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력조선 시네마] "정주성" 1811년 홍경래의 난 최후의 전투 - 제4부 : 굴토

  Рет қаралды 70,089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Күн бұрын

◈함께 보면 이로운 정주성 전투 기록 ③
홍경래의 난 당시의 기록에는 식량이 떨어진 홍경래 군이 춤과 음악으로 사기를 끌어 올리려 노력했다는 내용이 보입니다.
"적 무리는 3월 22일에 패배를 겪었으니 기가 꺾이고 풀이 죽은 모습이어야 마땅합니다. 그런데 요즘 예전처럼 억세고 고집스러우며, 심지어 기생을 끼고 음악을 연주하고, 성을 순찰하면서 총을 쏘지 않는 날이 없습니다. 이것은 비록 허세를 부리는 듯하지만 마치 믿는 구석이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진중일기』, 1812년 3월 28일 기록
남산의 진영에서 보고하기를 “성안의 적도들이 깃발과 북을 크게 벌려놓고 앞에서는 소리를 지르고 뒤에서는 에워쌌는데, 쌍쌍의 예쁜 기생들이 말을 타고 앞에서 말고삐를 잡고 풍악을 길게 울리며 남쪽에서 북쪽으로 천천히 성을 돌았습니다.”라고 하였다.
『서정일기』, 1812년 3월 25일의 기록
"적의 식량이 이미 떨어졌고 도망쳐 흩어진 자는 셀 수 없었는데...(중략)...적들은 서장대에 모여서 매일 음악을 연주했다."
『진중일기』, 1812년 4월 5일 기록
◈함께 보면 이로운 정주성 전투 기록 ④
그 밖에도 홍경래 군은 성안 민심을 달래기 위해 청나라에서 구원군이 올 것이라는 소문을 퍼트려서 병사들이 흩어지는 것을 막으려 했습니다.
"도망친 적이 진술한 내용에 '적은 누룩 2개 쌀 2되를 3일 치 식량으로 하였고 '호병'에 대한 이야기로 사람들을 연달아 유혹하였습니다' 하였다."
『진중일기』, 1812년 3월 26일 기록
영상의 내용은 해당 기록을 축약, 각색하였습니다.

Пікірлер: 320
@박지훈-t8w9c
@박지훈-t8w9c 11 ай бұрын
와우 당파창을 조총사격 거치대로 쓰다니... 이런놀라운 고증을ㅋㅋㅋ
@페인트-c8t
@페인트-c8t 11 ай бұрын
KBS의 고려거란전쟁보다 훨씬 웅장한 스케일과 완벽한 고증을 보여주신 국립진주박물관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세계사전공자
@세계사전공자 11 ай бұрын
사극 제작팀도 아니고 국립진주박물관이면 공무원들일텐데 엄청 작은 예산으로 이정도 퀄리티의 영상을 만든다는건 진심 대단한듯 합니다.
@johnpark3134
@johnpark3134 11 ай бұрын
유명 배우 쓰는 인스턴트 사극보다 이 전주성이 진짜 리얼한 사극이네요 볼때마다 전율이 느껴집니다
@Kcia69
@Kcia69 11 ай бұрын
게이야 동학란이 아니고 홍경래의 난이다;;;; 전주성이 왜나오누
@dohyeongkim1802
@dohyeongkim1802 11 ай бұрын
정주성임
@DogorCow
@DogorCow 11 ай бұрын
누가봐도 오타잖어 게이들아
@랠리루남편
@랠리루남편 11 ай бұрын
전주하고 정주하고 헛갈리셨을텐데 그렇게까지 지적하실 필요가;@@Kcia69
@lucasromi83
@lucasromi83 11 ай бұрын
​@@Kcia69오타겠지 게이야
@쿼츠타임CasioPath
@쿼츠타임CasioPath 11 ай бұрын
이걸보면 고려거란전쟁은 제작비, 인력동원의 문제가 아니다. 출연진이 적어도 연출, 구도로 이렇게 실감나게 만들수 있는데..
@jsj1381
@jsj1381 11 ай бұрын
유명 연예인이 아니라도 공중파 사극 보다 훨씬 더 재밌게 만들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국진박 당신은 역사책...
