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가 간단하지 내구성에 신경 안 쓰고 만들었으니까.. 그저 최초로 양산 했다는 사실만 중요하니까.. 디자인이야 쉽게 훔칠 수 있어도 품질까지 훔치지는 못하니까..
@user-dj7wo8hx1j4 ай бұрын
삼성을 옹호하면서도 까는 촌철살인 이군요
@yomiyomigwiyomi4 ай бұрын
내구성에 신경을 쓰지 않은게 아니라 외부로 접는 힌지는 특성상 보호가 잘 안됩니다. 즉 어떻게 한다고 해도 고장이 안난다는 보장을 할 수 없다는 이야기 입니다. 내구성에 신경 써서 만들 수 있다면 삼성이 진작 사용 하지 않았을까요. 그리고 내구성에 신경을 안썼다면 왜 내부로 접는 디스플레이는 문제가 없었을까요? 뭔가 잘못 생각 하신게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즉 아웃폴딩 자체의 문제지 아웃폴딩의 내구성 문제는 아웃폴딩 자체의 문제 이후의 문제라고 생각이 듭니다.
@성이름-m6h8y4 ай бұрын
샘숭도 최고보단 최초에 목숨을 거는데
@SaramEmonjoda4 ай бұрын
아니 삼성기술 훔쳐다 폰 만들었는데 왜 저럼 ㅋㅋㅋ
@soosoosoo12344 ай бұрын
@SaramEmonjoda 폭탄기술은 안훔친듯 ㅋㅋ 안터지네
@kfx39074 ай бұрын
내가 알기론 중국 현지에서도 화웨이는 욕먹는 대상이라는데 한국 댓글중에 올려치기 하는애들은 화교라고 봐도 되겠지?
@danwlfn4 ай бұрын
신경쓸필요가 있을까? ㅋㅋ 그런데도 이런 덧글이 올라오는걸 보면 사람들이 스스로 판단 못하고 덧글에 영향을 많이 받는 모양이구나
@hi.wavejoy4 ай бұрын
쭝궈런
@user-rkewqxcq4 ай бұрын
ㅇㅇ 100% 공산당 댓글알바임
@이상호-y9t4 ай бұрын
중국의 문화공작대죠
@DEADSTAR-f9z4 ай бұрын
중국이 운영하는 댓글부대 우마우당의 일 중, 하나가 자국산 제품의 올려치기와 한국제품의 내려치기 입니다. 그리고 타 국가의 내부 이간질 입니다. 이런 이간질은 이이제이 정책으로 오래된 중국의 주요 정책 입니니다.
@user-bp9vs6pi8r4 ай бұрын
ㅋㅋㅋ 출시전에는 그렇게 중국 기술력이 어쩌고 저쩌고 삼성은 이제 중국에 못따라온다 어쩌고 ㅋㅋㅋ 저렇게 얇고 넓고 여러번 펴야하는게 내구성이 보장이 되겠냐고 예?ㅋㅋㅋㅋㅋㅋㅋ
@Clarke-gj4di4 ай бұрын
1단폴딩 액정 와장창 벽돌두께 시멘트무게 갤레기보다는 기술이겠지
@lameduck91464 ай бұрын
@@Clarke-gj4di요즘 중국은 유튜브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바뀌었나 보네요 당국이 규제를 좀 많이 풀어줬나보네요
@개념있는세상4 ай бұрын
@@Clarke-gj4di 그럼 겔레기 버리고 메이트 사다 쓰세요. 누가 뭐라 안하니.
