀴즈 보면서 머라는거야 햇네 ㅋㅋㅋㅋㅋㅋㅋ
@user-by7rc8ud4m
@user-by7rc8ud4m 2 ай бұрын
정승제 생선(?)님 정도의 실력이면 대학에서 이공계 교양 필수 과목인 '미적분학' 강의를 해도 문제될 것이 없고 만약 미적분학 강의를 대학에서 정승제 생선(?)님께 맡긴다고 하면 아마도 5초도 안돼서 수강 신청이 마감될 정도로 인기를 끌 것 같습니다.
@Nehemiah-Han
@Nehemiah-Han Ай бұрын
생선이요? ㅋㅋㅋ
@user-nk2iy9pq3e
@user-nk2iy9pq3e 12 күн бұрын
정승제 생선님 본인이 자신은 선생이라기에는 일개강사이기 때문에 선생 말고 생선이라고 불러달라 하심..겸손하신거
@Nehemiah-Han
@Nehemiah-Han 12 күн бұрын
@@user-nk2iy9pq3e 아하 ㅋㅋㅋ
@Sichy_
@Sichy_ Ай бұрын
근데 혹시 궁금한게 있는데 중간에 그래프 나왔을때 기하급수는 지수함수인데 (0,1)은 안지나네요 평행이동을 시킨건가..
@riverriver1873
@riverriver1873 2 ай бұрын
벤포드의 법칙에 대해 알려주세요
@eligoddess
@eligoddess 2 ай бұрын
카지노는 심지어 50:50이어도 수수료 받아먹는순간 이득임 ㅋㅋㅋ
@shs892
@shs892 2 ай бұрын
어느 과목이든 다 그렇잖아
@user-xi7gu6fj9b
@user-xi7gu6fj9b 12 күн бұрын
근데 주사위에 1이 나올 확률은 1/6이 아닐 가능성이 높음. 주사위의 각 면에 점의 개수가 달라서 무게가 달라지기 때문
@user-xg6uk5bo1y
@user-xg6uk5bo1y 2 ай бұрын
확율이 높아지면 일어날 일은 반듯이 일어난다.=엔트로피 법칙
@knifeduck445
@knifeduck445 Ай бұрын
내려갈 팀은 내려간다
@thmy5406
@thmy5406 Ай бұрын
홍은채님이 이 영상을 좋아합니다.
@user-vv6lx6qu3w
@user-vv6lx6qu3w 12 күн бұрын
정승제 샘 짱
@user-tl4mk1mg8z
@user-tl4mk1mg8z Ай бұрын
은행이 정기예금 기한을 두는 것은 금리가 변하기 때문이요.. 금리가 변한다는 것은 기간이 길면 은행이나 고객 어느 한쪽이 많은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어서지요..
@user-gq8zt8go2t
@user-gq8zt8go2t 2 ай бұрын
구구절절 옳은 말씀만..
@soulhyun
@soulhyun 2 ай бұрын
7:50
@nuvuo5842
@nuvuo5842 18 күн бұрын
문제는 이 사람도 한 분야의 손흥민이란거 ㅋㅋ 재능있는 사람이 노력까지 해서 이룬거죠. 노력만 해서는 1등급 받기 쉽지 않음. 공부도 재능의 영역이라 노력으론 운이 따라줘야 1등급 나오지 현실적으론 2등급 최대임. 재능 없는데 공부에 너무 몰두하기 보단 다양한 경험을 해보면서 하루라도 본인이 가진 재능을 찾는게 중요함. 공부로 먹고사는 사람들 생각보다 그리 많지 않음.
@TLLSOTLP
@TLLSOTLP 2 ай бұрын
7:39 @정승제사생팬
@mirrorspring5112
@mirrorspring5112 Ай бұрын
3:10 그래서 카지노가 망하는 패턴 중 하나가, 큰손 상대로 무리하게 배팅하다가 말도 안 되는 확률로 그 돈 다 잃는 패턴...소액씩 여러 번 하면 무조건 벌게 되어 있는데 큰손이다 보니까 마음이 급해지고 욕심이 생기는 것
@euikim3028
@euikim3028 2 ай бұрын
수학과 입니다. 그럼 20000.