@YogiMaemi
@YogiMaemi 11 ай бұрын
전쟁이 오래가니 처음의 여유는 사라지고, 악에 받혀서 증오만 켜지네요. 손태영은 초반엔 꽤 자비로운 모습이 보였는데 이젠 눈빛부터 싸그리 몰살시킬 기세;
@무명씨1인
@무명씨1인 11 ай бұрын
존경하는 스승이자 형님으로 모시는 이정량도 비참하게 전사했지 나름 온건하게(?) 백성들을 배려했더니 돌아오는건 공격으로 병사들이 죽어나가는거라 선량한 성격의 손태영이니만큼 반대급부로 더 눈이 돌아갈수밖에 없죠. 어떡하든 토적들을 토벌해서 원수를 갚겠다고 강경해지는거.
@랠리루남편
@랠리루남편 11 ай бұрын
정주성 전투 시리즈 볼 때마다 느끼는게 살짝 조선판 밴드 오브 브라더스 같기도 하고 그렇네용
@냥냥소연
@냥냥소연 11 ай бұрын
교련관님 돌아가시고 흑화돼서 눈에 뵈는게 없어졌음
@lucasromi83
@lucasromi83 11 ай бұрын
개연성 씹오짐. 배우들 눈빛부터가 연기력이 ㅎㄷㄷ
@랠리루남편
@랠리루남편 11 ай бұрын
ㅇㅈ 밴드 오브 브라더스도 보니까 전쟁 하면서 사람들이 점점 변하고 그러잖아요 정주성 시리즈가 조선판 밴오브인듯@o5xl2fb9e
@냥냥소연
@냥냥소연 11 ай бұрын
방송사극에서는 전혀 보여주지 않는 전쟁이 사람들을 어떻게 악마로 만드는지를 잘 보여주네
@공수레공수거-c7n
@공수레공수거-c7n 11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전율감이 흐릅니다.쓰레기공중파보다 훨씬 퀄리티도 좋구요. 이작품이 끝나면 힘드시더라도 고려거란전쟁을 해주십시오. 날것의 역사를 느끼고 싶읍니다!
@채승현-m1o
@채승현-m1o 11 ай бұрын
와~~~~~날것~~~^^ 미쳤네 😊😊😊❤❤❤❤
@허리케인-d1u
@허리케인-d1u 11 ай бұрын
방송사가 박물관에 완패한 역사적인 순간이다 오래전부터 봤지만 참 존경스럽다 이걸 기획한것도 대단하지만 이걸 이렇게 표현한것도 참신하다 예산이라고 해봐야 쥐꼬리일텐데 놀랍다
@minli9406
@minli9406 11 ай бұрын
진짜 국립진주박물관 최고네... 드라마 영화에서 못하는....... 전쟁사 고증 와우~~~~~ 응원합니다~~~
@g4df74g1h
@g4df74g1h 11 ай бұрын
날조임. 홍경래의난 당시 도화본적 있었는데 조총도 화포도 없고 활무장이었고 여기옷도 전부창작임
@minli9406
@minli9406 11 ай бұрын
@@g4df74g1h 도화본적 뭡니까?? 기록에는 관군이 땅굴를 파서 화약 1700근으로 정주성벽 한쪽을 무너트린 기록이 있습니다. 조선 후기에 성벽을 왜 낮게 축성했야면 바로 화포때문에 성벽들이 낮은 겁니다. 19세기 초반에 일어난 홍경래난은 조선의 화약무기 다양성과 운영전술도 보여준 전쟁입니다.