@user-LSM724 ай бұрын
@@Clarke-gj4di우린 갤레기 쓸테니까 너네는 한달에 한번씩 몇백만원씩 주고 액정갈고,겨울에는 따뜻한 집에 모셔놓으면서 계속써~~~~~
@Clarke-gj4di4 ай бұрын
@@개념있는세상 갤레기를 버리라? 내가 왜 돈주고 쓰레기 살거라 착각하는지? K-가마우지 딱지붙은걸 왜 돈주고사냐고 쓰기도 창피한걸
@ho-joonkim76094 ай бұрын
내수 활성화에는 좋겠네요... 팔고, 사고, 고치고, 또 고치고, 버리고, 또 사고... 이러면 중국 경제 활성화에는 도움이 될듯
@DRGR00003 ай бұрын
중국 국민들 시급이 올라간것도 아니고 남의 나라에서 돈 들어오는것도 아니라서 딱 그 낭비만큼 다른 소비가 줄어들거라 의미 없습니다 그런식으로 소비진작이 되면 화웨이한테 부가 몰리긴 하겠네요
@l9개꼴리는야뎡-c9g3 ай бұрын
영하 5도에서 접지 말라면서... 왜 상온 20도에서 자꾸 깨지는건데 응? 댓글 하나에 10원 받는 그지 우마오당아 대댓부탁해
@BJ-oe5dt3 ай бұрын
한국은 교환이라도 해주지..쟈들은 150만원 수리비...ㅋㅋ 중국인 90프로가 100만원 이하월급받는데....ㅋㅋ
@jay_954 ай бұрын
애시당초 영하5에서 사용금지가 말이야 방구야 ㅋㅋㅋ 기술 훔쳐서 보여주기식으로 먼저 출시에 의미를 두니 저꼴이지~구입한 사람만 개호구지 ㅋㅋ
@hjdaniel64474 ай бұрын
주의] 영하 5도 이하에서는 펼치지 마시오.
@kimtea-p1l4 ай бұрын
영하 3도 입니다.
@Hoons_halal_life4 ай бұрын
영상 20도입니다
@RyzenSeven4 ай бұрын
한파때는 펼치치도 못하겠넼ㅋㅋㅋㅋㅋㅋ역시 중국 기술력 크으으으으
@피망이-i8b4 ай бұрын
노노 영상 10도 이하
@MUGUNJI4 ай бұрын
혹한기 훈련때 군 간부들 폴드 플립도 다 깨진다더라 ㅋㅋㅋ
@hakjinkim61034 ай бұрын
중국꺼 사면서 내구성을 바라는거 자체가 웃긴거죠.
@zero-sprite4 ай бұрын
내구성보다 안터지면 다행 아님?
@연두-n5m4 ай бұрын
@@zero-sprite안터지는 샤오밍꺼 많이 쓰세요 ㅎㅎ
@밥은먹었냐-f4u4 ай бұрын
@@zero-sprite 네들은 폭탄 빼고 다 터지잖아 😂
@MasiMerong4 ай бұрын
중국제품은 중국인만 쓰는거지 ᆢ인구수가 많아서 지들끼리 사고 팔고해도 많이 팔렸다 정신승리 ㅋ
@번개-r9g4 ай бұрын
내구성이 나쁘면 가성비가 최악이 된다 ...
@연탄불고기-h3p4 ай бұрын
저런식으로 최초라는 타이틀을 가져가봐야 무의미 하다는걸 알아야한다
@BaehrChaney4 ай бұрын
마치 한국의 5G처럼 ㅋㅋㅋ 최초가 되는게 뭐가 그렇게 중요한지 한국이나 중국이나 관료주의가 문제임 ㅋㅋㅋ
@라임청-e9u4 ай бұрын
스?마트링
@Aurore10044 ай бұрын
5G 최초 타이틀에 눈멀어 대국민 사기를 쳤습니다 훠훠훠
@사랑-l9v3 ай бұрын
아직 한국사회는 멀었네요. 중국도 이번엔 실패했지만 다음엔 성공합니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품들은 처음엔 별볼일없고 실패의 연속이었지만 결국 큰 성공을 이뤄냈습니다. 삼성, 한국은 안도할게 아니라 긴장해야합니다 '실패'가 초점이 아니라 '시도'가 중요한거죠
@remido93213 ай бұрын
@@사랑-l9v뭔소리에요... 시장에 내놓는 것만이 시도가 아닙니다. 그리고 하자품 팔아놓고 당당하게 시도요? 중국인 마인드가 뇌에 박혀게시네요. 엄연히 테스트 해보고 내구성이 확보안되면 내부적으로 개선해야지 그걸 상품으로 내놓고 파는 것만 시도입니까? 정신차리세요.