@user-em3rp9yb8k
@user-em3rp9yb8k 2 ай бұрын
음... 2번 봐도 모르겠다. 도박은 안하는걸로
@pilssuk
@pilssuk Ай бұрын
저는 평소에 마작을 하는데요, 확률을 안믿게 되었어요...
@user-xp5yj1lp7h
@user-xp5yj1lp7h Ай бұрын
왜저렇게 흥분하셨나요?
@user-zr1qq3cv3e
@user-zr1qq3cv3e Күн бұрын
원래 저러셔요..ㅋㅋㅋ
@M_Souls
@M_Souls 2 ай бұрын
대학교에서도 수학을 어디 쓰냐 했는데 현업에서 라플라스 변환 PID 다 쓰고 있음..
@HaRangAB
@HaRangAB Ай бұрын
똑똑한 김태균 보는거같네 ㅋㅋㅋㅋ
@user-uu8ml7bs2s
@user-uu8ml7bs2s 19 күн бұрын
도박쟁이들은 확률 이런거 모른다 알고도 한다 왜냐 그 확율 이런거를 한번 이겼을때 의 쾌감을 잊지 않기때문이지
@user-xj3mt4ko1p
@user-xj3mt4ko1p Ай бұрын
신문지를 45번 접으면 달까지 도달하는 높이에 이른다
@user-sh1fp8vq5n
@user-sh1fp8vq5n Ай бұрын
복리 ㄷㄷㄷ
@whowho6134
@whowho6134 2 ай бұрын
그리고 투자랑 도박은 완전히 다릅니다 모르면 신념 가지지마세요 투자는 엄연히 무작위 홀짝 그런거 아니에여 ㅎㅎ
@user-rp2iy6dh5d
@user-rp2iy6dh5d Ай бұрын
확률과 통계를 1도 몰라도 도박에서 돈을 잃을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돈을 따는 쪽에는 0이 없지만 돈을 잃는 쪽에는 0이 있다는것
@user-nn5ny5nv4j
@user-nn5ny5nv4j 17 күн бұрын
설명해줄 생각에 입이 근질거려 환호성까지 지르시네 ㅎㅎ
@user-xu6kv8tc7v
@user-xu6kv8tc7v 2 ай бұрын
고등학교 수학은 공대를 가보면 왜 해야되는지 알지.. 근데 이걸 좀 고등학생들한테도 알랴주고 싶음... 대학을 오니까 내가 왜 수학을 하고 미분을 하고 했는지 깨달은게 좀 안타까움
@user-ic3mm5ho5t
@user-ic3mm5ho5t Ай бұрын
문과쪽만 봐도 통계 경제학쪽은 수학이랑 뗄레야 뗄 수가 없음.
@Smell835
@Smell835 Ай бұрын
취업하고 전공과 관련없는일을하면 뭔 개짓거릴했나 싶음
@vinniesalla8974
@vinniesalla8974 2 ай бұрын
진짜 손흥민처럼 연습하는것보다 수학 공부하는게 쉽겠네
@user-iv6vk6pu1l
@user-iv6vk6pu1l Ай бұрын
하지만 위대한 수학자가 위대한 축구선수보다 인류의 발전에 도움이 되죠.
@-ONEWE-
@-ONEWE- 16 күн бұрын
​@@user-iv6vk6pu1l뜬구름 잡는 개소리 집어치우시구요~ 좋은 말은 개나 소나 다 할수있는거고 현실적인 본인이 이룬업적을 생각해보세요~ 연봉이나 커리어에서. 본인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봅시다. 본인이 인류의발전에 도움이 되기위해 살고있는지 내가 잘먹고 잘살기 위해서 살고있는지.