@g4df74g1h
@g4df74g1h 11 ай бұрын
@@minli9406 무슨 화포때문에 낮어.. 원래부터 조선의 성벽은 높지도 않았음. 그리고 앞만 돌이고 뒤는 토성이라서 무너지는 위험도 없고 높낮이에 따른 차이도 별로 없었다. 그냥 조선인의 키나 무장의 수준이 낮아서 성벽이 낮은 거지. 그리고 무슨 1700근 무슨 기록? 난 서울시립박물관에서 했던 조선의 무기전에서 홍경래의 난에 도화보고 말한건데. 철갑은 커녕 전부 면옷에 포졸 활무장이었지
@조윤형-d7l
@조윤형-d7l 11 ай бұрын
@@g4df74g1h 절대로 증명할수없는 자신이 본 기록을 가지고 날조로 말하고있네 ㅋㅋㅋㅋ 누구는 참조자료랑 역사기록을 근거로 말하는데 ㅋㅋㅋㅋㅋ 한국어쓰면서 한국이 그리 싫으면 떠나쇼 떠나도 받아주는 나라 없겟지만은 ㅋㅋㅋㅋㅋ 축성기술은 삼국시대부터 훌륭했고 화약 보유량이 조선이 일본보다도 많았는데 뭔 활무장이여 ㅋㅋㅋㅋㅋㅋㅋㅋ 오히려 활 제대로 쏠줄아는 병사가 없다고 상소 올라온것이 후기에 허다하구만 개소리를 ㅉㅉ
@muttmk2357
@muttmk2357 11 ай бұрын
@@g4df74g1h 홍경래의 난 당시에 그려진 제일 대표적인 그림이 홍경래진도인데 거기 나온대로 전복 협수철릭 뒤꽂이 환도 조총 전립 다 따라 찍은 영상 보고 뭘 날조라고 함? 날조라고 할 거면 제대로 된 근거라도 가져오던가.
@MAIHAMA7329
@MAIHAMA7329 11 ай бұрын
정말 재미있습니다. 어설픈 로맨스나 왕자, 공주의 등장 없이도 이렇게 수준높은 사극이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기념비적입니다. 홍경래의 난에 당시 발달한 광산업의 영향으로 광부가 동원되고 채광기술이 이용되었다는 역사적 팩트가 이렇게 생생하게 연출되니 조선시대사를 공부하는 학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음편도 기다리고 있습니다.
@letb9898
@letb9898 11 ай бұрын
1,2,3,4부 전투씬 모두 정말 피말리는 창과 방패의 대결의 연속이고만.. 전투의 화끈함 보단 치밀함에 몰두한 연출인듯
@겸손이즈나딩
@겸손이즈나딩 11 ай бұрын
성벽 위의 기생이 뿌리는 손끝이 내 가슴을 저미는 구나. 가슴에 맺혀 떨어지는 따스한 피는 성벽 위의 기생의 입술 만큼이나 붉네. 성벽 위의 기생의 눈 끝이 닿는 하늘에서 나리는 그 붉은 눈이 한 겨울 차갑게 얼어버린 주린 배를 차곡차곡 채운다. 마지막 더운 숨이 차가운 한 겨울 공기를 데워 다가오는 봄을 재촉해 선홍빛 입술 같은 진달래를 산천 가득 어서 불러오리라. - 성벽 위의 기생의 마지막 숨 -
@firmtree3902
@firmtree3902 11 ай бұрын
와 항아리 묻어서 소리탐지하는 거 감탄했습니다
@half-moon-i4t
@half-moon-i4t 10 ай бұрын
시작부터 눈빛에 독기가 올라온거 ㄷㄷ
@cooldaz1
@cooldaz1 11 ай бұрын
진짜 리얼함...갈수록 실감나는 미친 퀄리티! 세금 안아까운 진정한 역사 다시보기 ^^
@polycarpkim11
@polycarpkim11 11 ай бұрын
단순히 화기나 전투를 보여주는데 그치지 않고 전쟁과 폭력이 사람을 어떻게 바꿔가는지도 보여주네요. 다음편을 넘어 마지막을 어떻게 그리실지 너무 기대됩니다.
@Merutorphdhdbdjdn
@Merutorphdhdbdjdn 11 ай бұрын
정말이지 고려거란전쟁 흥화진 전투랑 귀주대첩 정도만이 이 영상이랑 견줄 거 같습니다 넷플릭스에서나 볼법한 영상을 보니 정말 위대합니다 선생!!!
@꿈꾸는사람들-j5b
@꿈꾸는사람들-j5b 11 ай бұрын
그저 감탄만. . . 진짜.그시대를 보는듯 노고에 깊은 감사를. . .
@끄떡이
@끄떡이 10 ай бұрын
이런 하이급 영상들 계속 제작해 주세요
@Randy_Rhoads
@Randy_Rhoads 11 ай бұрын
와 갈수록 더 흥미진진 하냐........... 진주박물관 미쵸따
@adoring0
@adoring0 11 ай бұрын
디테일이 말도 안됩니다.