@나무-p1n6v4 ай бұрын
떨어뜨리지 마세요, 펼치지 마세요, 전원을 끄고 사용하세요
@아빠뭐해-d9t2 ай бұрын
네? 마지막ㅋㅋㅋ
@JhyK-j1o2 ай бұрын
+0c°이하의 온도에서 펼치거나 접지마세요
@크림-s9o4 ай бұрын
한번 접는것도 아직까지 미흡해서 개선에 개선중인데 트리플이 나오는게 맞나싶다
@노란뚱땡이-x2k4 ай бұрын
삼성이 안하는데엔 이유가 있지 여태껏 중국 폴더블 내구성 테스트하면 항상 갤럭시z 시리즈보다 못한 모습보였고 갤럭시z시리즈는 물에넣고 모래 뿌리고 하는 극한상황을 해야 고장나는 모습을 많이 보였어서 판매량은 밀릴지 몰라도 내구성은 압도적임
@오계-c1l4 ай бұрын
안하는게 아니라 못하는거 아님? ㅋㅋㅋㅋㅋㅋ honor V2 나 V3만 봐도 폴더블은 이제 화웨이가 압승인데 ㅋㅋㅋ 갤럭시 폴드 1세대만해도 내구성 씹창이었지만 1세대니까 어쩔수없고 혁신은 혁신이라고 말해던 애들이 참 ㅋㅋㅋㅋ
@@오계-c1l 한국사람들은 honor2,3가 뭔지 모르는데...나도 처음 들어보고...ㅋㅋㅋㅋㅋ. 한국에서 화웨이 쓰는 사람 있나?
@entp69164 ай бұрын
@@무늬만매니아네 유럽시장은 쟤네가 삼성따고 1위 탈환했어요
@entp69164 ай бұрын
@@TCM_Story중국인들이 애국소비하는거랑 뭐가다르나요? 유럽에서는 이제 아너가 1등입니다.
@데쓰크로니4 ай бұрын
박스를 개봉한것 뿐인데 저런 파손이 계속 나온다는건 내구성 테스트를 전혀 안해본거 아냐 ??? 미친~ 300만원이 넘는 제품을 내구성 테스트도 제대로 안해보고 팔아먹으려 하다니 ~
@hyeonminkim91824 ай бұрын
문제가 될만한 게, 기존 2단 폴드는 장력이 한번 접히고 끝이지만, 3단은 한번 접힌 상태에서 다른쪽에서도 장력이 발생하면서 내구성을 초과하는 장력이 접힌 상태에서 발생하는 구조임. 이걸 해결할 수 있어야 3단이 가능할거임.
@koreabank4 ай бұрын
4:45 천궁 힌지 시스템!!? 천궁은 우리나라에서 잘 터지기로 유명한 이름인데 ㅋㅋㅋ
@JY_78904 ай бұрын
뻥궁 😂😂
@유윤성-u3c4 ай бұрын
파워뻥!
@jbna8514 ай бұрын
처음 화웨이에서 폴더블폰 내놓을때도 아웃폴더 방식이 더 좋은거라고 무리하게 검증도 없이 내놓았다가 그래놓고 이번에도 똑같은 짓을 하는거 보면 비싼 물건 팔아놓고 베타테스터도 아니고 그냥 고객을 실험실 테스터로 보는듯..ㅋㅋ
@TyphoonMkII3 ай бұрын
그때 화웨이의 아웃폴딩이 진리고 삼성의 인폴딩은 쓰레기다라고 노래불렀던 C모 사이트의 인간들이 이번에는 또 뭐라고 할까...
@심심타-r4j4 ай бұрын
폴더블 초창기에 화웨이가 아웃폴딩 했던거 생각하면됨. 최초 소리 듣고 싶어서 한거임. 어차피 디스플레이 공급업자가 엘지 아니면 삼성인데 삼성이 아웃 폴딩 할 줄 몰라서 안했을까 ㅋㅋㅋ 아직 성능이 안돼는데 사준다고? 개발비 뽑을 수 있으니까 팔아준거임. 이번 3단 폴더블도 마찬가지고 ㅋㅋㅋ
@LP770-4-4 ай бұрын
LG롤러블폰 유저로써 이건 진짜 혁명임 정말 이건 꼭 출시하고 끝내려니했더니 아쉬움 평생소장각!
@soso-zt5jl4 ай бұрын
1년마다 몇백 몇천만을 만들어도 폴더블은 여전히 일반 폰보다 취약하다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고 봄
@다니엘퍼스트4 ай бұрын
삼성은 이미 이런 사태를 예견하고 위험한 늪에 빠지지 않았고 화웨이는 세계최초 타이틀이 필요해서 위험을 무릎쓰고 늪에 빠졌다. 삼성의 판단력에 박수를 보냅니다.
@user-pq2cze2rt6774 ай бұрын
이미 내구성 관점에서 수율이 폭망이네... 불량을 팔았어 😂 중국에서 저 가격이면 엄청 고가인데... 햐...