@Hyunwoo-nw1ri
@Hyunwoo-nw1ri Ай бұрын
주식해야할 이유
@-OnceLife-
@-OnceLife- 2 ай бұрын
이게 바로 피라미드 다단계 피해자가 많이 나오는 이유다..ㅋ
@user-ll2sv2xg3m
@user-ll2sv2xg3m 17 күн бұрын
뭐라는 개소리야
@Andy12633
@Andy12633 13 күн бұрын
병싴ㅋㅋ
@honestyh
@honestyh 19 күн бұрын
롤도 사실 팀운 얘기 많이하지만 결국 내팀과 상대팀 실력은 비슷하답니당
@user-rz3ev3el6u
@user-rz3ev3el6u 17 күн бұрын
롤은 아님.. 요즘 프로분들 매칭 보세요
@jakeahn4921
@jakeahn4921 12 күн бұрын
수학궤도
@user-ty6uq3zt5b
@user-ty6uq3zt5b 6 күн бұрын
프로토 같은경기 승무패하나찍으면단식 추가로더찍으면복식
@user-cp3kh6ze7c
@user-cp3kh6ze7c Ай бұрын
공대 나온 입장에서..미분이야 숱한 실험데이터로 점 찍고, 수식화하고, 그다음에 극대극소값 즉 효율이 가장 좋은 점을 찾기 위해 한다지만...가만히 생각해보면 일반인이 미분할 일은 없잖아.
@user-zi6xy9nj9i
@user-zi6xy9nj9i Ай бұрын
유퀴즈에서 인강찍는 승제쌤 ㅋㅋㅋ
@jaeeunlim5577
@jaeeunlim5577 2 ай бұрын
나도 수학 쓸일 없을 줄 알았고 문과지만 경제학과 나와서 누구보다 그래프 해석을 자주하고 공식 뜯어가며 사회현상에 적용하다보니 수학이 의미가 없진 않드라... 하지만 졸업하니 엑셀만 씀...ㅋㅋ
@info_biz828
@info_biz828 Ай бұрын
엑셀이 수학을 대신 풀어주는거죠 ㅋㅋ
@drowningcsw3606
@drowningcsw3606 19 күн бұрын
예체능이라 중학교 이후로 한번도 수학? 이라고 할 정도의 산수를 한적이 없음 ㅋㅋ 끽 해봐야 회식 자리에서 더치페이 할때 말고는 ㅋㅋ 요즘은 더치페이도 자동으로 카톡이 해줌 ㅋㅋ
@user-dc5kj4ri8m
@user-dc5kj4ri8m Ай бұрын
0.1mm 두께의 A4용지를 50번 접으면 그 두께는 1억Km가 넘게 됩니다. 거리로 따지자면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의 281배나 되는 두께가 됩니다.
@user-dc5kj4ri8m
@user-dc5kj4ri8m Ай бұрын
@@12gongsam 일단 접는다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 이런거 따지는 것은 일단 말이 안되지요. 어찌되었든 달까지의 거리의 281배인 1억Km나 되는 것을 종이든 뭐든 접을 방법 있습니까? 그러니까 그런거 말고 이론상 이런 환경에 있다 가정하고 계산 하는 것이지요. 예를들어 아르키메데스라는 수학자가 나에게 지구를 받칠만한 받침대와 지렛대를 준다면 지구를 옮기겠노라 하는 것과 같지요. 어쨌든 이 문제는 예전에 EBS의 컴퓨터 교재에 실제로 나왔던 문제입니다.
@user-ts9xe2xd3p
@user-ts9xe2xd3p Ай бұрын
뭐.. 뭡니까
@awas7628
@awas7628 2 ай бұрын
아 그래서 큐브에 보보보 안떴구나!? 음?
@user-sn9xy4xo7y
@user-sn9xy4xo7y 12 күн бұрын
결과보다 과정이중요한것이 수학?
Do you have a friend like this? 🤣#shorts
00:12
dednahype
Рет қаралды 59 МЛН
They RUINED Everything! 😢
00:31
Carter Sharer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ONE MORE SUBSCRIBER FOR 6 MILLION!
00:38
Horror Skunx
Рет қаралды 15 МЛН
인생에 꼭 필요한 수학 스킬!
19:51
12 Math
Рет қаралды 1,2 МЛН
아파트 재건축이 점점 어려워지는 이유들 (경험담)
13:54
Ящерица отталкивает Воду!
0:20
КОЛЯДОВ
Рет қаралды 1,7 МЛН
Убила мужа с любовницей 🤯
0:41
Фильмы I Сериалы
Рет қаралды 1,8 МЛН
Make me the happiest man on earth... 🎁🥹
0:34
A4
Рет қаралды 8 МЛН
As aventuras de Tatá e Decinho 275
0:14
Tammy e Sarayva
Рет қаралды 45 МЛ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