@文昊昊
@文昊昊 11 ай бұрын
아도링짱 ㅋㅋㅋ
@이수형-l2y
@이수형-l2y 10 ай бұрын
세상에나 몇백억쓴 고려거란전쟁보다 복장이며 전투씬이며 퀄리티가 뛰어나네여 kbs는 사극 제작비를 그딴식으로 쓸거면 사극예산은 국립진주박물관으로 넘겨주세여..
@PARK080
@PARK080 11 ай бұрын
실력파 각 배우들의 연기에서 흘러 나오는 느낌이 좋다... 연기력이 공중파 연기자들보다 훨씬 좋다
@Ssabifighter
@Ssabifighter 11 ай бұрын
결정적인 순간에 끝났네요 ㅠㅠ 또 얼마나 기다려야 다음화 나오나요
@74undetaker
@74undetaker 11 ай бұрын
오오오 드디어 영상이 올라왔다 국립진주박물관 만쉐이
@TV-ri8fp
@TV-ri8fp 11 ай бұрын
믿고보는 진주국립 박물관!
@커피곰-r7n
@커피곰-r7n 11 ай бұрын
오래 기다렸는데, 기다린 보람이 있네요. 기록에 근거해, 충실한 내용으로 제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5회에 더 좋은 내용을 기대해 봅니다.
@냥냥소연
@냥냥소연 11 ай бұрын
드디어 땅파기 시작했군뇨. 얼마나 애타게 기다렸는지 모릅니다
@samueloh9026
@samueloh9026 11 ай бұрын
고려거란전쟁보다.. 정주성이 더 기다려집니다..
@룰루-v6h
@룰루-v6h 11 ай бұрын
또한, 패전을 직감한 상태에서 봉기군들의 사기를 북돋우기 위해 마지막의 처절한 기생의 운율을 가슴 찡하게 역할을 해주신 여성 배우분이 누구신지 매우 궁금하네요!! 어떻게 그렇게 다가올 비극의 서글픈 아픔을 미리 예고하는 연기를 그렇게 잘 해내는 건지^^♧♧ 😢 ㅡ 국립진주박물관 및 출연진들 위하여^^♧♧😊 ㅡ
@허성준-m3m
@허성준-m3m 11 ай бұрын
진주국립박물관 화이팅 힘네세요.
@warjinping
@warjinping 11 ай бұрын
이것만 기다리고 있다우
@mod227
@mod227 11 ай бұрын
이분들한테 백억쯤 주고 사극 만들어달라고 하고 싶다
@nine5729
@nine5729 11 ай бұрын
정주성 진짜 기다렸습니다 혹시 정주성 농성 당시 모습처럼 우리를 기다리게 만드는 건가요?ㅋㅋㅋㅋ
@brandonann9283
@brandonann9283 11 ай бұрын
너무 진진흥미합니다
@바보2-r4e
@바보2-r4e 11 ай бұрын
와 이거 퀄리티가 대박이네요 - 진주박물관 대한민국 최고입니다 +_+
@sunggukim8153
@sunggukim8153 11 ай бұрын
어느 사극에서도 칼을 허리뒤에서 빼는것 못봤습니다. 고증이 제대로 된듯합니다. 훌륭한 영상 만드신 진주박물관 감사합니다
@Juxtdoit
@Juxtdoit 11 ай бұрын
고거전을 여기서 제작했어야 했는데… 사극 한번 제작해주십쇼 ㅠㅠㅠㅠ
@봉지껌씹는소리하네
@봉지껌씹는소리하네 11 ай бұрын
긴장감 씹지리네요 캬아 고려거란 전쟁이상 재미나요!!!♡ 진짜 고품질이고 리얼합니다 씹꿀잼 정주성 최고!!!! 감사합니다!!!
@hoseungseo7269
@hoseungseo7269 11 ай бұрын
진주박물관 응원합니다
@욱크-c3u
@욱크-c3u 11 ай бұрын
볼때마다 지상파 사극보다 훨씬 잼남
@냥냥소연
@냥냥소연 11 ай бұрын
재밌습니다 재밌습니다!! 사극에 군졸들 닌자 빙의해서 현란한 칼춤 추는것보다 훨씬 긴장감있고 재밌습니다
@polarbearhip
@polarbearhip 11 ай бұрын
이번에는 전투씬보다도 땅굴 파는 광산 출신 병사들이 땅 파고 돌 부술 때 사용하는 도구에 더 눈길이 가네요. 흔히 보이는 곡괭이가 아니라 쇠막대기 같은 걸 사용하는 게 인상적입니다.