@박성식-f9p4 ай бұрын
11억명 정도가 월급 50만원 안팎임. 대충 비율로만 따져도 한국 물가, 월급으로 환산하면 가치는 1300~1500만원 정도 하는 수준. 근데 실상은 줘도 안 쓸 쓰레기.
@OTC-k1o3 ай бұрын
불량을 판 게 아니라 불량품만 보여주는 거지 바보니?🤣
@kyh32594 ай бұрын
그럼 그렇치... 수리 수율도 엄청 낮다고 하든데 부품이 어디 있다고 수리를 할 수 있나?
@김동우-x5s9r4 ай бұрын
현재 폴드6 사용하고 있는데 케이스 사용하고 있고 6번 정도 크게 떨어트렸는데 멀정함.. 삼성이 내구성 하나는 짱인 듯
@ange-bijou-maman3 ай бұрын
삼성 : 우리가 안해봤겠냐?
@qorgusdlr3 ай бұрын
이미 다 해봣지...ㅋㅋㅋㅋ
@성이름-s4j3 ай бұрын
안해봤다함
@MalgeunSAM3 ай бұрын
@@성이름-s4j 삼성 디스플레이 전시품으로 이미 다 선보인거임
@역대급훈남3 ай бұрын
@@성이름-s4j 형 삼성 다니는데 롤러블 7단 다해봣다
@Shawnfive3 ай бұрын
@@성이름-s4j 안하긴뭘안해, 롤러블, 폴더블 인폴딩 아웃폴딩 전부 다 삼성이 제일먼저 기술개발한건데.
@hyunhong47474 ай бұрын
그냥 만들수는 있지만 제대로 잘 만들 수는 없으니까 저렇게 되는거겠죠 만들수있다와 제대로 잘 만든다의 차이는 엄청나거든요 그래서 모든 테크it 기업들이 그냥 만든다가 아니고 제대로 잘만들기 위해서 기술력을 계속 더 올리는거구요
@wanwoopark8394 ай бұрын
못만드는게 아니라 안만드는것이 맞습니다. 제품에 대한 as와 지속적인 생산관리에서 수지타산이 안맞는거죠. 롤러블 디스플레이도 한참전에 나왔지만 일상생활에 활용 시, 다양한 고장원인과 유지에 따른 인프라가 아직 구축되지 않아 완전한 상용제품화가 어렵습니다.
@toddpark09274 ай бұрын
LG 롤러블 tv 팔잖아요 비싸서 그렇지
@alru16393 ай бұрын
@@toddpark0927 TV는 그래도 어지간하면 고정된 위치이서 거치해서 쓰지만 폰은 들고다니면서 손을 열고 펼치고 밀고 당기고 접고 딸어트리고.... 훨씬 더 심한 가혹조건이죠.
@꽁다-o7j3 ай бұрын
안 만드는게 아니라 만들고 있습니다 ㅋㅋㅋ
@dol67574 ай бұрын
갤럭시폴드도 똑같음 4쓰는중인데 작년 겨울에 화면 갈라짐 다행히 무상수리 받았지만 그냥 폴더블은 아직 이른기술
@GreatKorea16674 ай бұрын
너무 힌지가 얇으면 장력이 접히는 부분에 더 가해져서 손상이 오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힌지 자체품질도 떨어지구요
@seongmokjeong12694 ай бұрын
1:29 이래서 애플도 플렉스폰 신중합니다. 그러나 언젠가 출시는 하겠죠. 루머 중 하나가 애플이 만든다면 삼성디플,힌지 등등 폴드 기술력 50%가져 쓸꺼라고 하더군여. 특히 디플은 삼성.엘지만 특수성, 앱 호환성도 생각하기에 신중 할 수 밖에 없을 듯.
@민서-d7x4 ай бұрын
와 난갤 폴드3 3년쓰는데 삼성수리점한번도안감 😊 삼성이대단하긴하네😂
@번개-r9g4 ай бұрын
이게 바로 삼성이지 .. 중공이 감히 모방조차 못하는 품질 ...
@김홍구-p9p4 ай бұрын
폴드3까지 액정 나가는 이슈 있었음 추울땐 자주 열고 닫지 말란 경고도 있었음. 내가 폴드3쓰고 있어서 이슈뜰때 마다 챙겨봤음.