@koreakiwon
@koreakiwon 11 ай бұрын
대단한 퀄리티네요.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
@user-xq6it4iq7d
@user-xq6it4iq7d 11 ай бұрын
이제 점점 결말을 향해 가군요… 정주성을 화약1700~1800근으로 폭파할 장면과 홍경래 우군칙 홍총각 등등의 최후가 머지 안 남았다는 결말을 미리 알아 슬프군요😢
@역사잼
@역사잼 11 ай бұрын
그저 감탄만
@treepark1783
@treepark1783 11 ай бұрын
기다렸다~!!!
@kylelee1506
@kylelee1506 11 ай бұрын
자주 나왔으면 좋겠다 영화보다 완성도가 높음
@Alfpooh
@Alfpooh 11 ай бұрын
훌륭합니다 수고하셨습니다!
@양재성-t3s
@양재성-t3s 11 ай бұрын
아기다리고기다리던 4부! 감질 맛나내요. 옛날에 읽었던 홍총각이라는 소설의 막바지 부분이라 그런지 더욱 기대기 됩니다. 다음화는 언제 나오나요?
@munchoonmaster4063
@munchoonmaster4063 11 ай бұрын
6:24 환도 날 실루엣이 정말 훌륭하네요. 사실 환도의 모양이란게 그 범주가 매우 넓지만 영상 속 환도는 유물의 그것과 너무나 흡사하네요. 멋집니다
@makpa4976
@makpa4976 11 ай бұрын
동감! 환도 라인보는 순간 어!!했는데.
@muttmk2357
@muttmk2357 11 ай бұрын
왜도와는 다르다 왜도와는
@sixxfire1355
@sixxfire1355 11 ай бұрын
나도 기다렸다!!!
@아세아학원
@아세아학원 11 ай бұрын
잘 만든 영상 즐감합니다. 국립진주박물관 봄에 꼭 갑니다!!!!!
@mrmscho
@mrmscho 11 ай бұрын
와 너무 재밌어요
@user-gy1vn5sn3z
@user-gy1vn5sn3z 11 ай бұрын
나중에 다 나오면 풀버전으로도 올려주세요😢
@이건학-d6q
@이건학-d6q 11 ай бұрын
와..정말 볼때마다 감탄하고 갑니다! ^^
@marsjh82
@marsjh82 11 ай бұрын
정말 올려주셔서 고맙다는 말씀밖에 ...
@유종민경제학전공
@유종민경제학전공 11 ай бұрын
아이고,,, 일찍 자려고 했는데, 업로드해주셨네. 안보곤 못자겠네요
@rorarunner
@rorarunner 11 ай бұрын
기록으로만 남겨진 무형의 역사를 현실로 강림시키는 것에 기준이자 표준이 될 것입니다 정말 정신없이 봤습니다 기다림이 더 있더라도 상관없으니 꾸준히 올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시골촌부
@시골촌부 11 ай бұрын
이건 그대로 영화화 해야 맞을 듯 출연진 영상 스토리 대사 어느것 하나 헛것이 없습니다. 그냥 영화로 만드시면 대박날듯 정말 잘만든듯 ^^;
@임태우-q7v
@임태우-q7v 11 ай бұрын
아니 영상 퀄리티가 이거 장난아닙니다.
@이민우-r6j
@이민우-r6j 11 ай бұрын
긴장감 쫄깃~~다음회는 언제나올려나^^
@edmondkang2439
@edmondkang2439 11 ай бұрын
최고
@LessisMore-d4v
@LessisMore-d4v 11 ай бұрын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나나-b9u4p
@나나-b9u4p 11 ай бұрын
세상에..너무 잘만드셨어요.! 고증 잘된 이런 영상 너무 좋아요..❤
@leoj4023
@leoj4023 11 ай бұрын
와 이거 왜이리 재밌어 .....
@스라소니-f3g
@스라소니-f3g 11 ай бұрын
공중파 사극과는 다르게 군인들 복장이 실용적이고 불규칙해서 고증감과 현실감이 돋보인다
@정기훈-r6g
@정기훈-r6g 11 ай бұрын
역시 한국 최고의 중세전쟁사박물관답게 이번 영화도 퀄리티 최고입니다. 잘 봤습니다!
@잘랄웃딘멩구베르디
@잘랄웃딘멩구베르디 11 ай бұрын
감사합니다 즐감할게요.너무 좋다
@박기홍-d8j
@박기홍-d8j 11 ай бұрын
다음 이야기 빨리 내놔요!!! 현기증 난단 말이예요 ㅎ 국립진주박물관에서 만든 영상은 진짜 재미나네요
@이재성-k8t2m
@이재성-k8t2m 11 ай бұрын
이게 사극이죠^^
@오빠-z9u
@오빠-z9u 11 ай бұрын
드디어 4부다
@Jogotna
@Jogotna 11 ай бұрын
몇백억 부었다는 고거전보다 이게 더 퀄리티 좋은게 유머다..ㅋㅋㅋㅋㅋ
@yesno9065
@yesno9065 11 ай бұрын
감독 연출이 누구신지 이런 기법으로 영화를 만들어도 눈에 쏙쏙 들어오겠네요
@랠리루남편
@랠리루남편 11 ай бұрын
5편 빨리 올려주세요 현기증난단 말이에요
@MM-pu3hk
@MM-pu3hk 11 ай бұрын
진짜 잘 만든 컨텐츠
@Lironwill
@Lironwill 11 ай бұрын
고증도 잘하시고. 정말로 감사합니다!
@느긋하게마싯께
@느긋하게마싯께 11 ай бұрын
진짜 잘만들었다
@빵집아저씨-l5k
@빵집아저씨-l5k 11 ай бұрын
영화 제작사보다 뛰어난 퀄리티가 있다길레 보러왔습니다. 역시 아는 사람들이 만드니 다르네요 ㅎ
@최상건-c9c
@최상건-c9c 11 ай бұрын
제대로 남아있는 기록은 조선역사 뿐이라 그래도 그걸 기반으로 매우 고퀄의 고증 시네마를 보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우진-s5b
@박우진-s5b 11 ай бұрын
미국 남북전쟁때도 굴을파서 견고한 요새를 무너트렸다는 기록을 본적이 있는데 한반도에서도 실행한 작전이라니 놀랍네요.
@냥냥소연
@냥냥소연 11 ай бұрын
당시 한반도에서는 난생 처음 시도한 작전이라네요.. 견고한 콘스탄티노플 함락될때도 저작전으로 성공한건데..
@랠리루남편
@랠리루남편 11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로는 콘스탄티노플 전투 때 오스만 측에서 땅굴 파서 성벽 폭파 시도를 했는데 동로마 측에 들켜서 막혀서 못 했고 나중에 군함들을 옮겨서 금각만을 차지했고 동로마측 지휘관이 다쳤을 때 성문이 열려서 그거땜에 성공한 것으로 압니다@o5xl2fb9e
@조한범-x8r
@조한범-x8r 11 ай бұрын
제가 알기론 6.25전쟁때 겨울철 미군이 개인 야삽으로 땅을 깊게파서 진지를 구축하는게 기본교리였는데 우리나라 북쪽땅에서는 땅이 얼어서 땅을 깊이 팔수 없었다고 하는데 겨울철에 북쪽에서 땅파려면 정말 고생할듯 하네요
@wanderingtroika2253
@wanderingtroika2253 11 ай бұрын
진주박물관에 예산 더 줘서 전편 사르후, 이번 편 홍경래의 난 등등 컨텐츠 60~120분 정도 분량으로 만들어서 넷플릭스에 내도 괜찮을것 같다 지상파보다 훨씬 낫다
@이토바이-p7c
@이토바이-p7c 11 ай бұрын
이런 작품을 볼 수 있다는게 감사할뿐... 지금의 상황에서 볼 수 있는, 당시 상황을 가장 최선으로 구현한 작품.
@도리-t7y
@도리-t7y 11 ай бұрын
5부는 언제쯤 나올라나 새로운 이야기 넘 잼나는데 ㅡ
@김동명-p6w
@김동명-p6w 11 ай бұрын
우아 정말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복쉥글러브
@복쉥글러브 11 ай бұрын
엄청난 영상임❤❤❤
@k-pilotbontube
@k-pilotbontube 11 ай бұрын
영상미와 디테일이 대단하군요.. 영상이 마치 게임 이미지 같은데.. 모두 CG인건가요?