@여러문제연구소4 ай бұрын
폴드 1 출시 첫날 구입, 현재까지 사용 중. 5번 쯤 떨어뜨림. 현재까지 고장 없음. 배터리가 문제. 하루 정도면 방전.
@wawuu4 ай бұрын
폴드4 썼는데 영상 1도애서 펼치니까 검은줄 생기던데? 그거 이후로 삼성 폴드 내구성도 못미더워졌음
@H1ghway4 ай бұрын
부럽네. 난 원인 불명 이유로 메인보드 맛탱이가서 완전교체했는데....
@jsk-c7d2 ай бұрын
겨울 영하날씨나 땅에 떨어뜨리면 힌지부분에 이상이 생깁니다. 고장수리는 안됩니다.
@sehyukp4 ай бұрын
겨울되면 거의 전부 파손될듯~~
@이영진-i4d6y4 ай бұрын
ㅎㅎ 겨울에는 아랫목에 보괸하면서 필요할때만쓰면 아무문제 없습니다~😝
@OTC-k1o3 ай бұрын
삼성 폴더블 겨울되면 거의 전부 파손될듯이 아니라 이미 전부 파손됐단다 얘야
@sehyukp3 ай бұрын
@@OTC-k1o쭝꾹 댓글부대 시구나~~ 천안문 사태는 역사적으로 어떤 사건인가요~~??
@BJ-oe5dt3 ай бұрын
그렇게 내구성이 좋아?.....겨울되기전에 다 파손되지 않을가?
@김바라4 ай бұрын
소비자인 저의 입장에서는 어디 회사던 좋은 제품이 더더욱 빨리 출시 되었으면 하네요
@kmh17934 ай бұрын
완성 안된 기술을 출시하다니...
@애꾸선장4 ай бұрын
화웨이 : 저희는 고객과 함께 미래를 만들어 갑니다. 당사는 제품을 만들고 품질테스트는 고객의 몫!
@tree_tree00954 ай бұрын
@@애꾸선장ㄹㅇㅋㅋㅋ 고객이자 테스트유저
@WestYoon4 ай бұрын
폴드1때도 그랬지만 지금은 개좋아진거 생각하면 데이터 쌓이면..
@피망이-i8b4 ай бұрын
@@WestYoon 전혀 같은 상황이 아님
@soosoosoo12344 ай бұрын
@@피망이-i8b맞는데??? 폴드1때 액정 힌지 하자 졸라심했는데??????
@김정열金廷烈-l6p2 ай бұрын
중국은 아마 선점을 이루는것이 급했을겁니다. 그러니까 만들자마자 곧바로 그냥 시장에 내 놓은것이지요. 트리플 폴더블폰은 안으로 접히는 부분은 접힐때 눌리는 스트레스가 오고 바깥쪽으로 접히는 부분은 당겨지는 스트레스가 오기때문에 두군에서 동시에 눌리고 당기는 스트레스가 오기때문에 그만큼 내구성을 유지할려면 더욱 더 기술이 필요할겁니다. 삼성이 당겨서 늘리는 형태의 스마트폰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안드로-s3u4 ай бұрын
바깥쪽으로 접히는건 아니라고 생각되네요. 작은 충격에도 고스란히 화면에 충격이 갈텐데... 저번 삼성이 발표한 양쪽 안으로 접히는 방식이 정답같네요.
@Rwinter1194 ай бұрын
내구성을 고려해서 접힘각을 넓히는것인데 당장 괜찮다고 과도하게 접으니 금방 고장날 수 밖에
@안생겨요-z2p4 ай бұрын
갤z폴드6로 보는데 그냥 갓삼성임ㅋㅋ
@juk62874 ай бұрын
그러게요 전 폴드6 지난주에 계단에서 심하게 떨어뜨렸는데도 모서리 찍힘만 있고 멀쩡하네요
@youmayson49974 ай бұрын
폴드6랑 플립6은 이제 완성형으로 가고있죠.
@parkhyunae35474 ай бұрын
저두 산지 얼마안되서 바닥에 우악 진짜 하늘 무너지는줄
@례륵4 ай бұрын
삼성 폴드는 이제 힌지는 어느정도 안전성이 보장이 된듯
@nutralizer014 ай бұрын
z폴드6 1TB 사용중인데, 각진 코너.. 미니멀한 디자인데.. 펼칠때 억지로 펴는게 아니라 딱 펼쳐지는 느낌. 폴드 3때부터 쭉 업글해왔는데, 디자인+기능성 정말 안정적으로 변했더라구요. 중국이 겁나 얇은 폴더블로 나온다고 언론이 너무 보도하니까 삼성에겐 경쟁심 기폭제가 되었는지.. 되려 잘 된거죠 ㅋ
@조항겸-t8x4 ай бұрын
비노트님 오늘도 좋은 정보 너무 감사합니다.