@겨울비-u5i
@겨울비-u5i 11 ай бұрын
연기자가 돋보이면 배경CG가 너무티 나므로 연기자에 CG같은 필터처리를 해서 제작했다고 하네요 그러다보니 오히려 전반적으로 고퀄리티 느낌이 나네요
@BATMASK
@BATMASK 11 ай бұрын
왤케 잘만든거야... 하... ㅋㅋㅋㅋㅋㅋㅋ
@채수윤-k4g
@채수윤-k4g 11 ай бұрын
항상 좋은 영상 감사 감사 드립니다!!!
@너굴너굴-b8p
@너굴너굴-b8p 11 ай бұрын
재미있다
@miniron-5354
@miniron-5354 11 ай бұрын
오....베기 자세 봐라. 아주 그냥 제대로 사극이네.
@gammalee2685
@gammalee2685 11 ай бұрын
적은 예산과 인력에도 고려거란전쟁보다 훨씬 리얼하고 작품성 있다.
@김성환-v8r6n
@김성환-v8r6n 11 ай бұрын
고거전 양규 장군 전사 이후 자까놈이 이상하게 해서 거지같이 하고나서 안 보는데. 진주박물관은 한결같아서 좋다. 차라리 사극 만드면 여기 분들한테 맡기는게 더 재미있겠네.
@projectx2210
@projectx2210 11 ай бұрын
너무 재밌다고!
@룰루-v6h
@룰루-v6h 11 ай бұрын
스마트폰 말고 큰 화면으로 봤는데, 대단히 고증을 잘 했네요. 관군측 10여명의 광부들이 토굴을 뚫고서 전진하는 장면과, 반군측이 큰 독을 깊이 묻고서 굴착하는 소리를 청진기처럼 감지해내는 기술!! 이 장면을 어떻게 표현해낼지 궁금했는데, 이 정도의 영상 기술이라면 앞으로 큰 프로젝트(다큐멘터리 영화; 누르하치)를 제작해 주신다면 그 얼마나 박진감 넘칠까요?? 사르후 "부차전투"의 영상에서 본 후금의 철기군의 위력은 이제껏 경험해보지 못한 ※"전쟁의 신"의 경지에 올랐다고 밖에 표현할 길이 없었네요!! 만약에 [누르하치]의 파란만장했던 일생을 다룬 영화가 전쟁신을 중심으로 제작된다면, 그 얼마나 파급력있는 영화가 될 것인가!! 전 세계의 수많은 시청자분들이 그렇게 염원한다면 반드시 이루어진다. ㅡ국립진주박물관 및 출연진들 화이팅!! 찬란한 영광 있으라!! ㅡ 😊 👍 👍 👍 👍 👍
@rl5952
@rl5952 11 ай бұрын
이게 지금 방영하는 고려거란전쟁보다 재밋네.
@yiseul6070
@yiseul6070 11 ай бұрын
빨리빨리 올리라
@박우용-r7f
@박우용-r7f 11 ай бұрын
예산이 얼마이기에 이렇게 훌륭한 영상이 나오는지 신기하네요
@헬심천
@헬심천 11 ай бұрын
개쩔어요
[화력조선 시네마] "정주성" 1811년 홍경래의 난 최후의 전투 - 제5부 : 땅울림
16:38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12 М.
Tuna 🍣 ​⁠@patrickzeinali ​⁠@ChefRush
00:48
albert_cancook
Рет қаралды 148 МЛН
“Don’t stop the chances.”
00:44
ISSEI / いっせい
Рет қаралды 62 МЛН
[화력조선 시네마] "정주성" 1811년 홍경래의 난 최후의 전투 - 제3부 : 출성전투
13:45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111 М.
[Paik to the Market_EP.4_Daejeon] Came to eat but ended up being summoned?!
10:59
백종원 PAIK JONG WON
Рет қаралды 1,6 МЛН
[화력조선 시네마] 단편영화 '사르후' , 코멘터리 - 역사적 배경과 제작 뒷 이야기
22:44
국립진주박물관 JINJU NATIONAL MUSEUM
Рет қаралды 217 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