@강산-c3f4 ай бұрын
영하 5도에서 접지 말라면서... 왜 상온 20도에서 자꾸 깨지는건데 응? 댓글 하나에 10원 받는 그지 우마오당아 대댓부탁해
@히든카드Z4 ай бұрын
저 정도면 수율은 더 개판일 듯 즉 많이 팔릴수록 적자는 더 커진다느 거
@phillover06093 ай бұрын
전 아이폰이랑 갤럭시 둘다 쓰는 이중유저 입니다 총 12년째 … 근데 장단점있지만, 둘다 중국폰이랑 비교 못하죠 .. 중국폰은 솔직히 돈만 비싸게 만들지 내구성 전혀 없어서 ;; 😢😢😢😢😢😢😢😢😢😢
@JM-ti9rj4 ай бұрын
삼성은 불량률때문에 안내는거지.. 개발은 이미 몇년전에 했자나.. 중국은 그냥 자기들이 앞선다고 보여주기식으로 고장나던말던 양산한거고 ㅋㅋ
@nupttics4 ай бұрын
역시나 그럴 것 같았는데 예상을 벗어나지 않는 내구성. 근데 두 번 접는 폰 나오면 굳이 태블릿을 살 이유가 없어져서 개인적으로는 제대로 만든 제품이 나왔으면 좋겠네요.
@야성터프4 ай бұрын
삼성이 저렇게 만들어서 내구성 저랬다면 나오자마자 온갖 욕 다 나왔겠죠
@EthanRyu-u9u4 ай бұрын
아이러니한건 중국의 저런 말도 안되는 방식이 있어서 발전 속도가 빠르다는거죠... 애플/삼성은 제품이 완벽하지 못하면 클레임부터 소송 리콜등등 많은 리스크가 있지만... 중국은 '아니면 말고'식으로 계속 만들수 있어서 기술 발전이 빠릅니다. 특히, 전기차는 불나고 사고나도 언론을 통제하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론 그 덕에 많은 시도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전기차 및 자율주행 기술은 중국이 엄청나게 발전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개인정보보호따윈 갖다버림) 미국에서 중국 전기차 관세 높인다고 하지만, 그걸 예상해서 중국 전기차 회사들 멕시코에 공장 엄청 짓고 있습니다. 중국 짱개로 오해받기 싫어서 한줄 더 적음. 천안문/프리홍콩/프리티벳/중국민주화/시진핑탄핵
@soosoosoo12344 ай бұрын
그래서 터지고 다 리콜했잖아
@EthanRyu-u9u4 ай бұрын
@@soosoosoo1234 중국 가전제품은 리콜이란 시스템이 있기는 할까…
@jao20224 ай бұрын
폴드2 부터는 문제 없다던데 폴드1은 초기제품에 필름 뜯어서 문제생긴거고
@BraveEcho4 ай бұрын
초창기 폴드랑 플립이 저래서 욕 많이 먹긴 했음
@jinhodudmi3 ай бұрын
중국 물가는 참 이상해..대졸 신입 월급이 80~90만원으로 알고있는데 핸드폰이 380만원?? 어느 국가에서 핸드폰 가격이 월급의 4개월치를 내야 살수있는곳이 있나?
@정재우-x1d4 ай бұрын
화훼이가 위기인가보네 얼마나 조급하면 완성 되지도 않은 폴더볼폰을 출시하고 삼성을 이겼다고 정신승리할까 회사가 위기이거나 조급하지 않어면 완성도 안된 제품을 출시할수가 없다
삼성은 세계적인 브랜드로 화웨이는 아직이죠... 이미지 타격입는것보다 확실한제품내는게 낳겠죠
@toomuchtalker24844 ай бұрын
접어도 문제가 없는 폰을 만들어야 되는데 일단 접은 폰을 출시를 하다니...
@hskim75843 ай бұрын
아웃 폴딩되는 쪽의 스크린에 걸리는 응력(stress)와 변형을 잡으려면 10년은 더 걸릴 것. 가장 기본적으로는 아웃 폴딩되려면 뒤집어지는 쪽 스크린의 폭이 상당히 많이 늘어나야 하는데, 그걸 어디서 어떻게 해결하지?
@아딩구4 ай бұрын
삼성이 시제품만 만들고 출시자체를 않하는것은 그만큼 내구성 및 여러 문제점 해결이 아직 양산단계정도 까지 가기 힘든건데
@노승환-x9w4 ай бұрын
삼성이 양산 능력만큼은 세계 최고인데 출시하지 않는 걸 보면 어느 정도 알 수 있죠
@ygtyt444 ай бұрын
안
@BJ-oe5dt3 ай бұрын
접히는 방향이 서로 달라 잘못하면 반대로 꺽을수 있슴...
@번개-r9g4 ай бұрын
저런건 과거에 삼성이 다 개발했던 기술이다 .. 그러나 엄격한 자체 성능기준에 못미쳐서 시장에 못나온 것이다 .. 중공이 언제 삼성을 따라온 적이 있었나 ? 언제나 모방하기에 급급하다가 욕이나 쳐먹었지 .. 삼성은 자체 기준을 만족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지금도 노력하고 있다 ... 곧 나올 것이다 ..
@lwndnjs934 ай бұрын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트리플 폴더블은 한번만 열었을때 좌우 두께의 차이가 있어서 트리플이랑 롤러블 중에 하나 구매한다면 롤러블 구매할듯 예전에 LG의 유작으로 롤러블 만든거 보면 충분히 가능한것 같기는한데
@bokegaeru4 ай бұрын
천궁 폴드 시스템이라더니 ㄹㅇ 뻥뻥 터지네 ㅋㅋㅋㅋㅋ
@살콩이랴븅이3 ай бұрын
중국통 지인 통해구입 했는데 기술은 좋아보입ㄴ다 쿠 화면이 경이로워요.
@jinsooimsi2-yj4lu4 ай бұрын
구매 대기자가 많은 이유는 사서 되팔려는 이유입니다. 이익이 크기 때문인데 문제는 수율이 안나와 소량생산이 가능하다는 함정.
@tripsepa4 ай бұрын
구매 대기자가 많은 이유. 1. 사전예약에 돈이 들지 않는다. 2. 수율이 안좋아서 대량생산이 되지 않는다.
@cjl22264 ай бұрын
4:44 톈궁 힌지라면 천궁 힌지인가 천궁하니 예전에 뻥파워 폭발하는 천궁 파워가 기억나네요. 전자기기 저주의 이름 천궁(톈궁)인가
@jhl94444 ай бұрын
누구나 예측 하고 있지 않았나? 세계최초라는 상징적인 타이틀 욕심을 가져오기위한 빅리스크 였다는걸 ㅋㅋㅋ
@LBJ00Q124 ай бұрын
사전예약 그냥 조작 수치 중국에서 300만원 넘는 폰을 살 사람이 얼마나 있다고 ㅋㅋ 애플이 3단 접는걸 내놓으면 몰라도
@@stormperfect2684 왜이럼? 외국 유튜버들은 뭐 어떻게 제품받았다고 생각하는데요? 필요한 사람들은 사겠죠 중국제품 옹호한것도 아니고 당장 우리나라 유튜버도 사전예약하려다가 실패했다는 사람도 있는데
@QOL50634 ай бұрын
냉정하게 보면 아마도 아웃폴딩과 인폴딩을 같이 적용해서 접을때 반대로 접어버리는 시도를 했을 가능성도 있겠지.인폴딩으로 두번접는걸 삼성이 시제품으로 보인적 있는데 그게 맞지 않을까란 생각이 듦
@TV-mk7jn4 ай бұрын
중국제는 내구성 원래부터 안좋았는데 새삼스럽개ㅜㅋㅋㅋ
@톰과제리-n1k4 ай бұрын
출시한 경험이 생겻고 문제점은 점점 개선을 해나갈거이기때문에 우습게 볼일만은 아니다...
@역사_안심구역4 ай бұрын
이제 폴더블 폰은 기술력이 진짜 쓸만한 수준으로 올라온건 맞습니다. 패드없이 폴더블 폰 하나로 비벼볼만 합니다. 저도 패드 쓸일없어져서 그냥 팔았는데. 메이트 xt가 이번에 삽질한건 맞지만 중국 폴더블이 무시할만 수준은 아닙니다. 아직까지는 삼성 z폴드가 최강인것은 맞으나 이게 얼마나 오래 지속될지 걱정은 됩니다..
@역사_안심구역4 ай бұрын
블로그글 자주 쓰시는 분들이나 저처럼 코딩 때문에 멀티태스킹 무조건 되야하는분들은 폴더블 진짜 신세계입니다. z폴드6, 아너 매직v3 이거 두개가 현재까지는 최상이며 구글 픽셀9폴드는 아직 부족해보이네요
@소프-w2l4 ай бұрын
앞날도 답이 없는 게 저 비싼폰에 2년전 cpu성능 달고나옴 무역분쟁 해결 전까지 퀄컴 못쓰는데 반도체 장비도 못구해서 개발도 힘듬
@kcrollerskate34043 ай бұрын
잘 봤습니다
@리어카-d9n4 ай бұрын
접히는모서리가 액정인데 당연히 쉽게 깨지쥬 접혀서 모서리가 힌지면 그래도 그나마 케이스를 끼워서 보호하는데 저건 케이스자체를 못끼웁니다.
@산성비-v7u4 ай бұрын
화웨이가 신제품 불량률로 미끄러질 때 이번 폴드 SE로 뭔가를 보여줘야 할 건데 준비 잘하고 있나?
@urararargk4 ай бұрын
저게 어찌보면 당연한게 핀폴딩과 아웃폴딩은 기본적으로 전혀 다르게 생각해야함 두께도 연성도 다르게 설계해야 가능한건데 그걸 화웨이가 상용화시킨다는 말 자체가 어찌보면 못 믿을 말이기도 함 삼성도 기술자체는 있지만 내구성과 원가 문제로 아직 시험작만 있는 상황인데
@애꾸선장4 ай бұрын
삼성 : 저희는 제품출시전 자사서 품질테스트를 합니다. 화웨이 : 저희는 제품출시후 고객 스스로 품질테스트 합니다. 얼마나 자유롭나요. We are freedom!
@woo-youngbang80944 ай бұрын
접어 놓은 사진을 보니 두께를 갤폴드에 맞추려고 무리해서 "눌러놨다." 고 보이네요. 폴더블 폰 쓰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접히는 힌지부분은 내부 디스플레이가 완전히 접히게 만들지 않습니다. 3개의 디스플레이를 접었을때 갤폴드 보다 얇게 보이도록 만드려고 더 강하게 눌러놔서 스트레스를 더 강하게 받은듯...
@사람-t6d9b4 ай бұрын
삼성에 더 높은 기술을 바라면서 까기 바쁘고 정작 애플은 접는폰 없는데 혁신이래 ㅋㅋㅋㅋㅋ
@마이홈-q4c3 ай бұрын
생각보다 좋아
@갯바위-k7w3 ай бұрын
출고 하기전에 제품 테스트 안하나
@tmi20623 ай бұрын
폴드 4 이용자입니다. 지금 고친지 3달만에 또 고장났습니다
@삼두근-x6s4 ай бұрын
삼성이 빨리 출시해야 중국이 저부분 개선할텐데 ㅋㅋㅋ 삼성이 출시 해줄까??
@TUSCARON2 ай бұрын
국내에서 리뷰 한 사람들 보면 거의 모시고 찍었음 이미 내구도 작살이란 의미였지 ㅋㅋㅋ
@코코뽀글뽀글-n2v4 ай бұрын
폴드제품만 몇개째 만드는 삼성이랑 비교자체가. 불가
@sonickang57563 ай бұрын
중국산의 구매값 데드라인은 딱 30만원선! 그 이상은 곤란! 몇번 쓰다가 고장나도 어쩔수없다는 데드라인인데, 그것도 많이 쳐준것임!....
@jkietytb4 ай бұрын
그냥 고객들 상대로 사기를 쳐버리네 ㅋㅋ
@lanbluki4 ай бұрын
역시 2단 폴딩은 아직 애매한가..😅 아니면 인아웃 폴딩이라 그런건가..더블 인폴딩이면 이야기가 조금은 다르려나요? 그것도 아니라면 미래를 롤러블인가..?
@ahk_korea4 ай бұрын
LG 에서 만들었던 롤러블이 미래다
@뉴빙이3 ай бұрын
내구성은 그렇다쳐도 무게는 늘어나지않을까..? (앏게 해도 들어가는 부품 수가...) 힌지에 가해지는 무게가 원인인거 같은디.